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2886B1 -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 Google Patents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2886B1 KR101622886B1 KR1020150118948A KR20150118948A KR101622886B1 KR 101622886 B1 KR101622886 B1 KR 101622886B1 KR 1020150118948 A KR1020150118948 A KR 1020150118948A KR 20150118948 A KR20150118948 A KR 20150118948A KR 101622886 B1 KR101622886 B1 KR 10162288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frame
- rectangular frame
- bridge
- structures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1/00—Amusement arrangement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1/00—Chutes; Helter-skelters
-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33/00—Devices allowing competitions between several pers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adders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놀이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공원이나 놀이터 등의 장소에 설치되는 놀이기구에 있어서, 놀이기구를 구성하는 각 부분품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함과 아울러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고 각 부분품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이 가능하므로 이용자에게 색다른 재미를 부여함과 아울러 공간적인 제약을 받지 않고 설치 가능하도록 하는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에 관한 것이다.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iding apparatus provided in a place such as a park or a playground, in which the bonding force between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riding apparatus is strengthened to secure structural safet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dularized structure riding apparatus capable of being extended and deformed so as to allow users to enjoy different kinds of fun and to be installed without being restricted by space.
일반적으로, 공원이나 아파트 단지 내의 놀이터, 유치원, 학교 운동장 또는 건물 내에 마련된 실내 놀이터 등의 여러 장소에는 어린이들이 운동을 겸해 타고 놀 수 있도록 미끄럼틀이나 그네, 시소, 정글짐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놀이기구가 설치된다.In general, various types of play equipment such as a slide, swing, seesaw and jungle gym are installed in various places such as a playground in a park or an apartment complex, a kindergarten, a school playground, or an indoor playground in a building do.
이러한 종래의 놀이기구는 대부분 구조나 구성이 단조롭게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주된 이용자인 어린이들도 싫증을 느낄 우려가 있으며, 이에 따라 최근에는 놀이기구를 지상으로부터 높게 설치하는 등의 변화를 주거나 또는 단일의 놀이기구를 서로 결합하여 구성된 복합 놀이기구가 만들어지기도 하고, 이에 더하여 새로운 개념의 놀이기구도 계속적으로 개발되고 있는 중이다.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rides are monotonous in structure or configuration, children who are the main users may feel bored. Recently, there has been a tendency to change the rides by installing the rides higher than the ground, , And in addition, a new concept of play equipment is being developed continuously.
또한, 정글짐과 같은 종래의 놀이기구는 돔 본체를 육면체 형상으로 형성함에 따라 서로 인접하는 돔 본체 사이를 횡방향이나 종방향으로만 연결하고 있기 때문에 이동방향이 제한적이라는 단점이 있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play apparatus such as the jungle gym is formed in a hexahedral shap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restricted because the dome bodies adjacent to each other are connected only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한편, 종래에는 놀이기구를 설치하는 데에 있어서 일자형 철재 파이프로 된 지지부재가 주로 사용되며, 이러한 지지부재를 용접에 의해 가로 또는 세로방향으로 연결하여 각 부분품(놀이기구를 구성하는 최소단위 구성요소)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거나 지주로 사용되기도 한다.On the other hand, conventionally, a support member made of a straight metal pipe is mainly used for installing a play device, and these support members are connected in a horizontal or vertical direction by welding so that each piece (the minimum unit component ) Or may be used as a support.
그런데 이러한 결합구조의 경우 해체 및 재조립 작업이 어려울 뿐 아니라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부식에 의해 결합부위가 파손될 가능성이 있으며, 특히, 놀이기구가 지상으로부터 높게 설치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지지부재에 하중이 더욱 집중됨에 따라 안전사고가 발생될 우려가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such a coupling structure, disassembly and reassembling work are difficult, and when a certain period of time is elapse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damaged by corrosion. Particularly, when the rides are installed from the ground, There is a fear that a safety accident may occur.
이로 인해 파손된 부위의 수리나 부분품/부품의 교체, 별도의 안전장치 증설, 인력 소모 등과 같이 유지관리 및 보수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증가한다는 단점이 있었다.This has disadvantages in that it takes time and expense to repair and repair such as repair of broken parts, replacement of parts / parts, additional safety devices, and manpower consumption.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종래의 놀이기구의 단조로움을 개선하여 이색적인 재미를 추구하도록 함과 아울러 각 부분품 간의 결합력을 강화하여 구조적 안전성을 향상하도록 하는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를 제공함에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expandable deformable module capable of improving the monotonousness of a conventional play apparatus, And the lik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는, 다면체 형상의 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체의 적어도 하나의 면에 출입구가 형성되는 다수의 구조체;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본체의 측면 부위에 결합되도록 상부가 절곡 형성되는 지주; 서로 인접하는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도록 상기 구조체 사이에 설치되는 브릿지가 구비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구조체와 지주 및 브릿지와 지주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xtensible deformable modular structure riding apparatus comprising: a plurality of structures formed of a polyhedron body and having an entrance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the body; A support vertically fixed to a bottom surface and bent upward to be coupled to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A moving means provided with bridges provided between the structures to move between adjacent structures; And a fastening means for detachably coupling the structure, the support, the bridge, and the support to each other.
이때, 구조체는 횡방향 또는 종방향으로 다수 배치됨과 아울러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구조체 사이는 경사지도록 높이를 조절하여 다각도로 연결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plurality of structures are arranged in the lateral direction or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 structures arrang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t a variable height by adjusting the height to be inclined.
상기 구조체 본체는 상기 지주의 상부에 결합되도록 적어도 측면 부위에 각형 프레임이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structure body is provided with a rectangular frame at least at a side portion thereof to be coupl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strut.
상기 브릿지는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다수의 연결프레임; 및 상기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그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각형 프레임;을 포함한다.The bridge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nd a prismatic frame installed on an outer periphery thereof to support the connection frame.
상기 지주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포스트부; 및 상기 하부 포스트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각형 프레임에 체결수단에 의해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 서포트부;를 포함한다.A lower post portion fixed to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ost portion and being bent obliquely to be coupled to the rectangular frame by fastening means.
상기 체결수단은 상기 각형 프레임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1고정브래킷; 상기 제1고정브래킷에 대응하도록 상기 상부 서포트부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는 제2고정브래킷; 및 상기 제1,2고정브래킷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를 포함한다.The fastening means includes: a first fixing bracket protruding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rectangular frame; A second fixing bracket protruding along the outer periphery of the upper support portion to correspond to the first fixing bracket; And a bolt for penetrating and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fixing brackets.
상기 브릿지는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발판을 더 포함하고,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안전망을 더 포함한다.The bridge further includes a footrest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frame, and further includes a safety net installed outside the connection frame.
상기 브릿지는 연결프레임과 각형 프레임을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연결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연결수단은 한 쌍의 체결공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각형 프레임의 각 모서리 부위에 돌출 형성되는 조인트관;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도록 상기 연결프레임에 형성되는 체결홈; 및 상기 체결공 및 체결홈을 관통 결합하는 볼트;로 이루어진다.Wherein the bridge includes connecting means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connecting frame and the rectangular frame, the connecting means having a pair of fastening holes formed through the joint pipe and protruding from each corner of the rectangular frame; A coupling groove formed in the coupling frame to correspond to the coupling hole; And a bolt for penetrating and connecting the fastening hole and the fastening groove.
상기 이동수단은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조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래더를 더 포함한다.The moving means further includes a ladder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structures to move between vertically arranged structures.
아울러, 상기 구조체는 상하 수직으로 배치 시 양측 구조체의 측면 각형 프레임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고 중앙이 절곡 형성되는 지지프레임이 구비된다.In addition, the structure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having both side ends joined to a side rectangular frame of the side structure and bent at the center when the structure is arranged vertically and vertically.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에 따르면, 놀이 이용자가 잠시 머무를 수 있는 공간부(구조체) 및 이 공간부를 건너가기 위한 수단(브릿지, 래더)을 구비하고, 구조체를 종횡방향으로 이동 가능함과 아울러 높이를 서로 달리하여 경사방향으로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하되 각 구조체에 출입구를 제한적으로 마련함으로써 미로를 찾아가는 것과 같은 재미와 즐거움을 느낄 수 있고, 또한 지주의 형태를 변형하여 구조체/브릿지와의 결합력을 강화함과 아울러 지주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함으로써 구조적인 안전성을 증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체를 상방으로 높게 설치하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진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modularized structure play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 structure in which a play user can stay for a while and a means (bridge, ladder) for crossing the space portion, It is possible to move vertically and horizontally as well as to be movable in an oblique direction with different heights from each other. However, it is possible to feel the fun and pleasure of visiting a maze by limiting access to each structure,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uctural stability by increasing the bonding force with the structure / bridge and to disperse the load applied to the support, and it is possible to maintain a stable connection state even if the structure is installed at a high height.
아울러, 상기 구조체와 브릿지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의 조립 및 해체가 가능하므로 신선함과 새로운 재미를 추구할 수 있고, 더욱이 실내외의 설치공간이 한정된 경우에도 조립 형태를 변경함으로써 충분하게 대응할 수 있으므로 공간적인 제약을 해소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it is possible to assemble and disassemble into various forms using the structure and the bridge, it is possible to pursue freshness and new fun, and even when the indoor and outdoor space is limited, The constraint can be solved.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본 발명의 구조체와 지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의 브릿지와 지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
도5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a structure and a suppor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engagement of a bridge and a support in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artial enlarged view of Fig. 3
5 is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may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먼저, 도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의 구조체와 지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3은 본 발명의 브릿지와 지주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4는 도3의 부분확대도이며, 도5는 본 발명의 체결수단을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lay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view showing a state of a structure and a support of a suppo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showing a combination of a bridge and a support Fig. 4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Fig. 3, and Fig. 5 is a partially enlarged view of the fastening mean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는, 적어도 1개의 출입구(12)가 형성되는 다면체 형상의 구조체(10); 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구조체의 측면 부위에 결합되는 지주(20); 서로 인접하는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도록 그 사이에 설치되는 이동수단(30,40); 및 상기 구조체와 지주 및 이동수단과 지주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는 것이다.According to the drawings, a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olyhedron-
이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as follows.
구조체(10)는 이용자가 잠시 머무를 수 있는 스테이션(station)과 같은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본체(11)와 출입구(12) 및 각형 프레임(13)을 포함하며, 이러한 구조체는 종횡방향 및 경사방향으로 다수 배치된다.The
본체(11)는 대략 볼록한 다면체 형상을 갖는 입체 구조이고 그 내부에는 공간부가 형성된다. 다면체의 각 면 중 적어도 하나의 면에 이용자가 드나들 수 있도록 출입구(12)가 형성되며, 출입구가 형성되지 않은 본체(11)의 나머지 면은 외부의 투시가 가능하도록 망 형태로 형성되거나 또는 판 형태로 형성된다.The
상기 출입구(12)는 본체(11)의 상면이나 하면 또는 측면에 선택적으로 형성되어 이용자가 종횡방향으로 출입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출입구(12)는 후술하는 각형 프레임(13)의 내측에 위치하고, 각형 프레임 상에 설치되는 이동수단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구조체로의 출입이 가능하게 된다.The
상기 본체(11)를 이루는 다면체의 각 면 중 적어도 측면 부위에는 각형 프레임(13)이 설치된다.A
각형 프레임(13)은 사각 형상으로 형성하되, 후술하는 지주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각 모서리 부위가 상하좌우 방향으로 위치하고 마주 보는 변이 서로 평행한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각형 프레임(13)의 각 모서리 부위는 안전을 위하여 라운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The
이러한 각형 프레임(13)은 본체(11)의 강도를 보강하는 역할도 겸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구조체(10)는 2개가 상하 수직으로 배치 시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거나 해체된다. 이러한 지지프레임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운데(202)는 절곡 형성됨과 아울러 양측 단부(201)는 직선으로 형성되며, 이 직선 부위가 상하 2개의 구조체 본체의 측면에 설치되는 각형 프레임(13)에 각각 결합된다.In addition, two of the
지주(20)는 지면(바닥면)에 수직으로 고정 설치되어 상기 구조체(10)를 지상으로부터 일정 높이에서 지지하는 것으로서, 하부 포스트부(21)와 상부 서포트부(22)를 포함하며, 이러한 지주는 4개가 한조가 되어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된다.The
하부 포스트부(21)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금속재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그 하단부는 지면에 고정된다.The
상부 서포트부(22)는 하부 포스트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각형 프레임(13)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이로 인해 구조체(10)를 경사지게 지지하게 되어 지주(20)에 가해지는 하중이 골고루 분산된다.The
이때,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서포트부(22)는 이중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는 2개의 구조체(10A,10B)를 동시에 연결 및 지지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상부 서포트부(22)에 의해 이들 2개의 구조체 사이는 일정 거리 유지된다.As shown in FIG. 1,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지주(20)는 브릿지를 지지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는데, 구조체와의 결합과 마찬가지로 브릿지의 각형 프레임과 지주의 상부 서포트부가 결합 설치되며, 이를 위하여 체결수단이 사용된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The
이동수단은 상기 구조체와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기 위하여 이들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이동수단은 브릿지(30) 및 래더(40)가 사용된다.A moving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m to move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and such a moving means is used for the
브릿지(30)는 횡방향 또는 경사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거나 또는 구조체로 진입하기 위한 통로로서, 연결프레임(31)과 각형 프레임(33)을 포함한다. The
연결프레임(31)은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금속재 파이프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4개가 한조로서 일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이 간격은 각형 프레임(33)의 각 변(line segment)의 길이에 대응한다.The
상기 연결프레임(31)은 서로 인접하는 구조체 사이를 횡방향으로 연결하도록 수평으로 형성되거나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며, 연결프레임(31)의 하부에는 이용자가 보다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동 가능하도록 발판(32)이 장착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측으로 안전망(34)이 설치될 수도 있다.The
각형 프레임(33)은 상기 4개의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그 외측 둘레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구조체 본체에 설치되는 각형 프레임(13)과 동일하게 형성되며, 이러한 각형 프레임(33)은 적어도 하나의 변이 지주(20)에 결합되어 연결프레임(31)을 지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지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프레임(31)과 각형 프레임(33)은 연결수단에 의해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며, 이러한 연결수단은 조인트관(351)과 체결홈 및 볼트(352)로 이루어진다.4, the connecting
조인트관(351)은 관 형상으로 한 쌍의 체결공(미도시)이 관통 형성되고 각형 프레임(33)의 각 모서리 부위에 돌출 형성되며, 체결홈(미도시)은 상기 체결공에 대응하도록 연결프레임(31) 상에 형성되며, 상기 체결공 및 체결홈은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352)에 의해 일체로 결합 또는 해체된다.The
상기 연결수단은 구조체(10)와 브릿지(30)를 결합 시 구조체에 설치된 각형 프레임(13)과 연결프레임(31)을 일체로 결합 시에도 사용된다.The connecting means is also used when the
래더(40)는 종방향으로 배치되는 양측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기 위한 통로로서, 상기 구조체 본체의 상면 또는 하면에 설치되는 각형 프레임(13)에 고정되며, 이러한 래더는 구조체 본체의 내부에서부터 시작되어 외부로 연장 설치될 수 있다.The ladder 40 is fixed to a
상기 래더(40)는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조체 사이에 반드시 설치될 필요는 없으며, 구조체의 상하면에 형성되는 출입구를 통해 이용자가 스스로의 힘으로 직접 이동할 수도 있다.The ladder 40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between vertically disposed structures, and may be directly moved by the user through an entrance formed at the top and bottom of the structure.
체결수단(50)은 상기 구조체와 지주 또는 브릿지와 지주를 일체로 결합 또는 해체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체결수단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고정브래킷(51)과 제2고정브래킷(52) 및 볼트(53)로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5, the fastening means 50 includes a
제1고정브래킷(51)은 플레이트 형상이고 구조체/브릿지의 각형 프레임(13,33)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제2고정브래킷(52)은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제1고정브래킷에 대응하도록 지주의 상부 서포트부(22)의 외측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되며, 상기 제1,2고정브래킷은 이들을 관통하는 볼트(53)에 의해 일체로 결합 또는 해체된다.The
즉, 상기 구조체/브릿지의 각형 프레임(13,33)을 지주의 상부 서포트부(22)에 안착시켜 상기 제1,2고정브래킷(51,52)이 밀착되게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53)를 이용하여 체결함에 따라 구조체/브릿지(10,30)와 지주(20)의 결합이 이루어지며, 또한 레이아웃 변경 등 필요에 따라 체결수단의 분리에 의해 이들의 결합상태를 용이하게 해체할 수 있다.That is, the
상기 체결수단(50)은 래더(40)를 구조체 본체(110에 연결하거나 지지프레임(200)을 각형 프레임(13)에 연결 시에도 사용된다.The fastening means 50 is also used when connecting the ladder 40 to the structure body 110 or when connecting th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놀이기구의 작용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본 발명에 따른 놀이기구를 공원이나 실내외 놀이터, 유치원, 학교 운동장 또는 유원지 등에 설치하며, 어린이 뿐만 아니라 어른들도 이용 가능하다.The play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in a park, an indoor / outdoor playground, a kindergarten, a school playground, an amusement park, etc., and can be used not only for children but also for adults.
우선, 브릿지(30)를 건너 출입구(12)를 통해 첫 번째 구조체(10A) 본체의 내부로 진입하고, 본체 내에 형성된 다른 출입구를 통해 이웃하는 두 번째 구조체(10B)로 이동한다. First, the
이때, 출입구(12)가 구조체 본체(11)의 상면이나 하면에 형성 시 래더(40)를 통해 종방향으로 이동하면 되고, 측면에 형성 시에는 브릿지(30)를 통해 횡방향으로 이동하면 되며, 횡방향 이동 시에는 다른 높이에 있는 구조체(10C)를 향해 경사방향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when the
또한, 구조체 본체(11)에 출입구(12)가 3개 이상 형성된 경우에는 이용자가 스스로 이동할 방향을 선택할 수 있으며, 만일 이동한 구조체 본체에 출입구가 1개만 형성된 경우에는 이웃하는 구조체로의 이동이 불가능하므로 되돌아 나와야 한다.In addition, when three or
상기와 같은 방법을 통해 구조체와 구조체 사이를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이동하거나 경사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출구 측을 향해 전진함에 따라 미로 찾기와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다.Through the above-described method, movement between the structure and the structure in the longitudinal or lateral direction or in the oblique direction while advancing toward the exit side can produce the same effect as finding a maze.
아울러, 구조체(10)와 지주(20) 및 브릿지(30)와 래더(40)로 된 이동수단을 결합하는 체결수단(50)의 해제가 용이하므로 기존에 조립된 배치상태와는 다른 형태로 용이하게 변경이 가능하므로 지속적인 재미를 부여할 수 있으며, 또한, 지지프레임(200)에 의해 구조체(10)를 수직으로 높게 조립하더라도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구조체 등 부분품의 개수를 줄이거나 레이아웃을 변경함으로써 설치공간이 한정된 실내에서도 용이하게 설치 및 이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since the fastening means 50 for coupling the
10 : 구조체 11 : 본체
12 : 출입구 13 : 각형 프레임
20 : 지주 21 : 하부 포스트부
22 : 상부 서포트부 30 : 브릿지
31 : 연결프레임 32 : 발판
33 : 각형 프레임 34 : 안전망
35 : 연결수단 40 : 래더
50 : 체결수단 51 : 제1고정브래킷
52 : 제2고정브래킷 53 : 볼트
200 : 지지프레임10: Structure 11: Body
12: Doorway 13: Square frame
20: column 21: lower post part
22: upper support part 30: bridge
31: connection frame 32: foot plate
33: square frame 34: safety net
35: connecting means 40: ladder
50: fastening means 51: first fastening bracket
52: second fixing bracket 53: bolt
200: support frame
Claims (9)
수직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지고 지면에 고정되는 하부 포스트부(21) 및 상기 하부 포스트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각형 프레임(13)에 결합되도록 경사지게 절곡 형성되는 상부 서포트부(22)로 이루어지는 지주(20);
서로 다른 수직높이를 가지며 인접하는 본체(11)의 출입구(12)를 연결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방향으로 형성된 출입구(12)를 가지며 인접하는 본체(11)의 각 출입구(12)를 연결하는 브릿지(30)가 구비되는 이동수단; 및
상기 구조체와 지주 및 브릿지와 지주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는 체결수단(50);을 포함하며,
상기 구조체(10)는 상하 수직으로 배치 시 양측 구조체의 측면 각형 프레임에 양측 단부가 결합되고 중앙이 절곡 형성되는 지지프레임(200)이 구비되고,
상기 브릿지(30)는 횡방향으로 일정 길이를 가진 다수의 연결프레임(31); 상기 연결프레임의 하부에 장착되는 발판(32); 상기 연결프레임을 지지하도록 그 외측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지주(20)에 결합되는 각형 프레임(33); 및 상기 연결프레임의 외측으로 설치되는 안전망(34);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A plurality of main bodies (11) having different vertical heights are disposed at mutually different positions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 entrance (12) is 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each of the main bodies (11) (10) having a rectangular frame (13) on at least a side surface portion of the frame (10);
A lower post portion 21 fixed to the groun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n upper support portion 22 extending upward from the lower post portion and being bent obliquely to be engaged with the rectangular frame 13, A support (20);
A bridge 12 having different vertical heights and connecting the outlets 12 of the adjacent bodies 11 or having the outlets 12 formed in different directions and connecting the respective outlets 12 of the adjacent bodies 11 30); And
(50) for detachably connecting the structure, the support, the bridge and the support,
The structural body 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frame 200 having both side ends joined to a side rectangular frame of the two side structures and bent at the center when vertically arranged,
The bridge 30 includes a plurality of connection frames 31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 foot plate (32) mounted on a lower portion of the connection frame; A rectangular frame (33) installed around the outer periphery thereof to support the connecting frame and coupled to the strut (20); And a safety net (34) installed on the outside of the connection frame.
상기 이동수단은 상하 수직으로 배치되는 구조체 사이를 이동하도록 구조체 사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래더(40)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확장 변형 가능한 모듈화된 구조체 놀이기구.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ing means further comprises a ladder (40) vertically installed between the structures so as to move between the vertically arranged structur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8948A KR101622886B1 (en) | 2015-08-24 | 2015-08-24 |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18948A KR101622886B1 (en) | 2015-08-24 | 2015-08-24 |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22886B1 true KR101622886B1 (en) | 2016-05-19 |
Family
ID=56103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18948A Active KR101622886B1 (en) | 2015-08-24 | 2015-08-24 |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2886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730867A (en) * | 2016-12-16 | 2017-05-31 | 武汉犇犇向前冲科技有限公司 | Travel and take and recreation facility |
KR101743082B1 (en) * | 2016-09-08 | 2017-06-02 | (주)신흥이앤지 |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
KR101882812B1 (en) | 2018-03-16 | 2018-07-27 | 주식회사 에넥스트 | 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withe self generating function |
KR101882816B1 (en) | 2018-03-16 | 2018-07-27 | 주식회사 에넥스트 | 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with field ball play and pitching ball play function |
KR101882810B1 (en) | 2018-03-16 | 2018-07-27 | 주식회사 에넥스트 | 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with rock climbing and field ball and table ball play function |
KR102179008B1 (en) * | 2020-07-30 | 2020-11-16 | (주)신흥이앤지 | Frame module for amusement facilities |
WO2020252314A1 (en) * | 2019-06-13 | 2020-12-17 | Landscape Structures Inc. | Geometric play structure |
CN115120987A (en) * | 2022-07-25 | 2022-09-30 | 北京盈月晨星文化有限公司 | Amusement equipment combining assembled structure and simulated cave exploratio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347Y1 (en) | 2006-09-20 | 2006-12-20 | 황선주 | Playing apparatus |
KR101529125B1 (en) | 2015-02-02 | 2015-06-16 | 주식회사 지에스웹 | An playing equipment supported by triangle posts |
-
2015
- 2015-08-24 KR KR1020150118948A patent/KR101622886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34347Y1 (en) | 2006-09-20 | 2006-12-20 | 황선주 | Playing apparatus |
KR101529125B1 (en) | 2015-02-02 | 2015-06-16 | 주식회사 지에스웹 | An playing equipment supported by triangle posts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43082B1 (en) * | 2016-09-08 | 2017-06-02 | (주)신흥이앤지 | Children playing facilities having stacked in zig-zag configuration |
CN106730867A (en) * | 2016-12-16 | 2017-05-31 | 武汉犇犇向前冲科技有限公司 | Travel and take and recreation facility |
KR101882812B1 (en) | 2018-03-16 | 2018-07-27 | 주식회사 에넥스트 | 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withe self generating function |
KR101882816B1 (en) | 2018-03-16 | 2018-07-27 | 주식회사 에넥스트 | 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with field ball play and pitching ball play function |
KR101882810B1 (en) | 2018-03-16 | 2018-07-27 | 주식회사 에넥스트 | Variable module type multiple playing structure assembly with rock climbing and field ball and table ball play function |
WO2020252314A1 (en) * | 2019-06-13 | 2020-12-17 | Landscape Structures Inc. | Geometric play structure |
KR102179008B1 (en) * | 2020-07-30 | 2020-11-16 | (주)신흥이앤지 | Frame module for amusement facilities |
CN115120987A (en) * | 2022-07-25 | 2022-09-30 | 北京盈月晨星文化有限公司 | Amusement equipment combining assembled structure and simulated cave exploration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2886B1 (en) | Playing apparatus with extensible and modifiable modular structure | |
US4369965A (en) | Playground climber and slide | |
US10272353B2 (en) | Unit block having integrally provided coupling portion and insertion portion and coupling or using method using same | |
KR101978647B1 (en) | Cat tower assembly | |
KR101232775B1 (en) | A complex recreation facilities | |
RU147936U1 (en) | KIDS SPORTS AND GAME COMPLEX | |
WO2013162465A1 (en) | A narrow space rescue training device | |
US20200391067A1 (en) | Geometric play structure | |
KR101077744B1 (en) | Slide frame with screw block | |
JP6254555B2 (en) | Indoor building | |
KR101590397B1 (en) | Module type complex facilities | |
KR101059397B1 (en) | Jungle gym connection structure | |
JP5468373B2 (en) | Experience-type assembly maze playground equipment | |
JP2006211919A (en) | Plaything for cat | |
JP6035475B1 (en) | Infant play equipment | |
KR102219002B1 (en) | tunnel-type adventure play facility | |
KR200164602Y1 (en) | A using much clamp for sports structure assembly | |
CN217119223U (en) | Playground is with climbing net | |
KR101529125B1 (en) | An playing equipment supported by triangle posts | |
KR200290587Y1 (en) | Construction for sports climbing | |
RU2672848C1 (en) | Playground structure | |
KR102702347B1 (en) | Prefab Building DIY Set | |
JP7242016B2 (en) | compound playground equipment | |
JP2001087413A (en) | Three-dimensional facility for play | |
KR20140105071A (en) | Assembly type ladder for booth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9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24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AMND | Amendment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AMND | Amendment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51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304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1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1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5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5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50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