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3738B1 -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 Google Patents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738B1
KR101623738B1 KR1020160000752A KR20160000752A KR101623738B1 KR 101623738 B1 KR101623738 B1 KR 101623738B1 KR 1020160000752 A KR1020160000752 A KR 1020160000752A KR 20160000752 A KR20160000752 A KR 20160000752A KR 101623738 B1 KR101623738 B1 KR 10162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rod
swing
support frame
portions
swing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075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심현
Original Assignee
심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심현 filed Critical 심현
Priority to KR1020160000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738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738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04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 A63B22/0061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cantilevered support elements pivoting about an axis the pivoting movement being in a horizontal plane, e.g. skat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support elements performing a rotating cycling movement, i.e. a closed path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7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by rotating cycling mov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Provided is a chair apparatus for performing a swing motion and acupressure on feet which improves safety and efficiency of exercise. To this end, the chair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base body unit including a lower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ly from the lower frame; a plurality of link rod units which are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in which each upper end thereof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swing body unit which is formed to surround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foot plates on the outer side surfaces thereof, and in which the lower ends of each link rod are hinged thereto along the parts disposed at the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to swing back and forth; and a seat unit which supports the hip of a user,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ody unit through a rotary means to change a sitting direction.

Description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본 발명은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w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in which safety and efficiency of motion are improved.

일반적으로, 체력과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매일 적절한 운동이 요구되지만 근육이나 뼈가 약한 노약자의 경우에는 헬스, 수영, 조깅, 자전거 타기와 같은 일반 운동이 힘들고, 운동시에도 관절에 무리를 주거나 기존 부상이나 질병을 악화시키는 등의 우려가 있다. Generally, proper exercise is required every day to maintain fitness and health, but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ith weak muscles and bones, general exercise such as fitness, swimming, jogging and cycling is difficult, Or worse to illness.

최근에는, 노약자들이 일반운동을 할 수 없게 되면서 하부에 롤러가 구비된 보행 보조기 등 노약자만을 위한 운동기구가 개발되고 있다. Recently, as elderly people can not perform general exercise, a fitness device for the elderly such as a walking aiding device provided with a roller at the bottom is being developed.

그러나, 노약자가 실외나 실내의 일정 공간을 직접 보행하도록 돕는 보행 보조기의 경우에는 실내외에 다수 존재하는 턱 등의 장애물로 인해 운동이 힘들고 여전히 높은 부상 우려가 있어 보호자의 동행이 필수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in the case of a walking aids for the elderly person to walk directly in a certain space in the outside or inside the room,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necessary to accompany the caregiver because there are many obstacles such as jaws present inside and outside the room,

또한, 자전거 운동장치 등을 이용하여 실내에서 운동을 하는 경우에는 운동 기구가 차지하는 공간이 크고, 낮은 활동성으로 인해 흥미가 저하되어 운동 효과가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when exercising in a room using a bicycle exercise device or the lik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pace occupied by the exercise device is large and the exercise effect is deteriorated due to low activity due to low activity.

한국 공개특허 제10-2008-0008133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8-0008133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운동의 안전성 및 효율성이 향상되는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in which safety and efficiency of motion are improved.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몸체부;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로드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부에 배치된 부분을 따라 상기 각 링크로드부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전후로 스윙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발판부가 구비되는 스윙몸체부; 및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되, 착석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윙몸체부의 상부에 회전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링크로드부는 상기 스윙몸체부의 스윙방향을 따라 다단 절첩되도록 일측에 확장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힌지부에는 절첩시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베어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제공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base body including a lower frame supported on a groun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frame; A link ro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swinging body having a swing body swinging forward and backward at a low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along a portion disposed on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o surround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 And a seat portion that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through the rotating means so as to switch the seating direction, wherein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includes an extension hinge And a bearing is interposed in the extended hinge to reduce frictional force at the time of folding.

여기서, 상기 각 링크로드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구비된 힌지 결합부분에는 회전시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베어링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the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joint portions provid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to reduce frictional force during rotation.

한편, 상기 발판부는 상기 좌석부의 회전각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스윙몸체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 발판부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the footrest is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and the rear portion of the swing body corresponding to the foot posi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and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are stuck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footrest portion. desirable.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Through the above-mentioned solution, the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상기 좌석부가 구비된 스윙몸체부가 지면에 지지된 베이스몸체부에 링크로드부를 통해 결합되어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전신 근육 운동이 가능하므로 운동시 좌석부의 스윙에 따른 활동감으로 흥미 요소가 유발되면서도 체중으로 인한 관절 부상이나 넘어짐 등의 위험성이 최소화된 안전한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First, the swing body provided with the seat portion is coupled to the base body portion supported on the ground by the link rod portion, so that the whole body muscle movement that changes the center of gravity while the user is seated is possibl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afe exercise effect in which the risk of joint injury or fall due to weight is minimized.

둘째, 상기 좌석부가 스윙몸체부의 스윙방향 및 스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어 고정됨에 따라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운동 방향이 변경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장치로 사용자의 허리를 전후로 틀어주는 운동과 좌우로 틀어주는 운동이 가능하여 제품의 효율성 및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Second, since the seat portion is rotated and fix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wing direction and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the movement direction for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can be changed, so that the movement of turning the user's waist back and forth with one device, So that the efficiency and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셋째, 상기 좌석부에 착석한 사용자의 발구름 및 무게 중심 이동에 따른 스윙 운동 초기에 확장힌지부를 중심으로 한 짧은 반경의 진자 운동으로 빠른 가속이 가능하고, 소정 각도 이상에서 링크로드부가 절첩되며 좌우 및 상하 방향의 스윙 폭이 확장되되 원호 방향 이동과 동시에 수직 및 수평 방향 이동이 이루어질 수 있어 안전하면서도 다이나믹한 활동감으로 운동의 흥미 및 효과가 극대화되는 시너지(synergy)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Third, at the beginning of the swinging motion of the user who is seated in the seat portion, the swinging motion of the swinging motion due to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nd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swinging motion can be accelerated rapidly by a pendulum movement with a short radius around the extended hinge portion, The swing width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is expanded, and vertical and horizontal movement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movement in the arc direction, thereby providing a synergy effect in which interest and effect of exercise are maximized with a safe and dynamic activity sense.

넷째, 상기 좌석부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복수개소 구비된 발판부를 통해 운동시 사용자의 양발이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자세 유지로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으며, 발판부의 외면에 돌설된 지압돌기를 통해 발구름시 지압효과가 동시에 부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운동 효과가 향상될 수 있다. Fourthly, since the user's feet are supported by the foot part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art,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by maintaining the stable posture, and the foot pressure projections projec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ot part, Since the pressure effect can be given at the same time, the exercise effect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의 스윙운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의 스윙운동을 나타낸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의 링크로드부를 나타낸 분해도.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0001]
FIG. 3 is a side view showing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swing motion of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illustrating swing motion of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side view showing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view of a link rod portion of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 Hereinafter, a sw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의 스윙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winging motion foots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 swinging motion footstool chai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FIG. 4 is a view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swing motion of a swinging motion footstoo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100)는 베이스몸체부(10), 링크로드부(30), 스윙몸체부(20), 그리고 좌석부(29)를 포함한다. 1 to 4,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body portion 10, a link rod portion 30, a swing body portion 20, And includes a seat portion 29.

여기서, 상기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100)는 사용자가 착석하여 TV 시청이나 음악 감상, 휴식 등을 취할 수 있는 기본적인 의자의 기능과 함께, 착석한 상태에서 무게 중심을 이동시킴에 따라 전후로 흔들리는 의자를 의미한다. Here, the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100 includes a basic chair function that allows the user to sit and watch TV, listen to music, and take a break, and also moves the center of gravity in a seated state, .

이때, 상기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100)를 이용하여, 체중으로 인한 허리나 무릎 등 관절 부담이 최소화되도록 착석한 상태에서 인체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전신 근육 운동을 실시할 수 있으므로 일반인뿐만 아니라 노약자에게도 안전한 운동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At this time, by using the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100, it is possible to perform a whole body muscle movement in which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is moved in a seated state to minimize joint burdens such as waist or knee due to the weight, It is also possible to provide safe movement function to the elderly.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베이스몸체부(10)는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11)과, 상기 하부프레임(11)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하부프레임(11)은 지면에 지지되도록 평탄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1 and 2, the base body 10 includes a lower frame 11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frame 12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frame 11. Here, the lower frame 11 is provided in a flat shape so as to be supported on the ground.

이때, 상기 하부프레임(11)의 모서리부분에는 상하 방향으로 결합된 복수개의 평형 조절 나사(14)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프레임(11)이 안착된 지면의 평탄한 정도에 따라 각 평형 조절 나사(14)를 조이거나 풀어 지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며, 의자장치(100)의 평형이 유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a plurality of balance adjustment screws 14 are vertically coupled to the lower frame 11, and the balance adjustment screws 14 are installed on the lower frame 11 according to the level of the ground on which the lower frame 11 is seated. And the balance of the chair device 100 can be maintained.

그리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은 상기 하부프레임(11)의 일측에 연결되어 상측으로 연장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는 전후 방향으로 확장되도록 구비된다. The support frame 12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lower frame 11 and extends upward, and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is extended to exten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즉,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지지프레임(12)은 'T'자 형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1)과의 연결부분이 하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뒤집어진 'U'자 형태으로 상기 하부프레임(11)과의 연결부분이 두 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Referring to FIG. 3, the support frame 12 may have a 'T' shape and a connection portion with the lower frame 11 may be provided as one unit. In the inverted 'U' shape, 11 may be provided at two connection portions.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는 상기 하부프레임(11)과 평행하게 배치된 평탄한 바형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에 상기 링크로드부(30)의 상단부(31)가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may be formed in a flat bar shape tha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lower frame 11.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The upper end portion 31 of the first housing 30 can be engaged.

한편, 상기 링크로드부(30)는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에 힌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링크로드부(30)는 2개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2개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설명한다. The link rod portions 30 are provided so as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upp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30 are hinged to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Here, the link rod unit 30 may be provided in two or more, and two link rod units 30 will be described below as an example.

상세히, 상기 링크로드부(30)는 한쌍으로 구비되어 전후 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되,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ink rod portions 30 are provided as a pair and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rear direction, and the upp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30 can be hinged to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즉, 상기 링크로드부(30)는 전방 링크로드부(30a) 및 후방 링크로드부(30b)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전방 링크로드부(30a)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 전방에 결합되고, 상기 후방 링크로드부(30b)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 후방에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at is, the link rod portion 30 may be provided as a front link rod portion 30a and a rear link rod portion 30b, and the front link rod portion 30a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portion 12a And the rear link rod portion 30b is coupled to the rear of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

여기서, 힌지 결합이라는 말은 하나의 부재가 다른 하나의 부재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힌지 결합은 부싱과 샤프트를 이용한 실질적인 힌지 장치 이외에도 회전식 조인트, 트랙롤 등 다양한 회전운동부품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term 'hinge coupling' is understood to mean that one member is rotatably coupled to another member, and the hinge coupling is not limited to a practical hinge device using a bushing and a shaft, Lt; / RTI >

즉,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는 상기 지지프레임(12)에 연결된 상단부를 기준으로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결합된다. That is,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is coupled to rotat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upper end connected to the support frame 12. [

이때,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는 동일한 길이로 구비되되, 그의 상단부가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에 결합된 상태에서 그의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11)으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는 길이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have the same length, and the lower end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are separated from the lower frame 11 in the state where the upper end thereof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As shown in FIG.

그리고,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의 하단부(32)는 상기 스윙몸체부(2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되며, 상기 링크로드부(30)의 전후 방향에 회전에 따라 상기 스윙몸체부(20)가 상기 베이스몸체부(10)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후로 스윙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는 'ㄷ'자 형태로 구비되며, 분지된 하단부가 상기 스윙몸체부(20)의 하부에 힌지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The lower end portion 32 of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is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20. The lower end portion 32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is hinged to the swing body portion 20, (20) is coupled to the base body (10). At this time,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are formed in a 'C' shape, and a branched lower end portion is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20.

여기서,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는 상기 스윙몸체부(20)가 전후로 스윙되지 않는 평형 위치에서 상기 스윙몸체부(20)에 구비된 좌석부(29)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에 각각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is disposed at the front side and the rear side of the swinging body portion 20 with respect to the seat portion 29 provided at the swinging body portion 20 at a balanced position in which the swinging body portion 20 does not swing back and forth Respectively.

이처럼, 상기 링크로드부(30)가 한쌍으로 구비되어 상기 스윙몸체부(20) 및 상기 베이스몸체부(10)의 전방 및 후방에 각각 힌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스윙몸체부(20) 및 상기 좌석부(29)가 수평을 유지한 상태에서 전후로 스윙될 수 있다. The link rod portions 30 are hinged to the swing body 20 and the base body 10 so as to be hing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swing body 20 and the base body 10, It is possible to swing back and forth in a state in which the arm 29 remains horizontal.

이에 따라, 스윙시 사용자의 둔부가 좌석부(29)의 경사방향에 따라 미끌어지는 등의 안전사고가 예방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착석감을 통해 스윙시 어지러움 및 매스꺼움 등의 멀미 증상이 감소될 수 있다. Accordingly, a safety accident such as slipping the buttocks of the user along the inclination direction of the seat 29 during the swing can be prevented, and the sickness such as dizziness and nausea during swing can be reduced through a stable seating feeling.

한편,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스윙몸체부(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측부에 배치된 부분을 따라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전후로 스윙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발판부(40)가 구비된다. 2 to 3, the swing body 20 is provided to surround the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12, and the swing body 20 may b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support frame 12,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are hinged to swing back and forth, and a plurality of foot plates 40 are provided on the outer side.

상세히, 상기 스윙몸체부(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가 빈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지지프레임(12)이 배치되는 내부로부터 전방과 후방에 대응되는 부분이 개방되도록 구비되어 상기 지지프레임(12)과 충돌 없이 스윙 운동될 수 있다. In detail, the swinging body 20 is provided with an inner shape so that the support frame 12 can be disposed therein, and a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front and rear portions of the swinging body 20 is opened from the inside where the support frame 12 is disposed So that it can swing without collision with the support frame 12.

이때, 상기 스윙몸체부(20)의 내측면은 상기 지지프레임(12)과 대향되는 내부면을 의미하며, 외측면은 외부 공간과 대향되는 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In this case, the inner surface of the swing body 20 is an inner surface facing the support frame 12, and the outer surface is a surface facing the outer space.

여기서, 상기 스윙몸체부(20)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양측에 배치되어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됨에 따라 전후로 스윙되는 한쌍의 커버프레임(22)과,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를 따라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의 상부를 상호 연결하는 상부프레임(21)과,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의 외측면에 구비된 발판부(40)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swing body 20 includes a pair of cover frames 22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 frame 12 and swinging forward and backward as the low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and 30b are hinged together, An upper frame 21 interconnecting the upp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cover frames 22 along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and a foot plate portion 40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cover frames 22 ) May be included.

상세히, 상기 커버프레임(22)은 지지프레임(12)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되도록 한쌍으로 구비되며,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예를 들어,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은 긴바 부분이 바닥을 향해 누운 'D'자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In detail, the cover frames 22 are provided in a pair so as to be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frame 12, and the cover frames 22 are provided in the same shape. For example, each of the cover frames 22 may be provided in a 'D' shape in which a long portion is laid down toward the bottom.

그리고,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의 하부에는 상기 각 링크로드부(30a,30b)의 분지된 하단부(32)가 힌지 결합된다. 즉, 전방 링크로드부(30a)의 분지된 하단부는 지지프레임(12)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각 커버프레임(22)의 전방측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며, 후방 링크로드부(30b)의 분지된 하단부는 지지프레임(12)의 좌측 및 우측에 배치된 각 커버프레임(22)의 후방측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된다. The branched lower ends (32) of the link rod portions (30a, 30b) are hing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cover frames (22). That is, the branched lower end portions of the front link rod portions 30a are hinged to the front lower portions of the respective cover frames 2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frame 12, The branched lower ends are hinged to the lower portions of the rear sides of the respective cover frames 22 dispos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upport frame 12, respectively.

이때,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의 하부가 상기 링크로드부(30)의 하단부(32)에 결합되면, 상기 각 커버프레임(22)의 상부는 상기 베이스몸체부(10)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부프레임(21)에 의해 일체로 연결된다. At this time, when the lower part of each cover frame 22 is coupled to the lower end part 32 of the link rod part 30, the upper part of each cover frame 22 is disposed on the upper part of the base body part 10 And the upper frame 21, as shown in Fig.

한편,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좌석부(29)는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되, 착석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상부에 회전수단을 통해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좌석부(29)는 상기 상부프레임(21)에 착탈되도록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윙몸체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스윙몸체부(20)와 일체로 스윙될 수 있다. 1 to 4, the seat 29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ing body 20 through rotation means to change the seating direction. The seat 29 may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upper frame 21 and swing integrally with the swinging body 20 in a state where the seat 29 is mounted on the swinging body 20.

상세히, 사용자가 상기 좌석부(29)에 앉은 상태에서 허리를 중심으로 인체의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면 상기 링크로드부(30)가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스윙몸체부(20) 및 상기 좌석부(29)가 전후로 스윙될 수 있다. In detail,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is moved around the waist with the user sitting on the seat 29, the link rod portion 3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swing body portion 20 and the seat portion (29) can swing back and forth.

이에 따라,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로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는 전신 근육 운동이 가능하므로 운동시 좌석부(29)의 스윙에 따른 활동감으로 흥미 요소가 유발되면서도 체중으로 인한 무릎/허리 등의 관절 무리, 넘어짐 등 위험 요소가 최소화된 안전한 운동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Accordingly, since the whole body muscle movement that changes the center of gravity in a state where the user is seated can be performed, an interest factor is caused by the sense of activity due to the swing of the seat portion 29 during exercise, while the joints such as knee / A safe motion effect with minimized risk factors such as falling can be provided.

또한, 관절 부상, 넘어짐 등의 위험성이 최소화되므로 보호자가 없는 노약자의 경우에도 안전한 운동이 가능하며, TV를 보거나 음악을 듣는 등의 휴식시 의자의 기본기능을 이용하는 도중에도 언제든지 운동이 가능하므로 운동의 접근성 향상을 통해 노약자의 건강 개선에 이바지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risk of joint injuries and falls is minimized, it is possible to exercise safely even in the case of elderly people without a guardian, and it is possible to exercise at any time while using the basic functions of the chair during rest such as watching TV or listening to music. Improving accessibility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health of the elderly.

한편, 상기 좌석부(29)는 회전수단에 의해 상기 스윙몸체부(20)에 결합되며, 착석 방향이 전후 및 좌우로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회전수단은 상기 좌석부(29)의 하부에 돌설된 결합축(29a)과, 상기 상부프레임(21)의 중앙부에 형성된 결합홀(21a)로 구비될 수 있다. Meanwhile, the seat 29 is coupled to the swing body 20 by a rotating means, and the seating direction can be freely changed back and forth and right and left. The rotating means may include a coupling shaft 29a projecting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29 and a coupling hole 21a form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frame 21. [

이때, 상기 결합축(29a)은 원형 단면으로 구비되되, 상기 결합홀(21a)은 상기 결합축(29a)과 실질적으로 형합되는 형상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상기 결합축(29a)이 상기 결합홀(21a)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좌석부(29)가 상기 상부프레임(21)에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coupling shaft 29a is formed in a circular cross-section, and the coupling hole 21a is formed in a shape substantially conforming to the coupling shaft 29a, The seat 29 can be rotated in a state where it is coupled to the upper frame 21 as it is inserted into the hole 21a.

그리고, 상기 회전수단에는 상기 좌석부(29)가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스윙방향으로 배치되는 각도 및 상기 좌석부(29)가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스윙방향으로부터 수직으로 배치되는 각도에서 상기 좌석부(29)를 탄발 고정하는 고정수단이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The swinging body 20 has a swinging direction in which the seat 29 is disposed in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swinging body 20 and the seat 29 is disposed perpendicularly to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swinging body 20 It is more preferable that fixing means for elastically fixing the seat portion 29 at an angle is provided.

여기서, 상기 고정수단은 상기 결합홀(21a)의 테두리를 따라 하측으로 함몰 형성된 클릭감부여홈부와, 상기 결합축(29a)의 테두리에 구비되어 하측으로 탄발 지지된 클릭돌기로 구비될 수 있다. Here, the fixing means may include a click feeling imparting groove portion formed downward along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1a, and a click projection provided at the rim of the coupling shaft 29a and supported elastically downward.

이때, 상기 클릭감부여홈부는 상기 결합홀(21a)의 테두리를 따라 0도, 90도, 180도, 270도 등 복수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클릭돌기가 각 클릭감부여홈부에 삽입됨에 따라 상기 좌석부(29)의 각도가 탄발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lick feeling providing groove part may be provided in a plurality of 0 degree, 90 degree, 180 degree, 270 degree, etc. along the rim of the coupling hole 21a. As the click projection is inserted into each click feeling giving groove part The angle of the seat 29 can be elastically fixed.

이에 따라, 상기 좌석부(29)가 스윙몸체부(20)의 스윙방향 및 스윙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어 고정될 수 있으므로 상기 좌석부의 회전각도(29)에 따라 무게 중심을 이동시키는 운동의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at 29 can be rotated and fix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wing direction and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20, so that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along the rotation angle 29 of the seat portion Can be changed.

즉, 하나의 장치로 사용자의 허리를 전후로 틀어주는 운동과 좌우로 틀어주는 운동이 가능하므로 제품의 효율성 및 호환성이 향상될 수 있다. That is, a single device can move the user's waist forward and backward and move the user back and forth so that the efficiency and compatibili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물론, 상기 좌석부(29)는 높이조절수단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결합축(29a)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형성된 관통홀과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결합홀(21a)의 테두리에 걸림되는 걸림부재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걸림부재가 삽입된 높이에 따라 상기 좌석부(29)의 장착높이가 조절될 수 있다. Of course, it is preferable that the seat 29 further includes height adjusting means. For example, the height adjusting means may include a through hole formed at a plurality of step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upling shaft 29a, and an engaging member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engaged with the edge of the coupling hole 21a, The mounting height of the seat portion 29 can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engaging member.

한편, 상기 발판부(40)는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스윙시 상기 베이스몸체부(10)의 지지프레임(12)에 충돌되지 않도록 상기 커버프레임(22)의 외측면에 구비되되, 상기 좌석부(29)의 회전각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footrest 40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over frame 22 so as not to collide with the support frame 12 of the base body 10 when the swinging body 20 swings, It is preferable that the swinging body 20 is provided with a pair of front and rear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feet of the user accor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29.

즉, 상기 발판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좌측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의 좌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우측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의 우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That is, the footrest 40 may be installed on the left side of the cover frame provided on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frame 12 and on the right side of the cover frame provided on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frame 12.

그리고, 상기 발판부(40)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좌측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우측에 구비된 커버프레임의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될 수 있다. The footrest 40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over frame provided at the left side of the support frame 12 and is provided at the front and rear of the cover frame provided at the right side of the support frame 12 .

이때, 상기 좌석부(29)가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스윙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커버프레임의 전방 내지는 후방에 구비된 한쌍의 발판부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좌석부(29)가 상기 스윙몸체부(20)의 스윙방향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회전된 경우, 상기 사용자는 커버프레임의 좌측 내지는 우측에 구비된 한쌍의 발판부를 이용할 수 있다. In this case, when the seat 29 is rotated in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20, the user may use a pair of footrests provided at the front or rear of the cover frame, The user may use a pair of footrest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cover frame when the swing body 20 is rotat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20. [

이처럼, 상기 좌석부(29)의 회전각도에 대응하여 복수개소 구비된 발판부(40)를 통해 좌석부(29)의 회전에 따른 다양한 방향의 무게 중심 이동 운동시 사용자의 양발이 지지되므로 안정적인 자세 유지로 제품의 안전성이 개선될 수 있다. Since the two legs of the user are supported during the movement of the center of gravity in various direction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eat portion 29 through the footrest portion 40 provided at a plurality of portions corresponding to the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29,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이때, 상기 발판부(40)는 상기 커버프레임(22)에 구비된 장착홀(22a)에 착탈되도록 구비되되, 상기 장착홀(22a)은 상기 커버프레임(22)의 상하 방향을 따라 다단으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체형에 대응되도록 상기 발판부(40)의 높이 조절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oot part 40 is detachably mounted on a mounting hole 22a provided in the cover frame 22, and the mounting hole 22a is form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vertical direction of the cover frame 22 . Accordingly, the height of the footrest 40 can be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body shape of the user.

또한, 상기 발판부(40)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41)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발판부(40)가 사용자의 양발을 지지하여 안정적인 자세 유지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무게 중심 이동을 위한 발구름시 지압 효과를 함께 부여하여 제품의 운동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jections 41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oot part 40. Accordingly, the pedal support portion 40 supports the user's feet, thereby providing a stable posture maintaining function and maximizing the exercise effect of the product by imparting the pedestrian pressure effect for moving the center of gravity.

이처럼, 하나의 장치를 통해, 기본적인 의자, 운동기구, 지압 등 다양한 기능이 부여될 수 있으므로 효율적인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As described above, since a variety of functions such as a basic chair, a fitness device, and an acupressure can be given through a single device, efficient space utilization is possible.

이때, 상기 지압돌기(41)는 상기 발판부(40)의 측방향을 따라 요철을 형성하도록 다단으로 구비되되, 각 지압돌기(41)의 외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요철을 형성하는 복수개의 보조지압돌기(41a)가 돌설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각각의 착석방향에서 효과적인 지압이 이루어질 수 있다. At this time, the acupressure projection (41) is provided in a multi-stage so as to form concavo-convex along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foot part (40). On the outer surface of each acupressure projection (41), a plurality of auxiliary acupressure It is preferable that the projection 41a is staggered. As a result, effective pressure can be achieved in each seating direction.

한편, 상기 각 링크로드부(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구비된 힌지 결합부분에는 회전시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베어링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다. Preferably, bearings are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join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30 to reduce frictional force during rotation.

상세히, 상기 링크로드부(30)는 상단부(31)가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에 힌지 결합되고, 하단부(32)가 상기 커버프레임(22)의 하부에 힌지 결합된다. In detail, the link rod portion 30 is hinged to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and the lower end portion 32 is hinged to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22.

여기서, 상기 링크로드부(30)의 상단부(31) 및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는 제1힌지부(33a,33b)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링크로드부(30)의 하단부(32) 및 상기 커버프레임(22)의 하부는 제2힌지부(34a,34b,34c,34d)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The upper end portion 31 of the link rod portion 30 and the upper portion 12a of the support frame 12 may be coupled by the first hinge portions 33a and 33b, The lower end portion 32 of the cover frame 22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cover frame 22 can be coupled by the second hinge portions 34a, 34b, 34c, and 34d.

이때, 상기 각 힌지부는 외륜부와, 상기 외륜부의 내부에서 회전되되 외주면이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내륜부를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베어링은 상기 내륜부의 외주를 따라 복수개 구비되되, 각 베어링은 볼 내지는 롤러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In this case, each of the hinge parts may include an outer ring part and an inner ring part that is rotated inside the outer ring part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is supported by a bearing. Here, the bearings are provided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inner ring part, and the bearings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ball or a roller.

그리고, 상기 내륜부 및 상기 외륜부 사이에는 윤활물질이 충진될 수 있으며, 상기 내륜부 및 상기 외륜부의 소재가 윤활성 소재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A lubricant may be filled between the inner ring part and the outer ring part, and the material of the inner ring part and the outer ring part may be made of a lubricating material.

예를 들어, 상기 제1힌지부(33a,33b)의 외륜부는 상기 지지프레임(12)의 상부(12a)에 연결되고, 상기 제1힌지부의 내륜부는 상기 링크로드부(30)의 상단부(31)에 연결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uter ring part of the first hinge parts 33a and 33b is connected to the upper part 12a of the support frame 12, and the inner ring part of the first hinge part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31 of the link rod part 30 .

또한, 상기 제2힌지부의 외륜부는 상기 링크로드부(30)의 하단부(32)에 연결되고, 상기 제2힌지부의 내륜부는 상기 커버프레임(22)의 하부에 연결된다. The outer ring part of the second hinge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part 32 of the link rod part 30 and the inner ring part of the second hinge part is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cover frame 22.

이때, 상기 베어링을 통해 내륜부 및 외륜부 사이의 마찰력이 저감될 수 있으며, 상기 의자장치(100)가 실내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제1힌지부를 기준으로 한 지지프레임과 링크로드부 사이의 회전시 소음 및 상기 제2힌지부를 기준으로 한 커버프레임과 링크로드부 사이의 회전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inner ring part and the outer ring part can be reduced through the bearing, and when the chair device 100 is rotated in the rotation between the support frame and the link rod part with reference to the first hinge part, Noise and noise during rotation between the cover frame and the link rod portion with respect to the second hinge portion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각 링크로드부(30)의 상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각 링크로드부(30)의 하단부 사이 간격보다 넓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힌지부 간의 전후 방향 거리는 상기 제1힌지부 간의 전후 방향 거리보다 좁게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The distance between the upp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30 may be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lower end portions of the link rod portions 30. [ That is,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hinge portions in the fore and aft direction is preferably narrow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hinge portion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이때, 상기 스윙몸체부(20)의 평형 위치에서 상기 제2힌지부가 상기 제1힌지부보다 좌석부(29)의 하부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스윙몸체부(20)의 평형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 사용자가 좌석부(29)에 앉을 때와 좌석부(29)로부터 내릴 때 스윙몸체부(20)의 흔들림이 감소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econd hinge portion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lower portion of the seat portion 29 in the equilibrium posi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20, and the state of equilibrium of the swing body portion 20 The swinging of the swinging body 20 can be reduced when the user sits on the seat 29 and when the seat 29 is lowered.

이에 따라, 사용자가 의자장치(100) 이용시 스윙몸체부(20)의 급격한 유동으로 인한 미끄러짐이 방지되어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ser uses the chair device 100, slipping due to abrupt flow of the swinging body 20 is prevented, and the safety of the product can be improved.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의 스윙운동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로드부(230)에 확장힌지부(233)이 구비되는 것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FIG. 5 is an exemplary view illustrating a swing motion of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is embodiment, since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extension hinge portion 233 is provided in the link rod portion 230 is the same as the on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링크로드부(230)는 상기 스윙몸체부(220)의 스윙방향을 따라 다단 절첩되도록 일측에 확장힌지부(2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 5,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230 may have an extended hinge portion 233 on one side thereof so as to be fold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220.

여기서, 상기 확장힌지부(233)는 상기 각 링크로드부(230)가 이단 절첩되도록 하나의 링크로드부에 하나씩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고, 각 링크로드부(230)가 삼단 이상으로 절첩되도록 하나의 링크로드부에 복수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extended hinge portion 233 may be provided on one link rod portion so that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230 is folded in two ends. It is also possible to have a plurality of link load units.

이때, 상기 각 확장힌지부(233)는 각 링크로드부에서 동일한 위치를 따라 구비됨이 바람직하며, 이하에서는 하나의 링크로드부에 하나의 확장힌지부(233)가 구비되는 것을 예로서 설명한다. Here, the extended hinge parts 233 are preferably provided at the same positions in the link rod parts. Hereinafter, one extended hinge part 233 is provided in one link rod part .

예를 들어, 상기 링크로드부(230)는 상기 베이스몸체부(210)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로드(231)와, 상기 스윙몸체부(220)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로드(232)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로드(231) 및 하부로드(232)는 상기 확장힌지부(233)에 의해 절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nk rod unit 230 includes an upper rod 231 hinged to the base body 210 and a lower rod 232 hinged to the swing body 220, The upper rod 231 and the lower rod 232 may be coupled by the extended hinge portion 233 to be folded.

이때, 상기 스윙몸체부(220)의 좌석부에 사용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발판부를 구르며 인체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키면 상기 링크로드부(230)의 전후 방향으로 회전되며 상기 스윙몸체부(220)가 스윙될 수 있다. When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human body is changed while the user is sitting on the seat of the swinging body 220, the swinging body 220 is rotat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of the linking rod 230, It can be swung.

여기서, 상기 스윙몸체부(220)는 스윙운동 초기에 상기 확장힌지부(233)를 중심으로 진자 운동될 수 있으며, 하부로드(232)의 길이에 대응되는 짧은 반경을 따라 진자 운동되므로 과도한 힘 없이도 빠른 가속이 가능하여 원활한 스윙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Here, the swinging body 220 may be pendulum-shaped around the extended hinge portion 233 at the beginning of the swing motion, and may be pendulum-shaped along a short radius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lower rod 232, Fast acceleration is possible and smooth swing motion can be achieved.

그리고, 상기 스윙몸체부(220)가 일정 각도 이상으로 진자 운동되면, 상기 스윙몸체부(220)는 제1힌지부(234)를 중심 하부로드(232)와 상부로드(231)의 길이 대응되는 긴 반경을 따라 진자 운동될 수 있다. When the swinging body 220 is pendulously moved over a predetermined angle, the swinging body 220 moves the first hinge part 234 to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length of the center lower rod 232 and the upper rod 231 The pendulum can be moved along a long radius.

이와 함께, 상기 링크로드부(230)가 절첩, 즉 상부로드(231)의 운동방향에 대응되는 방향으로 하부로드(232)가 절첩되며, 스윙 운동의 전후 방향 폭과 상하 방향 높이의 최대 범위가 확장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ink rod 230 is folded, that is, the lower rod 232 is fold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ion of motion of the upper rod 231, and the maximum range of the swing motion width in the front- Can be expanded.

또한, 상기 제1힌지부(234)를 중심으로 한 상부로드(231)의 스윙운동과 함께 상기 확장힌지부(233)를 중심으로 한 하부로드(232)의 스윙운동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스윙몸체부(220)의 운동 방향이 원호 방향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수직 방향과 수평 방향으로 확장될 수 있어 높은 자유도의 스윙 운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swing motion of the upper rod 231 around the first hinge portion 234 and the swing motion of the lower rod 232 about the extended hinge portion 233 can be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movement direction of the body portion 220 is not limited to the circular arc direction but can be extend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swing motion with a high degree of freedom can be achieved.

이로 인해, 스윙 운동시 빠른 가속, 높은 자유도의 운동방향, 확장된 운동 범위 등이 제공될 수 있으므로 다이나믹한 활동감으로 운동의 흥미가 극대화될 수 있다. As a result, the swing motion can be accelerated, the motion direction of the high degree of freedom, and the extended range of motion can be provided, so that the interest of the exercise can be maximized by the dynamic activity feeling.

이때, 상기 확장힌지부(233)에는 상기 하부로드(232) 및 상기 상부로드(231)의 절첩시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베어링이 개재됨이 바람직하며, 실내에서 사용될 수 있도록 상기 의자장치(200)의 구동시 소음이 최소화될 수 있다. 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lower hinge portion 233 and the lower hinge portion 233 to reduce frictional force when the lower rod 232 and the upper rod 231 are folded. Noise during driving can be minimized.

한편, 상기 확장힌지부(233)에는 상기 절첩된 링크로드부(230)가 직선형으로 탄성 복원되도록 토션스프링(233c)이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Meanwhi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xtension hinge part 233 is provided with a torsion spring 233c so that the folded link rod part 230 is elastically restored linearly.

상세히, 상기 확장힌지부(233)는 상기 상부로드(231)에 연결되는 외륜부(233a)와, 상기 하부로드(232)에 연결되되 외주가 베어링에 의해 지지되어 상기 외륜부(233a)의 내부에 회전되는 내륜부를 포함하여 구비될 수 있다. The outer hinge part 233 is connected to the upper rod 231 and the outer hinge part 233 is connected to the lower rod 232. The outer hinge part 233 is supported by bearings, And an inner ring portion that is rotated by the inner ring portion.

이때, 상기 토션스프링(233c)은 양단부가 상기 외륜부 및 상기 내륜부에 각각 연결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토션스프링(233c)의 일단부는 상기 외륜부에 고정되며, 상기 토션스프링(233c)의 타단부는 상기 내륜부에 고정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torsion spring 233c is installed so that both end portions thereof are connected to the outer ring portion and the inner ring portion, respectively. That is,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233c is fixed to the outer ring part, and the other end of the torsion spring 233c is fixed to the inner ring part.

여기서, 상기 상부로드(231) 및 상기 하부로드(232)가 직선형으로 배치되는 각도의 내륜부 및 외륜부에 상기 토션스프링(233c)의 양단부가 탄성 변형율이 0인 상태로 각각 연결된다. Both ends of the torsion spring 233c are connected to the inner ring portion and the outer ring portion at angles at which the upper rod 231 and the lower rod 232 are linearly arranged, with the elastic deformation rate being zero.

이에 따라, 상기 상부로드(231) 및 상기 하부로드(232)가 직선형에 벗어나도록 절첩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33c)이 상기 상부로드(231) 및 상기 하부로드(232)가 직선화되는 방향의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ly, when the upper rod 231 and the lower rod 232 are folded so as to be out of a straight line, the torsion spring 233c is elastically restore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upper rod 231 and the lower rod 232 are straightened Can be provided.

즉, 상기 하부로드(232)가 상기 상부로드(231)의 배치 방향으로부터 후방으로 절첩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33c)은 상기 하부로드(232)가 전방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며, 상기 하부로드(232)가 상기 상부로드(231)의 배치 방향으로부터 전방으로 절첩되면, 상기 토션스프링(233c)은 상기 하부로드(232)가 후방측으로 회전될 수 있는 탄성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lower rod 232 is folded rearward from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upper rod 231, the torsion spring 233c provides an elastic restoring force by which the lower rod 232 can be rotated forward, When the lower rod 232 is folded forward from the placement direction of the upper rod 231, the torsion spring 233c can provide an elastic restoring force that allows the lower rod 232 to be rotated backward.

이때, 상기 하부로드(232)에 가해지는 절첩 반대방향 탄성 복원력은 상기 스윙몸체부(220)의 스윙 방향이 변경되는 좌우 각각의 최대 운동 지점에서 스윙몸체부(220)의 스윙운동에 가속력을 부여하게 된다. At this time, the elastic restoring force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folding force applied to the lower rod 232 gives an acceleration force to the swinging motion of the swinging body 220 at the right and left maximum movement points where the swinging direction of the swinging body 220 is changed .

이에 따라, 스윙 운동시 한층 스릴 있는 활동감이 제공될 수 있어 제품의 운동 흥미 유발 성능이 현저히 개선될 수 있다. As a result, a sense of thrilling activity can be provided during the swing motion, and the motional attracting performance of the product can be remarkably improved.

한편, 도 6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의 링크로드부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링크로드부(330)를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은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FIG. 6 is a side view illustrating a swing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exploded view illustrating a link rod portion of a swing motion foot pressure chair devi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asic configuration except for the link rod unit 330 is the same as that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o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same configuration will be omitted.

도 6 내지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각 링크로드부(330)는 상기 스윙몸체부의 스윙방향에 따라 탄발적으로 휘어짐 변형되도록 일측에 탄성연결부(333)가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As shown in FIGS. 6 to 7, it is preferable that each of the link rod parts 330 is provided with an elastic connection part 333 at one side so as to be elastically deformed according to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part.

상세히, 상기 링크로드부(330)는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상부로드(331)와, 상기 스윙몸체부에 힌지 결합되는 하부로드(332)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로드(331) 및 상기 하부로드(332)는 탄성연결부(333)에 의해 탄발적으로 휘어짐 변형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In detail, the link rod unit 330 includes an upper rod 331 hinged to the base body and a lower rod 332 hinged to the swing body. The upper rod 331, The lower rod 332 may be coupled to be elastically bent and deformed by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333.

여기서, 상기 탄성연결부(333)는 코일형 스프링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로드(331) 및 상기 하부로드(332)의 단부에는 상기 탄성연결부(333)의 단부가 나사 체결되도록 탄성연결부(333)의 코일 두께에 대응되는 피치로 결합나사산(331a,332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333 may be a coil spring and an elastic connecting portion 333 may be formed at an end of the upper rod 331 and the lower rod 332 so that the end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333 is screwed. The coupling threads 331a and 332a are formed at a pitch corresponding to the coil thickness of the coil.

즉, 상기 탄성연결부(333)는 상기 각 로드(331,332)의 단부를 감싸 회전되며 나사 체결될 수 있으며, 상기 상부로드(331)의 하단부에는 상기 탄성연결부(333)의 상단부가, 상기 하부로드(332)의 상단부에는 상기 탄성연결부(333)의 하단부가 체결될 수 있다.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33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rod 331 at the lower end of the upper rod 331. The upper end of the elastic connection 333 is connected to the upper end of the lower rod 331, 332 may be fastened to the lower end of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333. [

물론, 상기 탄성연결부(333) 및 상기 각 로드(331,332) 간의 결합은 나사 체결 방식 이외에도 탄발적인 걸림 결합이나 후크 결합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Of course, the connection between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333 and the respective rods 331 and 332 may be formed by a collisional engagement or a hook coupling in addition to the screw connection.

이때, 상기 탄성연결부(333)의 체결시 회전량을 조절하여 각 링크로드부(330)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각 링크로드부(330)의 조립시 상기 베이스몸체부에 연결된 스윙몸체부 및 좌석부의 수평이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each link rod portion 330 can be adjusted by adjusting the amount of rotation of the elastic connection portion 333 when fastened. Accordingly, when assembling the link rod portions 330, the swing body portion and the seat portion, which are connected to the base body portion, can be easily adjusted in level, thereby improving the usability of the product.

또한, 상기 탄성연결부(333)가 스윙시 전후 방향 및 길이 방향으로 탄발 변형되며 덜컹거림 등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스윙몸체부가 부드럽게 진자 운동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둔부나 관절에 대한 부상 우려를 최소화하여 제품의 안전성이 향상될 수 있다. In addition, since the elastic connecting portion 333 is elastically deforme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during swing, the swinging body can smoothly perform the pendulum movement by alleviating the impact such as lurching, thereby minimizing the risk of injury to the user's buttocks or joints, Can be improved.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nd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r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10,210: 베이스몸체부
11: 하부프레임 12: 지지프레임
20,220: 스윙몸체부 21: 상부프레임
22: 커버프레임 29: 좌석부
30,230,330: 링크로드부 40: 발판부
100: swinging foot pressure chair device 10,210: base body part
11: lower frame 12: support frame
20,220: swing body part 21: upper frame
22: cover frame 29: seat portion
30, 230, 330: link rod section 40:

Claims (5)

지면에 지지되는 하부프레임과, 상기 하부프레임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 지지프레임을 포함하는 베이스몸체부;
전후 방향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도록 복수개 구비되되, 각각의 상단부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 결합되는 링크로드부;
상기 지지프레임의 상부 및 측부를 감싸도록 구비되되, 상기 지지프레임의 측부에 배치된 부분을 따라 상기 각 링크로드부의 하단부가 힌지 결합되어 전후로 스윙되고, 외측면에 복수개의 발판부가 구비되는 스윙몸체부; 및
사용자의 둔부를 지지하되, 착석방향이 전환되도록 상기 스윙몸체부의 상부에 회전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좌석부를 포함하되,
상기 각 링크로드부는 상기 스윙몸체부의 스윙방향을 따라 다단 절첩되도록 일측에 확장힌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확장힌지부에는 절첩시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베어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A base body portion including a lower frame supported on the ground and a support frame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frame;
A link rod portion having a plurality of upper and lower end portions hinged to an upper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A swinging body having a swing body swinging forward and backward at a lower end portion of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along a portion disposed on a side portion of the support frame to surround upper and side portions of the support frame, ; And
And a seat portion that supports the buttocks of the user and is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through rotation means so that the seating direction is switched,
Wherein each of the link rod portions is provided with an enlarged hinge portion on one side so as to be folded in multiple stages along the swing direc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and the bearing is interposed in the extended hinge portion to reduce frictional force when folded.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링크로드부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구비된 힌지 결합부분에는 회전시 마찰력이 저감되도록 베어링이 개재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bearing is interposed between the hinge joint portions of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link rod portions so as to reduce frictional force during rotati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좌석부의 회전각도에 따른 상기 사용자의 발 위치에 대응하여 상기 스윙몸체부의 전방부 및 후방부에 각각 한쌍으로 구비되되,
상기 각 발판부의 외면에는 복수개의 지압돌기가 돌설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윙운동 발지압 의자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ootrest portion is provided in a pair of a front portion and a rear portion of the swing body portion corresponding to a foot position of the user according to a rotation angle of the seat portion,
Wherein a plurality of acupressure protrusions are formed on an outer surface of each of the footrests.
KR1020160000752A 2016-01-05 2016-01-05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Active KR101623738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52A KR101623738B1 (en) 2016-01-05 2016-01-05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0752A KR101623738B1 (en) 2016-01-05 2016-01-05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3738B1 true KR101623738B1 (en) 2016-05-24

Family

ID=561141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0752A Active KR101623738B1 (en) 2016-01-05 2016-01-05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738B1 (e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214A (en)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Chair having swing function and swing module used therefor
KR102006812B1 (en) 2018-07-24 2019-10-01 정진우 Exercise chair
CN111420365A (en) * 2020-05-25 2020-07-17 河南中医药大学 A breathing exercise device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7163A (en) 1991-12-12 1995-03-14 Puerner; Christoph Suspension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urniture
JP2007029193A (en) * 2005-07-22 2007-02-08 Kyushu Hitachi Maxell Ltd Exercise apparatus
KR101398847B1 (en) * 2012-06-30 2014-07-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Chai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97163A (en) 1991-12-12 1995-03-14 Puerner; Christoph Suspension arrangement for an article of furniture
JP2007029193A (en) * 2005-07-22 2007-02-08 Kyushu Hitachi Maxell Ltd Exercise apparatus
KR101398847B1 (en) * 2012-06-30 2014-07-01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Chair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1214A (en) * 2016-11-08 2018-05-16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Chair having swing function and swing module used therefor
WO2018088752A1 (en) * 2016-11-08 2018-05-17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Chair having swing motion function and swing module for use therein
KR102079365B1 (en) * 2016-11-08 2020-02-19 주식회사 세강에이에스씨 Chair having swing function for business or learning
EP3539622A4 (en) * 2016-11-08 2020-06-24 Sekang ASC Co., Ltd. Chair having swing motion function and swing module for use therein
KR102006812B1 (en) 2018-07-24 2019-10-01 정진우 Exercise chair
CN111420365A (en) * 2020-05-25 2020-07-17 河南中医药大学 A breathing exercise device for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150219A1 (en) Vertical auxiliary apparatus for both body inversion and rehabilitation
JP5122941B2 (en) Standing-type passive exercise equipment
EP3145367B1 (en) Activating platform
JP2003511169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moting exercise and reducing back pain
KR20040029963A (en) Exercise apparatus
JP7484829B2 (en) Chair
JP7571678B2 (en) Pedaling exercise system
KR101623738B1 (en) chair apparatus for swing exercise and foot massage
WO2011027750A1 (en) Gait training device
EP3488838B1 (en) Armchair with passive limb-exercising elements
CA2485140C (en) Cardiovascular spine exerciser
KR100764064B1 (en) Saddle for exercise equipment and exercise equipment using the same
JP2008237785A (en) Gravity load exercise device
KR200230540Y1 (en) Chair
KR101768999B1 (en) Apparatus for exercising lower body
KR102714458B1 (en) Right and left variable rotation pedal type exercise equipment for remedical exercise
KR200431494Y1 (en) Rocking chair
JP3204232U (en) Back and forth swing chair
JP4747723B2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JP2019013625A (en) Chair
JP2007260186A (en) Balance training apparatus
KR20140005024U (en) Posture keeping rocking chair for disable children
KR20220125461A (en) handstand exercise equipment
JP5069782B2 (en) Exercise assistance device
KR20220130410A (en) handstand exercise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0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51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51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