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3512B1 - Interposer assembly - Google Patents

Interpose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3512B1
KR101613512B1 KR1020140110673A KR20140110673A KR101613512B1 KR 101613512 B1 KR101613512 B1 KR 101613512B1 KR 1020140110673 A KR1020140110673 A KR 1020140110673A KR 20140110673 A KR20140110673 A KR 20140110673A KR 101613512 B1 KR101613512 B1 KR 1016135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poser
housing
cover
terminal
fram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106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24175A (en
Inventor
김미주
신희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Priority to KR10201401106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3512B1/en
Priority to PCT/KR2014/010408 priority patent/WO2016032053A1/en
Publication of KR20160024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17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3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3512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2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결 대상 부재와 인터포저의 터미널 간의 솔더링 공정이 필요 없으며, 또한 연결 대상 부재 상에서 인터포저의 흔들림 없는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인터포저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며 반대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갖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인터포저; 수평 부재 및 수평 부재 양 종단에서 각각 연장된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인터포저의 터미널의 제 1 접촉편이 노출된 하우징의 제 1 표면부를 수평 부재가 덮고 인터포저의 하우징의 양 측면 부재에 수직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인터포저에 체결된 커버; 및 다수의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인터포저가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discloses an interposer assembly that does not require a soldering process between a member to be connected and a terminal of an interposer, and can maintain the interposer mounted state without interfering on a member to be connected. An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poser including a housing and a terminal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the interposer including a terminal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respectively formed at opposite ends; A horizontal member and a vertical member each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to cover the first surface portion of the housing in which the first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is exposed and the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correspond to both side members of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A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interpos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terpos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which are open, and the space formed at the center includes a frame in which the interposer is disposed.

Description

인터포저 조립체{Interposer assembly}[0001] Interposer assembly [0002]

본 발명은 인터포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terposer assembly.

일반적으로, 외부의 장치와 인쇄 회로 기판 간의 전기적인 연결을 구현하기 위하여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Board To Board type connector)가 사용된다. 이 보드 투 보드 방식의 컨넥터는 도전성 패턴이 포함된 플렉시블 인쇄 회로 기판("FPCB")과 인쇄 회로 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Generally, a board to board type connector is used to realize an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an external device and a printed circuit board. This board-to-board type connector electrically connects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with a conductive pattern to a printed circuit board.

일반적인 보드 투 보드 컨넥터는 하우징 및 하우징 내에 고정적으로 배치된 다수의 콘택트(또는 "터미널"로도 칭함)를 포함한다. 각 콘택트는 도전성 재료, 즉 금속 재료로 이루어진다. FPCB와 컨넥터의 결합시, FPCB의 각 도전성 패턴은 컨넥터의 대응 콘택트와 접촉하여 케이블과 컨넥터는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A typical board-to-board connector includes a housing and a plurality of contacts (also referred to as "terminals ") fixedly disposed within the housing. Each contact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that is, a metal material. When the FPCB and the connector are coupled, each conductive pattern of the FPCB contacts the corresponding contact of the connector, and the cable and the connector are electrically connected.

한편, 컨넥터의 다른 일측에는 외부 장치를 구성하는 인쇄 회로 기판이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FPCB와 인쇄 회로 기판은 컨넥터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On the other h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constituting the external device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connector, so that the FPCB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connector.

이와 같이, FPCB를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컨넥터는 비교적 부피가 크기 때문에 컨넥터가 장착되는 전자 장치의 부피가 커진다는 문제를 갖고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connector used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PCB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has a problem in that the volume of the electronic device to which the connector is mounted is large because the connector is relatively bulky.

또한, 하우징 내에 다수의 콘택트를 미세한 간격을 유지한 상태로 배치시켜야 하며, 또한 어느 한 콘택트에 변형이 발생하는 경우, FPCB와 인쇄 회로 기판의 완전한 전기적 접속을 기대할 수 없다. Further, it is necessary to arrange a plurality of contacts in the housing in a state in which a minute gap is maintained, and in the case where deformation occurs in any one of the contacts, complet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FPCB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can not be expected.

한편, 외부 케이블의 하나로써 위와 같은 컨넥터를 이용하지 않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직접 실장되어 인쇄 회로 기판의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포저(interposer)가 개발, 사용되고 있다. Meanwhile, as an external cable, an interposer, which is directly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and electrically connected to a pattern of a printed circuit board, is developed and used without using the connector as described above.

인터포저는 하우징에 다수의 터미널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되며, 각 터미널의 양 종단부는 하우징의 상부면 및 하부면 상으로 노출된다. 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의 한 종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의 도전성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다른 한 종단부는 인쇄 회로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야할 대상물, 예를 들어 플렉서블 회로 기판(FPC) 케이블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The interposer has a plurality of terminals arranged in a matrix in the housing, and both ends of each terminal are ex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using. One end of th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other e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object to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for example, a flexible circuit board (FPC) Lt; / RTI >

이와 같은 인터포저가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될 때, 인터포저를 흔들림 없이 고정시켜 줌과 동시에 인터포저를 구성하는 기판에 형성된 터미널과 인쇄 회로 기판 상의 도전성 패턴을 견고하게 그리고 안정적으로 접촉시켜줄 수 있는 수단/장치가 요구된다. When such an interposer is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it is possible to fix the interposer without shaking, and to firmly and stably contact the terminal formed on the substrate constituting the interposer and the conductive patter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Means / devices are required.

한편, 이와 같은 인터포저와 FPC 케이블을 연결하기 위하여 솔더 볼(soldeer ball)을 이용한다. 즉, 인터포저의 터미널에 솔더링 공정을 통하여 솔더 볼을 형성하고, 이 솔더 볼을 FPC 케이블의 접점에 솔더링시킴으로서 인터포저와 FPC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2차례의 솔더링 공정이 진행되기 때문에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솔더링 공정을 진행하지 않고 인터포저의 터미널과 인쇄 회로 기판의 전기적 연결 그리고 인터포저의 터미널과 FPC 케이블의 전기적 연결을 진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On the other hand, a solder ball is used to connect the FPC cable with the interposer. That is, a solder ball is formed on a terminal of the interposer through a soldering process, and the solder ball is soldered to the contact of the FPC cable, thereby electrically connecting the interposer and the FPC cable. Therefore, since the soldering process is performed twice, there is a problem that productivity is lowered.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is desirable to procee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the electrical connection between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and the FPC cable without performing the soldering process.

본 발명은 인터포저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결 대상 부재와 인터포저의 터미널 간의 솔더링 공정이 필요 없으며, 또한 연결 대상 부재 상에서 인터포저의 흔들림 없는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인터포저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 of the interposer,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nterposer which does not require a soldering process between a connection target member and a terminal of an interposer, Assemblies. ≪ / RTI >

이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는, 하우징 및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며 반대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갖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인터포저; 수평 부재 및 수평 부재 양 종단에서 각각 연장된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인터포저의 터미널의 제 1 접촉편이 노출된 하우징의 제 1 표면부를 수평 부재가 덮고 인터포저의 하우징의 양 측면 부재에 수직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인터포저에 체결된 커버; 및 다수의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인터포저가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n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interposer including a housing and a terminal inserted into a through hole formed in a housing, the interposer including a terminal having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respectively formed at opposite ends thereof; A horizontal member and a vertical member each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to cover the first surface portion of the housing in which the first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is exposed and the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correspond to both side members of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A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interposer in a state of being in contact with the interposer; And a plurality of vertical members, the upper and lower ends of which are open, and the space formed at the center includes a frame in which the interposer is disposed.

여기서, 서로 결합된 인터포저와 커버 사이에는 제 1 연결 대상 부재(예를 들어 FPC 케이블)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대상 부재의 접점이 인터포저의 터미널의 제 1 접촉편과 접촉하고, 제 2 연결 대상 부재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장착된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는 커버가 결합된 인터포저가 장착되어 인터포저의 하우징의 제 2 표면부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의 제 2 접촉편이 제 2 연결 대상 부재에 형성된 접점과 접촉하여 제 1 연결 대상 부재와 제 2 연결 대상 부재가 인터포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Here, the contact of the first obje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bject to be connected (for example, FPC cable) is disposed between the interposer and the cover, The interspace of the frame mounted on the member to be connected (for example, a printed circuit board) is fitted with an interposer with a cover, so that the second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poser in contact with the contact formed on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의 하단에 수평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된 장착편이 구성되어 있어 이 장착편이 제 2 연결 대상 부재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은 제 2 연결 대상 부재에 고정적으로 장착된다.The frame constituting the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mounting piece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ly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side member, and the mounting member is fixed to the second connection object member, As shown in Fig.

한편, 커버의 수평 부재의 에지부 중 수직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에지부에 상향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의 수평 부재의 에지부 중 수직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에지부의 하향 연장된 멈춤편이 형성된다.On the other hand, out of the edge portions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cover, extending portions extending upward are formed in the edge portions where the vertical members are not formed. Further, a downwardly extending stop piece of the edg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cover on which the vertical member is not formed is formed.

이와 함께, 커버는 수직 부재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체결부를 갖고 있어 커버가 인터포저의 하우징에 체결될 때, 체결부가 하우징의 저면에 대응한다.In addition, the cover has a horizontally extending fastening portion bent i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so that when the cover is fastened to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the fastening portion corresponds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다른 인터포저 조립체는 연결 대상 부재와 인터포저의 터미널 간의 솔더링 공정이 필요 없으며, 또한 연결 대상 부재 상에서 인터포저의 흔들림 없는 장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In the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the soldering process between the connection target member and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is not required, and the interposer can be mounted on the connection target member without swinging.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인터포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인터포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터미널의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우징과 터미널이 결합된 인터포저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버 및 프레임의 사시도.
도 6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인터포저에 플렉서블 회로 기판(FPC) 케이블을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7a 및 도 7b는 FPC 케이블이 실장된 인터포저에 커버가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8a 및 도 8b는 커버가 장착된 인터포저를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 및 장착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
도 9a 및 도 9b는 커버와 프레임의 관계를 도시한 도면.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constituting an interposer,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FIG.
Figures 3a and 3b are top and bottom perspective views of the interposer with the housing and terminal shown in Figures 1 and 2;
Figures 4 and 5 are perspective views of a cover and a frame that make up the interposer assembly in accordance with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circuit board (FPC) cable is mounted on the interposer shown in Figs. 3A and 3B. Fig.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a cover is mounted on an interposer in which an FPC cable is mounted.
FIGS.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mounting the interposer with a cover mounted on a printed circuit board, respectively; FIGS.
9A and 9B are diagrams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cover and a frame.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constitute an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인터포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1은 인터포저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사시도 그리고 도 2는 터미널의 사시도이다.1 and 2 are views showing an interposer constituting an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housing constituting an interposer, and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terminal.

인터포저를 구성하는 하우징(10)은 일반적으로 합성 수지 재료로 이루어지며, 본체(11) 및 본체(11)에 형성된 다수의 관통공(12)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 관통공(12)은 본체(11)의 평면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된다. The housing 10 constituting the interposer is generally made of a synthetic resin materia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formed in the main body 11 and the main body 11. Here, each of the through holes 12 is formed in a direction orthogonal to the plane of the main body 11.

터미널(20)은 하우징(10)의 각 관통공(12)에 삽입, 장착되는 부재로서, 도전성 재료로 이루어지며, 상단 및 하단에는 제 1 및 제 2 접촉편(21 및 22)이 각각 구성되어 있다. The terminal 20 is a member to be inserted into each through hole 12 of the housing 10 and is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and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21 and 22 are respectively formed at the upper and lower ends have.

도 3a 및 도 3b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하우징(10)과 터미널(20)이 결합된 구조의 인터포저(I)의 상부 사시도 및 하부 사시도로서, 터미널(20)이 하우징(10)의 각 관통공(12) 내에 삽입, 장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3A and 3B are an upper perspective view and a lower perspective view of an interposer I having a structure in which the housing 10 and the terminal 20 shown in Figs. 1 and 2 are combined, in which the terminal 20 is housed in the housing 10, In the through holes 12 of the base body 12, respectively.

하우징(10)의 각 관통공(12)에 터미널(20)이 삽입된 상태에서, 터미널(20)의 제 1 및 제 2 접촉편(21 및 22)은 하우징(10)의 상부 표면 및 하부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도 3a 및 도 3b의 상태).The first and second contact pieces 21 and 22 of the terminal 20 are pressed against the upper surface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in a state in which the terminal 20 is inserted into each of the through holes 12 of the housing 10,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e state of FIGS. 3A and 3B).

도 1, 도 3a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는 터미널(20)이 내부에 배치되는 다수의 관통공(12)이 매트릭스 형태로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다수의 터미널이 평행한 2열 형태로 배치된 일반적인 컨넥터과 비교하여, 동일 면적에 다수의 터미널(20)을 배치할 수 있으며, 그로 인하여 제품의 규격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3A and 3B, the housing 10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12 in which terminals 20 are arranged, arranged in a matrix, so that a plurality of terminals are parallel It is possible to arrange a plurality of terminals 20 in the same area as compared with a general connector arranged in a two-row form, thereby significantly reducing the size of the product.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인터포저는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공지된 것으로서, 인터포저 자체의 세부적인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The interposer constituting the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well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terposer itself is omitted.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커버의 사시도로서, 커버(30)는 평판형 수평 부재(30-1) 및 수평 부재(30-1)의 양 측단에서 각각 절곡되어 하향 연장된 수직 부재(31 및 32)로 이루어진다.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ver constituting the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ver 30 is folded and extended downward at both ends of the flat plate type horizontal member 30-1 and the horizontal member 30-1, And vertical members 31 and 32.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프레임의 사시도로서, 프레임(40)은 서로 연결된 다수의 수직 측면 부재(41, 42, 43 및 44)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프레임(40)의 안쪽에는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공간이 형성되며, 이 공간 내에 위에서 설명된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이 배치된다.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frame constituting the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rame 40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vertical side members 41, 42, 43 and 44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fore, a space in which the upper end and the lower end are opened is formed inside the frame 40, and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described above is disposed in this space.

위에서 설명된 하우징(10)과 터미널(20)을 포함하는 인터포저(I), 커버(30) 그리고 프레임(40)을 이용하여 인터포저 조립체를 구성하는 과정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 상에 실장하는 과정을 각 도면을 통하여 설명한다.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interposer assembly using the interposer I, the cover 30 and the frame 40 including the housing 10 and the terminal 20 described above and the process of mounting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6은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인터포저에 플렉서블 회로 기판(flexible print circuit board; "FPC")케이블을 실장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6 is a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 cable is mounted on the interposer shown in FIGS. 3A and 3B.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에 터미널(20)이 장착되어 구성된 인터포저(I)의 상부에 FPC 케이블(F)의 종단부를 대응시킨다. As shown in Figs. 3A and 3B, a terminal 20 is mounted on the housing 10 to correspond to an end portion of the FPC cable F on the upper portion of the interposer I constructed.

여기서,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FPC 케이블(F)의 표면에는 다수의 도전성 패턴이 형성되어 있으며, 종단부에는 도전성 패턴에 연결된 다수의 도전성 접점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도전성 접점의 배열은 인터포저(I)의 터미널(20), 즉 제 1 접촉편(21)의 배열과 동일하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pattern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FPC cable F, and a plurality of conductive contacts connected to the conductive patterns are formed on the end portions. In particular,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ive contacts is the same as the arrangement of the terminals 20 of the interposer I, that is, the first contact pieces 21.

인터포저(I)의 터미널(20)의 제 1 접촉편(21)과 FPC 케이블(F)의 도전성 접점을 대응시킨 상태에서 커버(30)를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에 체결한다 (도 7a 및 도 7b의 상태). The cover 3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contact piece 21 of the terminal 20 of the interposer I and the conductive contact of the FPC cable F are made to correspond to each other (The states of FIGS. 7A and 7B).

도 7a 및 도 7b는 FPC 케이블(F)이 배치된 인터포저(I)에 커버(30)를 장착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7a는 인터포저(I)의 상부 사시도 그리고 도 7b는 하부 사시도(즉, 도 7a의 인터포저를 180도 뒤집은 상태)이다. 7A and 7B are views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cover 30 is mounted on the interposer I in which the FPC cable F is disposed. FIG. 7A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poser I, (I.e., the interposer of FIG. 7A is turned 180 degrees).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평판형 수평 부재(30-1)는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의 상부면, 실질적으로는 FPC 케이블(F)의 상부에 위치하며, 양 수직 부재(31 및 32)는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고정적으로 위치한다. 따라서, FPC 케이블(F)과 인터포저(I)는 커버(30)에 의하여 서로 대응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7A and 7B, the flat plate-like horizontal member 30-1 of the cover 30 is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substantially the upper surface of the FPC cable F And both vertical members 31 and 32 are fixedly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 Therefore, the FPC cable F and the interposer I maintain the state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by the cover 30. [

여기서, 인터포저(I)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30)의 세부 구성은 후에 설명한다. Here,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ver 30 for supporting the interposer I will be described later.

한편,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의 하부면에서는 터미널(20)의 제 2 접촉편(22)이 하우징(10) 외부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한다(도 7b 참조).On the other han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the second contact piece 22 of the terminal 20 is kep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housing 10 (see FIG.

이와 같이 커버(30)에 의하여 FPC 케이블(F)과 결합된 인터포저(I)는 프레임(40)을 통하여 (외부 장치의) 인쇄 회로 기판에 실장된다. Thus, the interposer I coupled with the FPC cable F by the cover 30 is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on the external device) through the frame 40.

도 8a 및 도 8b는 커버가 장착된 인터포저를 인쇄 회로 기판에 장착하기 전의 상태 및 장착한 후의 상태를 각각 도시한 도면으로서, 먼저 인쇄 회로 기판(P) 상의 설정된 위치에 프레임(40)을 고정적으로 장착한다 (도 8a의 상태). 8A and 8B are views showing a state before and after mounting the interposer with a cover on a printed circuit board, respectively. First, the frame 40 is fixed to a predetermined position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 (Fig. 8A).

도 5 및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4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44; 측면은 도면 기준)의 하단에는 수평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된 장착편(44-1)이 구성되어 있으며, 이 장착편(44-1)을 인쇄 회로 기판(P)에 고정시킴으로써 프레임(40)은 인쇄 회로 기판(P) 상에 고정적으로 실장된다.As shown in Figs. 5 and 8A, a mounting piece 44-1 extending horizontally outward is formed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side member 44 (side view is a drawing reference) of the frame 40, The frame 40 is fixedly mount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P by fixing the mounting piece 44-1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P. [

한편, 프레임(40)의 내측부에 형성된 공간부를 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P)의 표면에 형성된 다수의 접점(P-1)이 외부로 노출된다. 이 상태에서, 커버(30)에 의하여 FPC 케이블(F)과 결합된 인터포저(I)가 프레임(40)의 내부 공간으로 삽입, 수용된다(도 8b의 상태). 따라서,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의 하부면 상으로 노출된 터미널(20)의 제 2 접촉편(22)은 인쇄 회로 기판(P)의 다수의 접점(P-1)이 대응, 접촉한다. On the other hand, a plurality of contacts P-1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P ar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space formed in the inner side of the frame 40. [ In this state, the interposer I coupled with the FPC cable F by the cover 30 is inserted and accommodated in the inner space of the frame 40 (the state of Fig. 8B). The second contact piece 22 of the terminal 20 ex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is thu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contact points P- Contact.

결과적으로, FPC 케이블(F)과 인쇄 회로 기판(P)은 인터포저(I)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특히, 인터포저(I)는 프레임(40)과 커버(30)를 통하여 인쇄 회로 기판(P) 상에서 안정적인 실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As a result, the FPC cable F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P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poser I, and in particular, the interposer I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I via the frame 40 and the cover 30. [ A stable mounting state can be maintained on the substrate P.

한편,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포저(I)의 높이, 즉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의 높이가 프레임(40)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커버(30)에 의하여 인터포저(I)의 상부에 장착된 FPC 케이블(P)은 굴곡없이 프레임(40)의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8B, since the height of the interposer I, that is, the height of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frame 40, The FPC cable P mount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feeler I can be extended to the outside of the frame 40 without bending.

인터포저(I)를 지지하기 위한 커버(30)의 세부 구성을 커버(30)와 프레임(40)의 관계를 도시한 도 9a 및 도 9b를 통하여 설명한다. 한편, 프레임(30)과 커버(40)의 상부 사시도인 도 9a 그리고 하부 사시도인 도 9b에서는 커버(30)의 구성을 명확하게 도시하기 위하여 인터포저를 제거한 상태로 도시하였다. The detailed structure of the cover 30 for supporting the interposer I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A and 9B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ver 30 and the frame 40. Fig. 9A, which is an upper perspective view of the frame 30 and the cover 40, and FIG. 9B, a lower perspective view, the interposer is shown in a state in which the interposer is removed in order to clearly show the structure of the cover 30. FIG.

도 4 그리고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수평 부재(30-1)의 에지부 중에서, 수직 부재(31 및 32)가 형성되지 않은 적어도 양 에지부에 상향 연장된 연장편(34 및 35)이 형성되어 있다. 작업자는 이 연장편(34 및 35)을 통하여 커버(30)의 이동 및 장착을 진행한다. 여기서, 수평 부재의 어느 하나의 에지부에 연장편이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4 and 9A, out of the edge portions of the horizontal member 30-1 of the cover 30, the extending pieces extending upwardly from at least both edge portions where the vertical members 31 and 32 are not formed 34 and 35 are formed. The operator proceeds to move and mount the cover 30 through the extension pieces 34 and 35. Needless to say, an extending piece may be formed at any one of the edge portions of the horizontal member.

한편,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30)의 수평 부재(30-1)의 에지부 중에서, 수직 부재(31 및 32)가 형성되지 않은 하나의 에지부의 양 측부(즉, 연장편(35)의 양 측부)에는 하향 연장된 멈춤편(33)이 형성되어 있다. 위에서 설명된 FPC 케이블(F)의 선단이 이 멈춤편(33)의 내부면에 접촉함으로써 FPC 케이블(F)의 종단이 커버(30)의 외부로 노출되지는 않는다.9B, of the edge portions of the horizontal member 30-1 of the cover 30, both side portions of one edge portion where the vertical members 31 and 32 are not formed (i.e., 35) is formed with a detent piece 33 extending downward. The tip of the FPC cable F described above does not contact the inner surface of the detent piece 33 so that the end of the FPC cable F is not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ver 30. [

이와 함께, 커버(30)의 수직 부재(31 및 32)의 하단은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체결부(31-1, 32-1)가 형성되어 있다. 커버(30)가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에 체결될 때, 커버(30)의 수직 부재(31 및 32)는 하우징(10)의 양 측면에 대응하며, 수직 부재(31 및 32) 하단의 수평 체결부(31-1, 32-1)가 하우징(10)의 저면에 대응한다. 따라서, 커버(30)와 인터포저(I)의 하우징(10)은 분리되지 않는다.At the same time, the lower ends of the vertical members 31 and 32 of the cover 30 are bent inward to form horizontally extending fastening portions 31-1 and 32-1. When the cover 30 is fastened to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the vertical members 31 and 32 of the cover 30 correspond to both sides of the housing 10 and the vertical members 31 and 32 ) Horizontal coupling portions 31-1 and 32-1 correspon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housing 10, respectively. Therefore, the cover 30 and the housing 10 of the interposer I are not separated.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Claims (7)

하우징 및 하우징에 형성된 관통공에 삽입, 장착되며 반대 종단에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접촉편을 갖는 터미널을 포함하는 인터포저;
수평 부재 및 수평 부재 양 종단에서 각각 연장된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인터포저의 터미널의 제 1 접촉편이 노출된 하우징의 제 1 표면부를 수평 부재가 덮고 인터포저의 하우징의 양 측면 부재에 수직 부재가 각각 대응하는 상태로 인터포저에 체결되며, 커버의 수평 부재의 에지부 중 수직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에지부에 하향 연장된 멈춤편이 형성되어 있는 커버; 및
다수의 수직 부재로 이루어져 상단 및 하단이 개방된 형태를 가지며, 중앙부에 형성된 공간에는 인터포저가 배치된 프레임을 포함하여,
서로 결합된 인터포저와 커버 사이에 제 1 연결 대상 부재가 배치된 상태에서 제 1 대상 부재의 접점이 인터포저의 터미널의 제 1 접촉편과 접촉하고,
제 2 연결 대상 부재 상에 장착된 프레임의 내부 공간에는 커버가 결합된 인터포저가 장착되어 인터포저의 하우징의 제 2 표면부 외부로 노출된 터미널의 제 2 접촉편이 제 2 연결 대상 부재에 형성된 접점과 접촉하여 제 1 연결 대상 부재와 제 2 연결 대상 부재가 인터포저를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포저 조립체.
An interposer including a housing and a terminal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formed in the housing and having a first contact piece and a second contact piece respectively formed at opposite ends;
A horizontal member and a vertical member each extending from both ends of the horizontal member to cover the first surface portion of the housing in which the first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is exposed and the vertical members respectively correspond to both side members of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A cover which is fastened to the interposer in a state where the vertical member is not formed, and a stop piece extending downward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of the edg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cover in which the vertical member is not formed; And
And a frame having an interposer disposed in a space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frame,
The contact of the first object member is in contact with the first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of the interposer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object to be connected is disposed between the interposer and the cover,
The interposer having the cover coupled thereto is mounted in the internal space of the frame mounted on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so that the second contact piece of the terminal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second surface portion of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is connected to the contact And the first connection target member and the second connection target member are electrically connected through the interposer.
제1항에 있어서, 다수의 관통공은 하우징에 매트릭스 형태로 배치된 인터포저 조립체.The interpose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disposed in a matrix in the housing.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은 적어도 하나의 측면 부재의 하단에 수평 상태로 외측으로 연장된 장착편이 구성되어 있어 이 장착편이 제 2 연결 대상 부재에 고정됨으로써 프레임은 제 2 연결 대상 부재에 고정적으로 장착되는 인터포저 조립체.The fram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rame comprises a mounting piece horizontally extending outwardly at the lower end of at least one side member, the frame being fixedly attached to the second connection object member by fixing the mounting piece to the second connection object member Lt; / RTI > assembly. 제1항에 있어서, 인터포저는 그 높이가 프레임의 높이와 동일한 인터포저 조립체.2. The interposer assembly of claim 1 wherein the interposer has a height equal to the height of the frame. 제1항에 있어서, 커버의 수평 부재의 에지부 중 수직 부재가 형성되지 않은 에지부에 상향 연장된 연장편이 형성되어 있는 인터포저 조립체.The interposer assembly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edge portion of an edge portion of the horizontal member of the cover is formed with an extending portion extending upwardly at an edge portion where a vertical member is not formed. 삭제delete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커버는 수직 부재의 하단에서 내측으로 절곡되어 수평 연장된 체결부를 갖고 있어 커버가 인터포저의 하우징에 체결될 때, 체결부가 하우징의 저면에 대응하는 인터포저 조립체.6. The assembly of claim 1 or 5, wherein the cover has a horizontally extending fastening portion bent inward at the lower end of the vertical member such that when the cover is fastened to the housing of the interposer, .
KR1020140110673A 2014-08-25 2014-08-25 Interposer assembly Active KR101613512B1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73A KR101613512B1 (en) 2014-08-25 2014-08-25 Interposer assembly
PCT/KR2014/010408 WO2016032053A1 (en) 2014-08-25 2014-11-03 Interpose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10673A KR101613512B1 (en) 2014-08-25 2014-08-25 Interposer assembly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175A KR20160024175A (en) 2016-03-04
KR101613512B1 true KR101613512B1 (en) 2016-04-19

Family

ID=55399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10673A Active KR101613512B1 (en) 2014-08-25 2014-08-25 Interposer assembly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13512B1 (en)
WO (1) WO2016032053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52B1 (en) 2012-10-17 2014-04-24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Surface-mounting type clamp
US20140170866A1 (en) 2012-12-18 2014-06-19 Apple Inc. Retention mechanisms for electrical connector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4933B1 (en) * 2011-10-13 2013-12-27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Connector assembly
JP5685216B2 (en) * 2012-03-29 2015-03-18 ヒロセ電機株式会社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and receptacle connector
KR101425931B1 (en) * 2012-11-12 2014-08-06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Interpo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7652B1 (en) 2012-10-17 2014-04-24 주식회사 씨엔플러스 Surface-mounting type clamp
US20140170866A1 (en) 2012-12-18 2014-06-19 Apple Inc. Retention mechanisms for electrical connecto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032053A1 (en) 2016-03-03
KR20160024175A (en)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05646A (en) Electrical connector device
TWI523344B (e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7393230B2 (en) 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US7223125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retaining shell
KR100581032B1 (en) Socket for attaching electronic component
US20120231639A1 (en) Surface-mount connecter and substrate unit
KR101425931B1 (en) Interpos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20140342583A1 (en) Low profile electrical connector have a fpc
KR101387652B1 (en) Surface-mounting type clamp
KR101804460B1 (en) Joining structure of pcb
KR101613512B1 (en) Interposer assembly
JP4035846B2 (en) Shield structur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JP6020509B2 (en) Circuit board connection terminal
US10201088B2 (en) Contact element and contact structure for electronic device
KR20160110074A (en) Connecting terminal and circuit board module comprising thereof
JP5067678B2 (en) Socket type connector
KR20160066358A (en) Wireless communication module
US9004959B2 (en) Electrical connecting device
JP3218208U (en) Antenna module automated assembly structure
KR20150095371A (en) Double contact terminal on the board
US8801440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low profile
KR102234997B1 (en) Connector
KR20090001767U (en) Integrated mobile communication antenna
JP6378265B2 (en) PCB connection structure
US9396887B2 (en) Soldereless motion sensed switc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2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1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1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4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1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41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40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