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5666B1 -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 Google Patents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666B1
KR101615666B1 KR1020140122734A KR20140122734A KR101615666B1 KR 101615666 B1 KR101615666 B1 KR 101615666B1 KR 1020140122734 A KR1020140122734 A KR 1020140122734A KR 20140122734 A KR20140122734 A KR 20140122734A KR 101615666 B1 KR101615666 B1 KR 1016156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bacterial
spray
robot cleaner
air
fil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508A (ko
Inventor
최윤희
이현화
Original Assignee
조일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일훈 filed Critical 조일훈
Priority to KR1020140122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666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6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666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2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 A01N25/0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haracterised by their forms, or by their non-active ingredients or by their methods of application, e.g. seed treatment or sequential application; Substances for reducing the noxious effect of the active ingredients to organisms other than pests containing liquids as carriers, diluents or solvents
    • A01N25/04Dispersions, emulsions, suspoemulsions, suspension concentrates or gels
    • A01N25/06Aeros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47Scattering, i.e. diffuse reflec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1/00Automatic controll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17Safety or protection, e.g. defining protection zones around obstacles or avoiding hazards
    • G05D1/622Obstacle avoid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2105/0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 G05D2105/10Specific applications of the controlled vehicles for cleaning, vacuuming or poli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Zoology (AREA)
  • Remote Sen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먼지나 오물들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상측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의 부유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포집하기 위한 항균 필터를 구비한 필터 컨테이너, 상기 흡입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필터 컨테이너와 연결관으로 연결된 흡입헤드, 상기 배기구측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솔 항균필터,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상기 필터 컨테이너측으로 배출하는 공기흡입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항균액을 저장한 저장부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부에 스프레이 노즐이 돌출되어 상기 항균액을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 스프레이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ANTIFUNGAL ROBOT CLEANER FOR HEALTHCARE}
본 발명은 로봇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항균 및 공기정화 기능을 가진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봇청소기는 사용자가 조작하지 않아도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스스로 주행하면서 바닥면으로부터 먼지 등의 이물질을 흡입함으로써 청소하고자 하는 구역을 자동으로 청소하는 기기이다. 로봇청소기는 스스로 청소한다는 점에서 크게 각광을 받아 다양한 기능을 가지도록 개발되어 왔으며, 다양한 기능 중 하나가 공기정화기능이다.
그런데 종래의 로봇청소기에서 공기정화기능은 로봇청소기가 청소시에 빨아들인 바닥의 공기를 내부의 필터를 통해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로봇청소기에서의 공기정화기능은 실내 공간 중 극히 일부인 바닥면의 공기만을 정화하는 것이므로 실질적인 공기정화기능이 미비하다. 그리고 구석진 곳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는 곰팡이 등의 세균이 번식하고 있으나 종래의 로봇청소기는 이에 대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0099275호(출원인: 장해상, 공개일: 2007.10.9.) 한국공개특허 제2005-0012049호(출원인: 삼성광주전자, 공개일: 2005.01.31.)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바닥면을 청소하면서 바닥의 공기와 부유먼지를 정화하고 세균을 제거할 수 있는 항균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원격지시에 따라 원하는 곳을 정화할 수 있게 하는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는 항균 로봇청소기 먼지나 오물들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상측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의 부유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 상기 팬 모터의 전방에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포집하기 위한 항균 필터를 구비한 필터 컨테이너, 상기 흡입구에 고정 설치되고 상기 필터 컨테이너와 연결관으로 연결된 흡입헤드, 상기 배기구측에 설치되어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솔 항균필터, 상기 개폐부재와 상기 컨테이너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상기 필터 컨테이너측으로 배출하는 공기흡입장치,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항균액을 저장한 저장부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부에 스프레이 노즐이 돌출되어 상기 항균액을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한다.
상기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는 리모콘에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항균 로봇청소기의 진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장애물이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방향 전환 요청을 하는 장애물 감지부, 광산란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항균액 분사 요청을 하는 오염도 감지부,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방향 전환 요청에 따라 항균 로봇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오염도 감지부의 항균액 분사 요청에 따라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이 분사되게 하는 제어부, 바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항균 로봇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이 분사되게 하는 분사 구동부, 그리고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상기 스프레이 분사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분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을 분사하게 한다.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전처리 필터와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솔 항균필터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청소시 흡입되는 바닥의 공기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배출하고 실내에 존재하는 세균 및 부유먼지를 정화하여 신선한 공기로 배출함으로써, 실내의 많은 양의 공기를 정화시켜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세균이나 곰팡이 등이 번져있는 곳에 스프레이 형식으로 오염제거 물질을 뿌려 제거함으로써, 보다 쾌적한 실내 환경을 만들 수 있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그리고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평면도이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100)는 본체가 전체적으로 원반 형상을 나타내며 2개의 바퀴(A)에 의해 이동된다. 여기서 바퀴의 수는 일 예로 2개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항균 로봇청소기(100)는 전면에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조사부(121)와 초음파 수신부(122)가 설치된다. 초음파 조사부(121)는 전방으로 초음파를 출력(조사)하고, 초음파 수신부(122)는 조사된 초음파 중 물체를 맞고 반사되어 돌아온 초음파를 수신한다. 초음파 조사부(121)는 초음파가 정면으로 출력되도록 설치되는 것이 양호하다.
또한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전면에는 로봇청소기(100)의 상측 부유물(즉, 먼지 등)의 오염도를 감지하기 위하여 레이저 조사부(131)와 광수신부(132)가 설치된다. 레이저 조사부(131)는 레이저 광을 출력(조사)하고, 광수신부(132)는 출력한 레이저광 중 부유물에 반사된 광을 수신한다. 여기서 레이저 조사부(131)는 지면에 대해 상측 방향으로 설치되어 레이저을 상측으로 조사되게 하는 것이 양호하다.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상측면에는 일측 가장자리에 스프레이 노즐(171)이 설치되어 레이저광이 조사된 방향으로 항균 용액이 분사(분무)되게 한다. 그리고 상측면의 가운데 부분에는 포집된 먼지나 이물질을 저장하는 컨테이너를 꺼내어 교환할 수 있게 하는 뚜껑(B1)과 뚜껑(B1)을 물리적으로 잠기고 오픈시키는 개폐 버튼(B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뚜껑(B1)의 가운데 부분에는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클린(clean) 동작(즉, 청소 동작)시에 오픈되고,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클린 동작이 중지시나 전원 오프시에 닫혀지는 개폐부재(C)가 설치된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100)는 바닥의 먼지나 오물을 흡입하는 흡입구(1a)가 하측면에 설치되고 흡입구(1a)를 통해 로봇청소기(100) 내부로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12)가 측면 또는 상측면에 형성되어 있는 본체 케이스(10)를 가진다. 이러한 본체 케이스(10)는 상측에서 바라보면 원의 형태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나, 사각형태 또는 오각 형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본체 케이스(10)에는 상측면에 뚜겅(B1)과 개폐버튼(B2) 및 개폐부재(C)가 설치된다.
본체 케이스(10)의 내측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팬 모터(20), 팬 모터(20)의 전방에 설치되어 팬 모터(20)에 의해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포집하기 위한 항균필터(31)를 구비하는 필터 컨테이너(30), 본체 케이스(10)의 하측 즉, 흡입구(1a)에 고정 설치되고 필터 컨테이너(30)와 연결관(P1)으로 연결되고 바닥의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헤드(40), 팬 모터(20)와 배기구(12) 사이에 설치되어 배기구(12)로 배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되어 있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지솔(G-sol) 항균필터(50)를 구비한다.
지솔 항균필터(50)는 지솔 성분을 가진 필터이다. 예컨대 지솔 항균필터(50)는 지솔 용액을 필터에 전체적으로 뿌린 후 말려서 제작된 필터이다. 상기에서 항균필터(31)도 지솔 항균 처리하여 제작된 필터이다.
그리고 본체 케이스(10)에 설치된 개폐부재(C)의 하부에는 오픈된 개폐부재(C)를 통해 상측의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흡입장치(60)가 설치된다. 공기흡입장치(60)는 전처리 필터(61)와 지솔 항균필터(62)로 구성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 살균, 탈취 등의 기능을 한다. 전처리 필터(61)는 본체 케이스(10)에 밀착되어 설치되고, 지솔 항균필터(62)는 전처리 필터(61)와 항균필터(31) 사이에 위치한다.
분사 스프레이(170)는 컨테이너(30)의 앞쪽에 설치되며, 분사 스프레이(170)의 스프레이 노즐(171)이 외부로 노출되고, 항균 용액을 담는 저장부(172)가 본체 케이스(10)의 내부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100)는 팬 모터(20) 회전시에 개폐부재(C)가 오픈되어, 바닥의 먼지나 오물은 흡입구(1a)를 통해 컨테이너(30)에 포집되고, 상부측의 먼지 등의 부유물은 공기흡입장치(60)에 빨려 들어와 전처리 필터(61)에 의해 입자크기가 큰 부유물이 먼저 걸러지게 되고, 지솔 항균필터(62)에 의해 항균, 탈취되어 컨테이너(30)에 포집된다.
이렇게 포집된 이물질과 오물은 입자가 크기 때문에 계속해서 컨테이너(30)에 보관되고, 흡입구(1a) 및 공기흡입장치(60)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컨테이너(30)에서 빠져나와 팬 모터(20)를 지난 후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된다. 이때 배기구(12)를 통해 배출되는 공기 중 공기흡입장치(60)로 흡입되는 공기는 공기흡입장치(60)의 각 필터(61, 62)를 지나 컨테이너(30)의 항균 필터(31) 및 지솔 항균필터(50)를 거쳐 3중의 항균 및 탈취된 깨끗한 공기가 되고, 흡입구(1a)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컨테이너(30)의 항균 필터(31) 및 지솔 항균필터(50)를 거쳐 2중의 항균 및 탈취된 깨끗한 공기가 된다.
그리고 분사 스프레이(170)는 실내 바닥의 코너(corner) 부위나 구석진 부위 또는 먼지 밀집지역에서 항균용액을 분사하여 벽이나 바닥 등에 생성된 곰팡이나 세균을 제거하며 부유물의 세균이나 곰팡이 등을 제거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100)는 바닥면 공기뿐만 아니라 청소기 주변의 공기까지도 정화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단순히 흡입 등을 통해 제거하지 못하는 벽면 등의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게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기능적 구성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항균 로봇청소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이다.
항균 로봇청소기(100)는 리모콘 수신부(110), 장애물 감지부(120), 오염도 감지부(130), 제어부(140), 방향 전환부(150), 분사 구동부(160), 분사 스프레이(170), 동작부(180), 그리고 전원부(190)를 포함한다.
리모콘 수신부(110)는 리모콘(미도시)에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고 이를 제어부(140)에 제공한다. 장애물 감지부(120)는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진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고 장애물 감지를 제어부(140)에 알린다. 장애물 감지부(120)는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하여 초음파 조사부(121), 초음파 수신부(122) 및 거리산출부(123)를 포함한다. 초음파 조사부(121)는 항균 로봇청소기(100)의 전방으로 초음파를 조사하고, 초음파 수신부(122)는 전방에 위치한 장애물을 반사한 초음파를 수신하며, 거리 산출부(123)는 초음파 조사에서 초음파 수신까지의 시간을 파악하고, 파악한 시간을 이용하여 항균 로봇청소기(100)와 장애물까지의 거리를 산출하며, 산출한 거리를 설정 거리와 비교하여 산출한 거리가 설정 거리 이내이면 방향 전환을 제어부(140)에 요청한다.
오염도 감지부(130)는 광산란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를 파악한다. 이를 위해 오염도 감지부(130)는 로봇청소기(100) 상측으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조사부(131), 출력한 레이저광 중 부유물에 반사된 광을 수신하는 광수신부(132), 수신된 광량을 측정하거나 수신되는 광의 개수를 측정하고 측정한 결과를 설정치와 비교하여 공기가 오염되었는지를 판단하며 오염된 경우에 제어부(140)에 항균액 분사 요청을 하는 광산란 분석부(133)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에 부유 먼지가 많을수록 광수신부(132)에 수신되는 광량이 많아지게 되고 또한 레이저광이 부유 먼지 입자에 닿으면 산란광이 만들어져 먼지 입자가 반짝이게 되므로 부유 먼지가 많을수록 반짝이는 개수가 많아진다.
제어부(140)는 리모콘 수신부(110)로부터 수신되는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예; 전원 온/오프, 방향 전환, 모드 설정, 항균액 분사 등)를 수행하고, 장애물 감지부(123)의 방향 전환 요청에 따라 방향 전환부(150)를 동작시켜 설정된 방향으로 항균 로봇청소기(100)을 진행시킨다. 그리고 제어부(140)는 오염도 감지부(130)의 항균액 분사 요청에 따라 분사 구동부(160)를 동작시켜 분사 스프레이(170)에서 항균액이 분사되게 한다. 한편 사용자가 리모콘을 이용하여 항균액 분사를 지시하면, 이에 대응하여 리모콘 수신부(110)는 스프레이 분사 지시를 제어부(140)에 제공하고, 제어부(140)는 스프레이 분사 지시에 따라 분사 구동부를 제어하여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을 분사하게 한다.
상기 모드 설정에서 모드는 항균 로봇청소기(100)가 자동으로 동작하는 자동 모드, 리모콘의 조작에 따라 동작하는 수동 모드, 설정 시간주기마다 항균액이 자동으로 분사되게 하는 자동분사모드 등이 있다.
방향 전환부(150)는 바퀴(A)와 연결되어 있으며 제어부(140)의 제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바퀴(A)를 회전시킨다. 분사 구동부(160)는 액츄에이터 등과 같이 물리적인 힘을 작용시켜 분사 스프레이(170)에서 항균액이 분사되게 한다. 분사 스프레이(170)는 항균액이 담겨진 저장부(172)와 분사 구동부(160)에서 제공된 힘에 따라 저장부(172)에 담겨진 항균액을 외부로 분사되게 하는 스프레이 노즐(171)을 포함하는 분사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전원부(180)는 각 구성(110 내지 170)에 전원을 공급하며, 배터리 등과 같이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항균 로봇청소기 110 : 리모콘 수신부
120 : 장애물 감지부 121 : 초음파 조사부
122 : 초음파 수신부 130 : 오염도 감지부
131 : 레이저 조사부 132 : 광수신부
140 : 제어부 150 : 방향 전환부
160 : 분사 구동부 170 : 분사 스프레이
171 : 스프레이 노즐 172 : 저장부
180 : 전원부 10 : 본체 케이스
20 : 팬 모터 30 : 컨테이너
31 : 항균 필터 40 : 흡입헤드
50 : 지솔 항균필터 60 : 공기흡입장치
61 : 전처리 필터 62 : 지솔 항균필터

Claims (4)

  1. 먼지나 오물들을 흡입하기 위한 흡입구가 하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가 상측면 또는 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상측의 부유 먼지를 흡입하기 위한 개폐부재가 형성된 본체 케이스,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팬 모터,
    상기 흡입구에 고정 설치되어 먼지나 이물질을 흡입하는 흡입헤드,
    상기 개폐부재를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고, 흡입되는 공기의 부유물을 크기에 따라 필터링하는 전처리필터와 상기 전처리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솔 항균필터를 구비하여, 상기 개폐부재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시켜 배출하는 공기흡입장치,
    상기 팬 모터의 전방에 연결관을 통해 상기 흡입헤드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팬 모터에 의해 상기 흡입구 및 상기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흡입되는 먼지나 오물을 포집하기 위한 항균 필터를 구비한 필터 컨테이너,
    상기 팬 모터와 상기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 컨테이너의 상기 항균 필터를 통과한 공기를 정화시키는 지솔 항균필터, 그리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내부에 항균액을 저장한 저장부가 위치하고 상기 본체 케이스의 외부에 스프레이 노즐이 돌출되어 상기 항균액을 상기 스프레이 노즐을 통해 분사하는 분사 스프레이
    를 포함하는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2. 제1항에서,
    리모콘에서 전송하는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는 리모콘 수신부,
    상기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의 진행 방향에 위치한 장애물을 감지하여 상기 장애물이 설정거리 이내에 위치하면 방향 전환 요청을 하는 장애물 감지부,
    광산란 방식을 이용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를 파악하여 실내 공기의 오염 정도가 설정치 이상이면 항균액 분사 요청을 하는 오염도 감지부,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수신되는 리모콘 신호에 대응하는 동작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장애물 감지부의 방향 전환 요청에 따라 항균 로봇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며, 상기 오염도 감지부의 항균액 분사 요청에 따라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이 분사되게 하는 제어부,
    바퀴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바퀴를 회전시켜 항균 로봇청소기의 진행 방향을 전환시키는 방향 전환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여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이 분사되게 하는 분사 구동부, 그리고
    각 구성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를 더 포함하는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3. 제2항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리모콘 수신부로부터 상기 스프레이 분사 지시를 수신하면 상기 분사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분사 스프레이에서 항균액을 분사하게 하는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4. 삭제
KR1020140122734A 2014-09-16 2014-09-16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Active KR1016156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34A KR101615666B1 (ko) 2014-09-16 2014-09-16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734A KR101615666B1 (ko) 2014-09-16 2014-09-16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508A KR20160032508A (ko) 2016-03-24
KR101615666B1 true KR101615666B1 (ko) 2016-05-26

Family

ID=55651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734A Active KR101615666B1 (ko) 2014-09-16 2014-09-16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6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43417A1 (en) * 2016-05-10 2017-11-15 Nidec Corporation Suction unit
CN111374599A (zh) * 2018-12-28 2020-07-07 珠海市一微半导体有限公司 具有血压监测功能的扫地机器人的控制方法及扫地机器人
CN111437416A (zh) * 2020-04-24 2020-07-24 广州市德百顺电气科技有限公司 一种消毒机器人
KR200494487Y1 (ko) * 2020-04-28 2021-10-21 박종석 순환 공기를 이용한 로봇청소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020A (ja) 2003-04-28 2004-11-18 Sharp Corp 自走式掃除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5020A (ja) 2003-04-28 2004-11-18 Sharp Corp 自走式掃除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508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3931B1 (ko) 외부 미세먼지 및 세균의 실내 유입 방지를 위한 공동현관 소독 시스템 및 그 구동방법
KR101402477B1 (ko) 바닥소독 기능을 갖는 로봇청소기
JP4991718B2 (ja) 無菌使い捨てカートリッジを有するロボット床清掃機
KR101615666B1 (ko) 헬스케어 항균 로봇청소기
US9936848B2 (en) Floor cleaning apparatus and touchless, recycling mopping system
KR20080007189A (ko) 스팀 로봇청소기
KR101396212B1 (ko) 초음파를 이용한 덕트청소 로봇
KR20160023203A (ko) 배기열을 이용한 습기 제거 기능을 가지는 청소기
KR102374606B1 (ko) 살균장치가 구비된 로봇청소기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145915B1 (ko) 살균 기능을 갖는 청소기
KR200457354Y1 (ko) 다목적 uv램프모듈 및 이 uv램프모듈이 착탈가능하게 결합된 로봇청소기
JP7564661B2 (ja) 移動式除菌装置および室内除菌システム
KR20130053145A (ko) 경사 감지형 물청소 로봇 청소기
CN115736712A (zh) 机器人系统和方法
CN107214682A (zh) 一种畜禽舍扫地机器人
KR100773980B1 (ko) 진공 청소기 겸용 로봇 공기 청정기 및 이에 연결되는진공청소기용 헤드
KR100548894B1 (ko) 방향기능을 구비한 로봇청소기
KR100781089B1 (ko) 로봇청소기
EP3903837B1 (en) A floor cleaning and disinfecting system
KR101404873B1 (ko) 로봇청소기
JP3635532B2 (ja) 湿式清浄装置
JP2006000212A (ja) 空気清浄器
JP2022118551A (ja) 清掃装置
CA2933665A1 (en) Floor cleaning apparatus and touch-less mopping system
KR20170031934A (ko) 공기청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5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60318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