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5371B1 -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 Google Patents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371B1
KR101625371B1 KR1020140055485A KR20140055485A KR101625371B1 KR 101625371 B1 KR101625371 B1 KR 101625371B1 KR 1020140055485 A KR1020140055485 A KR 1020140055485A KR 20140055485 A KR20140055485 A KR 20140055485A KR 101625371 B1 KR101625371 B1 KR 1016253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ff
insertion tube
skin tissue
air
cannul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312A (ko
Inventor
전인호
아셰이케콥퍼
아디크리쉬나 아놀드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아산사회복지재단
Priority to KR10201400554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3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3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3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3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3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34Trocars; Puncturing needles
    • A61B17/3417Details of tips or shafts, e.g. grooves, expandable, bendable; Multiple coaxial sliding cannulas, e.g. for dilating
    • A61B17/3421Cannul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0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holding wounds open, e.g. retractors; Tra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1/00Devices for introducing or retaining media, e.g. remedies, in cavities of the bod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조직을 관통하는 삽입관의 전단부에 팽창 및 수축이 상하좌우로 가능한 커프가 결합되어 수술 시 의료진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고, 캐뉼러 본체를 연질로 형성하여 피부조직에 삽입 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의 진행을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조직에 삽입되되, 연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스레드가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피부조직의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관; 상기 스레드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부조직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관을 고정하는 디스크;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피부조직의 안측면과 접하는 커프; 상기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를 부풀림으로써 피부조직과 뼈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커프와 연결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커프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커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커프와 연결되는 공기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Cannula for arthroscopic}
본 발명은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피부조직을 관통하는 삽입관의 전단부에 팽창 및 수축이 상하좌우로 가능한 커프가 결합되어 수술 시 의료진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고, 캐뉼러 본체를 연질로 형성하여 피부조직에 삽입 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의 진행을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료용 캐뉼러(cannula)는 작은 튜브 또는 삽입관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피부를 절개하고 인체 내부로 삽입 고정하면, 상기 삽입된 캐뉼러에 의해 절개부를 확보하도록 하고, 그 상태에서 캐뉼러에 관통 형성되어 있는 인입공을 통해 각종 시술 도구를 삽입하여 필요한 의료 시술을 할 수 있게 한다.
즉, 캐뉼러는 어깨의 회전근개(rotator cuff) 수술이나, 습관성 탈구(Bankart Repair), 이두박근의 장두 파열(Long head of Biceps Tendon) 등의 수술이나, 또는 무릎뼈, 반월상 연골, 십자인대 수술 등의 관절 내시경하의 다양한 의료 시술시 피부의 절개된 상태를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캐뉼러는 내부에 상기 인입공이 관통 형성되어 있는 관 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일단에 구비된 외측 지지판 및 상기 몸체의 타단에 구비된 내측 지지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종래의 캐뉼러의 경우 비교적 딱딱한 경질로 형성되어 있어 수술 부위 외에 다른 피부조직을 손상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수술 시 피부조직이 절개로 인해 붓기 때문에 캐뉼러와 뼈가 접하게 되므로 의료진의 원활한 시야확보가 용이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 때문에 시술 부위와 피부 사이의 거리를 미리 측정해야 하므로 시술 시간이 늘어남은 물론 시술이 어려워지고, 측정이 잘못되면 다른 캐뉼러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피부 절개부가 확장되어 환자의 안정에 더욱 오랜 시간이 걸리게 되고 흉터도 크게 남는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10-1090665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그 목적은 피부조직을 관통하는 삽입관의 전단부에 팽창 및 수축이 상하좌우로 가능한 커프가 결합되어 수술 시 의료진의 시야 확보가 용이하도록 하고, 캐뉼러를 실리콘과 같은 연질로 형성하여 피부조직에 삽입 시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의 진행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부위의 조직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인체의 피부조직에 삽입되되, 연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스레드가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피부조직의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이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관; 상기 스레드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부조직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관을 고정하는 디스크;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피부조직의 안측면과 접하는 커프; 상기 커프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를 부풀림으로써 피부조직과 뼈 사이를 이격시키도록 커프와 연결되는 공기주입부; 및 상기 커프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커프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커프와 연결되는 공기압 조절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프는, 상기 지지판의 후단에 결합되되, 그 형상이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프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었을 시 상하좌우로 팽창되어 피부조직과 뼈가 이격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조절부는,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커프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의 외측부로 인출되며, 외측부 중간부에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관에는, 그 후단부에 수술 시 주입되는 물 또는 수술 중 발생되는 혈액 또는 약품을 피부조직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액관을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액관은,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커프 내부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의 외측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수술 시 역류하는 혈액 및 액체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외측부 중간부에 흡입밸브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삽입관의 전단부의 커프와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삽입관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커프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에 의하면, 첫째, 피부조직을 관통하는 삽입관의 전단부에 팽창 및 수축이 상하좌우로 가능한 커프가 결합되어 수술 시야가 개선되어 수술시간의 단축 및 수술이 용이해지는 효과가 있다.
둘째, 삽입관의 표면에 나사산 형상의 스레드를 형성하여 피부조직에 삽입관을 삽입할 시 회전에 의해 쉽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하여 수술 진행이 편리해지는 효과가 있다.
셋째, 상기한 커프의 공기압을 조절하는 공기압 조절부 및 수술 시 주입되는 물 및 수술 시 발생되는 혈액 및 액체약품을 흡입하여 외부로 쉽게 배출해 낼 수 있기 때문에 수술시간의 단축 및 수술환경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가 피부조직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도로서 커프의 팽창에 의해 피부조직이 뼈에서 멀어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 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의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가 피부조직에 삽입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작동상태도로서 커프의 팽창에 의해 피부조직이 뼈에서 멀어진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는, 크게 삽입관(110), 디스크(120), 커프(130), 공기주입부(140) 및 공기압 조절부(150)로 구성되는 캐뉼러 본체(100)로 구성된다.
상기한 각 구성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삽입관(110)은, 인체의 피부조직(200)에 삽입되되, 연질로 형성되고, 중심부에 중공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삽입관(110)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으로 형성되어 자유자재로 휘어질 수 있도록 하여 관절이 있는 인체의 어느 부위에라도 삽입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피부조직에 상기 삽입관(110)을 피부에 삽입하기 위해선 피부조직(200)을 일정길이 절개한 후 스레드(111)를 이용하여 회전하면서 삽입하여야 되는데 이때 피부조직(200)의 과도한 훼손을 방지하기 위해 실리콘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디스크(120)는, 상기 스레드(111)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부조직(200)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관(110)을 고정하게 된다. 따라서 인체 내부로 삽입관(110)을 삽입 또는 피부조직(200)의 외측으로 인출할 경우에 상기 디스크(120)를 파지한 상태에서 상기 삽입관(110)을 정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삽입관(110)의 삽입 깊이를 조절하게 된다.
한편, 상기 커프(130)는, 상기 삽입관(11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피부조직(200)의 안측면과 접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커프(130)는, 그 형상이 도넛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중심부 관통공과 상기 삽입관(110)의 전단부가 결합되며, 신축성이 뛰어난 재질로 형성된다. 게다가 상기 커프(130)의 이탈을 방지 및 삽입관(110)이 피부조직(200)에 삽입된 후 외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삽입관(110)의 전단부는 원판형의 지지판(112)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커프(130)는 그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었을 시 상하좌우로 팽창된다. 이는 수술부위가 수술 시 붓기가 생겼을 경우 뼈(210)측으로 커프(130)가 접근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의료진의 시술부위의 시야 확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상기 공기주입부(140)는, 상기 커프(130)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130)를 부풀림으로서 피부조직(200)과 뼈(210)간을 이격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주입부(1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110)의 내측부로 관통되어 삽입관(110)의 전단부 커프(130)와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삽입관(110)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커프(130)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공기주입부(140)는 얇은 관으로 형성되며, 일단부가 외부의 공기발생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공기발생장치로부터 공기가 공급되며, 공급된 공기는 관을 통하여 커프(130)로 유입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공기압 조절부(150)는, 상기 커프(130)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커프(130)의 공기압을 조절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공기압 조절부(150)는,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커프(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110)의 외측부로 인출된다. 또한, 공기압 조절부의 중간부에는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51)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삽입관(110)에는, 그 후단부에 수술 시 주입되는 물 또는 수술 중 발생되는 혈액 또는 약품을 피부조직(200)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액관(16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액관(160)은,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커프(130) 내부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110)의 외측부로 인출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수술 시 주입되는 물을 공급하거나 또는 수술 시 역류하는 혈액, 액체 약품 또는 수술 시 주입되었던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수액관(160)의 중간부에는 흡입밸브(161)가 구비된다. 상기 수액관(160)의 후단부 즉, 흡입밸브(161)의 후단에는 별도의 흡입펌프 등과 같은 흡입장치(미도시)가 결합되어 상기 흡입밸브(161)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서 혈액 및 액체 약품이 원활히 흡입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의 사용상태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의료진은 상기 캐뉼러 본체(100)의 삽입관(110)을 신체의 피부조직(200)에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조직(200)을 삽입관(110)의 직경에 대응되도록 절개한 후 상기 삽입관(200)의 표면에 형성된 스레트(111)를 통하여 회전하면서 피부조직 내측으로 삽입하게 된다. 이후 수술 부위에 정확히 위치하였는가를 확인하게 된다.
이때 위치 확인은 상기 삽입관(110) 삽입 시 또는 삽입 후에 삽입관(110)의 중공부로 삽입된 카메라(미도시) 및 카메라와 연결된 외부의 디스플레이(미도시)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또한, 삽입관(110)의 삽입 깊이는, 삽입관(110)과 디스크(120)가 서로 나사결합이 되어 있기 때문에 의료진이 상기 디스플레이 등을 이용하여 적절하게 조절하는 것이다.
이후 의료진은 상기 수액관(160)을 통하여 수술 부위에 물을 주입한 후 상기 공기주입부(140)를 통하여 커프(130)를 팽창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커프(130)는,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었을 시 피부조직(200)의 상하좌우로 팽창(도 3의 실선 화살표 참조)되므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부조직(200)과 뼈(210)간을 이격시키게 된다. 따라서 피부조직(200)도 외측으로 부풀게 된다(도 3의 점선 화살표 참조). 이때 상기 커프(130)의 팽창되는 크기에 따라 상기 디스크(120)를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피부조직 표면에 디스크(120)를 밀착시키게 된다.
일반적으로 캐뉼러 본체를 인체의 피부조직에 삽입하게 되면, 피부조직은 쉽게 붓기 때문에 부은 피부조직과 캐뉼러 본체 간의 간격은 좁아져서 시야확보가 원활하지 않았지만,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같이 상기 삽입관(110)의 전단부에 커프(130)를 구비하게 되면, 피부조직(200)과 뼈(210)간이 이격된 상태가 유지되어 시야확보가 원활하여 진다.
또한, 피부조직 및 근육의 경우 다양한 형상의 조직이 있게 되는데, 이때 상기한 지지판(112)이 이러한 조직들을 눌러주는 역할을 하게 되어 의료진이 수술 시 필요한 시야를 원활하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수술 중 커프(130)가 과도하게 팽창을 하게 될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공기압 조절부(150)의 조절밸브(151)를 개방하여 커프(130)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공기의 배출작동은 상기 조절밸브(151)를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은 공지기술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편, 수술 시작전 주입된 물 및 수술과정에서 발생되는 혈액 및 주입된 액체 약품 등이 역류할 시에는 상기 수액관(160)의 흡입밸브(161)를 통하여 배출하게 되며, 흡입밸브(161)의 개폐는 외부의 흡입장치 등을 이용하여 배출해 낼 수 있게 된다. 상기 흡입장치의 경우도 수동 또는 자동 조작에 의해 개폐시킬 수 있으며, 이러한 작동은 공지기술로 대체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의 경우 도면에 어깨 관절(deltoid)로 도시되어 있지만, 그 외에도 고관절을 포함하는 신체의 모든 관절부위에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상기 삽입관(110)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중공부로 시술도구 등을 삽입하여 환부의 치료 및 봉합을 하게 된다.
이후 모든 치료 및 봉합이 완료되면, 상기 커프(130)에 주입된 공기 및 환부에서 발생된 혈액, 약물을 수액관(160)을 통하여 빼낸다.
마지막으로 상기 디스크(120)를 역회전하여 피부조직(200)의 표면으로부터 이격시키고, 상기 삽입관(110)을 회전하여 피부조직의 외측으로 이탈시켜 시술을 마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0 : 캐뉼러 본체 110 : 삽입관
111 : 스레드 112 : 지지판
120 : 디스크 130 : 커프
140 : 공기주입부 150 : 공기압 조절부
151 : 조절밸브 160 : 수액관
161 ; 흡입밸브 200 : 피부조직
210 : 뼈

Claims (6)

  1. 인체의 피부조직(200)에 삽입되되, 연질로 형성되며,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고, 표면에 스레드(111)가 형성되며, 전단부에는 피부조직(200)의 외측으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지지판(112)이 일체로 형성되는 삽입관(110);
    상기 스레드(111)와 나사 결합되며, 상기 피부조직(200)과 접촉되어 상기 삽입관(110)을 고정하는 디스크(120);
    상기 삽입관(110)의 전단부에 결합되어 피부조직(200)의 안측면과 접하는 커프(130);
    상기 커프(130)에 공기를 주입하여 상기 커프(130)를 부풀림으로써 피부조직(200)과 뼈(210)간을 이격시키도록 커프(130)와 연결되는 공기주입부(140); 및
    상기 커프(130)에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커프(130)의 공기압을 조절하기 위하여 커프(130)와 연결되는 공기압 조절부(150)를 포함하되,
    상기 커프(130)는,
    상기 지지판(112)의 후단에 결합되되, 그 형상이 도너츠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커프(130)의 내측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팽창되었을 시 상하좌우로 팽창되어 피부조직(200)과 뼈(210)가 이격되도록 하고,
    상기 삽입관(110)에는,
    그 후단부에 수술 시 주입되는 물 또는 수술 중 발생되는 혈액 또는 약품을 피부조직(200) 외측으로 배출시키기 위한 수액관(160)을 더 포함하며,
    상기 수액관(160)은,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커프(130) 내부의 중간부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110)의 외측부로 인출되도록 구성하여, 수술 시 역류하는 혈액 및 액체 약품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기 위해 외측부 중간부에 흡입밸브(16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압 조절부(150)는,
    관으로 형성되되, 일단은 상기 커프(130)와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삽입관(110)의 외측부로 인출되며, 외측부 중간부에 공기압을 조절하는 조절밸브(151)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주입부(140)는,
    관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삽입관(110)의 전단부의 커프(130)와 연결되되, 일단부는 상기 삽입관(110)의 외측에 위치하고, 타단부는 상기 커프(130)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KR1020140055485A 2014-05-09 2014-05-09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Expired - Fee Related KR1016253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85A KR101625371B1 (ko) 2014-05-09 2014-05-09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485A KR101625371B1 (ko) 2014-05-09 2014-05-09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12A KR20150128312A (ko) 2015-11-18
KR101625371B1 true KR101625371B1 (ko) 2016-05-31

Family

ID=54838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48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5371B1 (ko) 2014-05-09 2014-05-09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37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64U (ko) 2020-01-22 2021-07-30 양회정 관절내시경 수술용 캐뉼러
WO2022025485A1 (ko) * 2020-07-29 2022-02-03 채창영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KR20220014793A (ko) * 2020-07-29 2022-02-07 채창영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9260B1 (ko) 2018-01-30 2019-12-24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견인가능한 관절경 캐뉼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932A (ja) 2005-11-29 2006-03-30 Olympus Corp 内視鏡挿入補助具
KR101037644B1 (ko) * 2010-05-02 2011-05-3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KR101090665B1 (ko) * 2011-05-18 2011-12-07 손정완 길이 조절형 캐뉼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81932A (ja) 2005-11-29 2006-03-30 Olympus Corp 内視鏡挿入補助具
KR101037644B1 (ko) * 2010-05-02 2011-05-30 이정삼 복강경 수술용 견인기 시스템
KR101090665B1 (ko) * 2011-05-18 2011-12-07 손정완 길이 조절형 캐뉼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764U (ko) 2020-01-22 2021-07-30 양회정 관절내시경 수술용 캐뉼러
WO2022025485A1 (ko) * 2020-07-29 2022-02-03 채창영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KR20220014793A (ko) * 2020-07-29 2022-02-07 채창영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KR102638318B1 (ko) * 2020-07-29 2024-02-19 채창영 관절경 수술용 캐뉼라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312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07269104B2 (en) Surgical tools for LVAD implantation
JP6731339B2 (ja) 僧帽弁スペーサ並びにその移植システム及び方法
US9232998B2 (en) Trans-apical implant systems, implants and methods
WO2017084328A1 (zh) 脑牵开装置及手术牵开装置
BR112016030595B1 (pt) Amostragem de tecido e métodos e aparelho para tratamento de câncer
KR101625371B1 (ko) 관절경 수술용 캐뉼러
JPH06507083A (ja) 腹腔鏡を使用する胆嚢フィステル成形術や胆嚢切除および良性の前立線肥大の治療のための焼灼装置および方法
JP2014504172A (ja) 体内の組織を持ち上げるための膨張式操向可能バルーン
US20180296233A1 (en) Aspiration catheter
CN201790861U (zh) 多功能肝内外胆管取石网篮
CN208017914U (zh) 一种用于腹腔镜手术的皮下球囊扩张器
CN103055405A (zh) 深部多功能组合引流器
EP2853211A1 (en) Bone treatment system
CN203842146U (zh) 引流导管
KR20160066356A (ko) 캐뉼라
Al-Harganee et al. Tissue expansion: Principles, techniques & unwanted results [J]
KR20210001764U (ko) 관절내시경 수술용 캐뉼러
JP2015066116A (ja) 骨治療システム
RU2005106770A (ru) Способ временной эндоскопической обтурации перфорации желудка
AU2013200266A1 (en) Surgical tools for lvad impla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80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3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4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219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