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4735B1 -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4735B1
KR101624735B1 KR1020140093738A KR20140093738A KR101624735B1 KR 101624735 B1 KR101624735 B1 KR 101624735B1 KR 1020140093738 A KR1020140093738 A KR 1020140093738A KR 20140093738 A KR20140093738 A KR 20140093738A KR 101624735 B1 KR101624735 B1 KR 101624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nger gesture
sensing
finger
control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3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2393A (ko
Inventor
홍성용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to KR1020140093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4735B1/ko
Publication of KR20160012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23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4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4735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4Hand-worn input/output arrangements, e.g. data glo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방식으로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여 자전거에 구비된 주행 보조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사용자 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 및 상기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보조 장치 중 하나를 무선 제어하는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 BASED ON FINGER GESTURE}
본 발명은 자전거에 구비된 주행 보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여 주행 보조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전거 이용자들은 자전거 라이딩 시에 서로 간의 의사 소통이 어렵기 때문에, 이동 방향, 이동 속도, 도로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기 위해 자전거 수신호를 주로 사용한다.
자전거 수신호는 도1에서와 같이 자전거 이용자가 자신의 팔과 손가락을 다양하게 움직여 자신의 이동 방향 및 이동 속도, 상대방과의 위치 조정 상태, 또는 도로 상태 등과 같은 다양한 정보를 공유하도록 하는 것이다.
다만, 이와 같은 자전거 수신호는 자전거 이용자가 핸들을 잡고 있는 양 손 중 하나를 이용하여 제시할 수 있으므로, 자전거 핸들 조작에 위험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자전거 수신호 체계가 아직 정립되지 않아, 잘못된 자전거 수신호로 인해 자전거 운행에 혼동이 발생하는 문제가 생길 수 도 있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실용공개번호 제20-2010-0008298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자전거 핸들쪽에 장착되는 컨트롤러를 통해 자전거에 부착된 각종 주행 보조 장치(예를 들어, 경고등, 헤드라이트, 방향지시등)을 동작 제어하기 위한 기술을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이를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컨트롤러에 부착된 버튼의 위치를 확인한 후 양손 중 하나를 움직여 버튼을 조작해야 하기 때문에 조작 오류가 발생하거나 자전거 사용자가 전방을 바라보지 못해 안전 운행이 어려워지는 여러 문제가 부가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웨어러블 방식으로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여 자전거에 구비된 주행 보조 장치를 원격 제어하는 방식을 제안함으로써, 보다 직관적이고 정확한 제어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발생 가능한 제어 신호의 종류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주행 보조 장치를 동작 제어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사용자 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 및 상기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보조 장치 중 하나를 무선 제어하는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는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 및 상기 휨 센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휨 센서의 임피던스 값 변화 패턴과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출력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반지는 상기 휨 센서의 임피던스 값 변화 패턴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상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두 개의 반지 중 하나에 동시 구비되거나, 상기 두 개의 반지에 분산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는 손장갑; 상기 손장갑의 손가락 부위에 부착되어,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 및 상기 손장갑의 손등 부위에 하드웨어 케이스 형태로 부착되어, 상기 휨 센서의 임피던스 값 변화 패턴과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출력하는 되는 센싱 신호 생성부와 무선 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는 상기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로부터 무선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수신하거나, 제어 신호를 상기 주행 보조 장치 중 적어도 하나로 무선 전송하는 무선 통신부; 상기 센싱 신호를 수신 및 분석하여 손가락 각각의 움직임 여부, 움직임 방향, 및 센싱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를 기반으로 손가락 제스처를 인식하는 손가락 제스처 인식부; 및 상기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대상 및 제어값을 획득하여 상기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주행 보조 장치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르면, 사용자 손에 착용되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와 상기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와 무선 통신하는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를 구비하는 제어 신호 발생 장치의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방법은, 상기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를 통해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여 상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에 통보하는 단계; 상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가 상기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대상 및 제어값을 파악하고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가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주행 보조 장치 중 하나를 무선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여 상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에 통보하는 단계는 손가락 움직임에 따라 임피던스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를 통해 상기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법은 사용자 요청하에 손가락 제스처 검출 기준 및 제어 신호 생성 기준을 등록 및 수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를 웨어러블 형태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자전거를 운전하는 도중에도 안전하고 정확하게 주행 보조 장치를 동작 제어할 수 있도록 해준다. 즉, 사용자가 자전거를 타면서 자기가 원하는 손가락을 하나 까딱거리기만 하면 자기가 원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른 어느 방식보다 간편하고 가장 직관적이다. 또한, 일상 생활 속에서 휴대하기도 편리하고, 여성의 경우 패션의 감각을 표출할 악세사리의 역할도 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의 착용 개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의 센싱 결과의 분석 기준을 다양화함으로써, 제어 신호의 발생 범위를 손쉽게 확장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를 자전거 뿐 만 아니라 모터사이클, 전동 휠체어와 같은 이륜차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각종 게임기 리모콘, 사륜 자동차의 제어 기판, 컴퓨터 입력 장치 등으로도 다양하게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어 신호 발생 장치의 적용 범위와 용도가 무한대로 확장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 사전 합의를 통해 구축된 신호 체계가 아닌 손가락의 직관적인 움직임을 기반으로 하며, 사용자의 개성 및 취향에 따라 신호 발생 조건을 임의 조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어 신호 발생 장치가 전세계에서 범용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주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제어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들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사용자 손가락에 끼워지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와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로 구성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해 발생하는 각종 제스처에 따라 방향 지시등(31), 경고등(32), 전조등(33), 후미등(34), 경적(35) 등과 같은 주행 보조 장치의 동작을 무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는 사용자의 손에 착용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는 사용자 신체 또는 자전거 중 한 곳에 선택적으로 위치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사용자의 행동 제약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 방향 지시등(31), 경고등(32), 전조등(33), 후미등(34), 경적(35) 모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각종 정보(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는 반지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두 개의 반지(120, 130)와 두 개의 반지(120, 130)를 연결하는 휨 센서(1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휨 센서(110)는 자신의 휨 정도에 따라 자신의 임피던스 값(예를 들어, 저항값)이 변화되는 센서로, 본 발명의 휨 센서(110)는 사용자가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를 손가락에 끼고 손가락을 구부림에 따라 출력 저항값을 달리해준다. 예를 들어, 손가락을 쫙 편 상태에서는 90KΩ을, 손가락을 90ㅀ구부린 상태에서는 30~40KΩ을 출력한다.
두 개의 반지(120, 130) 중 적어도 하나는 소정의 내부 공간을 마련하고, 내부 공간을 통해 센싱 신호 생성부(121) 및 무선 통신부(122)를 구비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센싱 신호 생성부(121) 및 무선 통신부(122)가 하나의 반지에 함께 구비될 수도 있으나, 두 개의 반지에 분산되어 구비될 수도 있음은 당연할 것이다.
센싱 신호 생성부(121)는 휨 센서(110)의 저항값 변화 패턴을 분석하여 사용자가 손가락을 구부리는 지 또는 손가락을 피는 지 판단한다. 즉, 휨 센서(110)의 저항값이 감소되는 경우에는 핀 상태의 손가락이 구부려졌다고, 휨 센서(110)의 저항값이 증가되는 경우에는 구부려진 상태의 손가락이 펴졌다고, 휨 센서(110)의 저항값이 변화되지 않는 경우에는 손가락이 움직이지 않는다고 각각 판단하도록 한다. 그리고 판단 결과에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어떤 손가락이 어떻게 움직이고 있는지 알려주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무선 통신부(122)는 RF 통신 방식, 적외선 통신 방식, 블루투스 통신 방식, 또는 사물지능통신(M2M) 방식 등을 통해, 센싱 신호 생성부(121)의 센싱 신호를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에 제공하거나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로부터 전송되는 동작 제어 신호를 센싱 신호 생성부(121)를 전달할 수 있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가 반지 형태로 구현되는 경우에 한해 설명하였지만, 그 구현 형태는 사용자의 손가락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장갑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손장갑(130), 손장갑(130)의 손가락 부위에 부착되는 휨 센서(110), 손장갑(130)의 손등 부위에 하드웨어 케이스 형태로 부착되는 센싱 신호 생성부(121)와 무선 통신부(122)로 이루어질 수 있을 것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의 상세 구성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는 무선 통신부(21), 손가락 제스처 인식부(22), 주행 보조 장치 제어부(23) 및 메모리(2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1)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와 동일한 무선 통신 방식을 채택하고,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수신하거나,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를 통해 생성된 제어 신호를 해당 주행 보조 장치에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손가락 제스처 인식부(22)는 사용자 요청시 또는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가 주행하는 경우 자동으로 동작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로부터 전송되는 센싱 신호를 분석하여, 손가락 각각의 움직임 여부, 구부림 방향, 센싱 시간 중 적어도 하나를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취한 손가락 제스처를 확인 및 통보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센싱 신호에 포함된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의 식별 정보를 기반으로 센싱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손가락이 어느 손가락인지, 센싱 신호의 신호값을 기반으로 손가락의 움직임 여부 및 움직임 방향을 판단하도록 한다. 즉, 사용자가 어떤 손가락들을 움직였는지, 그리고 손가락 각각이 구부렸는지 또는 폈는지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표1은 왼손과 오른손에 하나씩 착용한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들을 통해 인식 가능한 손가락 제스처 종류들을 나타난 표이다.
왼손 오른손 손가락 제스처
구부림 움직임 없음 왼손 손가락 구부림
움직임 없음 구부림 오른손 손가락 구부림
구부림 구부림 양손 손가락 함께 구부림
움직임 없음 왼손 손가락 핌
움직임 없음 오른손 손가락 핌
양손 손가락 함께 핌
또한, [표2]에서와 같이 센싱 신호 발생 시간(또는 센싱 신호 수신 시간)을 추가적으로 고려하여, 구분 가능한 손가락 제스처 종류를 더욱 세분화할 수 도 있도록 한다.
왼손 및 오른손 손가락 제스처
왼손 구부림 신호 발생 후, 오른손 구부림 신호 발생 왼손 손가락 구부린 후 오른손 손가락 구부림
오른손 구부림 신호 발생 후, 왼손 구부림 신호 발생 오른손 손가락 구부린 후 왼손 손가락 구부림
왼손 구부림 신호 발생 후, 다시 왼손 구부림 신호 발생 왼손 손가락 연속 두 번 구부림
오른손 구부림 신호 발생 후, 다시 오른손 구부림 신호 발생 오른손 손가락 연속 두 번 구부림
왼손 핌 신호 발생 후, 다시 왼손 핌 신호 발생 왼손 손가락 연속 두 번 핌
오른손 핌 신호 발생 후, 다시 오른손 핌 신호 발생 오른손 손가락 연속 두 번 핌
왼손 핌 신호 발생 후, 오른손 핌 신호 발생 왼손 손가락 핀 후 오른손 손가락 핌
오른손 핌 신호 발생 후, 왼손 핌 신호 발생 오른손 손가락 핀 후 왼손 손가락 핌
왼손 핌 신호 발생 후, 오른손 구부림 신호 발생 왼손 손가락 핀 후 오른손 손가락 구부림
오른손 핌 신호 발생 후, 왼손 구부림 신호 발생 오른손 손가락 핀 후 왼손 손가락 구부림
주행 보조 장치 제어부(23)는 표3과 같은 손가락 제스처 각각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에 대한 테이블을 구비하고, 이를 참고하여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대상 및 제어값을 파악하고, 이의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주행 보조 장치에 제공하도록 한다.
손가락 제스처
제어 신호
제어 대상 제어 값
왼손 손가락 핌 방향 지시등 좌회전
오른손 손가락 핌 방향 지시등 우회전
양손 손가락 함께 핌 방향 지시등 정지
양손 손가락 함께 구부림 방향 지시등 주행
왼손 손가락 연속 두 번 핌 전조등 켜짐
왼손 손가락 연속 두 번 핌 전조등 꺼짐
오른손 손가락 연속 두 번 핌 후미등 켜짐
오른손 손가락 연속 두 번 핌 후미등 꺼짐
메모리(24)는 손가락 제스처 인식부(22)와 주행 보조 장치 제어부(23)의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즉, 센싱 신호와 손가락 제스처간 상관 관계(즉, 손가락 제스처 검출 기준), 손가락 제스처와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즉, 제어 신호 생성 기준)에 관련된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의 신체조건 또는 취향에 따라 사용자가 편안함을 느끼는 손가락 제스처가 다를 수 있음을 감안하여, 사용자가 외부 장치를 통해 상기 메모리(24)에 접근하여 센싱 신호와 손가락 제스처간 상관 관계, 손가락 제스처와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를 등록 및 수정할 수도 있도록 한다.
물론, 필요한 경우 터치 스크린, 키패드 등으로 구현된 사용자 인터페이스(25)와, 사용자 인터페이스(25)를 통해 정보 등록 및 수정 동작에 필요한 화면을 제공하고, 이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메모리(24)에 저장되는 센싱 신호와 손가락 제스처간 상관 관계, 손가락 제스처와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를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는 사용자 최적화부(26)를 추가적으로 구비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를 통해 직접 사용자 최적화 작업을 수행할 수도 있도록 한다.
도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주행 정보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만약, 손가락 제스처를 이용한 주행 정보 제어 동작이 요청되면(S1),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 각각은 휨 센서(110)를 착용한 손가락의 움직임 여부를 센싱하여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에 무선 전송한다(S2).
그러면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는 이들을 수신 및 분석하여 손가락 제스처 인식부(22)를 통해 손가락 각각의 움직임 여부, 구부림 방향, 센싱 시간 등을 파악하고, 이를 기반으로 사용자가 어떤 손가락 제스처를 발생했는지 확인한다(S3).
그러면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는 사용자가 취한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주행 보조 장치와 제어값을 파악하고, 이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해당 주행 보조 장치에 무선 제공함으로써(S4), 이를 수신한 주행 보조 장치가 사용자가 취한 손가락 제스처에 해당하는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한다(S5).
상기의 단계 S2 내지 S5는 주행 정보 제어 동작의 중지가 요청될 때까지 반복 수행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에 따라 자전거 핸들을 손에 쥐고 있는 상태에서 몇 개의 손가락을 다양하게 움직여줌으로써, 자전거에 장착된 여러 종류의 주행 보조 장치를 원격 제어할 수 있게 된다(S6).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손가락 제스처를 이용한 주행 보조 장치 제어 예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6의 주행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20)에는 표4 및 표5와 같은 센싱 신호와 손가락 제스처간 상관 관계, 손가락 제스처와 제어 신호간 상관관계가 미리 등록되어 있다고 가정하기로 한다.
왼손 오른손 손가락 제스처
움직임 없음 왼손 손가락 핌
움직임 없음 오른손 손가락 핌
양손 손가락 함께 핌
구부림 구부림 양손 손가락 함께 구부림
손가락 제스처
제어 신호
제어 대상 제어 값
왼손 손가락 핌 방향 지시등 좌회전
오른손 손가락 핌 방향 지시등 우회전
양손 손가락 함께 핌 방향 지시등 정지
양손 손가락 함께 구부림 방향 지시등 주행
이에 사용자는 두 개의 휨 센서(110)를 양손에 각각 착용하고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핸들을 잡은 채로, 자신의 손가락만 움직여줌으로써, 방향 지시등의 동작을 다양하게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즉, 왼손 손가락 펴는 손가락 제스처를 통해 방향 지시등이 좌회전 신호를, 오른속 손가락 펴는 손가락 제스처를 통해 방향 지시등이 우회전 신호를, 양손 손가락 함께 펴는 손가락 제스처를 통해 방향 지시등이 우회전 신호를, 양손 손가락 함께 구부리는 손가락 제스처를 통해 방향 지시등이 주행 신호를 각각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상기의 설명에서는 사용자가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를 양손에 1개씩 착용하는 경우를 한정하여 설명하였지만, 사용자는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10)의 착용 개수를 증가 또는 감소시킴으로써, 발생 가능한 제어 신호의 개수 또한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제어 신호의 개수를 매우 손쉽고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는 특징을 가진다.
더하여, 본 발명의 제어 신호 발생 장치를 자전거에 적용하는 경우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이러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모터사이클, 전동 휠체어와 같은 이륜차에도 적용 가능할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각종 게임기 리모콘, 사륜 자동차의 제어 기판, 컴퓨터 입력 장치를 대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어 신호 발생 장치의 적용 범위와 용도는 앞으로 더욱 다변화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가 반지 형식의 웨어러블 장치로 구현됨을 고려하여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의 반지 부분에 다양한 색깔, 무늬를 넣을 수 있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가 패션(악세사리)로 활용될 수도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제어 신호 발생 장치는 단순히 자전거 신호 체계를 제어하는 기능 뿐 만 아니라, 사용자의 개성 및 취향을 표현하는 또 하나의 트랜드 아이템 자체가 될 수도 있도록 해준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8)

  1. 적어도 하나의 주행 보조 장치를 동작 제어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손에 착용되어, 사용자의 손가락 제스처를 센싱 및 통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 및
    상기 손가락 제스처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어 신호를 통해 상기 주행 보조 장치 중 하나를 무선 제어하는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손가락 제스처 센싱 장치는 휨 정도에 따라 임피던스 값이 변화되는 휨 센서; 및
    상기 휨 센서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휨 센서의 임피던스 값 변화 패턴과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센싱 신호를 생성하여 무선 출력하는 두 개의 반지를 포함하며,
    상기 두 개의 반지는
    상기 휨 센서의 임피던스 값 변화 패턴을 센싱하고, 센싱 결과에 자신의 고유 식별 정보를 매핑하여 센싱 신호를 생성하는 센싱 신호 생성부; 및
    상기 센싱 신호를 상기 손가락 제스처 처리 장치에 제공하는 무선 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센싱 신호 생성부와 상기 무선 통신부는
    상기 두 개의 반지 중 하나에 동시 구비되거나, 상기 두 개의 반지에 분산 구비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주행 보조 장치는 방향 지시등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140093738A 2014-07-24 2014-07-24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24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738A KR101624735B1 (ko) 2014-07-24 2014-07-24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3738A KR101624735B1 (ko) 2014-07-24 2014-07-24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93A KR20160012393A (ko) 2016-02-03
KR101624735B1 true KR101624735B1 (ko) 2016-05-27

Family

ID=5535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3738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4735B1 (ko) 2014-07-24 2014-07-24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4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800005937A1 (it) * 2018-06-01 2019-12-01 Dispositivo di comando per bicicletta
CN115016448B (zh) * 2022-06-16 2024-05-07 中国第一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车载终端、车辆及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2393A (ko) 2016-0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03118B2 (en) Control device for bicycle and methods
US11771147B2 (en) Apparel with pressure sensor control
US9226330B2 (en) Wireless motion activated user device with bi-modality communication
US20180009447A1 (en) Wearable with linked accelerometer system
KR101603553B1 (ko) 차량에서 웨어러블 기기를 이용한 제스쳐 인식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차량
US9978261B2 (en) Remote controller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CN103941860B (zh) 腕带型便携式终端的手势识别系统及其方法
WO2017068004A1 (en) Wearable earpiece voice command control system and method
US20120068925A1 (en) System and method for gesture based control
US20170305453A1 (en) Input device and input method therefor
US20170119553A1 (en) A haptic feedback device
US10162407B2 (en) Arm band sensor and method for operating an arm band sensor
KR20190092782A (ko) 손가락의 움직임 및 공간상에서의 손의 움직임을 인식할 수 있는 글러브형 모션인식 장치 및 방법
CN105487689A (zh) 一种指环鼠标及利用指环鼠标操控移动终端的方法
KR101624735B1 (ko) 손가락 제스처를 기반으로 한 제어 신호 발생 장치 및 방법
CN105204645A (zh) 易穿戴式手势识别装置
CN110194208A (zh) 汽车的多功能方向盘及汽车
WO2021221844A1 (en) Foldable mouse
TW201702996A (zh) 指示系統及其控制方法
WO2020144967A1 (ja) 制御装置
KR101499348B1 (ko) 손목 밴드형 기기 제어장치
KR20170113957A (ko) 사용자의 동작 의도를 판단하는 방법과 이를 위한 동작 인식 시스템
KR20150089459A (ko) 손가락 이외의 신체부위를 이용하는 3차원 마우스
Zhang [Retracted] Research on the Design of Bright Clothing for the Elderly Based on Intelligent Detection of Lower Limb Posture Antifall Sensors
CN116438506A (zh) 用于在车辆行驶时产生光信号的发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3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2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