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2858B1 - 캡슐 텐트 - Google Patents

캡슐 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858B1
KR101612858B1 KR1020130100114A KR20130100114A KR101612858B1 KR 101612858 B1 KR101612858 B1 KR 101612858B1 KR 1020130100114 A KR1020130100114 A KR 1020130100114A KR 20130100114 A KR20130100114 A KR 20130100114A KR 101612858 B1 KR101612858 B1 KR 1016128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t
door
mattress
capsule
ai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0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2375A (ko
Inventor
김병주
Original Assignee
(주)에어박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어박스 filed Critical (주)에어박스
Priority to KR1020130100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85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23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23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858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Tents Or Canop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슐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를 가볍게 형성하여 운반 및 보관이 좋으며, 차량이 적재함이나 지붕에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캡슐 텐트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캡슐 텐트{Capsule tent}
본 발명은 캡슐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를 가볍게 형성하여 운반 및 보관이 좋으며, 차량이 적재함이나 지붕에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캡슐 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텐트는 사용자가 캠핑 또는 야외에서 임시로 거처할 수 있도록 방수천과 다수개의 폴들로 구성되며, 이러한 방수천을 다수개의 폴로 지지 및 연결하여 다양한 형태의 텐트를 형성하게 된다.
즉, 다수개의 폴을 상호 연결하여 직선 또는 곡선의 아치형을 이루어 그 골격을 형성하고, 방수천을 펼쳐 폴에 연결하여, 폴이 형성하는 골격에 따라 내부에 공간을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텐트의 전체 길이가 길어짐에 따라 폴을 복수개로 분할하여 보관 및 휴대하기 간편하게 구성하였으며, 야외에서 분할된 폴들을 연결하여 텐트와 그늘막을 설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텐트(1)는 복수 개의 폴(10)을 이용하여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도록 설치하며,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10)은 복수개로 분할되어 구성되며, 분할된 폴(10')의 단부는 다른 폴의 단부에 끼워질 수 있게 직경이 작거나 또는 폴의 직경보다 큰 연결구(11)가 고정된다.
그리고, 복수개의 분할된 폴(10')들을 고무줄(13)로 연결해 둠으로써, 분할된 폴(10')들을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고, 또한 분할된 폴(10')의 분실을 방지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무줄(13)은 폴(10')들을 관통해 분할된 폴(10')들을 하나로 연결한다. 그리고 고무줄(13)의 양단은 폴(10)의 양단부에 각각 고정되는데, 고무줄(13)의 양단은 팁(15)에 각각 고정되고, 팁(15)은 폴(10)의 양단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팁(15)은 연결된 폴(10)의 양단에 위치한 구성요소로서, 폴(10)의 내부에 위치한 고무줄(13)과 연결된다. 그리고 지반에 용이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뾰족하게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여 팁(15)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팁(15)은 지반에 박힐 수 있게 끝단이 뾰족한 뾰족부(17)와, 폴(10)의 단부에 걸리도록 폴(10)의 외경의 크기를 갖는 걸림턱(19)과, 상기 폴(10)의 단부에 삽입되어 위치하며 고무줄(13)과 연결되는 고리(21)를 포함한다.
따라서 폴(10)에 고무줄(13)을 연결하기 위해서는 고무줄(13)을 고리(21)에 꿴 후에 고무줄(13)의 단부를 클램퍼로 집어 고무줄(13)에 고정한다. 이와 같이 고무줄(13)이 연결된 팁(15)은 고리(21)가 폴(10)의 단부에 삽입된다. 그러면 걸림턱(19)이 폴(10)의 단부에 걸려 팁(15)의 뾰족부(17)만이 폴(10)의 외부로 돌출되어 위치한다.
하지만, 이와 같은 종래의 폴 구성은 고무줄과 팁을 연결함에 있어서 고무줄을 고리에 꿴 후에 고무줄을 고정하기 때문에 작업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고무줄의 한 쪽 단부에 팁을 고정한 후에, 다른 쪽 단부에 팁을 고정함에 있어서 고무줄을 인장시킨 상태로 팁을 고정하여야 한다. 따라서 폴 밖으로 고무줄의 단부를 끌어낸 상태에서 고무줄을 고리에 꿰려고 하면, 고무줄의 탄성에 의해 작업자의 뜻대로 팁을 연결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그래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한국등록특허 제10-1240950에 기재된 기술이 개발되었는데, 그 기술적 특징은 복수개의 폴(110); 상기 복수개의 폴(110)의 내부를 관통하도록 설치된 연결줄(120); 및 상기 복수개의 폴(110) 중 말단에 위치한 말단 폴(100)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줄(12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말단 폴(110)의 내부에서 회전됨에 따라 상기 연결줄(120)의 인장력을 조절하되, 상기 말단 폴(110)에 헤드가 노출된 상태로 삽입되며 몸통에 나사산이 형성된 숫나사(131), 및 상기 말단 폴(110)의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숫나사(131)의 몸통이 삽입되는 나사홈이 형성되며 상기 연결줄(120)의 일단이 결합되는 암나사(135)로 이루어진 연결줄 고정수단(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런데, 한국등록특허 제10-1240950에 기재된 기술은 텐트의 설치나 해체시에도 혼자서도 신속하고 정확하게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그 구조가 복잡하여 제조가 용이하지 않으며, 폴의 외측에 천을 구비함으로써 날씨가 추운계절에는 보온 및 단열성이 좋지 않아 사용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텐트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매트리스를 구비하되, 상기 텐트의 몸체와 매트리스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이중공간지로 형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공기만 주입하면 되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져 외부와의 단열, 보온 및 방음이 우수한 캡슐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몸체의 양측 하단에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상의 몸체가 임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중 공간지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벼우므로 야외뿐만 아니라, 차량의 적재함이나 지붕위에도 설치할 수 있는 캡슐 텐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양측 하부에는 바닥과 연결되는 고정와이어가 결합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양측 하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몸체와 매트리스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면과 하면을 강화섬유사로 연결하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측면창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출입구에는 단면이 'ㄷ'형상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의 하부에는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하단에는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수납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텐트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에 매트리스를 구비하되, 상기 텐트의 몸체와 매트리스를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이중공간지로 형성함으로써, 무게가 가벼워 보관 및 운반이 용이하며, 공기만 주입하면 되므로 설치 및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져 외부와의 단열, 보온 및 방음이 우수한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 몸체의 양측 하단에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를 구비함으로써, 원통형상의 몸체가 임의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중 공간지로 형성되어 무게가 가벼우므로 야외뿐만 아니라, 차량의 적재함이나 지붕위에도 설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텐트 폴의 개략도이다.
도 3은 종래의 텐트 폴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종래의 개선된 폴 조립체 및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텐트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텐트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텐트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캡슐 텐트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캡슐 텐트에 관한 것으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구성은 원통형상의 몸체(200)와 상기 몸체(200)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매트리스(210)와 상기 몸체(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출입구(220)와 상기 출입구(220)에 구비되는 도어(224)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몸체(200)는 그 형상이 원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되어 내부에 사용자가 수용될 수 있는데, 상기 몸체(200)는 지면과 선접촉을 하기 때문에 임의로 회전하게 되므로, 상기 몸체(200)의 양측에는 연결고리(150)를 구비하고, 상기 연결고리(250)에는 고정와이어(255)를 연결하며, 상기 고정와이어(255)의 단부에는 쐐기(미도시)를 구비하여 고정와이어(255)를 견고하게 지면에 고정함으로써, 몸체(200)가 임의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와 매트리스(210)는 이중공간지로 형성되는데, 상기 이중공간지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될 수 있게 형성되는 외피의 상면과 하면을 강화섬유사로 연결하는 것으로, 강화섬유사가 상면과 하면을 촘촘하게 연결하기 때문에 외피의 내부에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전체적으로 일정한 압력이 가해지게 되므로, 이중공간지의 외형이 변하지 않고 일정 이상의 지지력을 가지게 되므로, 몸체(200)는 원통형상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되며, 매트리스(210)는 평평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몸체(200)와 매트리스(210)의 일측에 형성되는 주입구(미도시)를 통하여 용이하게 공기를 주입하건 배출함으로써, 설치시에는 공기를 주입하기만 하면 되고, 해체시에는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기만 하면 되므로 설치와 해체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공기구조물로 이루어져, 무게가 가볍기 때문에 보관 및 운반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상기 몸체(200)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기 때문에 외부의 더운 기운이나 차가운 기운이 몸체(200)의 내부로 침투하지 못하게 함므로서, 단열 및 보온이 좋아 더운 여름이나 추운 겨울에도 야외에서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몸체(200)의 내부에 주입되는 공기에 의해 외부의 소음도 안정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사용자가 많이 모이는 캠핑촌에서 외부의 소음에 방해되지 않고 편안하게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몸체(200)의 양측에는 측면창(230)이 형성되어, 내부에서도 외부의 경치를 즐길 수 있으며, 상기 측면창(230)에는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커버함으로써, 외부의 이물질이나 벌래 등이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몸체(200)의 상부에는 상부창(240)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부창(140) 역시 투명한 재질의 합성수지를 사용하여 커버함으로써, 벌래나 이물질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야간에 매트리스(210)에 눕게 되면, 상기 상부창(240)을 통하여 하늘을 볼 수 있으므로 자연과의 일체감을 더욱 현실감있게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몸체(200)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출입구(220)에는 프레임(222)이 설치되는데, 상기 프레임(222)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몸체(200)에 공기를 주입하기 전에 출입구(220)에 상기 프레임(222)를 삽입한 후 공기를 주입하게 되면 프레임(222)에 견고하게 고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222)에는 도어(224)가 힌지 결합으로 설치되어, 출입구(220)의 형상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안정적으로 도어(224)를 여닫을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매트리스(210)의 하부에는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212)가 형성되어, 캠핑에 필요한 도구들을 수납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수납공간(212)의 일측 단부에는 수납도어(214)가 형성되어, 상기 수납공간(212)의 내부에 용이하게 물건을 수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가 원형 또는 타원형의 원통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몸체(200)가 임의로 회전할 수 있으므로, 상기 몸체(200)의 양측에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260)를 구비함으로써, 고정와이어(255)를 사용하여 지면에 고정하지 않더라도 몸체(200)가 회전하는 것을 안정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쐐기 등을 박을 수 있는 지면이 아니라, 차량의 적재함이나 지붕 등에도 안정적으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이다.
본 발명은 캡슐 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무게를 가볍게 형성하여 운반 및 보관이 좋으며, 차량이 적재함이나 지붕에도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설치와 해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캡슐 텐트에 관한 것이다.
200 : 몸체 210 : 매트리스
212 : 수납공간 214 : 수납도어
220 : 출입구 222 : 프레임
224 : 도어 230 : 측면창
240 : 상부창 250 : 연결고리
255 : 고정와이어 260 : 지지부재

Claims (7)

  1.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측 하부에 구비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양단부에 형성되는 출입구와,
    상기 출입구에 구비되는 도어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와 매트리스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고, 상면과 하면을 강화섬유사로 연결하는 이중공간지로 이루어지고,
    상기 몸체의 양측에는 측면창이 형성되며,
    상기 출입구에는 단면이 'ㄷ'형상의 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에 상기 도어가 설치되며,
    상기 매트리스와 몸체의 내측 하면 사이에는 수납을 위한 수납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몸체의 길이방향 일측 단부 하단에는 수납공간과 연결되는 수납도어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 하부에는 바닥과 연결되는 고정와이어가 결합되는 연결고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양측 하부에는 내부에 공기가 주입되는 튜브로 이루어지는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캡슐 텐트.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30100114A 2013-08-23 2013-08-23 캡슐 텐트 Active KR10161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114A KR101612858B1 (ko) 2013-08-23 2013-08-23 캡슐 텐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0114A KR101612858B1 (ko) 2013-08-23 2013-08-23 캡슐 텐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375A KR20150022375A (ko) 2015-03-04
KR101612858B1 true KR101612858B1 (ko) 2016-04-15

Family

ID=530203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0114A Active KR101612858B1 (ko) 2013-08-23 2013-08-23 캡슐 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285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43771B2 (en) 2016-06-05 2020-01-28 Yakima Products, Inc. Vehicle rooftop rack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94Y1 (ko) * 2002-11-07 2003-02-19 남철우 공기를 이용한 입체 구조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4794Y1 (ko) * 2002-11-07 2003-02-19 남철우 공기를 이용한 입체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2375A (ko) 2015-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9405B1 (ko) 차량용 텐트
KR101612858B1 (ko) 캡슐 텐트
CN206654162U (zh) 船用顶棚
KR101273373B1 (ko) 캠핑용 간이 야전침대 프레임
US10557284B2 (en) Fastening a portable shade apparatus to a fence to provide shade
US202202872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reversibly covering a zone
KR101508336B1 (ko) 차량에 결합가능한 차양막의 고정구조
KR20150007112A (ko) 폴 조립체와 이를 포함한 텐트용 프레임
KR101440243B1 (ko) 자립형 타프
KR102380321B1 (ko) 인출가능하게 차량에 설치되는 캠핑용 텐트 구조체
KR101618302B1 (ko) 텐트용 차광막 받침대
CN214197228U (zh) 一种管道封堵装置
KR102514438B1 (ko) 보트 정박용 폴대 고정장치
CN205348945U (zh) 一种防雨帐篷
CN209053511U (zh) 一种新型的户外遮阳天幕帐篷
US20150330097A1 (en) Tent system and methods
CN101070732B (zh) 吊篷
CN208347809U (zh) 一种组合式锚杆
CN207241055U (zh) 一种设有支撑柱固定支座的防水卷材
KR20150144559A (ko) 텐트
KR20090041760A (ko) 차양천 결속구조를 갖는 절첩식 천막용 3방향 연결조인트
KR20160093897A (ko) 가변형 다용도 텐트
KR20190027771A (ko) 패브릭 타프
CN214576163U (zh) 野战手术车外接门斗
KR102682247B1 (ko) 차양막 지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0823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022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30823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4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62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1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41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507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