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2283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283B1
KR101612283B1 KR1020090085243A KR20090085243A KR101612283B1 KR 101612283 B1 KR101612283 B1 KR 101612283B1 KR 1020090085243 A KR1020090085243 A KR 1020090085243A KR 20090085243 A KR20090085243 A KR 20090085243A KR 101612283 B1 KR101612283 B1 KR 1016122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portable terminal
touch input
input
fing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52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7244A (ko
Inventor
김형일
임현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52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2283B1/ko
Priority to US12/879,438 priority patent/US9292191B2/en
Publication of KR201100272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72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2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283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2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1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using ic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GUI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센싱 값을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관리부와, 상기 패턴 관리부에 의해 판단한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 손가락 위치, 손가락 회전, 수광 센서, 입력 패턴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ATING USER INPUT PATTER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GUI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송메시지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또한, 사용자의 손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입력하는 터치스크린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가 개발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텍스트를 작성하거나 선을 그릴 수 있게 되었다.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여 해당 위치의 터치 입력 발생을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와 같은 방법은 기존의 버튼 입력을 대체하는 수단일 뿐이고, 터치 후 손가락의 회전에 대해 감지할 수 있는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표시부에 다수의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배열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데 상기 GUI의 위치를 정적으로 배열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손으로 해당 GUI 선택이 힘들다는 문제점이 있다. 즉,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 손가락으로 전체 GUI를 선택할 수 없다는 것이다. 또한 사용자는 어느 한 GUI를 선택하게 되면 디스플레이 영역에는 손가락에 의해 발생되는 비 가시 영역이 발생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GUI 확인에 많은 불편함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입력하는 손가락으로 인해 화면상의 아이콘이 가릴 수 있고, 가려진 아이콘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손가락을 띄운 후, 확인하고 선택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광 센서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방향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여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을 가시 영역에 재 배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로 구성되어 센싱 값을 측정하는 센싱부와, 상기 센싱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패턴 관리부와, 상기 패턴 관리부에 의해 판단한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출력 관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 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은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한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여 동적인 GUI(Graphical User Interface) 배열을 가능하게 하여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을 가시 영역으로 재 배열함으로써 사용자의 문자 입력 과정을 간소화하고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서로 다른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GUI(Graphical User Interface)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출력 관리부(102), 패턴 판단부(104), 메모리부(106), 센싱부(108), 입력부(110), ADC(112), 표시부(114) 및 통신부(11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센싱부(108)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 위치, 방향 등을 확인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한 후,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00)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확인한 후, 하나의 키 입력 버튼에 대하여 서로 다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손가락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비 가시 영역을 판단하여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을 가시 영역에 재 배열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제어부(100)는 상기 패턴 판단부(104)로 하여금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도록 처리할 수 있으며, 상기 출력 관리부(102)로 하여금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을 가시 영역에 재 배열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상기 출력 관리부(102)는 상기 제어부(100)로부터 제공받는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바탕으로 GUI의 위치를 변경한다. 이때, 상기 출력 관리부(102)는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아이콘을 가시 영역으로 이동시키거나 하나의 키 입력 버튼에 대 하여 서로 다른 문자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패턴 판단부(104)는 상기 제어부(100)의 지시를 받아 상기 센싱부(108)에 의해 측정된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한다. 예를 들어, 상기 패턴 판단부(104)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영역에 대한 측정 값을 수신할 경우, 해당 영역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위치함을 판단하여 사용자가 왼손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지 또는 오른손으로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턴 판단부(104)는 상기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의 위치, 회전 방향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메모리부(106)는 롬(ROM : Read Only Memory), 램(RAM :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출력 관리부(102) 및 패턴 판단부(104)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및 수신메시지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센싱부(108)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 개의 수광 센서로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센서들의 측정 값을 상기 ADC(112)로 전달한다. 상기 ADC(112)는 상기 센싱부(108)로부터 제공받은 측정 값을 디지털 값으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0)로 전달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도록 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4)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4)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6)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출력 관리부(102) 및 패턴 판단부(104)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화면 주위에 빛을 감지할 수 있는 다수 개(도면에서는 L1 ~ Ln 까지)의 수광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놓일 경우, 손가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부분이 발생하고, 이 부분에 위치한 수광 센서와 가려지지 않는 부분에 위치한 수광 센서의 측정 값이 달라진다.
만일, 현재 사용자의 손가락(220)의 위치가 210의 위치 또는 230의 위치로 움직이면 해당 방향의 수광 센서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고, 원래 손가락 위치에 가려져 있던 수광 센서는 다시 빛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이런 과정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변화하는 수광 센서의 측정값을 이용하여 손가락의 위치, 방향과 같은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즉, 왼쪽으로 치우쳐서 빛이 가리게 되면 왼손으로 터치한 것이고, 오른쪽으로 치우쳐서 빛이 가리게 되면 오른손으로 터치한 것이라는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수광센서의 측정값은 ADC(Analog to Digital Converter)(112)에 의해 디지털 값으로 변환되어 제어부(100)로 전달되게 된다.
이상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 하고 상기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GUI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GUI의 위치를 유동적으로 변경하기 위한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감광 다이오드나, 감광 트랜지스터와 같이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 센서를 동작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단말기로 상기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영역 주변에 다수의 수광 센서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예 ; 왼손 입력, 오른손 입력 등)을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입력 발생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광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발생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수행하면서 상기 수광 센서 위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을 위치 시킬 경우, 해당 위치의 수광 센서가 빛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수 있으며 모든 수광 센서에서 빛을 감지할 경우,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303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지 않았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01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03단계에서 터치 입력이 발생하였다고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광 센서의 측정 값을 로딩한 후,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로딩한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는 수광 센서의 위치 또는 빛을 감지하는 수광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패턴 또는 오른 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패턴을 수행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판단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따라 화면 이동을 위한 스크롤 키의 위치를 이동시키거나 손 가락 위치에 따라 가려질 수 있는 아이콘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터치 입력이 가능한 단말기로 상기 터치 입력을 수행하는 영역 주변에 다수의 수광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410단계에서 수광 센서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있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수광 센서는 빛을 감지하는 센서로 사용자의 손가락이 디스플레이 화면 위에 놓일 경우, 손가락에 의해 화면이 가려지는 부분이 발생하고, 이 부분에 위치한 수광 센서는 빛을 감지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수광 센서를 가리는 부분과 수광 센서를 가리지 않는 부분의 측정 값이 다른 것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수광 센서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없다는 것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410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수광 센서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이 있다는 것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20단계로 진행하여 수광 센서의 측정 값을 로딩한 후, 430단계로 진행하여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위치를 파악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430단계에서 파악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위치가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440단계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위치가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5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입력 패턴이 왼손으로 입력하는 패턴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440단계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위치가 왼쪽으로 치우쳐져 있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60단계로 진행하여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460단계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부분의 위치가 오른으로 치우쳐져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470사용자의 입력 패턴이 오른손으로 입력하는 패턴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상기 460단계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410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오른손 또는 왼손을 사용하는 입력 패턴인지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상기 460단계에서 빛을 받지 못하는 위치가 오른쪽으로 치우쳐져 있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광 센서에 의해 측정된 측정 값에 해당하는 위치를 판단하여 해당 위치에 따른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510단계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510단계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10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510단계에서 터치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20단계로 진행하여 수광 센서를 통해 빛을 감지하는 센서 값을 측정한 후, 530단 계로 진행하여 가시 영역 및 비 가시 영역을 결정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광 센서에 의해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예 ; 오른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왼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등)을 판단한 후, 해당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비 가시 영역과 가시 영역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530단계에서 결정한 가시 영역에 메뉴 선택 아이콘과 같은 GUI를 출력하도록 처리한 후, 55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GUI 입력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55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GUI 입력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50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550단계에서 사용자에 의한 GUI 입력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56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사용자가 선택한 GUI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한 후, 570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이동을 감지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520단계의 과정을 재수행하여 상기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상기 터치 이동을 감지하지 않을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으로 두개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좌측은 기 본 자음을 표시하고 우측은 복합 자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입력 패턴에 따라 기본 자음 또는 복합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10단계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구동한 후, 6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측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30단계로 진행하여 왼손, 오른손, 손가락 방향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결정한 후, 6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패턴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좌측은 기본 자음인 "ㄱ"이 표시되고 우측은 복합 자음인 "ㄲ"을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왼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ㄱ"을 입력하도록 하고, 오른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ㄲ"을 입력하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650단계로 진행하여 문자 입력 기능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650단계에서 문자 입력 기능이 종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620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상기 650단계에서 문자 입력 기능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710단계에서 게임 기능을 구동한 후, 72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감지하는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측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30단계로 진행하여 왼손, 오른손, 손가락 방향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결정한 후, 74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결정한 사용자의 패턴에 따른 입력을 처리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왼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게임 케릭터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오른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상기 게임 케릭터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처리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750단계로 진행하여 게임 기능이 종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750단계에서 문자 입력 기능이 종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720단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며, 상기 750단계에서 게임 기능이 종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른 데이터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810단계에서 가시 영역 디스플렝이 기능을 구동한 후, 820단계로 진행하여 가시 영역의 면적을 계산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광 센서에 의해 사용자 의 터치 입력 패턴(예 ; 오른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왼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 등)을 판단한 후, 해당 패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해 가려질 수 있는 비 가시 영역과 가시 영역을 결정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비 가시 영역에 오버랩되는 링크 주소를 가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의 도움말과 같은 컨텐츠 창을 가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하거나,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하위 메뉴를 가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비 가시 영역에 오버랩되는 링크 주소를 가시 영역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30단계로 진행하여 비 가시 영역의 면적에 포함될 수 있는 오버랩 링크를 확인한 후, 비 가시 영역에 해당 링크를 가시 영역에 플로팅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의 도움말과 같은 컨텐츠 창을 가시 영역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40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창을 비 가시 영역을 포함하지 않는 가시 영역에 배열시키도록 처리한다.
또 다른 실시 예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하위 메뉴를 가시 영역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50단계로 진행하여 기 출력된 메뉴 선택에 따라 출력될 수 있는 하위 메뉴들을 비 가시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 가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손가락 회전 예상 방향을 판단하여 출력 중인 객체를 이동시키고자 할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860단계로 진행하여 터치 입력 패턴에 따른 회전 방향을 예상한 후, 870단계로 진행하여 손가락 회전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으로 출력 중인 객체를 이동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왼손을 이용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사용자는 좌측에서 우측 아래로 손가락을 회전시킬 수 있다고 판단한 후, 좌측에서 우측 아래로 이동하는 손가락 회전을 감지할 경우, 출력 중인 이미지를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터치 입력이 가능한 표시부 주변에 다수의 수광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고 가정한다.
만약,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왼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901), 상기 왼손 엄지 손가락은 일부 수광 센서를 가리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왼손 엄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수광 센서를 제외한 모든 수광 센서로부터 감지한 센서 값을 제공받아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자 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오른손 엄지 손가락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903), 상기 오른손 엄지 손가락은 일부 수광 센서를 가리게 될 것이다.
이로 인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오른손 엄지 손가락에 의해 가려진 수광 센서를 제외한 모든 수광 센서로부터 감지한 센서 값을 제공받아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하여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자 한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를 출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a)를 참조하면, 상기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일정 크기의 아이콘을 표시부에 정렬시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에 따라 비 가시 영역에 다수의 아이콘이 포함될 수 있다. 즉, 상기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는 고정적인 아이콘 출력만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자는 터치 입력을 위한 손가락에 가려지는 아이콘 확인에 불편함을 느낀다.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b)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자함을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왼손 손가 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 가시 영역을 판단한 후, 비 가시 영역이 포함되지 않은 가시 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왼손 손가락의 회전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파지한 상태에서 손가락이 움직일 수 있는 회전 반경)에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다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0(c)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게 되는데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자함을 판단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오른손 손가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 가시 영역을 판단한 후, 비 가시 영역이 포함되지 않은 가시 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오른손 손가락의 회전 반경에 해당하는 위치에 상기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처리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특수 문자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으 로 두개의 특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좌측은 "("가 표시되고 우측은 ")"가 표시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는 입력 패턴에 따라 기본 자음 또는 복합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행하고 있음을 판단한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 과 ")"이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터치함을 확인할 경우(1101), "("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처리하고,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행함을 판단할 경우(1103), ")"을 표시부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문자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으로 두개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좌측은 기본 자음을 표시하고 우측은 복합 자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입력 패턴에 따라 기본 자음 또는 복합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측정하여 왼손, 오른손, 손가락 방향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결정한 후, 사용자의 패턴에 따른 문자 입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좌측은 기본 자음인 "ㄷ"이 표시되고 우측은 복합 자음인 "ㄸ"을 표시되어 있는 버튼을 사용자가 선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왼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ㄷ"을 출력(1105)하도록 하고, 오른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ㄸ"을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도 1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문자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1(c)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으로 두개의 문자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문자 입력 버튼에 좌측은 기본 자음을 표시하고 우측은 복합 자음을 표시하여 사용자는 입력 패턴에 따라 기본 자음 또는 복합 자음을 선택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측정하여 왼손, 오른손, 손가락 방향과 같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결정한 후, 사용자의 패턴에 따른 게임 기능을 제어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의 왼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게임 케릭터를 왼쪽으로 이동시키고 오른손 터치 입력 패턴을 확인할 경우, 상기 게임 케릭터를 오른쪽으로 이동시키도록 처리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a)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비 가시 영역에 오버랩되는 링크 주소를 가시 영역에 출력한 화면과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의 컨텐츠 창을 가시 영역에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비 가시 영역에 오버랩되는 링크 주소를 가시 영역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a)와 같 이 수광 센서의 센서 값을 측정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비 가시 영역을 판단한 후, 비 가시 영역의 면적(1201)에 포함될 수 있는 오버랩 링크를 확인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오버랩 링크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가려질 수 있다고 판단하여 해당 링크를 가시 영역에 플로팅(1203)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의 도움말과 같은 컨텐츠 창을 가시 영역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b)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1211)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창을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지 않는 영역인 가시 영역에 배열(1213)시키도록 처리한다.
도 12(b)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하위 메뉴를 가시 영역에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2(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하위 메뉴를 가시 영역에 출력하고자 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c)와 같이 기 출력된 메뉴 선택에 따라 출력될 수 있는 하위 메뉴들을 비 가시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 가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처리한다.
예를 들어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가 멀티미디어 메뉴와 그에 따른 하위 메뉴가 출력되었다고 가정한다. 먼저, 사용자가 기 출력된 하위 메뉴 가운데 어느 하나의 메뉴를 선택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메뉴의 하위 메뉴를 비 가시 영역이 포함되지 않는 가시 영역에 출력하게 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가 선택한 하나의 메뉴에 대한 컨텐츠 창으로 가시 영역에 출력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이때, 화살표는 터치 이동 경로로 P1에서 부터 P4까지 사용자가 터치 이동을 수행한 것으로 터치 이동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비 가시 영역에 해당 메뉴를 출력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GUI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수광 센서를 동작하여 사용자에 의해 수행되는 터치 입력의 패턴을 판단한다.
즉,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광 센서를 동작함으로써 빛을 감지한다. 하지만, 사용자의 터치 입력시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수광 센서에서 빛을 감지하지 못하게 됨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수광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위치에 스크롤 바의 위치를 변경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왼손을 이용한 터치 입력을 수행할 경우(a),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 입력중인 사용자의 왼 손가락으로 손쉽게 스크롤 조작을 가능하도록 스크롤 바의 위치를 출력 페이지 좌측으로 변경(1301)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오른손을 이용한 터치 입 력을 수행할 경우(b),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 입력중인 사용자의 오른 손가락으로 손쉽게 스크롤 조작을 가능하도록 스크롤 바의 위치를 출력 페이지 우측으로 변경(1311)하도록 처리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감지하는 센싱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문자 입력을 처리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게임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른 데이터 출력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 패턴을 판단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10(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0(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다른 데이터 출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특수 문자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문자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른 문자 데이터 입력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a)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비 가시 영역에 오버랩되는 링크 주소를 가시 영역에 출력한 화면과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해당하는 지점의 컨텐츠 창을 가시 영역에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12(b)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메뉴 선택에 따른 하위 메뉴를 가시 영역에 출력한 화면을 도시한 도면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에 따라 GUI의 위치를 변경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Claims (11)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터치 입력을 검출하는 터치 스크린과,
    빛에 대한 센싱 값을 측정하는 센싱부와,
    터치 입력이 검출된 경우, 상기 센싱부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좌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좌표 및 상기 추가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좌표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 손 방향, 손가락 위치, 손가락의 회전 방향, 비 가시 영역, 가시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일 키 상의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동작, 비 가시 영역에 포함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가시 영역으로 재 배열하는 동작,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범위에 GUI를 재 설정하는 동작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의 입력 패턴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부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을 나타내는 비 가시 영역 및 가시 영역을 예상한 후, 상기 예상한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GUI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GUI를 가시 영역에 재 배열하도록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5.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터치 입력이 검출된 경우, 빛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상기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좌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좌표 및 상기 추가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와 관련된 추가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은,
    상기 좌표와 관련된 사용자의 입력 손 방향, 손가락 위치, 손가락의 회전 방향, 비 가시 영역, 가시 영역 가운데 적어도 하나를 판단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좌표 및 상기 추가 정보에 대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은,
    동일 키 상의 서로 다른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 비 가시 영역에 포함되는 GUI(Graphical User Interface)를 가시 영역으로 재 배열하는 과정, 사용자의 손가락 이동 범위에 GUI를 재 설정하는 과정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비 가시 영역에 포함되는 GUI를 가시 영역으로 재 배열하는 과정은,
    상기 센서의 측정 값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가려지는 영역을 나타내는 비 가시 영역 및 가시 영역을 예상하는 과정과,
    상기 예상한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GUI를 확인하는 과정과,
    상기 확인한 비 가시 영역에 존재하는 GUI를 가시 영역에 재 배열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090085243A 2009-09-10 2009-09-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ctive KR1016122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243A KR101612283B1 (ko) 2009-09-10 2009-09-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879,438 US9292191B2 (en) 2009-09-10 2010-09-10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user input pattern in portab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5243A KR101612283B1 (ko) 2009-09-10 2009-09-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244A KR20110027244A (ko) 2011-03-16
KR101612283B1 true KR101612283B1 (ko) 2016-04-15

Family

ID=43647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5243A Active KR101612283B1 (ko) 2009-09-10 2009-09-10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292191B2 (ko)
KR (1) KR1016122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99106B2 (en) * 2010-10-01 2013-12-03 Z124 Dual screen application behaviour
JP5203797B2 (ja) * 2008-05-13 2013-06-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装置の表示情報編集方法
JP5769234B2 (ja) * 2011-03-29 2015-08-26 埼玉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装置、表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824388B1 (ko) * 2011-06-10 2018-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신체특성을 고려한 동적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JP5880024B2 (ja) * 2011-12-22 2016-03-08 株式会社バッファロー 情報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40375676A1 (en) * 2011-12-28 2014-12-25 Nec Casio Mobile Communications, Ltd. Display device, display method, and program
US20130265235A1 (en) * 2012-04-10 2013-10-10 Google Inc. Floating navigational controls in a tablet computer
KR101216307B1 (ko) 2012-06-08 2012-12-28 (주)네오위즈게임즈 패턴 입력을 통한 캐릭터 조작 방법 및 장치
JP5969847B2 (ja) * 2012-07-19 2016-08-17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8665238B1 (en) * 2012-09-21 2014-03-04 Google Inc. Determining a dominant hand of a user of a computing device
US9122328B2 (en) 2012-09-28 2015-09-0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Detecting and handling unintentional touching of a touch screen
CN103885642A (zh) * 2012-12-21 2014-06-2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控制系统及方法
US20140184519A1 (en) * 2012-12-28 2014-07-03 Hayat Benchenaa Adapting user interface based on handedness of use of mobile computing device
JP5991538B2 (ja) * 2013-02-20 2016-09-1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データ処理装置、データ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US20150040027A1 (en) * 2013-07-31 2015-02-05 Yi-Chuan Cheng Portable Device with Handedness Switching Module
US9204288B2 (en) 2013-09-25 2015-12-01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adaptation of address books
US20150089386A1 (en) * 2013-09-25 2015-03-26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Adaptation of Home Screens According to Handedness
US20150089360A1 (en) * 2013-09-25 2015-03-26 At&T Mobility Ii Llc Intelligent Adaptation of User Interfaces
CN104601767A (zh) * 2013-10-31 2015-05-06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手机拨号键盘管理方法及系统
US11465040B2 (en) * 2013-12-11 2022-10-11 Activision Publishing, Inc. System and method for playing video games on touchscreen-based devices
CN103744586B (zh) * 2014-01-07 2018-03-16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菜单项设置方法、装置
US9851883B2 (en) * 2014-02-17 2017-12-26 Xerox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and moving a user interface for single handed use on an endpoint device
US20150363008A1 (en) * 2014-06-11 2015-12-17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US20220171530A1 (en) * 2014-06-11 2022-06-02 Lenovo (Singapore) Pte. Ltd. Displaying a user input modality
US10429369B2 (en) 2014-11-10 2019-10-01 In-Situ, Inc. Integrated user interface for status and control of a submersible multi-parameter sonde
US9588643B2 (en) * 2014-12-18 2017-03-07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hand detection circuitry
CN104615352A (zh) * 2015-01-28 2015-05-13 上海华豚科技有限公司 移动终端桌面、移动终端以及移动终端桌面的操作方法
EP3268853B1 (en) * 2015-03-13 2021-05-05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Device for handheld operation and method thereof
CN106325723B (zh) * 2015-06-19 2019-09-2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设备
CN106293443B (zh) * 2015-06-19 2019-09-20 北京智谷睿拓技术服务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和设备
US11567621B2 (en) 2015-08-04 2023-01-31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panel,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mobile terminal
CN105183273B (zh) * 2015-08-04 2019-03-15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面板、移动终端及移动终端的控制方法
CN105892894B (zh) * 2015-09-09 2020-08-11 北京奇虎科技有限公司 一种滑屏事件冲突的处理方法及装置
JP2017220435A (ja) * 2016-06-10 2017-12-14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アドレス設定方法、操作端末、および、照明システム
US11847293B2 (en) * 2021-08-05 2023-12-19 Rolland & Hamann Innovations, LLC Selectable input alteration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3278A (ja) * 2007-12-21 2009-07-23 Toshiba Corp 携帯型機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16415T1 (de) * 2004-03-18 2008-12-15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Scanning-display-vorrichtung
JP4351599B2 (ja) * 2004-09-03 2009-10-28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入力装置
KR20060119527A (ko) 2005-05-20 2006-11-2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에서 슬라이드 방식으로 문자 메시지를입력하는 시스템, 방법 및 무선 단말기
KR20080068384A (ko) 2007-01-19 2008-07-23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포지션 결정방법
US9933937B2 (en) * 2007-06-20 2018-04-03 Apple Inc.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laying online videos
KR101348370B1 (ko) 2007-10-24 2014-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가변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JP2009211159A (ja) * 2008-02-29 2009-09-17 Brother Ind Ltd 端末装置
KR101505198B1 (ko) * 2008-08-18 2015-03-2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및 그 구동 방법
US8088001B2 (en) * 2008-08-18 2012-01-03 Igt Casino gaming exchange market
US8284170B2 (en) * 2008-09-30 2012-10-09 Apple Inc. Touch screen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on-screen objects without using a cursor
US20100201812A1 (en) * 2009-02-11 2010-08-12 Smart Technologies Ulc Active display feedback in interactive input system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63278A (ja) * 2007-12-21 2009-07-23 Toshiba Corp 携帯型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7244A (ko) 2011-03-16
US20110057907A1 (en) 2011-03-10
US9292191B2 (en) 201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28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74927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메뉴 및 아이템 선택방법
KR102245289B1 (ko) 휴대 단말 및 휴대 단말에서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과 휴대 단말의 커버
US8350807B2 (en) Scrolling method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same
KR100764652B1 (ko)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단말기의 키 입력 장치 및 방법
US10282081B2 (en) Input and output method in touch screen terminal and apparatus therefor
KR100748469B1 (ko) 키패드 터치에 의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방법 및 그 휴대단말기
KR1015700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10185308A1 (en) Portable computer device
US20050071761A1 (en) User interfac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JP5743847B2 (ja) 携帯端末および低感度領域設定プログラム
KR101830962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출력 화면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69842A (ko)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현하는 전자장치 및 그 방법
KR20140108993A (ko) 페이지 운용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10056315A (ko) 휴대용 터치 감응성 디스플레이에서 이미지를 팬 및 줌하는 방법
JP2014126949A (ja) 携帯端末装置、画面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10569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사용자 기기의 오브젝트 조작 방법 및 그 장치
WO2011055816A1 (ja) 情報端末及び入力制御プログラム
KR101751223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문자 입력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150248213A1 (en) Method to enable hard keys of a device from the screen
KR101694771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사용자의 입력 패턴을 판단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354841B1 (ko)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전자 기기 및 그 입력처리 방법
US8863037B2 (en) Keypad navigation selection and method on mobile device
WO2012137512A1 (ja) 携帯端末
CA2642191C (en) Keypad navigation selection and method on mob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1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10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