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3586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3586B1
KR101623586B1 KR1020090102748A KR20090102748A KR101623586B1 KR 101623586 B1 KR101623586 B1 KR 101623586B1 KR 1020090102748 A KR1020090102748 A KR 1020090102748A KR 20090102748 A KR20090102748 A KR 20090102748A KR 101623586 B1 KR101623586 B1 KR 1016235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oking chamber
groove
food
guide por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2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970A (ko
Inventor
윤민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2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3586B1/ko
Publication of KR201100459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9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35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358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Landscapes

  • Baking, Grill, Roas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손상이 방지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조리실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그루브;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그루브와 사이에 개입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리기기, 조리실, 그루브, 지지부재, 완충부재

Description

조리기기 {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리실 내부의 손상이 방지되는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주방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사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놓이는 요리 공간을 밀폐한 다음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과,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놓이는 요리 공간을 밀폐한 다음 밀폐된 공간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조리기기와 전기 조리기기로 구분되며, 가스 조리기기는 공급되는 가스를 연소시킴으로써 버너에서 발생하게 되는 연소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고, 전기 조리기기는 전기를 공급받아 발열하게 되는 히터에서 발생하는 열 또는 고주파발생기에서 발생하는 고주파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또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는 형태에 따라 개방형 조리기기와 밀폐형 조리기기로 구분하게 된다. 개방형 조리기기는 쿡탑, 홉 등으로 명명되며, 개방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요리하게 되는 조리기기이고, 밀폐형 조리기기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으로 명명되며, 밀폐된 공간인 조리실에서 음식물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이 놓이는 요리 공간 즉, 조리실을 차폐한 다음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는 오븐과, 조리실을 차폐한 다음 차폐된 공간에 고주파를 조사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전자레인지 등으로 구분되며, 개방형 조리기기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개방된 공간에서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쿡탑, 홉 등으로 구분된다.
그리고,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의 개방된 앞면을 차폐하기 위한 도어가 구비되며, 이러한 도어는 회동 또는 슬라이딩되면서 조리실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최근에는 더욱 다양한 요리와 대용량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조리실 내부 공간에 열풍을 가하여 음식물의 요리 시간을 짧게 하거나 구이 요리가 가능한 그릴 기능 등이 추가되고 있으며, 다양한 부가 기능이 추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밀폐형 조리기기인 전자레인지는 온도 제어가 용이하고 음식물 각 부위의 동시 발열로 인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지는 음식물의 균일한 요리가 가능하며, 요리 시간의 절약, 조작의 편의성 등 다양한 이점으로 인하여 일반 가정에 많이 보급되고 있는 실정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인 오븐은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넓고, 다양한 기능으로 대용량의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과, 다양한 음식물을 요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근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조리기기 중 하나이다.
이러한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조리실 내부 공간에 음식물을 지지하기 위한 랙이 구비되고, 이러한 랙을 지지하기 위하여 조리실 내부 측면에 다수의 층으로 그루브가 형성되어 랙의 좌측과 우측 끝 부분을 지지하면서 랙의 상측에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지지된다.
본 발명에서는, 조리실 내부 공간의 파손을 예방하기 위한 완충부재가 구비되는 조리기기를 제안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여 상기 음식물을 지지하는 지지부재; 상기 조리실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부재를 지지하는 그루브; 및 상기 지지부재에 구비되어 상기 지지부재가 상기 조리실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그루브와 사이에 개입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지지부재에 의한 그루브의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조리실의 내면에 입혀지는 법랑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리실의 내면에 입혀지는 법랑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리실의 내면에 입혀지는 법랑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사용자의 감성 불만을 해소할 수 있으며, 이러한 감성 불만의 해소로 인해 사용자의 제품에 대한 만족감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구성을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들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이하에서 살펴보는 실시 예에 의해 그 실시 가능 형태가 제한된다고 할 수는 없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포함되는 다른 실시 예를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해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실시 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를 전기 오븐을 예를 들어 살펴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아니하고, 힌지 장치가 사용되는 조리기기에 모두 적용 가능함을 미리 밝혀두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또는 청구범위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선택한 개념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내용을 파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로 적절히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를 살펴보면, 조리기기는 외형을 형성하는 본체(100)에 의해 외관이 이루어지고, 이러한 본체(10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0)의 외면은 본체(100)의 내부 공간에 장착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일정 정도의 강도를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면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게 된다. 이러한 본체(100)의 양 측면에는 제품의 운반을 위한 손잡이가 구비되기도 하며, 하면에는 제품의 이동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바퀴가 장착되기도 한다.
상기 본체(100)에는 다양한 종류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개방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탑버너부(200)와 밀폐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게 되는 오븐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탑버너부(200)는 상기 본체(100)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상면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하측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이러한 탑버너부(200)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는 플레이트(220)와 상기 플레이트(220)의 하측에 위치하는 탑버너(2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상기 탑버너부(200)는 상면 외관을 형성하는 상기 플레이트(220)에 의해 상면이 차폐되고, 상기 본체(100)에 의해 측면이 차폐되면서,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내부 공간에는 플레이트(220)의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기 위한 탑버너(210)가 구비된다.
상기 플레이트(220)에는 상기 탑버너(210)에 의해 가열되는 부분을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경계선이 도시되며, 이러한 경계선의 상측에 사용자가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위치시키게 되면, 탑버너(210)에서 발산되는 열 에 의해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의 하측을 직접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게 된다.
상기 탑버너부(200)에는 크기가 다양한 다수의 상기 탑버너(210)가 장착되어 다양한 크기의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레이트(22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탑버너(210)가 위치하는 부분의 상측 영역은 탑버너(210)에서 발산되는 열이 통과하여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가열하도록 형성되고, 다른 부분은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탑버너(210)에서 발산되는 열이 통과하지 않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탑버너부(200)의 후단부에는 제어부(300)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300)는 탑버너부(200)와 상기 오븐부(400)를 제어하는 부분으로, 탑버너부(200)의 후단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물론, 제어부(300)가 탑버너부(20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플레이트(220)dpo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어부(300)는 전체적으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앞면 중앙부에는 상기 본체(100)의 사용 정보 또는 동작 상태 등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310)가 구비되며, 상기 디스플레이(310)의 양 측방에는 사용자가 직접 상기 탑버너부(200)와 상기 오븐부(400)를 동작시키도록 하기 위한 다수의 버튼 또는 다이얼 놉으로 형성되는 조작부(32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320)는 터치글래스 방식으로 동작하는 것도 가능하며, 버튼 형태만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탑버너부(200)의 하측에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가열하여 밀폐된 공간에서 음식물을 요리하는 오븐부(400)가 설치된다. 상기 오븐부(400)는 상대적으로 상측에 위치하는 제1오븐부(500)와 상기 제1오븐부(500)의 하측에 위치하는 제2오븐부(600)로 구성된다.
상기 제1오븐부(500)와 상기 제2오븐부(600)는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을 밀폐시킨 후 밀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음식물의 요리 방식은 동일하며, 다만, 제1오븐부(5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제1조리실(510)의 내부 부피가 제2오븐부(60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면서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제2조리실(610)의 내부 부피보다 적은 부피를 가지도록 형성됨으로써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의 크기, 종류에 따라 제1오븐부(500)와 제2오븐부(600)를 사용자가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오븐부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상기 제1오븐부(500)의 상기 제1조리실(510)은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앞면이 개방된 사각상자 형태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앞면을 통하여 사용자가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오븐부(500)의 앞면에는 상기 제1조리실(510)의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기 위한 제1도어(520)가 장착되고, 상기 제1도어(520)의 앞면에는 사용자가 제1도어(520)를 회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할 수 있는 제1핸들(522)이 전방으 로 돌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1도어(520)의 중앙부에는 사용자가 제1도어(520)를 회동시키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 상태를 확인하거나, 음식물의 요리 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투시창(524)이 형성된다.
상기 제1도어(520)는 전체적으로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는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100)의 앞면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회동하면서 상기 제1조리실(510)의 개방된 앞면을 선택적으로 개폐하게 된다.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는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수용되는 음식 용기를 지지하는 지지부재(700)가 위치하게 구비되고, 이러한 지지부재(700)에 의해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을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면서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조리실(510) 내부 공간의 양 측면에는 상기 지지부재(700)를 지지하기 위한 그루브(530)가 형성된다. 상기 그루브(530)는 제1조리실(510)의 양 측면을 내부 공간 방향으로 포밍 가공함으로써 형성되고, 이러한 그루브(530)의 상면에 지지부재(700)가 지지되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그루브(530)는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상면이 형성되고, 이러한 상면에 상기 지지부재(700)의 양측이 지지되고, 지지부재(700)의 상측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지지되면서,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함으로써 음식물을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그루브(530)는 전반부의 일부분이 하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돌출 부분에 상기 지지부재(700)의 일부가 걸리면서 지지부재(70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사용자가 상기 지지부재(700)를 상기 제1조리실(510)의 외부 공간으로 인출하게 되면, 지지부재(700)는 인출되면서 자체의 무게 또는 상측에 놓이는 음식물의 무게에 의해 전반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전반부가 하방으로 기울어지는 지지부재(700)는 그 후반부가 상방으로 향하게 되고, 이러한 기울기에 의해 상기 그루브(530)의 돌출 부분에 지지부재(700)의 후반부가 걸리면서 지지부재(700)가 제1조리실(510)의 외부 공간으로 완전히 이탈하는 것이 방지되어 사용의 편의성 및 안전성이 향상되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지지부재를 살펴보기로 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지지부재 일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지지부재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면, 상기 지지부재(700)는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그루브(530)에 의해 지지되면서 장착되는 장착부(710)와,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 및 외부 공간으로 출입하는 출입부(740)와, 상기 출입부(740)의 원활한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부(750)를 포함하 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부(710)는 상기 그루브(530)에 지지되면서 장착되도록 다수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장착부(710)는 그루브(530)에 지지되면서 장착되는 장착프레임(720)과, 상기 장착프레임(720)을 연결하는 연결프레임(7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장착프레임(720)은 단면이 원형으로 이루어지면서 일정 정도의 지름을 가지면서 상기 제1조리실(510)의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방에서 볼 때,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 좌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그루브(530)에 지지되는 좌측프레임(722)과,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 우측면에 형성되는 그루브(530)에 지지되는 우측프레임(7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좌측프레임(722)과 상기 우측프레임(724)은 연결프레임(730)에 의해 연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730)은 좌측프레임(722)의 전단부와 우측프레임(724)의 전단부를 서로 이으면서 연결되고, 좌측프레임(722)의 길이 방향 중앙부와 우측프레임(724)의 길이 방향 중앙부를 서로 이으면서 연결되며, 좌측프레임(722)과 의 길이 방향 후단부와 우측프레임(724)의 길이 방향 후단부를 서로 이으면서 연결된다.
상기 연결프레임(730)은 전방에서 볼 때 대략 "∪" 형태로 형성되면서 일정 정도의 공간을 형성하게 된다. 즉, 상기 좌측프레임(722)과 상기 우측프레임(724)은 상기 그루브(530)의 상면에 지지되도록 위치하게 되고, 연결프레임(730)은 좌측프레임(722)의 전단부로부터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도록 절곡 된 다음 일정 정도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다시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도록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우측프레임(724)과 연결된다. .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향하도록 절곡되는 상기 연결프레임(730)은 상기 우측프레임(724)의 전단부와 일정 거리 이격된 상태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고, 우측프레임(724)과 동일 높이에서 다시 제1조리실(510)의 외부 공간을 향하여 절곡되면서 우측프레임(724)의 전단부와 체결된다.
상기 좌측프레임(722)과 상기 우측프레임(724)의 길이 방향 중앙부 및 후단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기 연결프레임(730)도 동일한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되어 좌측프레임(722)과 우측프레임(724)이 서로 연결되도록 위치하게 된다. 이처럼, 연결프레임(730)이 좌측프레임(722)과 우측프레임(724)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면, 연결프레임(730)은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을 좌우로 가로질러 위치하게 된다.
물론, 상기 장착프레임(720)이 하나의 프레임으로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좌측프레임(722) 및 상기 우측프레임(724)과 상기 연결프레임(730)이 각각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서로 결합되면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제1조리실(510)의 전방에서 보면, 상기 연결프레임(730)의 좌측 끝 부분은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우측 끝 부분은 대략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처럼, 상기 연결프레임(730)이 상단부에서 제1 조리실(510)의 외측 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에 의해 상기 장착부(710)가 상기 그루브(530)의 상면에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좌측프레임(722) 및 상기 우측프레임(724)과 체결되는 상기 연결프레임(730)이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면서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을 가로지르도록 위치하게 될 때, 하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에는 상기 안내부(750)의 일부가 장착된다.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730)이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을 좌우 방향으로 가로지르는 부분의 상측에는 제1조리실(510)의 개방된 앞면을 출입하는 출입부(740)가 위치하게 된다.
상기 출입부(740)는 상측에서 볼 때, 전체적으로 사각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면서 다수의 프레임에 의하여 밴딩 및/또는 연결되어 일정 정도의 면적을 가지는 그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상측에 요리하고자 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놓이면서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를 지지하게 된다.
한편, 상기 안내부(750)는 상기 장착부(710)에 장착되는 제1안내부(760)와 상기 출입부(740)에 장착되는 제2안내부(770)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안내부(760)는 상기 연결프레임(730)의 양 측면에 장착되고, 상기 제2안내부(770)는 출입부(740)의 양 측면에 장착되어 서로 체결되면서 제2안내부(770)가 제1안내부(760)에 대하여 슬라이딩되면서 출입부(740)가 상기 제1조리실(510)을 출입하게 될 때 출입부(740)의 이동을 안내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부(770)에는 상기 출입부(740)가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서 외부 공간으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기 제1도어(520)를 회동시켜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을 차폐하기 위하여 제2안내부(770)를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게 될 때, 상기 그루브(530)와 제2안내부(770) 사이에 개입되어 완충 작용을 하는 완충부재(780)가 구비된다.
상기 제2안내부(77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리실(510)의 좌우 양 측면 방향과 근접한 면과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출입부(740)의 좌측 끝 부분에 장착되는 제2안내부(770)는 좌측면과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지고, 출입부(740)의 우측 끝 부분에 장착되는 제2안내부(770)는 우측면과 후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안내부(760)는 일정 정도의 내부 공간을 가지는 직육면체의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 방향으로 향하는 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즉, 전방에서 볼 때 상기 장착부(710)의 좌측 끝 부분에 장착되는 제1안내부(760)는 우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되고, 장착부(710)의 우측 끝 부분에 장착되는 제1안내부(760)는 좌측면이 개방된 상태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출입부(740)가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상기 제1안내부(760)의 내부 공간에 상기 제2안내부(770)가 수용된 상태가 된다. 이때,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520)를 회동시키면서 제1조리실(510)의 앞면을 개방한 다음, 출입부(740)를 전방으로 인출하게 되면 제1안내부(760)에 의해 제2안내부(770)가 안내되면서 슬라이딩된다.
상기 제2안내부(770)가 제1안내부(760)에 의해 안내되면서 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출입부(740)가 상기 제1조리실(510)의 외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서 출입부(740)가 지지하게 되는 음식물 또는 음식물이 담긴 용기가 제1조리실(510)의 외부 공간으로 노출되어 사용자가 조리된 음식물을 제1조리실(510)에서 인출할 수 있게 된다.
조리된 음식물을 상기 제1조리실(510)에서 인출한 다음 사용자는 다시 상기 출입부(740)를 후방으로 밀어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안내부(770)는 상기 제1안내부(760)에 따라 안내되면서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되고, 제1안내부(760)가 제2안내부(77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되면서 출입부(740)가 슬라이딩된다.
또한, 상기 제1안내부(760)와 상기 제2안내부(770)의 사이에는 롤러 또는 구체(具體)의 베어링 등이 윤활부재가 개입되어 제7안내부(770)의 슬라이딩을 원활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제2안내부(770)의 내부 공간은 상기 제1안내부(760)의 외형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 제2안내부(770)가 제1안내부(760)에 의해 안내되면서 원활하게 슬라이딩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보면, 도 4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 공간에 지지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에 지지부재가 인입된 상태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7에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후반부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1안내부(760)가 상기 제2안내부(770)를 내부 공간에 수용하면서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 위치하게 되면, 제2안내부(770)의 내부 공간 앞면 즉, 제2안내부(770)의 앞면을 형성하는 부분의 후면과 상기 그루브(530)의 앞면 사이에는 제2안내부(770)와 그루브(530) 사이에 개입되어 제2안내부(770)와 그루브(530)가 직접 접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완충부재(780)가 구비된다.
상기 완충부재(780)는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되어 자체 탄성에 의해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형상에 의해 완충기능을 수행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 완충부재(780)는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5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조리실(510)을 개방시킨 다음 상기 출입부(740)를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키게 될 때 상기 제2안내부(770)와 상기 그루브(530) 사이에 위치하여 제2안내부(770)와 그루브(530)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써 제2안내부(770)의 충격에 의한 그루브(53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상세하게 살펴보면, 사용자가 상기 제1도어(520)를 회동시켜 상기 제1조리실(510)을 차폐하게 될 경우 사용자는 상기 출입부(740)를 후방으로 슬라이딩시켜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시킴으로써 출입부(740)를 제1 조리실(510)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출입부(740)가 후방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그루브(530)와 접하는 것이 상기 완충부재(780)에 의해 방지되면서, 출입부(740)의 운동에 의한 그루브(530) 손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제2안내부(770)와 그루브(530) 사이에 완충부재(780)가 위치하게 됨으로써 사용자가 출입부(740)를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에 위치시키고자 할 때, 완충부재(780)가 제1안내부(760)와 그루브(530) 사이에 개입되어 완충부재(78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제2안내부(770)가 그루브(530)와 접하지 못하게 되면서 그루브(530)로 전달되는 충격이 최소화된다.
상기 완충부재(780)는 다양한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완충부재(780)가 자체 탄성을 가지도록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가 다수회 절곡되어 절곡되는 부분의 탄성에 의해 완충부재(78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물론, 코일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판 스프링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자체 탄성을 가지는 고무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스펀지 등과 같은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다수 절곡되는 상기 완충부재(780)를 예를 들어 살펴보기로 한다.
도면을 참고하여 보면, 상기 완충부재(780)는 일정 정도의 두께를 가지면서 가로 방향으로 긴 사각판재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한쪽 끝 부분을 하측에 위치하도록 위치시킨 다음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는 부분에서 우측으로 절곡된다. 우측으로 절곡된 다음 우측으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된 다음 우측 끝 부분에서 하방으로 절곡된다.
하방으로 연장되는 부분의 하측 끝 부분에서 다시 우측으로 절곡된 다음, 일정 정도의 길이 만큼 우측으로 절곡된 상태에서 우측 끝 부분을 다시 상방으로 절곡시키게 되면, 상기 완충부재(780)의 다른 쪽 끝 부분은 상방으로 향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완충부재(780)를 측방에서 보면, 하단부에서 상방으로 연장된 다음, 상기 그루브(530)가 형성되는 방향으로 상단부가 우측으로 절곡된 다음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 다음 하방으로 절곡되도록 형성된다. 이를 도면에서 보면,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지며, 그 하단부는 그루브(530) 방향으로 절곡되면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다.
상기 그루브(530) 방향으로 일정 정도의 길이를 가지도록 연장된 다음 우측단부에서 상방으로 절곡되어 이를 도면에서 보면, 대략 "∪" 형태를 가지도록 이루어진다.
이를 살펴보면, 상기 완충부재(780)를 도면에서와 같이 측방에서 보면, 전체적으로 "∩" 형태로 이루어지는 전반부와, 전체적으로 "∪" 형태로 이루어지는 후반부로 이루어지며, 전반부의 전면부가 상기 제2안내부(770)에 고정되고, 후반부 후면이 상기 출입부(740)가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부 공간으로 인입될 때 상기 그루브(530)의 앞면과 접하면서 완충부재(780)의 자체 탄성에 의해 제2안내부(770)가 그루브(530)에 가하게 되는 충격을 최소화시키게 된다.
물론, 상기 완충부재(780)는 일정 정도의 자체 탄성을 가지는 고무, 스펀지 등과 같은 소재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전체적인 형태가 코일 스프링 형태로 형성되어 완충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실시 예와 같이 판형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면서, 상기 그루브(530)와 접하는 부분 즉, 후반부 후면에 다른 재질의 완충부재(780)가 결합되어 그루브(530)의 충격을 최소화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완충부재(780)는 서로 다른 소재의 다른 완충부재(78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면서 상기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자체 탄성을 가지는 하나의 소재로 이루어지면서 자체 탄성에 의해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자체 탄성을 가지는 서로 다른 소재의 다른 완충부재(780)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면서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예를 들어 살펴보면, 상기 완충부재(530)는 자체 탄성이 적은 소재인 철 등의 소재로 형성되면서 다수 절곡되면서 그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며, 자체 탄성이 큰 소재인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되면서 자체 탄성에 의해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자체 탄성이 적은 소재와 자체 탄성이 큰 소재가 결합되어 형성되면서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한편, 상기 장착부(710)는 상기 제1조리실(510)의 내측면에 형성되는 상기 그루브(530)의 후단부를 감싸면서 장착되어 그루브(530)에 의해 상기 지지부재(700)를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장착부(710)가 상기 그루브(530)의 후단부를 감싸면서 장착되는 경우에 그루브(530)와 접하는 장착부(710)에는 상기 완충부재(780)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그루브(530)와 접하는 상기 장착부(710)의 후단부에는 큰 자체 탄성을 가지는 소재가 장착부(710)에 구비되면서 장착부(710)와 그루브(530)가 접촉하지 않도록 형성하게 되고, 이러한 완충부재(780)에 의해 상기 제1조리실(510)에 형성되는 그루브(530)에 입혀지는 법랑의 파손이 방지되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2안내부(770)에 구비되는 상기 완충부재(780)와 상기 장착부(710)에 구비되는 완충부재(780)는 서로 다른 크기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동일한 크기의 탄성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고, 서로 다른 방법에 의해 완충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즉, 상기 제2안내부(770)에 구비되는 상기 완충부재(780)는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지면서 상기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장착부(710)에 구비되는 완충부재(780)는 자체 탄성을 가지면서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제2안내부(770)와 장착부(710)에 동일한 소재를 사용함으로써 완충부재(780)의 자체 탄성에 의해 그루브(530)의 충격을 완화하도록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지지부재에 의한 그루브의 충격이 완화됨으로써 조리실의 내면에 입혀지는 법랑의 파손이 방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이와 같이, 조리실의 내면에 입혀지는 법랑의 파손이 방지됨으로써 제품에 대한 서비스 비용이 절감되고, 제품의 신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효과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리기기는 조리기기 산업에 그 이용 가능성이 크다 할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 예에 의한 조리기기의 외형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지지부재 일부가 인출된 상태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지지부재 구성을 나타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 공간에 지지부재가 인입된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에 지지부재가 인입된 상태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부분 확대 측면도.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다른 실시 예가 채용된 조리기기의 완충부재를 나타낸 확대 측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조리실 후반부 일부를 나타낸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본체 200. 탑버너부
210. 탑버너 220. 플레이트
300. 제어부 310. 디스플레이
320. 조작부 400. 오븐부
500. 제1오븐부 510. 제1조리실
520. 제1도어 522. 제1핸들
524. 투시창 600. 제2오븐부
700. 지지부재 710. 장착부
720. 장착프레임 722. 좌측프레임
724. 우측프레임 730. 연결프레임
740. 출입부 750. 안내부
760. 제1안내부 770. 제2안내부
780. 완충부재

Claims (10)

  1. 음식물의 요리 공간을 제공하는 조리실;
    상기 조리실의 내부 양 측면에 형성되며 법랑이 구비되는 그루브;
    상기 그루브에 지지되는 장착부;
    상기 조리실에서 인출될 수 있는 출입부;
    상기 장착부와 상기 출입부를 연결하며 상기 출입부의 출입을 안내하는 안내부; 및
    상기 출입부가 상기 조리실로 인입되는 과정에서 상기 출입부가 상기 그루브와 충돌하여 법랑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완충부재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자체 탄성을 가지는 부재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는,
    상기 장착부에 연결되는 제1안내부와,
    상기 출입부에 연결되는 제2안내부를 포함하고,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안내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판스프링으로 구비되는 조리기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고무부재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가 상기 그루브의 앞면과 접하는 부분은 상기 그루브의 앞면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적어도 두 개의 서로 다른 재질로 이루어지는 조리기기.
  9.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그루브의 가장 앞면과 가장 뒷면에 접하는 상기 제2안내부에 구비되는 조리기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는 상기 제2안내부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되는 조리기기.
KR1020090102748A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Active KR1016235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48A KR101623586B1 (ko)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2748A KR101623586B1 (ko)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70A KR20110045970A (ko) 2011-05-04
KR101623586B1 true KR101623586B1 (ko) 2016-05-23

Family

ID=44240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2748A Active KR101623586B1 (ko) 2009-10-28 2009-10-28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358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4894B1 (ko) * 2013-09-02 2020-04-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KR102747208B1 (ko) * 2016-12-23 2024-12-31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342578B1 (ko) * 2017-04-28 2021-12-23 삼성전자주식회사 조리기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91B1 (ko) 2006-10-31 200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9591B1 (ko) 2006-10-31 2008-04-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970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80555B1 (en) Cooking appliance
EP3680559B1 (en) Cooking appliance
EP3343115B1 (en) Cooking appliance
EP3671042B1 (en) Heating apparatus and cooking apparatus including same
EP3680556B1 (en) Cooking appliance
KR101617539B1 (ko) 조리기기
EP3415821A1 (en) Griddle and cooking appliance having a griddle
KR101623586B1 (ko) 조리기기
KR101702660B1 (ko) 조리기기
EP3973828B1 (en) Cooking appliance
KR101634809B1 (ko) 조리기기
KR20110055076A (ko) 조리기기
KR101623978B1 (ko) 조리기기
US20240044506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192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514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507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377068A1 (en) Cooking apparatus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AU2023206223B2 (en) Cooking appliance
US20240044499A1 (en) Cooking appliance
US20240384877A1 (en) Cooking appliance
KR102691057B1 (ko) 조리기기
KR100688664B1 (ko) 전기오븐레인지의 백가드부 장착구조
KR101121917B1 (ko) 전기오븐의 탑버너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0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0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0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1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40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22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