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7050B1 -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7050B1 KR101627050B1 KR1020140170362A KR20140170362A KR101627050B1 KR 101627050 B1 KR101627050 B1 KR 101627050B1 KR 1020140170362 A KR1020140170362 A KR 1020140170362A KR 20140170362 A KR20140170362 A KR 20140170362A KR 101627050 B1 KR101627050 B1 KR 1016270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bstrate
- microstructure
- microstructures
- nanomaterial
- main surfac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003—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for feeding conductors or cabl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Application Of Or Painting With Fluid Material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 내지 도 2f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금속 나노 와이어 기판 및 그 제조 방법의 변형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의 SEM 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의 투과도를 설명하기 위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의 표면 조도를 설명하기 위한 원자힘 현미경 측정 사진이다.
110: 이형층
120: 금속 나노 와이어들
122: 나노 재료
130: 베이스 용액
132: 베이스 기판
140: 전도성 박막
MS: 메인 면
MS 1, MS 2, MS 3: 메인 면의 제1 내지 제3 부분
EP: 노출부
DP: 함몰부
Claims (14)
- 메인 면에 미세 구조체들이 배열된 기판으로서,
상기 메인 면은 상기 기판의 구성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부분, 상기 미세 구조체들로 이루어진 제2 부분 및 나노 재료로 구성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미세 구조체의 형성 과정에서 생성된 공극에 상기 기판의 구성 물질이 채워진 부분이며,
상기 미세 구조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면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의 반대 면과 상기 제1 부분 사이로 연장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재료는, 그래핀 플레이크, 단일벽 CNT, 이중벽 CNT, 다중벽 CNT, C60, C85, 및 C7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이고,
상기 나노 재료는, 상기 나노 재료가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들의 접합 및 분산도를 향상시키며,
상기 메인 면 상에는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박막이 더 위치하여 상기 메인 면 상부를 평탄화하고,
상기 전도성 박막은, 상기 공극을 채우는 상기 기판의 구성 물질과 함께 상기 미세 구조체의 표면 거칠기를 감소시켜, 상기 전도성 박막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기장 불균일 또는 양극과 음극 전극의 단락을 예방하는, 기판.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세 구조체들은, 상기 반대 면보다 상대적으로 상기 메인 면에 더 가깝게 위치하는, 기판.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극은, 상기 미세 구조체들 사이, 상기 미세 구조체와 이형층 사이 및 상기 미세 구조체와 보조 기판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된, 기판.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면은, 상기 공극이 상기 기판의 구성 물질로 채워짐으로 인해 평탄화된, 기판.
- 삭제
- 삭제
- 삭제
- 보조 기판의 상부면 상에 나노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보조 기판의 상부면 상에 미세 구조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미세 구조체 상에 베이스 용액(base solution)을 코팅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용액을 열처리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를 덮는 기판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기판으로부터 상기 보조 기판을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기판의 메인 면 상부를 평탄화하기 위해, 상기 기판의 메인 면 상에 전도성 고분자를 포함하는 전도성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 용액을 코팅하는 단계는, 상기 베이스 용액으로 상기 미세 구조체들 사이 및 상기 미세 구조체와 상기 보조 기판 사이 중 어느 하나 이상에서 발생된 공극을 채우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 기판이 제거된 상기 기판의 메인 면은 상기 베이스 용액이 경화된 물질로 이루어진 제1 부분, 상기 미세 구조체들로 이루어진 제2 부분 및 상기 나노 재료로 구성된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미세 구조체들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메인 면에 대향하는 상기 기판의 반대 면과 상기 제1 부분 사이로 연장하는 부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노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는,
그래핀 플레이크, 단일벽 CNT, 이중벽 CNT, 다중벽 CNT, C60, C85, 및 C70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으로 상기 나노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이고,
상기 나노 재료는, 상기 나노 재료가 포함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상기 미세 구조체들의 접합 및 분산도를 향상시키며,
상기 전도성 박막은, 상기 공극을 채우는 상기 기판의 구성 물질과 함께 상기 미세 구조체의 표면 거칠기를 감소시켜, 상기 전도성 박막 상에 위치하는 유기 발광 소자의 내부 전기장 불균일 또는 양극과 음극 전극의 단락을 예방하는,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기판이 분리된 후 상기 기판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 삭제
- 삭제
- 삭제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재료를 형성하는 단계는,
PEDOT:PSS 및 PVP 중에서 적어도 어느 하나 이상의 전도성 유기물과 함께 상기 나노 재료을 상기 보조 기판 상에 형성하는 단계인,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의 제조 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PCT/KR2014/011989 WO2015088208A1 (ko) | 2013-12-10 | 2014-12-08 |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 그 제조 방법, 미세 구조체의 정제 방법, 미세 구조체 네트워크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장치 |
US15/102,831 US10166571B2 (en) | 2013-12-10 | 2014-12-08 | Refining method for microstructure |
US16/200,430 US11141890B2 (en) | 2013-12-10 | 2018-11-26 | Substrate including nano/micro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method for refining nano/micro structure,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micro structure network, and manufacturing apparatus theref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30152954 | 2013-12-10 | ||
KR1020130152954 | 2013-12-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293A KR20150068293A (ko) | 2015-06-19 |
KR101627050B1 true KR101627050B1 (ko) | 2016-06-03 |
Family
ID=535158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70362A Active KR101627050B1 (ko) | 2013-12-10 | 2014-12-02 |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7050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00019B1 (ko) * | 2016-05-19 | 2023-11-08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그래핀-그래핀 융합체의 제조방법 및 상기 그래핀-그래핀 융합체를 이용한 그래핀-기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46011A1 (ja) * | 2009-10-14 | 2011-04-21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バリア性透明導電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バリア性透明導電フィルムを用いた有機el素子及び有機太陽電池 |
KR101161301B1 (ko) * | 2012-05-21 | 2012-07-04 | 한국기계연구원 | 플라즈마를 이용한 금속 배선이 함몰된 유연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유연 기판 |
KR101470752B1 (ko) * | 2013-08-09 | 2014-12-0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은 나노와이어가 매립된 고품위 유연 투명 전극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품위 유연 투명 전극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35683B1 (ko) | 2011-10-06 | 2013-12-03 | 한국전기연구원 | 2차원 나노소재에 의해 전도성이 향상된 1차원 전도성 나노소재기반 전도성 필름 |
KR101375308B1 (ko) * | 2012-04-19 | 2014-03-18 | 주식회사 나노캐스트테크 | 그래핀-그래핀 융합체의 제조 방법 및 상기 그래핀-그래핀 융합체를 이용한 그래핀-기질 복합체의 제조 방법 |
-
2014
- 2014-12-02 KR KR1020140170362A patent/KR101627050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1046011A1 (ja) * | 2009-10-14 | 2011-04-21 |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 バリア性透明導電フィルムとその製造方法、及び該バリア性透明導電フィルムを用いた有機el素子及び有機太陽電池 |
KR101161301B1 (ko) * | 2012-05-21 | 2012-07-04 | 한국기계연구원 | 플라즈마를 이용한 금속 배선이 함몰된 유연 기판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되는 유연 기판 |
KR101470752B1 (ko) * | 2013-08-09 | 2014-12-08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은 나노와이어가 매립된 고품위 유연 투명 전극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고품위 유연 투명 전극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68293A (ko) | 2015-06-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McCoul et al. | Recent advances in stretchable and transparent electronic materials | |
Zhang et al. | Rosin-enabled ultraclean and damage-free transfer of graphene for large-area flexible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 |
Lee et al. | Flexible and stretchable optoelectronic devices using silver nanowires and graphene | |
JP5694427B2 (ja) | 透明電極及びこれを含む電子材料 | |
Kim et al. | Stretchable and transparent electrodes based on in-plane structures | |
Lee et al. | Moving beyond flexible to stretchable conductive electrodes using metal nanowires and graphenes | |
US20180277787A1 (en) | Thermally stable silver nanowire transparent electrode | |
US8076583B2 (en) | Light-transmitting electric conductor,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destaticizing sheet, and electronic device | |
JP5679565B2 (ja) | 透明導電膜、透明導電膜付き基材、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 |
US20090129004A1 (en) | Electrically conducting and optically transparent nanowire networks | |
Kwon et al. | Highly conductive and transparent Ag honeycomb mesh fabricated using a monolayer of polystyrene spheres | |
US9123914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 |
KR101521694B1 (ko) | 플렉서블/스트레처블 투명도전성 필름 및 그 제조방법 | |
CN105324820A (zh) | 导电膜和包括导电膜的触摸板 | |
Kim et al. | Highly deformable transparent Au film electrodes and their uses in deformable displays | |
KR20170081575A (ko) | 도전체,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소자 | |
Nie et al. | High-performance transparent and conductive films with fully enclosed metal mesh | |
WO2015033868A1 (ja) | 熱電変換素子 | |
TW201535704A (zh) | 包含金屬奈米結構複合層之串聯式有機光伏打裝置 | |
KR101627050B1 (ko) | 미세 구조체를 갖는 기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459020B1 (ko) | 나노 구조를 이용한 소수성-친수성 복합 패턴 구조체 | |
KR101442458B1 (ko) | 투명 전극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재료 | |
KR101627799B1 (ko) | 메쉬 구조 기반의 투명 전극 및 인쇄 공정을 이용한 상기 투명 전극의 제조 방법 | |
KR101816341B1 (ko) | 투명 전극 필름의 제조방법 및 투명 전극 필름 | |
Oh et al. | Fabrication of high-performance graphene nanoplatelet-based transparent electrodes via self-interlayer-exfoliation contro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90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26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2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1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1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415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