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941B1 - Boiler Using Electricity - Google Patents
Boiler Using Electricit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2941B1 KR101612941B1 KR1020150142361A KR20150142361A KR101612941B1 KR 101612941 B1 KR101612941 B1 KR 101612941B1 KR 1020150142361 A KR1020150142361 A KR 1020150142361A KR 20150142361 A KR20150142361 A KR 20150142361A KR 101612941 B1 KR101612941 B1 KR 10161294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ter
- pipe
- boiler
- lower water
- steam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title abstract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8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1
- 239000008236 heat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85 electric h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03 fossil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185—Water-storage heater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1/00—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 F22B1/28—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 F22B1/284—Methods of steam generation characterised by form of heating method in boilers heated electrically with water in reservoi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1/00—Water heaters, e.g. boilers, continuous-flow heaters or water-storage heaters
- F24H1/18—Water-storage heaters
- F24H1/20—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 F24H1/201—Water-storage heaters with immersed heating elements, e.g. electric elements or furnace tubes using electric energy supply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8—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 F24H9/1809—Arrangement or mounting of grates or heating means for water heaters
- F24H9/1818—Arrangement or mounting of electric heating mea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2250/00—Electrical heat generating means
- F24H2250/02—Resistan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Heat-Pump Type And Storage Water Hea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전기히터봉을 구비하여 전기히터봉 외측으로 저장된 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가열함에 따라 매우 신속하게 스팀 또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관을 통해 하나의 보일러유닛이 타 보일러유닛과 연결가능하도록 하여 온수발생 소요시간 또는 필요 온수량 등에 따라 하나의 보일러유닛을 가동하거나 다수의 보일러유닛을 가동할 수 있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온수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이 유입되는 하부수관과; 상기 하부수관과 연통가능하도록 수직되게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 배열되어 설치되며 하부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복수개의 중앙수관과; 상기 중앙수관으로부터 발생된 스팀이 수집되는 상부스팀관; 및 상기 상부스팀관을 관통하여 중앙수관 내에 수용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이 각 중앙수관 내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수관은 두개소가 평행하게 접하여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의 일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의 일측에는 발생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과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은 일측에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using electric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using electric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electric heater rods to directly or indirectly heat water stored outside the electric heater rods to generate steam or hot water. The boiler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boiler unit so that one boiler unit can be operated or a plurality of boiler units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time for hot water generation or required warm water.
To this end,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eam turbine comprising: a lower water tube into which water for generating hot water or steam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central water tubes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be communicable with the lower water tubes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tor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lower water tubes; An upper steam pipe for collecting steam generated from the central water pipe; And an electric heater rod passing through the upper steam pipe and being accommodated in the central water pipe and generating heat by being supplied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is disposed in each central water pipe, wherein the lower water pip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wo lower water pipes, A drain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is formed at one side and a drain pipe through which hot water generated at the other 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ther lower water pipe and one of the lower water pipe and the other lower water pipe is connected do.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개의 전기히터봉을 구비하여 전기히터봉 외측으로 저장된 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가열함에 따라 매우 신속하게 스팀 또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관을 통해 하나의 보일러유닛이 타 보일러유닛과 연결가능하도록 하여 온수발생 소요시간 또는 필요 온수량 등에 따라 하나의 보일러유닛을 가동하거나 다수의 보일러유닛을 가동할 수 있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using electric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oiler using electricity.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lurality of electric heater rods to directly or indirectly heat water stored outside the electric heater rods to generate steam or hot water. The boiler unit can be connected to the other boiler unit so that one boiler unit can be operated or a plurality of boiler units can be operated according to the required time for hot water generation or required warm water.
일반적으로 경유나 가스등과 같은 화석연료의 고갈로 인하여 연료비의 가격이 지속적으로 상승하며, 운전시 유해가스의 발생에 의해 환경을 오염시키는 문제등으로 보일러 또는 온풍기등의 난방 가열장치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고 있는 실정인 것이다.Generally, the price of fuel cost is continuously increased due to the depletion of fossil fuels such as light oil or gas, and the problem of polluting the environment due to the generation of harmful gas during operation, and the like, the heating device such as a boiler or a hot air fan uses electric energy It is the fact that it is doing.
상기와 같이 전기를 이용하는 난방 가열장치의 일예로서 보일러의 난방수 공급부에 전원부와 연설된 히터봉을 내설한 후, 상기 히터봉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써, 난방수 공급부 내부의 난방수가 가열되어 배관을 통해 온열매트 또는 온열침대등을 가열하는 것이다.As an example of a heating apparatus using electricity as described above, a heating rod connected to a power supply unit is installed in a heating water supply unit of a boiler, and then a current is applied to the heater rod to heat the heating water inside the heating water supply unit, A heating mat or a heating bed.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온수 가열용 전기보일러의 구조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바와같이, 보일러(10)의 난방수 유입관(20) 및 난방수 유출관(30)과 연통 연설되는 온수 가열부(40) 내부에 전원부(50)와 연설된 히터봉(60)이 내설되어, 상기 난방수 유입관(20) 및 난방수 유출관(30) 연통 연설되는 배관(70)에 모터 펌프(80)로서 난방수를 공급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In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ctric boiler for hot water heating related to this technology, as shown in Fig. 1, hot water heating (hot water heating) communicating with the heating
따라서, 상기 온수 가열부(40) 내부에 설치되는 약 500W의 히터봉(60)을 전원부(50)를 통하여 가열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온수 가열부(40) 내부의 난방수가 가열되어 모터 펌프(80)로서 난방수 유입관(20) 및 난방수 유출관(30)을 통하여 배관(70)을 순환하게 됨으로써, 온열매트 또는 온열침대등을 가열하는 것이다.The heating water inside the hot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온수 가열용 전기보일러는, 단순히 전원부(50)와 연설된 히터봉(60)에 전류를 인가함으로서, 온수 가열부(40) 내부의 난방수가 일정한 온도로 가열시 순간적인 가열이 불가능하게 되고, 난방수의 예열시간이 길게 형성되어 보일러의 초기 가열시간의 지연에 따른 난방효율이 저하되는 것이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electric heating boiler for heating hot water as described above, when the heating water in the hot
상기와 같은 보일러의 순간 가열을 위하여, 상기 히터봉(60)의 전류인가가 클수록 상기 히터봉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커지게 되어, 보일러의 크기가 커지게 되는 단점이 있는 것이다.In order to instantaneously heat the boiler, as the current application of the
또한, 종래의 보일러는 히터봉을 온수 가열부 내부에 설치 구성하고 있어서 온수 가열부에 유입된 난방수 전체를 가열하기 때문에 순간 가열 능력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을 가지게 되므로 유입되는 난방수 전체 가열이 아닌 소량을 먼저 가열하여 제공하여 순간 난방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하는 실정이다.
In the conventional boiler, since the heater rod is installed inside the hot water heating part, the instant heating ability is significantly lowered because the heating water flowing into the hot water heating part is heated. Therefore, a small amount Which is required to maximize the instantaneous heating capability.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다수개의 전기히터봉을 구비하여 전기히터봉 외측으로 저장된 물을 직접 가열하거나 간접가열함에 따라 매우 신속하게 스팀 또는 온수를 생성할 수 있으며 연결관을 통해 하나의 보일러유닛이 타 보일러유닛과 연결가능하도록 하여 온수발생 소요시간 또는 필요 온수량 등에 따라 하나의 보일러유닛을 가동하거나 다수의 보일러유닛을 가동할 수 있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problems described above,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steam or hot water by directly heating or indirectly heating water stored outside an electric heater bar,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oiler that can operate one boiler unit or operate a plurality of boiler units according to the required time for generating hot water or required hot water by allowing one boiler unit to be connected to the other boiler unit. have.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features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온수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이 유입되는 하부수관과; 상기 하부수관과 연통가능하도록 수직되게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 배열되어 설치되며 하부수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복수개의 중앙수관과; 상기 중앙수관으로부터 발생된 스팀이 수집되는 상부스팀관; 및 상기 상부스팀관을 관통하여 중앙수관 내에 수용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이 각 중앙수관 내에 배치되되, 상기 하부수관은 두개소가 평행하게 접하여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의 일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의 일측에는 발생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이 형성되며,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과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은 일측에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ater treatment apparatus, comprising: a lower water tube into which water for generating hot water or steam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central water tubes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be communicable with the lower water tubes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storing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lower water tubes; An upper steam pipe for collecting steam generated from the central water pipe; And an electric heater rod passing through the upper steam pipe and being accommodated in the central water pipe and generating heat by being supplied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is disposed in each central water pipe, wherein the lower water pipe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two lower water pipes, A drain pipe through which the water flows is formed at one side and a drain pipe through which hot water generated at the other side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other lower water pipe and one of the lower water pipe and the other lower water pipe is connected do.
여기서 상기 상부스팀관의 일측에는 수집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스팀배출관이 더 포함되며, 상기 전기히터봉의 외주연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히터봉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히터수용관이 더 포함된다. The steam generator further includes a steam discharge pipe through which the collected steam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d a heater receiving pipe disposed at an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ic heater rod to receive the electric heater rod to maintain airtightness .
아울러 상기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과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은 일측에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측에는 다른 하나의 보일러유닛의 유입관 및 배출관가 연결되는 연결관부가 더 형성되며, 상기 히터수용관 외주면에는 히터수용관의 외벽면을 따라 나사선 형태로 형성되는 제1열전도부재가 중앙수관 내에 내입된다.The lower water tube and the lower water tube are connec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inlet pipe and the discharge pipe of the other boile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heat conduction member formed in a screw shape along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pipe is inserted into the central water pipe.
또한 상기 히터수용관에는 각각 해당 히터수용관의 외벽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제2열전도부재가 형성되되, 상기 제2열전도부재는 스크류 날개 형태로 형성되어 제2열전도부재를 따라 물이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The heater accommodating tube may include a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ember extending outwardly from an outer wall surface of the corresponding heater receiving tube.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emb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screw vane so that water rises along the second thermally conductive member. do.
본 발명에 따르면 빠른 시간 내에 스팀과 온수의 생성이 가능하여 보일러 가동을 위한 시간과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수개의 보일러유닛을 연결가능함에 따라 필요 온수량에 따라 적절하게 가동가능한 효과가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generate steam and hot water in a short period of time, thereby saving time and energy for operating the boiler, and enabling a plurality of boiler units to be connected, .
또한 제1열전도부재 또는 제2열전도부재의 형성에 따라 가열되는 물의 가열효율을 보다 향상시켜 신속한 스팀 생산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Further,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first heat conductive member or the second heat conductive member, the heating efficiency of the heated water can be further improved and rapid steam production can be achieved.
도 1은 종래의 온수 가열용 전기보일러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C-C'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은 도 9에 따라 나사선관이 설치된 연결수관의 내측관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은 도 9에 따라 나사선관과 연결수관의 내측관 간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는 도 9에 따라 나사선관이 연결수관의 내측관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 1 is a view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ventional electric boiler for hot water heating.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n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in Fig.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B-B 'in Fig.
5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C-C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that can be modified in an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FIG.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that can be modified in the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FIG.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variant of the boiler using electricity according to Fig. 6; Fig.
Fig. 10 is a view showing an inner tube of a connecting water pipe provided with a thread tube according to Fig.
11 is a view showing a process of fastening the thread tube to the inner tube of the connecting water tube according to FIG.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crew tube according to Fig. 9 in a state where it is engaged with the inner tube of the connecting water tube;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For the sake of convenience, the size, line thickness, and the like of the components shown in the drawings referenc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xaggerated somewhat. The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us may be changed depending on the user, the intention of the operator, customs, and the like. Therefore, the definition of this term should be based on the contents of this specification as a whol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의 B-B'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C-C'단면도이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A-A 'in FIG. 1,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B-B' in FIG. 1, and FIG. 5 is a cross- 1 is a C-C 'cross-sectional view.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100)는 크게 하부수관(10), 중앙수관(20), 상부스팀관(30) 및 전기히터봉(40)으로 구성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n
여기서 상기 하부수관(10)은 온수 또는 스팀을 발생시키기 위한 물이 유입되도록 구비되며, 두개소의 평행하게 접하여 배치된다. Here, the
이러한 두개소의 하부수관(10)을 구비하는 이유는 전기히터봉(40)의 개수에 따른 전체 보일러 설치면적을 고려할 때 두개소 또는 3개소의 하부수관(10)을 연결형성하는 것이 설치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The reason for providing the two
아울러 상기 두개소의 하부수관(10)은 그 일측 단부에서 서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되며 그 타측 단부에는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10)에 유입구(10a)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10)에 배출구(10b)가 형성된다. In addition, the two
이에 따라 일측 하부수관(10)의 유입구(10a)로부터 유입된 물이 타 하부수관(10)으로 유동하여 가열된 후 배출구(10b)를 통해 배출되는 것이다. Accordingly,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아울러 상기 두개소의 하부수관(10)이 연통되는 측에는 다른 하나의 보일러유닛의 유입관(10a) 및 배출관(10b)이 각각 연결되는 연결관부(7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In addition, a
즉,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하나의 보일러를 단일 보일러유닛으로 본다면, 상기 연결관부(70)를 통해 다른 단일 보일러유닛이 결합되어 온수발생량을 보다 증대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는 것이다. In other words, if one boiler shown in FIGS. 1 to 4 is regarded as a single boiler unit, another single boiler unit can be connected through the
이에 따라 필요한 온수량 및 이에 소요되는 최대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러한 보일러유닛 간을 몇 개소로 결합하여 사용할 것인지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Accordingly, in consideration of the required quantity of hot water and the maximum time required for the hot water supply, the user can select how many of these boiler units are to be combined.
한편 상기 중앙수관(20)은 상기 하부수관(10)과 연통가능하도록 수직되게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 배열되어 설치되며 하부수관(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어 후술할 전기히터봉(40)에 의해 물이 가열된다.The
이에 따라 가열된 물로부터 발생된 스팀은 상기 중앙수관(20)과 연통되며 중앙수관(20)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상부스팀관(30)으로 수집된다. Accordingly, the steam generated from the heated water is collected in the
물론 상기 상부스팀관(30)에 수집된 스팀은 상부스팀관(30)의 일측에 형성되는 스팀배출구(50)로 배출되게 된다. Of course, the steam collected in the
아울러 상기 전기히터봉(40)은 상기 상부스팀관(30)을 관통하여 중앙수관(20) 내에 수용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전기히터봉(40)은 각 중앙수관(20)별로 하나씩 일대일 대응되어 설치된다. The
이에 따라 유입된 하부수관(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중앙수관(20) 내에 저장된 상태에서 전기히터봉(40)의 열기에 의해 온수 또는 스팀으로 생성되며, 스팀은 상기 상부스팀관(30)으로 수집되어 외부로 배출된다.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도 7은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7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that can be modified in an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는 상기 전기히터봉(40)의 외주연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히터봉(40)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히터수용관(41)이 포함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boiler using electricity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이에 따라 하부수관(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은 히터수용관(41)과 중앙수관(20) 사이에 배치되며 히터수용관(41)의 외벽면으로부터 전기히터봉(40)의 열기를 전달받아 가열되게 된다. The water introduced from the
이와 같은 이중관 형태의 구조는 유입되는 가열되는 중앙수관(20) 내 물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전기히터봉(40)의 열기에 신속하게 온수 또는 스팀 생성으로 유도되게 된다. The double pipe type structure is relatively low in the amount of water in the central heated
따라서 이중관 형태의 보일러를 선택하는 경우는 배출되는 물의 양이 비교적 작고 매우 빠른 시간에 스팀 또는 온수의 생성이 필요한 경우에 해당될 것이다.
Choosing a double pipe type boiler will therefore be the case if the amount of water to be discharged is relatively small and steam or hot water needs to be generated very quickly.
도 8은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 8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that can be modified in the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FIG. 6, and 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that can be modified in the electric boiler according to FIG.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100)는 제1열전도부재(80) 및 제2열전도부재(90)를 히터수용관(41) 외벽면에 접하도록 중앙수관(20) 내에 탑재함에 따라 히터수용관(41)의 외벽면에서 가열된 열기를 상대적으로 열전도성이 높은 제1열전도부재(80) 및 제2열전도부재(90)를 통해 중앙수관(20) 내에 저장된 물로 빠르게 전달함으로써 물을 보다 신속하게 가열하기 위함이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이러한 제1열전도부재(80)는 상기 중앙수관(20)들 내에 수용되되 히터수용관(41) 외벽면에 접하도록 코일스프링 형상으로 구비되며, 제2열전도부재(90)는 상기 히터수용관(41) 외벽면에서 외측으로 연장되어 돌출되되 스크류 날개와 같이 형성되어 제2열전도부재(90)를 따라 물이 상승함과 동시에 가열면적으로 증대시켜 신속하게 물이 가열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thermally
도 9는 도 6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에서 변형가능한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0은 도 9에 따라 나사선관이 설치된 히터수용관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은 도 9에 따라 나사선관과 히터수용관 간이 체결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2는 도 9에 따라 나사선관이 히터수용관과 결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which can be modified in the boiler using electricity according to Fig. 6, Fig. 10 is a view showing a heater receiving tube provided with a screw tube according to Fig. 9, FIG. 12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the thread tube is coupled to the heater receiving tube according to FIG. 9. FIG.
도면을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100)는 히터수용관(41)에 나사선 형태의 절개부가 형성되고 해당 절개부 상에 결합되는 나사선관(95)이 구비된다. Referring to the drawings, a
상기 나사선관(95)은 상기 히터수용관(41)의 절개부 외측에 위치되며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확장부(96)와 상기 확장부(96)에 연장되어 내측관(23a)의 외벽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플랜지부(97)로 구성된다. The
이러한 확장부(96)의 수용공간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외에 다른 형태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It is needless to say that the accommodating space of the extending
이에 따라 전기히터봉에 의해 가열된 히터수용관(41)의 가열면적이 더 증가하여 그 외측에 저장되는 물의 가열 접촉면적이 보다 증대됨에 따라 온수의 가열 시간 및 가열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heating area of the
아울러 상기 히터수용관(41)의 절개부측 상부 또는 하부측에 돌출되는 돌출편(41a)과 상기 나사선관(95)의 플랜지부(97) 외측에 형성되는 절개홈(95a) 및 수용포켓(95b)을 통해 나사선관(95)을 히터수용관(41)의 절개부 상에 위치시킨 후 절개홈(95a)에 돌출편(41a)이 관통되어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용포켓(95b) 내측으로 삽입되는 것으로 결합이 완성된다. A protruding
이러한 결합 후 용접 등의 작업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와 같은 1차 결합과정을 통해 용접 작업시 별도의 고정수단이나 작업자의 공수가 필요없게 된다.
After the welding, the work such as welding is performed. In the welding process, the welding process is not necessary.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
10 : 하부수관 20 : 중앙수관
30 : 상부스팀관 40 : 전기히터봉
50 : 스팀배출구 60 : 수위측정부
70 : 연결관부 80 : 제1열전도부재
90 : 제2열전도부재 95 : 나사선관
100 :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10: Lower water pipe 20: Central water pipe
30: upper steam tube 40: electric heater rod
50: steam outlet 60: water level measuring unit
70: connecting tube portion 80: first heat conduction member
90: second heat conductive member 95: threaded pipe
100: Electric boiler
Claims (8)
상기 하부수관(10)과 연통가능하도록 수직되게 다수개가 일정간격 이격 배열되어 설치되며 하부수관(10)으로부터 유입된 물이 저장되는 복수개의 중앙수관(20)과;
상기 중앙수관(20)으로부터 발생된 스팀이 수집되는 상부스팀관(30); 및
상기 상부스팀관(30)을 관통하여 중앙수관(20) 내에 수용되며 외부전원을 공급받아 열을 발생시키는 전기히터봉(40);이 각 중앙수관(20) 내에 배치되며,
상기 하부수관(10)은
두개소가 평행하게 접하여 배치되고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10)의 일측에는 물이 유입되는 유입관(10a)이 형성되고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10)의 일측에는 발생된 온수가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관(10b)이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10)과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10)은 일측에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되며, 상기 전기히터봉(40)의 외주연에 배치되어 상기 전기히터봉(40)을 기밀이 유지되도록 수용하는 히터수용관(41)이 포함되되,
상기 히터수용관(41)에는 나선 형태로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절개부 외측에는 일정 수용공간을 가지는 확장부(96)와 상기 확장부(96)에 연장되어 내측관(23a)의 외벽면에 접하여 고정되는 플랜지부(97)로 구성되는 나사선관(95)이 결합되며,
상기 확장부(96)의 수용공간은 단면이 삼각형 형태로 구성됨에 따라 전기히터봉에 의해 가열된 히터수용관(41)의 가열면적이 더 증가하여 그 외측에 저장되는 물의 가열 접촉면적이 보다 증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
A lower water tube 10 into which water for generating hot water or steam is introduced;
A plurality of central water tubes 20 arranged vertically so as to be communicable with the lower water tubes 10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storing the inflow water from the lower water tubes 10;
An upper steam pipe 30 for collecting steam generated from the central water pipe 20; And
An electric heater rod 40 passing through the upper steam pipe 30 and accommodated in the central water pipe 20 and generating heat by receiving external power;
The lower water pipe (10)
An inlet pipe 10a through which water is introduced into one of the lower water pipes 10 is formed in parallel with one of the two lower water pipes 10 and hot water generated in the other one of the lower water pipes 1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 discharge pipe 10b is formed,
One of the lower water tubes 10 and the other of the lower water tubes 10 is connected to one side so as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is disposed on the outer circumference of the electric heater rod 40 to keep the electric heater rod 40 in a hermetic state (41) for accommodating the heater,
The heater accommodating tube 41 is formed with a spiral cut portion. An expansion portion 96 having a predetermined accommodation space is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cutout portion. The extension portion 96 is extended to the extension portion 96 and is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tube 23a. A screw thread tube 95 constituted by a fixed flange portion 97 is engaged,
Since the receiving space of the extension portion 96 is formed in a triangular shape in cross section, the heating area of the heater receiving pipe 41 heated by the electric heater bar is further increased, and the heating contact area of water stored on the outside increases Wherein the boiler is an electric boiler.
상기 히터수용관(41)의 절개부측 상부 또는 하부측에 돌출되는 돌출편(41a)과 상기 나사선관(95)의 플랜지부(97) 외측에 형성되는 절개홈(95a) 및 수용포켓(95b)을 통해 나사선관(95)을 히터수용관(41)의 절개부 상에 위치시킨 후 절개홈(95a)에 돌출편(41a)이 관통되어 일정각도 회전함에 따라 상기 수용포켓(95b) 내측으로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cutout groove 95a and a receiving pocket 95b formed outside the flange portion 97 of the screw linear tube 95. The projecting piece 41a protrudes to the upper or lower side of the cutout portion of the heater receiving pipe 41, The threaded tube 95 is placed on the cutout of the heater receiving tube 41 and then inserted into the receiving pocket 95b as the protruded piece 41a passes through the cutout groove 95a and rotates by a predetermined angle. Wherein the boiler is coupled to the boiler.
상기 상부스팀관(30)의 일측에는 수집된 스팀이 외부로 배출되는 스팀배출관(50)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team discharge pipe (50)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steam to the outside at one side of the upper steam pipe (30).
상기 어느 하나의 하부수관(10)과 다른 하나의 하부수관(10)은 일측에서 연통가능하도록 연결되는 연결측에는 다른 하나의 보일러유닛의 유입관(10a) 및 배출관(10b)가 연결되는 연결관부(70)가 더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를 이용한 보일러.
The method of claim 3,
One of the lower water pipes 10 and the other lower water pipe 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ide so that the inlet pipe 10a and the discharge pipe 10b of the other boiler uni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70) are further formed in the boiler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361A KR101612941B1 (en) | 2015-10-12 | 2015-10-12 | Boiler Using Electricity |
PCT/KR2016/010671 WO2017065423A1 (en) | 2015-10-12 | 2016-09-23 | Boiler using electricit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2361A KR101612941B1 (en) | 2015-10-12 | 2015-10-12 | Boiler Using Electricity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2941B1 true KR101612941B1 (en) | 2016-04-18 |
Family
ID=559169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2361A Active KR101612941B1 (en) | 2015-10-12 | 2015-10-12 | Boiler Using Electricity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2941B1 (en) |
WO (1) | WO2017065423A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4350B1 (en) * | 2016-11-16 | 2017-04-07 | (주)창화에너지 | Electric boiler |
KR102047845B1 (en) * | 2019-04-22 | 2019-12-02 | 이동조 | Boiler heating apparatus with heating wire |
KR102081174B1 (en) * | 2019-07-15 | 2020-04-24 | 이충규 | Electric hot water boiler |
CN112268269A (en) * | 2020-10-15 | 2021-01-26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Steam generation assembly, cooking device and steam generation method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536497A (en) * | 2020-06-13 | 2020-08-14 | 赵永万 | Multi-stage boil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128Y1 (en) * | 2006-01-27 | 2006-04-17 | 주식회사 화진 | Double tube hot water boiler |
KR200430701Y1 (en) * | 2006-08-28 | 2006-11-13 | 진명구 | Instantaneous Electric Boiler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0084877A (en) * | 2000-02-29 | 2001-09-06 | 조중휴 | Electric boiler |
KR20110116358A (en) * | 2010-04-19 | 2011-10-26 | 이진성 | Hot water tank for electric boiler with increased thermal efficiency |
KR20130090032A (en) * | 2012-02-03 | 2013-08-13 | 박창덕 | Indirect electric hot water boiler |
-
2015
- 2015-10-12 KR KR1020150142361A patent/KR101612941B1/en active Active
-
2016
- 2016-09-23 WO PCT/KR2016/010671 patent/WO2017065423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14128Y1 (en) * | 2006-01-27 | 2006-04-17 | 주식회사 화진 | Double tube hot water boiler |
KR200430701Y1 (en) * | 2006-08-28 | 2006-11-13 | 진명구 | Instantaneous Electric Boiler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4350B1 (en) * | 2016-11-16 | 2017-04-07 | (주)창화에너지 | Electric boiler |
WO2018092994A1 (en) * | 2016-11-16 | 2018-05-24 | (주)창화에너지 | Electric boiler |
KR102047845B1 (en) * | 2019-04-22 | 2019-12-02 | 이동조 | Boiler heating apparatus with heating wire |
WO2020218909A1 (en) * | 2019-04-22 | 2020-10-29 | 이동조 | Boiler heating apparatus having heating wire provided inside hot water distribution pipe having double-pipe structure, and boiler heating system therefor |
KR102081174B1 (en) * | 2019-07-15 | 2020-04-24 | 이충규 | Electric hot water boiler |
CN112268269A (en) * | 2020-10-15 | 2021-01-26 |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 Steam generation assembly, cooking device and steam generation method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7065423A1 (en) | 2017-04-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2941B1 (en) | Boiler Using Electricity | |
CN108679590B (en) | A steam generator with a vertically arranged electric heater | |
RU2711236C1 (en) | Boiler heat exchanger | |
CN107420870A (en) | A kind of steam generator | |
CN104235811A (en) | Electric induction steam machine | |
KR20130087946A (en) | Cover of latent heat exchanger having cooling line | |
KR102184012B1 (en) | Electric boiler with creating vortex | |
KR102238465B1 (en) | Heat exchanger, heating device, heating system and method for heating water | |
KR101183815B1 (en) | The structure of exhaust gas flow passage of engine in micro combined heat and power unit | |
KR101882359B1 (en) | Using waste heat energy recycling systems | |
KR101321751B1 (en) | Electric boiler using heat pipe heat exchanger | |
CN109654466B (en) | Steam generator with highly-variable heating power | |
KR101984675B1 (en) | Boiler with vortex generator | |
KR101583524B1 (en) | High efficiency energy generation | |
CN210425520U (en) | An electromagnetic heating element assembly for a water heater | |
KR200470238Y1 (en) | Electric Water Boiler of Sequential Heating Type | |
KR100794338B1 (en) | Partial Heating Steam Generator | |
KR20140025881A (en) | Pen Coil Heater Using Heat Pipe | |
KR101189953B1 (en) | Rapid heating apparatus | |
KR20090086818A (en) | Electric boiler | |
KR20080039214A (en) | water heater | |
KR20210058009A (en) | heater assembly for an electic boiler | |
KR101284121B1 (en) | Thermal accumulating type boiler | |
KR101612897B1 (en) | Combined Heat and Power Co-generation System | |
KR20170050477A (en) | Domestic Hot Water and Heating Water Boilers with Two Circuit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1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2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4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2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1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0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16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1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