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5495B1 - Moss block making method - Google Patents
Moss block making method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5495B1 KR101615495B1 KR1020140124822A KR20140124822A KR101615495B1 KR 101615495 B1 KR101615495 B1 KR 101615495B1 KR 1020140124822 A KR1020140124822 A KR 1020140124822A KR 20140124822 A KR20140124822 A KR 20140124822A KR 101615495 B1 KR101615495 B1 KR 1016154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xture
- wall
- manufacturing process
- moss
- bloc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5/00—Processes for producing special ornamental bodies
- B44C5/06—Natural ornaments; Imitations thereo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3/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ornamental structures
Landscapes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건조된 이끼를 혼합하기 때문에 이끼블럭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이끼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 물의 흐름에 따른 표면 색상이 변화가 없고 견고성이 뛰어나도록 한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을 교반기에 넣은 후,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을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만드는 제1제조공정과; 상기 제1제조공정 후, 녹색염료를 제1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로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1혼합물과 녹색염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만드는 제2제조공정과; 상기 제2제조공정 후, 건조이끼를 제2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로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2혼합물과 건조이끼를 혼합하여 제3혼합물을 만드는 제3제조공정과; 상기 제3제조공정 후, 모래를 제3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로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3혼합물과 모래를 혼합하여 제4혼합물을 만드는 제4제조공정과; 상기 제4제조공정 후, 제4혼합물을 압축성형기에 넣고, 상기 압축성형기에서 제4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여 벽천용 이끼블럭을 만드는 제5제조공정과; 상기 제5제조공정 후, 벽천용 이끼블럭을 건조실에 넣어 건조한 후,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1차로 코팅하는 제6제조공정 등을 포함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mixes the natural cement, the resin and the dried moss, the moss block is not only light, but also the moss block finishing material which makes the feeling of living moss as it i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which comprises: a first manufacturing step of mixing a natural cement, a resin, and water into a stirrer, mixing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to form a first mixture; After the first manufacturing process, the green dye is put into an agitator containing the first mixture, and then the first mixture and the green dye are mixed in the agitator to form a second mixture. After the second manufacturing process, a third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a dry moss is placed in an agitator containing a second mixture, and then the second mixture and the dry moss are mixed in the agitator to form a third mixture; After the third manufacturing process, the sand is put into an agitator in which a third mixture is accommodated, and then the third mixture is mixed with the sand in the agitator to form a fourth mixture; A fifth manufacturing step of putting the fourth mixture into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after the fourth manufacturing process and molding the fourth mixture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compression molding machine to produce a wall block for a wall; And a sixth manufacturing process in which after the fifth manufacturing process, the wall block is dried in a drying chamber and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block is first coated with transparent epoxy.
Description
본 발명은 벽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건조된 이끼를 혼합하기 때문에 이끼블럭이 가벼울 뿐만 아니라 살아있는 이끼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 물의 흐름에 따른 표면 색상이 변화가 없고 견고성이 뛰어나도록 한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arrier wall, and more particularly, because it mixes natural cement, resin, and dried moss, the moss block is not only light but also has a solid surfac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oss block finishing material which is superior to a wall moss.
일반적으로, 벽천(壁泉)은 실내 또는 실외 벽면에 설치되며 폭포 역할을 하는 것으로, 고저차가 발생되는 공간을 이용하여 물을 낙수시키되, 인공적으로 암석 조형물 등을 형성함에 따라, 다양한 시각적인 아름다움을 연출하여 실내 장식미(즉 아트 기능, 인테리어 기능 등을 말함)를 극대화하거나, 동시에 펌프에 의해 펌핑되어 순환되는 물에 의해 실내 가습 또는 정화 기능을 발휘하도록 사용되고 있다.Generally, the wall spring is installed on the indoor or outdoor wall and functions as a waterfall. By using the space where the difference in height is generated, water is dripped, and artificial rock formworks are formed, so that various visual beauty (I.e., art function, interior function or the like) is maximized, or at the same time, the indoor humidification or purifying function is performed by the water circulated by being pumped by the pump.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천으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501013호에 "정교하게 조각된 석재판 표면에 물이 흐르는 분수장치와 조명장치가 구비된 복합 기능 벽천 분수 수경 조형물"이 개시되어 있다. 전술한 등록특허 501013호의 벽천(500)은, 지면에 설치되는 하부 수조(510)와, 상부로 직립되어 설치되는 석재판(520)이 구비된다. 물 순환펌프(미도시됨)에 의하여 하부 수조(510)의 물이 석재판(520) 상부로 공급된 후 물흐름면(530)을 타고 흘러내려 하부 수조(510)에 집수되는 구조이다. 이때 하부 수조(510) 상부 전면으로 조명 램프1, a registered trademark No. 10-501013 entitled "Multifunctional Wall Fountain Waterworks Sculpture" having a fountain device and an illuminating device for water flowing on an exquisitely carved stone surface, . The
(540)의 빛이 석재판(520)의 전면을 조사하게 된다.The light from the
전술한 벽천(500) 구조에서는 물흐름면(530)을 따라 흐른 물이 하부 수조(510)에 들어가면서, 공기 중의 먼지도 함께 하부 수조(510)에 들어가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물을 갈아주거나 하부 수조(510)를 청소해 주어야 하나, 하부 수조(510)가 상부의 석재판(520)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어 하부 수조(51)로부터 물을 용이하게 퍼내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The water flowing along the
또한, 벽천(500) 구조에서는 물흐름면(530)을 따라 흐르는 물 일부가 순화되면서 자연 증발되기 때문에 일정 시간이 경과된 후에는 다시 물을 보충해주어야 하나, 사용자가 일일이 확인하면서 물을 채워줘야 하기 때문에 사용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특히 사용자 부주의로 인해 물 보충이 적시에 이뤄지지 않을 경우 순환펌프는 공회전을 하게 되므로 순환펌프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n the structure of the
또한, 벽천(500) 구조는 물흐름면(530)이 불투명한 석재로 형성됨에 따라 단지 석재판(520)의 표면에만 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볼 수 있게 되어 벽천(500)으로 인한 실내 장식미가 단조로운 느낌을 주게 된다. 또한 석재판(520)이 수돗물 접촉에 의해 흰색으로 변색되는 백화현상이 발생되고, 표면에 물떼가 달라 붙어 수시로 석재판(520)의 표면 세척이 요구되는 문제점을 갖는다.
In addition, since the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12년 12월 03일자 출원번호 제10-2012-0139119호(발명의 명칭 :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가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으며, 청구범위는 "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에 있어서: 건물의 실내 벽면에 설치되는 액자형 프레임; 상기 액자형 프레임에 의해 구획되는 공간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액자형 프레임의 하방에 설치되는 물 저장조로부터 펌프에 의해 순환되는 물이 상부에 횡방향으로 설치된 분사파이프를 통해 분사되어 표면을 따라 항시 흘러내리도록 하는 벽천용 벽면; 상기 벽천용 벽면 표면에 밀착 또는 경사지게 고정되며, 관통공이 형성되는 고정판; 상기 고정판 표면에 일측면이 장착되며, 상기 벽천용 벽면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순환수 일부가 상기 관통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Application No. 10-2012-0139119 of December 03, 2012 (the name of the invention: frame-type wall-hanging spring ecological building using wall) was filed with the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Claims 1. A frame-type wall-mounted eco-pipe comprising: a frame-shaped frame installed on an indoor wall of a building, the water circulated by a pump installed in a space defined by the frame-shaped frame and provided below the frame- A fixed plate on which a through hole is formed to be closely or slantly fixed to a surface of the wall surface, a side surface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fixed plate, A portion of the circulating water flowing down along the surface of the wall for wall-
공을 통해 유입 및 배출되도록 순환수 유입 및 배수구가 측면에 관통형성되며,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되어 식물이 식재되는 식물 식재용 포트; 상기 순환수 유입 및 배수구를 통해 상기 식물 식재용 포트에 유입되는 순환수에 의해 식물이 성장할 수 있도록 상기 식물 식재용 포트에 배양토를 구비하되, 상기 배양토로서 상기 식물 식재용 포트의 하부에 구비되어 배수층을 형성하는 난석층과, 상기 난석층 위에 적층되어 수분을 유지하며 순환수 유입 및 배수구쪽으로 흙 배출을 방지하는 수태와, 상기 수태 위에 적층되어 식물 뿌리가 뻣어 내리도록 하는 토양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 " 이다.
A port for planting plant in which the circulation water inflow and drainage holes are formed to penetrate through the side surface so as to flow in and out through the hole and the upper part is opened to plant the plant; And a culture soil is provided in the pot for the planting material so that the plant can grow by the circulating water flowing into the pot for the planting material through the circulating water inflow and drainage port, And a soil layer stacked on the impregnation layer to allow moisture to be retained and to prevent the discharge of soil to the inflow of circulating water and the drainage port, A wall - mounted walled - " to be.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은 벽천용 벽면이 무거운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벽천용 벽면의 제조공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all-mounted wall-mounted wall-mounted eco-pipe has a problem that the wall for the wall is heavy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wall for the wall is complicated.
이로 인해, 종래의 벽면을 이용한 액자형 벽천 생태관의 구입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As a resul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st of purchasing a frame-type wall-mounted eco-pipe using a conventional wall surface increases.
특히, 살아있는 이끼의 느낌을 그대로 살릴 수 없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물의 흐름에 따른 표면 색상이 변하거나 견고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Particularly, there is a problem that the feeling of living moss can not be retained as it is,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or of the surface changes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or the strength becomes poor.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량발명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건조된 이끼를 혼합하기 때문에 이끼블럭이 가볍게 만들 수 있고 살아있는 이끼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 물의 흐름에 따른 표면 색상이 변화가 없고 견고성이 뛰어나도록 한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overcom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ssociated with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oss block which can be made lightly by mixing natural cement, resin and dried mos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anufacturing method of a moss block finishing material for a wall, which is free from surface color chang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and is excellent in rigidity.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mentioned objects, and other objects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은,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을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을 10분간 잘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만드는 제1제조공정과;
상기 제1제조공정 후, 녹색염료를 제1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1혼합물과 녹색염료를 5분간 잘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만드는 제2제조공정과;
상기 제2제조공정 후, 건조이끼를 제2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2혼합물과 건조이끼를 30분간 잘 혼합하여 제3혼합물을 만드는 제3제조공정과;
상기 제3제조공정 후, 모래를 제3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3혼합물과 모래를 10분간 잘 혼합하여 제4혼합물을 만드는 제4제조공정과;
상기 제4제조공정 후, 제4혼합물을 압축성형기에 넣고, 상기 압축성형기에서 제4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여 벽천용 이끼블럭을 만드는 제5제조공정과;
상기 제5제조공정 후, 벽천용 이끼블럭을 건조실에 넣은 후, 상기 건조실을 20℃ ∼ 40℃로 3시간 동작시켜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을 건조한 후,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1차로 코팅하는 제6제조공정과;
상기 제6제조공정 후, 1차로 코팅된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에 자갈이나 장식물을 설치하고 1일이 경과 후,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2차로 코팅하고 건조하는 제7제조공정과;
상기 제7제조공정 후, 벽천용 이끼블럭을 벽면에 설치한 후, 벽면에 설치된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3차로 코팅하는 제8제조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조공정 시,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의 비율은 1:1:2로 하며,
상기 제6제조공정 시, 벽천용 이끼블럭의 수분함량이 10% 이내가 될 때까지 건조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ll moss block covering material,
A first preparation step of mixing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into a stirrer, mixing the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in the stirrer well for 10 minutes to prepare a first mixture;
After the first manufacturing process, the green dye is put into a stirrer in which the first mixture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the first mixture and the green dye in the agitator for 5 minutes to form a second mixture.
After the second manufacturing process, a third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a dry moss is placed in an agitator containing a second mixture, and then the second mixture and the dry moss are thoroughly mixed for 30 minutes in the agitator to form a third mixture;
After the third manufacturing step, sand is put into an agitator in which the third mixture is accommodated, and then the third mixture and the sand are mixed well in the agitator for 10 minutes to form a fourth mixture;
A fifth manufacturing step of putting the fourth mixture into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after the fourth manufacturing process and molding the fourth mixture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compression molding machine to produce a wall block for a wall;
After the fifth manufacturing process, the wall block is placed in a drying chamber, the drying room is operated at 20 ° C to 40 ° C for 3 hours to dry the wall block, and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block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epoxy A sixth manufacturing process for first coating;
After the sixth manufacturing process, gravel or ornaments we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wall coated moss block, and after the lapse of one day,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moss block was coated with the transparent epoxy secondarily and dried. A process;
And an eighth manufacturing process of coating a top surface of a wall moss block provided on a wall with a transparent epoxy after the wall moss block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after the seventh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first manufacturing process, the ratio of natural cement to resin and water is 1: 1: 2,
In the sixth manufacturing process, the water is dried until the water content of the wall block is within 1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은 이끼블럭을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건조된 이끼를 혼합하여 제조함으로써, 이끼블럭이 가벼운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moss block is lightly produced by mixing the natural moss with the natural cement, the resin and the dried moss.
특히, 본 발명은 살아있는 이끼의 느낌을 그대로 살리면서 물의 흐름에 따른 표면 색상의 변화가 없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견고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not only changing the color of the surface according to the flow of water while maintaining the feeling of living moss, but also having excellent robustness.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벽천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천의 실물 사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2 is a photograph of a wall hanging wall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wall moss block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본 발명에 따른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천을 살펴보면,Before explaining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moss block finishing materi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적용된 벽천(100)은,As shown in FIG. 2, the
중앙에 벽면(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프레임(102)과;A
상기 사각프레임(102)의 일측에 연장 설치되되, 다 수개의 수용공간(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1측면프레임(104)과;A
상기 제1측면프레임(104)으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마주보게 상기 사각프레임(102)의 일측에 연장 설치되되, 다 수개의 수용공간(도시는 생략함)을 구비하고 있는 제2측면프레임(106)과;A
상기 사각프레임(102)의 벽면에 설치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는 벽천용 이끼블럭(108)과;A
상기 사각프레임(102)의 상단부에 설치되어 관통공(도시는 생략함)을 통해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108)로 물을 흘러보내는 호스(110)와;A
상기 사각프레임(102)과 제1측면프레임(104)과 제2측면프레임(106)을 받쳐줌과 아울러 물을 저장하는 받침부(112)와;A
상기 제1측면프레임(104)의 수용공간 및 제2측면프레임(106)의 수용공간에 식재되어 사용자에게 심미감을 주는 식생블럭(114)을 포함한다.
And a
상기와 같이 벽천(100)에 벽천용 이끼블럭(108) 마감재가 설치되는바, 본 발명에 따른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As described above, the
먼저,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을 1:1:2의 비율로 교반기(도시는 생략함)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을 10분간 잘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만든다.
First,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are put into a stirrer (not shown) at a ratio of 1: 1: 2, and then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are mixed well in the stirrer for 10 minutes to prepare a first mixture.
그리고, 녹색염료를 위치시키고, 상기 녹색염료를 제1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1혼합물과 녹색염료를 5분간 잘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만든다.
Then, the green dye is placed, and the green dye is put into a stirrer in which the first mixture is stored, and then the first mixture and the green dye are mixed well in the stirrer for 5 minutes to prepare a second mixture.
그리고, 건조이끼를 위치시키고, 상기 건조이끼를 제2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2혼합물과 건조이끼를 30분간 잘 혼합하여 제3혼합물을 만든다.
Then, the dry moss is placed, and the dried moss is placed in a stirrer in which the second mixture is accommodated. Then, the second mixture and the dry moss are mixed well for 30 minutes to prepare a third mixture.
그리고, 모래를 위치시키고, 상기 모래를 제3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3혼합물과 모래를 10분간 잘 혼합하여 제4혼합물을 만든다.
Then, the sand is placed, and the sand is put into a stirrer in which the third mixture is stored, and then the third mixture and the sand are mixed well in the stirrer for 10 minutes to make a fourth mixture.
그리고, 상기 교반기로부터 제4혼합물을 끄집어낸 후, 상기 제4혼합물을 압축성형기(도시는 생략함)에 넣고, 상기 압축성형기에서 제4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여 벽천용 이끼블럭(108)을 만들어 낸다.
Then, after the fourth mixture is taken out from the agitator, the fourth mixture is put into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not shown), and the fourth mixture is molded into a certain thickness in the compression molding machine to remove the wall block 108 I make it.
그리고, 성형 된 벽천용 이끼블럭(108)을 위치시키고,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108)을 건조실에 넣은 후, 상기 건조실을 20℃ ∼ 40℃로 3시간 동작시킨다.Then, the formed
여기서,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의 수분함량이 10% 이내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것이 좋다.
Here, it is preferable to dry the mortar block until the water content of the mortar block is within 10%.
그리고, 건조실로부터 건조된 벽천용 이끼블럭(108)을 끄집어낸 후,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108)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1차로 코팅한다.
Then, after drying the dried
그리고, 1차로 코팅된 벽천용 이끼블럭(108)의 상면에 자갈이나 장식물을 설치하고 1일이 경과 후,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108)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2차로 코팅하고 건조한다.
After 1 day, gravel or decorative material is installed on the top surface of the primary coated
그리고,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108)을 사각프레임(102)의 벽면에 설치한 후, 벽면에 설치된 벽천용 이끼블럭(108)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3차로 코팅한다.
After the
한편, 하천 또는 수로 또는 개울 또는 냇가를 상기한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을 이용하여 만들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 river or a waterway, a stream, or a stream can be produced by using the above-described method of manufacturing a moss block finishing material for a wall.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is merely exemplary of the invention and is used for the purpose of illustration only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claims or the claims. Therefore,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100 : 벽천
102 : 사각프레임
104 : 제1측면프레임
106 : 제2측면프레임
108 : 벽천용 이끼블럭
110 : 호스
112 : 받침부
114 : 식생블럭100: the wall
102: square frame
104: first side frame
106: second side frame
108: Moss block for the wall
110: Hose
112:
114: vegetation block
Claims (4)
상기 제1제조공정 후, 녹색염료를 제1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1혼합물과 녹색염료를 5분간 잘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만드는 제2제조공정과;
상기 제2제조공정 후, 건조이끼를 제2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2혼합물과 건조이끼를 30분간 잘 혼합하여 제3혼합물을 만드는 제3제조공정과;
상기 제3제조공정 후, 모래를 제3혼합물이 수용되어 있는 교반기에 넣은 후, 상기 교반기에서 제3혼합물과 모래를 10분간 잘 혼합하여 제4혼합물을 만드는 제4제조공정과;
상기 제4제조공정 후, 제4혼합물을 압축성형기에 넣고, 상기 압축성형기에서 제4혼합물을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여 벽천용 이끼블럭을 만드는 제5제조공정과;
상기 제5제조공정 후, 벽천용 이끼블럭을 건조실에 넣은 후, 상기 건조실을 20℃ ∼ 40℃로 3시간 동작시켜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을 건조한 후,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1차로 코팅하는 제6제조공정과;
상기 제6제조공정 후, 1차로 코팅된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에 자갈이나 장식물을 설치하고 1일이 경과 후, 상기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2차로 코팅하고 건조하는 제7제조공정과;
상기 제7제조공정 후, 벽천용 이끼블럭을 벽면에 설치한 후, 벽면에 설치된 벽천용 이끼블럭의 상면을 투명에폭시로 3차로 코팅하는 제8제조공정을 포함하되,
상기 제1제조공정 시, 천연시멘트와 수지와 물의 비율은 1:1:2로 하며,
상기 제6제조공정 시, 벽천용 이끼블럭의 수분함량이 10% 이내가 될 때까지 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천용 이끼블럭 마감재의 제조공법.
A first preparation step of mixing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into a stirrer, mixing the natural cement, resin and water in the stirrer well for 10 minutes to prepare a first mixture;
After the first manufacturing process, the green dye is put into a stirrer in which the first mixture is accommodated, and the second mixture is prepared by mixing the first mixture and the green dye in the agitator for 5 minutes to form a second mixture.
After the second manufacturing process, a third manufacturing process is performed in which a dry moss is placed in an agitator containing a second mixture, and then the second mixture and the dry moss are thoroughly mixed for 30 minutes in the agitator to form a third mixture;
After the third manufacturing step, sand is put into an agitator in which the third mixture is accommodated, and then the third mixture and the sand are mixed well in the agitator for 10 minutes to form a fourth mixture;
A fifth manufacturing step of putting the fourth mixture into a compression molding machine after the fourth manufacturing process and molding the fourth mixture into a predetermined thickness in the compression molding machine to produce a wall block for a wall;
After the fifth manufacturing process, the wall block is placed in a drying chamber, the drying room is operated at 20 ° C to 40 ° C for 3 hours to dry the wall block, and then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block is covered with a transparent epoxy A sixth manufacturing process for first coating;
After the sixth manufacturing process, gravel or ornaments we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mary wall coated moss block, and after the lapse of one day, the upper surface of the wall moss block was coated with the transparent epoxy secondarily and dried. A process;
And an eighth manufacturing process of coating a top surface of a wall moss block provided on a wall with a transparent epoxy after the wall moss block is installed on the wall surface after the seventh manufacturing process,
In the first manufacturing process, the ratio of natural cement to resin and water is 1: 1: 2,
Wherein the dried moss block is dried until the water content of the moss block is less than 10% in the sixth manufacturing proces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822A KR101615495B1 (en) | 2014-09-19 | 2014-09-19 | Moss block making method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4822A KR101615495B1 (en) | 2014-09-19 | 2014-09-19 | Moss block making method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3946A KR20160033946A (en) | 2016-03-29 |
KR101615495B1 true KR101615495B1 (en) | 2016-04-26 |
Family
ID=55661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4822A Active KR101615495B1 (en) | 2014-09-19 | 2014-09-19 | Moss block making method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5495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SE542219C2 (en) * | 2016-10-13 | 2020-03-17 | Nordgroena Ab | Decorative element and aggregate with a vegetative fill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922B1 (en) | 2012-04-20 | 2013-12-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oss brick for purifying wa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KR101369327B1 (en) | 2013-02-12 | 2014-03-04 | 임재명 | Manufacturing method for artificial rock |
-
2014
- 2014-09-19 KR KR1020140124822A patent/KR101615495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44922B1 (en) | 2012-04-20 | 2013-12-27 | 경북대학교 산학협력단 | Moss brick for purifying water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KR101369327B1 (en) | 2013-02-12 | 2014-03-04 | 임재명 | Manufacturing method for artificial rock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3946A (en) | 2016-03-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167609B1 (en) | Artificial rock manufacturing method, artificial rock and artificial rock facilities | |
KR101615495B1 (en) | Moss block making method | |
KR101050413B1 (en) | Integral wall decor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 |
US8439279B2 (en) | Stone waterfall with integrated planter and water distribution system | |
KR100851822B1 (en) | pot manufactured by native rock for being installed at outer wall of building | |
KR101456558B1 (en) | frame type a wall fountain using wall | |
KR101698129B1 (en) | The method of installing eco-pipe structure for consturcting planting environment | |
CN204191240U (en) | A kind of flowerpot structure with Landscape Lamp | |
CN2655631Y (en) | Water-storage water-saving ventilating flowerpot | |
KR200255198Y1 (en) | Compact type compound aquarium | |
KR200464609Y1 (en) | Hydroponics planter | |
KR20090103433A (en) | Decorative Plate having 3D Wood Texture and Method thereof | |
KR200317136Y1 (en) | Interior Garden Structure | |
CN1112495C (en) | Nest type bricks stuck on surface of external wall | |
KR20080084088A (en) | Anion generating landscape flower pots for health | |
CN2663173Y (en) | Artificial tridimensional landscape painting | |
CN211007393U (en) | Ceramic tile suitable for television background wall | |
CN205755874U (en) | A kind of flowerpot | |
KR20120080456A (en) | Complex indoor garden | |
KR101333833B1 (en) | Landscape moulding facility which has the aquarium with all | |
KR20110008070U (en) | making molding for indoor and outdoor landscape | |
KR101140454B1 (en) | Tiles Joint Compositions | |
JP2004229635A (en) | Brick or block with plantar | |
Zaraś-Januszkiewicz et al. | TREE IN TEODOR TALOWSKI ‘S AND FRIEDENSREICH HUNDERTWASSER ‘S ORGANIC ARCHITECTURE | |
KR200475146Y1 (en) | Pot apparatus for wall greening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11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2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08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0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5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