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4303B1 -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4303B1 KR101624303B1 KR1020130046744A KR20130046744A KR101624303B1 KR 101624303 B1 KR101624303 B1 KR 101624303B1 KR 1020130046744 A KR1020130046744 A KR 1020130046744A KR 20130046744 A KR20130046744 A KR 20130046744A KR 101624303 B1 KR101624303 B1 KR 101624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lymer
- aluminum
- thin film
- delete delete
- networ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5/00—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5/14—Non-insulated 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comprising conductive layers or films on insulating-support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onwoven Fabrics (AREA)
- Spinning Methods And Devices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Fiber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고분자 나노섬유가 산포되어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사이에 빈 공간을 형성하는 다공성의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 및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전극을 개시하며, 본 발명에 의하여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는 유연한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에 낮은 저항값을 가지는 알루미늄을 박막의 형태로 코팅하여 전극을 구성함으로써, 매끄러운 표면에 코팅된 알루미늄 박막에 의한 우수한 전기전도도, 유연한 고분자 나노섬유로 다공성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여기에 알루미늄 박막을 코팅하는데 따른 전극의 유연성, 알루미늄 박막의 표면에 생성되는 산화막에 의한 알루미늄 박막 및 고분자 나노섬유의 보호에 따른 장수명, 높은 기공의 비율과 박막 형태의 알루미늄을 사용함에 따라 높은 광투과율을 가짐으로써,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투명 전극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전극의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된 형상의 알루미늄 박막 고분자 나노섬유로 구성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전극의 모식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렬된 형상의 알루미늄 박막 고분자 나노섬유를 고분자 필름층에 내장하여 구성한 전극의 모식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알루미늄 박막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의 제조 방법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네트워크의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성된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네트워크의 표면에 대한 주사전자현미경 사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폴리이미드 나노섬유 네트워크를 고분자 필름층에 내장하여 구성한 전극의 사진.
120 : 알루미늄 박막 200 : 정렬된 알루미늄 나노섬유 전극
300 : 고분자 필름층에 내장된 알루미늄 나노섬유 전극
311 : 고분자 후면 필름 320 : 고분자 전면 필름
Claims (31)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a) 고분자가 용해된 고분자 용액을 제공하는 단계;
(b) 상기 고분자 용액으로부터 복수의 고분자 나노섬유가 산포되어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사이에 빈 공간이 형성된 다공성의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
(c) AlCl3 와 LiAlH4 를 사용하여 제조되어 Al-H 결합을 가지는 AlH3{S(C4H9)2}, AlH3{S(C2H5)2}, AlH3{O(C2H5)2}, AlH3{O(C3H7)2}, AlH3{O(C4H9)2} 알루미늄 전구체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를 제공하는 단계; 및
(d) 기화된 타이타늄이소프로폭사이드(TTIP) 촉매를 이용하여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로부터 산화되지 않은 알루미늄을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석출시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표면에 지름 방향에 따라 균일한 두께로 코팅된 균일한 표면 형상을 가지는 도전성의 알루미늄 박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한 종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고분자를 용해하여 고분자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는 폴리우레탄(polyuretan), 폴리우레탄 공중합체,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cellulose),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acetate butylate),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메틸아크릴레이트(polymethyl acrylate, PMA), 폴리아크릴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PVAc),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비닐알콜(polymethyl alcohol, PVA), 폴리퍼퓨릴알콜(PPFA), 폴리스티렌(PS), 폴리스티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EO),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PPO), 폴리에틸렌 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프로필렌옥사이드 공중합체,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비닐클로라이드(PVC), 폴리카프로락톤, 폴리비닐풀루오라이드, 폴리비닐리덴풀루오라이드 공중합체, 폴리아마이드, 폴리이미드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전기방사법을 이용하여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방사법을 진행함에 있어,
전압을 8kV 내지 30kV의 범위 내에서 인가하고 고분자가 용해된 용액을 분당 10μL 내지 300μL의 비율로 토출하여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를 생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디부틸설파이드(S(C4H9)2), 디에틸설파이드(S(C2H5)2), 디에틸에테르(O(C2H5)2), 디이소프로필에테르(O(C3H7)2) 또는 디부틸에테르(O(C4H9)2)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혼합한 용매를 제공하는 단계;
(c2) 상기 용매에 염화알루미늄(AlCl3) 및 수소화알루미늄리튬(LiAlH4)을 1대 3내지 1대6의 몰 비율로 혼합한 용액을 만드는 단계; 및
(c3) 상기 용액을 50°C 내지 100°C의 온도에서 교반한 후, 필터링하여 교반시의 석출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를 촉매에 노출시키는 공정과 상기 촉매에 노출된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를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에 접촉시켜 알루미늄 박막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d1)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에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를 코팅하는 단계; 및
(d2) 상기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를 알루미늄으로 전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1) 단계에서 알루미늄 전구체 잉크를 코팅함에 있어,
진공여과법, 프린팅법, 스탬핑법, 에어 스프레이법, 정전분사법, 딥 코팅법 또는 드랍 코팅법 중 하나 혹은 둘 이상의 조합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80°C 내지 150°C의 온도로 가열하고 촉매를 추가하여 10초 내지 5분 동안 열처리를 진행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를 추가함에 있어 기상증착법을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 이어서,
상기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를 고분자 필름층에 내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은 상기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네트워크에 대한 화학적 또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줄여 줄 수 있는 고분자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필름층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로나이트릴(polyacrylonitrile, PAN), 폴리비닐알콜(polyvinyl alcohol, PVA), 폴리우레탄(polyurethanes, PU),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아닐린(polyaniline, PANI), 폴리스티렌(polystyrene, PS),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 fluoride), PVDF),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PVP),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고분자로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 삭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고분자 나노섬유의 표면에 균일한 두께로 알루미늄 박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알루미늄 나노섬유 유연 전극의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744A KR101624303B1 (ko) | 2013-04-26 | 2013-04-26 |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46744A KR101624303B1 (ko) | 2013-04-26 | 2013-04-26 |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528A KR20140128528A (ko) | 2014-11-06 |
KR101624303B1 true KR101624303B1 (ko) | 2016-05-27 |
Family
ID=524543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4674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24303B1 (ko) | 2013-04-26 | 2013-04-26 |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430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6321A (ko) * | 2020-05-07 | 2021-11-17 | 한국전력공사 | β-상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박막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87992B1 (ko) * | 2014-11-18 | 2016-12-20 | 인트리 주식회사 | 나노섬유 패턴을 구비한 광투과성 도전체를 제조하기 위한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방법 |
KR101684860B1 (ko) * | 2015-03-26 | 2016-12-09 | 한국기계연구원 | 전도성 필터 및 전도성 필터의 제조 방법 |
KR101684788B1 (ko) * | 2015-05-29 | 2016-12-09 | 한국과학기술원 | 전도성 박막이 코팅된 이중 평균 직경 분포를 갖는 3차원 나노섬유 네트워크 및 이를 중간전극으로 이용한 리튬-황 전지 |
KR101697255B1 (ko) | 2015-06-29 | 2017-01-17 |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 전기화학법을 이용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의 형성 방법 및 이에 의한 알루미늄 산화 나노섬유 |
KR102044204B1 (ko) * | 2015-07-08 | 2019-11-13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극필름의 제조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전극필름 |
KR101995096B1 (ko) * | 2016-02-26 | 2019-07-01 | 한국과학기술원 | 벨트 형상의 금속 전극선이 내장된 플렉서블 oled 디스플레이용 폴리이미드 투명전극 및 그 제조방법 |
WO2018062844A2 (ko) * | 2016-09-30 | 2018-04-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KR102328253B1 (ko) | 2016-09-30 | 2021-11-18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전도성 직물로 형성된 보호층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CN110537394B (zh) * | 2017-04-21 | 2023-01-31 |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 印刷电路纳米纤维网制造方法及印刷电路纳米纤维网 |
CN110709155A (zh) | 2017-06-09 | 2020-01-17 |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 过滤器滤材、其制造方法及包括其的过滤器单元 |
KR102673198B1 (ko) | 2017-11-15 | 2024-06-07 |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제조용 조성물 및 이를 통해 구현된 그라파이트-고분자 복합재 |
KR102200765B1 (ko) | 2019-03-12 | 2021-01-12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전도성 섬유 기반 유연 발광 장치 |
KR102163164B1 (ko) | 2019-04-01 | 2020-10-08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나노섬유 메쉬 생체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296352B1 (ko) * | 2020-01-28 | 2021-09-01 |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 금속산화물 나노 와이어 어레이 및 이의 제조 방법 |
KR102620754B1 (ko) * | 2021-08-25 | 2024-01-04 | 재단법인대구경북과학기술원 | 신축 가능한 멀티 발광체 및 이의 제조방법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349B1 (ko) | 2009-12-31 | 2012-04-09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편광필름 |
-
2013
- 2013-04-26 KR KR1020130046744A patent/KR101624303B1/ko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4349B1 (ko) | 2009-12-31 | 2012-04-09 |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 편광필름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편광필름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6321A (ko) * | 2020-05-07 | 2021-11-17 | 한국전력공사 | β-상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박막 제조방법 |
KR102408745B1 (ko) * | 2020-05-07 | 2022-06-14 | 한국전력공사 | β-상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박막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28528A (ko) | 2014-11-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4303B1 (ko) | 알루미늄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
KR101477782B1 (ko) | 고분자 나노섬유, 알루미늄 박막, 탄소나노튜브 및 유황의 복합체를 이용한 리튬-황 이차전지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
US9717144B2 (en) | Electroconductive nanowire network, and electroconductive substrate and transparent electrode using s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conductive nanowire network, electroconductive substrate, and transparent electrode | |
KR100947892B1 (ko) | 나노그레인/나노입자의 네트워크 구조를 가진도체금속산화물 막을 이용한 전도성전극, 이의 제조방법 및이를 이용한 수퍼캐패시터 | |
JP5889276B2 (ja) | 液体シラン系組成物およびシリコン系材料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 | |
Onggar et al. | Techniques and processes for the realization of electrically conducting textile materials from intrinsically conducting polymers and their application potential | |
KR100894481B1 (ko) | 초극세 탄소 섬유에 축적한 금속산화물로 이루어진슈퍼커패시터용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
Wang et al. | Highly flexible indium tin oxide nanofiber transparent electrodes by blow spinning | |
EP2185356A1 (en) | Silicon modified nanofiber paper as an anode material for a lithium secondary battery | |
CN107617345A (zh) | 三维高分子纳米纤维膜及其制备方法 | |
TW201230453A (en) | Electrospinning for integrated separator for lithium-ion batteries | |
Sami et al. | The Pine‐Needle‐Inspired Structure of Zinc Oxide Nanorods Grown on Electrospun Nanofibers for High‐Performance Flexible Supercapacitors | |
AU2007332084A1 (en) | Nanotube and carbon layer nanostructured composites | |
KR20100105179A (ko) | 가요성 투명 전극 및 그의 제조방법 | |
WO2000072373A1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nanostructured thin film electrodes | |
KR101002946B1 (ko) | 중공형 튜브의 금속산화물층을 포함하는 전기화학소자 및 그 제조방법 | |
CN114583181B (zh) | 一种锂电池用复合集流体及其制备方法 | |
CN100420626C (zh) | 纯碳纳米管薄膜的制备方法 | |
KR20150016457A (ko) | 적층 구조를 가지는 금속 박막이 코팅된 고분자 나노섬유 멤브레인 전극 및 그 제조 방법 | |
CA2817753A1 (en) | Ionically conductive polymers, methods for production thereof and electrical devices made therefrom | |
KR101572194B1 (ko) | 은 나노와이어 네트워크가 내장된 투명 폴리이미드층을 이용한 투명 전극 및 그 제조방법 | |
CN105568555A (zh) | 一种空气过滤石墨烯纤维膜的制备方法 | |
KR102292175B1 (ko) | 고전도성 및 고통기성의 수직 직물형 탄소나노섬유 멤브레인 및 그 제조방법 | |
KR101430396B1 (ko) | 금속산화물 나노튜브,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가스 센서 | |
KR100902561B1 (ko) | 투명 전극 제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4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41118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2I Patent event date: 2014052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27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22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92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3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813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