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3968B1 -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 Google Patents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968B1
KR101613968B1 KR1020140086538A KR20140086538A KR101613968B1 KR 101613968 B1 KR101613968 B1 KR 101613968B1 KR 1020140086538 A KR1020140086538 A KR 1020140086538A KR 20140086538 A KR20140086538 A KR 20140086538A KR 101613968 B1 KR101613968 B1 KR 101613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combustor
high temperature
fuel
ultra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6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06908A (ko
Inventor
임금순
김창준
Original Assignee
그랜드내츄럴 주식회사
김창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랜드내츄럴 주식회사, 김창준 filed Critical 그랜드내츄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86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968B1/ko
Publication of KR201600069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069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96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20/00Combustion technologies with mitigation potential
    • Y02E20/12Heat utilisation in combustion or incineration of was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슬러지저장탱크(1)와, 슬러지저장탱크(1) 내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호퍼(2)와, 슬러지호퍼(2)로 부터 공급 받은 슬러지를 섭씨 1500도 내지 섭씨 2100도 에서 건조시키는 초고온건조로(3)와, 초고온건조로(3)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4)와, 연소기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공급받아 스팀을 양산하는 보일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소기(4)에서 연소되어 발생하는 먼지는 집진기(6)로 보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진기(6)는 백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소기(4)는, 연소기에 연료 공급을 위한 연료저장고(9)와, 연료저장고(9)의 연료를 정량 공급하느 연료정량공급기(10)와, 연료정량공급기(10)로부터 정량된 연료를 연소기(4)에 투입하는 연료투입기(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소기(4)에 공급되는 연료는 나무펠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초고온건조로(3)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배출슬러지호퍼(22)로 보내어진 후, 폐슬러지탱크(23)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steam generating system having ultra high temperature sludge drying apparatus}
본 발명은 하수처리 시설 등에서 발생하는 슬러지를 건조처리하는 슬러지 건조장치를 이용한 스팀 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건조 슬러지를 효율 좋게 처리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에너지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문헌1] 특허등록10-0894899호 명칭 : 초고온 건조시스템
종래의 슬러지 건조 장치의 예로 제시한 상기 문헌 1 의 초고온 건조로(등록특허10-0894899호)는 슬러지를 건조로에서 처리하되, 건조로에서 발생하는 SOx나 NOx등의 각종 폐가스와 악취(이하, 폐가스) 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매우 부피가 큰 집진시설을 사용하였다.
즉, 초고온 건조로와 큰 규모의 집진시설을 연결하여 사용한 것인데, 이렇게 하면, 집진시설의 부하가 커져 그에 따른 여러 가지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다시 말해, 집진시설이 비대하여지고 많은 용적을 차지하여 시설비가 고가로 소요되고 운전비용도 많이 들고, 집진효율도 그다지 높지 않은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을 개선하고자 발명한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인용문헌1에서 사용하는 초고온건조로에 "제2버너"를 설치하여, 위의 폐가스를 집진시설로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제2버너로 보내어 폐가스를 연소시킨다.
또한, 제2버너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을 활용하여 스팀을 발생하고 이를 스팀발전기로 보내어 전기를 생산하여 에너지 활용성을 높였다.
아울러 제 2버너에서 거의 완전연소된 가스(폐가스가 한번 더 연소되었으므로 오염물질이 거의 없음)를 집진시설로 보내어 최종 처리를 하여, 오염물질이 거의 없으므로 그만큼 집진시설의 크기를 줄일 수 있고 집진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은, 슬러지저장탱크(1)와, 슬러지저장탱크(1) 내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호퍼(2)와, 슬러지호퍼(2)로 부터 공급 받은 슬러지를 섭씨 1500도 내지 섭씨 2100도 에서 건조시키는 초고온건조로(3)와, 초고온건조로(3)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연소시키는 연소기(4)와, 연소기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공급받아 스팀을 양산하는 보일러(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소기(4)에서 연소되어 발생하는 먼지는 집진기(6)로 보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진기(6)는 백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소기(4)는, 연소기에 연료 공급을 위한 연료저장고(9)와, 연료저장고(9)의 연료를 정량 공급하느 연료정량공급기(10)와, 연료정량공급기(10)로부터 정량된 연료를 연소기(4)에 투입하는 연료투입기(1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연소기(4)에 공급되는 연료는 나무펠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초고온건조로(3)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배출슬러지호퍼(22)로 보내어진 후, 폐슬러지탱크(23)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집진부하를 크게 줄여 집진시설의 규모와 설치 비용을 종래에 비해 1/2 이상 크게 줄이고 슬러지를 저공해, 저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다.
또한 폐가스는 완전 연소에 의해 악취가 완벽하게 100% 제거되어 대기 오염을 막고 악취 제거를 위한 별도의 악취제거 시설 등도 불필요한 장점이 있다.
또한 연소기에서 사용하는 연료는 나무펠렛이나 저가의 연료를 사용 가능하고 아울러 초고온건조기에서 발생하는 열과 연소성 가스를 이용하므로, 운전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연소기(4)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보일러(5)에서 발생하는 스팀 열원을 이용하여 전기 발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활용성도 매우 우수하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를 보여 주기 위한 블록도
도 2 는 본 발명의 한 구성 예를, 예시적인 제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의거 추가로 상술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예를 들어, 도심에서 많이 발생하는 하수 슬러지를 슬러지 저장탱크(1)에 저장한 상태에서 이 슬러지를 슬러지호퍼(2)를 통하여 초고온건조로(3)로 보낸다.
초고온건조로(3)에서의 건조 온도는 평균 섭씨 1500도 이상 최고 섭씨 2100도 정도이다. 그러면 2차적 연소나 건조를 필요로 하는 내화적 슬러지도 거의 대부분 처리 가능하다.
비록 이 초고온 건조로에서 슬러지 처리를 한다 하여도, 완전한 연소는 어렵다. 따라서 이렇게 건조 처리된 슬러지를 연소기(4)로 보내어 완전 연소를 시킨다.
초고온건조로(3)에서 건조 처리시 발생하는 폐가스와 악취는 제2 버너라 할 수 있는 연소기(4)에서 거의 완전 연소시킨다. 섭씨 1500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대부분의 유해가스와 악취성 가스는 냄새 없이 연소처리된다.
초고온건조로(3)에서 나오는 폐가스는 매우 고온이므로 이 열에너지를 그대로 연소기(4)에 보내면 적은 열량으로도 슬러지의 거의 완전 연소가 가능하다. 연소기(4)의 가열을 위한 열원은 저렴한 나무펠릿이나 또는 저렴한 유류 연료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초고온건조로(3)에서 발생되는 일부 폐가스는 연소 가능한 열 에너지 원이기도 하므로, 이 폐가스를 재연소의 열원(원료)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어, 적은 원료 투입으로도 2차적인 연소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연소기(4)에서 연소된 후 발생되는 먼지나 부유물은 집진기(6)로 보내어 집진할 수 있다. 이때 발생되는 먼지는 종래에 비하면 지극히 적은 양이다.
종래의 상기 선행 기술의 문헌1은 비록 초고온 건조시스템이라 하여도 매우 많은 양의 분진이 발생하므로, 집진시설이 매우 커야 하나 본 발명의 경우에는 연소기(4)에 의한 거의 완전 연소로 인해, 집진시설을 한다하여도 극히 소규모로 이루어질 수 있어 매우 효율적이다.
통상적으로 집진시설은 규모와 면적이 크고 많은 시설의 투자가 이루어 져야하는 고비용이 들어가는 시설이고 운전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시설이다. 따라서 집진시설을 최대한 줄여 주는 것은 매우 바람직하고 저비용 운전에 매우 유리하다.
한편, 상기 연소기(4)에서 발생되는 열은 보일러(5)로 보내어져 열 에너지로 활용할 수 있다. 보일러(5)에서 생성되는 스팀은 발전기(7) 등의 가동에 활용하여 전기 등을 발전할 수 있다.
그러면, 도 2 를 참고로 본 발명을 좀 더 예시적 구조를 가지고 설명한다.
도시한 바와 같이 슬러지는 슬러지호퍼(2)를 통해 초고온건조로(3)로 보내어진다.
초고온건조로(3)의 작동 원리와 구성은 선행기술인 특허등록 제 10-0894899(발명의 명칭 : 초고온 건조시스템)와 유사하므로 이에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단, 참고로 간단히 작동을 설명하면, 투입되는 슬러지는 중앙에 공간이 형성된 통로인 1차건조부(31)에 주입되어 진행하면서 1차적인 건조가 실시되고, 2차적으로 1차건조부(31) 외주를 둘러 싸는 공간인 2차건조부(32)에서 슬러지의 2차 건조가 이루어진다.
이때 생성되는 SOx, NOx 등의 유해가스를 공급관(8)을 통하여 연소기(4)에 보내어진다. 연소기(4)의 가동은 연료저장고(9)에 저장된 연료를 연료정량공급기(10)를 거쳐 연료투입기(11)에 의해 공급되어 연소기(4)가 가동된다. 연소기(4)가 가동되면 상기 유해 가스 및 악취를 발하는 모든 가스를 거의 완전 연소 가능하다.
가스 중에는 연소 가능한 가스도 포함되므로 이러한 연소성 가스는 연소기(4)에서 연소 열원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저비용으로 연소기(4)를 가동 가능하다. 또한 공급관(8)을 통하여 공급받는 가스는 매우 고온이므로 연소를 위한 열원(연료) 소비를 더욱 크게 절감 가능하다.
연소기(4)에서 발생하는 연소열은 보일러(5)로 보내진다. 보일러(5)는 연소기(4)와 동일한 케이싱(14) 내에 구성되게 하여 손실되는 열원이 없도록 하여 열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연소기(4)에서 연소된 후 발생하는 먼지 등은 집진시설인 집진기로 유도되는바, 집진기의 한 예를 들면 본 발명에서는 백필터(20)를 사용하였다. 집진기는 백필터가 아닌 그 외 다른 구조의 집진시설이나 구조로 만들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초고온건조로(3)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배출슬러지호퍼(22)를 거쳐 폐슬러지탱크(23)에 저장된다. 배출슬러지호퍼(22)는 스크류에 의한 압출식으로 배출하는 구조로 만들거나 기타 다른 구조로 만들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 중 하나는 초고온건조로에 "제2버너"라 할 수 있는 연소기(4)를 설치하여, 초고온건조로(3)에서 발생하는 폐가스를 종래와 같이 집진시설로 바로 보내는 것이 아니라, 연소기(4)로 보내어 폐가스를 연소시킨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연소기(4)에서 완전연소된 가스는 폐가스가 한번 더 연소되었으므로 오염물질이 거의 없는 상태로 집진시설로 보내어 최종 처리를 하므로, 그만큼 집진시설의 장치를 간략화하고, 종래와 같은 냄새 제거 및 및 공해 물질 제거를 위한 세정시설, 공해물질 흡착시설 등의 시설이 불필요하고, 저렴한 비용이 소요되는 백필터(20)만 사용하여도 가능한 것이다.
또한 연소기(4)와 연결되어 작동하는 보일러(5)에서 발생하는 스팀 열원을 이용하여 전기 발전 등으로 활용할 수 있어, 에너지 활용성도 매우 우수하다.
1 슬러지저장탱크 2. 슬러지호퍼
3 초고온건조로 4 연소기
5 보일러 6 집진기
7 발전기

Claims (6)

  1. 슬러지저장탱크(1)와,
    슬러지저장탱크(1) 내의 슬러지를 공급하는 슬러지호퍼(2)와,
    슬러지호퍼(2)로부터 공급받은 슬러지를 섭씨 1500도 내지 섭씨 2100도에서 건조시키는 초고온건조로(3)와,
    초고온건조로(3)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섭씨 1500도 이상의 고온에서 연소시키는 연소기(4)와,
    연소기에서 연소된 연소열을 공급받아 스팀을 양산하는 보일러(5)를 포함하고,
    상기 연소기(4)는, 연소기에 연료 공급을 위한 연료저장고(9)와, 연료저장고(9)의 연료를 정량 공급하는 연료정량공급기(10)와, 연료정량공급기(10)로부터 정량된 연료를 연소기(4)에 투입하는 연료투입기(11)를 포함하며,
    상기 초고온건조로(3)에서 건조된 슬러지는 배출슬러지호퍼(22)로 보내어진 후, 폐슬러지탱크(23)로 저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4)에서 연소되어 발생하는 먼지는 집진기(6)로 보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6)는 백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소기(4)에 공급되는 연료는 나무펠릿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6. 삭제
KR1020140086538A 2014-07-10 2014-07-10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Active KR101613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538A KR101613968B1 (ko) 2014-07-10 2014-07-10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86538A KR101613968B1 (ko) 2014-07-10 2014-07-10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908A KR20160006908A (ko) 2016-01-20
KR101613968B1 true KR101613968B1 (ko) 2016-04-20

Family

ID=553076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6538A Active KR101613968B1 (ko) 2014-07-10 2014-07-10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396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7733B1 (ko) 2020-02-07 2021-03-12 주식회사 에스이테크 역류방지가 가능한 초고온 건조장치
KR102237657B1 (ko) 2020-01-17 2021-05-11 주식회사 에스이테크 초고온 건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088B1 (ko) * 2018-04-04 2018-08-23 오경환 유기성 폐기물 건조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99B1 (ko) * 2008-09-08 2009-04-30 김창준 초고온 건조시스템
KR101176427B1 (ko) * 2011-10-18 2012-08-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고정상 건조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화 장치 및 연료화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4899B1 (ko) * 2008-09-08 2009-04-30 김창준 초고온 건조시스템
KR101176427B1 (ko) * 2011-10-18 2012-08-30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고정상 건조장치를 이용한 슬러지 연료화 장치 및 연료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7657B1 (ko) 2020-01-17 2021-05-11 주식회사 에스이테크 초고온 건조장치
KR102227733B1 (ko) 2020-02-07 2021-03-12 주식회사 에스이테크 역류방지가 가능한 초고온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06908A (ko)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ong et al. Life cycle assessment of pyrolysis, gasification and incineration waste-to-energy technologies: Theoretical analysis and case study of commercial plants
CN102211845B (zh) 污泥处理处置系统及方法
CN102997250B (zh) 污泥磁化热解、焚烧工艺流程及其一体化机
CN208205010U (zh) 一种生活垃圾焚烧协同活性炭生产的装置
CN202558748U (zh) 一种以废弃塑料作为补充能源的污泥热解处理装置
CN102633419A (zh) 一种以废弃塑料作为补充能源的污泥热解处理工艺
CN111895424A (zh) 一种垃圾处理与发电机组耦合发电系统
CN110805906A (zh) 一种污泥、垃圾烘干碳化热解燃烧处理系统及其方法
CN108613194B (zh) 一种用于村镇生活垃圾焚烧的装置
CN113883525A (zh) 一种耦合燃煤发电机组的垃圾处理系统及方法
KR101613968B1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CN102607041B (zh) 一种用于生活垃圾与市政污泥混烧的污泥前处理装置
KR101546825B1 (ko) 가연성 고형폐기물의 연소장치 및 방법
KR101160055B1 (ko) 수평형연소기
CN204276505U (zh) 一种有机废物处理磁化降解炉
KR101252289B1 (ko) 가축 폐수 고형물 처리장치
KR101160053B1 (ko) 수직형연소기
CN203907621U (zh) 一种用于固废焚烧的可再生热氧化器
CN103075736B (zh) 一种聚环污泥焚烧炉
CN102213490A (zh) 燃用城市半干化污泥的热载体锅炉
CN104501172A (zh) 一种有机固废气化处理装置
JP4449704B2 (ja) 燃焼方法及び装置
KR101582528B1 (ko) 차량탑재형 유기성폐기물 탄화처리장치
KR101657649B1 (ko) 초고온슬러지 건조장치와 태양광 집광장치를 갖는 스팀발전시스템
CN203923094U (zh) 固废气化处理热电集成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1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1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3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05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1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