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2961B1 - 호스 고정용 클램프 - Google Patents

호스 고정용 클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961B1
KR101622961B1 KR1020140184260A KR20140184260A KR101622961B1 KR 101622961 B1 KR101622961 B1 KR 101622961B1 KR 1020140184260 A KR1020140184260 A KR 1020140184260A KR 20140184260 A KR20140184260 A KR 20140184260A KR 101622961 B1 KR101622961 B1 KR 1016229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se
clamp
tongue
present
fix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42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진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케이에프씨
Priority to KR10201401842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9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9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96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02Hose-clips
    • F16L33/025Hose-clips tightened by deforming radially extending loops or 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F16B2/08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using b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호스를 감싸도록 띠 형태로 제작한 몸체 양단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서로 마주 보며 걸리게 형성하고, 걸림을 해제하면 어느 한쪽이 안으로 끼워지면서 호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재료 양을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탄성 변형하는 범위를 넓혀 더 강한 힘으로 호스를 고정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처럼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졌던 작동 부분이 지지 부분에 끼워지면서 호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몸체가 탄성 변형되는 간격을 넓혀 호스를 더욱 강한 힘으로 감싸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클램프의 양쪽 끝인 지지 부분과 작동 부분을 잡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림에 따라 그 사이로 호스를 집어넣을 수 있게 하여, 호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클램프를 호스에 끼워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호스 고정용 클램프{CLAMP FOR MOUNTING HOSE}
본 발명은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클램프가 조여지기 전에 호스에 끼울 수 있도록 벌린 상태를 유지하게 하기 위한 지지 부분과 작동 부분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진 위치에서 마주 보며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드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탄성력을 늘려 더욱 강하게 호스를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이나 엔진과 같은 기기 등에는 연료나 윤활유 그리고 외기 등을 공급하기 위하여 연질의 호스가 많이 이용된다. 특히, 이러한 연질의 호스는 쉽게 휘어지기 때문에 장착하는 위치에 맞게 쉽게 그 형상을 변형시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호스는 이처럼 휘거나 복잡한 곳에서 쉽게 그 형태를 변경시키면서 사용할 수 있으나, 윤활장치나 연료장치와 연결하기 위해서는 클램프를 이용한다. 특허문헌 1에는 호스를 고정하는 데 사용하는 클램프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은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관한 것으로, 도 1과 같이, 띠 형상의 클램프 몸체(100)가 원 형태로 감겨서 양단이 서로 마주 보게 휘어지고, 한쪽에는 길이 방향으로 장 공(110)이 형성되며, 한쪽 끝에는 이 장 공(110)에 끼워지며, 양단이 서로 마주 보게 눌러서 고정을 해제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장 공(110)에는 이 장 공(110)을 형성하기 위하여 절개한 부분으로 텅 부(130)가 형성되고, 상기 텅 부(130)는 그 단부가 상기 장 공(110)에 끼워진 클램프 몸체(100)의 다른 쪽 끝이 걸리도록 휘어져서 걸림 턱(13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이러한 특허문헌 1은 통상적으로 기존의 클램프를 제작하기 위해 버려졌던 부분(텅부)을 이용하여 클램프를 바로 사용할 수 있도록 미리 벌려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는 클램핑 홀더 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별도의 비용 추가 없이도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면서도 클램핑 동작이 쉽게 이루어지게 한다.
하지만, 기존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요구되는 점이 있다.
(1) 걸림 턱(131)이 장 공(110)을 통과하게 끼워지게 형성한 다음 텅 부(130)에 걸리도록 구성한 것이므로, 걸림 턱(131)이 장 공(110)을 통과하지 않은 것과 비교할 때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그만큼 더 많은 양의 재료가 필요하다.
(2) 이러한 재료 양의 증가는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따른 원가 상승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제품의 단가를 높이는 한가지 요인으로 작용한다.
(3) 특히, 기존 클램프는 링 형태로 끼워져서 걸림 작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므로, 클램프를 벌려서 호스를 끼울 수 없다. 즉, 기존 클램프는 호스를 연결하기 전에 미리 호스에 끼워놓아야 클램핑을 할 수 있다. 따라서, 호스에 클램프를 끼우지 않고 호스를 연결한 경우, 다시 호스를 분리하여 클램프를 끼워서 조립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4) 이러한 번거로움은 호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기존 클램프만 교체해야 하는 경우에 발생한다.
(5) 또한, 기존 클램프는 이처럼 서로 마주 보게 꺾은 양단 사이의 틈새 이상 넓게 벌릴 수 없다. 이는, 기존 클램프로 고정할 수 있는 호스의 지름에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보다 큰 지름을 가진 호스를 고정하기 위해서는 기존 클램프를 더 크게 제작해야 한다.
(6) 텅 부 안으로 끼워져서 호스를 탄성 지지하는 부분이 걸림 턱에 걸리게 하기 위해서는 그 제작 거리에 한계가 있다. 이는 클램프의 길이 한계 때문에 호스를 조여주는 힘에 한계가 있다.
(특허문허 1) 한국등록특허 제1416271호 (등록일 : 2014.07.01)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발명한 것으로, 자체 탄성력을 이용하여 호스를 감싸도록 띠 형태로 제작한 몸체 양단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져서 서로 마주 보며 걸리게 형성하고, 걸림을 해제하면 어느 한쪽이 안으로 끼워지면서 호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는 재료 양을 줄여 제조 비용을 줄일 수 있고, 또한 탄성 변형하는 범위를 넓혀 더 강한 힘으로 호스를 고정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처럼 본 발명은 이처럼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졌던 작동 부분이 지지 부분에 끼워지면서 호스를 감싸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몸체가 탄성 변형되는 간격을 넓혀 호스를 더욱 강한 힘으로 감싸 고정하여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클램프의 양쪽 끝인 지지 부분과 작동 부분을 잡아 서로 반대 방향으로 벌림에 따라 그 사이로 호스를 집어넣을 수 있게 하여, 호스를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클램프를 호스에 끼워서 편리하고 안전하게 장착할 수 있게 한 호스 고정용 클램프를 제공하는 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고정용 클램프는, 띠 형상의 몸체(100)가 원 형태로 탄력을 받아 감기면서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양쪽 끝이 서로 마주 보게 꺾어 형성하되, 마주하는 면의 반대쪽으로 벌어져서 서로 중첩하거나 겹쳐지지 않고 미리 정한 간격(G)만큼 떨어지게 지지 부분(110)과 작동 부분(12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부분(110)에는 전체 폭 중에서 일부 폭과 미리 정한 길이로 텅(111)을 형성하여 작동 부분(120)을 향하도록 꺾어서 형성하며;, 상기 작동 부분(120)에는 강제로 벌려서 상기 텅(111)에 걸렸다가 이 텅(111)을 형성한 공간(111a)을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호스(H)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 턱(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텅(111)은 끝단의 폭을 얇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 턱(121)은 텅(111)의 얇은 끝단이 끼워질 수 있게 요(凹)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텅(111)은 몸체(100)와 접하는 부분을, 이 몸체(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한 연약 부분(112)을 갖춰 쉽게 탄성 변형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호스 고정용 클램프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몸체의 양쪽 끝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강제로 떨어지게 위치하였다가 호스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기존과 같이 한쪽 끝이 다른 한쪽을 관통하여 끼워지게 제작한 클램프와 비교하여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2) 이는 비용 절감 효과와 더불어 제조 비용을 줄여 클램프를 저렴하게 제작할 수 있다.
(3) 작동 부분이 지지 부분과 떨어진 간격만큼 움직인 다음, 이 지지 부분을 통과하여 호스를 감아서 고정하므로, 기존의 클램프가 지지 부분과 맞닿은 상태에서 작동 부분이 호스를 감아서 고정하는 것과 비교할 때, 탄성 변형하는 구간이 넓어진다. 이는 호스를 더욱 강하게 감아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4) 지지 부분과 작동 부분이 미리 정한 간격만큼 벌어져 있으므로, 이 간격을 강제로 벌리면 그 사이로 호스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이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를 호스에 끼우지 않고서도 호스에 장착할 수 있으므로, 호스를 분리하기 힘들거나 복잡하게 장착한 호스의 경우, 이처럼 호스를 떼어내거나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클램프로 호스를 고정할 수 있어 편리하다.
(5) 특히, 이처럼 지지 부분과 작동 부분 사이의 간격을 강제로 넓혀서 사용할 수 있으므로, 그 사이에 지름이 큰 호스를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클램프를 이용하여 지름이 다른 여러 종류의 호스를 고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특허문헌 1의 대표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로 호스를 고정한 상태를 앞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로 호스를 고정한 상태를 뒤에서 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호스를 고정한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가 호스를 고정하기 전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구성)
본 발명에 따른 클램프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띠 형상으로 이루어진 몸체(100)가 원 형태로 감겨 호스(H)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되, 이 몸체(100)의 양쪽 끝이 미리 정한 간격(G)만큼 떨어졌다가 호스(H)를 감아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처럼 몸체(100)의 양쪽이 서로 마주 보게 하여 지지 부분(110)과 작동 부분(120)으로 구성하고, 호스(H)를 고정할 때 작동 부분(120)이 이 작동 부분(120)을 관통하여 끼워지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이면서도 다양한 크기의 호스에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미리 정한 폭과 길이를 가진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 이때, 몸체(100)는 자체 탄성을 이용하여 원 형태로 감겨 호스(H)를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 상기 몸체(100)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양쪽 끝을 서로 마주 보게 꺾어서 지지 부분(110)과 작동 부분(120)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 부분(110)과 작동 부분(120)은, 도 5와 같이, 미리 정한 간격(G)만큼 떨어져서 마주 보게 형성한다. 이는, 작동 부분(120)이 후술할 지지 부분(120)의 텅(111)을 형성함에 따라 생긴 공간을 통과하면서 호스(H)를 감싸 고정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이 지지 부분(110)을 형성한 부분이 탄성 변형하는 작동 범위를 넓혀 더욱 견고하게 호스(H)를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도 1의 기존 클램프과 달리 작동 부분(120)이 지지 부분(120)을 관통하여 끼워지게 구성하는 것과 비교하여 본 발명은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필요한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즉, 기존 클램프에서 텅을 형성한 공간 안으로 끼워진 부분만큼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 부분(11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몸체(100)의 전체 폭 중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텅(111)을 형성한다. 텅(111)은 후술할 걸림 턱(121)을 걸어서 고정하기 위한 구성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텅(111)은, 도 5와 같이, 지지 부분(110)과 마주 보는 작동 부분(120)을 향하도록 꺾어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이처럼 작동 부분(120) 쪽으로 돌출한 끝에 이 작동 부분(120)에 형성한 걸림 턱(121)이 걸리게 형성함으로써, 본체(100)가 더 많이 벌어진 상태에서 호스(H)를 감아 고정하는 힘을 높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만큼 몸체(100)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재료의 양을 줄일 수 있으며, 게다가 도 5와 같은 상태에서 끼울 수 있는 최대 지름을 가진 호스까지 폭 넓게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텅(111)은, 지지 부분(110) 쪽의 한쪽 테두리 부분을 제외하고 "ㄷ"자 형상으로 절개함으로써, 절개하여 생긴 공간(111a)은 작동 부분(120)이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호스(H)를 감싸서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공간(111a)은 상기 텅(111)의 길이보다 더 길게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몸체(100)와 접하는 부분에 연약 부분(112)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약 부분(112)은 몸체(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한 것으로, 이 연약 부분(112)을 통해 텅(111)이 쉽게 휘어지면서 변형이 일어나게 하여 작동 부분(120)을 쉽게 걸리게 하거나 해제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마지막으로, 상기 작동 부분(120)에는, 도 2 내지 도 5와 같이, 텅(111) 끝에 걸릴 수 있게 걸림 턱(121)을 형성한다. 걸림 턱(121)은 도 5와 같이 작동 부분(120)이 강제로 벌린 상태에서 텅(111) 끝에 걸려 고정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작동 부분(120)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상술한 공간(111a) 안으로 관통하여 끼워질 수 있는 폭으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걸림 턱(121)이 텅(111)에서 걸림 해제가 되면, 이 공간(111a)을 관통하여 지나가면서 호스(H)를 감싸 고정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걸림 턱(121)은 텅(111)에 쉽게 끼워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상기 걸림 턱(121)은 끝단 일부를 바깥쪽으로 꺾어서 요(凹)자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텅(111)은 그 끝단 부분을 얇게 제작하여 이 걸림 턱(121)의 바깥쪽에서 끼워서 걸 수 있게 형성한다. 이에, 텅(111) 끝이 걸림 턱(121)에 안정적으로 끼워져서 고정되고, 텅(111)을 바깥쪽으로 젖히는 간단한 조작으로 걸림 턱(121)에서 걸림을 해제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원형으로 감기도록 자체 탄성을 가진 몸체의 양단을 미리 정한 간격만큼 떨어지게 지지 부분과 작동 부분으로 형성하고, 작동 부분과 지지 부분에 걸려 임시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하나의 클램프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재료의 양을 줄이면서도 몸체를 더 넓게 벌려서 더 강한 탄성을 갖게 하여 고정하는 힘을 늘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기존 클램프와 비교하여 더 큰 지름을 가진 호스도 끼워서 고정할 수 있다.
100 : 몸체
110 : 지지 부분
111 : 텅
111a : 공간
112 : 연약 부분
120: 작동 부분
121 : 걸림 턱

Claims (3)

  1. 띠 형상의 몸체(100)가 원 형태로 탄력을 받아 감기면서 호스를 고정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에 있어서,
    상기 몸체(100)에는 양쪽 끝이 서로 마주 보게 꺾어 형성하되, 마주하는 면의 반대쪽으로 벌어져서 서로 중첩하거나 겹쳐지지 않고 미리 정한 간격(G)만큼 떨어지게 지지 부분(110)과 작동 부분(120)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 부분(110)에는 전체 폭 중에서 일부 폭과 미리 정한 길이로 텅(111)을 형성하여 작동 부분(120)을 향하도록 꺾어서 형성하며,
    상기 작동 부분(120)에는 강제로 벌려서 상기 텅(111)에 걸렸다가 이 텅(111)을 형성한 공간(111a)을 관통하여 끼워지면서 호스(H)를 고정할 수 있도록 걸림 턱(121)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111)은 끝단의 폭을 얇게 형성하고,
    상기 걸림 턱(121)은 텅(111)의 얇은 끝단이 끼워질 수 있게 요(凹)자 형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텅(111)은 몸체(100)와 접하는 부분을,
    이 몸체(10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한 연약 부분(112)을 갖춰 쉽게 탄성 변형할 수 있게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스 고정용 클램프.
KR1020140184260A 2014-12-19 2014-12-19 호스 고정용 클램프 Active KR1016229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60A KR101622961B1 (ko) 2014-12-19 2014-12-19 호스 고정용 클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4260A KR101622961B1 (ko) 2014-12-19 2014-12-19 호스 고정용 클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2961B1 true KR101622961B1 (ko) 2016-05-20

Family

ID=56103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4260A Active KR101622961B1 (ko) 2014-12-19 2014-12-19 호스 고정용 클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9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622A (zh) * 2019-08-22 2019-11-19 厦门承翔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冲击波治疗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614B1 (ko) 1999-09-29 2002-02-02 권문구 호스 체결용 클램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21614B1 (ko) 1999-09-29 2002-02-02 권문구 호스 체결용 클램프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464622A (zh) * 2019-08-22 2019-11-19 厦门承翔伟业科技有限公司 一种冲击波治疗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60991B2 (en) Fixing device for hose clamp
JP6301468B2 (ja) バンドクランプ
RU2017112104A (ru) За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зажимным хомутом и манжетой
JP5391273B2 (ja) ホースクランプ
US20100102175A1 (en) Cable support
MX2011004707A (es) Abrazadera de tubo.
KR101018939B1 (ko) 밴드 클램프
CA2843531C (en) Universal mounting clamp
JP2007187307A (ja) ホース接続装置
US20190063644A1 (en) Lock ban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KR101622961B1 (ko) 호스 고정용 클램프
CA2989472C (en) Hose clamp
JP6012556B2 (ja) ホースクランプ
JP5660921B2 (ja) 配線・配管材保持具および配線・配管材の固定方法
US9239124B2 (en) Hose clamp
JP5598702B2 (ja) 吊り込み装着用クリップ
US2928637A (en) Wiring clip
US9638225B2 (en) Closure element for a fire-protection sleeve
JP2014101978A (ja) アンカー装置とこれを用いた配管等の支持具
KR101300824B1 (ko) 호스용 클램프
KR200486842Y1 (ko) 견고성이 향상된 체결밴드
JP6944346B2 (ja) ホースクランプ
KR200488193Y1 (ko) 견고성이 향상된 체결밴드
KR20170006406A (ko) 비닐하우스용 비닐 고정클립
JP2010265947A (ja) 結束バンド用支持部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5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1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