[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7855B1 -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 Google Patents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855B1
KR101627855B1 KR1020080063433A KR20080063433A KR101627855B1 KR 101627855 B1 KR101627855 B1 KR 101627855B1 KR 1020080063433 A KR1020080063433 A KR 1020080063433A KR 20080063433 A KR20080063433 A KR 20080063433A KR 101627855 B1 KR101627855 B1 KR 1016278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tting information
user setting
location
request mess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34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03501A (ko
Inventor
안재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634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855B1/ko
Priority to US12/431,964 priority patent/US8521807B2/en
Publication of KR20100003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03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8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85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2866Architectures; Arrangements
    • H04L67/30Profiles
    • H04L67/306User profi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02Protocols based on web technology, e.g. hypertext transfer protocol [HTT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XCAP 기술에 이동(move) 명령을 새로이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요청을 하나의 동작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XCAP 활용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상기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을 처리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클라이언트, 서버, XCAP, HTTP, POST

Description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METHOD FOR CONTROLLING USER SETTING INFORMATION IN A 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TECHNIQU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에 관한 것으로, 특히 XCAP을 확장하여 서버(server)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XCAP 활용 방안 및 그를 위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IETF(Th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에서 SIP(Session Initiation Protocol) 표준이 개정된 이후,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3GPP2, 차세대네트워크(NGN, Next Generation Network) 등의 차세대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도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를 위한 핵심 기술로 SIP 표준 기술을 채택하고 있다. 미래의 IP(Internet Protocol) 기반 멀티미디어 응용 서비스는 SIP 표준 기술을 중심으로 표준화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 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징 서비스(MMS, Multimedia Messaging Service), 전자메일 등의 다양한 메시징 서비스가 인터넷 사용자들에게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인스턴트 메시징(IM, Instant Messaging)은 최근 들어 폭발적으로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는 메시징 서비스로서, MMS처럼 텍스트뿐 아니라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전자메일에 비하여 실시간에 가깝게 메시지를 주고받을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프레즌스 서비스(PS, Presence Service)는 인터넷 상에 떨어져 있는 특정 사용자의 프레즌스 정보를 제공받기 위한 서비스로, 사용자가 현재 실시간 통신 가능한 상태인지, 어떤 서비스 사용이 가능한지, 사용자가 현재 무엇을 하고 있으며, 기분 상태는 어떠한지 등 사용자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한다. 특히, 인스턴트 메시징과 같이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서비스의 경우, 인터넷 상에 떨어져 있는 사용자가 메시지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인지 아닌지 미리 판단하고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면 많은 장점들을 가질 수 있다. 이에 프레즌스 기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가 창출되었으며, 온라인(on-line) 상태의 대화 상대에게 다양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서비스 가능하도록 하는 유용한 수단이 되고 있다.
현재 프레즌스 기반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는 대부분의 인터넷 사용자들이 사용하고 있을 정도로 일반화되어 있으며, 다양한 프로바이더(provider)에서 다양한 부가 서비스와 통합된 통합 메신저 서비스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다른 메신저에 가입한 사용자들과의 상호 통신이 지원되지 않는다는 단점들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서로 다른 메신저 간의 상호운용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IMPP(Instant Messaging and Presence Protocol) 관련 국제 표준 규격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이러한 IMPP 국제 표준 제정을 위해 IETF에서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특히, 프레즌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프로토콜로 SIP을 이용하고자 연구 중인 SIMPLE 워킹 그룹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IMPP 서비스 관련 표준화 작업은 IETF IMPP 워킹그룹과 SIMPLE 워킹그룹을 중심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IMPP 워킹그룹은 IMPP 서비스 제공을 위한 프로토콜 및 데이터 포맷 등을 정의하고자 구성된 워킹그룹으로, IMPP 서비스 모델, 해당 서비스 모델에서의 요구사항, 시스템 간 주고받는 메시지들의 데이터 포맷 등을 정의하고 있다.
SIMPLE 워킹그룹은 프레즌스 및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로 SIP을 이용하고자 구성된 워킹그룹으로, IMPP 관련 워킹그룹 중 가장 활발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SIP는 이미 인터넷 전화 서비스 제공을 위해 통신사업자들에 의해 고려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며, 차세대 네트워크나 OMA(Open Mobile Alliance), 3GPP 규격에서도 SIP을 수용하고 있으므로, 인터넷 전화 서비스와의 통합이 용이하고 IMPP를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이 불필요하다는 장점들을 갖고 있다.
한편, SIMPLE 워킹그룹에서는 이외에도, 프레즌스 정보 기술을 위한 확장 데이터 포맷, 일부(partial) 프레즌스 정보 통지 방안, 프레즌스 정보 필터링 방안, 인스턴트 메시징 서비스를 위한 메시지 세션(session) 설정 방식, 특정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관리할 수 있는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관련 기술 등이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다.
특히, 상기 XCAP은 서버(server)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형태로 저장된 데이터를 클라이언트(client)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고안된 프로토콜이다. 즉, 상기 XCAP은 특정 응용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XCAP 서 버에 등록해 두고, XCAP 클라이언트에서 상기 XCAP 서버에 등록된 정보를 직접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상기 XCAP 서버에 저장되어 있는 응용별 사용자 설정 정보는 XML로 기술되어 있으며, XCAP 클라이언트에서 XCAP 서버로 접근하기 위한 프로토콜로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을 사용한다. 아울러, XCAP에서는 GET, PUT 및 DELETE의 3가지 HTTP 메소드(method)를 사용하고 있으며, XML 문서 내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핸들링하기 위해 HTTP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 매핑이 필요하다.
XCAP 클라이언트가 XCAP 서버에게 리소스(resource)를 요청할 때, 해당 리소스의 위치는 일반적으로 URL(Universal Resource Locator)을 사용해서 나타낸다. 그러나 검색엔진을 검색한 결과와 같이 동적으로 생성된 정보는 URL로 표현할 수 없다. 따라서 동적 문서를 요청하는 경우, URL과 사용자 질의를 합쳐서 URI로 표시한다. 일반적으로 URL은 리소스의 위치만을 나타내는 반면, URI는 리소스의 위치에 전달될 인자까지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즉, URL은 URI의 특수한 형태로 볼 수 있다.
한편, 향후 자신의 현재 상태를 표현하는 프레즌스 서비스는 새로운 서비스와 통합된 형태로, 현재보다도 더 많이 우리 생활 속에 밀접하게 다가올 것으로 기대된다. 더불어 XCAP 표준 기술에 대한 관심 또한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XCAP 표준 기술은 IMPP 서비스 제공을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표준 기술이기는 하나, IMPP 서비스뿐 아니라 다양한 인터넷 응용에 적용 가능한 기본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인터넷 응용들이 XML를 채택하고 있는 추세이므로, 향후 XCAP 표 준 기술에 대한 활용은 크게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되는 XCAP 기술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XCAP 활용 방안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XCAP을 확장하여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XCAP 활용 방안 및 그의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move)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XCAP에 새로운 메소드(method)를 정의하고, 이를 이용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XCAP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을 위한 4패스(4-pass) 시그널링을 2패스(2-pass) 시그널링으로 처리함으로써,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이고 데이터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는 XCAP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이동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상기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을 처리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 요청 메시지를 해당 서버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분석하는 과정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패 정보를 포함할 시, 상기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을 명령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이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할 시, 지시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지정된 위치로 이동 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시스템은,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와, 상기 이동 명령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position) 및 속성(attribute)을 포함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클라이언트와, 상기 클라이언트의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지시된 상기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을 처리하고, 그에 대한 결과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전송하는 서버를 포함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 시스템에 따르면, 개인화 서비스에 활용되는 XCAP의 성능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XCAP 기술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이동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던 기술적인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이를 통해, XCAP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관리 특히,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시에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 및 그의 처리시간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아울러 사용자 설정 정보 이동 시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XCAP에 호환성을 고려한 이동 기능을 새로이 정의함으로써,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을 하나의 동작(transaction)으로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의 XCAP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시키는 제어 시 발생하는 네트워크 트래픽을 줄일 수 있으며, 데이터의 안정성도 보장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의 표준과 호환성을 유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추후 상품화 및 산업 적용에 대한 부담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은 클라이언트(client)와 서버(server) 간 특정 응용 서비스를 위해 클라이언트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 관련 기술에 관한 것이다. 상기 클라이언트 및 서버는 XCAP 기술을 지원함을 가정한다.
XCAP 기술은 특정 응용 서비스를 위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서버에 등록해 두고, 클라이언트에서 서버에 등록된 정보를 직접 관리하기 위한 기술이다. 여기서, 사용자 설정 정보는 사용자의 프레즌스 서비스(Presence Service)를 위한 프레즌스 정보가 될 수도 있고, 그 외 다양한 정보가 될 수도 있으며, 특정 정보별로 별도의 이벤트 패키지가 표준에 정의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인터넷 상에서 특정 그룹 리스트(예컨대, 친구 리스트 등)인 경우를 대표하여 설명한다. 사용자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사용자 자신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서버에 등록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변경될 때마다 재등록하는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가 자신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자 할 경우, 해당 서버로 접속하여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프레즌스 서비스 등에서는 그룹 리스트와 같이 사용자별 정보를 관리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정보를 클라이언트에 저장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서버에 저장함으로써 자료의 안정성을 보장할 수 있으며, 클라이언트가 교체되더라도 기존에 이용하던 정보를 불편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서버에 등록되어 있는 응용별 사용자 설정 정보는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문서로 기술되어 있으며, 클라이언트에서 XCAP 서버로 접근하기 위한 프로토콜로는 인터넷 환경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그리고 XCAP 기술에서는 GET, PUT, DELETE의 3가지 HTTP 메소드(method)를 사용한다.
XCAP은 HTTP에 기반을 두어, 클라이언트의 요청(request)과 이에 대한 서버의 응답(response)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사용자 설정 정보는 하나 이상의 XML 형태로 저장되며, 클라이언트는 HTTP의 GET/PUT/DELETE 메소드를 이용해서 이를 가져오거나 추가 또는 삭제할 수 있다.
한편, 클라이언트는 XML 형태로 저장된 모든 사용자 설정 정보들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설정 정보들 중 일부(partial)에 대한 처리를 요청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클라이언트 사용자의 그룹 리스트 전체를 하나의 요청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고, 그룹 리스트에서 하나의 항목만을 삭제 요청하거나, 기존 그룹 리스트에 새로운 항목 추가를 요청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XCAP이 활용되는 많은 서비스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각각의 항목의 위치는 중요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즉, 하기 <표 1>과 같이 그룹 리스트가 서버에 저장되어 있다고 가정하면, 이렇게 저장된 순서에 맞추어 사용자에게 제공해줄 필요가 있다. 또한, 사용자는 필요에 의해 언제든지 이러한 그룹 리스트의 순서를 변경할 수 있어야 한다.
Figure 112008047515419-pat00001
예를 들어, 상기 <표 1>에서 "user2"의 항목은 "friends"라는 그룹에서 2번째 항목으로 저장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user2"의 항목을 가장 마지막에 위치시키고자 할 경우, 기존 XCAP 기술에서는 우선 서버에 등록된 "user2" 항목을 지우고, 다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 통신을 통해 4번째 위치에 "user2" 항목을 추가해야만 한다. 이러한 서버의 구체적인 동작은 사용하는 XML 스키마(schema) 및 응용법(application usage)에 따라 다르지만, 가장 널리 사용되는 리소스 리스트(resource-list)에 대한 예제는 후술하는 도 1과 같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소스 리스트 기능은 프레즌스 서비스에서 사용자가 관심 있는 특정 그룹에 속하는 멤버들의 상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리소스 리스트에 의한 요청 정보를 수신한 서버는 사용자가 요청하는 특정 그룹에 포함된 멤버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friends"라는 특정 그룹에 대한 상태 정보를 요청하였을 경우, 해당 서버는 사용자가 지정한 "friends" 그룹에 속한 멤버들의 상태 정보를 수집하여 사용자에게 전달하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인 XCAP 동작을 활용한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항목을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도 1에서는 상기 <표 1>에서 "friends" 그룹의 2번째에 위치하는 "user2"의 항목을 4번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user2"는 "friends"라는 그룹 리스트에서 2번째 항목으로 저장되어 있다. 이때, 사용자가 "user2"를 "friends"라는 그룹 리스트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시키고자 요청할 시,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요청에 응답하여, "friends"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 리스트의 하위에 있는 "user2" 항목을 삭제할 것을 요청하는 삭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150)로 전송한다(S101단계). 이때,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HTTP 메소드(GET, PUT, DELETE) 중 DELETE 메소드를 이용하여 도 1의 예시와 같은 메시지 포맷으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DELETE 메소드는 요청 URI(Uniform Resource Identifier)로 식별되는 데이터 개체를 제거하는 메소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150)는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friends" 그룹 리스트에서 "user2" 항목을 삭제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한다(S103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1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면, 그에 응답하여 "friends"라는 그룹 리스트에 "user2"라는 새로운 항목을 4번째 위치로 추가할 것을 요청하는 추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150)로 전송한다(S105단계). 이때, 상기 추가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HTTP 메소드(GET, PUT, DELETE) 중 PUT 메소드를 이용하여 도 1의 예시와 같은 메시지 포맷으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상기 PUT 메소드는 요청 URI가 식별하는 개체를 요청 본문에서 제공된 XML 데이터로 업데이트하는 메소드를 나타낸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150)는 상기 추가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friends" 그룹 리스트에서 "user2" 항목을 요청 위치에 추가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100)로 전송한다(S107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는 201 Created 메시지일 수 있다.
상기 도 1을 참조하여 살펴본 바와 같이, 기존 XCAP 기술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 중 특정 정보에 대한 이동을 위해서는, 크게 2개의 처리(transaction) 과정을 수행한다. 첫 번째 처리 과정은 "friends"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 리스트의 하위에 있는 항목 중에서 2번째 항목을 삭제하기 위한 동작이고, 두 번째 처리 과정은 "friends"라는 이름을 가지는 그룹 리스트의 하위에 "user2"라는 새로운 항목을 리스트의 4번째 항목으로 추가하기 위한 동작이다.
즉, 현재 XCAP 기술에서는 하기의 <표 2>에서와 같이 기본적으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따라서 단순히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상기의 예시와 같이 번거로운 절차를 필요로 한다.
또한 전술한 기존 방식은 필요 이상으로 많은 네트워크 트래픽(network traffic)을 유발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2개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이 클라리언트(100)와 서버(150)간에 송수신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하나의 동작으로 처리하는 것에 비해 2배 정도의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전술한 기존 방식은 데이터의 안정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실제 원하는 것은 2번째 "user2" 항목을 4번째의 위치로 이동하는 것인데, 이를 상기 도 1과 같이 2개의 처리 과정으로 분리되어 처리될 시, 첫 번째 동작이 처리되고 두 번째 동작이 처리되는 사이 해당 항목이 삭제된 상태로 노출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XCAP 기술은 서버에 데이터를 저장하여 다양한 클라이언트에서 동시에 이를 이용하는 것을 가정한다. 따라서 "user2" 항목이 삭제된 상태에서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해당 데이터를 획득한다면, 원래의 사용자 설정 정보와는 다른 결과의 데이터를 획득하게 된다. 또한 클라이언트(100)와 서버(150) 간의 네트워크 문제 또는 서버(150) 자체의 문제로 인해 두 번째 동작이 정상적으로 처리되지 못할 경우, 원치 않는 형태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유지하게 될 수도 있다.
또한 전술한 문제를 회피하기 위해 사용자 설정 정보 전체를 수정하는 방식을 이용하게 되면, 하나의 동작으로 처리는 가능하나, 전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재전송해야 하므로 네트워크 트래픽 측면에서 매우 비효율적이 된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XCAP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보다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XCAP 활용 방안을 제안한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기존 XCAP 기술에서 지원하지 않는 이동(move) 명령을 정의하고, 이를 이용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요청을 하나의 동작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안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 명령은 기존 XCAP에 POST 메소드를 정의하여 활용할 수 있다. POST 메소드는 요청 본문에 포함된 XML 데이터를 요청 URI가 식별하는 요소의 자식 개체로 이동하는 메소드를 나타낸다. 즉, POST는 MOVE에 해당하는 명령어 체계를 나타낸다. 하지만, 본 발명의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가 POST 메소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기존에 활용하고 있는 PUT 메소드에 의한 처리 방식을 변경하거나, 또는 다른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를 새로이 정의하는 것으로도 가능하다. 하지만, 기존 시스템과의 호환성(backward compatibility) 제공을 위해 기존 HTTP 메소드에서 활용되는 POST 메소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존의 서버 및 클라이언트 구성을 그대로 유지하고 소프트웨어 수정만으로 적용이 가능하다. 하기 <표 2>는 XCAP에서 사용하는 HTTP 메소드와 그에 따른 동작을 개략적으로 정리한 것이다.
Figure 112008047515419-pat00002
이러한 본 발명의 POST 메소드를 활용하여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항목을 이동하는 예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CAP 동작을 활용한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도 2에서는 상기 <표 1>에서 "friends" 그룹의 2번째에 위치하는 "user2"의 항목을 4번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user2" 항목의 위치 이동 요청에 응답하여, "friends"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 리스트의 하위에 있는 "user2" 항목을 지정된 위치로 이동할 것을 요청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서버(300)로 전송한다(S201단계). 이때,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는 전술한 바와 같이 HTTP 메소드 중 POST 메소드를 이용하여 도 2의 예시와 같은 메소지 포맷으로 생성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 이동을 요청하기 위해, 도 2에 나타낸 예시와 같이 이동 요청을 위한 적절한 URI를 생성해야 한다. 상기 URI의 구조는 기존의 XCAP의 형태와 동일할 수 있으며, 해당 항목의 위치(position)와 속성(attribute) 항목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위치는 상기 도 2의 URI 구조에서 [@name="friends"]/entry[4]에 해당하는 것으로, 요청되는 항목이 이동할 위치가 지정된다. 상기 속성은 상기 도 2의 URI 구조에서 [@uri="user2"]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동이 요청된 해당 항목이 지정된다.
하지만, 본 발명의 URI 구조가 반드시 상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따라서 클라이언트(200)와 서버(300) 간에 미리 약속된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예시는 하기 <표 3>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이때, <표 3>에서 나타내는 그룹 리스트 및 항목의 위치 예제는 전술한 <표 1>를 참조로 하여 나타낸 것이다.
Figure 112008047515419-pat00003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라이언트(200)와 서버(300) 간에 미리 약속된 URI 구조에 의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공 가능하며, 특히, 상기 <표 3>의 예시에서 첫 번째 및 두 번째 예시와, 이에 대비되는 세 번째 및 네 번째 예시와 같이, "위치"와 "속성"을 지정하는 순서는 클라이언트(200)와 서버(300) 간의 정의에 의하여 그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기존의 사용자 설정 정보를 수정 없이 위치만 이동하고자 할 경우에는 바디(body) 없이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자 설정 정보에 수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수정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바디에 포함하여 전송할 수 있다. 이는 기존 XCAP의 PUT 메소드에서 반드시 바디를 요구했던 것에 비해, 단순한 위치 이동의 경우 바디(body)를 보내지 않음에 따라 네트워크 트래픽 절감에 더욱 효과적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300)는 후술하는 절차에 따라 해당 항목 즉, "user2" 항목을 해당 위치로 이동하고,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S203단계). 상기 응답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일 수 있다.
이때, 상기와 같이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상기 URI를 가진 POST 메소드를 수신한 서버(300)는, 수신한 URI에서 상기 속성(attribute)에 대응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해당 그룹 리스트에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즉, 상기 서버(300)는 "friends"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 리스트의 하위에 "user2"의 항목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만일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서버(300)는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속성(attribute)에 대응하여 지정된 위치로 이동한다. 이후, 상기 서버(300)는 상기 위치 이동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아울러, 상기 서버(300)는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요청 메시지에 바디(body)가 포함되어 있을 경우, 기존의 "user2" 항목을 삭제한 후 새로운 위치 즉, 4번째 위치에 상기 바디의 내용으로 하는 새로운 "user2" 항목을 추가할 수 있다.
반면,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버(300)는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지 않음을 알리는 에러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고 이동 요청에 대한 처리를 종료한다. 상기 에러 응답 메시지는 404 Not found 메시지일 수 있다. 이하, 상기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지 않는 경우와 같이 에러가 발생한 경우에 대한 처리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CAP 동작을 활용한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특히, 상기 도 3에서는 상기 <표 1>에서 "friends" 그룹의 2번째에 위치하는 "user2"의 항목을 4번째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user2" 항목의 위치 이동 요청에 따른 클라이언트(200)의 이동 요청 메시지 전송 동작(S301단계)은 상기 도 2의 S201단계에 대응한다. 따라서 S301단계의 동작에 대한 상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상기 클라언트(200)로부터 이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서버(300)는 수신한 이동 요청 메시지의 URI에서 이동 요청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300)는 "friends"라는 이름을 가진 그룹 리스트의 하위에 "user2"의 항목이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이때, 요청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버(300)는 요청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하고, 이동 요청에 대한 처리를 종료한다(S303단계).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 요청이 실패함을 인지하고, 설정된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도 3의 S305단계 내지 S311단계에서와 같이 기존 절차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을 위한 처리 과정을 재수행할 수 있다. 상기 S305단계 내지 S311단계는 전술한 도 1의 S101단계 내지 S107단계에 대응하므로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다른 예시로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시 설정된 횟수동안 본 발명의 이동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시로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시, 서버(300)에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인지하고, 이동 요청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바디(body)에 포함하여 바로 추가 요청 메시지를 전송할 수도 있다.
또한 이러한 동작 외에,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초기 이동 요청에 대한 동작이 실패할 시, 설정된 다른 방식들에 대응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요청 메시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명령을 위한 이동 요청 메시지는, 요청라인(410)과, 헤더라인(420)과, 엔티티바디(entity body)(43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구조는 본 발명의 일예일 뿐이며,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그 구현에 대응하여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요청라인(410)은 리소스(resource) 즉, 사용자 설정 정보의 제어를 위해 적용되어야 할 메소드를 나타내는 메소드 필드(411)와,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의 식별을 위한 URI 필드(413)와, 사용되는 프로토콜 버전 필드(415)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메소드로는 POST 메소드가 사용된다.
상기 헤더 라인(420)은 클라이언트(200)가 서버(300)로 요청 및 클라이언트(200) 자신에 관한 부가적인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헤더 필드를 나타낸다.
상기 엔티티바디(430)는 엔티티 헤더 필드(431)와 엔티티 바디 필드(433)를 포함한다. 엔티티 헤더 필드(431)는 엔티티 바디에 관한 메타정보 또는 엔티티 바디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요청에 의해 식별되는 리소스에 관한 메타정보를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엔티티 바디 필드(433)는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업데이트 시 변경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클라이언트(200)가 서버(300)에 등록된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시키려면, 서버(300)로 이동(move) 명령을 위한 메소드 및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의 URI을 이동 요청 메시지를 통해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상기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는 POST 메소드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URI는 전술한 <표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다양한 형태로 제공 가능하다.
그러면, 서버(300)는 상기 이동 명령 예를 들어, POST 메소드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을 처리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이동 명령은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를 위한 제어 정보를 포함한다. 그리고 URI는 이동하고자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가 이동될 위치 등의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이동 명령은 HTTP PUT 명령이나 HTTP POST 명령을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고, 또한, 이동 요청 메시지의 헤더(header) 또는 엔티티 바디(entity body)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적용되는 클라이언트(200)의 예시로는,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이동통신단말(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노트북컴퓨터 및 퍼스널컴퓨터 등과 같이 인터넷을 이용한 서비스를 지원하는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응하는 다양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이하, 본 발명의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구조를 하기 도 5를 참조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200)는 메시지 생성부(210)와, 응답 판단부(2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300)는 리소스 검색부(310)와, 바디 검색부(330)와, 리소스 처리부(350)와, 메시지 생성부(3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클라이언트(200)와 서버(300)는 유선방식 또는 무선방식 중 적어도 하나의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구성 및 각 구성에 대응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210)는 사용자의 제어 명령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의 제어를 위한 해당 제어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제어 메시지는 본 발명의 이동 요청 메시지를 비롯하여, 삭제 요청 메시지와, 추가 요청 메시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메시지 생성부(210)는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 생성 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을 위한 명령으로 POST 메소드를 이용하여 상기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메시지 생성부(210)는 상기 응답 판단부(230)에서 판단하는 수신 응답 메시지의 판단결과에 대응하여 사용자 설정 정보의 삭제를 위한 명령으로 DELETE 메소드를 이용하여 상기 삭제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고, 사용자 설정 정보의 추가를 위한 명령으로 PUT 메소드를 이용하여 상기 추가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응답 판단부(230)는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전송한 특정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특정 응답 메시지가 해당 서버(300)로부터 수신될 시 해당 응답 메시지를 분석한다. 특히, 상기 응답 판단부(230)는 상기 서버(300)의 응답 메시지가, 전송된 특정 요청 메시지에 대한 성공정보를 포함하는지 실패정보를 포함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서버(300)의 구성 및 각 구성에 대응하는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리소스 검색부(310)는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전달된 특정 요청 메시지가 지시하는 해당 리소스 즉,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특히, 상기 리소스 검색부(310)는 클라이언트(200)의 이동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이동 요청되는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상기 바디 검색부(330)는 클라이언트(200)의 이동 요청 메시지에 첨부된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 특히, 상기 바디 검색부(330)는 상기 이동 요청된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응하는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의 바디에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한다.
상기 리소스 처리부(350)는 클라이언트(200)의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해당 명령에 따라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제어(삭제, 이동, 추가 등)를 처리한다. 특히, 상기 리소스 처리부(350)는 이동 요청 메시지에서 지시되는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를 설정된 처리 방식에 따라 지정된 위치로의 이동을 처리한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370)는 클라이언트(200)의 요청에 대응하여 처리된 결과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특히, 상기 메시지 생성부(370)는 이동 요청된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지 않을 시 에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에러 응답 메시지는 404 Not Found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시지 생성부(370)는 이동 요청된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처리가 정상 완료될 시 성공 응답 메시지를 생성한다. 상기 성공 응답 메시지는 200 OK 메시지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메시지 생성부(370)는 상기 메시지 외에 상기 서버(300)의 처리 결과에 따른 다양한 응답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동작 설명에 필요한 상기 클라이언트(200) 및 서버(300)의 개략적인 구성 예를 도시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의 상기 클라이언트(200) 및 서버(300)가 반드시 상기한 구성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본 발명의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입력모듈, 표시모듈, 카메라모듈, 디지털방송수신모듈, 근거리통신모듈, 인터넷통신모듈 및 음악재생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상기 클라이언트(200)가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할 시, 상기 클라이언트(200)의 이동통신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한 통신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휴대단말은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블록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블록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서버(300)는 그 구현에 따라서 그 형태가 달라질 수 있다.
다음으로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처리를 위해 클라이언트(200)와 서버(300) 각각에서 수행하는 본 발명의 상세 동작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에서 기술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므로, 하기의 실시 예에 의거하여 다양한 실시 예들에 적용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를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의 요청에 응답하여 특정 서버(300)로 접속한다(601단계).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버(300)에 접속 시 사용자에 의해 요청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그룹 리스트)를 표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이 요청(603단계)될 시, 이에 응답하여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서버(300)로 전송한다(605단계). 이때,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는 요청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명령을 위한 POST 메소드를 이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서버(300)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를 분석한다(607단계). 즉,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상기 서버(300)로부터의 응답 메시지가 상기 이동 요청에 대한 성공정보를 포함하는지 실패정보를 포함하는지 분석할 수 있다(609단계). 예를 들면, 상기 응답 메시지가 200 OK 메시지이면 성공으로 판단하고, 상기 응답 메시지가 404 Not Found 메시지이면 실패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분석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성공이면(609단계),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사용자로부터 다음으로 요청되는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613단계). 예를 들면, 다른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사용자 설정 정보의 수정 또는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해당 동작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분석결과, 상기 응답 메시지가 실패이면(609단계), 상기 클라이언트(200)는 미리 설정된 방식에 따라 이동에 실패한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을 상기 서버(300)로 재요청할 수 있다(611단계).
이때, 상기 재요청은 전술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삭제 및 추가에 따른 시그널링을 통해 할 수도 있으며, 이동 요청 메시지를 재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실패 원인을 분석하여, 이동 요청 메시지에 오류가 있는 경우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를 수정하여 재전송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버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를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서버(300)는 특정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이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시(701단계),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를 통해 요청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는지 검색한다(703단계). 이때, 상기 서버(300)는 수신 메시지의 지시 메소드를 확인하여, POST 메소드일 시 상기 수신 메시지를 이동 요청 메시지로 인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수신 메시지의 헤더를 확인하여 지시 명령이 이동 명령인 경우 상기 수신 메시지를 이동 요청 메시지로 인지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의 URI 분석을 통해 이동 요청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position) 및 속성(attribute)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703단계의 검색결과,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의 엔티티바디에 사용자 설정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체크한다(705단계).
상기 705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엔티티바디에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버(300)는 검색한 상기 사용자 설정 정보를 지정된 해당 위치로 이동한다(707단계). 그리고 상기 서버(300)는 이동 요청된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711단계). 즉, 상기 서버(300)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이 성공하면 200 OK 메시지와 같은 성공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상기 705단계의 체크결과, 상기 엔티티바디에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면, 상기 서버(300)는 상기 엔티티바디의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로 기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update)한다(709단계).
이때, 상기 업데이트는 상기 서버(300)의 구현 방식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서버(300)는 기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삭제한 후 상기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지정된 해당 위치로 추가하는 방식으로 이동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버(300)는 기존 사용자 설정 정보에 상기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업데이트하고, 업데이트하는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를 해당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으로 이동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지정된 위치에 추가함과 동시에, 기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삭제하는 방식으로 이동 명령을 처리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버(300)는 이동 요청된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면, 그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711단계). 즉, 상기 서버(300)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이동이 성공하면 200 OK 메시지와 같은 성공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상기 703단계의 검색결과,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서버(300)는 이동 요청된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음을 알리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713단계). 즉, 상기 서버(300)는 사용자 설정 정보에 대한 검색이 실패하면 404 Not Found와 같은 에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로 전송한다.
이때, 상기 서버(300)는 상기 에러 응답 메시지에 대응하여 상기 클라이언트(200)로부터 수신되는 특정 메시지에 대응하여 다음 절차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설정 정보의 삭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해당 사용자 설정 정보를 삭제하고,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의 추가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여 지정된 위치에 상기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추가하는 등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서버(300)에 저장된 XML 문서(사용자 설정 정보)는 다수의 클라이언트들이 제어할 수 있다. 이에 각 클라이언트들은 상기 서버(300) 내 XML 문서가 다른 클라이언트에 의해 변경되었음을 통지(notify) 받을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특정 XML 문서가 변경될 때마다 변경된 부분을 명시하여 각 클라이언트로 통보해 줄 수도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XCAP 동작을 활용한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항목을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CAP 동작을 활용한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하는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XCAP 동작을 활용한 리소스 리스트에서 특정 사용자 설정 정보를 이동하는 다른 예시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 요청 메시지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 및 서버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클라이언트에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를 위한 처리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9)

  1.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서버가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내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리스트 상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리스트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시된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서버가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처리하는 동작과,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응답 메시지를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method)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position)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속성(attribu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메소드는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에서 사용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OST 메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처리 동작은,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지 않으면, 에러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처리 동작은,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동작과,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의 바디를 체크하는 동작과,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에 업데이트하는 동작과,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삭제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추가하는 방식;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에 추가함과 동시에,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삭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7.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가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내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리스트 상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리스트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시된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동작과,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는,
    상기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method)와,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position)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속성(attribute)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메소드는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에서 사용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OST 메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10.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클라이언트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내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리스트 상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리스트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시된 이동 명령을 포함하는 이동 요청 메시지를 수신하는 동작과,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검색하는 과정과,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처리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처리 동작은,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의 바디를 체크하는 동작과,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에 업데이트하는 동작과,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시,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업데이트하는 동작은,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삭제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추가하는 방식;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에 추가함과 동시에,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삭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13.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를 위한 서버에 있어서,
    사용자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내에서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리스트 상의 제1 위치에서 상기 리스트 상의 제2 위치로 이동하도록 지시된 이동 명령과,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위치(position)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속성(attribute)을 포함하여 생성된 이동 요청 메시지를 클라이언트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클라이언트의 상기 수신된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이동 처리하고,
    상기 이동 처리 결과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명령을 위한 메소드는 XCAP(XML Configuration Access Protocol)에서 사용되는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POST 메소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속성에 대응하는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검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리스트에서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에 의해 지시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가 검색되면, 상기 이동 요청 메시지의 바디를 체크하고,
    상기 바디에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가 존재할 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에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삭제한 후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추가하는 방식;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상기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로 업데이트하고, 상기 업데이트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로 이동하는 방식; 및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새로운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2 위치에 추가함과 동시에, 상기 검색된 상기 제1 사용자에 대한 사용자 설정 정보를 상기 제1 위치에서 삭제하는 방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으로 업데이트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서버.
  19. 삭제
KR1020080063433A 2008-07-01 2008-07-01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62785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33A KR101627855B1 (ko) 2008-07-01 2008-07-01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US12/431,964 US8521807B2 (en) 2008-07-01 2009-04-29 Method and system for controlling movement of user setting information registered in ser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63433A KR101627855B1 (ko) 2008-07-01 2008-07-01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01A KR20100003501A (ko) 2010-01-11
KR101627855B1 true KR101627855B1 (ko) 2016-06-07

Family

ID=413813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3433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7855B1 (ko) 2008-07-01 2008-07-01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21807B2 (ko)
KR (1) KR10162785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01002A1 (en) 2011-12-28 2013-07-04 Inte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th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settings
US9037926B2 (en) * 2012-06-07 2015-05-1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Background buffering of content updates
US9418167B2 (en) * 2012-10-10 2016-08-16 Ca, Inc. System and method for invoking web services from command-line program
US9553915B2 (en) * 2012-10-10 2017-01-24 Ca, Inc.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command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038A1 (en) 2004-04-14 2005-10-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rver-side management of buddy lists in presence based services provided by a communication system
WO2008041829A1 (en) 2006-10-03 200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 history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70162420A1 (en) * 2004-01-21 2007-07-1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echniques for automatically discovering a database device on a network
US20020129000A1 (en) * 2000-12-11 2002-09-12 Vikram Pillai XML file system
US7774711B2 (en) * 2001-09-28 2010-08-10 Aol Inc. Automatic categorization of entries in a contact list
US20040250205A1 (en) * 2003-05-23 2004-12-09 Conning James K. On-line photo album with customizable pages
JP2005004852A (ja) * 2003-06-11 2005-01-0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KR100542437B1 (ko) * 2004-03-22 2006-01-11 주식회사 케이티프리텔 원격 명령어 요청 단말 및 그 요청 방법과, 원격 명령어처리 장치 및 방법
SE0403133D0 (sv) * 2004-12-22 2004-12-22 Ericsson Telefon Ab L M A method and arrangement for providing communication group information to a client
US8117089B2 (en) * 2007-02-13 2012-02-14 Claudia Juliana Minsky System for segmentation by product category of product images within a shopping cart
US20090144068A1 (en) * 2007-11-30 2009-06-04 Utbk, Inc. Methods and Apparatuses to Provide Connections for Real Time Communication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35038A1 (en) 2004-04-14 2005-10-2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thod of and apparatus for server-side management of buddy lists in presence based services provided by a communication system
WO2008041829A1 (en) 2006-10-03 2008-04-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xml document management server hist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03501A (ko) 2010-01-11
US8521807B2 (en) 2013-08-27
US20090300431A1 (en) 2009-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4064B1 (ko) 사용자 선호도 프로파일을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220014583A1 (en) Sharing network addresses
EP1759513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to enable querying of resources in a certain context by defining a sip event package
JP5815569B2 (ja) メッセージングサービスとソーシャルネットワークサービス間の相互作用を介した連絡先提供装置及び方法
US9152942B2 (en) Using a group list server as a syndication feed server
US20070100836A1 (en) User interface for providing third party content as an RSS feed
US20020035617A1 (en) E-business mobility platform
KR20110122834A (ko) 네트워크-기반 주소록 시스템에서 다수의 연락처 정보 소스를 취합하는 시스템 및 방법
US20090070419A1 (en) Administering Feeds Of Presence Information Of One Or More Presentities
US9058399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resource identifier shortening service to computing devices
WO2011029025A1 (en) Methods and apparatus to subscribe for change notifications in a document management system
WO2007022675A1 (fr) Dispositif d’adresse de réseau de message court, système et procédé pour réaliser un service de message court à valeur ajoutée
CN102542010B (zh) 使用外部搜索系统来搜索链接的内容
KR101627855B1 (ko) 서버에 등록된 사용자 설정 정보의 이동 제어 방법 및시스템
US8019325B2 (en) Podcasting on a mobile phone
US9037656B2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interaction with multiple content provider websites
CN101344886B (zh) 提供媒体服务器的内容的设备、方法和系统
US20130091287A1 (en) System for contact subscription invitations in a cross-domain converged address book system
JP2007328552A (ja) Url情報提供システム
JP2010108007A (ja) Url管理装置及びurl管理システム
CN101291467A (zh) 一种多媒体消息中心设备、多媒体消息的转发方法及装置
KR101451998B1 (ko) 메신저 서비스 제공 방법
WO2009024099A1 (fr) Procédé servant à mettre en place des requêtes de répertoire de réseau et un serveur de requêtes de répertoire de réseau
KR20120094809A (ko) 리스트 조회를 이용한 프레즌스 관리 시스템 및 관리 방법
KR20090054740A (ko) 사용자 제작 컨텐츠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7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7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70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82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082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50312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20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Decision date: 20151223

Appeal identifier: 2015101001374

Request date: 20150312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03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312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410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30701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B0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0312

Effective date: 20151223

PJ1301 Trial decision

Patent event code: PJ13011S01D

Patent event date: 20151223

Comment text: Trial Decision on Objection to Decision on Refusal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 date: 20150312

Decision date: 20151223

Appeal identifier: 2015101001374

PS0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PS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mand of revo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01

Patent event code: PS07012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9

Patent event code: PS07011S01I

Comment text: Notice of Trial Decision (Remand of Revo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