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5365B1 -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5365B1
KR101615365B1 KR1020140071683A KR20140071683A KR101615365B1 KR 101615365 B1 KR101615365 B1 KR 101615365B1 KR 1020140071683 A KR1020140071683 A KR 1020140071683A KR 20140071683 A KR20140071683 A KR 20140071683A KR 101615365 B1 KR101615365 B1 KR 1016153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rame
rotation
fixed
pla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168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142952A (en
Inventor
황보숙
송준찬
권중원
장성호
장우혁
김대희
서갑호
전광우
Original Assignee
황보숙
송준찬
권중원
장성호
장우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보숙, 송준찬, 권중원, 장성호, 장우혁 filed Critical 황보숙
Priority to KR10201400716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5365B1/en
Publication of KR201501429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952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53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5365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뇌졸중 환자 또는 뇌손상 환자, 각종 병변(류머티스 등)에 따른 신경 손상 환자의 수부(手部)를 인위적으로 당겨서 구축된 관절 및 위축된 근육을 신전(stretching)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지지대(11) 상에 대응하는 1조의 지지 프레임(13)을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13) 사이에 회동 프레임(14)을 회전축(S)으로 고정·설치하여 회동 프레임(14)이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 프레임(14)의 후방에 아래 팔뚝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거치대(30)를 설치하고, 지지대(11) 일측에 제어장치(C)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장치(M)를 설치하여 구동장치(M)에 의해 회전축(S)이 회전되게 하며, 회동 프레임(14)과 회동 플레이트(18)의 간에 손바닥을 거치하기 위한 손바닥 거치부(21)와 손가락을 거치하기 위한 손가락 거치부(22)로 이루어지는 제1 거치대(2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이다.
본 발명은 누구나 쉽고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당김의 정도대로 정확하게 관절을 신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망하는 수부 관절에 대한 선택적인 신전이 가능하여 재활훈련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retching a joint formed by artificially pulling a hand part of a nerve-injured patient according to a stroke patient or a patient suffering brain damage, various lesions (rheumatism, etc.), and stretched muscles, To a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pair of support frames 13 are provided on a support 11 and the rotation frame 14 is fix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13 so that the rotation frame 14 A second holder 30 for holding the lower forearm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otating frame 14 so as to be rotatable around the rotation axis S and a control device C And a palm rest 21 for holding the palm between the pivoting frame 14 and the pivoting plate 18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palm rest 21 And a finger mounting portion 22 for mounting a finger.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ease of use by allowing anyone to easily and easily use it, and it is possible to accurately extend the joint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demanded by the user, and to provide a selective extension to the desired joint part An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aining.

Description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Apparatus for hand rehabilitation [

본 발명은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좀더 상세하게는 뇌졸중 환자 또는 뇌손상 환자, 각종 병변(류머티스 등)에 따른 신경 손상 환자의 수부(手部)를 인위적으로 당겨서 구축된 관절 및 위축된 근육을 신전(stretching)시켜 줄 수 있도록 발명한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a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a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of a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which comprises a joint constructed by artificially pulling a hand part of a nerve injured patient according to stroke patients, brain injured patients, various lesions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pparatus for rehabilitating a handwoven rehabilitation training apparatus, which is capable of stretching a contracted muscle.

뇌졸중은 뇌혈관이 막히거나 터져서 뇌혈관(뇌혈류)의 순환장애가 일어남으로써 의식 장애와 함께 안면마비, 구음장애, 편측 상/하지의 마비(반신마비)를 일으키는 급격한 뇌혈관 질환의 하나이며, 좌뇌의 뇌혈류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우측 신체의 반신마비가 따르게 되고 우뇌의 뇌혈류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좌측 신체의 마비가 따르게 된다.Stroke is one of the sudden cerebrovascular diseases that causes facial paralysis, dysarthria, paralysis of one side / lower limb (paralyzed paralysis) with congestion of the cerebral blood vessels (cerebral blood flow) The left hemiplegic paralysis is followed by the right hemisphere and the left hemisphere paralysis occurs when the right hemisphere cerebral blood flow disorder occurs.

상기한 뇌졸중 환자나 각종 사고 등에 의한 외상성 뇌손상 환자, 또는 각종 병변(류머티스 등)에 따른 신경의 손상 환자 중에는 수부의 운동성이 소실되거나 저하되는 경우가 많은데, 위와 같은 환자는 수부의 운동능력 결여로 인해 관절의 구축, 근육의 위축, 근육의 탄력성 저하 등과 같은 문제점을 발생시키게 된다.In the case of patients suffering from traumatic brain injury due to a stroke patient or various accidents or patients suffering from nerve damage due to various lesions (such as rheumatism), the motility of the hand part is often lost or decreased. Resulting in problems such as joint build-up, muscular atrophy, and reduced muscle elasticity.

상기한 환자들의 재활을 위해서는 운동능력을 상실한 비활성 신체부위를 강제적, 지속적으로 운동시킴으로써 운동능력을 활성화시키는 운동 재활과정을 진행하게 되는데, 위와 같은 재활과정에는 수부를 인위적으로 당겨서 수부의 관절을 신전시키는 스트레칭(stretching) 치료가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In order to rehabilitate the above-mentioned patients, the exercise rehabilitation process for activating the exercise ability is performed by forcibly and continuously exercising the inactive body part having lost the exercise ability.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as described above, the hand is artificially pulled, Stretching treatment has been used effectively.

그에 따라서 수부를 인위적으로 당겨서 수부의 관절을 신전시켜 주기 위한 기구적인 장치를 개발하여 신경이 손상된 환자의 재활치료에 이용하고 있다.Accordingly, a mechanical device for artificially pulling the hand and extending the joint of the hand is developed and used for the rehabilitation of the nerve damaged patient.

[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0586호,『뇌졸중 환자 재활치료용 교정기구』[Patent Document 1]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10586, "Correction Mechanism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troke Patients"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555-00-00호,『수부 수동 운동기구』[Patent Document 2] 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048555-00-00, "

구축된 관절 및 위축된 근육들을 신전(stretching)시키는 재활치료는 전문적인 지식을 가진 전문가가 전문 의료장비를 이용하여 수행하기 때문에 치료에 따른 장소 및 시간의 제약을 받게 되며, 또한 환자나 보호자에게는 많은 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발생시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Rehabilitation that stretches established joints and atrophied muscles is limited by the location and time of treatment due to the use of specialized medical equipment by specialist professionals, and many patients and caregivers Time and economic burdens have been pointed out.

그에 따라서, 뇌졸중 환자의 수부에 대한 재활치료를 위한 기구적인 장치가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8555-00-00호 및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3-0010586호 등으로 안출되었으며, 위와 같은 재활 기구장치는 전문가가 아니더라도 비교적으로 쉽게 작동시킬 수 있어 환자나 보호자가 직접 사용가능하게 함으로써 시간적, 경제적인 부담을 줄여주고자 한 것이었다.Accordingly, a mechanical device for rehabilitation treatment of a hand of a stroke patien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No. 10-1048555-00-00 and Korean Patent Application No. 10-2013-0010586, Was relatively easy to operate even if it was not an expert, and it was intended to reduce the time and economic burden by enabling the patient or the caregiver to use it directly.

상기한 재활 기구장치는 환자의 손바닥을 거치하기 위한 거치수단에 견인줄을 고정하여서 구성한 것으로, 거치수단에 손바닥을 거치한 상태에서 견인줄을 당겨 줌으로써 견인줄의 당김 작용에 의해 들려지는 거치수단이 수부 관절(손목 관절)을 들어올려 신전시키는 과정에서 보조적으로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의 신전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인바, 종래 수부 재활 기구장치는 손목 관절의 스트레칭을 재활의 주된 목적으로 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도 무방하다.The rehabilitation apparatus is constructed by fixing a towing line to a mounting means for mounting a palm of a patient. When the towing line is pulled with the palm resting on the mounting means, the lifting means, which is lifted by the pulling action of the pulling line, The wrist joint is extended and lifted to support the extension of the joint of the middle and middle finger joints and the joint of the finger joints. In addition, since the main purpose of the conventional wrist rehabilitation device is to stretch the wrist joint, Do.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재활 기구장치는 견인줄의 당김 작용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수단(도르래)과 견인줄의 권취수단 등을 필요로 하고 견인줄의 견인각도 등을 설정하기 위한 직립 프레임 등을 설치하여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기구장치의 크기가 커진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도르레를 설치하였다고는 하지만 견인줄을 당겨 주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을 들여야 하기 때문에 환자 본인이 직접 장비를 작동하거나 노약자나 보호자가 장비를 작동하기에 적합하지 않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apparatus as described above requires a means (pulley) for smooth pulling action of the pulling string and a pulling-up means for pulling the pulling string, and an upright frame for setting the pulling angle of the pulling string etc. In addition to the complication of the configuration,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size of the device is increased. In addition, although the dolly is installed, since it requires considerable effort to pull the pull string, the patient himself or herself or the caregiver And it is not suitable for operation.

그리고, 종래의 재활 기구장치는 사용자가 견인줄을 당겨서 수부 관절을 신전시키는 구성이기 때문에 당김의 정도를 사용자가 원하는 수준으로 조절하기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기구장치의 구조상 견인줄이 거치수단의 일측에 결속될 수밖에 없기 때문에 견인과정에서 거치수단에 힘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아 관절에 대한 정확한 신전이 이루어지지 않는 재활효율이 떨어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In addition, since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device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user pulls the towline to extend the joint, the pulling is not suitable for adjusting the degree of pulling to a desired level by the user, The force is not uniformly transmitted to the mounting means in the traction process, and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is reduced due to the fact that the extension of the joint is not accurately performed.

한편, 재활과정에서는 수부의 손목 관절 또는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의 경직도에 따라서 목적하는 관절을 임의선택하여 해당 관절을 인위적으로 반복하여 신전 및 수축시키는 스트레칭(stretching) 치료가 유용한 경우가 있는데, 종래의 재활 기구장치는 손목 관절을 신전시키는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에 대한 신전이 함께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기 때문에 소망하는 수부 관절에 대한 선택적인 신전 및 수축이 어려워 재활치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없었을 뿐만 아니라 손목 관절과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에 대한 신전의 구분시점이 명확하지 않고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은 스트레칭(stretching)에 의한 신전 및 수축의 정도가 미약하여 우수한 재활효과를 거두기 어렵다.On the other hand, in the rehabilitation process, there is a case where the desired joint is arbitrar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wrist joint of the hand or the rigidity of the middle and middle tibial joints and the finger joint, and the stretching treatment for artificially repetitively extending and contracting the joint is useful. The rehabilitation device of the rehabilitation device is provided with the extension of the joint of the middle and the middle of the hand and the joint of the finger joint in the extension of the wrist joint so that the selective expa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sired joint is difficult. . In addition, it is not clear whether the extension of the wrist, middle and middle finger joints and finger joints is clearly defined, and that the degree of extension and contraction due to stretching of the middle and middle finger joints and finger joints is weak, it's difficult.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재활 기구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직접 사용하거나 근력이 약한 보호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요구하는 당김의 정도대로 정확하게 관절을 신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망하는 수부 관절(손목 관절 또는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에 대한 선택적인 스트레칭(신전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활훈련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도록 함에 기술적 과제의 주안점을 두고 완성한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all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rehabilitation device as described above, and it is possible to operate without using a large force, so that a patient who is directly used by a patient or a weak muscle strength can be easily used,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desired hand joints (wrist joint or middle knuckle joint and fingertip joint) in addition to providing convenience and allowing the joint to be extended exactly according to the degree of pulling required by the user, And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aining by making it possible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aining.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지지대 상에 대응하는 1조의 지지 프레임을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 사이에 회동 프레임을 회전축으로 고정·설치하여 회동 프레임이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 프레임의 후방에 아래 팔뚝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거치대를 설치하고, 지지대 일측에 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장치를 설치하여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축이 회전되게끔 수부 재할훈련용 기구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supporting a pair of support frames on a support frame, fixing the rotation frame between the support frames by a rotation shaft, and rotating the rotation frame about the rotation axis A second holder for holding a lower forearm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otating frame and a driving device controlled by a control device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to constitute a training device device for rotating the rotating shaft by the driving device In the context of;

상기 회동 프레임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플레이트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의 선단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에 회동 플레이트의 하단부를 회전핀으로 결합하며, 회동 플레이트의 상단에 제1 거치대의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 링크에 제1 연결 링크를 회전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의 하단에 제2 연결 링크를 회전핀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2 연결 링크를 회전핀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동 프레임과 회동 플레이트의 고정부재 간에 제1 거치대를 설치하되, 제1 거치대는 경첩에 의해 분할되는 손바닥 거치부와 손가락 거치부로 구성하여 손바닥 거치부는 회동 프레임에 고정하고 손가락 거치부는 회동 플레이트의 고정부재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A base plate protruding frontward is provided on the pivotal frame, a lower end of the pivotal plate is coupled to a support bracket provided at the tip of the base plate with a rotary pin, and a fixing member for mounting the first cradle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ivotal plate and; A first connection link is connected to a support link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by a rotation pin, a second connection link is connected to a lower end of the rotation plate by a rotation pi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are connected by a rotation pin ; Wherein the palm rest part is fixed to the pivot frame and the finger pivot part is fixed to the pivoting plate by a fixing part between the pivot frame and the fixing member of the pivoting plate, And is fixed to a member.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는 손목 관절과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 중에서 선택한 관절에 대한 인위적인 신전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환자의 반력을 검출하여 환자에게 기준치 이상의 힘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며 수부 관절에 대한 신전 및 수축을 가능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손목 관절과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에 대한 신전의 구분시점을 명확하게 할 수 있어 재활치료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 artificial limb rehabilitation exercise apparatus device is capable of artificially expanding and contracting joints selected from the wrist joint, the middle knuckle joint, and the finger joi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the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joint can be made possible. In addition, the time point of separation of the wrist joint and the joint of the wrist joint and the finger joint can be clarified,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

또한, 본 발명은 큰 힘을 들이지 않고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환자가 직접 사용하거나 근력이 약한 보호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의 편익성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요구하는 당김의 정도대로 정확하게 관절을 신전시켜 줄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소망하는 수부 관절(손목 관절 또는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에 대한 선택적인 스트레칭(신전 및 수축)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재활훈련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줄 수 있는 등 본 발명은 그 기대되는 효과가 실로 유익한 발명이라 할 것이다.Further,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operated without applying a large force,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nvenience of use by allowing a patient to use the device directly or to use a protector with weak muscle strength easily,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desired joint of the hand (wrist joint or middle knuckle joint and finger joint), there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ehabilitation training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dvantageous effect that the expected effect is indeed beneficial.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및 회동 플레이트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및 회동 플레이트의 승강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회동 플레이트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6 [A],[B],[C],[D],[E],[F]는 본 발명에 따른 베이스 플레이트 및 회동 플레이트의 순차적인 작동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7은 본 발명의 사용상태를 도시한 참고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의 구성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device for a hand rehearsal training prop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the essential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lowered state of the base plate and the rotation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lifting state of a base plate and a rota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a pivot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reference view showing sequential operating states of the base plate and the pivoting pl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B], [C], [D], [E]
7 is a reference diagram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ontrol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내지 도 2에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10)의 일실시예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정반 형태를 이루는 지지대(11)의 상부면에 대응하는 1조의 지지 프레임(13)을 설치하고, 각 지지 프레임(13) 사이에 회동 프레임(14)을 회전축(S)으로 고정·설치하여 회동 프레임(14)이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 프레임(14)의 후방에 환자의 아래 팔뚝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거치대(30)를 설치하고, 지지대(11)의 상부면 일측에 제어장치(C)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장치(M)를 설치하며, 구동장치(M)를 구성하는 구동모터에 의해 구동하는 구동축(미도시됨)과 회전축(S)을 연결하여 구동장치(M)의 구동에 의해 회동 프레임(14)이 회전운동하게 하며, 회동 프레임(14)과 회동 플레이트(18)의 간에 손바닥을 거치하기 위한 손바닥 거치부(21)와 손가락을 거치하기 위한 손가락 거치부(22)로 이루어지는 제1 거치대(20)를 설치하여 구성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는바,(도 3 내지 도 5 기재의 구성 참조) 본 발명의 상세한 실시는 하기와 같이 이루어진다.1 and 2 show an embodiment of a device 10 for a hand rehabilitation train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1,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air of The support frame 13 is provided and the rotation frame 14 is fix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13 by the rotation axis S so that the rotation frame 14 can rotate around the rotation axis S A second mounting table 30 for mounting the lower forearm of the patient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pivot frame 14 and a drive device M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C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table 11 And a rotary shaft S is connected to a drive shaft (not shown) driven by a drive motor constituting the drive unit M so that the rotary frame 14 is rotated And to hold the palm between the pivoting frame 14 and the pivoting plate 18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palm rest 21 and the finger rest 22 for holding the finger are provided on the first palm rest 20, The detailed implementation is as follows.

상기 회동 프레임(14)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5)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5)의 선단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15a)에 회동 플레이트(18)의 하단부를 회전핀(P)으로 결합하며, 회동 플레이트(18)의 상단에 제1 거치대(20)의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18a)를 설치하여 구성한다.A base plate 15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on the pivot frame 14 and a lower end of the pivot plate 18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15a provided at the tip of the base plate 15 with a rotation pin P And a fixing member 18a for mounting the first cradle 20 is provided at the upper end of the pivot plate 18. [

상기 지지대(11) 상면에 지지 링크(12)를 고정하여 지지 링크(12)의 일측에 제1 연결 링크(16)를 회전핀(P1)으로 연결하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18)의 하단에 제2 연결 링크(17)를 회전핀(P3)으로 연결하며, 상기 제1,2 연결 링크(16,17)의 단부를 회전핀(P2)으로 연결하여 지지 링크(12)와 회동 플레이트(18)의 하단이 제1,2 연결 링크(16,17)로 연결되게 구성한다.A support link 12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 so that a first connection link 16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support link 12 by a rotation pin P1, And the end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16 and 17 is connected to the rotation pin P2 so that the support link 12 and the rotation plate 18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pin P3. And the lower ends of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16 and 17 are connected to each other.

상기 회동 프레임(14)과 회동 플레이트(18)의 고정부재(18a) 간에 제1 거치대(20)를 설치하되, 제1 거치대(20)는 경첩(23)에 의해 분할되는 손바닥 거치부(21)와 손가락 거치부(22)로 구성하여 손바닥 거치부(21)는 회동 프레임(14)에 고정하고 손가락 거치부(22)는 회동 플레이트(18)의 고정부재(18a)에 고정하여 구성한다.The first mounting table 20 is provided between the pivot frame 14 and the fixing member 18a of the pivot plate 18. The first mounting table 20 is fixed to the palm mounting portion 21 divided by the hinge 23, And the finger mounting portion 22 and the finger mounting portion 22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 18a of the pivoting plate 18. [

본 발명을 구성하는 제1 거치대(20) 및 제2 거치대(30)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 스트랩(미도시됨)을 설치하여 환자의 팔뚝과 수부를 고정하여 재활치료 과정에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성함이 바람직하다.The first and second cradles 20 and 30 constituting the present invention are provided with one or more fastening straps (not shown) to fix the forearm and the hand of the patient so as to prevent the flow during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process .

본 발명에 의하면, 지지대(11)에 지지 링크(12)를 고정함에 있어 지지대(11)에 슬라이드 홈(11b)을 마련하고, 상기 슬라이드 홈(11b)에 슬라이드 블럭(11c)을 결합하여 슬라이드 블럭(11c)이 슬라이드 홈(11b)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슬라이드 블럭(11c)의 위치이동에 따라 지지 링크(1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11c)은 고정 클램프(11d)에 의해 슬라이드 홈(11b)의 임의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upport link 12 is fixed to the support base 11, the support base 11 is provided with the slide groove 11b, and the slide block 11c is engaged with the slide groove 11b, The slide block 11c can be slid along the slide groove 11b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link 12 can be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movement of the slide block 11c, And can be fixed to any position of the slide groove 11b by the clamp 11d.

상기와 같이 지지 링크(12)를 구성할 경우 지지 링크(12)와 제1,2 연결 링크(16,17)로 연결되는 회동 플레이트(18)의 행정(회동)거리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회동 플레이트(18)의 행정에 따른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에 대한 신전의 세기를 임으로 선택할 수 있게 되고 이로써, 환자의 신체 조건이나 신전의 정도, 재활방향 등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재활이 가능하다.When the support link 12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stroke (or rotation) distance of the rotation plate 18 connected to the support link 12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16 and 17 can be arbitrarily adjusted, It is possible to selectively select the strength of the extension of the middle and lower articulation joints and the finger joint according to the stroke of the rotation plate 18, thereby enabling various forms of rehabilitation according to the physical condition of the patient, degree of extension,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구동장치(M)는 하우징 내부에 구동모터(미도시됨)와 부하 및 회전수 등과 같은 정보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엔코더(미도시됨)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구동모터의 출력은 다단 기어(미도시됨)를 통해 구동축으로 출력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토크를 증대시키고 정확한 구동력의 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The driving device 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driving motor (not shown), an encoder (not shown) for detecting an information signal such as a load and a rotational speed, The output is configured to be output to the drive shaft through a multi-stage gear (not shown), thereby increasing the torque and transmitting the accurate drive force.

이상의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환자의 팔뚝을 제2 거치대(30)에 거치하여 고정 스트랩으로 고정하고 수부를 제1 거치대(20)에 거치하여 고정 스트랩으로 고정하여 사용하게 되는데,(도 7 참조) 환자의 손바닥 부위와 손가락 부위가 제1 거치대(20)의 손바닥 거치부(21)와 손가락 거치부(22)에 각각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어장치(C)의 제어신호를 받을 구동장치(M)가 구동하면 회동 프레임(14)에 설치된 베이스 플레이트(15)와 회동 플레이트(18) 간에 설치된 제1 거치대(20)가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승강하여 환자의 손목 관절에 대한 1차 및 2,3차 신전이 이루어지고,(도 4 및 도 6 [C] ~ [E] 참조) 베이스 플레이트(15) 및 회동 플레이트(18)가 회전승강하는 과정에서 회동 플레이트(18)의 단부와 지지 링크(12) 간에 회전핀(P,P1,P2,P3)으로 연결된 제1,2 연결 링크(16,17) 또한 회전승강하는 회동 플레이트(18)를 따라서 행정이 이루어지는데, 회동 플레이트(18)의 회전승강에 따라 행정하던 제1,2 연결 링크(16,17)가 완전하게 펼쳐져 직선 상태가 되면 제2 연결 링크(17)가 회동 플레이트(18)의 하단을 잡아주어 베이스 플레이트(15)에 의해 해 회전하는 회동 플레이트(18)는 회전핀(P)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회동 플레이트(18)에 고정된 손가락 거치부(22)가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을 신전시켜 주게 된다.(도 5 및 도 6 [F] 참조)In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the forearm of a patient is placed on the second cradle 30 and fixed with the fixing strap, and the cradle is fixed on the first cradle 20 and fixed with the fixing strap (see FIG. 7) The driving device M that receives the control signal of the control device C in a state in which the palm area and the finger area of the patient are positioned on the palm rest 21 and the finger pad 22 of the first cradle 20, The first cradle 20 provided between the base plate 15 and the pivot plate 18 provided on the pivotal frame 14 rotates and lifts about the pivotal axis S to rotate the first and second (See FIGS. 4 and 6 [C] to [E]), the base plate 15 and the rotation plate 18 are rotated and elevate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16 and 17 connected to each other by the rotation pins P, P1, P2 and P3, When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16 and 17, which have been operated in accordance with the rising and falling of the rotation plate 18, are completely opened and straightened, the second connection link 16, The rotary plate 18 that holds the lower end of the rotary plate 18 and rotates by the base plate 15 rotates about the rotary pin P, And the portion 22 expands the joint of the heavy and light knee joints and the joint of the finger joints (see Figs. 5 and 6 [F]).

본 발명은 제어장치(C)를 통해 신전 및 수축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재활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 신전의 형태는 ① 1차 신전 및 수축을 반복하는 손목 관절의 재활, ② 1,2차의 순차적인 신전 및 수측을 반복하는 손목 관절의 재활, ③ 1,2,3차의 순차적인 신전 및 수측을 반복하는 손목 관절의 재활, ④ 1,2,3,4차의 순차적인 신전 및 수측을 반복하는 손목 관절과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의 재활 ⑤ 3차 신전이 이루어진 상태에서 4차 신전 및 수축을 반복하는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의 재활 등이 있으며, 손목 관절과 중수지절관절 및 손가락 관절의 신전 시점을 명확하게 구분할 수 있게끔 구성한 본 발명을 이용할 경우 좀더 다양한 형태의 신전 및 수축을 반복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various types of rehabilitation can be performed according to extension and contraction through the control device (C).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ms of the extension include ① rehabilitation of the wrist joint which repeats primary extension and contraction, ② 1 , Rehabilitation of the wrist joint that repeats sequential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second order, ③ rehabilitation of the wrist joint that repeats sequential extension and contraction of the first, second, and third, and ④ sequential Rehabilitation of the wrist joint and middle finger joints and finger joints, which repeated the extension and the wedge. (5) Rehabilitation of the middle and middle joints and the finger joints, which repeated the fourth extension and contraction with the third extension, When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to clearly distinguish the time of extension of the joints and the joints of the fingers, more various forms of extension and contraction can be repeated.

도 8에 본 발명에 따른 제어장치(C)의 구성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장치(C)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와 같은 외부 제어수단(G)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제어수단(C2)을 구비하는 제어 프로세서(C1)와, 제어 프로세서(C1)의 입력 정보에 의해 일정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힘기반 제어부(C3)와, 힘기반 제어부(C3)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장치(M)를 구성하는 모터 및 엔코더의 제어를 위한 구동제어부(C4)와, 구동장치(M)에 가해지는 반력값을 검출하여 제어 프로세서(C1)에 전송해주도록 한 검출부(C5)로 구성한다.8 is a block diagram of a control device C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figure, the control device C is a communication control device for communicating with external control means G such as a smart phone, tablet, (C2), a force-based controller (C3) adapted to output a constant output signal according to the input information of the control processor (C1), and an output signal generator A drive control section C4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the encoder constituting the drive device M and a detection section C5 for detecting the reaction force value applied to the drive device M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reaction force value to the control processor C1 .

상기와 같이 제어장치(C)를 구성하면, 구동장치(M)에 의한 제1 거치대(20)의 회전승강시 기구부에 전달되는 출력과 환자의 반력을 실시간으로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를 제어 프로세서(C1)에 전송하여 제어 프로세서(C1)가 구동장치(M)의 출력세기를 제어하게 되며, 힘기반 제어에 의해 작동하면 기준치 이상의 힘이 환자에게 전달되지 않으므로 재활에 따른 예기치 못한 부상이나 안전사고 등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When the control device C i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the control device C detects in real time the output transmitted to the rotating / lifting mechanism portion of the first cradle 20 by the driving device M and the reaction force of the patient, C1, the control processor C1 controls the output intensity of the driving device M, and when operated by the force-based control, the force exceeding the reference value is not transmitted to the patient, so that unexpected injuries or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10: 수부 재활 기구장치 11: 지지대
12: 지지 링크 13: 지지 프레임
14: 회동 프레임 15: 베이스 플레이트
16: 제1 연결 링크 17: 제2 연결 링크
18: 회동 플레이트 20: 제2 거치대
21: 손바닥 거치부 22: 손가락 거치부
C : 제어장치 M : 구동장치
10: water rehabilitation device 11: support
12: support link 13: support frame
14: rotation frame 15: base plate
16: first connection link 17: second connection link
18: rotating plate 20: second holder
21: palm rest 22: finger rest
C: Control device M: Drive device

Claims (3)

지지대(11) 상에 대응하는 1조의 지지 프레임(13)을 설치하고, 지지 프레임(13) 사이에 회동 프레임(14)을 회전축(S)으로 고정·설치하여 회동 프레임(14)이 회전축(S)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회동 프레임(14)의 후방에 아래 팔뚝을 거치하기 위한 제2 거치대(30)를 설치하고, 지지대(11) 일측에 제어장치(C)에 의해 제어되는 구동장치(M)를 설치하여 구동장치(M)에 의해 회전축(S)이 회전되게끔 수부 재할훈련용 기구장치(10)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회동 프레임(14)에 전방으로 돌출하는 베이스 플레이트(15)을 설치하고, 베이스 플레이트(15)의 선단에 마련되는 지지브라켓(15a)에 회동 플레이트(18)의 하단부를 회전핀(P)으로 결합하며, 회동 플레이트(18)의 상단에 제1 거치대(20)의 설치를 위한 고정부재(18a)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1) 상면에 고정되는 지지 링크(12)에 제1 연결 링크(16)를 회전핀(P1)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동 플레이트(18)의 하단에 제2 연결 링크(17)를 회전핀(P3)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1,2 연결 링크(16,17)를 회전핀(P2)으로 연결하며;
상기 회동 프레임(14)과 회동 플레이트(18)의 고정부재(18a) 간에 제1 거치대(20)를 설치하되, 제1 거치대(20)는 경첩(23)에 의해 분할되는 손바닥 거치부(21)와 손가락 거치부(22)로 구성하여 손바닥 거치부(21)는 회동 프레임(14)에 고정하고 손가락 거치부(22)는 회동 플레이트(18)의 고정부재(18a)에 고정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
A pair of support frames 13 are provided on the support frame 11 and the rotation frame 14 is fixed and installed between the support frames 13 by the rotation axis S so that the rotation frame 14 rotates about the rotation axis S And a second mounting table 30 for mounting the lower forearm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pivot frame 14 and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device C on one side of the support table 11 In the case where the driving mechanism M is provided and the rotating shaft S is rotated by the driving device M,
A base plate 15 protruding forward is provided on the pivot frame 14 and a lower end of the pivot plate 18 is fixed to the support bracket 15a provided at the tip of the base plate 15 with a rotation pin P And a fixing member (18a) for mounting the first cradle (20) is installed on the upper end of the pivot plate (18);
A first connection link 16 is connected to a support link 12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11 by a rotation pin P1 and a second connection link 17 is rotated at a lower end of the rotation plate 18, And the first and second connection links 16 and 17 are connected by a rotation pin P2;
The first mounting table 20 is provided between the pivot frame 14 and the fixing member 18a of the pivot plate 18. The first mounting table 20 is fixed to the palm mounting portion 21 divided by the hinge 23, And the finger mounting portion 22 and the finger mounting portion 22 are fixed to the fixing member 18a of the pivoting plate 18 Device for rehabilitation of handicapped pers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링크(12)는 지지대(11)의 슬라이드 홈(11b)에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블럭(11c)에 고정시켜 슬라이드 블럭(11c)의 위치이동에 따라 지지 링크(12)의 위치가 가변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드 블럭(11c)은 고정 클램프(11d)에 의해 슬라이드 홈(11b)의 임의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support link 12 is fixed to the slide block 11c which is slidably coupled to the slide groove 11b of the support 11 so that the position of the support link 12 , And the slide block (11c) can be fixed to an arbitrary position of the slide groove (11b) by a fixing clamp (11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장치(C)는 스마트폰 또는 태블릿, 단말기와 같은 외부 제어수단(G)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제어수단(C2)을 구비하는 제어 프로세서(C1)와, 제어 프로세서(C1)의 입력 정보에 의해 일정한 출력신호를 출력하도록 한 힘기반 제어부(C3)와, 힘기반 제어부(C3)의 출력신호에 의해 구동장치(M)를 구성하는 모터 및 엔코더의 제어를 위한 구동제어부(C4)와, 구동장치(M)에 가해지는 반력값을 검출하여 제어 프로세서(C1)에 전송해주도록 한 검출부(C5)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수부 재활훈련용 기구장치.
The method of claim 1, further comprising:
The control device C includes a control processor C1 having a communication control means C2 for communicating with an external control means G such as a smart phone or a tablet or a terminal, A drive control unit C4 for controlling the motor and encoder constituting the drive system M by the output signal of the force based control unit C3, And a detection unit (C5) for detecting a reaction force value applied to the drive device (M) and transmitting the detected reaction force value to the control processor (C1).
KR1020140071683A 2014-06-12 2014-06-12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Active KR10161536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683A KR101615365B1 (en) 2014-06-12 2014-06-12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1683A KR101615365B1 (en) 2014-06-12 2014-06-12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52A KR20150142952A (en) 2015-12-23
KR101615365B1 true KR101615365B1 (en) 2016-04-29

Family

ID=550822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1683A Active KR101615365B1 (en) 2014-06-12 2014-06-12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536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09A (en) 2016-10-27 2018-05-0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hand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neurological disease and nuscular skeletal diseas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1936B1 (en) * 2015-10-12 2017-02-02 주식회사 영진하이텍 wrist rehabilitation devic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8560A (en) 1993-09-03 1995-10-17 Jace Systems,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wrist
US5683351A (en) 1994-09-27 1997-11-04 Jace Systems,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hand
JP4871012B2 (en) 2006-04-12 2012-02-08 株式会社アクトメント Joint driv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71113A (en) * 1994-09-06 1996-03-19 Mikuni Corp Control method of flexion and extension training device for join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8560A (en) 1993-09-03 1995-10-17 Jace Systems,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wrist
US5683351A (en) 1994-09-27 1997-11-04 Jace Systems, Inc. Continuous passive motion device for a hand
JP4871012B2 (en) 2006-04-12 2012-02-08 株式会社アクトメント Joint drive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6409A (en) 2016-10-27 2018-05-09 한국로봇융합연구원 hand rehabilitation apparatus for neurological disease and nuscular skeletal disea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952A (en)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20165158A1 (en) Wearable and convertible passive and active movement training robot: apparatus and method
KR101099078B1 (en) Electric Elbow Rehabilitation Aids
EP2193774A1 (en) Walking auxiliary equipment
US20030109814A1 (en) Apparatus for promoting nerve regeneration in paralyzed patients
CA2608259C (en) Hip assist walker
US20180085276A1 (en) Device for driving the lower limbs of a person in dorsal or partial decubitus combined with driving walking in vertical position
CN106726358A (en) A kind of vertical lower limbs rehabilitation training robot
EP1389952A2 (en) Portable intelligent stretching device
KR20150021736A (en) reform apparatus for cerebralapoplexy rehabilitative therapeutic
KR101287134B1 (en) Chiropractic and paraspinal muscle strengthening exercise apparatus
CN108553271A (en) A kind of MR damper sitting and lying formula lower limb rehabilitation robot
US5520615A (en) Shoulder stretching and rotation machine
CN115245446A (en) A knee joint exoskeleton with stiffness adjustment and energy recovery functions and its training method
KR101615365B1 (en) apparatus for hand joint rehabilitation
CN208049282U (en) A kind of knee joint stretches buckling training device
CN208710413U (en) A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machine
CN205391315U (en) Couple formula knee joint treatment device that level position is adjustable
CN209122782U (en) Intelligent lower limb rehabilitation device with pedal device
RU177032U1 (en) SIMULATOR FOR FINGERS OF THE HAND
KR101264560B1 (en) Motion apparatus orthosis for upper extremity
CN206183881U (en) Low limbs multi -section position flesh power training ware
CN103182159A (en) Lower limb rehabilitation training device based on electro-oculogram signal control
CN107638275A (en) A kind of scapulohumeral periarthritis servicing unit
CN109621288B (en) An orthopedic rehabilitation device that can adjust and visually gradually increase the weight bearing of the lower limbs
CN110974600A (en) A wearable stroke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flexible tou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1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20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12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19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