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22594B1 - Portable terminal - Google Patents

Portable termina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2594B1
KR101622594B1 KR1020080094960A KR20080094960A KR101622594B1 KR 101622594 B1 KR101622594 B1 KR 101622594B1 KR 1020080094960 A KR1020080094960 A KR 1020080094960A KR 20080094960 A KR20080094960 A KR 20080094960A KR 101622594 B1 KR101622594 B1 KR 1016225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unit
stopper
bodies
hing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49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00035528A (en
Inventor
김민태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2594B1/en
Publication of KR20100035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552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25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259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바디와;상기 제1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바디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일정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 고정되며, 제1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힌지부에 고정되며, 일정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리는 제2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바디들간의 상대 회전을 일정 각도에서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 second body having a first hinge portion having a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the second body being foldably or un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witch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A first stopper fixed to the hinge portion and having a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a second stopper fix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locking protrusion that is hooked to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claim 1, So that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bodies can be limited at a certain angle.

Description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0001] PORTABLE TERMINAL [0002]

본 발명은 회전 제한부를 구비하는 폴더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older-type portable terminal having a rotation limiting unit.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that is portable and has one or more functions such as voice and video call function, information input / output function, and data storing function.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고 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are diversified,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has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and broadcasting, and is implemented as a multimedia device .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In order to implement complex functions in multimedia devices, various new attempts have been made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s provided for a user to easily and conveniently search for or select a function.

또한, 휴대 단말기는 자신의 개성을 표현하기 위한 개인 휴대품으로 여겨지면서, 다양한 디자인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디자인 형태로서는 바 타입, 폴더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위블 타입 등의 디자인이 휴대 단말기에 적용되고 있다.In addition, a portable terminal is regarded as a personal portable product for expressing its own personality, and various designs are required. As such a design type, a bar type, a folder type, a slide type, a swivel type, and the like are applied to portable terminals.

이와 같은 여러 형태의 휴대 단말기들 중 폴더 타입 단말기는 일반적으로 두 개의 바디(즉, 제1 및 제2바디)가 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러한 폴더 타입 단말기는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회전에 따라 그 길이가 변화되어 휴대성과 통화의 편리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구조인 바, 많은 사용자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Among such various types of portable terminals, a folder type terminal generally has a structure in which two bodies (i.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foldably connected. Such a folder type terminal is structured to satisfy both the portability and the convenience of communication by changing its length according to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본 발명은 폴더 타입 단말기에 있어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바디들간의 상대 회전을 일정 각도에서 제한할 수 있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ructure for limit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bodies without affecting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n a folder type terminal.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제1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바디와;상기 제1힌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바디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및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일정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제1힌지부에 고정되며, 제1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 및 상기 제2힌지부에 고정되며, 일정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리는 제2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2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portable terminal including a first body having a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hinge portion rotatably coupl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wherein the first body is foldable or unfoldable A second body connected thereto; 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witch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A first stopper fixed to the hinge portion and having a first locking projection; And a second stopper fix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locking protrusion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상기 제2힌지부는 상기 제1힌지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도록 구성되며,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제1힌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힌지부들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The second hinge unit may b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unit. The rotation restricting unit may be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inge unit and the second hinge unit.

상기 제1힌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힌지부들 중 다른 하나의 사이에는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유닛이 더 구비될 수 있다.The hinge unit may further include a hinge unit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units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unit and another one of the second hinge units.

본 발명은 회전 제한부를 힌지부의 내부에 구비하여 회전 제한부가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바디들간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구조를 바디의 외부에 형성함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외관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is provided inside the hinge portion so that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so that the structure for restrict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bodies is formed outside the body so that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not adversely affected .

또한, 본 발명은 힌지부의 일측과 타측에 힌지 유닛과 회전 제한부가 배치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힌지부 내부 공간의 효율적인 활용이 가능하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hinge unit and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are dispos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hinge portion, thereby enabling efficient use of the internal space of the hinge portion.

또한, 본 발명은 회전 제한부를 일정 각도에서 서로 걸리는 제1 및 제2스토퍼로 구성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통하여 바디들 간에 상대 회전을 제한시키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realize the function of restricting the relative rotation between the bodies through the simple structure by constituting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with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which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certain angle.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100)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example of a mobile terminal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본 발명의 휴대 단말기는 제1바디(110)와, 제1바디(110)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120)를 포함한다.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는 힌지부(130)를 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The portable terminal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10 and a second body 120 which is foldably or un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110.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hinge 130.

제1바디(110)가 제2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폴딩 상태(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바디(10)가 제2바디(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언폴딩 상태(unfolding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The state where the first body 110 is disposed in a state of being overlapped with the second body 120 may be referred to as a folding configuration and the first body 10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body 20 ) May be referred to as an unfolding configuration.

휴대 단말기는 닫힌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는 열린 상태에서 주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The mobi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standby mode in the closed state, but the standby mode is also released by the user's operation. The portable terminal operates mainly in the communication mode in the open state, but is also switched to the standby mode by the operation of the user or a predetermined period of time.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The casing (housing, housing, cover, etc.) constituting the outer appearance of the first body 110 is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embedd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11 and the rear case 112.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to hav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or the like.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제1음향출력부(114), 제1영상입력부(115) 등이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13,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and the like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body 11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11.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등을 포함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13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module,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module, etc.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and the display unit 113 further includes a touch screen, It may also be possible to input information.

제1음향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영상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image output unit 114 may be implemented as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implemented as a camera module for capturing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Can be implemented.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제2바디(12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1 및 제2조작부(123,124)가 배치될 수 있다.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form the case of the second body 120, as in the case of the first body 110. [ The first and second operating portions 123 and 124 may be dispos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second body 120,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21. [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조작부(125), 음향 입력부(126), 인터페이스(127)가 배치될 수 있다.At least one of the front case 121 and the rear case 122 may include a third operating unit 125, an acoustical input unit 126, and an interface 127.

제1 내지 제3조작부(123,124,125)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라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operating portions 123, 124, and 125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and any manner can be adopted as long as the tactile manner in which the user operates with a tactile impression.

예를 들어, 조작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operation unit may be implemented by a dome switch or a touch screen, a touch pad, or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As shown in FIG.

기능적인 면에서, 제1조작부(123)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조작부(124)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조작부(125)는 제1영상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operation unit 123 is for inputting commands such as start, end, and scroll, and the second operation unit 124 is for inputting numbers, letters, symbols,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third operating unit 125 may operate as a hot-key for performing a special function such as activation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and the like.

음향입력부(126)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6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microphone, for example, to receive a user's voice, other sounds,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7)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7)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The interface 127 is a path for allowing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to exchange data with an external device. For example, the interface 127 may be a wired or wireless connection terminal for connecting to an earphone, a port for short range communication (for example, an IrDA port, a Bluetooth port, a wireless LAN port a wireless Lan port), or power supply terminals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인터페이스(127)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The interface 127 may be a card socket that accepts an external card such as a 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SIM) or a user identity module (UIM), a memory card for information storage, and the like.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도 2를 참조하면, 제1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12)에는 제2영상입력부(116), 보조 디스플레이부(117) 등이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2, a second image input unit 116, an auxiliary display unit 117, and the like may be additionally mounted to the rear case 112 of the first body 120. Referring to FIG.

제2영상입력부(116)는 제1영상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영상입력부(115)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may have a photographing direction substantially opposite to that of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see FIG. 1), and may be a camera having different pixels from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예를 들어, 제1영상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영상입력부(116)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example,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has low pixels so that it is easy to capture a face of a user in the case of a video call or the like and transmit the face to the other party, and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photographs a general object, It is preferable to have a high pixel because it is often not transmitted.

한편, 제2영상입력부(116)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는 경우, 제1영상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어 제2영상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If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is not separately provided, the first image input unit 115 may be rotatable so that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can be photographed up to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28.

보조 디스플레이부(117)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출력 방향과 반대 방향을 갖는 시각 정보를 출력한다. 보조 디스플레이부(117)는 날짜, 시각, 배터리 잔량에 관한 정보를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보조 디스플레이부(117)는 폴딩 상태에서 제2영상입력부(116)를 이용하여 셀프 촬영을 하는 경우 뷰 파인더의 기능을 할 수도 있다.The auxiliary display unit 117 outputs time information having a direction opposite to the output direction of the display unit 113. [ The auxiliary display unit 117 can visually output information on date, time, and remaining battery power. Also, the auxiliary display unit 117 may function as a viewfinder when the self-photographing is performed using the second image input unit 116 in the folded state.

제2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음향출력부(128)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음향출력부(128)는 제1음향출력부(114, 도 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8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rear case 122 of the second body 120. [ The second sound output unit 128 may implement a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sound output unit 114 (see FIG. 1), and may be used for talking in a speakerphone mode.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9)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29)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And a power supply unit 129 for supplying power to the portable terminal is mounted on the rear case 122 side. The power supply 129 may be detachably coupled, for example, for charging, as a rechargeable battery, for example.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을 참조하면, 힌지부(130)는 제1바디(110)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힌지부(131)와, 제2바디(120)의 단부에 한 쌍으로 형성되는 제2힌지부들(132,133)을 포함한다. 제2힌지부들(132,133)은 제1힌지부(131)의 양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3, the hinge unit 130 includes a first hinge unit 131 formed at the end of the first body 110 and a second hinge unit 131 formed at the end of the second body 120, (132, 133). The second hinge parts 132 and 133 are rotatab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part 131.

힌지부(130)의 내부에는 제1힌지부(131)와 제2힌지부(132,133)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 유닛(150)이 설치된다. 힌지 유닛(150)은 제1힌지부(131)의 일단과 제2힌지부들(132,133) 중 어느 하나(133)의 사이에 장착된다.A hinge unit 150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hinge unit 131 and the second hinge units 132 and 133 is installed in the hinge unit 130. [ The hinge unit 150 is mounted between one end 133 of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or 133.

힌지 유닛(150)은 제1 및 제2바디(110,120)가 반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1힌지부(131)와 제2힌지부들(132,133) 중 어느 하나(133)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힌지 유닛(150)은 사용자가 제1 및 제2바디(110,120)를 일정 각도까지 상대 회전시키면, 그 각도 이후부터는 제1 및 제2바디(110,120)가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The hinge unit 150 is configured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any one of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s 132 and 133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can be semi-automatically rotated . That is, when the user relatively rotate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to a certain angle, the hinge unit 150 allow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to be automatically rotated after the angle.

힌지 유닛(150)은 상대 회전 가능한 한 쌍의 부재(151,152)들을 포함한다. 이들 중 어느 하나(151)는 제1힌지부(131)의 일단에 형성된 삽입홈(131a)에 고정되며, 다른 하나(152)는 제2힌지부들(132,133) 중 어느 하나(133)에 형성된 삽입홈(133a)에 고정된다. 힌지 유닛(150)의 내부에는 회전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프링이 설치될 수 있다.The hinge unit 150 includes a pair of members 151 and 152 that are relatively rotatable. One of the first hinge parts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s 132 is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 131a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other one of them is fixed to the insertion hole 131a formed at one end 133 of the second hinge parts 132, And is fixed to the groove 133a. A spring for providing a rotational force may be installed inside the hinge unit 150.

힌지 유닛(150)은 제1 및 제2바디(110,120)를 반자동으로 회전시키는 구성 이외에,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회전시 제1 및 제2바디(110,120)를 임의의 각도에서 정지시킬 수 있는 소위, 프리 스톱(free stop) 힌지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The hinge unit 150 is configured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in an arbitrary angle during th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in addition to the configuration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are semi- So-called free stop hinges, which can be used as a stopper.

상기 반자동 또는 프리 스톱 힌지를 구현하기 위한 힌지 유닛(150)의 구성은 공지기술이며, 당업자라면 충분히 실시할 수 있는 구성인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configuration of the hinge unit 150 for implementing the semi-automatic or free-stop hinge is well known in the art and can be sufficiently implement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but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힌지부(130)의 내부에는 제1 및 제2바디가 일정 각도 상대 회전하였을 때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140)가 배치된다. 회전 제한부(140)는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제1 및 제2바디(120)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도록 구성된다.In the hinge part 130, a rotation restricting part 140 for restricting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when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relatively rotated at a predetermined angle is disposed.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140 is configured to limit the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20 as the rotation state is chang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회전 제한부(140)는 제1힌지부(131)의 타단과 제2힌지부들(132,133) 중 다른 하나(132)의 사이에 장착될 수 있다. 회전 제한부(140)는 제1힌지부(131)의 타단에 고정되는 제1스토퍼(141)과, 제2힌지부들(132,133) 중 다른 하나(132)에 고정되는 제2스토퍼(142)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140 may be mounted between the other end 132 of the first hinge portion 131 and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or 133. [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140 includes a first stopper 141 fix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ortion 131 and a second stopper 142 fixed to the other one of the second hinge portions 132 and 133 .

제1스토퍼(141)는 제1힌지부(131)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홈(131b)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리고, 제2스토퍼(142)는 제2힌지부들(132,133) 중 다른 하나(132)에 형성된 삽입홈(132)에 삽입되어 고정된다.The first stopper 141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1b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fixed. The second stopper 142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insertion groove 132 formed in the other one of the second hinge parts 132 and 133.

제1 및 제2스토퍼(141,142)는 제1 및 제2바디(110,120)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회전함에 따라 일정 회전 각도에서 서로 걸리도록 구성되며, 이에 따라 제1 및 제2바디(110,120)의 상대 회전이 제한된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스토퍼(141,142)의 상세한 구성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41 and 142 are configured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10 and 12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they rotate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 Is limited. Hereinafter, a detailed configu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41 and 142 will be described.

도 4는 본 발명과 관련된 제1 및 제2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스토퍼의 사시도들이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a configuration of first and second stopper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shown in Fig.

도 4를 참조하면, 제1스토퍼(141)와 제2스토퍼(142)는 각각 실린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들은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형태를 가질 수 있다.Referring to FIG. 4, the first stopper 141 and the second stopper 142 may be formed in a cylinder shape. They may have one end opened and the other end clogged.

제1 및 제2스토퍼(141,142)의 막힌 부분은 제1힌지부(131)와 제2힌지부(132)의 삽입홈(131b,132)에 각각 고정된다. 제1 및 제2스토퍼(141,142)의 일측에는 고하나 이상의 고정 리브들(145a,145b,14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힌지부(131)에는 제1스토퍼(141)의 고정 리브들(145a,145b)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힌지부(132)에는 제2스토퍼(142)의 고정 리브(146)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고정홀이 형성될 수 있다.The clog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41 and 142 are fixed to the insertion grooves 131b and 132 of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the second hinge part 132, respectively. One or more fixed ribs 145a, 145b, and 146 may b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41 and 142. [ The first hinge part 131 may be formed with a fix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ribs 145a and 145b of the first stopper 141 are inserted and fixed. The second hinge part 132 may be formed with a fixing hole through which the fixing rib 146 of the second stopper 142 is inserted and fixed.

제1스토퍼(141)의 개방 단부와 제2스토퍼(142)의 개방 단부는 서로 마주보게 배치된다. The open end of the first stopper 141 and the open end of the second stopper 142 are disposed opposite to each other.

제1 및 제2스토퍼(141,142)의 개방 단부에는 일정 회전 각도에서 서로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제1 및 제2걸림돌기(143,144)가 형성된다. 제1걸림돌기(143)는 폴딩 상태에서 제2걸림돌기(144)로부터 일정 각도, 예를 들면 150도만큼 이격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1걸림돌기(143)는 제1바디(110)가 회전함에 따라 제1바디(110)와 일체로 회전하여 제2걸림돌기(144)에 접촉되도록 구성된다.First and second locking projections 143 and 144 are formed on the open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41 and 142 to be engaged with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is dispos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by a predetermined angle, for example, 150 degrees, in the folded state. As the first body 110 rotates,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rotates integrally with the first body 110 and is configured to contact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제1걸림돌기(143)는 제2걸림돌기(144)와 접촉하는 접촉면(143a)을 구비하며, 접촉면(143a)의 타측에는 경사면(143b)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구조는 제2걸림돌기(144)와의 계속적인 접촉에 따라 제1걸림돌기(143)에 변형, 파손이 발생하지 않도록 제1걸림돌기(143)에 강성을 제공한다.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has a contact surface 143a contacting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and the other side of the contact surface 143a is provided with an inclined surface 143b. Such a structure provides rigidity to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so that deformation and breakage do not occur in the first latching protrusion 143 due to continuous contact with the second latching protrusion 144. [

제2걸림돌기(144) 또한 제1걸림돌기(143)와 마찬가지로 접촉면(144a)과 경사면(144b)를 가질 수 있다.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may have a contact surface 144a and an inclined surface 144b as in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

제1스토퍼(141)는 제1힌지부(131)에 형성된 삽입홈(131b)의 단부로부터 일정 간격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그리고, 제2스토퍼(142)는 그 일부가 제2힌지부(132)의 삽입홈(132a)으로부터 돌출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스토퍼(142)의 일부는 제1힌지부(131)의 삽입홈(131b)에 삽입된다. 이에 같은 구성에 의하여 제2스토퍼(142)는 제1 및 제2힌지부(131,132)의 회전시 회전축(shaft)의 기능을 한다.The first stopper 141 may be locat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end of the insertion groove 131b formed in the first hinge part 131. [ The second stopper 142 may be disposed such that a part of the second stopper 142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groove 132a of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 A part of the second stopper 142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1b of the first hinge part 131. [ The second stopper 142 functions as a shaft when the first and second hinge parts 131 and 132 rotate.

본 실시예에서는 제2스토퍼(142)의 일부가 제2힌지부(132)의 삽입홈(132a)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예시하였으나, 제1스토퍼(141)의 일부가 제1힌지부(131)의 삽입홈(131b)로부터 돌출되어 제2힌지부(132)의 삽입홈(132a)에 삽입되는 구조도 가능하다.A part of the second stopper 142 protrudes from the insertion groove 132a of the second hinge part 132. However, when the first stopper 141 partly protrudes from the first hinge part 131,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32a of the second hinge portion 132. [0064] As shown in FIG.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141,142)의 일 영역에는 제1바디(110)와 제2바디(12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한 연성회로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이 통과하는 제1 및 제2슬롯부(147,148)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슬롯부(147,148)는 제1스토퍼 및 제2스토퍼(141,142)의 일 영역이 제거되어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141 and 142 are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bodies 120 and 120 throug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body 110 and the second body 120, And second slot portions 147 and 148, respectively. The first and second slot portions 147 and 148 may be formed by removing one region of the first stopper 141 and the second stopper 142.

연성회로기판(FPCB)은 일단이 제1바디(110)의 내부(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와 연결되고, 타단이 제1 및 제2슬롯부(147,148)를 통과하여 제2바디(120)의 내부(예를 들어, 인쇄회로기판)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B is connected to the inside of the first body 110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of the flexible circuit board FPCB passes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slot portions 147 and 148, (E.g., a printed circuit board).

도 7 및 8은 제1 및 제2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이다.7 and 8 are sectional view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도 7은 휴대 단말기가 폴딩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도 8은 휴대 단말기가 언폴딩 상태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FIG. 7 shows a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lding state, and FIG. 8 shows the case where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unfolding state.

도 7과 같이 폴딩 상태에서 제1걸림돌기(143)는 제2걸림돌기(144)로부터 일정 각도(θ)만큼 떨어지게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제1바디(110)를 도면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걸림돌기(143)는 제1바디(110)와 함께 반시계 방향(R)으로 회전하게 된다. 7,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is located at a certain angle? Away from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in the folding state. In this state, when the user rotates the first body 110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in the drawing,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rotates in the counterclockwise direction R together with the first body 110.

힌지 유닛(150)이 제1바디(110)를 반자동으로 회전시키도록 구성되는 경우, 힌지 유닛(150)는 제1바디(110)가 일정 각도 이상 회전됨에 따라 제1바디(110)에 회전력을 가한다. 제1바디(110)가 사용자에 의하여 일정 각도 이상 회전한 경우, 제1바디(110)는 힌지 유닛(150)이 제공하는 회전력에 의해 자동으로 회전하게 된다.When the hinge unit 150 is configured to semi-automatically rotate the first body 110, the hinge unit 150 rotates the first body 110 as the first body 110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 When the first body 110 is rotated by a predetermined angle or more by the user, the first body 110 is automatically rotated by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by the hinge unit 150.

제1바디(110)가 일정 각도(θ)만큼 회전하게 되면, 제1걸림돌기(143)는 제2걸림돌기(144)에 접촉하게 된다. 제1걸림돌기(143)가 제2걸림돌기(144)에 걸림에 따라 제1바디(110)의 회전이 제한되게 된다.When the first body 110 rotates by a certain angle?,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comes into contact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The rotation of the first body 110 is restricted by the engagement of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143 with the second locking protrusion 144. [

도 9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9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 통신 모듈(161), 조작부(123,124,125), 영상 입력부(115,116), 음향 입력부(126), 디스플레이부(113,117), 음향 출력부(114,128),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27), 방송 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 공급부(129), 제어부(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9,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an acoustic input unit 126, display units 113 and 117, A sensing unit 166, an interface 127,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a memory 164, a power supply unit 129, and a control unit 160.

제어부(4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The control unit 40 typically controls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무선 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 하는 송신부(163)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2)를 포함한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transmits / receives a wireless signal to / from a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an antenna. A transmission unit 163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voice data, character data, image data, and control data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and for modulating and transmitting a signal to be transmitted for this purpose; 162).

조작부(123,124,12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60)에 제공한다. 조작부(123,124,125)는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된다.The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are configured as shown in FIG. 1, and provide the control unit 160 with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operation units 123, 124, and 125 include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nd the like.

영상 입력부(115,116)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117)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117)로 출력된다.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process image frames such as still images or moving images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is converted into image data that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s 113 and 117, and is output to the display units 113 and 117.

영상 입력부(115,116)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 모듈(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The image frames processed by the image input units 115 and 116 are stored in the memory 164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

음향 입력부(126)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The sound input unit 126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is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when the voice mode is the communication mode, and is output to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In the record mode, processed voice data is output to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음향 입력부(126)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sound input unit 126 may be implemented with various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디스플레이부(113,117)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촬영된 영상 또는 UI,GUI를 표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113,117)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경우,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된다.The display units 113 and 117 display and output information processed in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call mode, the controller 160 displays a UI (User Interface) or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the call. When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control unit 160 displays and displays the photographed image, the UI, and the GUI. When the display units 113 and 117 include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s 113 and 117 ar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음향 출력부(114,128)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receive sound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161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160 in the call signal reception mode, the call mode or the record mode, the voice recognition mode, Converts the stored sound data and outputs it to the outside.

또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28)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In addition,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output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e.g., call signal reception sound, message reception sound, etc.)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Thes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include a speaker, a receiver, a buzzer, and the like.

센싱유닛(166)은 휴대 단말기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6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9)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The sensing unit 166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such as the opening / closing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whether or not the user touches the portable terminal, and generates a sensing signal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For example, if the portable terminal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senses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and outputs the sensing result to the controller 160 so that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is controlled. And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29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126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인터페이스(127)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7)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The interface 127 may be any type of interface card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card socket (for example,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It serves as an interface with the device. The interface 127 receives data from an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transfer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or transmits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to an external device.

메모리(164)는 제어부(16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4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6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In the memory 164, a program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tored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Such memory 164 includes the concept of a generally known hard disk, a card type memory (e.g., SD or XD memory), flash memory, RAM, ROM, and the like.

방송 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28), 디스플레이부(113,117)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6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broadcast signals transmitted through satellite or terrestrial waves and converts the received broadcast signals into broadcast data formats that can be output to the sound output units 114 and 128 and the display units 113 and 117 and outputs them to the controller 160. Furthe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receives additional data (e.g., EPG (Electric Program Guide), channel list, etc.) related to broadcasting. The broadcast data and the additional data converted by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65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4.

전원 공급부(129)는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29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60 and supplies power required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상기와 같은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portable terminal is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 and method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some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so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to the embodiment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전면 사시도.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2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1 및 제2스토퍼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for explaining the configuration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shown in FIG. 3;

도 5 및 6은 도 4에 도시된 제1 및 제2스토퍼의 사시도들.Figures 5 and 6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shown in Figure 4;

도 7 및 8은 제1 및 제2스토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휴대 단말기의 단면도들.Figs. 7 and 8 are sectional views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ing the operating states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Fig.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9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9)

제1힌지부를 구비하는 제1바디;A first body having a first hinge portion; 상기 제1힌지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제1힌지부의 양단에 각각 연결되는 제2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바디에 폴딩 또는 언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2바디; 및A second body having a second hinge portion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irst hinge portion so as to be rotatable on the first hinge portion, the second body being foldably or unfoldabl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폴딩 상태에서 언폴딩 상태로 전환됨에 따라 일정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제1 및 제2바디의 상대 회전을 제한하는 회전 제한부를 포함하고,And a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for restricting relative rot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s 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switched from the folded state to the unfolded state, 상기 회전 제한부는,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includes: 상기 제1힌지부에 고정되며, 제1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1스토퍼; A first stopper fixed to the first hinge portion and having a first locking projection; 상기 제2힌지부에 고정되며, 일정 회전 각도에서 상기 제1걸림돌기에 걸리는 제2걸림돌기를 구비하는 제2스토퍼; 및A second stopper fixed to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having a second locking protrusion engaged with the first locking protrusion at a predetermined rotation angle; And 상기 제1힌지부의 타단과 상기 제2힌지부들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장착되며,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를 회전 가능하게 연결시키는 힌지 유닛을 포함하고,And a hinge unit mount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unit and the second hinge unit and rotatably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hinge units,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제1힌지부의 타단에 형성된 삽입홈에 고정되는 제1 부재와, 상기 제2힌지부에 형성된 삽입홈에 고정되는 제2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부재는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형성되고,Wherein the hinge unit includes a first member fixed 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first hinge portion and a second member fixed to an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second hinge portion, And is rotatable,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는 일단이 개방되고 타단이 막힌 실린더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걸림돌기는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의 개방 단부에 형성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re formed in the shape of a cylinder having one end open and the other end closed, wherein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are formed at open ends of the first stopper and the second stopper so as to face each other .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회전 제한부는 상기 제1힌지부의 일단과 상기 제2힌지부들 중 어느 하나의 사이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rotation restricting portion is mount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hinge portion and one of the second hinge portions. 제3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3, 상기 제1스토퍼는 상기 제1힌지부의 일단에 고정되며,The first stopper is fixed to one end of the first hinge part, 상기 제2스토퍼는 상기 제2힌지부들 중 어느 하나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nd the second stopper is fixed to any one of the second hinge portio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힌지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바디가 반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힌지부에 회전력을 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the hinge unit is configured to apply a rotational force to the first and second hinge units so that the first and second bodies can be semi-automatically rotate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 중 어느 하나는 일부가 제1 및 제2힌지부 중 어느 하나로부터 돌출되어 제1 및 제2힌지부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one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protrudes from any one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and is inserted into the other of the first and second hinge portions.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제1 및 제2바디는 연성회로기판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The first and second bodies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a flexible circuit board, 상기 제1 및 제2스토퍼의 일 영역에는 상기 연성회로기판이 통과하는 슬롯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Wherein a slot portion through which the flexible circuit board passes is formed in one region of the first and second stoppers.
KR1020080094960A 2008-09-26 2008-09-26 Portable terminal KR10162259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60A KR101622594B1 (en) 2008-09-26 2008-09-26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4960A KR101622594B1 (en) 2008-09-26 2008-09-26 Portable termin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28A KR20100035528A (en) 2010-04-05
KR101622594B1 true KR101622594B1 (en) 2016-05-19

Family

ID=422133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4960A KR101622594B1 (en) 2008-09-26 2008-09-26 Portable termina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259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7600B1 (en) * 2019-02-19 2023-10-12 삼성전자주식회사 A hinge module and a fold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5528A (en) 2010-04-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06100B1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6381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2726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728387B1 (en) Portable terminal
KR20110044620A (en) Expansion modul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same
US8046036B2 (en) Slide module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454238B1 (en) Extension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22594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41922B1 (en) A touch sensor assembly and a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touch sensor assembly
KR101595358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74446B1 (en) Portable terminals and batteries used therein
KR101517239B1 (en) Connector device for portable terminal
KR101474430B1 (en) Portable terminal
KR101604749B1 (en) Portable terminal and manufacturing method of portable terminal case
KR101587136B1 (en) Mobile terminal
KR101587134B1 (en) Mobile terminal
KR101570378B1 (en) Mobile terminal
KR100930564B1 (en) Handheld terminal
KR101513304B1 (en) Portable terminal including slide module
KR101545572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1484536B1 (en) Mobile terminal
KR101545591B1 (en) Mobile terminal
KR101474423B1 (en) Portable terminal
KR101437976B1 (en) Slide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same
KR101513621B1 (en) Portable termin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809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3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80926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51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