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3830B1 -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 Google Patents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3830B1 KR101613830B1 KR1020140072060A KR20140072060A KR101613830B1 KR 101613830 B1 KR101613830 B1 KR 101613830B1 KR 1020140072060 A KR1020140072060 A KR 1020140072060A KR 20140072060 A KR20140072060 A KR 20140072060A KR 101613830 B1 KR101613830 B1 KR 10161383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one
- tip
- hole
- receiving groove
- tip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61C8/0092—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for sinus lifting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 A61B17/16—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 A61B17/1635—Instruments for performing osteoclasis; Drills or chisels for bones; Trepans for grafts, harvesting or transpla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3/00—Dental tools or instruments
- A61C3/08—Tooth pluggers or hamm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입저지홈을 통해 치조골의 시술 중에 상악동막의 천공 또는 손상이 방지되거나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시술이 간편하면서 단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타격 장치는 선단 둘레에 뾰족하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팁몸체와, 상기 팁몸체의 선단이 날카로워지도록 상기 팁몸체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뼈수용홈과, 상기 팁몸체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팁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치조골에 대한 상기 팁몸체의 진입을 저지하는 진입저지홈을 포함하는 시술팁과; 상기 시술팁의 후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king device for a dental procedure, which is simple and easy to perform, while preventing perforation or damage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during the procedure of the alveolar bone through the entrance preventing groove, and the striking device has a pointed A bone receiving groove formed inside the tip of the tip body such that a tip of the tip body is sharpened and a plurality of spiral holes formed in a spiral shape from a tip end to a tip end of the tip body, A treatment tip formed continuously along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dy to prevent entry of the tip body into the alveolar bone; A support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treatment tip; .
Description
본 발명은 치과 시술 중에 시술부위의 타격에 사용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진입저지홈을 통해 치조골의 시술 중에 상악동막의 천공 또는 손상이 방지되거나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시술이 간편하면서 단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king device used for striking a treatment area during a dental proced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riking device for a dental procedure to be performed in a short time.
일반적으로 치과 시술 중에 특히 인공치아(임플란트) 시술시에 치조골과 같은 골 부위와 관련된 다양한 시술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인공치아를 식립하기 위해 골 부위에 홈을 형성하거나, 인공치아 시술시에 부족한 골 부위를 자가골로 채우기 위해 소량의 자가골을 채취하는 등 다양한 골 부위 관련 시술이 수행된다.In general, various procedures related to a bone site such as an alveolar bone are performed during a dental procedure, particularly, in an artificial tooth (implant) operation. For example, a variety of bone site related procedures are performed, such as forming a groove in a bone site for implantation of an artificial tooth, or collecting a small amount of autogenous bone to fill a deficient bone site with an autogenous bone during an artificial tooth procedure.
이와 같은 골 부위 관련 치과 시술의 일예를 도 15와 도 16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시술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An example of such a bone-related dental procedure is shown in FIGS. 15 and 16, and the construction and procedure of the procedure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시술 형태는 인공치아 시술을 위해 치조골을 타격하여 원형의 홈을 형성하는 시술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런 시술은 상악동막(M)에 손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끌(100)과 망치(200) 형태의 오스테오톰이라는 기구로 치아(T)의 사이에 치아가 상실된 상악동의 치조골(S)을 여러 번 두드려 임플란트가 식립될 수 있는 소정 크기의 홈을 형성하면서 상악동의 치조골(S)을 상부측으로, 즉 중공부(H)측으로 들어 올려 상기 상악동막(M)을 거상시키거나 상기 상악동막(M)이 손상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치조골(S)에 홀을 형성한 다음에 이런 홀을 통해 골이식재를 조금씩 넣는 방식이다. 이와 같은 상기 끌(100)의 끝에는 상기 치조골(S)에 홈을 형성하기 위한 시술팁(A)이 장착된다.15 and 16 corresponds to a procedure for forming a circular groove by striking the alveolar bone for artificial tooth surgery. This procedure is performed by the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the above-described conventional techniques have the following problems.
상기 치조골은 다소 연질인 해면뼈를 단단한 치밀골(골막)이 둘러싸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치밀골의 상부측에는 연질의 상악동막이 붙어 있어, 원통형의 날카로운 칼날로 이루어진 시술팁이 단단한 치밀골을 천공할 때 보다 강한 타격력이 가해지고, 이때 타격력의 강약 조절의 실수로 약간 더 강하게 타격력이 치밀골에 가해지면 치밀골의 천공과 함께 이에 붙어 있는 상악동막까지 천공되어 상악동막의 거상이 실패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alveolar bone has a structure in which a hard bone (periosteum) is somewhat soft, and a soft sinus membrane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of the bone bone. A surgical tip made of a cylindrical sharp blade has a stronger impact force And when the impact force is applied to the compact bone with a slight increase in the strength of the damping force of the striking forc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collar of the suture bone is punctured to the sinus membrane attached thereto and the collar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fails.
이와 같은 상악동막의 거상의 실패를 회피하고자 시술자는 치조골의 내부를 엑스레이로 확인하면서 매우 조심스럽게 타격 작업을 진행하게 되므로 시술 시간이 상당히 길게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order to avoid such a failure of the collar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the practitioner needs to perform a very careful batting operation while confirming the inside of the alveolar bone with the x-ray.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진입저지홈을 통해 치조골의 시술 중에 상악동막의 천공 또는 손상이 방지되거나 극소화되도록 하면서 시술이 간편하면서 단시간에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riking device for a dental procedure, which is simple and easy to perform in a short time while preventing or minimizing perforation or damage of the sinus membrane during the procedure of the alveolar bone through the entrance preventing groove.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뼈고정홈을 통해 치밀골이 고정되면서 진입저지홈에 의해 비틀려 상기 치밀골이 파단되면서 상승되어 상악동막의 천공이 방지되면서 상악동에 골편을 형성하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apling device for stapling a dental prosthesis for stitching a bone in a maxillary sinus while preventing the perforation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by raising the dense bone while being broken by the entry blocking groove while being fixed by the bone fixing groove, .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단한 구조로 뼈배출부를 구비하여 자가골의 채취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riking device for a dental procedure, which has a simple structure and has a bone discharging portion so that collecting of the autogenous bone can be more easily performed.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는, 선단 둘레에 뾰족하게 경사면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팁몸체와, 상기 팁몸체의 선단이 날카로워지도록 상기 팁몸체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뼈수용홈과, 상기 팁몸체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팁몸체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치조골에 대한 상기 팁몸체의 진입을 저지하는 진입저지홈을 포함하는 시술팁과; 상기 시술팁의 후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apler for stapling a stapler, comprising: a cylindrical tip body having a sloped surface formed at a tip of the stapler; a distal end of the tip body, And a plurality of insertion preventing grooves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body to prevent entry of the tip body into the alveolar bone, A surgical tip included; A support rod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treatment tip; .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의 상기 시술팁은, 상기 팁몸체의 후단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정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on tip of the striking device for a dental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topper protruding from a rear end of the tip body.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의 상기 시술팁은, 상기 뼈수용홈의 내주면 선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뼈고정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operation tip of the striking device for dent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urther characterized by a plurality of bone fixation grooves formed horizontally around the tip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receiving groov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의 상기 진입저지홈의 갯수는, 3 내지 30개이고, 상기 진입저지홈의 나선각은, 1 내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number of the entry preventing grooves of the "dental procedure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3 to 30, and the helical angle of the entry preventing grooves is 1 to 45 degrees.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대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시술자가 파지한 상태로 자동으로 타격력을 가할 수 있는 자동타격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tapling device for dental procedur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n automatic striker mounted detachably on the support and capable of automatically applying a striking force in a state held by a practitioner;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대를 관통하여 상기 시술팁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뼈수용홈에 수용된 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뼈배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a "stapling device for a dental proced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ne discharging part which is installed on the inside of the treatment tip through the supporting frame and discharges the bone contained in the bone receiving groove to the outside; And further comprising: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의 상기 뼈배출부는,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서 상기 뼈수용홈과 연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관통공과, 상기 관통공의 후방측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공과, 상기 뼈수용홈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배출판과, 상기 회전배출판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과 나선공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봉과, 상기 회전봉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나선공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봉과, 상기 나선봉의 후단에 부착되는 회전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ne discharging portion of the dental treatmen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ne receiving groove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and a through hol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hole, A rotary shaft disposed at an inner side of the bone receiving groove, a rotary shaft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rotary journal and the other end horizontally movable with respect to the through hole and the spiral hole, And a rotary knob attached to a rear end of the spiral bar and screwed to the spiral hole and a rotary knob attached to a rear end of the spiral ba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의 상기 뼈배출부는, 상기 지지대의 후방에서 상기 뼈수용홈과 연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연통공과, 상기 연통공의 후방측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설치공과, 상기 뼈수용홈의 내측에 배치되는 푸시배출판과, 상기 푸시배출판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공과 설치공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봉과, 상기 수평봉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설치공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가압봉과, 상기 설치공의 선단과 상기 가압봉의 선단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봉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과, 상기 가압봉의 후단에 부착되는 푸시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bone discharging portion of the dental treatment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mmunication hole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ne receiving groove at the rear side of the supporting frame and a communication hole formed at the rear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A horizontal bar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ushbutton plate and the other end horizontally movably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hole and the installation hole; A spring which is attached to the rear end and horizontally movably provided on the installation hole and has a step formed at a tip end thereof, a spring supported between the tip of the installation hole and the tip end of the pressure rod and fitted around the horizontal rod, And a push plate attached to the rear end.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진입저지홈을 통해 치조골의 시술 중에 상악동막의 천공 또는 손상이 방지되거나 극소화되고, 시술이 간편하면서 단시간에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effect of preventing or minimizing the puncture or damage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during the procedure of the alveolar bone through the entry preventing groove and simplifying the procedure and shortening the time.
또한, 본 발명은, 뼈고정홈을 통해 치밀골이 고정되면서 진입저지홈에 의해 비틀려 상기 치밀골이 파단되면서 상승되어 상악동막의 천공이 방지되면서 상악동에 골편을 형성하여, 상악동막의 거상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지는 효과를 갖는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compact bone is fixed through the bone fixation groove, the compact bone is broken while being torn by the entry blocking groove to prevent the puncture of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thereby forming bone fragments in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Effect.
또한,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로 뼈배출부를 구비하여 자가골의 채취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imple structure that a bone discharging portion is provided, so that the collecting of the autogenous bone is made easier and the convenience of use is improv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
도 4는 도 3에 따른 타격 장치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
도 5는 도 3의 A-A 선의 확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B-B 선의 확대 단면도,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
도 15는 종래의 타격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16은 종래의 타격 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확대 종단면도.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the main part of Fig. 2,
Fig. 4 is an enlarged side sectional view of the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Fig. 3,
5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ine AA in Fig. 3,
Fig. 6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BB line in Fig. 3,
7 and 8 are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and 12 are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s of a principal portion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13 and 14 are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s of a principal portion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schematic vertical 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riking device,
Fig. 16 is a schematic enlarged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triking device; Fig.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should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can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요부 확대도이고, 도 4는 도 3에 따른 타격 장치의 요부 확대 측단면도이며, 도 5는 도 3의 A-A 선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3의 B-B 선의 확대 단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side view of a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main part of Fig. 2, Fig. 5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3, and Fig. 6 is an enlarged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는 치조골을 타격하여 천공하는 시술팁(10)과, 상기 시술팁(10)의 단부에 연결되는 지지대(20)를 포함한다.As shown therein, the striking device for dental treat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상기 시술팁(10)은 선단 둘레에 뾰족하게 경사면(11a)이 형성되는 원통형의 팁몸체(11)와,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이 날카로워지도록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에서 내측으로 형성되는 뼈수용홈(12)과,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에서 후단으로 나선형으로 형성되고 다수개가 상기 팁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연속하여 형성되어 치조골에 대한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을 저지하는 진입저지홈(13)을 포함한다.The
상기 팁몸체(11)는 원통형의 몸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치조골에 진입되는 몸체를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경사면(11a)은 상기 팁몸체(11)의 선단 둘레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이 상기 뼈수용홈(12)을 통해 날카롭게 형성되도록 하면서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이 치조골에 원활히 진입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뼈수용홈(12)은 상기 경사면(11a)과 함께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이 날카롭게 형성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에 의해 절개된 치조골의 뼈가 수용될 수 있도록 하거나 치조골이 원활히 천공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뼈수용홈(12)에 수용된 자가골은 시술 후에 상기 뼈수용홈(12)에서 빼내서 뼈식립 등에 재활용될 수 있다.The
상기 진입저지홈(13)은 상기 팁몸체(11)의 외주면을 따라 나선형으로 다수개가 연이어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팁몸체(11)가 치조골을 천공하기 위해 치조골에 진입할 때 상기 진입저지홈(13)으로 치조골이 유도되어 진입되면서 걸리고, 그에 따라 치조골에 대한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이 저지되면서 상기 팁몸체(11)에 의한 상기 치조골의 급격한 천공을 방지시키는 역할을 한다.A plurality of the
아울러, 상기 진입저지홈(13)은 상기 팁몸체(11)가 타격으로 상기 치조골을 관통하여 상승할 때 진입을 저지하는 치조골의 뼈에 의해 상기 팁몸체(11)가 비틀리면서 상승하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entry preventing groove (13) induces the tip body (11) to be twisted by the bone of the alveolar bone that blocks entry when the tip body (11) .
이와 같이 상기 진입저지홈(13)에 의해 상기 팁몸체(11)의 진입 저지와 비틀림을 통해 치조골을 관통한 후에 상기 팁몸체(11)의 상악동막으로의 진입이 또한 저지되면서 치조골을 따내어 상기 팁몸체(11)에 의한 상악동막의 손상이나 천공이 방지되거나 극소화된다.After the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진입저지홈(13)의 갯수는 3 내지 30개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진입저지홈(13)의 갯수가 3개보다 적으면 치조골의 유도에 의한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의 저지가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고, 상기 진입저지홈(13)의 갯수가 30개보다 많으면 치조골의 유도에 의한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의 저지가 너무 강해 치조졸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진입저지홈은 9개이다.It is preferable that the number of the
또한, 상기 진입저지홈(13)의 나선각은 1 내지 45도인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진입저지홈(13)의 나선각이 1도보다 작으면 상기 진입저지홈(13)의 나선각이 너무 작아 치조골에 대한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의 저지가 원활히 이루어지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고, 상기 진입저지홈(13)의 나선각이 45도보다 크면 치조골에 대한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의 저지가 너무 강해 치조골의 천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되기 때문이다. 여기서, 상기 나선각은 상기 진입저지홈(13)의 나선이 수평면과 이루는 각을 말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lix angle of the
또한, 상기 시술팁(10)은 상기 팁몸체(11)의 후단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정지턱(14)을 더 포함한다. 상기 정지턱(14)은 그 선단이 치조골의 외면에 걸리어 상기 팁몸체(11)의 진입이 정지되거나 제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시술팁(10)은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주면 선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뼈고정홈(15)을 더 포함한다.The
상기 뼈고정홈(15)은 상악동막의 외면에 붙여 있는 치조골의 치밀골이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에 의해 절단된 후에 상기 뼈수용홈(12)으로 진입하다가 걸리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즉, 상기 뼈고정홈(15)은 상악동막의 외면에 붙여 있는 치조골의 치밀골이 절단된 후에 걸리어 고정되면서 상기 치밀골이 상기 상악동막을 들어올려 상기 팁몸체(11)에 의한 상기 상악동막의 손상이나 천공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The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시술팁(10)의 후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시술팁(10)을 지지하면서 그 후단으로 환자의 구강에서 외부로 연장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The
이와 같은 상기 지지대(20)는 상기 시술팁(10)이 형성되는 선단의 수평 부분에서 후단의 수평 부분에 걸쳐 2번 절곡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본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단에서 외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체결부(3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나선체결부(3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으로 여러 가지의 다른 부품들이 나사 결합되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The stri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타격 장치의 사용 상태를 보인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7 and 8 are schematic longitudinal sectional views showing the use state of the strik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술자가 환자의 치아(T) 사이로 임플란트 시술을 위해 치조골(S)을 천공하면서 상기 치조골(S)의 일부와 함께 상악동막(M)을 거상하는 시술을 하게 된다. 이때 시술자가 환자의 치조골(S)에 상기 시술팁(10)을 배치한 상태로 상기 지지대(20)에 타격을 가하면 상기 경사면(11a)이 상기 치조골(S)의 외면에 있는 치밀골(P)을 관통하여 상기 치조골(S)의 내부로 유입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operator performs an operation of elevating the maxillary sinus membrane M together with a part of the alveolar bone S while puncturing the alveolar bone S for implant treatment between the teeth T of the patient. At this time, when the practitioner strikes the
시술자가 상기 지지대(20)를 계속 타격하여 상기 시술팁(10)이 상기 치조골(S)의 내부를 진입하게 되면 상기 치조골(S)의 해면뼈가 상기 진입저지홈(13)으로 유도되면서 상기 팁몸체(11)의 진행이 저지되어 상기 팁몸체(11)가 시술자의 타격에 따라 천천히 상기 치조골(S)을 관통하게 된다.When the practitioner continues to strike the
이때,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으로 상기 뼈수용홈(12)에 처음에 절단된 상기 치밀골(P)이 수용되면서 상기 치조골(S)의 해면뼈가 내부에 수용된다. 상기 팁몸체(11)가 타격으로 계속 상승하면서 상기 진입저지홈(13)에 의해 상기 팁몸체(11) 자체가 약간 비틀리게 된다. 즉, 상기 치조골(S)의 하면에 있는 처음 절단된 상기 치밀골(P)은 상기 뼈수용홈(12)으로 들어가면서 해면뼈와 함께 상기 뼈고정홈(15)에 걸리어 고정된 상태로 상기 진입저지홈(13)에 의해 상기 팁몸체(11)가 약간 비틀리면서 상승된다.At this time, the sponge bone of the alveolar bone S is accommodated in the tip end of the
상기 팁몸체(11)가 상기 뼈고정홈(15)에 고정된 뼈를 비틀면서 들어올려 상기 치조골(S)의 상면에 있는 치밀골(P)을 따내어 파단시키게 된다. 즉, 상기 팁몸체(11)가 뼈를 고정한 상태로 비틀리면서 상승하여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으로 상기 치조골(S)의 상면에 있는 치밀골(P)의 일부가 파단된다. 이와 같이 파단된 치밀골(P)은 상기 팁몸체(11)와 함께 상승되면서 상기 상악동막(M)의 하면으로 진입되면서 상기 상악동막(M)을 직접 들어올리고, 상기 뼈고정홈(15)에 걸리어 고정되면서 상기 뼈수용홈(12)의 선단을 막은 따내어진 상기 치밀골(P)에 의해 상기 팁몸체(11)의 선단이 상기 상악동막(M)에 직접 닿지 않고 상기 치밀골(P)이 맞닿은 상태로 상기 상악동막(M)을 손상시키거나 천공하지 않고 중공부(H)측으로 상기 상악동막(M)을 들어 올리게 된다.The
이와 같이 본 타격 장치는 약간 강한 외력으로 타격하더라도 상기 진입저지홈(13)과 뼈고정홈(15)에 의해 상기 치조골(S)의 천공만 이루어지고 상기 상악동막(M)의 손상이나 천공이 방지된다.
As described above, even if the striking device strikes with a slightly strong external force, only the alveolar bone S is punctured by the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9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타격 장치는 상기 나선체결부(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손잡이(4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손잡이(40)는 시술자가 파지한 상태로 망치 등으로 수동으로 타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the stri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도이다.10 is a schematic side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타격 장치는 상기 나선체결부(3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자동타격기(50)를 더 포함한다. 상기 자동타격기(50)는 시술자가 파지한 상태로 시술자의 조작에 의해 전기, 공압, 유압 등의 공급에 의해 자동으로 구동되면서 상기 지지대(20)와 함께 상기 시술팁(10)에 자동으로 타격력을 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As shown, the stri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n automatic striker (50) detachably mounted on the spiral fastening part (30). The
도 11 및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11 and 12 are schematic sid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대(20)를 관통하여 상기 시술팁(10)의 내측에 설치되는 뼈배출부(6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뼈배출부(60)는 상기 뼈수용홈(12)에 수용된 뼈를 외부로 손쉽게 배출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striking device further includes a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뼈배출부(6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에서 상기 뼈수용홈(12)과 연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관통공(61)과, 상기 관통공(61)의 후방측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공(62)과,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배출판(63)과, 상기 회전배출판(63)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61)과 나선공(62)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봉(64)과, 상기 회전봉(64)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나선공(62)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봉(65)과, 상기 나선봉(65)의 후단에 부착되는 회전손잡이(66)를 포함한다.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뼈배출부(60)는 시술자가 상기 회전손잡이(66)를 회전시키면 상기 나선공(62)을 따라 상기 나선봉(65)이 회전되면서 전진되고, 그에 따라 상기 관통공(61)을 따라 상기 회전봉(64)이 전진하면서 상기 뼈수용홈(12)에 있는 상기 회전배출판(63)이 회전하면서 전진하여 상기 뼈수용홈(12)에 있는 뼈를 상기 뼈수용홈(12)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When the operator rotates the
상기 뼈수용홈(12)에 있는 뼈의 배출이 완료된 후에는 상기 회전손잡이(66)를 역회전시켜 상기 나선공(62)을 따라 상기 나선봉(65)을 역회전시켜 상기 나선봉(65)을 후진시키고, 상기 나선봉(65)의 후진에 의해 상기 관통을 따라 상기 회전봉(64)이 후진되면서 상기 회전배출판(63)이 후진되어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측 단부에 걸리면서 처음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ischarge of the bone in the
도 13 및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개략적인 요부 측단면도이다.Figs. 13 and 14 are schematic side sectional views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타격 장치의 상기 뼈배출부(6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에서 상기 뼈수용홈(12)과 연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연통공(61a)과, 상기 연통공(61a)의 후방측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설치공(62a)과,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측에 배치되는 푸시배출판(63a)과, 상기 푸시배출판(63a)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공(61a)과 설치공(62a)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봉(64a)과, 상기 수평봉(64a)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설치공(62a)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가압봉(65a)과, 상기 설치공(62a)의 선단과 상기 가압봉(65a)의 선단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봉(64a)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66a)과, 상기 가압봉(65a)의 후단에 부착되는 푸시판(67a)을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이와 같이 구성되는 상기 뼈배출부(60)는 시술자가 상기 푸시판(69a)을 누르면 설치공(62a)을 따라 상기 가압봉(65a)이 상기 설치공(62a)의 내측에서 전진되면서 상기 스프링(66a)을 가압하게 되고, 이때 상기 가압봉(65a)과 함께 상기 수평봉(64a)이 상기 연통공(61a)을 따라 전진하면서 상기 뼈수용홈(12)에 있던 상기 푸시배출판(63a)이 전진하면서 상기 뼈수용홈(12)에 수용된 뼈를 상기 뼈수용홈(12)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When the practitioner presses the push plate 69a, the
반대로, 시술자가 상기 푸시판(67a)의 누름을 해제하면 상기 가압된 스프링(66a)이 가압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스프링(66a)이 탄성 복원되고 그에 따라 상기 가압봉(65a)과 수평봉(64a)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면서 상기 푸시배출판(63a)이 원래의 위치로 복귀되어 처음의 상태가 된다.On the contrary, when the practitioner releases the pressing of the
여기서, 상기 가압봉(65a)의 수평 방향의 전진은 상기 스프링(66a)의 최대 압축 범위까지로 제한된다.
Here, the horizontal advancement of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It is clear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itably modified and applied in the same manner. Therefore, the above description does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fined by the limitations of the following claims.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 시술팁
11 : 팁몸체 11a : 경사면
12 : 뼈수용홈 13 : 진입저지홈
14 : 정지턱 15 : 뼈고정홈
20 : 지지대
30 : 나선체결부
40 : 손잡이
50 : 자동타격기
60 : 뼈배출부
61 : 관통공 62 : 나선공
63 : 회전배출판 64 : 회전봉
65 : 나선봉 66 : 회전손잡이
61a : 연통공 62a : 설치공
63a : 푸시배출판 64a : 수평봉
65a : 가압봉 66a : 스프링
67a : 푸시판
S : 치조골 P : 치밀골
M : 상악동막 T : 치아
H : 중공부10: Procedure Tips
11:
12: bone receiving groove 13: entry preventing groove
14: stop jaw 15: bone fixing groove
20: Support
30: Helical fastening part
40: Handle
50: Automatic striker
60:
61: Through hole 62: Spiral ball
63: Revolving boat publication 64: Revolving bar
65: spindle 66: rotary knob
61a:
63a:
65a:
67a: push plate
S: Alveolar bone P: Fine bone
M: Sinus membrane T: Teeth
H: hollow portion
Claims (8)
상기 시술팁(10)의 후단에 연장되게 형성되는 지지대(20)를; 포함하고,
상기 시술팁(10)은,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주면 선단 둘레에 수평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뼈고정홈(1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And a bone receiving groove formed inward from the tip of the tip body so that the tip of the tip body is sharpened. And a plurality of teeth formed continuously along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tip body 11 so as to prevent entry of the tip body 11 into the alveolar bone, A treatment tip 10 including a blocking groove 13;
A support base 20 extending from a rear end of the operation tip 10; Including,
The surgical tip 10,
Further comprising a plurality of bone fixation grooves (15) formed horizontally around the distal end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ne receiving groove (12).
상기 시술팁(10)은,
상기 팁몸체(11)의 후단 둘레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정지턱(14)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urgical tip 10,
A stopper (14) protru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tip body (11)
Further comprising: a stapling device for stapling the dentistry.
상기 진입저지홈(13)의 갯수는, 3 내지 30개이고,
상기 진입저지홈(13)의 나선각은, 1 내지 45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number of the entry preventing grooves 13 is 3 to 30,
And the helical angle of the entry blocking groove (13) is 1 to 45 degrees.
상기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대(2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고 시술자가 파지한 상태로 자동으로 타격력을 가할 수 있는 자동타격기(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king device includes:
An automatic striker (50) detachably mounted on the support (20) and capable of automatically applying a striking force in a state held by a practitioner;
Further comprising: a stapling device for stapling the dentistry.
상기 타격 장치는,
상기 지지대(20)를 관통하여 상기 시술팁(10)의 내측에 설치되고, 상기 뼈수용홈(12)에 수용된 뼈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뼈배출부(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striking device includes:
A bone discharging part 60 penetrating through the support 20 and installed inside the treatment tip 10 for discharging the bone contained in the bone receiving groove 12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a stapling device for stapling the dentistry.
상기 뼈배출부(6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에서 상기 뼈수용홈(12)과 연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관통공(61)과,
상기 관통공(61)의 후방측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나선공(62)과,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배출판(63)과,
상기 회전배출판(63)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관통공(61)과 나선공(62)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회전봉(64)과,
상기 회전봉(64)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나선공(62)에 나사 결합되는 나선봉(65)과,
상기 나선봉(65)의 후단에 부착되는 회전손잡이(6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one discharging portion (60)
A through hole 61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ne receiving groove 12 from the rear of the support 20,
A spiral hole 62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through hole 61 and having a thread on an inner peripheral surface thereof,
A rotation discharge plate 63 disposed inside the bone receiving groove 12,
A rotation bar 64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rotary discharge plate 63 and the other end provided horizontally movably to the through hole 61 and the helical hole 62,
A spiral bar 65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rotation bar 64 and screwed to the spiral hole 62,
And a rotary knob 66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spiral bar 65,
And the striking device for dental treatment.
상기 뼈배출부(60)는,
상기 지지대(20)의 후방에서 상기 뼈수용홈(12)과 연통되게 수평으로 형성되는 연통공(61a)과,
상기 연통공(61a)의 후방측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단턱지게 형성되는 설치공(62a)과,
상기 뼈수용홈(12)의 내측에 배치되는 푸시배출판(63a)과,
상기 푸시배출판(63a)의 배면에 일단이 부착되고 타단이 상기 연통공(61a)과 설치공(62a)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수평봉(64a)과,
상기 수평봉(64a)의 후단에 부착되고 상기 설치공(62a)에 수평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선단에 단턱이 형성되는 가압봉(65a)과,
상기 설치공(62a)의 선단과 상기 가압봉(65a)의 선단 사이에 지지되고 상기 수평봉(64a)의 둘레에 끼워지는 스프링(66a)과,
상기 가압봉(65a)의 후단에 부착되는 푸시판(67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시술용 타격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6,
The bone discharging portion (60)
A communication hole 61a formed horizontally so as to communicate with the bone receiving groove 12 from the rear of the support 20,
An installation hole 62a which is formed on the rear side of the communication hole 61a and has one side formed as a step,
A push plate 63a disposed inside the bone receiving groove 12,
A horizontal bar 64a having one end attached to the back surface of the pushbutton plate 63a and the other end horizontally movably provided in the communication hole 61a and the installation hole 62a,
A pressure bar 65a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horizontal bar 64a and horizontally movably installed in the installation hole 62a,
A spring 66a supported between the tip of the mounting hole 62a and the tip of the pressing rod 65a and fitted around the horizontal rod 64a,
A push plate 67a attached to the rear end of the pressing rod 65a,
And the striking device for dental treatmen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060A KR101613830B1 (en) | 2014-06-13 | 2014-06-13 |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2060A KR101613830B1 (en) | 2014-06-13 | 2014-06-13 |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3065A KR20150143065A (en) | 2015-12-23 |
KR101613830B1 true KR101613830B1 (en) | 2016-04-19 |
Family
ID=550823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2060A Active KR101613830B1 (en) | 2014-06-13 | 2014-06-13 |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3830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42100A3 (en) * | 2019-05-27 | 2021-02-04 | 주식회사 덴티움 | Impactor for medical procedur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43741B1 (en) * | 2016-05-04 | 2018-03-30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Jawbone Incising Device |
KR101941188B1 (en) * | 2018-03-22 | 2019-01-22 |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 Jawbone Incising Device |
KR102670067B1 (en) * | 2023-11-09 | 2024-05-28 | 조대성 | Maxillary sinus elevation device for hand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1173Y1 (en) * | 2001-02-03 | 2001-07-03 | 권성오 | osteotome for operating implant |
KR100918820B1 (en) | 2007-10-29 | 2009-09-25 | 한범규 | Implant Reamers |
US20120244497A1 (en) * | 2011-03-23 | 2012-09-27 | Salah Huwais | Fluted osteotome and surgical method for use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92668B1 (en) | 2011-03-25 | 2012-10-19 | 주식회사 이노바이오써지 | Maxillary Sinus elevator |
-
2014
- 2014-06-13 KR KR1020140072060A patent/KR101613830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31173Y1 (en) * | 2001-02-03 | 2001-07-03 | 권성오 | osteotome for operating implant |
KR100918820B1 (en) | 2007-10-29 | 2009-09-25 | 한범규 | Implant Reamers |
US20120244497A1 (en) * | 2011-03-23 | 2012-09-27 | Salah Huwais | Fluted osteotome and surgical method for use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20242100A3 (en) * | 2019-05-27 | 2021-02-04 | 주식회사 덴티움 | Impactor for medical procedur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3065A (en) | 2015-12-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6821557B (en) | Without bar humeral component and relevant surgical instruments and method | |
JP5162663B2 (en) | Maxillary sinus elevation drill | |
JP4695198B2 (en) | Implant drill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 |
KR100660374B1 (en) | Implant Drill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 |
KR100981717B1 (en) | Maxillary sinus drill drill tool | |
US8075564B2 (en) | Piezotome for maxillary sinus operation | |
KR100630304B1 (en) | Implant Expansion Machine | |
KR100619145B1 (en) | Implant Drill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 |
US8083747B2 (en) | Maxillary sinus bone graft method using the sinus lift drill (SLD) and hydraulic effect | |
KR101613830B1 (en) | Beating apparatus for dental operation | |
US20100266984A1 (en) | Bur for maxillary sinus augmentation | |
JP2009131634A (en) | Reamer for operating implant | |
KR101113306B1 (en) | Drill unit for sinus membrane lift | |
KR100981718B1 (en) | Implant Drills | |
CN109303578A (en) | Use the unknotted type suture anchoring of two axis of cone | |
KR102581637B1 (en) | Drill for dental implant procedure | |
KR101192979B1 (en) | Electromotive maxillary sinus lifting apparatus | |
EP3399941B1 (en) | Drill-less dental implant and uses thereof | |
KR100950592B1 (en) | Implant Drill for Maxillary Sinus Elevation | |
KR20090102261A (en) | An implant drill | |
WO2015087321A1 (en) | Sinus lift apparatus and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40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3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51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