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1519B1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21519B1 KR101621519B1 KR1020130070604A KR20130070604A KR101621519B1 KR 101621519 B1 KR101621519 B1 KR 101621519B1 KR 1020130070604 A KR1020130070604 A KR 1020130070604A KR 20130070604 A KR20130070604 A KR 20130070604A KR 101621519 B1 KR101621519 B1 KR 10162151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negative electrode
- cnt
- mixture
- cellulose
- active material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4—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3—Electrodes based on carbonaceous material, e.g. graphite-intercalation compounds or CFx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9—Processes of manufacture
- H01M4/1395—Processes of manufacture of electrodes based on metals, Si or alloy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7—Negative electrod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Electrode And Active Subsutanc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극에 대한 FT-IR(Fourier transform-infrared spectroscopy)이다.
첫번째 방전 용량(mAh/g) | 초기 효율(%) | 용량 유지율(%) | |
실시예 1 | 474 | 88.2 | 94 |
실시예 2 | 475 | 88.2 | 95 |
비교예 1 | 473 | 88.3 | 85 |
비교예 2 | 473 | 88.2 | 82 |
초기 효율 = (첫번째 방전 용량)/(첫번째 충전 용량) x 100 용량 유지율 = (50번째 방전 용량)/(첫번째 방전 용량) x 100 |
Claims (23)
- 음극활물질 및 도전재를 포함하는 음극으로서,
상기 음극활물질은 SiOx(0<x=1)와 탄소계 물질의 혼합물이고, 상기 도전재는 -COOH 기를 갖는 탄소나노튜브(carbon nanotube, CNT)이며, 상기 -COOH 기를 갖는 탄소 나노튜브가 음극활물질의 표면에 분산되어 있고,
상기 음극활물질과 상기 도전재의 중량비는 99.8:0.2 내지 95:5이며,
상기 음극은 음극활물질, 도전재 및 물을 혼합한 음극 슬러리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형성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이 흑연(graphite), 이흑연화성 탄소(graphitizable carbon), 난흑연화성 탄소(non-graphitizable carbon), 카본 블랙(carbon black), 그래핀(graphene) 및 그래핀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물질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co-HF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 eth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 ethyl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 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 셀룰로오스(cyano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 수크로오스(cyanoethyl 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제1항에 있어서,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셀룰로오스(cellulose), 우레탄(urethane), 커드란(curdlan), 타마린드(tamarind), 젤라틴(gelatin), 구아 검(gua gum), 펙틴(pectin), LBG(locust be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알긴산(alginic acid), 아라비아 검(arabic gum) 및 잔탄(zanth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메틸 셀룰로오스(methyl cellulose, MC),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hydroxypropyl cellulose, HPC), 메틸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methyl hydroxypropyl cellulose, MHPC),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ethyl hydroxyethyl cellulose, EHEC), 메틸 에틸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methyl ethyl hydroxyethyl cellulose, MEHEC) 및 셀룰로오스 검(cellulose gum)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상기 음극활물질, CNT 및 증점제의 총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개재된 분리막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에 있어서,
상기 음극이 제1항, 제3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음극인 리튬 이차전지. - 탄소나노튜브(CNT)를 산처리함으로써 -COOH 기를 갖는 탄소나노튜브(CNT)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탄소나노튜브(CNT)를 SiOx(0<x=1)와 탄소계 물질의 음극활물질과 혼합하여 음극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음극 혼합물에 물을 첨가하고 교반하여 음극 슬러리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형성된 음극 슬러리를 전류집전체 상에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음극 슬러리로부터 물을 제거하여 음극을 형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음극활물질 대 상기 CNT의 중량비가 99.8:0.2 내지 95: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 단계가, 산 용액을 70 내지 90℃의 온도에서 탄소나노튜브(CNT)와 혼합하여 혼합물을 형성하고, 상기 혼합물을 1 내지 10시간 동안 교반함으로써 -COOH기를 갖는 탄소나노튜브(CNT)를 포함하는 CNT-함유 혼합물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산처리 단계 후, 상기 형성된 CNT-함유 혼합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서 100 내지 200℃의 온도에서 5 내지 2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계 물질이 흑연(graphite), 이흑연화성 탄소(graphitizable carbon), 난흑연화성 탄소(non-graphitizable carbon), 카본 블랙(carbon black), 그래핀(graphene) 및 그래핀 산화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물질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형성된 탄소나노튜브(CNT)를, 상기 음극 혼합물과 혼합하기 전,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MC) 용액과 혼합함으로써 CNT-CMC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MC) 용액이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MC) 0.5 내지 3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혼합물이 바인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바인더가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헥사플루오로 프로필렌(polyvinylidene fluoride-co-hexafluoro propylene, PVDF-co-HFP),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트리클로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trichloro ethylene),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클로로트리플루오로 에틸렌(polyvinylidene fluoride-co-chlorotrifluoro ethylene), 폴리메틸 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폴리비닐아세테이트(polyvinylacetate),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polyethylene-co-vinyl acetate), 폴리에틸렌 옥사이드(polyethylene oxid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cellulose 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부틸레이트(cellulose acetate butyr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시아노에틸 풀루란(cyanoethylpullulan), 시아노에틸폴리비닐알코올(cyanoethylpolyvinylalcohol), 시아노에틸 셀룰로오스(cyanoethyl cellulose), 시아노에틸 수크로오스(cyanoethyl sucrose), 풀루란(pullulan), 카르복실 메틸 셀룰로오스(carboxyl methyl cellulose, CMC),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acrylonitrile-styrene-butadiene copolymer),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olyvinylidenefluoride), 폴리아크릴로니트릴(polyacrylonitrile) 및 스티렌 부타디엔 고무(styrene butadiene rubber, SBR)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 혼합물이 증점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셀룰로오스(cellulose), 우레탄(urethane), 커드란(curdlan), 타마린드(tamarind), 젤라틴(gelatin), 구아 검(gua gum), 펙틴(pectin), LBG(locust bean gum), 카라기난(carrageenan), 알긴산(alginic acid), 아라비아 검(arabic gum) 및 잔탄(zantha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증점제가 상기 음극 혼합물과 증점제의 총 100 중량부 대비 0.5 내지 3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 - 제11항 내지 제13항, 제15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음극.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0604A KR101621519B1 (ko) | 2013-06-19 | 2013-06-19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70604A KR101621519B1 (ko) | 2013-06-19 | 2013-06-19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414A KR20140147414A (ko) | 2014-12-30 |
KR101621519B1 true KR101621519B1 (ko) | 2016-05-16 |
Family
ID=52676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70604A Active KR101621519B1 (ko) | 2013-06-19 | 2013-06-19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21519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8598440A (zh) * | 2018-05-15 | 2018-09-28 | 浙江南都电源动力股份有限公司 | 一种复合材料的制备方法 |
KR102166645B1 (ko) | 2020-08-19 | 2020-10-16 | 유성운 |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US11495785B2 (en) | 2017-04-06 | 2022-11-08 | Lg Energy Solution, Ltd. |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18854B1 (ko) * | 2015-03-20 | 2019-09-05 | 주식회사 엘지화학 | 리튬 이차전지의 음극 형성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리튬 이차전지 |
KR20180001518A (ko) * | 2016-06-27 | 2018-01-04 | 주식회사 네패스 | 리튬이차전지 음극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리튬이차전지 음극 제조 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리튬이차전지 음극 및 리튬이차전지 |
CN108511692A (zh) * | 2017-12-21 | 2018-09-07 | 中国石油大学(北京) | 一种锂离子电池电极及其制备方法 |
KR102439129B1 (ko) * | 2018-09-05 | 2022-09-02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음극 및 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
CN111933946B (zh) | 2019-03-18 | 2022-03-18 | 宁德新能源科技有限公司 | 电化学装置及包含其的电子装置 |
CN111313028B (zh) * | 2020-02-26 | 2021-06-29 | 陕西科技大学 | 一种石墨烯-碳纳米管-硅复合薄膜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KR102799895B1 (ko) | 2021-08-10 | 2025-04-29 | 네오 배터리 머티리얼즈 엘티디 | 비탄소계 나노입자 및 탄화층을 포함하는 복합 나노입자,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및 이의 제조방법 |
WO2023068880A1 (ko) * | 2021-10-22 | 2023-04-27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음극 선분산액, 이를 포함하는 음극 조성물, 음극 조성물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용 음극,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및 음극 조성물의 제조 방법 |
CN117401679A (zh) * | 2023-09-27 | 2024-01-16 | 湖北亿纬动力有限公司 | 一种改性碳纳米管的制备方法、改性碳纳米管、负极浆料和电池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9551B1 (ko) * | 2007-10-02 | 2009-05-26 | 한국전기연구원 | 고효율 장수명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전극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
JP2009199744A (ja) | 2008-02-19 | 2009-09-03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とその製造方法。 |
-
2013
- 2013-06-19 KR KR1020130070604A patent/KR101621519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99551B1 (ko) * | 2007-10-02 | 2009-05-26 | 한국전기연구원 | 고효율 장수명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전극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
JP2009199744A (ja) | 2008-02-19 | 2009-09-03 | Sumitomo Electric Ind Ltd |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とその製造方法。 |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학술논문 (2012)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495785B2 (en) | 2017-04-06 | 2022-11-08 | Lg Energy Solution, Ltd. | Negative electrode for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
CN108598440A (zh) * | 2018-05-15 | 2018-09-28 | 浙江南都电源动力股份有限公司 | 一种复合材料的制备方法 |
KR102166645B1 (ko) | 2020-08-19 | 2020-10-16 | 유성운 | 음극 활물질, 상기 음극 활물질의 제조방법 및 상기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147414A (ko) | 2014-12-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21519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의 제조방법 | |
CN111213262B (zh) | 负极和包含所述负极的二次电池 | |
KR101586015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 |
CN105103346B (zh) | 多孔性硅类负极活性物质及其制备方法、以及包含它的锂二次电池 | |
KR101807348B1 (ko) | 실리콘-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 |
US10608276B2 (en) | Carbon material, anode material and spacer additive for lithium ion battery | |
US20170187032A1 (en) | Silicon-based active material for lithium secondary battery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 |
KR20170047660A (ko) | 복합 음극 활물질, 상기 복합 음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음극 및 상기 음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60008041A (ko) |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0899551B1 (ko) | 고효율 장수명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전극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 |
CN104704660A (zh) | 多孔性硅类负极活性物质及包含它的锂二次电池 | |
JP2005044775A (ja) | リチウム二次電池用負極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チウム二次電池 | |
EP3016197A1 (en) | Lithium secondary battery | |
KR20130134241A (ko) | SiOx―탄소나노튜브 복합체를 포함하는 음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00049685A (ko) | 황-탄소 복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20170034774A (ko) | 저온 특성이 향상된 리튬 이차전지의 제조방법 및 리튬 이차전지 | |
KR101091546B1 (ko) |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 활물질과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KR100899549B1 (ko) | 고효율 리튬이차전지용 음극, 전극 제조방법 및리튬이차전지 | |
KR101790398B1 (ko) | 음극 활물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 |
JP2021517885A (ja) | 硫黄−炭素複合体及びそれ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 |
KR101716611B1 (ko) | 리튬 이차전지 | |
KR20150059726A (ko) | 향상된 리튬이온 도핑속도를 갖는 흑연전극 및 이를 채용한 리튬이온커패시터 | |
KR20240098266A (ko) | 음극 슬러리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음극 | |
KR101853149B1 (ko) | 코어-쉘 구조의 리튬 이차전지용 음극활물질,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전지 및 상기 음극활물질의 제조방법 | |
CN116250104A (zh) | 制造负极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619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6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15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21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115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6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72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2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503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5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