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4000B1 - 코딩 조명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드레스 할당 - Google Patents

코딩 조명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드레스 할당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4000B1
KR101614000B1 KR1020117026496A KR20117026496A KR101614000B1 KR 101614000 B1 KR101614000 B1 KR 101614000B1 KR 1020117026496 A KR1020117026496 A KR 1020117026496A KR 20117026496 A KR20117026496 A KR 20117026496A KR 101614000 B1 KR101614000 B1 KR 101614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source
light
identifier
coding
initi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170264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8760A (ko
Inventor
팀 씨. 더블유. 쉥크
홍밍 양
로렌조 페리
위즈난드 제이. 리에트만
요한 씨. 탈스트라
요한 피. 엠. 지. 린나르츠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필립스 엔.브이.
Publication of KR2012001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00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 H05B47/19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the transmission using visible or infrared ligh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0Transmission systems employing electromagnetic waves other than radio-waves, e.g.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or employing corpuscular radiation, e.g. quantum communication
    • H04B10/11Arrangements specific to free-space transmission, i.e. transmission through air or vacuum
    • H04B10/114Indoor or close-range type systems
    • H04B10/116Visible light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8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data-bus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8Grouping of control procedures or address assignation to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8Grouping of control procedures or address assignation to light sources
    • H05B47/199Commissioning of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7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 H05B47/19Controlling the light source by remote control via wireless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ircuit Arrangement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광원의 진보된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광원을 이용하여 정보를 송신할 수 있는 코딩 광이 제안된다. 이는 광 출력에 데이터와 식별자를 보이기 않게 삽입하는 것에 기초한다. 코딩 조명 시스템 내에서 어드레스를 효율적으로 할당하고 고유 식별을 허용하도록 구성된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제안된다. 특히, 어드레스의 할당은 2 페이즈에서 발생하고, 초기 페이즈에서는 넓은 영역 고유 어드레스가 이용되지만, 제2 페이즈에서는, 국부 영역 고유 어드레스만이 이용된다. 또한, 제2 페이즈에서 광원 세트를 통해 어드레스 세트를 효율적으로 분배하여 조명 기여 추정 및 위치 지정의 성능을 최대화하도록 구성되는 방법, 장치 및 시스템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코딩 조명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드레스 할당{EFFICIENT ADDRESS ASSIGNMENT IN CODED LIGHTING SYSTEMS}
본 발명은 조명 시스템의 동작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코딩 광을 각각 방출할 수 있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광원의 진보적인 제어가 가능한 코딩 광(coded light: CL)이 제안되어 왔다. 코딩 광은 광원의 광 출력에 데이터, 특히, 보이지 않는 식별자를 삽입(embedding)하는 것에 기초한다. 따라서 코딩 광은 가시광원의 광 출력 내의 데이터 및 식별자의 삽입으로서 정의될 수 있고, 삽입된 데이터 및/또는 식별자는 바람직하게 광원의 1차 조명 기능(즉, 조명(illumination))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따라서, 데이터 및/또는 식별자에 관련된 방출 광의 임의의 변조는 사람에게 보이지 않아야 한다. 이것은 네트워킹 조명 시스템의 상호 씬 설정(scene setting), 커미셔닝(commissioning) 및 리커미셔닝(re-commissioning)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허용한다. 코딩 광은 통신 애플리케이션에 이용될 수 있고, 코딩 조명 시스템 내의 하나 이상의 광원이 코딩 광을 방출하여 수신기로 정보를 알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코딩 조명 시스템의 광원은 코딩 광을 이용하는 양방향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따라서, 코딩 광은 가시광 통신이라는 용어와 관련될 수 있다.
CL 시스템에서, 주어진 환경에서 또는 사용자 또는 오퍼레이터의 부근에서 광원을 식별하고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반적인 오피스 환경에서, 이러한 코딩 조명 시스템은 약 5 내지 10개의 광원을 포함한다. 발광 다이오드(LED)에 기초한 미래의 주변 생성 시스템(그 중에서도, 소매용)에서는, 광원의 수가 적어도 하나의 자릿수 이상, 즉, 20 내지 200개의 광원일 수 있다.
각 광원의 식별 및 제어를 위하여, 광원은 로컬뿐만 아니라 제어 네트워크 내의 다른 모든 광원으로부터 구별되어야 한다. 오피스 환경에서, 일 예로서, 이 제어 네트워크는 전체 빌딩을 커버할 수 있고 1000개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환경을 위해 할당된 CL 어드레스 공간은 적어도 1000개의 어드레스를 포함해야 하며, 이는 10개의 이진수(비트)에 대응한다.
임의의 시스템 아키텍처에서, 더 길 수 있는 특정 어드레스 포맷을 포함하는 코딩 광을 전송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커미셔닝 페이즈에서, 광원은, 광원의 할당된 제어 어드레스, 특히 DALI 어드레스가 뒤따르는, 특히 디지털 어드레스가능 광 인터페이스(DALI)에 기초한 국부 조명 제어기의 인터넷 프로토콜(IP) 또는 미디어 액세스 제어(MAC) 어드레스를 전송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70 비트 길이의 어드레스를 초래할 수 있다. 대안으로, 공장 삽입 고유 식별자가 광원/드라이버에 삽입될 수 있다.
요구되는 어드레스 공간의 크기는 코드 분할 다중 액세스(CDMA) 및 주파수 분할 다중 액세스(FDMA) 등의 바람직한 CL 변조 기술이 효율적으로 적용될 수 없게 할 수 있다. 이것은 CDMA 및 FDMA에 대하여 각각 실제 구현 문제 때문에 이들 기술이 더 작은 수의 고유 코드 또는 주파수로 제한되기 때문이다.
WO2007/095740는 고유 식별자를 나타내는 비컨(beacon) 신호를 명령에 따라, 끊임없이 또는 소정의 간격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는 광원을 개시한다. 비컨 신호는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에 통합되고, 비컨 신호의 통합은 결과적인 광의 가시적 플리커(flicker)가 감지될 수 없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원격 검출부는 광을 수신하여 그로부터 비컨 신호를 추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방식으로, 원격 검출 장치는 광원의 고유 식별자를 무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조명 시스템과의 진보된 사용자 상호작용을 위하여, 국부 광원의 강도를 식별하고 추정하기를 원한다. 이것은 CL에 의해 가능하다. 그러나, 전세계적 또는 제어 네트워크 전범위에 고유하며 결과적으로 긴 어드레스 또는 코드가 적용되면, 효율적인 CL 변조 방법은 최상의 범위로 적용될 수 없다. 이것은 시스템의 긴 응답 시간을 초래하고, 어떤 애플리케이션에 대해서는 허용가능하지 않다. 또한, 광원 간의 어드레스 또는 코드의 차선의 할당은 조명 기여 추정에서 감소된 성능을 초래할 수 있다.
또한, 전세계적으로 광원을 식별하기 위하여 필요한 어드레스의 수는 지역적으로 가까운 곳 또는 룸 내의 광원을 제어하는 데 필요한 것보다 2 자릿수만큼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것으로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개선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상기 목적은 첨부된 독립 청구항에 따른 원격 제어기, 조명 시스템 및 ID(identity)를 할당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상술한 목적은, 코딩 조명 시스템 내의 광원으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는 수신기 - 상기 코딩 광은 상기 광원의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광원으로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기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기에 의해 달성된다.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초기 광원 식별자와 다르다.
초기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하고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할 수 있는 원격 제어기를 제공함으로써, 개선된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이 달성될 수 있다. 개시된 원격 제어기는 조명 시스템 내의 식별자의 효율적인 할당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식별자의 효율적인 할당은 조명 시스템 내의 더 빠른 응답 시간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 빠른 응답은 사용자가 조명 시스템과 더 자연스럽게 상호작용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기는 조명 시스템에서 더 작은 어드레스 세트가 적용되도록 한다. 어드레스는 상이한 조명 기구에 의해 재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기구 및 원격 제어기에서 낮은 복잡성을 요구하는 좀 더 효율적인 시스템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어드레스의 효율적인 할당은 개별 광원의 조명 기여의 좀 더 정확한 추정 및 원격 제어기에 의한 조명 기구 ID의 신뢰성있는 검출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원격 제어기를 사용함으로써, 초기 식별자가 이용될 때 적용되는 다중 액세스 기술 또는 동기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거나 심지어 제거되어, 시스템의 복잡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는, 예를 들어, 시리얼 번호 또는 다른 공장 제어 정보와 관련된 상기 광원의 세계적인 고유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의 근원을 추적할 수 있다. 따라서, 광원은 고유하게 식별가능하다.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상기 코딩 조명 시스템 내의 광원의 고유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광원의 국부 영역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상기 초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코딩 광은 초기 액세스 방법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액세스 방법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광원에 상기 변경된 변조 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기 액세스 방법은 상기 변경된 액세스 방법과 다를 수 있다.
상기 초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코딩 광은 초기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송신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변조 방법을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송신기는 상기 광원에 상기 변경된 변조 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초기 변조 방법은 상기 변경된 변조 방법과 다를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액세스 방법 및/또는 변조 방법은 식별자에 의존할 수 있다. 따라서, 액세스 방법 및/또는 변조 방법은 특히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방출된 광의 조건에 적응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의 길이와 다른 길이를 갖는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식별자는 초기 식별자보다 더 작은 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짧은 변경된 식별자는 동일물의 더 정확한 검출 또는 수신을 가능하게 한다. 초기 및/또는 변경된 식별자는 또한 각각의 에러 정정 코드와 관련될 수 있고, 에러 정정 코드는 채널 조건에 적응될 수 있다.
상기 원격 제어기는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는 경우와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는 경우에 다른 시야를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좁은 시야를 이용함으로써, 광원의 식별자가 국부적으로 고유하지 않더라도, 원격 제어기는 광원을 검출하고 고유하게 식별할 수 있다. 새로운 식별자가 할당됨에 따라, 2 이상의 광원이 동일한 식별자와 관련되는지를 조사하기 위하여 넓은 시야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원격 제어기는 시야에 따라 상이한 각도 분해능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제1 페이즈에서, 신호가 하나의 광원으로부터만 수신되기 때문에, 다중 액세스 솔루션이 적용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다중 액세스 솔루션과 관련된 임의의 오버헤드 데이터를 피할 수 있다. 조명 시스템의 모든 광원은 제1 페이즈시 원격 제어기에 의해 동시에 식별가능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CDMA 코드 또는 FDMA 코드의 할당 문제를 피할 수 있다. 다중 액세스는 다수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으므로, 다중 액세스는 제2 페이즈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다중 액세스를 이용함으로써, 다수의 광원이 동시에 식별될 수 있다. 제1 페이즈 후에 다중 액세스를 위한 임의의 코드, 주파수 또는 시간 슬롯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수신기는 개별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각각 방출하는 적어도 2개의 광원으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으로부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에 개별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개별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 중에서 개별 초기 광원 식별자 중의 적어도 2개를 재분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새로운 식별자 세트의 생성을 피할 수 있다. 이것은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는 시간을 더 짧게 할 수 있다. 재분배는 조명 시스템 내의 개별 광원의 위치에 의존할 수 있다. 재분배는 이웃 광원의 식별자를 국부적으로 분리하여 이웃광원의 식별자가 최대로 분리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수신된 코딩 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식별자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방출광의 다수의 특성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 및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현재 할당된 식별자에 기초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에러 정정 및/또는 능력 검출 및/또는 조명 기여 추정의 정확도에 있어서 좀 더 신뢰성있는 제2 식별자가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할당될 수 있다.
원격 제어기는 조명 시스템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상술한 원격 제어기 및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에 의해 달성되고, 상기 광원은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는 방출기, 및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광원에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신기를 포함한다.
상기 방출기는 초기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수신기는 명령을 수신하여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방출기는 상기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은 조명 기구의 일부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코딩 광 조명 시스템 내의 광원에 ID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코딩 조명 시스템 내의 상기 광원으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코딩 광은 상기 광원의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상기 광원으로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초기 광원 식별자는 변경된 광원 식별자와 다르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할당 방법은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양태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원격 제어기 및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 코딩 광 조명 시스템 내의 광원에 ID를 할당하는 상기 방법에 따라 상기 광원에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조명 시스템은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법은 복수의 광원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에 변경된 식별자가 제공됨으로써, 광원은 변경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식별자가 정확하게 업데이트되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초기 광원 식별자가 셋업 모드에서 이용될 수 있고, 변경된 광원 식별자가 사용 모드에서 이용될 수 있다. 초기 식별자는 셋업 모드에서 이용가능한 정보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정보 또는 데이터는 식별자의 추가의 재할당이 요구되지 않는 것으로 결정된 경우에 사용 모드에서 배제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 모드에서 이용되는 식별자의 복잡성이 감소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변경된 식별자는 초기 식별자와 마찬가지로 다수의 비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는 효율적인 절차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목적은, 초기 페이즈 또는 모드시 긴 어드레스이고 시스템 또는 전세계에서 고유할 수 있는 초기 어드레스 세트를 이용하는 시스템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페이즈 또는 모드 시에, 시스템은 국부적인 고유성만을 요구하고 넓은 시야의 광 센서의 이용을 가능하게 하는 좀 더 효율적인 식별, 액세스 및/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들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후술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인용된 특징의 모든 가능한 조합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제2 양태, 제3 양태 및 제4 양태는 제1 양태와 동일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들 양태들 및 다른 양태들은 본 발명의 현재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명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 내의 광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시스템 내의 원격 제어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플로우차트들이다.
본 발명은 임의의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 기재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히려, 이들 실시예는 본 개시물이 철저하고 완벽하며 본 발명의 범위를 당업자에게 충분히 전달하기 위하여 예로서 제공된다.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조명 시스템의 동작은 도 1의 조명 시스템(10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조명 시스템(100)은 참조 번호 102로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을 포함한다.
"광원"이라는 용어는 룸 내의 물체를 조명할 목적으로 룸 내에 광을 제공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러한 광 제공 장치의 예는 조명 장치 및 조명 기구를 포함한다. 룸은 이 컨텍스트 내에서 일반적으로 아파트 룸, 오피스 룸, 짐 홀, 공공 장소의 룸 또는 거리의 일부 등의 외부 환경의 일부이다.
각 광원(102)은 화살표(104)에 의해 개략적으로 표시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다. 각각의 광원(102)은 다수의 조명 설정, 특히, 컬러, 컬러 온도 및 방출된 광의 세기와 관련될 수 있다.
시스템(100)은 광원(102)에 의해 방출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검출하고 수신하는 원격 제어기라는 장치(106)를 더 포함한다. 장치(106)는 시스템(100) 내의 광원(들)에 의해 방출된 광을 검출하는 광 센서(108)를 포함한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광원(102) 등의 광원(200)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광원(200)은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코딩 광은 광원(200)의 광원 식별자를 포함한다. 광원은 코딩 광을 방출하는 방출기(202)를 포함한다. 광원(200)은, 정보를 수신하여 광원(200)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수신기(212)를 더 포함한다. 수신기(212)는 코딩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일 수 있다. 수신기(212)는 적외광을 수신하는 적외선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수신기(212)는 무선으로 전송된 정보를 수신하는 무선 수신기일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으로, 수신기(212)는 와이어로 전송되는 정보를 수신하는 접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와이어는 파워라인 케이블일 수 있다. 와이어는 컴퓨터 케이블일 수 있다. 광원(200)은 당업자에게 알려진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프로세싱 유닛(208), 메모리(210), 인코더(206) 및 변조기(204) 등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8)은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프로세싱 유닛(208)은 수신기(212)에 동작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208)은 광원(200)에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는 것과 관련된 정보를 수신기(212)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유닛(208)은 인코더(206)에 코딩 광의 인코딩을 변경하도록 요청하여 코딩 광이 변경된 식별자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인코더(206)는 펄스 발생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인코더(206)에 의해 이용되는 코드 파라미터 등의 식별자와 관련된 정보는 메모리(210)에 저장될 수 있다. 인코더(206)에 의해 생성된 업데이트된 코드 시퀀스는 광을 변조시키도록 구성된 변조기(204)에 의해 이용될 수 있다. 변조기(204)는 세기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코딩되고 변조된 광은 방출기(202)에 의해 방출된다. 방출기는 발광 다이오드 등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광원(200)은 조명 기구(미도시) 내에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조명 기구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200)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광원에는 개별 광원 식별자가 할당된다.
도 3은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의 원격 제어기(106) 등의 원격 제어기(300)의 내부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원격 제어기(300)는 광원(102, 200) 등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으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는 수신기(302)를 포함한다. 원격 제어기(300)는, 또한 수신된 코딩 광 내에 포함되고 광원과 관련된 초기 광원 식별자를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광원 식별자의 식별은 프로세싱 유닛(304)에서 수행된다. 프로세싱 유닛(304)은 중앙 처리 장치(CPU)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싱 유닛(304)은 또한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수신된 코딩 광과 관련된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싱 유닛(304)은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 및/또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광원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을 추정하거나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원격 제어기(300)는 광원으로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송신하는 송신기(312)를 더 포함한다. 원격 제어기(300)는 당업자에 알려진 원리에 따라 동작하는 메모리(306), 인코더(308) 및 변조기(310) 등의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306)는 조명 시스템 내의 광원으로 송신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 세트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6)는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 세트를 생성하는 것과 관련된 저장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6)는 수신된 코딩 광으로부터 광원의 식별과 관련된 저장된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기(312)는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광 송신기일 수 있다. 대안으로, 송신기(312)는 무선으로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송신기일 수 있다. 송신기(312)는 양방향 통신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송신기(312)는 무선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대안으로, 송신기는 유선 통신을 위한 접속기를 포함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300)는 (특히, 초기 광원 식별자로부터 변경된 광원 식별자로의 스위치가 성공적이고 광원 또는 조명 기구가 시스템의 일부로 커미셔닝되었다는 것을 커미셔너(commissioner)에게 신호를 보내기 위하여) 광원이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했다는 것을 원격 제어기가 검출하면 청각, 촉각 또는 시각 피드백 메시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원격 제어기 및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100) 등의 시스템의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단계 602에서, 광원에는 (개별) 초기 식별자가 할당된다. 초기 식별자는 광원 제조시 할당될 수 있다. 초기 식별자는 광원의 제조 코드, 제어 번호, 시리얼 번호 등과 관련될 수 있다. 즉, 초기 식별자는 공장 설정일 수 있다. 대안으로, 초기 식별자는 (광원에 의해)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단계 604에서, 각각의 광원은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코딩 조명 시스템은 적어도 2개의 모드 또는 페이즈에서 동작가능하고 (모드 및 페이즈는 본 컨텍스트에서 혼용됨), 제1 페이즈에서는, 제2 페이즈에서와는 다른 광원 식별자가 적용된다. 초기 식별자는 제1 페이즈에서 이용되는 반면, 변경된 식별자는 제2 페이즈에서 이용된다. 변경된 식별자는 초기 식별자보다 더 많은 (시간) 효율 수신과 관련될 수 있다. 초기화 페이즈 또는 셋업 모드일 수 있는 제1 페이즈에서, 광원은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초기 광원 식별자는 광원의 세계적인 고유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즉, 초기 광원 식별자는 광원의 넓은 영역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동작 페이즈 또는 사용 모드일 수 있는 제2 페이즈에서, 광원은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동작하고, 초기 광원 식별자는 변경된 광원 식별자와 다르다.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시스템 내의 광원의 고유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즉, 변경된 식별자는 광원의 국부 영역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할 수 있다. 따라서, 단계 606에서, 원격 제어기에 의해 초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의 수신 후에, 단계 608에서, 원격 제어기에 의해 수신된 광과 관련된 광원에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원격 제어가 동작가능하다. 원격 제어기는 또한 변경된 식별자를 조명 시스템 내의 개별 광원에 전달하도록 동작가능하다. 그 후, 단계 610에서, 광원은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다.
단계 612에서, 원격 제어기는 변경된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할 수 있다.
단계 614에서, 변경된 광원 식별자가 할당되면, 시스템은 사용 모드일 수 있는 제2 페이즈에서 동작할 수 있다.
단계 616 및 618에서, (어드레스, 코드 또는 주파수 등의) 변경된 식별자의 재할당 또는 리셔플링(reshuffling)이 반복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 절차는 적응적 최적 식별자 할당이 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즉, 사용 모드에서 시스템을 제어하는 동작 동안 원격 제어기의 위치가 움직일 때에도 최적 식별자 할당이 가능하다.
초기 광원 식별자가 이용될 때 시간 분할 다중 액세스(TDMA) 또는 랜덤 액세스(RA) 솔루션이 이용될 수 있다. RA는 알로하(Aloha) 프로토콜에 따라 구현될 수 있다. 특히, 확인응답(acknowledgement)이 없는 알로하 프로토콜이 이용될 수 있다. 긴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는 CL 채널의 제한된 대역폭 때문에 큰 반응 시간을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긴 반응 시간은 초기 커미셔닝, 시스템 셋업 또는 시스템 구성에 대해서는 허용될 수 있지만, 사용 모드에서 적용되는 것 등의 씬 설정 또는 다른 더 진보된 애플리케이션에서의 사용자 상호작용에 대해서는 허용되지 않을 수 있다.
광원 및 그 대응 식별자는 위치를 식별할 수 있기 때문에, 코딩 조명 시스템은 애플리케이션을 위치지정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코딩 조명 시스템은 빌딩 내의 위치 정보를 제공하는데 이용되어, 특히 빌딩 내의 사용자의 길을 찾는 수단을 제공한다. 이러한 예로서, 넓은 시야를 갖는 원격 제어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국부적으로 고유한 식별자가 바람직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변경된 광원 식별자의 길이는 초기 광원 식별자의 길이와 다를 수 있다. 특히, 변경된 광원 식별자의 길이는 초기 광원 식별자의 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이것은 더 짧은 획득 및 결과적인 시스템 응답 시간을 가능하게 한다. 제2 모드에서의 동작 모드는, 제1 모드에서의 응답 시간으로는 불가능할 수 있는, 장면 설정 등의 조명 제어의 영역 내의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2 모드는 또한 추가의 순차적인 제어 및 측정 단계를 필요로 할 수 있는 제어 루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측정은 모든 광원의 기여를 식별하고 추정하는 모든 시간을 필요로 할 수 있고, 하나의 측정을 위한 시간은 낮아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광원 식별자가 이용될 때, 특히, RA를 이용하여 송신되는 코드에 의한 식별 또는 어드레싱이 이용될 때, 응답 시간이 길 수 있다. 이 경우, 상이한 광원으로부터의 식별자 간의 충돌을 피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가 수신기를 광원의 서브세트(로부터 개별 광원으로) 향하도록 하는 경우 초기 광원 식별자가 이용될 때 좁은 시야(field of view: FOV)를 갖는 원격 제어기가 적용될 수 있다. 선택된 광원(들)에는, 초기 식별자보다 짧고 (넓은 FOV를 갖는) 상이한 광학계를 이용하여 수신될 수 있는 변경된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원격 제어기가 먼저 조명 시스템 내의 복수의 광원 중의 하나의 광원만을 관찰하고 광원의 나머지는 광학 솔루션에 의해 억제되는 경우에는, 긴 반응 시간은 제한된 FOV를 갖는 광학 센서의 이용에 의해 극복될 수 있다. 이 경우, 광원은 초기 광원 식별자를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고, 지연은 제한될 수 있다. 좁은 FOV는 제1 각도 분해능(angular resolution)과 관련될 수 있지만, 넓은 FOV는 제2 각도 분해능과 관련될 수 있다. 제1 각도 분해능은 제2 각도 분해능보다 높을 수 있다. 즉, 원격 제어기는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는 경우와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는 경우에 상이한 각도 분해능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초기 광원 식별자가 이용되는 제1 페이즈는 조명 시스템의 설치 또는 재구성시 발생할 필요가 있을 수 있는 구성 단계로 간주될 수 있다. 광원이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제2 페이즈에 대하여 개시된 동작은 조명 시스템의 정상 동작 및 제어를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동일한 변조 및/또는 다중 액세스 방법이 양 페이즈 또는 모드에 이용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제1 모드시 방출된 코딩 광은 제2 모드 시에 방출된 코딩 광과 다르게 변조되거나 및/또는 상이한 다중 액세스 기술이 제1 및 제2 모드 시에 각각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RA는 초기 페이즈에서 이용될 수 있고, (세기 추정 및/또는 광원 식별 등의) 그 결과는 제2 다중 액세스 방법과 관련된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하여 제2 페이즈에서 이용될 수 있다. 상이한 확산 코드 워드가 제1 페이즈에서 관찰된 상이한 광원에 할당된 경우, 제2 다중 액세스 방법은 특히 CDMA 기반일 수 있다. 실제 CDMA 시스템은 제한된 수의 코드 워드만을 할당할 수 있다. 환경 내의 식별된 광원에 타임슬롯 및 동작 주파수가 각각 할당된 경우, TDMA 및 FDMA에서도 마찬가지이고, 타임슬롯과 동작 주파수의 총 수도 또한 제한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페이즈에서의 동작을 위하여, 식별자는 예상되는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국부적으로 고유할 필요가 있다 (즉,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는 더 긴 세계/제어 네트워크에 걸쳐 고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서, 국부적으로 고유한 식별자는 원격 제어기에 따라 특정 조명 시스템에 대하여 고유한 식별자일 수 있다. 원격 제어기는 복수의 조명 시스템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제2 페이즈에 대한 할당은 제1 페이즈시 식별된 광원의 초기 식별자 또는 어드레스뿐만 아니라 제1 페이즈시 획득된 추가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추가의 정보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송신된 광에 포함된 데이터 등의 정보와 관련될 수 있다. 또한, 이 정보는 추정된 상대 세기일 수 있다. 또한, 광원의 상대 위치는, 특히, 수신기 내의 다중 다이오드 기반 포토 센서 또는 카메라 솔루션을 이용함으로써 얻어진 것을 이용할 수 있다. FDMA 실시예에서, 일 예로서, 이웃 주파수가 최대 직교성을 산출할 수 없으므로, 흥미로울 수 있다. 이는 주파수 소스의 주파수 부정확성 및 제한된 획득 시간에 의해 발생된다. 2개의 광원에 의해 인가된 2개의 주파수가 더 멀리 분리될수록 (즉, 2개의 광원에 의해 인가된 2개의 주파수 사이의 주파수 차가 더 클수록), 더 잘 식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페이즈에서 식별된 이웃 광원에는 인접하지 않은 주파수가 할당될 수 있다. 이는 "가장 직교인" 코드가 이웃 광원에 할당되는 경우에 CDMA 코드에서도 마찬가지이다. 효과로서, 획득 시간이 감소될 수 있고, 또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추정 정확도 및 정확한 식별자 검출 가능성이 증가할 수 있다.
또한, 광원의 다른 상대 특성이 이용될 수 있다. 상대 특성의 추정은 2 이상의 광원의 절대 또는 개별 특성을 추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대 특성은 절대 특성을 비교함으로써 추론될 수 있다. 할당은 수신된 코딩 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조명 기여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방사 기여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광 컬러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파장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각도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조명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위치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대 조명, 방사, 컬러, 파장, 각도 및/또는 위치 등의 상술한 특성의 상대 특성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술한 특성 및/또는 상대 특성 중의 적어도 2개의 조합일 수 있다. 대안으로, 특성은 제1 페이즈시 코딩 광에 포함된 다른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는 사이즈, 루멘 출력, 방출된 광 컬러 등의 광원의 기술(description)과 관련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이점은 원격 제어기가 이들 특성을 측정하거나 추정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대안으로, 원격 제어기는 적절한 새로운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하여 광원의 측정 또는 추정된 특성을 갖는 광원의 수신 기술(description)을 비교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식별자의 효율적인 리셔플링이 발생하는 경우, 동일한 다중 액세스 방법이 제1 및 제2 페이즈에 이용될 수 있다. 즉,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광원 중에 초기 광원 식별자 중의 적어도 2개를 재분배함으로써 생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페이즈(즉, 셋업 모드에서의 동작)는 생략될 수 있다. 각각의 광원은 이용가능한 랜덤 초기 식별자의 풀(pool)로부터 짧은 랜덤 초기 식별자를 선택하거나 할당될 수 있다. 이것은 (넓은 영역) 고유 초기 식별자에 특정 함수를 적용하여 짧은 (국부 영역) 변경된 식별자를 얻음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제2 페이즈시, 각각의 광원은 방출된 광을 통하여 선택된 식별자를 전달할 수 있다. 원격 제어기는 광원에 의해 방출된 광 내에 포함된 어드레스를 관찰할 수 있다. CL 수신기는 이 식별자와 관련된 모든 광원으로부터 확인응답을 요청하는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따라서, 2 이상의 광원이 응답하면, 다수의 광원이 동일한 랜덤 식별자를 선택한 것이다. 충돌하는 광원에는 새로운 비중첩 식별자가 할당될 수 있다. 대안으로, 충돌하는 광원이 랜덤하게 새로운 식별자를 취하도록 요청될 수 있다. 모든 광원이 상이한 짧은 식별자를 가질 때까지 절차가 반복된다. 대안으로, 대응하는 광원이 자신의 식별자로 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자신을 식별하면서 원격 제어기는 제어 네트워크를 통해 관찰된 식별자를 전달한다. 시스템 마스터는 새로운 비중첩 식별자를 제안할 수 있다. 대안으로, 시스템 마스터는 메모리 내에 모든 광원의 짧은 식별자 선택의 개요(overview)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 마스터는 중첩하는 식별자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기는 조명 시스템의 초기 식별자를 판독하지만, 변경된 식별자는 제2 원격 제어기에 의해 할당될 수 있다. 제1 원격 제어기는 초기 및/또는 변경된 식별자 등의 조사 결과를 제2 원격 제어기에 보낼 수 있다(그 반대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는 절차가 제공된다. 타임 스케일을 위한 다음의 표기가 이용될 수 있다: T1은 광원을 스위칭 온/오프하는데 이용될 수 있는 가장 미세한 시간 분해능을 나타낸다. 즉, T1=1/f이고, f는 2진 변조를 위한 초당 f 비트의 스루풋을 달성할 수 있는 발광 다이오드의 클록 주파수 등의 광원의 클록 주파수이다. 예를 들어, T1은, 조명 제어 애플리케이션에 대하여 약 1 마이크로초에서 광원을 자주 클로킹하기에 충분할 수 있는 수십 나노초일 수 있다. T2는 광원의 한 번의 온 스위칭 동작 및 한 번의 오프 스위칭 동작이 포함될 수 있는 기간을 나타낸다. 기간(T2)은 프레임이라 한다. T2=N1*T1, 여기서 N1은 정수이다. T3는 하나의 사용자 심볼(소정의 코드 또는 광원 식별자, 예를 들어, 디지털 코드 0110)의 송신 또는 조명 기여의 한번의 측정에 이용되는 시간 간격을 나타낸다. T3=N2*T1, 여기서, N2는 정수이다.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은 T1 클록을 수신하지만, 광원은 반드시 T2 또는 T3 층의 타이밍을 반드시 알 필요는 없다. 즉, 모든 광원은 T1을 위한 완벽한 클록을 가질 수 있다(즉, 주파수는 완벽하지만, 페이지는 랜덤할 수 있다). 광원은 왈시-하다마드(WH) 세트 내의 교호하는 1010101...-코드 및 N1 프레임 내의 임의의 시간 위치 xi를 이용하여 광원의 초기 식별자를 생성할 수 있다. 교호하는 코드가 시프트 불변이므로, T3 페이즈 오프셋은 중요하지 않다. 원격 제어기는 이 신호를 검출하고 특히 T2 블록 내의 페이즈 오프셋을 측정한다. 이 신호의 수신 후에, 원격 제어기는 변경된 식별자를 생성하기 위하여 (델타를) 새로운 위치(xo)로 할당한다. 광원은 111110000 등의 동기 코드를 전달하기 시작하고, 원격 제어기는 (델타를) T2 간격의 시작으로 전송한다. 원격 제어기는 T2 블록에서 새로운 오프셋을 전송하고, yi라 불리우는 다른 이용가능한 WH 코드 중의 하나를 광원에 할당하고, 대응하는 새로운 쌍(xi, yi)을 전송하여, 변경된 식별자의 생성을 완료한다. 시스템은 사용 모드에서 동작할 수 있다. 사용 모드시, 각각의 광원은 자신의 고유의 값(xi, yi)을 갖고, 따라서, 각각의 광원은 고유의 변경된 식별자를 갖는다. 2개의 광원이 동일한 xi 또는 동일한 yi를 갖더라도, 이들은 동일한 쌍(xi, yi)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더 일반적으로, 클록 타이밍 오프셋 기준이 설치 모드로부터 사용 모드로의 스위치 시에 생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페이즈 또는 모드에서, 광원에 의해 방출된 코딩 광은 원격 제어기와 동기되지 않을 수 있지만, 제2 페이즈 또는 모드에서, 광원에 의해 방출된 코딩 광은 원격 제어기와 동기한다. 즉, 실시예에 따르면, 광원에 의해 방출된 코딩 광은 제2 페이즈 또는 모드에서 배타적으로 원격 제어기와 동기한다.
도 4는 광원에 ID를 할당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광원(102 및 200) 등의 광원의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 402를 포함한다. 도 1에서, 이것은 참조 번호 104로 표시된다. 광은 광원(200)의 방출기(202)에 의해 방출된다. 방법은, 광원에 의해 정보를 수신하여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404를 더 포함하며, 수신된 정보는 방출된 코딩 광에 기초한다. 도 1에서, 이것은 참조 번호 110으로 표시된다. 광은 광원(200)의 수신기(212)에 의해 수신된다.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 406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법은 반복되고, 광원은 참조 번호 408에 의해 표시된 피드백 루프로 지시된 바와 같이 추가의 변경된 식별자의 할당과 관련된 추가의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도 5는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2의 광원(102 및 200) 등의 광원에 ID를 할당하기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 및 도 3의 원격 제어기(106 및 300) 등의 원격 제어기의 방법의 플로우차트이다. 방법은 광원으로부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는 단계 502를 포함한다. 광은 원격 제어기(106, 300)의 수신기(108, 302)에 의해 수신된다. 방법은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504를 더 포함한다. 할당은 원격 제어기(300)의 프로세싱 유닛(304)에서 수행된다. 단계 506에서,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원격 제어기로부터 광원으로 송신된다.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원격 제어기(300)의 송신기(312)에 의해 송신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방법은 반복될 수 있고, 원격 제어기는 참조번호 508로 표시된 피드백 루프로 지시된 바와 같이 수신된 광에 기초하여 추가의 변경된 식별자 등을 할당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발명이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인식할 것이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 내에서 많은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다.

Claims (12)

  1. 코딩 조명 시스템(coded lighting system) 내의 광원으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 상기 코딩 광은 상기 광원의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기 위한 프로세싱 유닛; 및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상기 광원으로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
    를 포함하는 원격 제어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는 상기 광원의 세계적인 고유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는 상기 코딩 조명 시스템 내의 상기 광원의 고유 어드레스 식별자에 대응하는 원격 제어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초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코딩 광은 초기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송신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할당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라는 명령들을 상기 광원으로 송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은 상기 초기 액세스 방법과 상이한 원격 제어기.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의 길이와 상이한 길이로 이루어지게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원격 제어기.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기는, 상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기 위한 시야와 상이한 시야를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수신하는데 이용하도록 구성되는 원격 제어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개별적인 초기 광원 식별자들을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적어도 2개의 광원들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들로부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들에 개별적인 변경된 광원 식별자들을 할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개별적인 변경된 광원 식별자들은, 상기 적어도 2개의 광원들 사이에 상기 개별적인 초기 광원 식별자들 중 적어도 2개를 재분배함으로써 생성되는 원격 제어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싱 유닛은, 상기 수신된 코딩 광의 적어도 하나의 특성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특성은, 상기 조명 시스템 내의 적어도 하나의 광원의 상대 위치, 상대 각도, 각도, 파장, 광 컬러, 상대 방사 기여, 방사 기여, 상대 조명 기여 및 조명 기여의 그룹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인 원격 제어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원격 제어기, 및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으로서,
    상기 광원은,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기 위한 방출기; 및
    상기 원격 제어기로부터, 상기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기
    를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방출기는, 초기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수신기는,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라는 명령들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방출기는 또한 상기 명령들에 기초하여 상기 변경된 액세스 또는 변조 방법을 이용하여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도록 구성되는 조명 시스템.
  11. 코딩 광 조명 시스템에서의 광원에 ID(identity)를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코딩 광을 수신하는 단계 - 상기 코딩 광은 상기 광원의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함 -;
    상기 수신된 코딩 광에 기초하여 상기 광원에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상기 광원으로 송신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2. 원격 제어기, 및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할 수 있는 광원을 포함하는 조명 시스템을 동작시키는 방법으로서,
    상기 광원으로부터 초기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
    제11항의 방법에 따라 상기 광원에 변경된 식별자를 할당하는 단계; 및
    상기 광원으로부터 변경된 광원 식별자를 포함하는 코딩 광을 방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17026496A 2009-04-08 2010-04-01 코딩 조명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드레스 할당 Expired - Fee Related KR1016140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09157573 2009-04-08
EP09157573.8 2009-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8760A KR20120018760A (ko) 2012-03-05
KR101614000B1 true KR101614000B1 (ko) 2016-04-21

Family

ID=422822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702649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4000B1 (ko) 2009-04-08 2010-04-01 코딩 조명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드레스 할당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3) US9210776B2 (ko)
EP (1) EP2417834B1 (ko)
JP (1) JP5591321B2 (ko)
KR (1) KR101614000B1 (ko)
CN (1) CN102388677B (ko)
BR (1) BRPI1006706B1 (ko)
CA (1) CA2757938C (ko)
ES (1) ES2509222T3 (ko)
RU (1) RU2538102C2 (ko)
WO (1) WO2010116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19566B2 (en) 2006-03-28 2013-08-27 Wireless Environment, Llc Remote switch sensing in lighting devices
EP2368408B1 (en) 2008-11-26 2019-03-20 Wireless Environment, LLC Wireless lighting devices and applications
CN102577623A (zh) * 2009-08-27 2012-07-11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光源控制的认知标识符分配
JP5992438B2 (ja) * 2010-12-29 2016-09-14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ハイブリッド符号化光の設定方法及びZigBee(登録商標)照明システム
RU2581621C2 (ru) 2010-12-30 2016-04-20 Конинклейке Филипс Электроникс Н.В. Система освещения, источник света,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авторизации устройства источником света
WO2012119215A1 (en) 2011-03-04 2012-09-13 Eski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a distributed manifestation in an environment
US9002993B2 (en) 2011-03-28 2015-04-07 Greenwave Systems Pte. Ltd. Dynamic configuration of a client-server relationship
US8893968B2 (en) 2011-06-07 2014-11-25 Greenwave Systems Pte. Ltd. Network inclusion of a networked light bulb
US8842009B2 (en) 2012-06-07 2014-09-23 Mojo Labs, Inc. Multiple light sensor multiple light fixture control
US8749146B2 (en) * 2011-12-05 2014-06-10 Mojo Labs, Inc. Auto commissioning of light fixture using optical bursts
US8749145B2 (en) 2011-12-05 2014-06-10 Mojo Labs, Inc. Determination of lighting contributions for light fixtures using optical bursts
CN104041191B (zh) * 2012-01-17 2016-12-07 皇家飞利浦有限公司 使用远程控制的可见光通信照明设备、远程控制单元、系统及方法
CN104770066B (zh) * 2012-10-05 2017-11-07 飞利浦灯具控股公司 检验照明设备的真实性
AT14448U1 (de) * 2012-11-21 2015-11-15 Tridonic Gmbh & Co Kg Konfiguration von Betriebsgeräten für Leuchtmittel
KR101925029B1 (ko) * 2013-01-31 2018-12-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9804024B2 (en) 2013-03-14 2017-10-31 Mojo Labs, Inc. Light measurement and/or control translation for daylighting
JP6306149B2 (ja) * 2013-04-19 2018-04-04 フィリップス ライティング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 符号化照明装置、及び、このような符号化照明装置を有する商品情報システム
KR101592631B1 (ko) * 2013-07-02 2016-02-05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 장치, 조명 장치 시스템 및 조명장치의 등록 방법
CN105874883B (zh) * 2013-09-10 2019-06-18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编码光源的自动化投用的方法和装置
CA2931526C (en) 2013-11-25 2022-04-19 Abl Ip Hold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via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rf communication devices and modulated beacon light sources
KR20150101140A (ko) 2014-02-26 2015-09-0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지그비 무선 조명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US10237953B2 (en) * 2014-03-25 2019-03-19 Osram Sylvania Inc. Identifying and controlling light-based communication (LCom)-enabled luminaires
TWI527403B (zh) * 2014-04-24 2016-03-21 全漢企業股份有限公司 主從式控制系統及其定址方法
US10623096B2 (en) * 2014-06-20 2020-04-14 Legasus Networks, Inc. Deploy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by retrofitting spatially distributed electric lamps with integrated light/communicator modules
US10045427B2 (en) * 2014-09-29 2018-08-07 Philips Lighting Holding B.V. System and method of autonomous restore point creation and restoration for luminaire controllers
WO2016071133A1 (en) * 2014-11-04 2016-05-12 Philips Lighting Holding B.V Transmitter comprising a transmission queue and corresponding source device
WO2016143993A1 (en) 2015-03-10 2016-09-15 Lg Innotek Co., Ltd. A lighting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KR102359357B1 (ko) * 2015-03-10 2022-02-08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조명제어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GB2536301B (en) * 2015-03-13 2021-07-14 Tridonic Gmbh & Co Kg Ballast for lighting means, method for receiving address information and address programming handheld device
CN107637021B (zh) * 2015-03-26 2021-03-23 飞利浦照明控股有限公司 将设备映射到模型中的表示
US10070496B2 (en) 2015-03-30 2018-09-04 Mojo Labs, Inc. Task to wall color control
EP3091516A1 (de) * 2015-05-06 2016-11-09 Siemens Schweiz AG Offener streulichtrauchmelder sowie mobiles kommunikationsgerät für einen derartigen offenen streulichtrauchmelder zum empfang von melderdaten und zum senden von update-daten
NL2014776B1 (en) * 2015-05-07 2017-01-26 Eldolab Holding Bv Method for changing the identification code of a light source in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s.
WO2017058107A1 (en) * 2015-09-30 2017-04-06 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 Transmitter array, receiver, and positioning system
CN105517279B (zh) * 2015-11-30 2018-04-06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一种发光控制的方法和装置
JP6650617B2 (ja) * 2016-02-10 2020-02-19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電気機器管理システム
DE102016208078A1 (de) * 2016-05-11 2017-11-16 Zumtobel Lighting Gmbh Leuchte, System und Verfahren zur Positionsbestimmung
KR20180002333A (ko) * 2016-06-29 2018-01-08 엘지전자 주식회사 가시광 통신을 이용한 장치 및 가시광 통신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방법
WO2018015176A1 (en) * 2016-07-21 2018-01-25 Philips Lighting Holding B.V. Lamp with coded light functionality
NL2017308B1 (en) * 2016-08-11 2018-02-16 Eldolab Holding Bv Method of light unit replacement
EP3504695A1 (en) 2016-09-07 2019-07-03 Eski Inc. Projection systems for distributed manifestation and related methods
CN106375008B (zh) * 2016-09-20 2019-03-12 淮安信息职业技术学院 一种具有无线管理功能的可见光导览系统及其实现方法
GB201618065D0 (en) * 2016-10-26 2016-12-07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Edinburgh Multiuser access for optical communications
JP2020504895A (ja) 2016-10-27 2020-02-13 シグニファイ ホールディング ビー ヴィSignify Holding B.V. 物体識別子を記憶する方法
EP3540983B1 (en) * 2016-12-09 2022-05-04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for data transmission, terminal device and network side device
GB2562020B (en) * 2016-12-21 2022-02-16 Tridonic Gmbh & Co Kg Commissioning of one or more installed lighting devices
GB2558004B (en) * 2016-12-21 2021-12-08 Tridonic Gmbh & Co Kg Commissioning of one or more installed devices of a lighting system
US11337066B2 (en) * 2017-07-11 2022-05-17 Signify Holding B.V. System for providing a user device access to resource or data and a method thereof
US10117316B1 (en) * 2017-10-13 2018-10-30 Osram Sylvania Inc. Rotating identifications in light-based positioning systems
US11082212B2 (en) * 2017-12-26 2021-08-03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service verification, and verification server thereof
US10980098B2 (en) * 2018-05-05 2021-04-13 Current Lighting Solutions, Llc Systems and methods for allocating a network address to a lighting device
US11030505B1 (en) * 2019-12-27 2021-06-08 Signify Holding B.V. Alternative identification of objects for constrained networks
WO2021198089A1 (en) * 2020-03-30 2021-10-07 Signify Holding B.V. Causing a lighting device to visually indicate whether it can be commissioned using a particular wireless technology
CN116134969A (zh) 2020-07-23 2023-05-16 昕诺飞控股有限公司 智能照明控制系统
CN112711215B (zh) * 2021-02-04 2022-01-25 杭州并坚科技有限公司 总线终端控制器、总线通信供电系统及其通信供电方法
US11522608B1 (en) * 2021-06-29 2022-12-06 Cisco Technology, Inc. Geospatial coordinate provisioning using LiFi
CN118511653A (zh) * 2022-01-06 2024-08-16 昕诺飞控股有限公司 从2d设备网格中消除镜像对称和重力模糊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52945A (ja) 2006-08-22 2008-03-06 Murakami Kosakusho:Kk 照明器具用リモコン受信器
US20090026978A1 (en) 2006-02-23 2009-01-29 Tir Technology Lp System and method for light source identif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3047A (ja) 1993-07-05 1995-01-24 Victor Co Of Japan Ltd 構内情報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JPH0729983A (ja) 1993-07-09 1995-01-31 Mitsubishi Electric Corp 仮想配線長の生成方法
JPH0729983U (ja) * 1993-10-29 1995-06-02 松下電工株式会社 伝送制御装置
JPH11177572A (ja) * 1997-12-16 1999-07-02 Uniden Corp 通信制御装置、端末装置、これを用いたデータ通信システム及びデータ通信方法
US6717956B1 (en) * 2000-03-03 2004-04-06 Luminous Networks, Inc. Dual-mode virtual network addressing
WO2002013490A2 (en) * 2000-08-07 2002-02-14 Color Kinetics Incorporated Automatic configu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lighting and other applications
CA2497483A1 (en) 2002-09-04 2004-03-18 Herman Miller, Inc. General operating system
JP2004297295A (ja) * 2003-03-26 2004-10-21 Global Com:Kk 照明光通信システム及び照明装置、照明光源
CN101714898A (zh) * 2002-10-24 2010-05-26 株式会社中川研究所 照明光通信装置
EP1545094B1 (en) 2003-12-19 2008-04-23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ethod of address management
US7369060B2 (en) * 2004-12-14 2008-05-06 Lutron Electronics Co., Inc. Distributed intelligence ballast system and extended lighting control protocol
JP4652444B2 (ja) * 2005-03-12 2011-03-16 ルートロン エレク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照明制御系用ハンドヘルドプログラマ
EP1882395B1 (en) * 2005-04-22 2019-06-19 Signify Holding B.V. Method and system for lighting control
US8491159B2 (en) * 2006-03-28 2013-07-23 Wireless Environment, Llc Wireless emergency lighting system
WO2007125477A2 (en) * 2006-05-03 2007-11-08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Illumination copy and paste operation using light-wave identification
WO2008059411A1 (en) * 2006-11-17 2008-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Light wand for lighting control
JP5364239B2 (ja) * 2007-02-22 2013-12-11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制御式照明システム
WO2008148053A1 (en) 2007-05-24 2008-12-04 Federal Law Enforcement Development Services, Inc. Led light global positioning and routing communication system
JP2009021141A (ja) * 2007-07-12 2009-01-29 Toshiba Lighting & Technology Corp 照明制御装置
TWI451805B (zh) * 2007-07-16 2014-09-0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驅動光源
US8442403B2 (en) * 2008-03-02 2013-05-14 Lumenetix, Inc. Lighting and control systems and methods
KR101100228B1 (ko) * 2011-05-25 2011-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명 시스템 및 조명 시스템에서의 주소 설정, 관리 및 제어 방법
US8866391B2 (en) * 2011-07-26 2014-10-21 ByteLight, Inc. Self identifying modulated light source
US9787397B2 (en) * 2011-07-26 2017-10-10 Abl Ip Holding Llc Self identifying modulated light source
DE102013005942A1 (de) 2013-04-05 2014-10-23 Cooper Crouse-Hinds Gmbh Leuchte
CN105874883B (zh) * 2013-09-10 2019-06-18 飞利浦灯具控股公司 用于编码光源的自动化投用的方法和装置
CA2931526C (en) * 2013-11-25 2022-04-19 Abl Ip Hold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with a mobile device via a positioning system including rf communication devices and modulated beacon light sourc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26978A1 (en) 2006-02-23 2009-01-29 Tir Technology Lp System and method for light source identification
JP2008052945A (ja) 2006-08-22 2008-03-06 Murakami Kosakusho:Kk 照明器具用リモコン受信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17834A1 (en) 2012-02-15
JP2012523660A (ja) 2012-10-04
US20160204859A1 (en) 2016-07-14
US20120091896A1 (en) 2012-04-19
JP5591321B2 (ja) 2014-09-17
CA2757938A1 (en) 2010-10-14
RU2538102C2 (ru) 2015-01-10
BRPI1006706A8 (pt) 2017-12-12
BRPI1006706B1 (pt) 2019-12-10
KR20120018760A (ko) 2012-03-05
EP2417834B1 (en) 2014-07-23
US10439718B2 (en) 2019-10-08
RU2011145024A (ru) 2013-05-20
CN102388677B (zh) 2017-08-08
CA2757938C (en) 2017-12-05
CN102388677A (zh) 2012-03-21
BRPI1006706A2 (pt) 2017-06-13
US20180167141A1 (en) 2018-06-14
US10090924B2 (en) 2018-10-02
US9210776B2 (en) 2015-12-08
ES2509222T3 (es) 2014-10-17
WO2010116299A1 (en) 2010-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4000B1 (ko) 코딩 조명 시스템에서의 효율적인 어드레스 할당
EP2179521B1 (en) Method, system and device for transmitting lighting device data
US9197843B2 (en) Concurrent commissioning and geolocation system
EP2478745B1 (en) Coded light transmission and reception
EP2749141B1 (en) Coded light transmission and reception for light scene creation
CN102017801B (zh) 用于分组至少三个灯的方法和设备
EP2446710B1 (en) Pushbits for semi-synchronized pointing
EP3618580B1 (en) Transmission coding scheme for a lighting system
WO2013126585A1 (en) System and method of extending the communication range in a visible light communication system
KR101469957B1 (ko) Led-id 시스템에서 led-id 태그 식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11107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504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14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1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501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