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9740B1 - Portable drip coffee maker - Google Patents
Portable drip coffee mak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9740B1 KR101619740B1 KR1020140162921A KR20140162921A KR101619740B1 KR 101619740 B1 KR101619740 B1 KR 101619740B1 KR 1020140162921 A KR1020140162921 A KR 1020140162921A KR 20140162921 A KR20140162921 A KR 20140162921A KR 101619740 B1 KR101619740 B1 KR 1016197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dripper
- coffee
- water supply
- supply contain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7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01285 shape-memory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abstract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CURLTUGMZLYLDI-UHFFFAOYSA-N Carbon dioxide Chemical compound O=C=O CURLTUGMZLYLD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276 Apios tubero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533293 Sesbania eme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70226 Voandzeia subterrane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030 Voandzeia subterran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2092 carbon di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69 carb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421 cell wa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70 constitu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7924 ground bea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2—Coffee-making machines with removable extraction cups, to be placed on top of drinking-vessels i.e. coffee-makers with removable brewing vessels, to be placed on top of beverage containers, into which hot water is poured, e.g. cafe filter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203/00—Devices having filling level indic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드립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뜨거운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커피용액으로 추출시키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 온수는 커피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향 배출시키는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분말 형태의 커피가루를 수용시켜 상기 급수용기에서 배출되는 온수로 커피용액을 추출하는 드립퍼와, 상기 드립퍼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립퍼에서 추출되는 커피용액을 음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커피용액을 보관하는 보관용기 및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를 내부에 수납시키는 수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in which a portion of hot ho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to produce drip coffee is used as a mug of coffee powder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extracted as a coffee solution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A water supply container which stores hot water supplied from outsid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uses a part of the stored hot water as a mug of coffee powder and discharges the remaining hot water downward so as to be extracted as a coffee solution; A dripper which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receives coffee powder in the form of powder in the inside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extracts the coffee solution from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coffee solution therein, and a storage case for storing there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for facilitating the carry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드립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뜨거운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커피용액으로 추출시키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method for manufacturing drip coffee using a part of hot water supplied from outside for producing coffee drip, To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드립 커피(Drip Coffee)란, 커피 원두를 잘게 빻은 커피 가루에 끓는 물을 부어 걸러 내는 커피를 말한다.Drip Coffee refers to coffee that pours boiling water into coffee ground beans and ground coffee beans.
이러한, 드립 커피는 먼저 분쇄된 커피 가루를 종이로 된 필터에 담아 깔때기 모양의 드립 커피 제조기에 올려놓고, 주전자를 손으로 잡아서 물을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의 중앙으로부터 원을 그리며 안팎으로 양을 조절해가며 붓는다.The drip coffee was prepared by putting the ground coffee powder into a paper filter and putting it on a funnel-shaped drip coffee maker, holding the kettle by hand, adjusting water in and out from the center of the drip coffee maker Pour over.
특히, 드립 커피의 경우에는 1차적으로 약간의 물을 먼저 커피 가루에 투입하는 선행작업을 하게 되면, 커피가루의 세포벽에 존재하는 커피 성분을 미리 불려주는 상태가 되고, 이어서 2차적으로 비교적 다량의 물을 투입하게 되면 커피 가루의 세포 내에 존재하는 이산화탄소가 팽창하면서 진한 커피 성분을 추출되며, 추출된 커피는 커피 용기로 떨어져 채워진다.Particularly, in the case of drip coffee, if a precedent operation is performed in which a small amount of water is first introduced into the coffee powder first, the coffee component existing in the cell wall of the coffee powder is preliminarily recalled, and then, When water is added, the carbon dioxide present in the cells of the coffee powder expands, extracting the thick coffee component, and the extracted coffee is filled into the coffee container.
이와 같이 종래의 드립 커피 제조기를 사용할 경우, 추출되는 드립 커피는 커피 가루에 투입되는 물의 양과 물이 투입되는 속도 및 시간 등에 그 맛이 좌우되므로, 드립 커피 제조기에 물을 붓는 사람의 숙련도에 의하여 커피의 맛과 향이 크게 달라지게 되며, 정식 교육을 받고 오랜 경험을 쌓은 바리스타가 아닌 일반인의 경우 상기 드립 커피 제조기에 물을 적절히 균일하게 공급하지 못하여 좋은 커피맛을 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When the conventional drip coffee maker is used, the taste of the drip coffee extracted depends on the amount of water to be added to the coffee powder, the speed and time of the water introduction, and the like. Therefore, The taste and the flavor of the drip coffee maker can not be properly supplied uniformly to the drip coffee maker in case of a general person who is not a barista who has received a formal education and long experience.
또한, 종래의 드립 커피 제조기는 휴대하기에는 부담되는 부피이고, 별도의 컵을 준비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바로 드립커피를 이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conventional drip coffee maker is bulky to carry, and drip coffee can not be used immediately without a separate cup.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드립커피를 제조하기 위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뜨거운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커피용액으로 추출시키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Accordingly,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in which a part of hot ho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for producing drip coffee is used as a mug of coffee powder,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extracted as a coffee solution after a certain time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를 각각 접어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시켜 휴대를 용이하게 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in which a water supply container, a dripper, and a storage container are respectively fol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case to facilitate carrying.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 온수는 커피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향 배출시키는 급수용기와, 상기 급수용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분말 형태의 커피가루를 수용시켜 상기 급수용기에서 배출되는 온수로 커피용액을 추출하는 드립퍼와, 상기 드립퍼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립퍼에서 추출되는 커피용액을 음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커피용액을 보관하는 보관용기 및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를 내부에 수납시키는 수납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를 제공함에 의해 달성된다. The above-mentioned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toring ho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using part of the stored hot water as a mug of coffee powder and discharging the remaining hot water downward so as to be extracted as a coffee solution, And a coffee maker which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dripper and receives the coffee solution extracted from the dripper, And a storage case for storing there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in order to easily carry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 / RTI >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용기는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상부공간의 내측면에 표시되어 공급되는 온수를 적정량으로 저장 가능하게 하는 수위표시선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된 상부공간 내에서 하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유입시키는 직수관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된 하부공간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에 저장된 온수의 열에너지로 작동하며, 작동시 상기 격벽의 중앙을 개방시켜 상부공간에 저장된 온수를 하부공간에 배출시키는 자동밸브와, 상기 자동밸브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자동밸브에 의해 하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온수를 유출시키는 유출홀을 갖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유출홀으로 유출되는 온수를 상기 드립퍼에 공급 가능하게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clude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the internal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having a through hole at the center thereof, and a hot water supply unit A direct water pipe for introducing a part of the hot water supplied in a communicable manner with the lower space in the upper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and a direct water pip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An automatic valve that operates with the thermal energy of hot water stored in the space and releases the hot water stored in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space by opening the center of the partition in operation; And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the hot water discharged to the lower space by the automatic valve And for, the hot water flowing into the seating one outflow hol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surface can be supplied to the dropping bottle comprising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being formed at the center.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직수관은 온수의 일부가 유입 가능하도록 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위표시선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rect-flowing pipe is provided with an inlet hole such that a part of the hot water can be introduced, and the inlet hole is formed to be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water level indicating line.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자동밸브는 상기 격벽의 관통홀 내에 안착되어 상기 격벽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패킹과, 상기 패킹의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며, 작동시 하부 길이가 가변되어 수직 이동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수직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지지대와, 상기 로드의 상부 외측에서 상단은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로드의 하부 외측에서 상단은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대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tomatic valve includes a packing which is sea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partition to enable the partition to be opened and closed, a vertically positioned lower portion at the center of the packing, A rod which is fixed on the rod and moved together with the rod when the rod is vertically moved; an upper end of the rod is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and a lower end of the rod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rod; And a second spring which is support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the other end is support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at.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제2 스프링은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로 성형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cond spring is molded and manufactured from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본 발명의 바람직한 특징에 따르면,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는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될 수 있게 폴리프로펠린의 재질로 이루어져 양측면이 내측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 preferre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are made of polypropylene so as to be housed in the storage case, and both sides thereof are folded inward.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에 의하면, 외부로부터 공급된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일정시간 경과 후 커피용액으로 추출시킴에 따라 추출되는 드립커피의 질과 맛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In the portable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ortion of the ho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is used as a mug of coffee powder, and the remaining portion is extracted as a coffee solution after a lapse of a predetermined time, And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quality and taste of drip coffee.
또한, 수납 케이스 내부에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를 접어서 보관함에 따라, 휴대를 간편하게 하여 어디서나 드립커피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Further, since the water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are folded and stored in the storage case, the drip coffee can be manufactured anywhere easily by carrying it.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의 단면도.
도 3a 내지 도 3e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의 작동도.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A-3E are operational views of a portable drip coffee mak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are intended to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in a manner that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this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1)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저장하며, 저장된 온수의 일부는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하고 나머지 온수는 커피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도록 하향 배출시키는 급수용기(100)와, 급수용기(100)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분말 형태의 커피가루를 수용시켜 급수용기(100)에서 배출되는 온수로 커피용액을 추출하는 드립퍼(200)와, 드립퍼(200)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드립퍼(200)에서 추출되는 커피용액을 음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커피용액을 보관하는 보관용기(300) 및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를 내부에 수납시키는 수납 케이스(4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The portable
이하에는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1)의 구성 부재 및 그 연결 관계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the constituent members of the portable
여기서, 급수용기(100)는 외부로부터 60℃ 이상의 뜨거운 온수를 공급받고, 공급받은 온수를 추후에 설명될 드립퍼(200)에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측이 개방 형성된 직육면체의 형상을 갖고, 폴리프로펠린(polypropylene)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으로 보관시 양측면의 중간부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추후에 설명될 수납 케이스(400)에 수납을 가능하게 한다.Here, the
전술한 급수용기(100)는 내측 하부에 격벽(110)이 일체로 형성되어 전술한 급수용기(100)의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111)과 하부공간(112)으로 분리한다. 이때 전술한 격벽(110)은 중앙에 관통홀(113)이 형성되어 추후에 설명될 자동밸브(140)의 작동에 의해 상부공간(111)에 저장된 온수를 하부공간(112)으로 배출 가능하게 하며, 상부공간(111)에 저장된 온수를 하부공간(112)으로 원활하게 배출 가능하게 중앙으로 갈수록 3°내지 5°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전술한 격벽(110)에 의해 나눠진 상부공간(111)이 형성된 급수용기(100)의 내측면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적정량으로 저장 가능하게 하는 수위표시선(120)이 표시되는데, 이 수위표시선(120)은 1인 기준 용량으로 약 180ml 내지 200ml 사이의 범위 내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 water
그리고 전술한 격벽(110)에 의해 분리된 상부공간(111) 내에는 수직으로 위치되는 직수관(130)이 형성되는데, 이 직수관(130)은 커피가루의 뜸 들이기로 사용될 수 있도록 상부공간(111)과 하부공간(112)을 연통시켜 전술한 상부공간(111)에 저장된 온수의 일부, 약 20ml 내지 30ml의 온수를 유입한다. 이때 전술한 직수관(130) 상에는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유입시킬 수 있도록 유입홀(131)이 형성되되, 이 유입홀(131)은 전술한 수위표시선(120)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e
아울러, 전술한 격벽(110)에 의해 분리된 하부공간(112)의 중앙에는 자동밸브(140)가 작동 가능하게 고정 설치되는데, 이 자동밸브(140)는 추후에 설명될 드립퍼(200) 내에 위치한 커피가루가 약 30초의 시간동안 뜸 들일 수 있도록 상부공간(111) 내에 저장된 온수의 배출시간을 지연시키는 역할을 한다.An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전술한 자동밸브(140)는 상부공간(111)에 저장된 온수의 열에너지를 약 30초의 시간동안 서서히 전달받아 작동하며, 작동시 전술한 격벽(110)의 중앙에 형성된 관통홀(113)을 개방시켜 상부공간(111)에 저장된 온수를 커피용액으로 추출될 수 있게 하부공간(112)에 하향 배출시키는 역할을 한다.More specifically, the
전술한 자동밸브(140)는 실리콘 재질로 전술한 격벽(110)의 관통홀(113) 내에 안착되어 격벽(110)을 개방 또는 밀폐 가능하게 하는 패킹(141)과, 이 패킹(141)의 중앙 하단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며, 작동시 하부 길이가 가변되어 상,하 이동하는 로드(142)와, 이 로드(142) 상에 고정 설치되어 로드(142)의 상,하 이동시 함께 수직 이동되는 지지대(143)와, 전술한 로드(142)의 상부 외측에 위치하여 상단은 전술한 격벽(110)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전술한 지지대(143)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144)과, 전술한 로드(142)의 하부 외측에서 상단은 지지대(143)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안착대(150)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제2 스프링(145)을 포함한다.The
이때 전술한 로드(142)는 열 전달이 우수한 구리의 재질로 형성되고, 전술한 제2 스프링(145)은 온도가 증가하면 장력이 늘어나고 온도가 감소하면 압축 변화되는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로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case, the
그리고 전술한 급수용기(100)는 바닥면에 상향 돌출되어 전술한 자동밸브(140)의 제2 스프링(145)이 온수와 접촉되지 않은 상태에서 온수의 열로 전달받을 수 있게 한다. 즉, 커피가루를 뜸 들이기 위해 전술한 직수관(130)의 유입홀(131)로 유입되는 온수가 전술한 자동밸브(140)의 제2 스프링(145)에 접촉되면 시간의 지연 없이 장력이 늘어나 격벽(110)을 자동으로 개방시키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되어 자동밸브(140)를 지지하는 것이다.The
이와 같은 전술한 안착대(150)는 측면에 유출홀(151)이 관통 형성되어 하부공간(112)으로 배출된 온수를 추후에 설명될 드립퍼(200)에 유출 가능하게 한다.In the
또한, 전술한 급수용기(100)의 바닥면에는 다수개, 바람직하게는 5개의 배출노즐(60)이 형성되어 전술한 안착대(150)의 유출홀(151)에 의해 유출된 온수를 추후에 설명될 드립퍼(200)에 골고루 배출시킨다. 이때 전술한 급수용기(100)의 바닥면은 격벽(110)과 마찬가지로 온수를 원활하게 배출 가능하게 중앙으로 갈수록 3°내지 5°의 기울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다수개의 배출노즐(160)은 1초당 3ml씩 배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plurality of, preferably five, discharge nozzles 60 are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한편, 전술한 급수용기(100)의 하부에 위치하여 급수용기(1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드립퍼(200)가 구비되는데 이 드립퍼(200)는 내측에 분말 형태의 커피가루를 수용하는 필터를 위치시켜 전술한 급수용기(100)에서 배출되는 온수로 커피용액을 추출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폴리프로펠린(polypropylene)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으로 보관시 양측면의 중간부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추후에 설명될 수납 케이스(400)에 수납을 가능하게 한다. The
이와 같은 전술한 드립퍼(200)는 고깔 형상을 갖는 별도의 필터(F)가 안착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추후에 설명될 보관용기(300)에 커피용액을 추출 가능하게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내측이 점차 좁아지는 추출구(210)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above-described Dripper 200 is configured such that a separate filter F having a conical shape can be seated, and at the same time, the inside of the Dripper 200 is gradually narrowed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so that the coffee solution can be extracted into the
전술한 드립퍼(200)의 하부에 위치하여 드립퍼(200)의 하부면을 지지하는 보관용기(300)가 구비되는데 이 보관용기(300)는 전술한 드립퍼(200)에서 추출된 커피용액을 사용자가 음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커피용액을 보관하는 역할을 한다.The
이와 같은 보관용기(300)는 전술한 급수용기(100), 드립퍼(200)와 마찬가지로 폴리프로펠린(polypropylene)의 재질로 이루어져 휴대용으로 보관시 양측면의 중간부가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하여 추후에 설명될 수납 케이스(400)에 수납을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보관용기(300)의 일측에는 사용자가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310)가 일체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그리고 전술한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를 수납 가능하게 하는 수납 케이스(400)가 구비되는데, 이 수납 케이스(400)는 평상시 내부의 수납공간에 전술한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을 접은 상태로 수납하며, 커피 제조시에만 전술한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를 인출시켜 사용하는 것으로, 그 크기나 형상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And a
이하에는 도 3a 내지 도 3e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1)의 전체적인 사용 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Hereinafter, a method of using the portable
먼저, 수납 케이스(400) 내에 접힌 상태로 보관된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를 인출한 후에 커피용액을 추출 가능하게 급수용기(100), 드립퍼(200), 보관용기(300)를 각각 위치시킨다. 이때 드립퍼(200)의 추출구(210)에는 별도의 필터(F)를 마련하고, 마련된 필터(F) 내에 분말 형태의 커피가루를 적당량으로 투입한다.First, the
그런 다음 급수용기(100)의 상부공간(111) 내에 60℃ 이상의 뜨거운 온수를 수위표시선(120)이 표시된 곳까지 채워지도록 투입시킨다. 이때 수위표시선(120)이 표시된 곳까지 뜨거운 온수가 채워지면 직수관(130)의 유입홀(131)은 드립퍼(200) 내에 위치된 커피가루가 뜸 들여질 수 있도록 온수의 일부, 즉 상부공간(111)에 채워진 온수가 유입홀(131)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될 때까지 온수를 유입시킨다. 이렇게 온수가 직수관(130) 내에 유입되면 하부공간(112)의 바닥면에 형성된 안착대(150)의 유출홀(151)을 지나서 배출노즐(160)를 통해 드립퍼(200) 내측에 위치된 커피가루에 온수를 배출되어 약 30초 가량 뜸을 들일 수 있다.Then, hot water of 60 ° C or more is filled in the
그런 다음 약 30초 경과 이후 자동밸브(140)의 작동에 의해 격벽(110)이 개방되어 상부공간(111)에 저장된 온수는 하부공간(112)으로 배출시킨다. 여기서, 자동밸브(14O)는 패킹(141)이 뜨거운 온수와 직접 접촉됨으로써, 패킹(141)의 온도는 자연스럽게 상승되고, 패킹(141)에 연결된 구리 재질의 로드(142)는 패킹(141)의 열에너지를 제2 스프링(145)에 전달하여 제2 스프링(145)의 장력을 늘려 로드(142)의 하부를 상승시킨다. 이때 전술한 제2 스프링(145)의 장력에 의해 제1 스프링(144)은 압축된다. Then, after about 30 seconds elapse, the
그런 다음 하부공간(112)으로 배출된 온수는 안착대(150)의 유출홀(151)을 지나서 배출노즐(160)를 통해 드립퍼(200)에 지속적으로 공급된다. 이때 드립퍼(200)에 지속적으로 공급된 온수는 별도의 필터(F)를 거쳐 추출구(210)를 통해 커피용액으로 배출되어 보관용기(300)내에 저장되는 것이다.
The hot water discharged into the
1: 드립커피 제조기
100: 급수용기
110: 격벽
111: 상부공간
112: 하부공간
113: 관통홀
120: 수위표시선
130: 직수관
131: 유입홀
140: 자동밸브
141: 패킹
142: 로드
143: 지지대
144: 제1 스프링
145: 제2 스프링
150: 안착대
151: 유출홀
160: 배출노즐
200: 드립퍼
210: 추출구
300: 보관용기
310: 손잡이
400: 수납 케이스
F: 필터1: Drip coffee maker
100: water container
110:
111: Upper space
112: Lower space
113: Through hole
120: Water level indicator
130: Direct water pipe
131: inlet hole
140: Automatic valve
141: Packing
142: Load
143: Support
144: first spring
145: Second spring
150: seat
151: Outlet hole
160: Discharge nozzle
200: Drippers
210:
300: storage container
310: Handle
400: storage case
F: Filter
Claims (6)
상기 급수용기의 하단부에 위치하며, 내측에 분말 형태의 커피가루를 수용시켜 상기 급수용기에서 배출되는 온수로 커피용액을 추출하는 드립퍼;
상기 드립퍼의 하단부에 위치하여 상기 드립퍼에서 추출되는 커피용액을 음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커피용액을 보관하는 보관용기; 및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의 휴대를 간편하게 하기 위해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를 내부에 수납시키는 수납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급수용기는 내부 공간을 상부공간과 하부공간으로 분리하며 중앙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격벽과, 상기 상부공간의 내측면에 표시되어 공급되는 온수를 적정량으로 저장 가능하게 하는 수위표시선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된 상부공간 내에서 하부공간과 연통 가능하게 설치되어 공급되는 온수의 일부를 유입시키는 직수관과, 상기 격벽에 의해 분리된 하부공간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상부공간에 저장된 온수의 열에너지로 작동하며, 작동시 상기 격벽의 중앙을 개방시켜 상부공간에 저장된 온수를 하부공간에 배출시키는 자동밸브와, 상기 자동밸브가 작동 가능하게 설치되도록 바닥면으로부터 상향 돌출 형성되고, 측면에는 상기 자동밸브에 의해 하부공간으로 배출되는 온수를 유출시키는 유출홀을 갖는 안착대와, 상기 안착대의 유출홀으로 유출되는 온수를 상기 드립퍼에 공급 가능하게 바닥면 중앙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배출노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
A water supply container for storing hot water supplied from the outside, a part of the stored hot water used as a steam of the coffee powder, and a remaining water hot water to be extracted as a coffee solution;
A dripper which is positioned at a lower end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and receives coffee powder in the form of powder inside to extract the coffee solution into hot water discharged from the water supply container;
A storage container which is located at a lower end of the dripper and stores a coffee solution therein so as to drink the coffee solution extracted from the dripper; And
A dripper, and a storage container for storing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in order to facilitate carrying of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The water supply container includes a partition wall separating an internal space into an upper space and a lower space and having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center thereof, a level indicator line for storing hot water supplied and display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space in an appropriate amount, A direct water pipe installed in the upper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for introducing a part of the hot water to be supplied and communicating with the lower space and the hot water pipe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lower space separated by the partition wall and operated by the thermal energy of the hot water stored in the upper space An automatic valve for opening the center of the partition in operation and discharging the hot water stored in the upper space to the lower space, and an upper portion protruding upward from the bottom surface so that the automatic valve is operatively installed, And an outlet hole for discharging hot water discharged to the lower space;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nozzles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ttom surface so as to supply hot water to the dripper.
상기 직수관은 온수의 일부가 유입 가능하도록 유입홀이 형성되되, 상기 유입홀은 상기 수위표시선의 위치보다 낮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irect water pipe is provided with an inlet hole such that a part of the hot water can flow into the direct water pipe, and the inlet hole is formed lower than the position of the water level indicator.
상기 자동밸브는
상기 격벽의 관통홀 내에 안착되어 상기 격벽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패킹과,
상기 패킹의 중앙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위치되며, 작동시 하부 길이가 가변되어 수직 이동되는 로드와,
상기 로드 상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로드의 수직 이동시 함께 이동되는 지지대와,
상기 로드의 상부 외측에서 상단은 상기 격벽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하단은 상기 지지대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제1 스프링과,
상기 로드의 하부 외측에서 상단은 상기 지지대의 하부면에 지지되고 타단은 상기 안착대의 상부면에 지지되는 제2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automatic valve
A packing that is seated in the through-hole of the partition to enable the partition to be opened and closed,
A rod positioned vertically below the center of the packing and being vertically movable with its lower length variable during operation;
A support rod fixedly mounted on the rod and moved together when the rod is vertically moved,
An upper end of the rod is supported by a low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a lower end of the first spring is supported by an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And a second spring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rod and supported on a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base and the other e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platform.
상기 제2 스프링은 형상기억합금의 소재로 성형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second spring is molded and manufactured from a shape memory alloy material.
상기 급수용기, 드립퍼, 보관용기는 상기 수납케이스 내에 수납될 수 있게 폴리프로펠린의 재질로 이루어져 양측면이 내측으로 접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드립커피 제조기.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water supply container, the dripper, and the storage container are made of polypropylene so as to be housed in the storage case, and both sides thereof are folded inwar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921A KR101619740B1 (en) | 2014-11-20 | 2014-11-20 | Portable drip coffee mak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62921A KR101619740B1 (en) | 2014-11-20 | 2014-11-20 | Portable drip coffee make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9740B1 true KR101619740B1 (en) | 2016-05-12 |
Family
ID=560249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6292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9740B1 (en) | 2014-11-20 | 2014-11-20 | Portable drip coffee mak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974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9949A (en) | 2018-12-07 | 2020-06-17 | 박영희 | Process for preparing drip coffee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1696A (en) | 1981-04-27 | 1983-05-03 | Mirro Corporation | Microwave coffee making apparatus |
JP2006305274A (en) * | 2005-04-28 | 2006-11-09 | Masanobu Nunogaki | Hot water supplier for steaming coffee |
-
2014
- 2014-11-20 KR KR1020140162921A patent/KR101619740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381696A (en) | 1981-04-27 | 1983-05-03 | Mirro Corporation | Microwave coffee making apparatus |
JP2006305274A (en) * | 2005-04-28 | 2006-11-09 | Masanobu Nunogaki | Hot water supplier for steaming coffe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69949A (en) | 2018-12-07 | 2020-06-17 | 박영희 | Process for preparing drip coffe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3987629U (en) | Apparatus for brewing coffee or the like | |
US9974408B2 (en) | Portable hot beverage maker or tumbler with passive cooling system | |
US20190000262A1 (en) | Filter member for brewing coffee, apparatus and products comprising such filter,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uch filter, product and apparatus, and coffee brewing methods | |
KR101632421B1 (en) | Machine for drip coffee | |
CN103260486A (en) |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drop collector | |
CN103687523B (en) | It is used to prepare the device of beverage | |
US8016166B2 (en) | Coffee and tea dosing system | |
US7798376B2 (en) | Coffee and tea dosing system | |
NO339245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suitable for consumption | |
JP2010528823A (en) | Portable extraction device and extraction / operation method | |
US8734874B1 (en) | Beverage brewing lid and system and method incorporating such a lid | |
US20160183717A1 (en) | Improved apparatus for the preparation of one or a plurality of beverages | |
US20160007795A1 (en) | 3 in 1 mini coffee tube as a container, a filter, and a stirring tool | |
KR101619740B1 (en) | Portable drip coffee maker | |
CN110234256B (en) | Infusion device and method for brewing a beverage | |
KR102283676B1 (en) | Machine for drip coffee | |
JP2017533813A (en) | Machine, method and system for extracting drinks | |
KR20190058399A (en) | Three-Tier Devices for Mannual Drip-brewing of Coffees | |
KR101455150B1 (en) | the dutch combined storage cupboards and coffee powder evenly squeezed tamper holder for coffee brewing | |
CN102578915A (en) | Dual-chamber machine for preparing beverages | |
US10588447B1 (en) | Single-serve molded soluble coffee product | |
KR101464987B1 (en) | Installation for extracting dutch coffee | |
WO2017160778A1 (en) | Infusion apparatus for preparing a beverage | |
TWM521429U (en) | Cold brewing coffee device and its carrying base | |
JP2004261523A (en) | Method and device for preparing drinks using microwave and related techniqu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2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5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5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53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