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3592B1 - 액정표시장치 - Google Patents

액정표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92B1
KR101623592B1 KR1020090114590A KR20090114590A KR101623592B1 KR 101623592 B1 KR101623592 B1 KR 101623592B1 KR 1020090114590 A KR1020090114590 A KR 1020090114590A KR 20090114590 A KR20090114590 A KR 20090114590A KR 101623592 B1 KR101623592 B1 KR 101623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ue
dimming
image
backlight unit
liquid cryst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4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7951A (ko
Inventor
이정환
오의열
권경준
추교혁
박창균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4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92B1/ko
Priority to US12/829,531 priority patent/US8842138B2/en
Priority to TW099122395A priority patent/TWI421844B/zh
Priority to CN2010102258698A priority patent/CN102074210B/zh
Publication of KR201100579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79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9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09G3/342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 G09G3/342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using several illumination sources separately controlled corresponding to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e.g. along one dimension such as lines the different display panel areas being distributed in two dimensions, e.g.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2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for control of overall brightness
    • G09G2320/0646Modulation of illumination source brightness and image signal correlated to each oth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패널;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며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글로벌 디밍 결과값과 로컬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고,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을 분석하고,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분석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을 이용하여 컨벡스조합(Convex Combination)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과 영상 데이터신호의 영상보정값을 생성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액정표시장치, 디밍, 보정

Description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액정표시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표시장치는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구동 등의 특징으로 인해 그 응용범위가 점차 넓어지고 있는 추세에 있다. 투과형 액정표시장치는 액정층에 인가되는 전계를 제어하여 백라이트 유닛으로부터 입사되는 빛을 변조함으로써 화상을 표시한다.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중에는 화질 향상을 위해 개발된 글로벌 디밍 방법(global dimming method)과 로컬 디밍 방법(local dimming method)이 있다. 글로벌 디밍 방법은 현재 화면 전체의 영상을 분석하여 백라이트 전체의 구동량을 결정하고, 화면 전체의 화소에 동일한 게인(gain)값을 취해줌으로써, 이전과 같은 밝기의 영상을 출력하면서 소비전력을 감소시키고 명암비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로컬 디밍 기법은 백라이트를 소정개의 논리적 블록으로 분할하여 구동하는 것으로, 해당 블록에 출력되는 영상의 특징에 따라 블록마다 서로 다른 정도로 백라이트의 구동량을 결정하고, 해당 블록의 화소 값을 각기 다르게 조절해주는 것이다. 대부분의 영상에 대해서 로컬 디밍 방법이 글로벌 디밍 방법보다 더 높은 소비전력 저감 율과 높은 명암비를 가져올 수 있다. 하지만 영상에서 크게 밝은 부분과 크게 어두운 부분이 가깝게 존재할 때, 어두운 부분 주변의 밝은 부분의 백라이트에 영향을 받아서 어두운 부분이 떠 보이는 헤일로(halo)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어두운 부분의 백라이트의 밝기가 충분하지 못하기 때문에 그 주변의 밝은 부분에서는 계조 뭉침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명암비 향상효과를 유지하면서 계조 뭉침 및 헤일로 문제를 방지하고 표시품질 및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액정패널;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며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글로벌 디밍 결과값과 로컬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고,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을 분석하고,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분석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을 이용하여 컨벡스조합(Convex Combination)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과 영상 데이터신호의 영상보정값을 생성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영상보정부는, 평균화상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을 분석할 수 있다.
영상보정부는,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휘도 차가 크면 글로벌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를 높이고,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휘도 차가 적으면 로컬 디밍 결과값에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보정디밍값은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되며,
Figure 112009072521583-pat00001
dim(i,j)는 백라이트유닛의 디밍값이고, dimGD는 글로벌 디밍시 백가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며, dimLD(i,j)는 로컬 디밍시 광원의 위치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고, α는 0 ≤α≤ 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α는, 차분값이 작을 경우 0 ~ k(k는 0 초과 실수를 포함) 값을 갖고, 차분값이 클 경우 k ~ 1 값을 가질 수 있다.
영상보정부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 산출부와, 로컬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는 로컬 디밍 결과값 산출부와, 평균화상레벨을 산출하는 블록별 평균화상레벨 산출부와,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을 분석하는 평균화상레벨의 차분값 분석부와,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차분값을 이용하여 컨벡스조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컨벡스조합 파라미터 결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을 기초로 백라이트유닛을 구동하는 백라이트유닛 구동부와,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을 기초로 블록별 화소 보정량을 산출하여 영상보정값을 화소별로 생성하는 보정량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보정부는, 영상 데이터신호가 동화상일 때, 동화상의 레터박스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상기 로컬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 대비 글로벌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액정패널;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며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글로벌 디밍 방식과 로컬 디밍 방식으로 구동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글로벌 디밍값과 로컬 디밍값 중 하나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백라이트유닛의 디밍값을 생성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영상보정부는, 영상 데이터신호가 동화상일 때 동화상의 레터박스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로컬 디밍값의 가중치 대비 글로벌 디밍값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신호에 따라 글로벌 디밍 방법과 로컬 디밍 방법 중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도록 구동하여 명암비 향상효과를 유지하면서 계조 뭉침 및 헤일로 문제를 방지하고 표시품질 및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블록도 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패널의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 이며, 도 3은 백라이트유닛의 광원 구성 예시도 이고, 도 4 및 도 5는 디밍 커브의 예시도 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타이밍구동부(TCN), 데이터구동부(DDRV), 게이트구동부(SDRV), 영상보정부(CMP), 액정패널(PNL), 백라이트유닛(BLU) 및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를 포함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외부로부터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영상 데이터신호신호(DDATA)를 공급받는다. 타이밍구동부(TCN)는 수직 동기신호(Vsync), 수평 동기신호(Hsync),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ata Enable, DE), 클럭신호(CLK) 등의 타이밍신호를 이용하여 데이터구동부(DDRV)와 게이트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한다. 타이밍구동부(TCN)는 1 수평기간의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DE)를 카운트하여 프레임기간을 판단할 수 있으므로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수직 동기신호(Vsync)와 수평 동기신호(Hsync)는 생략될 수 있다. 타이밍구동부(TCN)에서 생성되는 제어신호들에는 게이트구동부(S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DDRV)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가 포함될 수 있다.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는 게이트 스타트 펄스(Gate Start Pulse, GSP), 게이트 시프트 클럭(Gate Shift Clock, GSC),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ate Output Enable, GOE) 등이 포함된다.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는 첫 번째 게이트신호가 발생하는 게이트 드라이브 IC(Integrated Circuit)에 공급된다. 게이트 시프트 클럭(GSC)은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에 공통으 로 입력되는 클럭신호로써 게이트 스타트 펄스(GSP)를 시프트시키기 위한 클럭신호이다. 게이트 출력 인에이블신호(GOE)는 게이트 드라이브 IC들의 출력을 제어한다.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는 소스 스타트 펄스(Source, Start Pulse, SSP), 소스 샘플링 클럭(Source Sampling Clock, SSC),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urce Output Enable, SOE) 등이 포함된다.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데이터 샘플링 시작 시점을 제어한다. 소스 샘플링 클럭(SSC)은 라이징 또는 폴링 에지에 기준하여 데이터구동부(DDRV) 내에서 데이터의 샘플링 동작을 제어하는 클럭신호이다. 소스 출력 인에이블신호(SOE)는 데이터구동부(DDRV)의 출력을 제어한다. 한편, 데이터구동부(DDRV)에 공급되는 소스 스타트 펄스(SSP)는 데이터전송 방식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되는 디지털 형태의 영상 데이터신호신호(D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여 병렬 데이터 체계의 데이터로 변환한다. 이를 위해, 데이터구동부(DDRV)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참조하여 디지털 형태의 영상 데이터신호신호(DDATA)를 저장하는 래치와, 래치로부터 전달받은 영상 데이터신호신호(DDATA)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신호(ADATA)로 변환하는 변환기와, 변환기로부터 출력된 데이터신호(ADATA)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데이터구동부(DDRV)는 데이터라인들(DL1~DLn)을 통해 변환된 데이터신호(ADATA)를 액정패널(PNL)에 공급한다.
스캔구동부(SDRV)는 타이밍구동부(TCN)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 구동전압을 순차적으로 생성한다. 이를 위해, 스캔구동부(SDRV)는 시프트 레지스터와, 시프트 레지스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의 레벨을 조정하는 레벨 시프터와, 레벨 시프터로부터 전달받은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스캔구동부(SDRV)는 게이트라인들(SL1~SLm) 통해 생성된 게이트신호를 액정패널(PNL)에 공급한다.
액정패널(PNL)은 트랜지스터기판(이하 TFT기판으로 약칭)과 컬러필터 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하며 매트릭스형태로 배치된 서브 픽셀을 포함한다. TFT기판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TFT, 스토리지 커패시터 등이 형성되고, 컬러필터 기판에는 블랙매트릭스, 컬러필터 등이 형성된다. 하나의 서브 픽셀(SP)은 도 2와 같이 상호 교차하는 데이터라인(Data1)과 게이트라인(Gate1)에 의해 정의된다. 서브 픽셀(SP)에는 게이트라인(Gate1)을 통해 공급된 게이트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TFT, 데이터라인(Data1)을 통해 공급된 데이터신호를 데이터전압으로 저장하는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스토리지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데이터전압에 의해 구동하는 액정셀(Clc)이 포함된다. 액정셀(Clc)은 화소전극(1)에 공급된 데이터전압과 공통전극(2)에 공급된 공통전압(Vcom)에 의해 구동된다. 공통전극은 TN(Twisted Nematic) 모드와 VA(Vertical Alignment) 모드와 같은 수직전계 구동방식에서 컬러필터 기판 상에 형성되며, IPS(In Plane Switching) 모드와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와 같은 수평전계 구동방식에서 화소전극과 함께 TFT기판 상에 형성된다. 액정패널(PNL)의 TFT기판과 컬러필터 기판에는 편광판이 부착되고 액 정의 프리틸트각(pre-tilt angle)을 설정하기 위한 배향막이 형성된다. 액정패널(PNL)의 액정모드는 전술한 TN 모드, VA 모드, IPS 모드, FFS 모드뿐 아니라 어떠한 액정모드로도 구현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BLU)은 액정패널(PNL)에 광을 제공한다. 백라이트유닛(BLU)은 도 3과 같이 블록단위로 형성된 복수의 광원(L11~L55)을 포함한다. 백라이트유닛(BLU)에 포함된 광원(L11~L55)은 매트릭스형태(i, j)로 배치되며 이는 n개 이상의 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광원은 HCFL(Hot Cathode Fluorescent Lamp), CCFL(Cold Cathode Fluorescent Lamp), EEFL(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amp), LED(Light Emitting Diode) 중 어느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백라이트유닛(BLU)에는 효율적인 광 출사 및 제공을 위한 도광판, 확산판, 프리즘시트, 렌즈시트, 보호시트 등을 포함하는 광학부재가 포함된다.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는 영상보정부(CMP)로부터 공급된 보정디밍값(BLdim)에 따라 듀티비가 가변되는 펄스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등과 같은 디밍신호(dim1~dimk)로 백라이트유닛(BLU)의 광원을 블록단위로 제어한다. 디밍신호(dim1~dimk)에는 글로벌 디밍 신호와 로컬 디밍 신호가 포함된다. 글로벌 디밍 방법은 이전 프레임과 그 다음 프레임간에 측정되는 동적 명암비((Dynamic contrast ratio)를 개선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로컬 디밍 방법은 한 프레임기간 내에서 영상 데이터신호의 휘도를 국부적으로 제어함으로써 글로벌 디밍으로는 개선하기 어려운 정적 명암비(Static contrast ratio)를 개선할 수 있다. 로컬 디밍 방법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의 블록별 대표값을 도출한 후 그 블록별 대표값을 디밍 커브에 맵핑(mapping)시켜 블록별 디밍값(%)을 선택할 수 있다. 예컨대, 로컬 디밍시 도 4와 같은 형태의 커브 또는 도 5와 같은 형태의 커브 등으로 선택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에서, X축은 블록별 대표값이고, Y축은 디밍값(%)이다. 도 4와 같은 디밍 커브는 계조가 높아질수록 지수함수적으로 디밍값(%)이 높아지는 반면, 도 5와 같은 디밍 커브는 계조에 비례하여 디밍값(%)이 선형적으로 높아진다. 위와 같은 형태의 디밍 커브에 따라, 백라이트유닛(BLU)의 광원은 점등 및 소등의 비율이나 휘도를 달리할 수 있게 된다.
영상보정부(CMP)는 표시패널(PNL)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DDATA)에 대한 글로벌 디밍 결과값과 로컬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고, 영상 데이터신호(DDATA)에 대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을 분석하고,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분석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을 이용하여 컨벡스조합(Convex Combination)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BLdim)과 영상 데이터 신호의 영상보정값(CDATA)을 생성한다. 이를 위해, 영상보정부(CMP)는 평균화상레벨을 산출하고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을 분석할 수 있고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차분값을 기초로 컨벡스조합(Convex Combination)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보정부(CMP)는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휘도 차가 크면 글로벌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를 높이고,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휘도 차가 적으면 로컬 디밍 결과값에 가중치를 높인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영상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고, 도 7은 영상보정부와 연동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보정부(CMP)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을 산출하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 산출부(GLD)와, 로컬 디밍 결과값(ldv)을 산출하는 로컬 디밍 결과값 산출부(LD)와, 평균화상레벨(apl)을 산출하는 블록별 평균화상레벨 산출부(APLP)와,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plv)을 분석하는 평균화상레벨의 차분값 분석부(APLD)와,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 로컬 디밍 결과값(ldv) 및 차분값(plv)을 이용하여 컨벡스조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컨벡스조합 파라미터 결정부(CCPD)를 포함한다.
글로벌 디밍 결과값 산출부(GLD)는 모든 영상 데이터신호의 밝은 정도 및 화소보상 가능 정도를 판단하여, 보상할 수 있는 수준까지 백라이트유닛(BLU)의 전체 밝기를 동일한 비율로 낮춰주고, 낮아진 수준만큼 화소보상으로 보정을 할 수 있도록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을 산출한다.
로컬 디밍 결과값 산출부(LD)는 논리적 블록으로 분할 백라이트유닛(BLU)의 광원 블록에 출력되는 영상 데이터신호의 밝은 정도 및 화소보상 가능 정도에 따라 해당 블록의 백라이트유닛(BLU)의 구동 수준을 결정하고 화소보상을 할 수 있도록 로컬 디밍 결과값(ldv)을 산출한다.
평균화상레벨 산출부(APLP)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의 대한 픽셀들의 휘도 값을 평균값으로 산출하되, 로컬 디밍시 구분되는 논리적 블록별 평균화상레벨을 산출한다.
평균화상레벨의 차분값 분석부(APLD)는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한 블록들 간의 차이 정도 및 차이가 발생하는 블록의 수를 계산하여 그 결과인 차분값(plv)을 분석한다.
컨벡스조합 파라미터 결정부(CCPD)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 로컬 디밍 결과값(ldv) 및 차분값(plv)을 이용하여 인접한 영역 간의 휘도 차이가 크면 글로벌 디밍에 큰 가중치를 두고, 인접한 영역 간의 휘도 차이가 큰 부분이 적게 존재하면 로컬 디밍에 큰 가중치를 두어 한 화면 내의 명암비(contrast ratio) 향상 효과를 유지하도록 한다. 영상보정부(CMP)의 컨벡스조합 파라미터 결정부(CCPD)에 의한 백라이트유닛(BLU)의 보정디밍값(BLdim)을 수학식으로 정의하면 하기 수학식 1과 같다.
Figure 112009072521583-pat00002
여기서, dim(i,j)는 백라이트유닛의 디밍값이고, dimGD는 글로벌 디밍시 백가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며, dimLD(i,j)는 로컬 디밍시 광원의 위치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고, α는 0 ≤α≤ 1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α는, 차분값이 작을 경우 0 ~ k(k는 0 초과 실수를 포함) 값을 갖고, 차분값이 클 경우 k ~ 1 값을 가질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영상보정부(CMP)는 인접 블록 간의 평균화상레벨의 차이 정도인 차분값(plv)을 분석한다. 이때, 차분값(plv)이 큰 경우, 이는 헤일로(halo; 발광체 주위로 나타나는 빛의 띠나 무리) 현상이 크게 발생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하므로, 글로벌 디밍 결과값 산출부(GLD)에서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에 더 큰 비중을 두도록 한다. 따라서, 위의 수학식 1에서 α는 차분값(plv)이 큰 경우에 해당하므로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이 더 큰 비중을 갖도록 0.5 ~ 1의 값을 갖게 된다. 반대로, 차분값(plv)이 작은 경우, 이는 헤일로 현상에 대한 우려가 적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로컬 디밍 결과값 산출부(LD)에서 산출된 로컬 디밍 결과값(ldv)에 더 큰 비중을 두도록 한다. 따라서, 위의 수학식 1에서 α는 차분값(plv)이 작은 경우에 해당하므로 로컬 디밍 결과값(ldv)이 더 큰 비중을 갖도록 0 ~ 0.5의 값을 갖게 된다. 한편, α는 0 ~ k와 k ~ 1로 표현될 수 있으므로, 차분값(plv)이 큰 경우 0.2 ~ 1, 차분값(plv)이 작은 경우 0 ~ 0.2로 나누어지거나, 차분값(plv)이 큰 경우 0.8 ~ 1, 차분값(plv)이 작은 경우 0 ~ 0.8로 나누어질 수도 있고 이 밖에 다른 값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영상보정부(CMP)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 로컬 디밍 결과값(ldv) 및 차분값(plv)을 이용하여 헤일로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하고 소비전력 저감 및 명암비 향상 효과를 높이기 위해 글로벌 디밍과 로컬 디밍이 선형적으로 혼합된 보정디밍값(BLdim)을 생성하게 된다.
영상보정부(CMP)는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와 연동하고,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는 보정량 조절부(PVMP)와 연동할 수 있다. 보정량 조절부(PVMP)에는 보 정디밍값(BLdim)을 기초로 블록별 화소 보정량을 산출하는 보정량 산출부(PCM)와 보정량 산출부(PCM)로부터 산출된 보정량을 기초로 영상보정값(CDATA)을 화소별로 생성하는 화소값 조절부(PVM)가 포함된다. 보정량 조절부(PVMP)의 경우, 타이밍구동부(TCN), 영상보정부(CMP) 및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영상보정부(CMP)에서 생성된 보정디밍값(BLdim)은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에 공급된다.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는 보정디밍값(BLdim)을 기초로 백라이트유닛(BLU)을 글로벌 디밍과 로컬 디밍으로 구동하도록 디밍신호(dim1~dimk)를 생성하게 된다. 또한,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는 보정디밍값(BLdim)에 따른 디밍정보를 보정량 조절부(PVMP)에 공급한다. 그러면, 보정량 조절부(PVMP)는 백라이트유닛(BLU)의 보정디밍값(BLdim)을 기초로 블록별 화소 보정량을 산출하여 영상보정값(CDATA)을 화소별로 생성한다. 이에 따라, 액정패널(PNL)에 공급되는 데이터신호(ADATA)는 화소별로 생성된 영상보정값(CDATA)에 따라 보정된다.
이하, 비교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에 따른 영상을 참조하여 비교 설명을 한다.
도 8은 비교예와 실시예 간의 계조 뭉침 및 헤일로가 보이는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9는 비교예와 실시예 간의 계조 뭉침 및 헤일로가 보이지 않는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의 (a)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글로벌 디밍시의 영상 이고, 도 8 및 도 9의 (b)는 비교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로컬 디밍시의 영상이 며, 도 8 및 도 9의 (c)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컨벡스조합 디밍시의 영상이다.
도 8의 경우, 계조 뭉침 및 헤일로 문제가 크게 발생할 수 있는 영상이다. 이 영상은 계조 뭉침이 눈에 잘 보이는 경우로, 로컬 디밍만 적용된 비교예에서 심하게 나타난다. 글로벌 디밍만 적용된 비교예에서는 어두운 부분이 상대적으로 뜨는 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반면, 실시예의 컨벡스조합 디밍은 도 8의 영상에서 글로벌 디밍에 좀더 큰 가중치를 두어서 글로벌 디밍 적용 결과와 유사하게 계조 뭉침 현상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하면서도 로컬 디밍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남아 있어 어두운 부분 또한 충분히 어두워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의 경우, 계조 뭉침 및 헤일로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 영상이다. 이 영상에서 비교적 어두운 나무 부분이 글로벌 디밍에서보다 로컬 디밍에서 좀더 깊은 색을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다. 실시예의 컨벡스조합 디밍은 이 영상에서 로컬 디밍에 좀 더 큰 가중치를 두어 로컬 디밍이 가지는 명암비 향상효과를 유지하게 됨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영상보정부(CMP)는 영상 데이터신호(DDATA)가 동화상일 때, 동화상의 레터박스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로컬 디밍 결과값(ldv)의 가중치 대비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2실시예에서 추가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실시예는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유닛 모듈레이션 및 화소보상을 실행할 때, 글로벌 디밍과 로컬 디밍을 컨벡스조합 파라미터를 이용하 여 두 가지 기법의 적용 정도를 결정하고 이를 통해 명암비 향상효과 유지하면서 계조 뭉침 및 헤일로 문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실시예>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영상보정부의 구동 흐름도이며, 도 12는 영상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이고, 도 13은 동화상의 에지 부분 로컬 디밍시 헤일로 발생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4 및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헤일로 개선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는 타이밍구동부(TCN), 데이터구동부(DDRV), 게이트구동부(SDRV), 영상보정부(CMP), 액정패널(PNL), 백라이트유닛(BLU) 및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를 포함한다. 타이밍구동부(TCN), 데이터구동부(DDRV), 게이트구동부(SDRV), 액정패널(PNL), 백라이트유닛(BLU) 및 백라이트유닛 구동부(BLD)는 제1실시예와 유사 또는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영상보정부(CMP)는 액정패널(PNL)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DDATA)에 대한 낮은 계조를 분석하고(S10) 글로벌 디밍값과 로컬 디밍값 중 하나의 가중치를 달리하여(S13) 백라이트유닛(BLU)의 디밍값을 생성한다.(S15) 영상보정부(CMP)는 영상 데이터신호(DDATA)가 동화상일 때 동화상의 레터박스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로컬 디밍값의 가중치 대비 글로벌 디밍값의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보정부(CMP)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을 산출하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 산출부(GLD)와, 로컬 디밍 결과값(ldv)을 산출하는 로컬 디밍 결과값 산출부(LD)와, 평균화상레벨(apl)을 산출하는 블록별 평균화상레벨 산출부(APLP)와,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plv)을 분석하는 평균화상레벨의 차분값 분석부(APLD)와,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glv), 로컬 디밍 결과값(ldv) 및 차분값(plv)을 이용하여 로컬 디밍값의 가중치 대비 글로벌 디밍값의 가중치를 높이는 가중치 결정부(BLW)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가중치 결정부(BLW)는 제1실시예의 컨벡스조합 파라미터 결정부(CCPD)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지(edge) 부분만 로컬 디밍시에는 액정패널(PNL)의 테두리에서 가운데 방향으로 빛이 퍼지게 된다. 이 경우, 액정패널(PNL)에 표시하고자 하는 영상이 동화상인 경우, 도 13과 같이 화면 주의에 위치하는 레터박스(Letterbox)(LB)에 백라이트유닛(BLU)로부터 나오는 빛이 보이는 헤일로(H)가 발생한다.
그런데, 도 14와 같이, 영상보정부(CMP)를 이용하여 영상 데이터신호가 동화상이면 동화상의 레터박스(LB)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도 15와 같이 로컬 디밍값의 가중치 대비 글로벌 디밍값의 가중치를 높이면 블록별로 보정디밍값(BLdim)을 변경할 수 있어 헤일로(H)를 방지 또는 줄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본 발명의 제2실시예는 에지 부분만 로컬 디밍시 로컬 디밍의 비중을 낮추고 글로벌 디밍의 비중을 높여 낮은 계조(예컨대 레터박스)에서 발생하는 헤일 로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신호에 따라 글로벌 디밍 방법과 로컬 디밍 방법 중 하나 또는 이들이 혼합되도록 구동하여 명암비 향상효과를 유지하면서 계조 뭉침 및 헤일로 문제를 방지하고 표시품질 및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액정패널의 서브 픽셀의 회로 구성 예시도.
도 3은 백라이트유닛의 광원 구성 예시도.
도 4 및 도 5는 디밍 커브의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영상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7은 영상보정부와 연동하는 장치를 나타낸 블록도.
도 8은 비교예와 실시예 간의 계조 뭉침 및 헤일로가 보이는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9는 비교예와 실시예 간의 계조 뭉침 및 헤일로가 보이지 않는 영상을 비교하기 위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액정표시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영상보정부의 구동 흐름도.
도 12는 영상보정부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13은 동화상의 에지 부분 로컬 디밍시 헤일로 발생을 나타낸 도면.
도 14 및 도 15는 제2실시예에 따른 헤일로 개선을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TCN: 타이밍구동부 DDRV: 데이터구동부
SDRV: 게이트구동부 CMP: 영상보정부
PNL: 액정패널 BLU: 백라이트유닛
BLD: 백라이트유닛 구동부

Claims (10)

  1.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며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글로벌 디밍 결과값과 로컬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고, 상기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Average Picture Level, APL)을 분석하고, 상기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상기 분석된 블록별 평균화상레벨을 이용하여 컨벡스조합(Convex Combination) 파라미터를 결정하여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과 상기 영상 데이터신호의 영상보정값을 생성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평균화상레벨을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을 분석하며,
    상기 보정디밍값은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되며,
    Figure 112015105645012-pat00019
    상기 dim(i,j)는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디밍값이고, 상기 dimGD는 글로벌 디밍시 상기 백가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며, 상기 dimLD(i,j)는 로컬 디밍시 광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고, 상기 α는 0 ≤α≤ 1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휘도 차가 크면 상기 글로벌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를 높이고,
    상기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휘도 차가 적으면 상기 로컬 디밍 결과값에 가중치를 높이는 액정표시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α는,
    상기 차분값이 작을 경우 0 ~ k(k는 0 초과 실수를 포함) 값을 갖고,
    상기 차분값이 클 경우 k ~ 1 값을 갖는 액정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글로벌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는 글로벌 디밍 결과값 산출부와,
    상기 로컬 디밍 결과값을 산출하는 로컬 디밍 결과값 산출부와,
    상기 평균화상레벨을 산출하는 블록별 평균화상레벨 산출부와,
    상기 산출된 평균화상레벨에서 인접하는 블록 간의 차분값을 분석하는 평균화상레벨의 차분값 분석부와,
    상기 산출된 글로벌 디밍 결과값, 로컬 디밍 결과값 및 상기 차분값을 이용하여 상기 컨벡스조합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컨벡스조합 파라미터 결정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을 기초로 상기 백라이트유닛을 구동하는 백라이트유닛 구동부와,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보정디밍값을 기초로 블록별 화소 보정량을 산출하여 상기 영상보정값을 화소별로 생성하는 보정량 조절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신호가 동화상일 때, 상기 동화상의 레터박스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상기 로컬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 대비 상기 글로벌 디밍 결과값의 가중치를 높이는 액정표시장치.
  9. 액정패널;
    상기 액정패널에 광을 제공하며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며 글로벌 디밍 방식과 로컬 디밍 방식으로 구동하는 백라이트유닛; 및
    상기 액정패널에 입력된 영상 데이터신호에 대한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글로벌 디밍값과 로컬 디밍값 중 하나의 가중치를 달리하여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디밍값을 생성하는 영상보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디밍값은 하기 수학식으로 정의되며,
    Figure 112015105645012-pat00020
    상기 dim(i,j)는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디밍값이고, 상기 dimGD는 글로벌 디밍시 상기 백가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며, 상기 dimLD(i,j)는 로컬 디밍시 광원의 위치에 따른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구동정도이고, 상기 α는 0 ≤α≤ 1의 관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표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보정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신호가 동화상일 때, 상기 동화상의 레터박스 부분의 낮은 계조를 분석하여 상기 로컬 디밍값의 가중치 대비 상기 글로벌 디밍값의 가중치를 높이는 액정표시장치.
KR1020090114590A 2009-11-25 2009-11-25 액정표시장치 Active KR101623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90A KR101623592B1 (ko) 2009-11-25 2009-11-25 액정표시장치
US12/829,531 US8842138B2 (en) 2009-11-25 2010-07-02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TW099122395A TWI421844B (zh) 2009-11-25 2010-07-07 液晶顯示裝置及其驅動方法
CN2010102258698A CN102074210B (zh) 2009-11-25 2010-07-09 液晶显示器及其驱动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4590A KR101623592B1 (ko) 2009-11-25 2009-11-25 액정표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51A KR20110057951A (ko) 2011-06-01
KR101623592B1 true KR101623592B1 (ko) 2016-05-24

Family

ID=44032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4590A Active KR101623592B1 (ko) 2009-11-25 2009-11-25 액정표시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842138B2 (ko)
KR (1) KR101623592B1 (ko)
CN (1) CN102074210B (ko)
TW (1) TWI4218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24646A1 (ja) * 2011-03-15 2012-09-20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
JP2014102295A (ja) * 2012-11-16 2014-06-05 Sony Corp 表示装置、表示方法及び記録媒体
KR102073065B1 (ko) * 2013-09-03 2020-0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방법
JP6309777B2 (ja) * 2014-02-10 2018-04-11 シナプティ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表示パネルの駆動方法
KR102349503B1 (ko) * 2015-09-25 2022-01-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WO2018218947A1 (zh) * 2017-06-01 2018-12-06 青岛海信电器股份有限公司 背光亮度控制装置、图像显示装置
US10475395B2 (en) 2017-06-08 2019-11-1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Technology Co., Ltd Display method and device of dynamically controlling backlight
CN107103886B (zh) * 2017-06-08 2019-07-12 武汉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动态背光控制显示方法及装置
CN111210777A (zh) * 2018-11-21 2020-05-2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背光亮度调整方法、装置、电子设备、机器可读存储介质
JP2020154102A (ja) * 2019-03-19 2020-09-24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11514797B2 (en) * 2019-06-12 2022-11-29 Honeywell International Inc. LRUs and related night vision display harmonization methods
CN112785984B (zh) * 2019-11-08 2021-12-10 南京航空航天大学 一种图像灰度感知的lcd高效能自适应全局背光调节方法
US11217132B2 (en) * 2019-12-27 2022-01-04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to manage display luminance
CN114530125B (zh) * 2020-11-24 2024-01-16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控制显示装置的背光源的方法和显示装置
CN112505963A (zh) * 2020-12-23 2021-03-16 深圳市尊正数字视频有限公司 一种基于液晶显示器叠加的图像增强方法及系统
JP2024017213A (ja) * 2022-07-27 2024-02-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表示制御システム、回路装置及び表示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4379A1 (en) * 2004-12-30 2006-07-27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80068328A1 (en) * 2006-09-15 2008-03-20 Au Optronic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adjusting backlight
US20090015536A1 (en) * 2007-07-06 2009-01-1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86900B1 (en) * 2000-06-28 2002-11-2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System and method for a video display screen saver
US7532192B2 (en) * 2004-05-04 2009-05-12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Liquid crystal display with filtered black point
KR101333680B1 (ko) * 2007-04-12 2013-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밝기 조정방법
TWI396168B (zh) 2007-07-06 2013-05-11 Japan Display Central Inc 液晶顯示裝置
US8179363B2 (en) * 2007-12-26 2012-05-15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source light management with histogram manipulation
KR101301770B1 (ko) 2008-01-23 2013-09-0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CN102057420B (zh) * 2008-09-29 2013-11-27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背光装置和显示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64379A1 (en) * 2004-12-30 2006-07-27 Lg.Philips Lcd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driving the same
US20080068328A1 (en) * 2006-09-15 2008-03-20 Au Optronics Corp. Apparatus and method for adaptively adjusting backlight
US20090015536A1 (en) * 2007-07-06 2009-01-15 Toshiba Matsushita Display Technology Co., Ltd.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7951A (ko) 2011-06-01
US20110122168A1 (en) 2011-05-26
TWI421844B (zh) 2014-01-01
CN102074210A (zh) 2011-05-25
TW201118847A (en) 2011-06-01
US8842138B2 (en) 2014-09-23
CN102074210B (zh) 2013-1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3592B1 (ko) 액정표시장치
CN102568411B (zh) 液晶显示器及其扫描背光驱动方法
KR101318444B1 (ko) 픽셀 데이터 보상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1588901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US880392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scanning back light driving method thereof
US9240144B2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local dimming control method thereof
KR101324372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구동 방법
KR20110077947A (ko) 액정표시장치
KR101705903B1 (ko) 액정표시장치
US857031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101839327B1 (ko) 디밍 제어회로 및 방법, 이를 적용한 액정표시장치
KR102022639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디밍 제어방법
KR10163311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디밍 제어방법
KR20110061173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로컬디밍 제어방법
KR102438248B1 (ko) 디밍 제어회로, 및 이를 포함한 액정표시장치와 그 디밍 제어방법
KR101633114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화질 제어방법
KR101577834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 로컬 디밍 제어방법
KR101604493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777867B1 (ko) 액정표시장치와 그의 구동방법
KR102349503B1 (ko) 표시장치와 이의 구동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125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12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