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2791B1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2791B1 KR101612791B1 KR1020100010636A KR20100010636A KR101612791B1 KR 101612791 B1 KR101612791 B1 KR 101612791B1 KR 1020100010636 A KR1020100010636 A KR 1020100010636A KR 20100010636 A KR20100010636 A KR 20100010636A KR 101612791 B1 KR101612791 B1 KR 10161279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peaker
- sound
- registration fee
- module
- setting registr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Landscapes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전방음이 방사되는 제1면 및 후방음이 방사되는 제2면을 갖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음이 상기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출력된 상기 전방음이 반사되어 상기 스피커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상기 제1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벽부의 출구로부터는 상기 전방음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플레어(flare)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and more particularly, to a speaker device having a speaker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front sound is emit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a rear sound is emitted. And an enclosure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speaker and to block the rear sound so that the rear sound is not mixed with the front sound, wherein the enclosure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front sound, And a flare flare section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appliance wall section along an advancing direction of the front sound, wherein the flare s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ce so as to be inclined in a lateral direction, Shaped guide portion.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peaker device of a portable terminal.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사용자가 이를 이용하여 정보를 입·출력하거나, 상대방과 음성 또는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하거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electronic apparatus having at least one function of being able to carry and store information by using a user, a function of allowing a user to make a voice or video call with the other party, or a function of storing data.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휴대 단말기는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또는 방송의 수신 등의 기능들을 갖추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휴대 단말기에 복합적으로 탑재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device)를 구현하기도 한다.As the functions are diversified,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equipped with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of a moving picture, reproduction of a music or video file, reception of a game, or broadcasting. Such functions may be implemented in a multimedia device by being embedded in a portable terminal.
각종 기능의 구현과 부품들의 동작을 위하여 휴대 단말기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충분한 뒷받침을 요구한다. 예를 들어, 사용면에 있어서 사용자로 하여금 쉽고 편리하게 휴대 단말기를 이용할 수 있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For the implementation of various functions and the operation of parts, the portable terminal requires sufficient support in terms of hardware or software. For examp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to develop a user interface environment in which a user can easily and conveniently use a portable terminal in terms of usage.
통화를 위하여 휴대 단말기에는 리시버 장치가 구비될 있으며, 보다 강한 음의 출력을 위하여 스피커 장치가 추가적으로 장착될 수 있다. 휴대 단말기에는 사용자의 귀를 통하여 사운드를 들을 수 있도록 리시버 장치 또는 스피커 장치에 직접 연결되는 스피커홀을 두기도 한다. The portable terminal may be provided with a receiver device for communication, and a speaker device may be additionally installed for stronger sound output. The portable terminal also has a speaker hole directly connected to the receiver device or the speaker device so that the user can hear the sound through the user's ear.
이러한 스피커홀은 리시버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의 통로를 위하여 또는 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의 통로를 위하여 각각 두거나(리시버/스피커 분리형) 두 가지 장치 모두의 음을 출력하도록 하나로 운용하는 경우(리시버/스피커 일체형)도 있다.The speaker hole may be used for a sound path output through the receiver device or for a sound path output through the speaker device (receiver / speaker separation type) or to output sound of both devices / Speaker integrated type).
그런데, 전자의 경우, 별개의 스피커홀들을 휴대 단말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둠에 따라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저해하거나 디자인의 설계상의 제약을 초래하기도 한다.However, in the former case, discrete speaker holes are placed on the front or back side of the portable terminal, which may hinder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or cause a restriction in the design of the design.
본 발명은 스피커홀의 위치를 조정하여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선할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를 구성하는 기구물의 디자인의 제약을 저감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by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speaker hole and to reduce the restriction of the design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portable terminal.
또한, 조정된 스피커홀을 통하여 출력되는 음의 품질을 개선함으로써 디자인과도 조화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sound outputted through the adjusted speaker hole and to harmonize with the design.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방음이 방사되는 제1면 및 후방음이 방사되는 제2면을 갖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음이 상기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출력된 상기 전방음이 반사되어 상기 스피커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상기 제1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벽부의 출구로부터는 상기 전방음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플레어(flare)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을 개시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peaker comprising: a speaker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front sound is emit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a rear sound is emitted; And an enclosure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speaker and to block the rear sound so that the rear sound is not mixed with the front sound, wherein the enclosure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front sound, And a flare flare section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appliance wall section along an advancing direction of the front sound, wherein the flare s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ce so as to be inclined in a lateral direction, The speaker module includes a guide portion formed in a shape of a letter.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후방음의 공명공간을 제공하도록 적어도 상기 스피커가 잠겨질 정도의 차폐벽부를 더 형성될 수 있다.The enclosure may be further formed with a shield wall portion at least such that the speaker is locked to provide the resonance space of the rear sound insulation.
상기 차폐벽부의 단부에는 연질의 제1가스켓이 더 부착될 수 있다.A soft first gasket may further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shield wall portion.
상기 기구벽부와 상기 제1면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제1채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이루는 대향벽들 사이에는 제2채널부가 형성될 수 있다.A first channel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tool wall portion and the first surface so as to be wider toward the guide portion. A second channel portion may be formed between the opposing walls of the guide portion.
상기 제2채널부는 상기 제1채널부보다 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The second channel portion may be formed to have a larg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channel portion.
상기 기구벽부는 상기 스피커의 제1에지로부터 대향되는 제2에지까지 틈이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The instrument wall portion may have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gap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first edge to the opposite second edge of the speaker.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연질의 제2가스켓이 더 부착될 수 있다.A soft second gasket may further be attached to the end of the guide portion.
본 발명은 또한, 측면에 사운드홀이 형성된 단말기 케이스; 및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인클로저를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은, 전방음이 방사되는 제1면 및 후방음이 방사되는 제2면을 갖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음이 상기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출력된 상기 전방음이 반사되어 상기 스피커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상기 제1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벽부의 출구로부터는 상기 전방음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플레어(flare)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사운드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를 개시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portable terminal comprising: a terminal case having a sound hole formed on a side thereof; And a speaker module including an enclosure built in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speaker module includes: a speaker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front sound is emit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a rear sound is emitted; And an enclosure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speaker and to block the rear sound so that the rear sound is not mixed with the front sound, wherein the enclosure is configured to reflect the front sound, And a flare flare section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appliance wall section along an advancing direction of the front sound, wherein the flare section is form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ace so as to be inclined in a lateral direction, And a guide portion formed to be in communication with the sound hole.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상기 스피커와 겹쳐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A display module may be disposed in the terminal case, and the display module may be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the speaker among the speaker modules.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모듈 및 이를 갖는 휴대 단말기에 의하면, 스피커홀을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위치시킴으로써 휴대 단말기의 외관을 개선시켰으며, 전면이나 후면에 복잡한 형상을 형성시키지 않으므로 다른 디자인의 구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speaker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peaker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ppearance of the portable terminal is improved by placing the speaker hole on the side surface of the terminal body, and since complicated shapes are not formed on the front or rear surface, There are advantages.
또한, 스피커의 제1면과 이격된 위치에 스피커의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를 배치시키되, 전방음이 스피커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함으로써 음의 소실을 최소화시키고 스피커의 출력되는 원음이 최대한 전파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과 배치는 크기가 작은 휴대 단말기 또는 스피커를 배치하기 어려운 구조에서도 최소한의 틈을 이용하여 최적의 음의 방사를 가능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it is also possible to arrange a mechanism wall portion that intercepts the front sound of the speaker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of the speaker by minimizing the loss of sound by making the front sound obliquely run in the side direction of the speaker, . Such a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has an effect of enabling optimum sound emission by using a minimum gap even in a structure in which it is difficult to arrange a portable terminal or a speaker having a small size.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스피커를 인클로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스피커 모듈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8은 스피커를 통하여 방사된 음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동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의 특성을 도시한 도표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or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Fig.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modu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peaker is separated from the enclosure in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module mounted on the portable terminal
8 is a diagram showing an operation state diagram visually expressing the progress of sound emitted through a speaker
9 is a graph showing the sound characteristics output through the speaker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Hereinafter, a portable terminal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suffix "module" and "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merely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and do not give special significance or role in themselves.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The
이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The components will be discussed in turn.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The
한편,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may be received by the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exist in various forms. For example, an EPG (Electronic Program Guide) of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or an ESG (Electronic Service Guide) of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방송 수신 모듈(111)은, 예를 들어,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The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The short-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로서,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The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알람부(153), 및 햅틱 모듈(154)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The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The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Some of these displays may be transparent or light transmissive so that they can be seen through. This can be referred to as a transparent display, and a typical example of a transparent display is TOLED (Transparent OLED) and the like. The rear structure of the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는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There may be two or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Hereinafter, referred to as a 'touch screen') in which a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touch sensor may be configured to convert a change in a pressure applied to a specific portion of the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If there is a touch input to the touch sensor, the corresponding signal (s) is sent to the touch controller. The touch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 (s) and transmits the corresponding data to the
도 1을 참조하면,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Referring to FIG. 1, a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Examples of proximity sensors include a transmiss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direct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mirror reflection type photoelectric sensor, a high frequency oscillation type proximity sensor, a capacitive proximity sensor, a magnetic proximity sensor, and an infrared proximity sensor. And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is detected by a change in the electric field along the proximity of the pointer when the touch screen is electrostatic.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touch sensor) may be classified as a proximity sensor.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포인터가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칭하고, 터치스크린 상에 포인터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칭한다. 터치스크린 상에서 포인터로 근접 터치가 되는 위치라 함은, 포인터가 근접 터치될 때 포인터가 터치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Hereinafter, for the sake of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act of recognizing that the pointer is positioned on the touch screen while the pointer is not in contact with the touch screen is referred to as "proximity touch" The act of actually contacting the pointer is referred to as "contact touch. &Quot;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is proximately touched on the touch screen means the position where the pointer corresponds vertically to the touch screen when the pointer is touched proximately.
근접센서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한다.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정보는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될 수 있다. The proximity sensor detects a proximity touch, a proximity touch pattern (e.g., a proximity touch distance, a proximity touch direction, a proximity touch speed, a proximity touch time, a proximity touch position, a proximity touch movement state, and the like).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detected proximity touch operation and the proximity touch pattern can be output on the touch screen.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 중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의 기구적 구조에 대하여는 뒤에서 상세히 설명한다.The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2)은 알람부(15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The
햅틱 모듈(haptic module)(15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The
햅틱 모듈(15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o the vibration, the
햅틱 모듈(154)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4)은 휴대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the operation of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Random Access Memory),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ROM (Read Only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 A disk, and / or an optical disk. 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The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The identification module is a chip for storing various information for authenticating the use right of the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The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The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 또는 휴대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or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the front.
개시된 휴대 단말기(100)는 바(bar) 형태의 단말기 바디(101)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The disclosed
단말기 바디(101)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The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102)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카메라(121), 제1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인터페이스(1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프론트 케이스(102)의 전면(front surface)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151)와 카메라(1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131)와 마이크(1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132)와 인터페이스(170) 등은 프론트 케이스(102) 및 리어 케이스(103)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The
리시버(152)는 주로 통화음, 각종 시스템 알림음 또는 멀티미디어의 재생음 등을 출력할 수 있게 구성된다. 리시버(152)는 다이나믹 스피커 형태로 구성되거나, 골전도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가능하다.The
사용자 입력부는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구성되어 있으며, 도 2에서는 단말기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제1사용자입력부(131) 및 측면에 배치된 제2사용자입력부(132)를 개시하고 있다. 제1 및 제2사용자 입력부(131,132)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is configured to receive a command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제1 또는 제2사용자 입력부(131, 1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사용자 입력부(131)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사용자 입력부(132)는 음향출력부(152)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The contents input by the first or second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shown in FIG.
도 3을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5)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5)는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제1카메라(121)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카메라(1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Referring to FIG. 3, a
예를 들어, 제1카메라(1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제2카메라(125)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카메라(121,125)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For example, the
제2카메라(125)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7)와 거울(126)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127)는 카메라(125)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126)은 사용자가 카메라(125)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A
도 3에 의하면,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스피커홀(204)이 배치되어 있다. 배치될 수 있다. 스피커홀(204)은 단말기 바디(101)의 전면에 배치된 리시버(152)보다는 큰 음을 출력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스피커홀(204) 내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 4 이하를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러한 측면의 스피커홀(204)은 작은 크기와 면적을 갖는 이동 단말기의 전면이나 후면에 복잡한 형상이나 틈을 형성하는 것을 막고 디자인 면에 있어서 다양성과 자유도를 제공할 수 있다.3, a
단말기 바디(101)의 측면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16)가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방송수신모듈(111)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116)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antenna for communication, an
단말기 바디(101)에는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The
도 4는 도 2의 휴대 단말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단말기 바디(101)는 프론트 케이스(102)와 리어 케이스(103)로 분해될 수 있으며, 리어 케이스(103)의 내측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모듈(200)이 설치된다. 리어 케이스(103)의 측면에는 스피커 모듈(200)로부터 출력되는 음을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스피커홀(204)이 형성되어 있다. 스피커홀(204)의 배치는 케이스(103)의 측면에 배치되는 것으로서, 케이스(103)의 상단측면, 하단 측면 또는 좌우 측면에도 형성될 수있다.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portable terminal of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모듈의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스피커를 인클로저로부터 분리한 상태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7은 스피커 모듈이 휴대 단말기에 장착된 상태의 단면도이다.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speaker modul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speaker is separated from an enclosure in FIG. 5, and FIG. 7 is a sectional view of the speaker module in a portable terminal.
이들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스피커 모듈(200)은 전체적으로 스피커(210)와, 스피커(210)를 지지하는 인클로저(220)를 포함하는 형태로 되어 있다. 스피커(210)는 전방음이 방사되는 제1면(212)과 후방음이 방사되는 제2면(211)을 가지며, 형상면에 있어서 원반형 또는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음은 전방음과 동시에 제2면(211)에서 방사되는 반대 위상을 갖는 음을 말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인클로저(220)의 일측면에는 스피커의 연결부(215,216)가 다른 커넥터류에 연결될 수 있도록 스프링형의 접촉단자(217,218)가 구비될 수 있다.Spring-shaped
도 6에 의하면, 인클로저(220)는 스피커(210)가 장착되는 스피커 장착부(224)와, 스피커(210)의 제2면에서 방사되는 후방음의 공명공간(207)을 제공하기 위한 차폐벽부(225)를 포함하고 있다. 6, the
차폐벽부(225)는 도 7에 도시된 것과 같이 다른 기구물(106)과의 구성에 의하여 스피커(210)의 후면을 둘러쌀 수 있도록 적어도 스피커(210)가 잠길 정도의 높이를 가질 수 있다. 차폐벽부(225)의 단부에는 다른 기구물(106)과의 밀착을 위하여 제1연질부재(240)가 부착될 수 있다. 그러한 재질로서 고무 또는 발포성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The shielding
도 7에 의하면, 인클로저(220)의 스피커 장착부(224)는 디스플레이 모듈(151)과 겹쳐진 형태로 되어 있다. 즉, 스피커 및 스피커 장착부가 디스플레이 모듈과 겹치지 않고 수평적으로 각각 배치된 다른 형태의 휴대 단말기와는 달리, 도 7에 개시되어 있는 휴대 단말기(100)의 디스플레이 모듈(151)은 스피커(210)와 겹쳐진 형태로 되어 있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100)의 기구형태는 작은 사이즈의 구현 또는 독립되거나 종속적인 별개의 모듈을 형성하기에 적합할 수 있다. 7, the
스피커(210)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사이에는 스피커(210)의 전방음이 외부로 빠져나갈 수 있게 하는 별도의 통로가 마련되어야 한다. 그러한 통로를 크게 하는 경우 휴대 단말기(100)의 두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여지가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예에서는 인클로저(220)의 형상을 통하여 스피커(210)의 전방음이 외부로 전달될 수 있는 틈을 최소화시키고, 스피커(210)와 디스플레이 모듈(151)의 겹침에 의하여 발생하는 두께의 증가를 막을 수 있도록 하였다. A separate passageway for exiting the front sound of the
도 6에 의하면, 스피커 장착부(224)는 스피커(210)를 지지하면서도 스피커(210)의 후방음이 전방음과 섞임으로써 상쇄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하여, 스피커(210)의 제1면(212)의 가장자리 부분은 스피커 장착부(224)에 밀착되게 부착됨으로써, 제1면(212)을 통하여 방사된 전방음이 후방음에 대하여 차단될 수 있게 되어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인클로저(220)는 출력된 전방음이 반사되어 스피커(210)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제1면(212)과 이격된 위치에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221)를 포함하고 있다. 기구벽부(221)의 일측에는 스피커(210)의 제1면(212)으로부터 방사된 음이 빠져 나가는 출구(202)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전체적으로는 스피커(210)의 전방은 기구벽부(221)에 의하여 가로막혀 있으며, 스피커(210)의 제1면(212)과 기구벽부(221) 사이에 형성되는 제1채널부(201) 및 출구(202)를 통하여 사운드가 외부로 진행된다. 출구(202)를 통과한 전방음은 인클로저(220)에 형성되는 가이드부(223)에 의하여 다시 외부 방향으로 안내된다.The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23)는 전방음을 안내하는 제2채널부(203)를 형성할 수 있도록 대향벽들(223a,223b)을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223)는 기구벽부(221)의 출구(202)로부터 전방음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플레어(flare)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부(223)의 출구쪽은 케이스(103)의 스피커홀(204)과 밀폐통로를 형성할 수 있도록 제2연질부재(230)가 부착되어 있다. 제2연질부재(230) 역시 제1연질부재(240)와 마찬가지로 고무 또는 발포성 수지 등이 적용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7, the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기구벽부(221)와 제1면(212) 사이의 제1채널부(201)는 가이드부(223)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되어 있다. 이를 위한 일 예로서, 기구벽부(221)의 내면은 경사면(221a)을 형성하고 있다. 경사면(221a)은 스피커(210)의 제1에지(210a)로부터 대향되는 제2에지(210b)까지 제1면(212)과의 사이의 틈이 점점 벌어지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면(221a)은 제1면(212)을 통하여 방사되는 전방음이 측면으로 진행되기에 적절한 반사면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제1채널부(201)의 폭은 가급적 높이가 높을수록 출력음의 품질면에서 유리하나, 대략 0.7mm 이상의 공간으로도 직접적인 음의 방사 효과와 유사한 수준을 얻을 수 있다.Referring again to FIG. 7, the
공명공간(207)을 보다 크게 하기 위해, 제2채널부(203)는 제1채널부(201)보다 큰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부(223)의 차폐벽부(225)에 의하여 한정되는 공명공간(207)의 크기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되어 중저음을 강화시킬 수 있다. 반대로, 제2채널부(203)의 경사를 줄이는 경우, 공명공간(207)의 크기가 작아지나 제1면(211)을 통하여 출력되는 전방음의 방사가 원활해질 수 있다.In order to make the
도 8은 스피커를 통하여 방사된 음의 진행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작동 상태도이다.FIG. 8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a visual progression of sound emitted through a speaker.
이와 같이, 경사면(221a)을 통하여 반사된 전방음은 인클로저(220) 내에 마련된 제1채널부(201) 및 제2채널부(203)를 통하여 진행된 후 케이스(103)의 측면에 형성된 스피커홀(204)을 통하여 외부로 방출된다. 스피커(210)의 제2면(211)에서 방사된 후방음은 인클로저(220)의 밀폐된 공명공간(207) 내에서 공명된다. The front sound reflected through the
도 9는 본 발명과 관련된 스피커 장치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의 특성을 도시한 도표이다. 음압레벨을 주파수별로 측정한 것으로서 전체적으로 1kHz 이상에서는 하한 기준치를 상회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FIG. 9 is a graph showing the characteristics of sound output through the speaker device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The sound pressure level is measured by frequency, and it can be seen that it exceeds the lower limit reference value above 1kHz as a whole.
상기와 같은 스피커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The above-described speaker module and the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are not limited to the configurations and the methods of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ll or a part of the embodiments may be selectively combined to be variously modified. .
Claims (15)
상기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음이 상기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출력된 상기 전방음이 반사되어 상기 스피커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상기 제1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 및
상기 기구벽부의 출구로부터는 상기 전방음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플레어(flare) 형태로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벽부와 상기 제1면 사이에는 제1채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이루는 대향벽들 사이에는 제2채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이루는 대향벽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피커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와 직접 연결되는 대향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채널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후방음의 공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A speaker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front sound is emit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a rear sound is emitted; And
And an enclosure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speaker and to prevent the rear sound from being mixed with the front sound,
The enclosure includes:
A device wall part for blocking the front soun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so that the outputted front sound is reflected and diverg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peaker; And
And a guide portion formed in a flare shape so as to have an expanded cross-sectional area from the outlet of the instrument wall portion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ont sound,
A first channe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ool wall portion and the first surface, a second channe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pposed walls constituting the guide portion,
Wherein one of the opposed walls constituting the guide por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rear sound-deadening resonance spac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hannel section with respect to the opposite wall directly connected to the speaker.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공명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스피커가 잠겨질 정도의 차폐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closure further comprises a shield wall portion to which the speaker is locked so as to enclose at least part of the resonance space.
상기 차폐벽부의 단부에는 연질의 제1가스켓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3. The method of claim 2,
And a soft first gasket is further attached to the end portion of the shielding wall portion.
상기 제1채널부는, 상기 가이드부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channel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guide portion.
상기 제2채널부는 상기 제1채널부보다 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5. The method of claim 4,
And the second channel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arg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channel portion.
상기 기구벽부는 상기 스피커의 제1에지로부터 대향되는 제2에지까지 틈이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instrument wall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gap is gradually widened from a first edge of the speaker to an opposite second edge thereof.
상기 가이드부의 단부에는 연질의 제2가스켓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모듈.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oft second gasket is further attached to an end of the guide portion.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 내장되는 인클로저를 스피커 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피커 모듈은,
전방음이 방사되는 제1면 및 후방음이 방사되는 제2면을 갖는 스피커; 및
상기 스피커를 지지할 수 있게 형성되며, 상기 후방음이 상기 전방음과 섞이지 않도록 상기 후방음을 차단할 수 있게 형성되는 인클로저를 포함하고,
상기 인클로저는,
출력된 상기 전방음이 반사되어 상기 스피커의 측면방향으로 비스듬히 진행하도록 상기 제1면과 이격된 위치에 상기 전방음을 가로막는 기구벽부; 및
상기 기구벽부의 출구로부터는 상기 전방음의 진행방향을 따라 확장된 단면적을 갖도록 플레어(flare)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사운드홀에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며,
상기 기구벽부와 상기 제1면 사이에는 제1채널부가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부를 이루는 대향벽들 사이에는 제2채널부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부를 이루는 대향벽 중 어느 하나는 상기 스피커와 직접 연결되며,
상기 스피커와 직접 연결되는 대향벽을 기준으로 상기 제2채널부의 반대편에는, 상기 후방음의 공명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A terminal case having a sound hole formed on a side surface thereof;
And an enclosure built in the terminal case includes a speaker module,
A speaker having a first surface on which a front sound is emitted and a second surface on which a rear sound is emitted; And
And an enclosure formed to be able to support the speaker and to prevent the rear sound from being mixed with the front sound,
The enclosure includes:
A device wall part for blocking the front soun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first surface so that the outputted front sound is reflected and diverged in a lateral direction of the speaker; And
And a guide portion formed in a flare shape extending from the outlet of the mechanism wall portion so as to have an expanded sectional area along the traveling direction of the front sound,
A first channe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tool wall portion and the first surface, a second channel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opposed walls constituting the guide portion,
Wherein one of the opposed walls constituting the guide portion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speaker,
And the rear sound-deadening resonance space is form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second channel section with respect to the opposite wall directly connected to the speaker.
상기 단말기 케이스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배치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스피커 모듈 중 적어도 상기 스피커와 겹쳐지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9. The method of claim 8,
A display module is disposed in the terminal case,
Wherein the display module is disposed to overlap at least the speaker of the speaker module.
상기 인클로저는, 상기 공명공간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스피커가 잠겨질 정도의 차폐벽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enclosure further comprises a shield wall portion to which the speaker is locked to enclose at least a part of the resonance space.
상기 차폐벽부에는 상기 공명공간이 차폐되도록 차폐기구물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휴대 단말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hielding wall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shielding mechanism for shielding the resonance space.
상기 차폐벽부의 단부에는 연질의 제1가스켓이 더 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a soft first gasket is further attached to an end of the shielding wall portion.
상기 제1채널부는, 상기 가이드부 쪽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first channel portion is formed to be wider toward the guide portion.
상기 제2채널부는 상기 제1채널부보다 큰 경사를 이루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14. The method of claim 13,
Wherein the second channel portion is formed to have a larger inclination than the first channel portion.
상기 기구벽부는 상기 스피커의 제1에지로부터 대향되는 제2에지까지 틈이 점점 벌어지도록 경사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9. The method of claim 8,
Wherein the instrument wall portion has an inclined surface such that a gap is gradually widened from the first edge to the second opposite edge of the speak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0636A KR101612791B1 (en) | 2010-02-04 | 2010-02-0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10636A KR101612791B1 (en) | 2010-02-04 | 2010-02-0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697A KR20110090697A (en) | 2011-08-10 |
KR101612791B1 true KR101612791B1 (en) | 2016-04-18 |
Family
ID=449284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10636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2791B1 (en) | 2010-02-04 | 2010-02-04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2791B1 (en)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9776A1 (en) * | 2017-08-23 | 2019-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ound out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WO2020105971A1 (en) * | 2018-11-23 | 2020-05-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agnetic shield structure for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00119003A (en) * | 2019-04-09 | 2020-10-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internal space |
WO2021020685A1 (en) * | 2019-07-29 | 2021-02-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
WO2022149842A1 (en) * | 2021-01-06 | 2022-07-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US12042031B2 (en) | 2019-07-05 | 2024-07-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s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8924B1 (en) * | 2012-01-19 | 2019-02-15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1991504B1 (en) | 2012-02-24 | 2019-09-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KR101977079B1 (en) * | 2012-08-13 | 2019-05-1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KR102021493B1 (en) * | 2013-01-30 | 2019-09-17 | 엘지전자 주식회사 | Mobile terminal |
US9307314B2 (en) | 2013-06-12 | 2016-04-0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with side acoustic emission type speaker device |
KR102128277B1 (en) * | 2013-06-12 | 2020-06-30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with side acoustic emission type speaker device |
KR102023189B1 (en) | 2013-07-03 | 2019-09-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Sound generation apparatus and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thereof |
KR102198792B1 (en) | 2014-03-07 | 2021-01-06 | 삼성전자주식회사 | Water Proof Electronic Device |
KR102373308B1 (en) * | 2017-04-06 | 2022-03-11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housing having at least one through hole |
KR102533426B1 (en) * | 2018-05-03 | 2023-05-17 | 삼성전자 주식회사 | Conduit of electronic device and the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the same |
KR102210118B1 (en) * | 2019-06-14 | 2021-02-01 | 삼성전자 주식회사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duct |
CN110504525B (en) * | 2019-09-18 | 2024-09-20 | 闻泰通讯股份有限公司 | Terminal equipment |
KR102694244B1 (en) * | 2020-04-03 | 2024-08-1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 speaker module |
KR102686705B1 (en) * | 2021-01-29 | 2024-07-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including speaker module |
EP4294035A4 (en) | 2021-04-22 | 2024-08-1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OUNTING STRUCTURE OF A SPEAKER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AME |
EP4369143A4 (en) * | 2021-11-02 | 2024-1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SOUND MODULE |
EP4529221A1 (en) * | 2023-07-14 | 2025-03-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coustic conduit of speaker |
-
2010
- 2010-02-04 KR KR1020100010636A patent/KR101612791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039776A1 (en) * | 2017-08-23 | 2019-02-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ound out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US11051103B2 (en) | 2017-08-23 | 2021-06-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Sound output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WO2020105971A1 (en) * | 2018-11-23 | 2020-05-28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agnetic shield structure for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US11159891B2 (en) | 2018-11-23 | 2021-10-2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agnetic shield structure for speaker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
KR20200119003A (en) * | 2019-04-09 | 2020-10-19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internal space |
KR102639926B1 (en) * | 2019-04-09 | 2024-02-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A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expandable internal space |
US12042031B2 (en) | 2019-07-05 | 2024-07-23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Case for foldable electronic device |
WO2021020685A1 (en) * | 2019-07-29 | 2021-02-0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
US11871178B2 (en) | 2019-07-29 | 2024-01-0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speaker assembly |
WO2022149842A1 (en) * | 2021-01-06 | 2022-07-14 | 삼성전자 주식회사 | Wearable electronic devic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90697A (en) | 2011-08-1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2791B1 (en) | Speak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97895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95141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2983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7207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59020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90960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49012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broadcast thereof | |
KR20130088982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92507B1 (en) | Earphone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the same | |
KR101822939B1 (en) | Earphone and mobile terminal system having earphone | |
KR101962125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691234B1 (en) | Method for outputting a stereophonic sound in mobile terminal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613942B1 (en) | Ear set and mobile terminal enable to communicate with the same | |
KR101635021B1 (en) | Receiver module and portable terminal having the same | |
KR101613926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57173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 |
KR20140021929A (en) | Mobile terminal | |
KR101700762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18017B1 (en) | Mobile terminal | |
KR20130090594A (en) | Mobile terminal | |
KR101649648B1 (en) | Portable terminal | |
KR101548998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751344B1 (en) | Mobile terminal | |
KR101894877B1 (en) | Mobile terminal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0020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2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0020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