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7771B1 -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 Google Patents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7771B1
KR101617771B1 KR1020147012426A KR20147012426A KR101617771B1 KR 101617771 B1 KR101617771 B1 KR 101617771B1 KR 1020147012426 A KR1020147012426 A KR 1020147012426A KR 20147012426 A KR20147012426 A KR 20147012426A KR 101617771 B1 KR101617771 B1 KR 1016177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ub
hexagon
wheel
sub
ma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2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02645A (ko
Inventor
아르빈드 하나만트 사완트
Original Assignee
마힌드라 나비스타 오토모티브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힌드라 나비스타 오토모티브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마힌드라 나비스타 오토모티브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102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026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77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7771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2Hubs adapted to be rotatably arranged on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Hubs with roller-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7/00Hubs
    • B60B27/0015Hubs for driven wheels
    • B60B27/0021Hubs for driven wheels characterised by torque transmission means from driv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10Reduction of
    • B60B2900/111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BVEHICLE WHEELS; CASTORS; AXLES FOR WHEELS OR CASTORS; INCREASING WHEEL ADHESION
    • B60B2900/00Purpose of invention
    • B60B2900/30Increase in
    • B60B2900/311Rigidity or stiffnes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80Technologies aiming to reduce greenhouse gasses emissions common to all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 Y02T10/86Optimisation of rolling resistance, e.g. weight red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레이크 드럼과 휠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실(seals)과 윤활제(lubricants)가 있는 하우징 내의 내측 베어링(5)과 외측 베어링(7)이 조립된 액슬 드라이브 샤프트의 지지부재(10) 상에서 회전하는 허브(4); 및 로크 너트(lock nut)로 채워지는 전체(complete) 휠 엔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베어링과 상기 외측 베어링은 상기 허브가 축(axis)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재(10)에 고정된다.
전체 휠 엔드 어셈블리는 로크 너트(12)로 봉해진다. 상기 허브는 플랜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휠 볼트(2)를 수용하며, 상기 휠 볼트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1)과 휠 림의 자리를 제공하고 휠 너트(3)의 사용으로 조여진다. 상기 허브(4)는 중앙부를 갖도록 주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중심부가 원형인 구조 대신에 6각형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휠의 각각 다른 작동 조건에서 다양한 하중(즉, 차량 무게(GVW), 코너링, 브레이킹 및 토크 하중)에 지탱하도록 허브에 10% 향상된 강도를 제공한다. 더욱이, 서브 육각형의 반이 메인 육각형의 각 사이드에 형성된다. 상기 서브 육각형의 외측 절반은 메인 육각형과 교차한다. 서브 육각형의 내측 절반은 중심부에 합해진다. 교차하는 육각형의 가장자리(21)는 상기 서브 육각형의 양 사이드(22) 각각이 상기 메인 육각형의 사이드와 평행하도록 잘 배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브 육각형은 허브 플렌지를 갖는 상기 메인 육각형에 결합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POLYGONAL HUB FOR FULLY FLOATING REAR DRIVE AXLE OF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axle)에 사용되는 휠 허브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최적의 물질 ?량을 가지면서 강도 대 중량비를 더 증가시킬 수 있는 모든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차량의 다각형 허브에 관한 것이다.
허브는 베어링과 실(seal)이 조립된 잠금 구성을 통하여 액슬 하우징 스핀들(axle housing spindle)에 장착된다. 허브는 구동 기어링(drive gearing)과 림(rims),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s), 및 타이어(tires) 같은 휠 엔드 파트(wheel end parts) 사이에 배치된다. 액슬 허브의 기본 기능은
-트랙 포인트(track point)에 작용하는 차량의 사하중(dead weight) 및 다른 하중 즉, 코너링 하중, 브레이킹 하중, 및 견인토크 하중 등을 지지하고,
-휠 림 (wheel rims),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s), 및 ABS 악세사리를 위한 마운팅 인터페이스(mounting interface)를 제공하며,
-베어링(bearings), 실(seals), 심(shims), 잠금 악세사리 및 그리스(grease) 같은 서브 조립 파트를 둘러싸는 것이다.
원형 구조의 액슬 허브는 주로 주조재료로 제조된다. 그러나 이러한 허브는 차량이 운행 중 서로 다른 방향으로 작용하는 아래 언급된 하중에 영향을 받기 쉽다.
-액슬 샤프트 조인트의 토크 전달력에 의한 토크 하중
-사하중으로 인한 수직하중
-브레이킹 하중
-코너링과 연석 스트라이크(kerb strike)로 인한 횡하중
기존의 액슬 허브 디자인 방법론은 일반적으로 다음 요소에 기초한다:
1. 허브의 외형은 최대 강도를 얻기 위하여 최대 단면 두께를 갖는 원형구조이다.
2. 수직 솔리드(solid) 리브(ribs)가 변형없이 필요한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3. 강도를 확보하기 위하여 외부 원형 단면으로 커버된 내부 타원구조
4. 모든 차량 하중 조건에서 강도를 확보하기 위한 베어링 사이의 브릿지(bridge) 같은 구조
5. 이용가능한 디자인의 필드 경험
이러한 종래 디자인의 요소들 때문에, 기존의 허브는 최적이 아니다;
-허브는 하중 라인 지역(즉, 트랙 포인트)에 원형 구조의 최대 재료 함량의 경우 더 무겁다.
-이러한 허브는 더 적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갖는다.
-쿨링 지역이 최적이 아니다.
허브의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허브 디자이너들은 더 많은 재료를 사용하고, 이것은 더 낮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갖게 되고, 어플리케이션용 허브의 중량의 증가를 가져온다. 허브에 종래 기술 컨셉은 최적으로 충분한 강성이 있지 않고, 부피가 커서 무겁다.
일본 특허 JP2003285603A는 주조된 타원형의 중공(central cavity)을 갖는 원형 허브가 개시되고, 이것은 필요한 강성과 강도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강도와 별개로, 이러한 허브는 부피가 크고 따라서 더 많은 하중이 나간다. 이러한 허브는 원형구조의 허브와 유사한 방법으로 동작한다. 그러나 이러한 디자인의 주요 결함은 최대 단면 계수와 허브의 뒤쪽부분(즉, 플랜지(flange))의 뒷면보다 더 큰 강도를 갖는 더 큰 외측 원형 구조로 커버되고, 이것은 이 지역의 응력 집중을 야기한다.
한국 특허 KR20090050233A는 볼트 부분에 제공된 삼각형 리브(ribs)를 추가적으로 갖는 원형 구조의 허브를 설명하고 있다. 이것은 플랜지 부분에 더 많은 강성을 제공할 것이고, 코너링과 수직 하중에 도움이 되어 변형을 피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허브의 중앙 부분이 원형이기 때문에 이러한 허브는 더 낮은 강도 대 중량비를 갖게된다.
본 발명의 주요 목적은 다각형, 더 구체적으로는 6각형 구조의 휠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최적화된 재료 내용물을 갖고 최대 강도를 확보할 수 있는 6각형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더 큰 강도 대 중량비를 갖는 더 적은 재료 함량을 갖는 부품의 더 긴 수명을 확보할 수 있는 6각형 허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브레이크 드럼과 휠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는 실(seals)과 윤활제(lubricants)가 있는 하우징 내의 내측 베어링(5)과 외측 베어링(7)이 조립된 액슬 드라이브 샤프트의 지지부재(10) 상에서 회전하는 허브(4); 및 로크 너트(lock nut)로 채워지는 전체(complete) 휠 엔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베어링과 상기 외측 베어링은 상기 허브가 축(axis)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재(10)에 고정된다. 전체 휠 엔드 어셈블리는 로크 너트(12)로 봉해진다. 상기 허브는 플랜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휠 볼트(2)를 수용하며, 상기 휠 볼트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1)과 휠 림의 자리를 제공하고 휠 너트(3)의 사용으로 조여진다. 상기 허브(4)는 중앙부를 갖도록 주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중심부가 원형인 구조 대신에 6각형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휠의 각각 다른 작동 조건에서 다양한 하중(즉, 차량 무게(GVW), 코너링, 브레이킹 및 토크 하중)에 지탱하도록 허브에 10% 향상된 강도를 제공한다. 더욱이, 서브 육각형의 반이 메인 육각형의 각 사이드에 형성된다. 상기 서브 육각형의 외측 절반은 메인 육각형과 교차한다. 서브 육각형의 내측 절반은 중심부에 합해진다. 교차하는 육각형의 가장자리(21)는 상기 서브 육각형의 양 사이드(22) 각각이 상기 메인 육각형의 사이드와 평행하도록 잘 배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브 육각형은 허브 플렌지를 갖는 상기 메인 육각형에 결합된다.
본 발명은 하기 도면과 함께 읽으면 이해가 더욱 잘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6각형) 허브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 2는 라이브 액슬 상에 장착된 본 발명의 허브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를 보여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6각형 구조의 허브의 정면도를 보여준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하중 라인의 6각형 구조의 허브의 단면을 보여준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라 6각형 구조로 인한 토크 리액션 감소를 보여준다.
도 6은 종래 허브와 본 발명의 6각형 허브의 CAE를 통하여 분석된 수직 범프 하중 케이스에 대한 응력 구성을 보여준다.
도 7은 종래 허브와 본 발명의 6각형 허브의 CAE를 통하여 분석된 연석 스트라이크 하중 케이스에 대한 응력 구성을 보여준다.
도 8은 종래 허브와 본 발명의 6각형 허브의 CAE를 통하여 분석된 코너링 하중 케이스에 대한 응력 구성을 보여준다.
도 9는 종래 허브와 본 발명의 6각형 허브의 CAE를 통하여 분석된 토크 하중 케이스에 대한 응력 구성을 보여준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허브 어셈블리(14)는 완전 부동 액슬 상에 조립된 차량(미도시)의 휠(wheel)과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1)을 결합한다. 서스펜션 시스템(미도시)는, 일반적으로 차량에서 스프링의 바이어스에 대해 수직으로 움직이는 U 볼트에 의하여 액슬 하우징에 장착된다. 앞쪽 휠의 경우, 허브는 스티어링 너클(steering knuckle)(미도시) 상에 장착되며 차량 기동성을 돕는다.
허브 어셈블리(14)는 내측 베어링(15)과 외측 베어링(7)에 조립되는 지지부재(member)(10) 상에서 회전하는 허브(4)를 포함한다. 이러한 베어링은, 허브가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해주며 지지부재(10)에 고정된다. 그리고 나서, 이 전체 휠 엔드 어셈블리(complete wheel end assembly)는 로크 너트(12)로 봉해진다. 액슬 허브(4)는 베어링(5, 7), 실(6, 11) 및 윤활 매체를 위한 하우징 역할을 한다. 허브 플랜지(15)는, 브레이크 드럼(1)과 휠 림(rim)을 위한 공간을 제공하고 휠 너트(3)로 조여지는 휠 볼트(2)를 이동시킨다. 허브(4)는 주조로 형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허브의(4) 중심에는 육각형의 형상으로 메인 육각형(17)이 형성되고, 휠의 각각 다른 작동 상태 동안에 다양한 하중(즉, 차량 무게(GVW), 코너링, 브레이킹 및 토크)을 받는다. 허브의 육각형 형상은 원형 형상에 비해 기술적인 이점을 가지는데, 육각형 단면은 동일한 사이즈의 원형 단면 보다 높은 단면계수를 가진다. 단면계수에 기초한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 메인 육각형(17)은 하중 라인 영역에서 사용되는 유사한 원형 단면보다 10% 이상 강한 힘을 지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심부의 외측에 메인 육각형 보다 작게 형성된 서브 육각형(18)은,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면서, 허브 메인 육각형(17)을 플랜지(15)에 결합시킨다. 허브(4)에서, 부분(24)은 차량의 모든 하중을 받으므로 매우 중요하다. 이 부분은 또한 브레이크 드럼으로부터 열이 방출되도록 한다.
메인 육각형(17)의 주변에 형성된 서브 육각형(18)들은 최소한의 질량 함유로 허브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메쉬(mesh)와 같은 구조를 제공한다. 이러한 메쉬 구조는, 이 영역에서의 하중과 응력 집중을 줄이면서, 하중이 전달되고 소멸(cancel)되는 하중 라인(23) 때문에 형성된다. 교차하는 육각형 가장자리(21)는 중심 육각형의 양 사이드(22)와 평행하도록 배열된다.
수직 하중(하중 'P')이 있는 동안, 마주보는 교차하는 육각형은 타원형의 로드 라인(23)을 형성하여, 허브의 하중 집중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교차하는 육각형과 더불어 메인의 중심 육각형은 허브 어셈블리의 강도를 원형 허브의 강도보다 10% 이상 증가시킨다.
또한 교차하는 육각형은, 플랜지 볼트(9)로 허브에 결합된 액슬 샤프트(8)에 의하여 발생하는 토크 반응력을 소멸시킨다. 액슬 샤프트(8)는 차량 드라이브 라인(drive line)으로부터 받는 토크 하중을 전달하며, 토크 하중은 허브를 통하여 휠에 전달된다. 도 5를 참조하면, 교차하는 구조에 의하여, 토크 반응력(24, 25)은 감소되고, 메인 육각형(17)의 연결 영역과 액슬 샤프트 리시빙 영역(19)에서의 질량 함량이 최적화된다. CAE 분석을 통한 테스트에 따르면. 도 6, 7, 8, 9 및 10은, 동일한 하중 크기의 다양한 하중 케이스들에 있어서, 원형 허브와 비교되는 육각형 허브의 응력 패턴을 도시하고 있으며, 이 응력 패턴은 최적의 물질 함량을 가지는 새로운 허브에서 감소된 응력을 만들어낸다. 다음의 표에는, 원형 허브와 비교되는 육각형 허브에 대한 응력 비교 데이터가 나타나있다.
새로운 허브 디자인
1G=RAW/2 6.2 종래 육각형 허브 응력의 감소
%
1G=RAW/2 6.2 응력(Mpa) 응력(Mpa)
수직 범프(vertical bump) 121.9 84.6 44
x (ton) 0.0
y (ton) 0.0
z (ton) 18.5
연석 스트라이크(kerb strike) 365.5 302 21
x (ton) 9.3
y (ton) 9.3
z (ton) 9.3
코너링(cornering) 172 143.3 20
x (ton) 0.0
y (ton) 5.3
z (ton) 10.7
팟 홀(pot hole) 100.4 98.3 2
x (ton) 8.7
y (ton) 0.0
z (ton) 8.7
토크(torque) 38.2 32 19
토셔널(torsional)(N-mm) 23500000
육각형 구조를 사용하면, 허브(4)에 의해 경험되는, 가장 높은 응력 레벨에서의 현저한 감소뿐만 아니라, 응력 레벨의 위치가 매우 향상된다. 허브에서의 응력의 위치변화 및 감소 부분은 도 5에 도시되어 있다. 결과적으로, 하중 벡터는 최적화된 물질 함량의 허브의 응력 감소와 강성 향상을 제공하도록 분산된다.
따라서, 브레이크 드럼과 휠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는 실(seals)과 윤활제(lubricants)가 있는 하우징 내의 내측 베어링(5)과 외측 베어링(7)이 조립된 액슬 드라이브 샤프트의 지지부재(10) 상에서 회전하는 허브(4); 및 로크 너트(lock nut)로 채워지는 전체(complete) 휠 엔드 어셈블리를 포함한다. 상기 내측 베어링과 상기 외측 베어링은 상기 허브가 축(axis)에 대해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재(10)에 고정된다. 전체 휠 엔드 어셈블리는 로크 너트(12)로 봉해진다. 상기 허브는 플랜지(15)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휠 볼트(2)를 수용하며, 상기 휠 볼트는 상기 브레이크 드럼(1)과 휠 림의 자리를 제공하고 휠 너트(3)의 사용으로 조여진다. 상기 허브(4)는 중앙부를 갖도록 주조되어 형성된다. 본 발명은 중심부가 원형인 구조 대신에 6각형 구조를 갖는다. 이것은 휠의 각각 다른 작동 조건에서 다양한 하중(즉, 차량 무게(GVW), 코너링, 브레이킹 및 토크 하중)에 지탱하도록 허브에 10% 향상된 강도를 제공한다. 더욱이, 서브 육각형의 반이 메인 육각형의 각 사이드에 형성된다. 상기 서브 육각형의 외측 절반은 메인 육각형과 교차한다. 서브 육각형의 내측 절반은 중심부에 합해진다. 교차하는 육각형의 가장자리(21)는 상기 서브 육각형의 양 사이드(22) 각각이 상기 메인 육각형의 사이드와 평행하도록 잘 배치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제공하도록 상기 서브 육각형은 허브 플렌지를 갖는 상기 메인 육각형에 결합된다.
본 발명의 기술적 장점은:
-허브의 다각형(특히 6각형/허니컴(honeycomn) 구조는 허브의 메인 구조 파트(꿀벌에 의한 허니컴 디자인과 같이)로 작용되어 더 많은 하중을 지탱할 수 있는 능력을 갖는다.
-주요 하중 라인 지역은 6각형 구조가 사용되고, 이러한 6각형 구조는 최적의 재료 함량의 경우, 원형 구조의 동일 사이즈보다 더 강하다.
-하중과 응력의 직접적인 반응은 정확하게 튼튼한 구조적 특징(6각형의 사이드) 때문에 하중 방향에서 최소화된다.
-교차하는 6각형은 핀(fin) 같은 구조를 형성하고, 이러한 구조는 사막, 고속력 등 같은 심각한 동작 조건에서 실(seal)과 그리스(grease)의 수명을 연장시키도록 열 방출 매개로 작동한다.
본 발명의 6각형 구조의 허브는 트럭, 버스, 이륜차, 자동차 또는 농장 설비 같은 수송 차량 같은 다양한 차량을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다각형 허브 구조를 갖는 다각형의 가능한 조합은:
-6개의 교차하는(intersecting) 6각형을 갖는 중심부 6각형
-3개의 교차하는 6각형을 갖는 중심부 6각형
-8개의 교차하는 6각형을 갖는 중심부 8각형
-4개의 교차하는 6각형을 갖는 중심부 8각형
본 발명은 상술한 내용과 도면에 도시된 내용에 언급된 것으로서 본 출원의 구성의 디테일과 구성요소의 배열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시행 및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여기에 사용된 용어는 설명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될 수 없다.

Claims (2)

  1. 실(seals)과 윤활제(lubricants)가 있는 하우징 내에서 내측 베어링과 외측 베어링이 조립된 액슬 드라이브 샤프트의 지지부재 상에서 회전하는 허브; 및
    로크 너트(lock nut)로 봉해지는 전체(complete) 휠 엔드 어셈블리를 포함하고,
    상기 내측 베어링과 상기 외측 베어링은, 상기 허브가 축(axis)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하며,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고,
    상기 허브는 플랜지(flange)를 구비하고, 상기 플랜지는 휠 볼트를 수용하며,
    상기 휠 볼트는, 브레이크 드럼(brake drum)과 휠 림(wheel rim)의 자리(seating)를 제공하고 휠 너트의 사용으로 조여지며,
    상기 허브는 주조에 의하여 중심부가 형성되며, 이러한 중심부는 상기 허브의 주요 부분이고,
    상기 중심부는, 휠의 각각 다른 작동 조건에서 다양한 하중(즉, 차량 무게(GVW), 코너링, 브레이킹 및 토크 하중)을 안전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메인 육각형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레이크 드럼과 휠 어셈블리에 사용되는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육각형 허브의 각 사이드에 서브 육각형의 절반이 형성되고,
    상기 서브 육각형의 외측 절반은 상기 메인 육각형 허브와 교차하고, 상기 서브 육각형의 내측 절반은 상기 메인 육각형과 합해지며,
    교차하는 육각형의 가장자리(edge)는 상기 서브 육각형의 양 사이드 각각이 상기 메인 육각형의 사이드와 평행하도록 배치되고,
    필요한 강도와 강성을 가지도록 상기 서브 육각형은 허브 플렌지를 가지고 있는 상기 메인 육각형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KR1020147012426A 2011-10-11 2012-10-10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Expired - Fee Related KR10161777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871MU2011 2011-10-11
IN2871/MUM/2011 2011-10-11
PCT/IN2012/000673 WO2013076735A2 (en) 2011-10-11 2012-10-10 Polygonal hub for fully floating rear drive axle of a vehic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02645A KR20140102645A (ko) 2014-08-22
KR101617771B1 true KR101617771B1 (ko) 2016-05-18

Family

ID=484703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242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7771B1 (ko) 2011-10-11 2012-10-10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40252846A1 (ko)
JP (1) JP2014534112A (ko)
KR (1) KR101617771B1 (ko)
CN (1) CN103889735B (ko)
BR (1) BR112014008345A2 (ko)
WO (1) WO2013076735A2 (ko)
ZA (1) ZA20140327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R102014000675A2 (pt) * 2013-01-11 2015-10-06 Webb Wheel Products Inc cubo de pilotagem de tambor
USD787394S1 (en) * 2016-02-09 2017-05-23 Saf-Holland, Inc. Disc brake rotor adapter
DE102018204095B4 (de) 2018-03-16 2020-10-08 Audi Ag Radnabe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en Kraftwagen, Radlagereinheit sowie Fahrzeug
CN111878561A (zh) * 2020-07-24 2020-11-03 一汽解放汽车有限公司 一种减速器壳与桥壳连接结构及驱动桥总成
CN112319133B (zh) * 2020-11-13 2022-07-22 东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轻型卡车驱动桥用组合轮毂及其安装方法
CN116810372B (zh) * 2023-07-08 2025-07-15 浙江鹏力汽车配件有限公司 一种螺栓组件的传输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933A (ja) * 2006-08-28 2008-03-06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52740A (en) * 1928-05-02 1930-04-01 Jackson Edwin Hub structure for pneumatic wheels
US2781231A (en) * 1953-12-31 1957-02-12 Trailmobile Inc Hub construction
DE3002117C2 (de) * 1980-01-22 1982-07-15 Puky GmbH Fahrzeugfabrik, 5603 Wülfrath Radlagerung für ein Kinderfahrzeug
CH661689A5 (de) * 1983-05-02 1987-08-14 Fischer Ag Georg Radnabe.
IT1288720B1 (it) * 1996-10-01 1998-09-24 Skf Ind Spa Mozzo o gruppo mozzo ruota che permette un migliore montaggio e smontaggio di un organo frenante.
DE19645147C2 (de) * 1996-10-22 2001-10-31 Mannesmann Ag Laufrad für auf Schienen verfahrbare Fahreinheiten, insbesondere für Laufkrane
US6257678B1 (en) * 1999-09-23 2001-07-10 Meritor Heavy Vehicle Systems, Llc Vehicle hub having reduced lubricant cavity
JP2003285603A (ja) * 2002-03-29 2003-10-07 Nissan Diesel Motor Co Ltd アクスルハブの構造
ITVR20030024A1 (it) * 2003-02-28 2004-09-01 G C Kart Vicenza Di Galvanin Claud Io Dispositivo di fissaggio di una ruota particolarmente
CN100532134C (zh) * 2004-03-22 2009-08-26 韦伯车轮产品有限公司 具有改良的导向结构的轮毂及其制造方法
US7614707B2 (en) * 2007-04-17 2009-11-10 Ridemakerz, Llc Wheel rim and wheel hub mount assembly
KR20090050233A (ko) * 2007-11-15 2009-05-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액슬 허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9933A (ja) * 2006-08-28 2008-03-06 Ntn Corp 車輪用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ZA201403277B (en) 2015-07-29
CN103889735B (zh) 2016-08-24
US20140252846A1 (en) 2014-09-11
JP2014534112A (ja) 2014-12-18
WO2013076735A2 (en) 2013-05-30
BR112014008345A2 (pt) 2017-04-11
KR20140102645A (ko) 2014-08-22
WO2013076735A3 (en) 2013-07-18
CN103889735A (zh) 2014-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7771B1 (ko) 차량의 완전 부동 후륜구동 액슬용 다각형 허브
JP6046450B2 (ja) アルミ製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
US20070145816A1 (en) High clearance axle system
CA2560888C (en) Wheel hub with improved pilot construction and a method for manufacturing
CN205186403U (zh) 两轮车及其车架、集成底架、底架主体
CN201520333U (zh) 一种大速比非驱动转向前轴
US12311698B2 (en) Integrated axle assembly and structural assembly
EP2562028A1 (en) Rear-mounted and rear-drive chassis for ultra-micro low-speed pure electric passenger car
CN105346668A (zh) 无链自行车及其后轴组件
CN105270528A (zh) 无链自行车及其集成底架
CN101376324B (zh) 大型铰接客车拆分式桁架结构
CN220615406U (zh) 一种重载承载车的悬架及驱动组件
WO2013095207A1 (en) Vehicle axle housing and a vehicle comprising such an axle housing
CN105691090A (zh) 一种轻质耐用汽车轮毂
JP6408518B2 (ja) アルミ製ステアリングナックル
CN203005448U (zh) 无摇枕城际轨道车辆转向架
CN201777075U (zh) 车轮
CN216102110U (zh) 高速动车组轴箱内置式非动力转向架用构架装置
US10603952B2 (en) Automotive wheel with spoke assemblies on opposing sides
CN103895664A (zh) 无摇枕城际轨道车辆转向架
CN211442545U (zh) 移动机器人底盘
CN113928362A (zh) 高速动车组轴箱内置式非动力转向架用构架装置
KR20110121399A (ko) 차량용 일체 차축식 현가장치의 허브 베어링 및 샤프트 장치
CN201231654Y (zh) 桥壳整体铸造式转向驱动桥
CN201280028Y (zh) 一种沙滩车轮毂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0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1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0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0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