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8370B1 -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 Google Patents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8370B1
KR101618370B1 KR1020090129775A KR20090129775A KR101618370B1 KR 101618370 B1 KR101618370 B1 KR 101618370B1 KR 1020090129775 A KR1020090129775 A KR 1020090129775A KR 20090129775 A KR20090129775 A KR 20090129775A KR 101618370 B1 KR101618370 B1 KR 101618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unit
switch
contact
batter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977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72724A (en
Inventor
박성수
정선태
한동균
박명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297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8370B1/en
Publication of KR20110072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7272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8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8370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를 위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와,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와,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따라,제품의 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이 온(ON)되고, 미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결합시 전원이 오프(OFF)되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in which a switch section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power of a battery section as the pen cover section of the stylus pen having a battery section is detached from the pen. And a pen cover portion which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n main body portion and which is housed in the pen main body portion so as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portion in accordance with detachment of the pen cover portion from the pen main body portion, And a switch unit for turning the pen cover unit on and off when the product is in use. In this case, the pen cover unit is detached from the pen when the product is in use,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is turned ON, The power is turned off at the time of coupling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스타일러스 펜, 펜 본체부, 펜 커버부, 스위치부. A stylus pen, a pen body portion, a pen cover portion, and a switch portion.

Description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0001]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0002]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in which a switch section is constituted so as to turn on / off power of a battery section as the pen cover section of the stylus pen with a built-in battery section is detached from the pen.

통상적으로, 휴대용 통신 장치는 PDA, PMP, MP3 플레이어, 이동통신단말기 등으로 이루어지고, 이러한 휴대용 통신 장치는 휴대 및 이동이 용이하도록 크기가 점점 소형화되고 있다.2. Description of the Related Art Generally, a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is composed of a PDA, a PMP, an MP3 player, a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the like.

상기 휴대용 통신 장치가 소형화가 진행되면서 종래의 키버튼 입력 방식을 대신하여 사용자가 보다 편리하게 정보 입력 또는 선택을 할 수 있도록 터치 패널 방식이 채용되고 있다. 상기 터치 패널 방식을 패널을 통해 컴퓨터와 인터페이스에 직접 정보를 입력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방식으로서, 상기 패널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팁을 갖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의 접촉이 있으면 그 접촉된 위치의 좌표를 파악한다. 그리고, 상기 좌표값을 통해 해당 좌표값에 대응하는 기능이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행된다. 따라서, 상기 터치 패널은 정보 표시부로서의 기능과 입력부로서의 기능을 함께 제공한다.As the portable communication apparatus has been miniaturized, a touch panel method has been adopted so that a user can input or select information more conveniently in place of a conventional key button input method. A method of inputting or selecting information directly to a computer and an interface through the panel, wherein if there is a touch of a stylus pen having a human hand or a tip at a specific position of the panel, . The function corresponding to the coordinate value is executed by the software through the coordinate value. Therefore, the touch panel provides a function as an information display unit and a function as an input unit.

상기 터치 패널은 동작 원리에 따라 크게 정전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초음파 방식, 적외선 방식등으로 구분되며, 이 중 정전용량 방식과 저항막 방식이 현재 널리 이용되고 있다. 최근에는 저항막 방식에 비교하여 내구성 및 투과율 측면에서 특성이 우수한 정전용량 방식이 각광받고 있다.The touch panel is largely divided into a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a resistive type, an ultrasonic type, and an infrared type according to the principle of operation. Among them, the capacitive type and the resistive type are widely used. In recent years,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type having superior characteristics in terms of durability and transmittance has attracted attention as compared with the resistance film type.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필름 형태로 된 상부 기판과 이와 대향되는 하부 기판을 구비하며, 상기 상부 기판의 하부면에는 상부 투명도전막이 도포되고, 양 가장자리측으로는 상부 전극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부 기판의 상부면에는 하부 투명도전막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 기판의 양 가장자리측으로는 상부 전극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하부 전극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 및 하부 전극의 일단부로부터는 연장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상부 및 하부 기판의 일측에 상부 및 하부 전극이 집합되어 연성회로(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로 이루며, 상기 연성회로는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전원이 인가되어진다.The resistive touch panel includes a film-shaped upper substrate and a lower substrate facing the upper substrate. An upper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applied to a lower surface of the upper substrate, and an upper electrode is provided on both edge sides. A lower transparent conductive film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wer substrate and a lower electrode is form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per electrode on both edge sides of the lower substrate. And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e integrally formed from one end of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nd the upper and lower electrodes are assembled on one side of the upper and lower substrates to form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and the flexible circuit is electrically connected Power is applied.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팁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이나 손가락의 손톱을 이용하여 상기 상부 기판을 접촉하면, 터치한 부분의 압력으로 인해 상기 상부기판과 상기 하부 기판이 서로 맞닿아야 터치 위치를 인식한다. When the upper substrate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stylus pen or the nail of the finger, the upper substrate and the lower substrat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due to the pressure of the touched portion, .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투명 필름의 아랫면에 ITO로 이루어지는 정전용량 감지패턴이 형성된다. 상기 정전용량 감지패턴은 터치점의 위치 인식을 하기 위해 다수개로 배열된다. 상기 각각의 정전용량 감지 패턴은 전기적으로 서로 절연되며 정전용량 전극선을 매개로 하여 정전용량센서에 연결된다. 정전용량 전극선은 보호막에 의해 덮어져 보호된다.In the capacitance type touch panel, a capacitance sensing pattern made of ITO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sensing patterns are arranged in a plurality of locations to recognize the positions of the touch points. Each of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sensing patterns is electrically insulated from each other and is connected to the electrostatic capacitance sensor via a capacitive electrode line. The capacitive electrode line is covered and protected by the protective film.

투명필름에 터치가 이루어지는 경우 정전용량센서는 다수개의 정전용량 감지패턴을 통해 입력되는 정전용량의 변화를 통해 XY 터치 좌표를 연산한다. When a touch is made to the transparent film, the capacitance sensor calculates the XY touch coordinates through a change in the capacitance inputted through the plurality of capacitance detection patterns.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투명필름의 아랫면에 구비된 다수개의 정전용량 감지패턴에 의해 정전용량의 변화가 생겨야만 터치좌표를 인식할 수 있으므로, 상기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사용되는 뽀족한 팁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 또는 사용자의 손톱등을 사용할 경우 작은 면적에 대한 터치시 정전용량의 변화가 거의 없어 터치를 인식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such a conventional capacitive touch panel, since the touch coordinates can be recognized only when a change in capacitance is caused by a plurality of capacitive sensing pattern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transparent film, When a stylus pen or a user's fingernail with a sharp tip is used, there is almost no change in capacitance when touching a small area, so that the touch can not be recognized.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팁이 구비된 스타일러스 펜에 배터리부를 내장하여 전기적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접촉시 상기 펜에서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였으나, 이러한 펜은 전기적 신호 발생을 위해서 상기 배터리부를 내장하게 되는데 상기 펜은 모두 소형으로 이루어져 있어 상기 배터리부도 함께 소형으로 이루어져야 함으로 소형의 배터리부는 전력량이 매우 작아 장시간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In order to solve such a problem, a battery unit is built in a stylus pen having a tip to generate an electrical signal so that an electrical signal generated from the pen can be detected when the touch panel is in contact with the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However, The battery unit is built in for the generation of an electrical signal. However, since all the pens are small, the battery unit must be made compact so that the small battery unit can not be used for a long time because the amount of power is very small.

또한, 상기 펜에는 전원을 온/오프(ON/OFF)하는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사용자가 사용 후 스위치를 오프(OFF)하지 않았을 경우 상기 펜은 온(ON)상태이므로 소형의 배터리부가 쉽게 방전될 뿐만 아니라, 전력소모가 많은 단점이 있었다.The pen is provided with a switch for turning on / off the power. However, when the user does not turn off the switch after use, the pen is in an ON state, But also has a disadvantage of power consumption.

이와 같이, 상기 펜은 사용자가 별도로 전원을 온/오프하는 동작이 필요하다.Thus, the pen needs to be operated by the user to turn on / off the power separately.

따라서,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에서 사용자가 별도로 스위치를 온(ON)/오프(OFF)하는 동작 없이도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할 수 있고, 또한,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펜을 사용할때만 전원이 온(ON)되고 미사용시에는 오프(OFF)되는 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 user can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without separately turning on / off the user in the stylus pen with the built-in battery, (ON) only when the pen is used and turned OFF when not in use.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이 온(ON)되고,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결합시 전원이 오프(OFF)되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switch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as the pen cover unit of the stylus pen incorporating the battery unit is detached from the pen, thereby separating the pen cover unit from the pen when using the product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which is capable of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a product by turning on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and turning off the power when the pen cover unit is coupled from the pen.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스타일러스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전원의 온(ON)/오프(OFF)가 가능함으로 별도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switch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as the pen cover unit of the stylus pen having the battery unit is detached from the stylus pen,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is provided to improve the use of the product since there is no need for the user to turn on / off the power separately by turning on / off the switch have.

또한, 본 발명은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펜으로부터 인장/축소시킴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를 할 수 있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도록 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stylus pen having a built-in battery unit is tensioned / contracted from a pen according to a sliding movement, and a switch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power of the battery uni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that can turn on / off the power of a battery unit,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product.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device for a stylus pen,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A pen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battery portion and a circuit portion;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 및A pen cover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n body portion; And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witch unit built in the pen body unit to turn on / off power supply of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pen cover unit.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device for a stylus pen,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A pen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battery portion and a circuit portion;

상기 펜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 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부; 및A sliding movement unit that is slidably coupled to the pen body unit and is mechanically movable in the pen body unit, thereby enabling the pen length to be tensioned / reduced; And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에서 인장/축소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And a switch unit built in the pen body unit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when the pen body unit is tensioned / reduced according to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movement unit.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switch device for a stylus pen,

배터리부와 회로부 및 절연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A pen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battery portion, a circuit portion, and an insulating portion;

상기 펜 본체부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에서 기계적인 이동으로 펜 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는 슬라이딩 이동부; 및A sliding movement unit slidingly coupled to the pen body unit and capable of tension / contraction of the pen length by mechanical movement in the pen body unit; And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상기 펜 본체부로부터 이동시켜 펜 길이를 축소한 위치에서는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를 이동시켜 상기 절연부를 지나 펜 길이를 인장시킨 위치에서는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시키는 스위치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unit is turned off at a position where the sliding movement unit is moved from the pen body unit to reduce the pen length and the sliding unit is moved to move the pen length through the insulation unit And a switch unit electrically connected at a tensioned position to turn on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의하면,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of the present invention,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의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착탈함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시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이 온(ON)되고, 펜 커버부를 펜으로부터 결합시 전원이 오프(OFF)되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을 장시간 사용가능하고,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전원의 온(ON)/오프(OFF)가 가능함으로 별도로 전원을 온(ON)/오프(OFF)하는 동작을 사용자가 할 필요가 없어 제품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또한, 배터리부가 내장된 스타일러스 펜을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펜으로부터 인장/축소시 킴과 아울러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스위치부를 구성함으로써, 제품의 사용에 따라서 배터리부의 전원을 온(ON)/오프(OFF)를 할 수 있어 제품의 전력소모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switch unit is configured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as the pen cover unit of the stylus pen having the battery unit is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pen, thereby separating the pen cover unit from the pen when using the product, The power is turned on and the power is turned off when the pen cover is coupled from the pen, so that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duct can be reduced. Thus, the use of the produc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ON) / OFF (OFF) of the battery can be performe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use of the product since the user does not need to separately turn on / off the power, By configuring the switch unit so that the pen is tensioned / contracted from the pen along with the sliding movement and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is turned on / off, It is possible to turn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thereby reducing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product.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예들이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Hereinafter,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only and are not restrictive of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many variations.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10)는 배터리부(11a)와 회로부(11b)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11)와, 펜 커버부(12)와, 스위치부(1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펜 본체부(11)는 후술하는 펜 커버부(12)와 착탈가능하도록 되어 있으며, 상기 펜 커버부(12)는 상기 펜 본체부(11)에 구비된 팁(100)을 보호할 수 있게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착탈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스위치부(13)는 상기 펜 커버부(12)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 공급을 온(ON)/오프(OFF)하도록 상기 펜 본체부(11)에 내장되어 있다.1 to 7, the switch device 10 of the stylus pen includes a pen body portion 11 containing a battery portion 11a and a circuit portion 11b, a pen cover portion 12, And the pen cover unit 1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n cover unit 12. The pen cover unit 12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n body unit 11, The switch unit 13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n body unit 11 so as to protect the tip 100. The switch unit 13 is configured to supply power to the battery unit 11a And is built in the pen body portion 11 so as to be turned ON / OFF.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펜 커버부(12)에는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착탈시 상기 스위치부(13)에 구비된 연결 단자(13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3b)를 접촉 및 이탈시켜 상기 스 위치부(13)를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접촉부(12a)가 구비되어 있다.1 to 4, the pen cover part 12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13a provided on the switch part 13 when the pen cover part 12 is attached to or detached from the pen body part 11, And the contact portion 12a is provided so that the contact portion 12a can contact the contact terminal 13b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11b to turn the switch 13 on and off.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펜 커버부(12)내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12a)는 삼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져 있다.The contact portion 12a is provided in the pen cover portion 12, and the contact portion 12a is formed of a triangular protrusion.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스위치부(13)의 연결 단자(13a)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되어 있다.The contact portion 12a projects obliquely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ontact portion 12a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13a of the switch portion 13.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본체부(11)의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펜 커버부(12)에 결합시 접촉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시에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에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이탈시켜 상기 스위치부(14)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이탈시 탄성력에 기계적인 변형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위치부(14)를 온(ON)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5 to 7 show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unit 14. The switch unit 14 is protruded from the outer periphery of the pen body unit 11 to form the pen cover unit 12 and mechanically deformed at the time of engagement so that the connection terminal 14a provided on the switch portion 14 and the contact terminal 14b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11b are removed The switch unit 14 is turned off and mechanical deformation is restored to the elastic force when the pen cover unit 12 is released from the pen body unit 11, And the switch unit 14 can be turned on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switch unit 14a and the contact terminal 14b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11b.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The stylus pen 1 is additionally used in a capacitive touch panel (not shown).

아울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을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대표적인 예시로 나타내었다. 하지만,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1)은 반드시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스타일러스 펜(1)으로부터 발생되는 전기 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터치 패널에 적용 가 능하고, 또한, 상기 터치 패널이외에 다른 응용기기도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ylus pen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presented by a capacitive touch panel as a representative example. However, the stylus pen 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lectrostatic capacitive touch panel but may be applied to various types of touch panels capable of sensing electrical signals generated from the stylus pen 1, In addition, other applications other than the touch panel may be include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FIG.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10)는 배터리부(11a)와 회로부(11b)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11)와, 상기 펜 본체부(11)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12)와, 스위치부(13)로 구성된다.1 to 7, the switch device 10 of the stylus pen includes a pen body portion 11 having a battery portion 11a and a circuit portion 11b therein, And a switch unit 13. The switch unit 13 is provided with a pen cover 12,

상기 펜 본체부(11)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과 접촉되는 팁(100)이 구비된다. The pen body 11 is provided with a tip 100 which is in contact with a capacitive touch panel (not shown).

이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로부터 분리하여 이탈시킨다.In this state, as shown in FIG. 1, when the stylus pen 1 is used by the user, the pen cover portion 12 is detached from the pen body portion 11 and released.

이때, 상기 펜 커버부(12)에 구비된 접촉부(12a)도 함께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스위치부(13)에 구비된 연결 단자(13a)에서 이탈된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2a provided on the pen cover portion 12 is also removed, and the contact portion 12a is separated from the connection terminal 13a provided on the switch portion 13.

상기 연결 단자(13a)는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3b)와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13)를 온(ON)시켜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을 회로부(11b)에 공급하고, 상기 회로부(11b)는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 공급에 따라서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The connection terminal 13a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contact terminal 13b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11b and the switch portion 13 is turned on to supply the power of the battery portion 11a to the circuit portion 11b And the circuit unit 11b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ccording to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unit 11a.

이때, 상기 펜 커버부(12)가 상기 펜 본체부(11)로부터 이탈됨과 아울러 상기 펜 본체부(11)에 구비된 팁(100)이 개방된다.At this time, the pen cover portion 12 is detached from the pen body portion 11, and the tip 100 provided in the pen body portion 11 is opened.

이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잡고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상기 팁(100)을 접촉하여 사용하면 된다.In this state, the user can hold the stylus pen 1 and use the tip 100 in contact with the capacitive touch panel.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펜 커버부(12)를 다시 상기 펜 본체부(11)에 결합시킴과 아울러 상기 팁(100)을 닫는다.4, when the stylus pen 1 is not used by the user, the pen cover part 12 is coupled to the pen body part 11 again, and the tip 100 is closed.

이때, 상기 펜 커버부(12)에 구비된 접촉부(12a)도 함께 결합되고, 상기 접촉부(12a)는 상기 스위치부(13)에 구비된 연결 단자(13a)에 접촉됨과 아울러 상기 연결 단자(13a)와 상기 회로부(11b)의 접점 단자(13b)와의 전기적 접속을 분리시킨다.At this time, the contact portion 12a provided on the pen cover portion 12 is also coupled, and the contact portion 12a contacts the connection terminal 13a provided on the switch portion 13, and the connection terminal 13a And the contact terminal 13b of the circuit portion 11b.

상기 연결 단자(13a)는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3b)와 분리됨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13)를 오프(OFF)시켜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 공급을 차단하고, 상기 회로부(11b)는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The connection terminal 13a is disconnect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3b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11b and the switch unit 13 is turned off to cut off the power supply to the battery unit 11a, (11b) does not generate an electric signal.

또한,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14)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커버부(12)의 착탈에 따라서 접촉되도록 상기 펜 본체부(11)의 외곽에 돌출된다.5 to 7, the switch unit 14 is configured to be in contact with the pen cover unit 12 in accordance with th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pen cover unit 12, Protrudes outward from the body portion 11.

이 상태에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 결합시 접촉됨과 아울러 결합시에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14)를 오 프(OFF)한다.In this state,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tylus pen 1, the switch unit 14 is in contact with the pen cover unit 12 when the pen cover unit 12 is engaged with the pen body unit 11, The connection terminal 14a of the switch unit 14 is disconnected from the contact terminal 14b of the circuit unit 11b and the switch unit 14 is turned off.

이때,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이 차단되어 상기 회로부(11b)의 전기 신호를 차단한다.At this time,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11a is cut off and the electric signal of the circuit unit 11b is cut off.

여기서, 사용자가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14)는 상기 펜 커버부(12)를 상기 펜 본체부(11)에 이탈시 탄성력에 기계적인 변형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부(14)에 구비된 연결 단자(14a)와 상기 회로부(11b)와 연결된 접점 단자(14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가 온(ON)되고, 상기 회로부(11b)에 상기 배터리부(11a)의 전원을 공급하여 전기 신호를 발생시킨다.Here, when the user uses the stylus pen 1, the switch unit 14 is mechanically deformed due to elastic force when the pen cover unit 12 is released to the pen body unit 11, and the switch unit 14 And the switch unit is turned on and the battery unit 11a is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11b so that the battery unit 11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14a provided in the circuit unit 11b, And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이와 같이, 사용자는 스타일러스 펜(1)의 펜 커버부(12)를 착탈시킴과 아울러 배터리부(11a)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킴으로써, 배터리부(11a)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이로인해, 제품의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the user removes the pen cover portion 12 of the stylus pen 1, and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portion 11a, thereby reducing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portion 11a , Which makes it possible to use the product for a long time.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The stylus pen 1 is additionally used in a capacitive touch pane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8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secon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1. FIG.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1)의 스위치 장치는 배터리부(21a)와 회로부(21b)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21)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와, 스위치부(23)로 구성된다.8 to 11,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1 includes a pen body portion 21 incorporating a battery portion 21a and a circuit portion 21b, the sliding movement portion 22, And a switch unit 23.

상기 펜 본체부(21)에는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슬라이딩 홈(미도시됨)이 형성되어 있다.The pen body portion 21 is formed with a sliding groove (not shown) so as to be slidably coupled with the sliding movement portion 22 described later.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는 상기 펜 본체부(21)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펜 본체부(21)의 슬라이딩 홈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sliding movement unit 22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iding groove of the pen body unit 21 so as to be able to mechanically move the pen body unit 21 and thereby extend / .

상기 스위치부(23)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21)에서 인장/축소시 상기 배터리부(21a)의 전원을 온(ON)/오프(OFF)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 본체부(21)에 내장되어 있다.The switch unit 23 turns on /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21a when the pen body unit 21 is tensioned / reduced in accordance wit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unit 22 (Not shown).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22)에는 정정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 접촉되도록 팁(100)이 구비되어 있다.The slide moving part 22 is provided with a tip 100 so as to be in contact with a correcting capacitive touch panel (not shown).

이 상태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팁(100)이 구비된 슬라이딩 이동부(22)를 상기 펜 본체부(21) 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축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23)에 구비된 연결 단자(23a)와 상기 회로부(21b)와 연결된 접점 단자(23b)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23)를 오프(OFF)시키고, 이때, 상기 회로부(21b)는 상기 배터리부(21a)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8,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tylus pen 1, the sliding movement portion 22 provided with the tip 100 is slid from the pen main body portion 21 The pen length is reduced and the connection terminal 23a provided in the switch unit 23 and the contact terminal 23b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21b are separated to turn off the switch unit 23, At this time, the circuit unit 21b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unit 21a and does not generate an electric signal.

여기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팁(100)이 구비된 슬라이딩 이동부(22)를 상기 펜 본체부(2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23)에 구비된 연결 단자(23a)와 상기 회로부(21b)와 연결된 접점 단자(23b)를 전기적으로 연결시켜 상기 스위치부(23)를 온(ON)시키고, 이때, 상기 회로부(21b)는 상기 배터리부(21a)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 신호를 발생시키고, 이 상태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의 팁(100)을 상기 정정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 접촉시켜 사용한다.9, when the user uses the stylus pen 1, the sliding movement portion 22 provided with the tip 100 is slid from the pen body portion 21 to adjust the length of the pen The switch unit 23 is turned on 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23a provided in the switch unit 23 and the contact terminal 23b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21b, The circuit part 21b receives the power of the battery part 21a to generate an electric signal and in this state the tip 100 of the stylus pen 1 is connected to the correcting capacity type touch panel (not shown) .

또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위치부(33)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펜 본체부(31)에 팁(100)을 구비하고, 상기 팁(100)이 구비된 펜 본체부(31)에 상기 스위치부(33), 상기 배터리부(31a) 및 상기 회로부(31b)를 내장한다.10 and 11, the switch unit 33 may include a tip 100 on the pen body 31, and the tip 100 may be provided with The switch portion 33, the battery portion 31a, and the circuit portion 31b are built in the pen body portion 31. [

이와 같이, 상기 펜 본체부(31)에 팁(100)과 상기 스위치부(33)를 함께 구비하고, 상기 팁(100)이 구비되지 않은 슬라이딩 이동부(32)를 상기 펜 본체부(31)의 후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켜 상기 펜 본체부(31)에서 펜 길이를 인장/축소시킨다. The tip portion 100 and the switch portion 33 are provided in the pen body portion 31 and the sliding movement portion 32 without the tip 100 is inserted into the pen body portion 31, And the pen length is stretched / contracted by the pen body portion 31. [0054]

여기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33)는 상기 팁(100)이 구비되지 않은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32)를 상기 펜 본체부(3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인장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33)에 구비된 연결 단자(33a)와 상기 회로부(31b)와 연결된 접점 단자(33b)를 접점시켜 상기 스위치부(33)를 온(ON)시킨다. 이때, 상기 회로부(31b)는 상기 배터리부(31a)의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정정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 접촉시킨다.11, when the stylus pen 1 is used, the switch unit 33 moves the sliding movement unit 32 without the tip 100 to the pen body 3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3a of the switch unit 33 and the contact terminal 33b of the circuit unit 31b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each other to turn the switch unit 33 on ON). At this time, the circuit unit 31b receives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31a,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and contacts the touch panel.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스위치부(33)는 상기 팁(100)이 구비되지 않은 슬라이딩 이동부(32)를 다시 상기 펜 본체부(31)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펜 길이를 축소시킴과 아울러 상기 스위치부(33)에 구비된 연결 단자(33a)와 상기 회로부(31b)와 연결된 접점 단자(33b)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부(33)를 오프(OFF)시키고, 이때, 상기 회로부(31b)는 상기 배터리부(31a)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10, when the stylus pen 1 is not used, the switch unit 33 moves the sliding movement unit 32 without the tip 100 back to the pen body 31 And the connection terminal 33a provided in the switch unit 33 and the contact terminal 33b connected to the circuit unit 31b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switch unit 33 is turned off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unit 31a is interrupted and the electric signal is not generated.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The stylus pen 1 is additionally used in a capacitive touch panel.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3 실시 예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동작과정을 첨부된 도 12 내지 도 14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third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12 to 14. FIG.

도 12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40)는 배터리부(41a)와, 회로부(41b) 및 절연부(41c)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41)와, 슬라이딩 이동부(42)와, 스위치부(43)로 구성된다.12 to 14, the switch device 40 of the stylus pen includes a battery section 41a, a pen main body section 41 incorporating a circuit section 41b and an insulating section 41c, (42), and a switch unit (43).

상기 펜 본체부(41)는 후술하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하도록 되어 있다.The pen main body 41 is adapted to slidably move the sliding movement part 42 to be described later.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는 상기 펜 본체부(41)에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여 펜길이의 인장/축소를 가능하게 하도록 상기 펜 본체부(41)에 슬라이딩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The sliding movement part 42 is slidably coupled to the pen body part 41 so as to enable mechanical movement of the pen body part 41 so that the pen length can be stretched / contracted.

상기 스위치부(43)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상기 펜 본체부(41)로부터 이동시켜 펜 길이를 축소한 위치(A1)에서는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오프(OFF)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이동시켜 상기 절연부(41c)를 지나 펜 길이를 인장시킨 위치(A2)는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온(ON)시킬 수 있도록 상기 펜 본체부(41)에 내장되어 있다.The switch unit 43 turns off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41a at the position A1 where the sliding movement unit 42 is moved from the pen body unit 41 and the pen length is reduced, The position A2 in which the sliding movement unit 42 is moved to extend the pen length through the insulation unit 41c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en unit 41a to turn on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41a. And is built in the main body portion 41. [

상기 스위치부(43)는 제 1, 2 연결 단자(43a)(43b)로 구성되고,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함께 이동하여 후술하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에 구비되어 있다.The switch unit 43 is constituted by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43a and 43b and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3a moves together with the sliding movement of the sliding movement unit 42, And is provided on the sliding movement part 42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b.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슬라이딩 이동에 따라서 상기 펜 본체부(41)에서 인장시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상기 펜 본체부(41)에 내장됨과 아울러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인장 위치에 구비되어 있다.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b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3a when the pen body 41 is pulled by the sliding movement of the pen body 41 And is provided at a tensioned position of the sliding movement part 42. [

상기 절연부(41c)는 상기 펜 본체부(41) 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 중에서 외측 부분의 내측면 둘레를 감싸면서 구비되고, 상기 펜 본체부(41) 또는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 중에서 외측 부분과 상기 절연부(41c)의 사이에는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연결선(50)이 구비되어 있다.The insulating portion 41c is provided so as to surround the inner side surface of the outer portion of the pen body 41 or the sliding portion 42 and the pen body 41 or the sliding portion 42, A connection line 50 is provided between the outer portion and the insulation portion 41c so as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3b.

이 상태에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상기 펜 본체부(41)로부터 슬라이딩 이동하여 인장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의 제 1 연결 단자(43a)도 함께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는 상기 절연부(41c)를 관통하여 지나 펜길이의 인장 위치(A2)로 이동하여 상기 제 2 연결 단자(43b)와 서로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때,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이 온(ON)되어 상기 회로부(41b)에 전원을 공급한다.13, when the user uses the stylus pen 1, the sliding movement unit 42 is slid and pulled from the pen body 41, and the sliding movement unit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3a of the second connection terminal 42 is also slidingly moved together with the first connection terminal 43a passing through the insulation portion 41c and then moved to the tensile position A2 of the pen length, The battery unit 41a is turned on and supplies power to the circuit unit 41b. The battery unit 41a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nection terminal 43b.

상기 회로부(41b)는 전기 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미도시 됨)에 접촉하여 사용한다.The circuit unit 41b generates an electric signal to be used in contact with the capacitive touch panel (not shown).

여기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을 미사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를 다시 상기 펜 본체부(41)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축소시키고, 상기 슬라이딩 이동부(42)와 상기 제 1 연결 단자(43a)가 함께 펜 길이의 축소 위치(A1)로 슬라이딩 이동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2 연결 단자(43a)(43b)가 서로 분리되어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오프(OFF)시킨다.12, when the user does not use the stylus pen 1, the sliding movement unit 42 is slid back to the pen body unit 41 to be reduced, and the sliding movement unit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43a and 43b are slid to the reduced position A1 of the pen length and the battery unit 41a is separat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terminals 43a and 43b, (OFF) the power supply of the battery.

이때, 상기 회로부(41b)는 상기 배터리부(41a)의 전원공급이 중단되어 전기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다.At this time, the circuit unit 41b stops supplying power to the battery unit 41a and does not generate an electric signal.

상기와 같이, 스타일러스 펜(1)을 사용에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하여 배터리부(41a)의 전원을 온(ON)/오프(OFF)함으로써, 배터리부(41a)의 전력 소모를 줄이고, 이로인해, 제품의 사용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The power consumption of the battery unit 41a is reduced by sliding the stylus pen 1 in accordance with use and turning on the power of the battery unit 41a as described above, Can be extended.

상기 스타일러스 펜(1)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된다.The stylus pen 1 is additionally used in a capacitive touch panel.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pen cover portion is detached from a structure of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를 나타낸 측단면도.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pen cover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3 is a front view showing a pen cover portion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펜 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en cover portion is engaged in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5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펜 커버부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5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engaged state of the pen cover portion. FIG.

도 6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펜 커버부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6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the separated state of the pen cover portion.

도 7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펜 커버부를 나타낸 정면도.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a front view showing the pen cover portion.

도 8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8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movement of a sliding moving part in the structure of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9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9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sliding moving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IG.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10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before movement of the sliding moving part.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11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ing a state after the sliding moving part is moved. FIG.

도 12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1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before movement of a sliding moving part in the structure of a switch device of a stylus pen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슬라이딩 이동부의 이동 후 상태를 나타낸 측단면도.FIG. 1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sliding moving part of the structure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ved. FIG.

도 14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의 구성 중 절연부를 나타낸 정면도.Fig. 14 is a front view showing an insulation part of the configuration of the switch device of the stylus pen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Claims (16)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에 있어서,A switch device for a stylus pen, 배터리부와 회로부를 내장하는 펜 본체부;A pen main body portion including a battery portion and a circuit portion; 상기 펜 본체부에서 착탈되는 펜 커버부; 및A pen cover portion detachably attached to the pen body portion; And 상기 펜 본체부에 내장되어 상기 펜 커버부의 착탈에 따라서 상기 배터리부의 전원 공급을 온(ON) 또는 오프(OFF)하는 스위치부를 포함하고,And a switch unit that is built in the pen body unit and turns on or off power supply of the battery unit according to attachment / detachment of the pen cover unit, 상기 펜 커버부에는 상기 펜 커버부를 상기 펜 본체부에 결합시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분리시켜 상기 스위치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펜 커버부를 상기 펜 본체부에서 분리시 상기 스위치의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접촉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시키는 접촉부가 구비되며, Wherein the pen cover portion is provided with a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on the switch portion and a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when the pen cover portion is coupled to the pen body portion to turn off the switch, A contact portion for contacting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witch and the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to turn on the switch portion when the contact portion is separated from the contact portion, 상기 접촉부는 상기 스위치부의 연결 단자와 착탈이 용이하도록 경사지게 돌출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Wherein the contact portion protrudes obliquely to facilitate attachment and detachment of the contact portion with the connection terminal of the switch port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는 상기 펜 커버부내에 구비되고, 상기 접촉부는 삼각형상의 돌출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The stylus pen switching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tact portion is provided in the pen cover portion, and the contact portion is a triangular protrusion.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은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에서 부가적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The stylus pen switch of claim 1, wherein the stylus pen is additionally used in a capacitive touch panel.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부는 상기 펜 본체부의 외곽에 돌출되어 상기 펜 커버부에 결합시 접촉가능하게 함과 아울러, 결합시에 기계적인 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이탈시켜 상기 스위치부를 오프(OFF)시키고, 상기 펜 커버부를 이탈시 탄성력에 기계적 변형이 복원되어 상기 스위치부에 구비된 연결 단자와 상기 회로부와 연결된 접점 단자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상기 스위치부를 온(ON)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스타일러스 펜의 스위치 장치.The portable terminal as claimed in claim 1, wherein the switch unit protrudes from an outer periphery of the pen body part to be able to contact the pen cover unit when engaged, The switch portion is turned off by releasing the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and the mechanical deformation is restored to the elastic force when the pen cover portion is released and the connection terminal provided in the switch portion and the contact terminal connected to the circuit portion are electrically connected And the switch unit is turned on.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KR1020090129775A 2009-12-23 2009-12-23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Expired - Fee Related KR101618370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75A KR101618370B1 (en) 2009-12-23 2009-12-23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9775A KR101618370B1 (en) 2009-12-23 2009-12-23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24A KR20110072724A (en) 2011-06-29
KR101618370B1 true KR101618370B1 (en) 2016-05-04

Family

ID=444036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9775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8370B1 (en) 2009-12-23 2009-12-23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837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53Y1 (en) 2016-08-02 2018-02-07 이승환 Stylus p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93797B1 (en) 2014-05-09 2020-12-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Touch-pen with power generat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071A (en) 2000-06-21 2002-01-11 Kobayashi:Kk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oordinate value on board fac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07071A (en) 2000-06-21 2002-01-11 Kobayashi:Kk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coordinate value on board f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5653Y1 (en) 2016-08-02 2018-02-07 이승환 Stylus p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72724A (en) 2011-06-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7495B1 (en) Electrical device having multi-functional human interface
CA2449447C (e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mat
US8106324B2 (en) Touch panel and driving method of touch panel
US20130093681A1 (en) Capacitive touch key panel
US20100123667A1 (en) Touch input device, portable device us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6192641A1 (en) Key device manipulation and control method, key device and terminal
US20100053120A1 (en) Touchscreen stylus
US10289210B1 (en) Enabling touch on a tactile keyboard
US10804897B2 (en) Touch-sensitive keypad control device
JP2011516985A (en) Pointer device for capacitive sensing touchscreen
JP2009199571A (en) Capacitive stylus pen
KR101532403B1 (en) Resistive type touch film for capacitive touch panel
JP2005084982A (en) Capacitive touch panel device
CN110879665B (en) Remote capacitive interface
TW201401137A (en) Touch-and-play input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618370B1 (en) Switch apparatus for stylus pen
JP6199541B2 (en) Touch input device
JP2008140211A (en) Control method for input part and input device using the same and electronic equipment
JP2007173068A (en) Switching device
KR101106278B1 (en) Complex input device with touch function
US20140092060A1 (en) Touch panel
US20040240924A1 (en) Keyless keyboard and a method of using thereof
CN105022502B (en) Touch control pen and electronic device
KR20140139648A (en) Protecting cover
KR100718988B1 (en) Input device of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3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