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7460B1 -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 Google Patents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7460B1
KR101627460B1 KR1020150046727A KR20150046727A KR101627460B1 KR 101627460 B1 KR101627460 B1 KR 101627460B1 KR 1020150046727 A KR1020150046727 A KR 1020150046727A KR 20150046727 A KR20150046727 A KR 20150046727A KR 101627460 B1 KR101627460 B1 KR 1016274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agnet
portable terminal
charging
cas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6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영철
Original Assignee
임영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영철 filed Critical 임영철
Priority to KR1020150046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74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74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746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02J7/0003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충전 거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충전부 및 상기 충전부와 자석으로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크래들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마련되는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부착 가능한 충전부가 제공되어 제품 생산 라인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또한 충전부(110)가 자석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고, 충전 중에도 휴대단말기 화면의 가로 내지 세로로 회전 가능한 크래들(130)이 제공됨으로써,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회전 각도는 내장된 자석에 의해 휴대단말기 화면의 세로 방향 내지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Description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Rotatable charging system for portable device}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거치 및 충전 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충전용 유닛을 부착하여 전용거치대에 거치하여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범용 가능하고, 자석에 의해 거치됨으로써 화면 각도 전환이 용이한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나 휴대폰과 같은 개인 휴대 단말을 차량 내의 데시보드나 전면 유리창에 부착하거나 거치하여 사용자가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거치기구에 관한 기술들이 다수 개시되어 있다.
일례로 국내 등록 특허 제10-1250267호(공개일자 : 2013. 03. 06)는 차량에서 사용하는 무접점충전기에 관한 것으로, 차량의 전면패널에 고정되는 고정판(10)과 결합되어 일정한 높이까지 돌출되게 올라선 지지바(20), 상기 지지바(20)의 끝단에 고정되는 지지패널(30), 상기 지지패널(30)에 상응하는 크기로 밀착되는 충전패드(=1차기기;100) 및 상기 1차기기(100)인 충전패드에 전력이 공급되면, 휴대단말기(301)의 케이스(A)에 내장되어 휴대단말기(301)의 젠더연결부(310)를 통해 배터리(300)와 통전되는 2차기기(Gender; 200); 및 휴대단말기(301)의 전면을 제외한 배면과 측면을 외부에서 감싸도록 하되, 상부 케이스(210b)와 하부 케이스(210a)가 서로 맞물려 상기 휴대단말기(301)를 커버하는 단말기케이스(A);를 포함하며 이루어진 차량용 휴대폰거치대를 제공한다.
상기 인용기술은 휴대단말기를 수납하는 단말기케이스 및 단말기케이스를 거치하여 충전하도록 마련되는 충전패드로 이루어지고, 단말기케이스와 충전패드 간에 유도전류에 의해 단말기의 충전이 이뤄지도록 하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인용기술은 휴대단말기를 수용하기 위한 전용 케이스를 이용함에 따라 휴대단말기의 기종이 변경될 경우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단말기케이스를 체결하여 지지하기 위한 지지패녈의 구성이 복잡하여 단말기의 거치가 불편하고 미관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형태와 크기 등에 상관없이 적용 가능하고, 별도의 동작 없이 자석에 의해 안정적으로 탈착이 가능하며, 충전 중에 화면의 가로 세로 전환이 자유로운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들은 이하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충전부(110); 및 상기 충전부(110)와 자석으로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크래들(130)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으로서, 상기 충전부(110)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부착면케이싱(111b); 상기 부착면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고, 상기 원형단자가 노출되도록 중앙부에 단자공(o)이 형성되는 후면케이싱(111a); 상기 부착면케이싱(111b)과 상기 후면케이싱(111a)이 접합되는 모서리면을 따라 형성되고, 충전케이블(116)이 수납되도록 홈 형상으로 마련되는 케이블수납홈(s); 일측면에 마련되는 원형단자(113a)가 상기 단자공(o) 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면케이싱(111a)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충전케이블(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113); 및 상기 단자공(o)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싱(111a) 내에 설치되는 자석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130)은, 일측에 상기 원형단자(1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10a)가 돌출되는 헤드부(130a); 상기 크래들(130)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저면에 흡착판(138c)이 구비되는 흡착판부(138); 상기 헤드부(130a)와 상기 흡착판부(138)를 결합시키고, 그 결합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볼조인트부(130b); 및 상기 자석부(114)의 자성에 의해 접합되도록 상기 접점부(10a) 주변에 매립되는 자성결합판(30)이 구비되는 것을 포함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여기에서 상기 충전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상기 부착면케이싱(111b)의 전면이 접착제,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접합된 상태로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자석부(114)는, 상기 기판부(113)와 상기 후면케이싱(111a)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단자(113a)가 상기 단자공(o) 측으로 노출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자석부(114a); 및 상기 제 1 자석부(114a)의 둘레에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자석부(114a)의 중심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4개가 배치되는 제 2 자석부(114b)를 포함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한편 상기 후면케이싱(111a)은, 상기 단자공(o)이 함몰된 형상의 원형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130a)는, 상기 접점부(10a)가 상기 단자공(o)에 계합되도록 하는 원형의 돌출 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헤드부(130a)는,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후면케이싱(111a)이 면접촉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접점부(10a)가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전면하우징(10); 상기 전면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접점부기판(50) 및 상기 자성결합판(30)이 수납되고, 저면 일측에 USB접속구(20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 상기 볼조인트부(137)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후면하우징(60)을 포함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자성결합판(30)은, 상기 충전부(110)가 상기 헤드부(130a)에 접합되었을 시 상기 제 1 자석부(114a)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자석부(114a)와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 1 자성결합판(30a); 및 상기 제 2 자석부(114b)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되는 제 2 자성결합판(30b)를 포함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에 의하면,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마련되는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부착 가능한 충전부가 제공되어 제품 생산 라인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또한 충전부(110)가 자석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고, 충전 중에도 휴대단말기 화면의 가로 내지 세로로 회전 가능한 크래들(130)이 제공됨으로써,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회전 각도는 내장된 자석에 의해 휴대단말기 화면의 세로 방향 내지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중 충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중 충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중 크래들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저면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식으로 이해 되어야 하고,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중 충전부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배면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1,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충전부(110) 및 크래들(130)로 구성될 수 있다.
충전부(110)는 휴대단말기(미도시함)의 후면에 부착되고, 충전부(110)의 측면에 형성되는 케이블수납홈(s) 내에 권선되어 있는 충전케이블(116)을 펼쳐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미도시)에 연결함으로써 휴대단말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케이블수납홈(s)은 충전부(110)의 측면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충전케이블(116)이 충전부(110)의 측면을 따라 권선되는 형상으로 수납되도록 할 수 있다. 충전케이블(116)의 일단에는 충전용젠더부(116a)가 구비되어 케이블수납홈(s)이 끝나는 위치에서 충전부(110) 일측에 끼워지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충전부(110) 일측에는 충전용젠더부(116a)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하는 젠더수납구가 더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충전케이블(116)은 휴대단말기를 휴대할 시에는 케이블수납홈(s)에 권선되어 수납된 상태로 보관되고, 충전이 필요할 시에는 펼쳐져서 휴대단말기의 일측에 마련되는 충전단자에 끼워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충전부(110)는 납작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 외에도 원형, 다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충전부(110)의 부착면케이싱(111b)은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접착제 또는 접착테이프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접합됨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부착면케이싱(111b)은 휴대단말기 후면과 같이 평면으로 형성되며, 제품화되었을 시에는 양면접착테이프가 부착되어 휴대단말기에 부착될 수 있도록 준비될 수 있다.
부착면케이싱(111b)의 배면에는 후면케이싱(111a)이 결합되어 충전부(110) 내부를 형성한다. 충전부(110)의 내부에는 크래들(1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기 위한 원형단자(113a), 기판부(113) 및 자석부(114)가 내장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원형단자(113a)는 기판부(113)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후면케이싱(111a) 중앙부에 형성되는 단자공(o)으로 노출되도록 마련된다. 이때 단자공(o)은 후면케이싱(111a)의 외측 표면으로부터 함몰된 형상의 원형 홈부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기판부(113)는 충전케이블(116)과 연결됨으로써 충전케이블(116)이 휴대단말기의 충전단자에 결합되었을 시 원형단자(113a)를 통해 휴대단말기가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는 상태가 되도록 한다.
후면케이싱(111a)의 외측면은 평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크래들(130)의 전면하우징(10)에 면접촉된다. 이때 후면케이싱(111a) 내측면에 고정되는 자석부(114)와 크래들(130)의 헤드부(130a) 내에 설치되는 자성결합판(30)에 의해 충전부(110)가 헤드부(130a)에 견인되어 결합됨으로써 휴대단말기가 크래들(130) 상에 거치될 수 있다.
한편 전면하우징(10)의 중앙부에 구비되는 접점부(10a)는 원형 홈부로 형성되는 단자공(o)에 계합될 수 있도록 원형으로 돌출된 단부로 형성된다. 충전부(110)와 크래들(13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자석부(114)와 자성결합판(30) 간의 인력에 의해 상호 견인될 수 있으나, 휴대단말기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서 접점부(10a)와 단자공(o) 간의 물리적인 결합구조가 마련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접점부(10a)와 단자공(o)은 각각 원형의 돌출 단부와 홈부로 형성됨으로써, 충전부(110)가 전면하우징(10)에 부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으며, 회전 시에도 원형단자(113a)와 접점부(10a) 간의 전기적 접촉이 유지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자석부(114)는 제 1 자석부(114a)와 제 2 자석부(114b)로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휴대단말기가 부착된 충전부(110)는 전면하우징(10) 상에서 전기적 접촉 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될 수 있는데, 이때 휴대단말기의 회전각도는 세로 내지 가로 방향에 따라 90° 주기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원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제 1 자석부(114a)를 4분할하는 가상의 선 상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제 2 자석부(114b)가 마련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크래들(130)의 헤드부(130a) 내에는 제 2 자석부(114b)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제 2 자성결합판(30b)이 내장됨으로써, 충전부(110)가 회전하여 제 2 자석부(114b)가 제 2 자성결합판(30b)에 합치되는 위치에 도달할 시 상호 견인되도록 하여 충전부(110)의 회전 각도가 제한되도록 할 수 있다.
헤드부(130a)는 전면하우징(10)과 후면하우징(60), 자성결합판(30), 접촉단자(40) 및 기판부(50)로 구성될 수 있다.
전면하우징(10)은 평판형의 일측면을 가짐으로써 충전부(110)의 후면케이싱(111a)이 면접촉할 수 있도록 마련되고, 중앙부에 접점부(10a)가 구비된다. 전면하우징(10)의 전면에는 보호필름층(10b)이 덧붙여질 수 있다. 보호필름층(10b)은 전면하우징(10)과 후면케이싱(111a)이 회전에 의한 상호 마찰로 마모되거나 흠집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다양한 디자인 문양 등을 인쇄할 수 있다.
전면하우징(10)의 타측면에는 자성결합판(30)이 수납된다. 자성결합판(30)은 원판 형상의 철편으로 마련되는 제 1 자성결합판(30a)과 제 2 자성결합판(30b)로 이루어진다. 제 2 자성결합판(30b)는 제 1 자성결합판(30a)을 4분할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는 4개의 철편으로 마련된다. 이와 같이 배치됨으로써 제 2 자성결합판(30b)의 위치는 전술한 제 2 자석부(114b)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한편 전면하우징(10) 및 제 1 자성결합판(30a)의 중앙부에는 동공(r)이 형성되어 접촉단자(40)가 전면하우징(10)의 중앙에 형성되는 접점부(10a)를 통해 전면하우징(10) 외측면으로 노출되도록 한다. 접촉단자(40)는 기판부(50)에 연결되고, 기판부(50)가 후면하우징(60)에 고정되어 후면하우징(60)과 전면하우징(10)이 결합됨에 따라 접점부(10a)를 관통하여 일측이 전면하우징(10)의 외부로 노출되게 된다.
접촉단자(40)는 포고핀이나 스프링핀으로 마련되어 충전부(110)가 전면하우징(10)에 부착될 시 원형단자(113a)와 접촉될 수 있다.
기판부(50)는 일측에 접촉단자(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타측에 USB 포트(미도시)가 마련되어 상기 USB 포트가 전면하우징(10)의 저면 일측에 형성되는 USB 접속구(20a)를 통해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기판부(50)는 원형자석(30a)과 함께 전면하우징(10)의 뒷면에 고정된다.
도 6을 참조하면, 헤드부(130a)의 저면 일측에 USB 접속구(20a)가 마련되어 USB 케이블을 헤드부(130a) 내의 기판부(50)에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으며, 기판부(50), 접촉단자(40) 및 원형단자(113a)를 통해 휴대단말기에 전력 내지 데이터가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볼조인트부(130b)는 일단이 헤드부(130b)의 저면에 결합되고, 타단이 흡착판부(138)와 볼조인트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흡착판부(138)의 상단에 볼이 형성되고, 볼조인트부(130b)의 타단에 홀더가 형성되어 볼이 홀더에 끼워지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홀더는 상기 볼이 일측으로부터 끼워져 체결될 수 있도록 탄성력 있는 다수의 암(arm)으로 둘러싸인 홀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볼이 상기 홀더에 체결되면, 홀더를 원통형으로 감싸도록 마련되는 조임너트를 조여 상기 볼과 홀더의 결합력을 조절할 수 있다. 조임너트는 내측면이 홀더에 접하고, 볼조인트부(130b)의 일측과 나사결합에 의해 상기 홀더 내의 상기 암을 조이도록 하는 구베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임너트를 회전시킴으로써 헤드부(130b)가 자유롭게 움직이도록 하거나 특정 방향 및 각도로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흡착판부(138)는 저면에 구비되는 흡착판(138c)이 바닥면을 흡착할 수 있도록 흡착판(138c)을 구동시키는 구성을 내측에 구비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일례로 흡착판(138c)은 연질의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고, 상면 중앙부에 돌기가 형성되어 레버(138b)의 일단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레버(138b)는 일측이 흡착판부(138)에 회전결합되고, 일단에 상기 흡착판(138c)의 상기 돌기에 결합됨으로써 지렛대와 같이 눌렀을 시 흡착판(138c)이 들어올려짐으로써 바닥면 등에 흡착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형태와 규격으로 마련되는 휴대단말기의 종류에 상관없이 부착 가능한 충전부(110)가 제공되어 제품 생산 라인의 단순화가 가능하다. 또한 충전부(110)가 자석결합되어 안착될 수 있고, 충전 중에도 휴대단말기 화면의 가로 내지 세로로 회전 가능한 크래들(130)이 제공됨으로써,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다. 회전 각도는 내장된 자석에 의해 휴대단말기 화면의 세로 방향 내지 가로 방향으로 고정되므로 안정적인 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 : 충전부 111a : 후면케이싱
111b : 부착면케이싱 113 : 기판부
113a : 원형단자 114 : 자석부
114a : 제 1 자석부 114b : 제 2 자석부
130 : 크래들 130a : 헤드부
130b : 볼조인트부 138 : 흡착판부

Claims (6)

  1.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는 충전부(110); 및
    상기 충전부(110)와 자석으로 결합되어 상기 휴대단말기를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크래들(130)을 포함하는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으로서,
    상기 충전부(110)는,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부착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부착면케이싱(111b);
    상기 부착면케이싱의 후면에 결합되고, 원형단자가 노출되도록 중앙부에 단자공(o)이 형성되는 후면케이싱(111a);
    상기 부착면케이싱(111b)과 상기 후면케이싱(111a)이 접합되는 모서리면을 따라 형성되고, 충전케이블(116)이 수납되도록 홈 형상으로 마련되는 케이블수납홈(s);
    일측면에 마련되는 원형단자(113a)가 상기 단자공(o) 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후면케이싱(111a) 내측에 고정되어 설치되고, 상기 충전케이블(116)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부(113); 및
    상기 단자공(o) 둘레에 위치하도록 상기 후면케이싱(111a) 내에 설치되는 자석부(114)를 포함하고,
    상기 크래들(130)은,
    일측에 상기 원형단자(113a)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점부(10a)가 돌출되는 헤드부(130a);
    상기 크래들(130)을 바닥면에 고정시키도록 저면에 흡착판(138c)이 구비되는 흡착판부(138);
    상기 헤드부(130a)와 상기 흡착판부(138)를 결합시키고, 그 결합각도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볼조인트부(130b); 및
    상기 자석부(114)의 자성에 의해 접합되도록 상기 접점부(10a) 주변에 매립되는 자성결합판(30)을 구비하고,
    상기 충전부(110)는,
    상기 휴대단말기의 후면에 상기 부착면케이싱(111b)의 전면이 접착제,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분리가능하게 접합된 상태로 결합되어 사용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자석부(114)는,
    상기 기판부(113)와 상기 후면케이싱(111a) 사이에 설치되고,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되어 상기 원형단자(113a)가 상기 단자공(o) 측으로 노출되도록 원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자석부(114a); 및
    상기 제 1 자석부(114a)의 둘레에 다수로 마련되고, 상기 제 1 자석부(114a)의 중심에 대해 직각을 이루도록 4개가 배치되는 제 2 자석부(114b)를 포함하고,
    상기 자성결합판(30)은,
    상기 충전부(110)가 상기 헤드부(130a)에 접합되었을 시 상기 제 1 자석부(114a)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제 1 자석부(114a)와 동일한 원판 형상으로 구비되는 제 1 자성결합판(30a); 및
    상기 제 2 자석부(114b)에 대응되는 위치에 다수로 구비되는 제 2 자성결합판(3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후면케이싱(111a)은,
    상기 단자공(o)이 함몰된 형상의 원형 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헤드부(130a)는,
    상기 접점부(10a)가 상기 단자공(o)에 계합되도록 하는 원형의 돌출 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부(130a)는,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후면케이싱(111a)이 면접촉되도록 평면으로 형성되고, 중앙부에 상기 접점부(10a)가 돌출되어 설치되도록 마련되는 전면하우징(10);
    상기 전면하우징의 후면에 결합되고, 내측에 접점부기판(50) 및 상기 자성결합판(30)이 수납되고, 저면 일측에 USB접속구(20a)가 형성되고, 저면 타측에 상기 볼조인트부(130b)가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후면하우징(60)을 포함하는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6. 삭제
KR1020150046727A 2015-04-02 2015-04-02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Expired - Fee Related KR1016274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727A KR101627460B1 (ko) 2015-04-02 2015-04-02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46727A KR101627460B1 (ko) 2015-04-02 2015-04-02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7460B1 true KR101627460B1 (ko) 2016-06-07

Family

ID=56193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672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7460B1 (ko) 2015-04-02 2015-04-02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746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393A (zh) * 2017-10-25 2018-03-30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停车系统
KR20190101828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384A (ko) * 2003-01-16 2003-02-07 유병섭 핸드폰용 배터리의 충전접속장치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KR101459991B1 (ko) * 2014-07-25 2014-11-07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JP2014236608A (ja) * 2013-06-04 2014-12-15 株式会社サンゴ 携帯機器用充電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11384A (ko) * 2003-01-16 2003-02-07 유병섭 핸드폰용 배터리의 충전접속장치
KR101204510B1 (ko) * 2012-07-09 2012-11-26 (주)에스피에스 모바일 단말기의 충전 장치
JP2014236608A (ja) * 2013-06-04 2014-12-15 株式会社サンゴ 携帯機器用充電器
KR101459991B1 (ko) * 2014-07-25 2014-11-07 임영철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59393A (zh) * 2017-10-25 2018-03-30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停车系统
CN107859393B (zh) * 2017-10-25 2023-12-29 广东怡丰智能车库有限公司 停车系统
KR20190101828A (ko) * 2018-02-23 2019-09-02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KR102455737B1 (ko) * 2018-02-23 2022-10-19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거치 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1547B1 (ko) 차량용 휴대폰 충전거치대
US20170214260A1 (en) Set for holding and charging mobile device
CN210868092U (zh) 充电盒体及耳机充电系统
KR101718729B1 (ko) 휴대폰 거치 및 충전 구조
US9787129B2 (en) System for displaying products
CN106331930A (zh) 一种无线耳机的充电盒和适配该充电盒的无线耳机
JP2011242879A (ja) 接続装置
CN104080653A (zh) 磁性装置安装件
KR20150097073A (ko) 차량용 스마트폰 거치대
US20200076243A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stabilizing wireless charging performance
KR101459991B1 (ko)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케이스 및 크래들
US11537029B2 (en) Gimbal handle and gimbal having same
KR101627460B1 (ko) 회전형 휴대단말기 충전시스템
CN110881154A (zh) 一种耳机充电盒
TWM380526U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a rotary signal transmission interface
WO2019014986A1 (zh) 电子设备保护壳组件
CN205326962U (zh) 显示装置以及显示系统
CN203618046U (zh) 一种手机投影仪及手机
KR101585411B1 (ko) 휴대용 전자기기 거치장치
JP2020013375A (ja) 電子機器
CN118764763A (zh) 耳机盒及耳机盒组件
CN212909636U (zh) 带支撑功能的保护壳
CN210670511U (zh) 一种耳机充电盒
CN209373235U (zh) 驱动装置、照相装置及电子设备
WO2016064025A1 (ko) 회전식 접점부를 구비하는 휴대폰 크래들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0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3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5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3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