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2207B1 -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 Google Patents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2207B1
KR101612207B1 KR1020147011399A KR20147011399A KR101612207B1 KR 101612207 B1 KR101612207 B1 KR 101612207B1 KR 1020147011399 A KR1020147011399 A KR 1020147011399A KR 20147011399 A KR20147011399 A KR 20147011399A KR 101612207 B1 KR101612207 B1 KR 1016122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frame
pdcch
control channel
epdcch
downlink contro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1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8064A (ko
Inventor
김학성
서한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400980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80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22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220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or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69Cell search, i.e. determining cell identity [cell-ID]
    • H04J11/0093Neighbour cell search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8Allocation of pilot signals, i.e. of signals known to the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무선기기가 제공된다. 무선기기가 제1 검색 공간에서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제2 검색 공간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한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1 서빙셀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기준신호에 의해 복조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2 서빙셀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2 기준신호에 의해 복조된다.

Description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본 발명은 무선 통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에 관한 것이다.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Technical Specification) 릴리이즈(Release) 8을 기반으로 하는 LTE(long term evolution)는 유력한 차세대 이동통신 표준이다. 최근에는, 다중 반송파를 지원하는 3GPP TS 릴리이즈 10을 기반으로 하는 LTA-A(LTE-advanced)의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3GPP TS 36.211 V10.2.0 (2011-06)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0)"에 개시된 바와 같이, 3GPP LTE/LTE-A에서 물리채널은 하향링크 채널인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상향링크 채널인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와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로 나눌 수 있다.
증가하는 데이터 트래픽에 대처하기 위해, 이동 통신 시스템의 전송 용량을 증가시키는 다양한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예를 들어, 다수의 안테나를 사용하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put) 기술, 다수의 셀을 지원하는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 기술 등이 도입되고 있다.
3GPP LTE/LTE-A에서 설계된 제어채널은 다양한 제어 정보를 나른다. 새로운 기술이 도입됨에 따라 제어채널의 용량을 증가시키고,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를 제공한다.
일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무선기기가 제1 검색 공간에서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 및 상기 무선기기가 제2 검색 공간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1 서빙셀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기준신호에 의해 복조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2 서빙셀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2 기준신호에 의해 복조된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최대 횟수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최대 횟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최대 횟수는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최대 횟수와 다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무선기기는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RF(radio freqeuncy)부 및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제1 검색 공간에서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제2 검색 공간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한다.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검출하기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에 따른 복잡도를 줄일 수 있고,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위한 전송 자원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3GPP LTE-A에서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2는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PDCCH의 모니터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는 3GPP LTE의 DL 서브프레임에서 기준신호와 제어채널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도 5는 EPDCCH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설정을 나타낸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모니터링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을 나타낸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무선기기(wireless device)는 고정되거나 이동성을 가질 수 있으며,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T(mobile terminal), UT(user terminal), SS(subscriber station),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무선 모뎀(wireless modem), 휴대기기(handheld device)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또는, 무선기기는 MTC(Machine-Type Communication) 기기와 같이 데이터 통신만을 지원하는 기기일 수 있다.
기지국(base stationm BS)은 일반적으로 무선기기와 통신하는 고정된 지점(fixed station)을 말하며, eNB(evolved-NodeB), BTS(Base Transceiver System),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등 다른 용어로 불릴 수 있다.
이하에서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TS(Technical Specification) 릴리이즈(Release) 8을 기반으로 하는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3GPP TS 릴리이즈 10을 기반으로 하는 3GPP LTE-A를 기반으로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것을 기술한다.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본 발명은 다양한 무선 통신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LTE라 함은 LTE 및/또는 LTE-A를 포함한다.
무선기기는 복수의 서빙셀에 의해 서빙될 수 있다. 각 서빙셀은 DL(downlink) CC(component carrier) 또는 DL CC와 UL(uplink) CC의 쌍으로 정의될 수 있다.
서빙셀은 1차 셀(primary cell)과 2차 셀(secondary cell)로 구분될 수 있다. 1차 셀은 1차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초기 연결 확립 과정을 수행하거나, 연결 재확립 과정을 개시하거나, 핸드오버 과정에서 1차셀로 지정된 셀이다. 1차 셀은 기준 셀(reference cell)이라고도 한다. 2차 셀은 2차 주파수에서 동작하고, RRC(Radio Resource Control) 연결이 확립된 후에 설정될 수 있으며, 추가적인 무선 자원을 제공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항상 적어도 하나의 1차 셀이 설정되고, 2차 셀은 상위 계층 시그널링(예,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에 의해 추가/수정/해제될 수 있다.
1차 셀의 CI(cell index)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장 낮은 CI가 1차 셀의 CI로 지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1차 셀의 CI는 0이고, 2차 셀의 CI는 1부터 순차적으로 할당된다고 한다.
도 1은 3GPP LTE-A에서 하향링크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다. 이는 3GPP TS 36.211 V10.2.0 (2011-06)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Channels and Modulation (Release 10)"의 6절을 참조할 수 있다.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0~9의 인덱스가 매겨진 10개의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subframe)은 2개의 연속적인 슬롯을 포함한다. 하나의 서브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시간을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이라 하고, 예를 들어 하나의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ms이고, 하나의 슬롯의 길이는 0.5ms 일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시간 영역에서 복수의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벌을 포함할 수 있다. OFDM 심벌은 3GPP LTE가 하향링크(downlink, DL)에서 OFDMA(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를 사용하므로,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심벌 구간(symbol period)을 표현하기 위한 것에 불과할 뿐, 다중 접속 방식이나 명칭에 제한을 두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OFDM 심벌은 SC-FDMA(single carrier-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심벌, 심벌 구간 등 다른 명칭으로 불릴 수 있다.
하나의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적으로 기술하나, CP(Cyclic Prefix)의 길이에 따라 하나의 슬롯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수는 바뀔 수 있다. 3GPP TS 36.211 V10.2.0에 의하면, 정규 CP에서 1 슬롯은 7 OFDM 심벌을 포함하고, 확장(extended) CP에서 1 슬롯은 6 OFDM 심벌을 포함한다.
자원블록(resource block, RB)은 자원 할당 단위로, 하나의 슬롯에서 복수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슬롯이 시간 영역에서 7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자원블록은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를 포함한다면, 하나의 자원블록은 7×12개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 RE)를 포함할 수 있다.
DL(downlink) 서브프레임은 시간 영역에서 제어영역(control region)과 데이터영역(data region)으로 나누어진다. 제어영역은 서브프레임내의 첫번째 슬롯의 앞선 최대 4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나, 제어영역에 포함되는 OFDM 심벌의 개수는 바뀔 수 있다. 제어영역에는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및 다른 제어채널이 할당되고, 데이터영역에는 PDSCH가 할당된다.
3GPP TS 36.211 V10.2.0에 개시된 바와 같이, 3GPP LTE/LTE-A에서 물리 제어채널은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가 있다.
서브프레임의 첫번째 OFDM 심벌에서 전송되는 PCFICH는 서브프레임내에서 제어채널들의 전송에 사용되는 OFDM 심벌의 수(즉, 제어영역의 크기)에 관한 CFI(control format indicator)를 나른다. 무선기기는 먼저 PCFICH 상으로 CFI를 수신한 후, PDCCH를 모니터링한다.
PDCCH와 달리, PCFICH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하지 않고, 서브프레임의 고정된 PCFICH 자원을 통해 전송된다.
PHICH는 상향링크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를 위한 ACK(positive-acknowledgement)/NACK(negative-acknowledgement) 신호를 나른다. 무선기기에 의해 전송되는 PUSCH 상의 UL(uplink) 데이터에 대한 ACK/NACK 신호는 PHICH 상으로 전송된다.
PBCH(Physical Broadcast Channel)은 무선 프레임의 첫번째 서브프레임의 두번째 슬롯의 앞선 4개의 OFDM 심벌에서 전송된다. PBCH는 무선기기가 기지국과 통신하는데 필수적인 시스템 정보를 나르며, PBCH를 통해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MIB(master information block)라 한다. 이와 비교하여,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전송되는 시스템 정보를 SIB(system information block)라 한다.
PDCCH를 통해 전송되는 제어정보를 하향링크 제어정보(downlink control information, DCI)라고 한다. DCI는 PDSCH의 자원 할당(이를 DL 그랜트(downlink grant)라고도 한다), PUSCH의 자원 할당(이를 UL 그랜트(uplink grant)라고도 한다), 임의의 UE 그룹내 개별 UE들에 대한 전송 파워 제어 명령의 집합 및/또는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의 활성화를 포함할 수 있다.
33GPP LTE/LTE-A에서 DL 전송블록의 전송은 PDCCH와 PDSCH의 쌍으로 수행된다. UL 전송블록의 전송은 PDCCH와 PUSCH의 쌍으로 수행된다. 예를 들어, 무선기기는 PDCCH에 의해 지시되는 PDSCH 상으로 DL 전송블록을 수신한다. 무선기기는 DL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하여, DL 자원 할당을 PDCCH 상으로 수신한다. 무선기기는 상기 DL 자원 할당이 가리키는 PDSCH 상으로 DL 전송 블록을 수신한다.
도 2는 PDCCH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3GPP LTE/LTE-A에서는 PDCCH의 검출을 위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한다. 블라인드 디코딩은 수신되는 PDCCH(이를 후보(candidate) PDCCH라 함)의 CRC에 원하는 식별자를 디마스킹하고, CRC 오류를 체크하여 해당 PDCCH가 자신의 제어채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기지국은 무선기기에게 보내려는 DCI에 따라 PDCCH 포맷을 결정한 후 DCI에 CRC(Cyclic Redundancy Check)를 붙이고, PDCCH의 소유자(owner)나 용도에 따라 고유한 식별자(이를 RNTI(Radio Network Temporary Identifier)라고 한다)를 CRC에 마스킹한다(블록 210).
특정 무선기기를 위한 PDCCH라면 무선기기의 고유 식별자, 예를 들어 C-RNTI(Cell-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또는, 페이징 메시지를 위한 PDCCH라면 페이징 지시 식별자, 예를 들어 P-RNTI(Paging-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시스템 정보를 위한 PDCCH라면 시스템 정보 식별자, SI-RNTI(system information-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전송에 대한 응답인 랜덤 액세스 응답을 지시하기 위해 RA-RNTI(random access-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복수의 무선기기에 대한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지시하기 위해 TPC-RNTI가 CRC에 마스킹될 수 있다.
C-RNTI가 사용되면 PDCCH는 해당하는 특정 무선기기를 위한 제어정보(이를 단말 특정(UE-specific) 제어정보라 함)를 나르고, 다른 RNTI가 사용되면 PDCCH는 셀내 모든 또는 복수의 무선기기가 수신하는 공용(common) 제어정보를 나른다.
CRC가 부가된 DCI를 인코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coded data)를 생성한다(블록 220). 인코딩은 채널 인코딩과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을 포함한다.
부호화된 데이터는 변조되어 변조 심벌들이 생성된다(블록 230).
변조심벌들은 물리적인 RE(resource element)에 맵핑된다(블록 240). 변조심벌 각각은 RE에 맵핑된다.
서브프레임내의 제어영역은 복수의 CCE(control channel element)를 포함한다. CCE는 무선채널의 상태에 따른 부호화율을 PDCCH에게 제공하기 위해 사용되는 논리적 할당 단위로, 복수의 REG(resource element group)에 대응된다. REG는 복수의 자원요소(resource element)를 포함한다. CCE의 수와 CCE들에 의해 제공되는 부호화율의 연관 관계에 따라 PDCCH의 포맷 및 가능한 PDCCH의 비트수가 결정된다.
하나의 REG는 4개의 RE를 포함하고, 하나의 CCE는 9개의 REG를 포함한다. 하나의 PDCCH를 구성하기 위해 {1, 2, 4, 8}개의 CCE를 사용할 수 있으며, {1, 2, 4, 8} 각각의 요소를 CCE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이라 한다.
PDDCH의 전송에 사용되는 CCE의 개수는 기지국이 채널 상태에 따라 결정한다. 예를 들어, 좋은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갖는 무선기기에게는 하나의 CCE를 PDCCH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나쁜(poor) 하향링크 채널 상태를 갖는 무선기기에게는 8개의 CCE를 PDCCH 전송에 사용할 수 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CE로 구성된 제어채널은 REG 단위의 인터리빙을 수행하고, 셀 ID(identifier)에 기반한 순환 쉬프트(cyclic shift)가 수행된 후에 물리적 자원에 매핑된다.
도 3은 PDCCH의 모니터링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는 3GPP TS 36.213 V10.2.0 (2011-06)의 9절을 참조할 수 있다.
3GPP LTE에서는 PDCCH의 검출을 위해 블라인드 디코딩을 사용한다. 블라인드 디코딩은 수신되는 PDCCH(이를 PDCCH 후보(candidate)라 함)의 CRC에 원하는 식별자를 디마스킹하여, CRC 오류를 체크하여 해당 PDCCH가 자신의 제어채널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방식이다. 무선기기는 자신의 PDCCH가 제어영역내에서 어느 위치에서 어떤 CCE 집합 레벨이나 DCI 포맷을 사용하여 전송되는지 알지 못한다.
하나의 서브프레임내에서 복수의 PDCCH가 전송될 수 있다. 무선기기는 매 서브프레임마다 복수의 PDCCH들을 모니터링한다. 여기서, 모니터링이란 무선기기가 모니터링되는 PDCCH 포맷에 따라 PDCCH의 디코딩을 시도하는 것을 말한다.
3GPP LTE에서는 블라인드 디코딩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검색 공간(search space)을 사용한다. 검색 공간은 PDCCH를 위한 CCE의 모니터링 집합(monitoring set)이라 할 수 있다. 무선기기는 해당되는 검색 공간내에서 PDCCH를 모니터링한다.
검색 공간은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과 단말 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로 나뉜다. 공용 검색 공간은 공용 제어정보를 갖는 PDCCH를 검색하는 공간으로 CCE 인덱스 0~15까지 16개 CCE로 구성되고, {4, 8}의 CCE 집합 레벨을 갖는 PDCCH을 지원한다. 하지만 공용 검색 공간에도 단말 특정 정보를 나르는 PDCCH (DCI 포맷 0, 1A)가 전송될 수도 있다.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은 {1, 2, 4, 8}의 CCE 집합 레벨을 갖는 PDCCH을 지원한다.
다음 표 1은 무선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PDCCH 후보의 개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1
검색 공간의 크기는 상기 표 1에 의해 정해지고, 검색 공간의 시작점은 공용 검색 공간과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이 다르게 정의된다. 공용 검색 공간의 시작점은 서브프레임에 상관없이 고정되어 있지만,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의 시작점은 단말 식별자(예를 들어, C-RNTI), CCE 집합 레벨 및/또는 무선프레임내의 슬롯 번호에 따라 서브프레임마다 달라질 수 있다. 단말 특정 검색 공간의 시작점이 공용 검색 공간 내에 있을 경우, 단말 특정 검색 공간과 공용 검색 공간은 중복될(overlap) 수 있다.
집합 레벨 L∈{1,2,4,8}에서 검색 공간 S(L) k는 PDCCH 후보의 집합으로 정의된다. 검색 공간 S(L) k의 PDCCH 후보 m에 대응하는 CCE는 다음과 같이 주어진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2
여기서, i=0,1,...,L-1, m=0,...,M(L)-1, NCCE ,k는 서브프레임 k의 제어영역내에서 PDCCH의 전송에 사용할 수 있는 CCE의 전체 개수이다. 제어영역은 0부터 NCCE,k-1로 넘버링된 CCE들의 집합을 포함한다. M(L)은 주어진 검색 공간에서의 CCE 집합 레벨 L에서 PDCCH 후보의 개수이다.
무선기기에게 CIF(carrier indicator field)가 설정되면, m'=m+M(L)ncif이다. ncif는 CIF의 값이다. 무선기기에게 CIF가 설정되지 않으면, m'=m이다.
공용 검색 공간에서, Yk는 2개의 집합 레벨, L=4 및 L=8에 대해 0으로 셋팅된다.
집합 레벨 L의 단말 특정 검색 공간에서, 변수 Yk는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3
여기서, Y-1=nRNTI≠0, A=39827, D=65537, k=floor(ns/2), ns는 무선 프레임내의 슬롯 번호(slot number)이다.
무선기기가 C-RNTI를 기반으로 PDCCH를 모니터링할 때, PDSCH의 전송 모드(transmission mode)에 따라 모니터링할 DCI 포맷과 검색 공간이 결정된다. 다음 표는 C-RNTI가 설정된 PDCCH 모니터링의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4
DCI 포맷의 용도는 다음 표와 같이 구분된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5
도 4는 3GPP LTE의 DL 서브프레임에서 기준신호와 제어채널이 배치되는 예를 나타낸다.
제어 영역(또는 PDCCH 영역)은 앞선 3개의 OFDM 심벌을 포함하고, PDSCH가 전송되는 데이터 영역은 나머지 OFDM 심벌들을 포함한다.
제어 영역내에서는 PCFICH, PHICH 및/또는 PDCCH가 전송된다. PCFICH의 CFI는 3개의 OFDM 심벌을 가리킨다. 제어 영역에서 PCFICH 및/또는 PHICH가 전송되는 자원을 제외한 영역이 PDCCH를 모니터링하는 PDCCH 영역이 된다.
서브프레임에는 또한 다양한 기준신호(reference signal)가 전송된다.
CRS(cell-specific reference signal)은 셀 내 모든 무선기기가 수신할 수 있고, 전 하향링크 대역에 걸쳐서 전송된다. 도면에서, 'R0'는 제1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는 RE(resource element), 'R1'는 제2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는 RE, 'R2'는 제3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는 RE, 'R3'는 제4 안테나 포트에 대한 CRS가 전송되는 RE를 가리킨다.
CRS를 위한 RS 시퀀스 rl , ns(m)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6
여기서, m=0,1,...,2NmaxRB-1, NmaxRB는 RB의 최대 개수, ns는 무선 프레임내 슬롯 번호, l은 슬롯내 OFDM 심벌 번호이다.
의사 난수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 c(i)는 다음과 같은 길이 31의 골드(Gold) 시퀀스에 의해 정의된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7
여기서, Nc=1600, 첫번째 m-시퀀스는 x1(0)=1, x1(n)=0, m=1,2,...,30으로 초기화된다.
두번째 m-시퀀스는 각 OFDM 심벌의 시작에서 cinit=210(7(ns+1)+l+1)(2Ncell ID+1)+2Ncell ID+NCP로 초기화된다. Ncell ID는 셀의 PCI(physical cell identity)이고, 정규 CP 에서 NCP=1, 확장 CP에서 NCP=0이다.
서브프레임에는 URS(UE-specific Reference Signal)이 전송된다. CRS가 서브프레임의 전 영역에서 전송되지만, URS는 서브프레임의 데이터 영역 내에서 전송되고, 대응하는 PDSCH의 복조에 사용된다. 도면에서, 'R5'는 URS가 전송되는 RE를 가리킨다. URS는 DRS(dedicated Reference Signal) 또는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이라고도 한다.
URS는 대응하는 PDSCH가 맵핑되는 RB에서만 전송된다. 도면에는 PDSCH가 전송되는 영역외에도 R5가 표시되어 있지만, 이는 URS가 맵핑되는 RE의 위치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URS는 대응하는 PDSCH를 수신하는 무선기기만이 사용한다. US를 위한 RS 시퀀스 rns(m)은 수학식 3과 동일하다. 이때, m=0,1,...,12NPDSCH , RB-1 이고, NPDSCH , RB는 대응하는 PDSCH 전송의 RB 개수이다. 의사 난수 시퀀스 생성기는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cinit=(floor(ns/2)+1)(2Ncell ID+1)216+nRNTI로 초기화된다. nRNTI는 무선기기의 식별자이다.
상기는 URS가 싱글 안테나를 통해 전송되는 경우이고, URS가 다중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때, 의사 난수 시퀀스 생성기는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cinit=(floor(ns/2)+1)(2Ncell ID+1)216+nSCID로 초기화된다. nSCID는 PDSCH 전송과 관련된 DL 그랜트(예를 들어, DCI 포맷 2B 또는 2C)로부터 얻어지는 파라미터이다.
URS는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put) 전송을 지원한다. 안테나 포트 또는 계층(layer)에 따라 URS를 위한 RS 시퀀스는 다음과 같은 확산 시퀀스로 확산될 수 있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8
계층(layer)은 프리코더로 입력되는 정보 경로(information path)로 정의될 수 있다. 랭크(rank)는 MIMO 채널 행렬의 영이 아닌 고유값(non-zero eigenvalue)의 수로, 계층의 개수 또는 공간 스트림의 개수와 같다. 계층은 URS를 구분하는 안테나 포트 및/또는 URS에 적용되는 확산 시퀀스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PDCCH는 서브프레임내의 제어영역이라는 한정된 영역에서 모니터링되고, 또한 PDCCH의 복조를 위해서는 전 대역에서 전송되는 CRS가 사용된다. 제어 정보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제어정보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기존 PDCCH 만으로는 스케줄링의 유연성이 떨어진다. 또한, CRS 전송으로 인한 부담을 줄이기 위해, EPDCCH(enhanced PDCCH)의 도입되고 있다.
도 5는 EPDCCH를 갖는 서브프레임의 일 예이다.
서브프레임은 영 또는 하나의 PDCCH 영역(410) 및 영 또는 그 이상의 EPDCCH 영역(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은 무선기기가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영역이다. PDCCH 영역(410)은 서브프레임의 앞선 최대 4개의 OFDM 심벌내에서 위치하지만, EPDCCH 영역(420, 430)은 PDCCH 영역(410) 이후의 OFDM 심벌에서 유연하게 스케줄링될 수 있다.
무선기기에 하나 이상의 EPDCCH 영역(420, 430)이 지정되고, 무선기기는 지정된 EPDCCH 영역(420, 430)에서 E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의 개수/위치/크기 및/또는 EPDCCH를 모니터링할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는 기지국이 무선기기에게 RRC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PDCCH 영역(410)에서는 CRS를 기반으로 PDCCH를 복조할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에서는 EPDCCH의 복조를 위해 CRS가 아닌 DM(demodulation) RS를 정의할 수 있다. 연관된 DM RS는 대응하는 EPDCCH 영역(420, 430)에서 전송될 수 있다.
연관된 DM RS를 위한 RS 시퀀스 rns(m)은 수학식 3과 동일하다. 이때, m=0,1,...,12NRB-1 이고, NRB는 최대 RB의 개수이다. 의사 난수 시퀀스 생성기는 각 서브프레임의 시작에서 cinit=(floor(ns/2)+1)(2NEPDCCH , ID+1)216+nEPDCCH , SCID로 초기화될 수 있다. ns는 무선 프레임내 슬롯 번호, NEPDCCH , ID는 해당되는 EPDCCH 영역과 관련된 셀 인덱스, nEPDCCH , SCID는 상위 계층 시그널링으로부터 주어지는 파라미터이다.
각 EPDCCH 영역(420, 430)은 서로 다른 셀을 위한 스케줄링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EPDCCH 영역(420)내의 EPDCCH는 1차셀을 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르고, EPDCCH 영역(430)내의 EPDCCH는 2위한 스케줄링 정보를 나를 수 있다.
EPDCCH 영역(420, 430)에서 EPDCCH가 다중 안테나를 통해 전송될 때, EPDCCH 영역(420, 430)내의 DM RS는 EPDCCH와 동일한 프리코딩이 적용될 수 있다.
PDCCH가 전송 자원 단위로 CCE를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EPCCH를 위한 전송 자원 단위를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라 한다. 집합 레벨(aggregation level)은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자원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 ECCE가 EPDCCH를 위한 최소 자원이라고 할 때, 집합 레벨 L={1, 2, 4, 8, 16}과 같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 EPDDCH 검색 공간(search space)은 EPDCCH 영역에 대응될 수 있다. EPDCCH 검색 공간에서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집합 레벨 마다 하나 또는 그 이상의 EPDCCH 후보가 모니터링될 수 있다.
EPDCCH는 기존의 한정된 PDCCH 영역에 제어정보를 전송되는 것이 아닌, PDSCH 영역에서 DCI를 기지국이 전송할 수 있으므로, 유연한 스케줄링이 가능한다. 또한, EPDCCH는 매크로 셀과 피코 셀(Pico cell)을 갖은 무선 네트워크에서 셀간 간섭을 줄이는데 기여할 수 있다.
EPDDCH 영역은 RRC 메시지 등을 통해서 사전에 지정되고, EPDCCH 영역에 한해서 무선기기기는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하지만, 예기치 않은 간섭, EPDCCH 재설정(reconfiguration), RRC 재설정 등으로 인해서 EPDCCH를 정상적으로 모니터링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EPDCCH 대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것이 시스템 동작을 더 강건하게(robust) 할 수 있다. 즉, 무선기기는 정규 모드(normal mode)에서는 EPDCCH를 모니터링하지만, 특정 상황에서 EPDCCH 대신 PDCCH를 모니터링하는 폴백 모드(fallback mode)로 전환할 수 있다.
폴백 모드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서브프레임이 지정되는 것이 필요하다. 무선기기가 지정된 서브프레임에서 폴백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무선기기는 셀간 간섭으로 인해 EPDCCH의 디코딩에 실패하더라도, 폴백 모드의 서브프레임의 PDCCH를 통해 DCI를 획득할 수 있다. 폴백 모드의 PDCCH 상의 DCI는 EPDCCH 상의 DCI와 동일한 내용을 포함하거나, 새로운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만약 특정 조건을 만족하여 EPDCCH를 수신할 수 없는 상황이 일정 시간 구간을 넘어서면, 무선기기는 그 이후에 PDCCH 만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특정 조건은 1) EPDCCH 수신 품질이 임계값 이하보다 작아지거나, 2) EPDCCH 디코딩 실패가 지정된 시간 구간 동안 N번 이상이거나, 3) EPDCCH 디코딩 실패가 시작된 이후로 N 서브프레임 이후, 4) EPDCCH 디코딩 실패가 발생함에 따라 타이머를 개시하고, 상기 타이머가 만료된 때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서브프레임 설정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 #1, #2, #3에서 무선기기는 EPDCCH를 모니터링하고, 서브프레임 #4, #5에서 무선기기는 EPDCCH를 모니터링한다. 서브프레임 #1, #2, #3은 E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프레임으로, 정규(normal) 서브프레임, EPDCCH 서브프레임, 제1 타입 서브프레임이라고 불릴 수 있다. EPDDCH 서브프레임은 EDPCCH 외에 PDCCH도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4, #5는 EPDCCH가 아닌 PDCCH를 모니터링하는 서브프레임으로, 폴백 서브프레임, PDCCH 서브프레임, 제2 타입 서브프레임이라고 불릴 수 있다. 서브프레임의 개수, 위치는 예시에 불과하다.
PDCCH 서브프레임은 무선 프레임(Radio frame) 단위로 지정되거나, 무선 프레임의 정수배 마다 지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프레임 단위로 특정 패턴 또는 비트맵 형태로 지정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1~#10에 대한 비트맵 {0001100011}은 서브프레임 #4, #5, #9, #10이 PDCCH 서브프레임임을 지시할 수 있다. 또는, 특정 신호(예, PBCH, 동기신호)가 전송되는 서브프레임이 PDCCH 서브프레임으로 지정될 수 있다.
제어 정보의 특성에 따라 PDCCH 서브프레임과 EPDCCH 서브프레임을 적절히 조합하여 운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 정보, 셀 선택/재선택과 같은 중요한 정보의 변경 및 갱신과 같은 정보 또는 브로트캐스트 정보 또는 SI-RNTI, P-RNTI, RA-RNTI로 마스킹되는 정보는 PDCCH 영역에서 모니터링되고, 스케줄링 정보(예, DL 그랜트와 UL 그랜트)는 EPDCCH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PDCCH 상으로 전송되는 정보는 EPDCCH 상으로 전송되지 않는다. 또는, EPDCCH 영역에는 공용 검색 공간(Common Search Space, 이하 CSS)는 존재하지 않고 단말 특정 검색 공간(UE-Specific Search Space, 이하 USS)만 존재한다고 할 수 있다.
EPDCCH 영역에는 CSS와 USS가 모두 존재할 수 있으나, 시스템 정보와 같은 중요 정보는 지정된 서브프레임(예, 무선 프레임의 첫번째와 여섯번째 서브프레임)에서는 EPDCCH 영역의 CSS 대신 PDCCH 영역의 CSS에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제, CSS와 USS를 PDCCH 영역과 EPDCCH 영역에서 구현하는 다양한 방법을 제안한다.
일 실시예로, 서브프레임간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 복잡도(complexity)/역량(capability)/횟수(trial)을 동일하게 유지하도록 설계할 수 있다.
매 서브프레임마다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가 변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무선기기는 PDCCH 서브프레임과 EPDCCH 서브프레임에서 역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기기의 블라인드 디코딩 역량이 최대 44 횟수라고 하자. EPDCCH 서브프레임에서 모니터링될 DCI 포맷이 하나라면, 이에 모든 블라인드 디코딩 역량을 사용할 수 있다. 2개의 DCI 포맷이 있다면, DCI 포맷 별로 나누어 블라인드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DCI 포맷 당 22 회의 디코딩을 시도할 수 있다. DCI 포맷 1A 와 DCI 포맷 0의 경우처럼 크기가 같은 DCI 포맷은 하나의 DCI 포맷으로 간주될 수 있다.
PDCCH 서브프레임에는 CSS만 존재하고, DCI 포맷 1A/1C만 모니터링되고, EPDCCH 서브프레임에는 USS만 존재한다고 하자. CSS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와 USS에서의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가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서, 동일 서브프레임에서 검색 공간사이 또는 DCI 포맷 사이 또는 후보 위치(candidate position) 사이에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를 배분할 수 있다.
무선기기가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수행할 수 있는 블라인드 디코딩의 총 횟수가 고정될 때, 후보 EPDCCH의 개수 및/또는 EPDCCH의 집합 레벨은 변할 수 있다.
무선기기가 총 N번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하나의 서브프레임에서 수행할 수 있다고 하자. 서브프레임 k에서 PDCCH 영역에서 K번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하면, EPDCCH 영역에서는 최대 (N-K)번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k+1에서, PDCCH 영역을 모니터링하지 않으면, EPDCCH 영역에서는 최대 N번의 블라인드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DCI 전송의 블록킹 확률(blocking probability)을 최소화하기 위해서, 무선기기가 모니터링하는 EPDCCH 영역의 집합 레벨/후보 EPDDCH의 개수를 서브프레임에 따라, 특히 해당 서브프레임에서 PDCCH를 디코딩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다르게 조절할 것을 제안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채널 모니터링을 나타낸다.
16개의 CCE가 있고, 인덱스 0~15가 있다. 집합 레벨 L=4이고, ①②③④의 4개의 PDCCH 후보가 있다고 하자. 따라서, 집합 레벨 L=4에서, 최대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는 4이다.
서브프레임 n에서, 무선기기는 PDCCH 영역(710)과 EPDCCH 영역(720)을 모니터링하고, 서브프레임 n+1에서, 무선기기는 EPDCCH 영역(780)을 모니터링한다고 하자.
서브프레임 n에서, 무선기기는 PDCCH 영역(710)에서 PDCCH 후보 ①을 모니터링하고, EPDCCH 영역(720)에서 PDCCH 후보 ②③④을 모니터링한다. 서브프레임 n+1에서, 무선기기는 EPDCCH 영역(780)에서 PDCCH 후보 ①②③④를 모니터링한다. 따라서, 모든 서브프레임에서 최대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는 4로 동일하게 할 수 있다.
PDCCH/EPDCCH 영역의 위치/개수, 집합 레벨, PDCCH 후보의 갯수, CCE 갯수는 예시에 불과하다.
도면에서, PDCCH와 EPDCCH가 동일한 CCE 집합을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PDCCH와 EPDCCH는 독립적인 자원 할당이 가능하다. PDCCH는 기존 CCE 집합을 사용하고, EPDDCH는 ECCE 집합을 사용할 수 있다.
N개의 PDCCH/EPDDCH 후보가 있다고 하고, PDCCH는 앞선 (N-K)개의 PDCCH 후보에 대해 디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CCE 집합 내에서 PDCCH 후보의 위치를 균일하게 하기 위해, floor{n*N/(N-K)} (n=0, 1, .., N-K-1)의 연산을 통하여 나오는 CCE 인덱스를 해당 PDCCH 후보의 시작점으로 선택할 수도 있다. 여기서, floor{x}는 x보다 작은 최대의 정수를 의미한다.
아래는 PDCCH와 EPDCCH의 분할(partitioning)을 위한 공식의 일 예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09
여기서, N은 분할되는 검색 공간에서 PDCCH 후보의 전체 수, K는 PDCCH 또는 E-PDCCH에 할당하고자 하는 PDCCH 후보의 수, i는 선택되는 PDCCH 후보의 인덱스이다. a, b, c는 분할 비율, 선택 패턴에 따른 파라미터이다.
또 다른 방법으로, 상위 계층 신호를 통해서 (N-K)개의 PDCCH 후보의 위치와 개수를 기지국이 단말에게 설정할 수 있다.
이제, CSS를 EPDCCH 영역에서 정의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 USS, CSS는 PDCCH 영역내의 USS, CSS를 말하고, E-USS(Enhanced-USS), E-CSS(Enhanced-CSS)는 EPDCCH 영역내의 USS, CSS를 말한다. CSS는 셀 내 복수의 무선기기 또는 셀 내 모든 무선기기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영역이다.
기존 PDCCH 영역의 CSS는 집합 레벨이 {4, 8}이고, 그 시작점이 고정되어 있다. EPDCCH 영역에서 E-CSS는 E-USS와 일부 또는 전체가 겹치도록 한다. 여기서, 겹치는 영역은 E-CSS의 EPDCCH 후보의 위치에 의존하여 구성될 수 있다.
E-CSS는 다수의 무선기기에게 대한 제어 정보 및 시스템 정보의 전달을 목적으로 하므로,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예를 들어, {4, 8}과 같이 상대적으로 높은 집합 레벨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E-USS가 집합 레벨 L={1, 2, 4, 8}에 대해서 정의되어 있다면, 무선기기는 L={4, 8}에서 E-CSS DCI 포맷이 검출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어야 한다. 이경우 E-CSS를 DCI 포맷 1A/0와 동일한 크기로 구성하게 되면, DCI 포맷 1A/0를 구분하는 것과 유사한 방식을 E-CSS DCI 포맷에 적용할 수 있어서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가 줄어들 수 있다. E-CSS를 구분하기 위해, 별도의 RNTI를 사용하거나 DCI가 CSS/USS를 구분하는 지시자를 포함하도록 할 수 있다.
특정 집합 레벨 (예, 4, 8)에 대해서는 E-CSS DCI 포맷만 모니터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L=12와 같이, E-CSS는 E-USS와 다른 집합 레벨을 사용할 수도 있다. E-USS와 E-CSS의 중복은 일부 집합 레벨 또는 모든 집합 레벨에 대해서 적용할 수 있다. 또는 E-USS가 사용가능한 집합 레벨 중에서 일부를 E-CSS에 할당하고, E-USS는 해당 집합 레벨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E-USS에 L={1, 2, 4, 8}이 정의되어 있지만, E-CSS가 L=4로 설정되면, 무선기기는 E-USS에서 L={1, 2, 8}에 대해서만 EPDCCH 검출을 시도할 수 있다.
EPDCCH 영역내의 E-CSS는 DM RS를 공유하는 무선기기 또는 특정 무선기기 그룹에 의해서 모니터링될 수 있다.
이제 PDCCH와 EPDCCH를 위한 서브프레임 설정에 대해 기술한다.
아래 표는 제안된 서브프레임 설정의 일 예이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10
상기에서 'O'는 해당 서브프레임에 해당 검색 공간이 존재함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 설정 7은 정규 서브프레임에서의 검색 공간 분할을 나타낸다. 안정적인 PDCCH 영역에 CSS를 정의하고, EPDCCH 영역에 E-USS를 정의한다. EPDCCH가 무선기기의 스케줄링 정보를 전송하고, PDCCH가 공용 제어정보를 전송한다.
서브프레임 설정 13은 EPDCCH 영역에 E-CSS 및 E-USS가 정의되지만, 추가적으로 PDCCH 영역에 CSS가 정의되는 것을 나타낸다. 블라인드 디코딩 복잡도는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에 크게 좌우되므로, 최대 횟수를 증가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3개의 검색 공간을 적절히 설계하면 복잡도는 증가되지 않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CSS와 E-CSS 사이에 후보 EPDDCH 후보의 개수나 또는 집합 레벨을 배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SS는 집합 레벨 4를 사용하고, E-CSS는 집합 레벨 8을 사용할 수 있다. CSS와 E-CSS 사이에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가 동일하게 하거나 또는 서로 다르게 할 수 있다. 검색 공간에 따른 블라인드 디코딩 배분은 서브프레임 설정 6, 7, 9, 12, 13, 14, 15에도 적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 15에서는 PDCCH 영역과 EPDCCH 영역에서 모두 CSS/USS가 정의된다.
서브프레임 설정 5에서는 PDCCH 영역의 CSS/USS 만이 정의된다. 이는 일종의 PDCCH 폴백으로 간주될 수 있다. 무선기기는 EPDCCH 영역을 모니터링하다가, 특정한 상황에서 폴백 모드, 즉 PDCCH를 모니터링하는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폴백 모드에서는 3GPP LTE와 달리 더 많은 집합 레벨 또는 더 많은 PDCCH 후보의 수가 정의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 11은 PDCCH 영역내의 CSS가 부족하여 추가적으로 E-CSS를 확보하기 위해 활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 12는 안전하게 설계된 PDCCH 영역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고, E-PDCCH 영역에 추가적으로 E-USS를 확보하는 방법이다.
서브프레임 설정 13은 서브프레임 설정 7에서 추가적으로 E-CSS를 확보하는 것을 나타낸다. 반대로 해석하여, E-PDCCH를 구성하고 추가적으로 CSS을 PDCCH 영역에 확보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 14는 EPDCCH 모니터링 모드에서 추가적으로 PDCCH 영역의 USS을 모니터링하는 것이다.
전술한 서브프레임 설정 1~16은 조합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은 서브프레임 단위, 주기적 또는 비주기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왜냐하면, 각 서브프레임 설정마다의 잇점이 있으므로, 상황에 따라 적절한 서브프레임 설정을 선택하는 것이 보다 효율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브프레임 설정 10과 5가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10에 의해 EPDCCH만 모니터링하고,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설정 5에 의해 PDCCH 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 7과 5가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7에 의해 PDCCH 영역의 CSS와 EPDCCH 영역의 USS를 모니터링하고,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설정 5에 의해 PDCCH 만 모니터링할 수 있다. 이는 TDD의 special subframe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다. Special subframe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5에 따라 PDCCH에 의존하고, 나머지 TDD 서브프레임에는 서브프레임 설정 7에 따를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 9와 6이 조합될 수 있다. 특정 서브프레임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9에 의해 PDCCH 영역의 USS와 EPDCCH 영역의 E-USS를 모니터링하고, 다른 서브프레임에서 서브프레임 설정 6에 의해 PDCCH 영역의 CSS와 EPDCCH 영역의 E-CSS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상기 조합은 예시에 불과하며, 상기 서브프레임 설정 1~16의 다양한 조합이 가능하다. 또는 하나의 서브프레임에 하나 이상의 서브프레임 설정이 적용될 수도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은 특정 조건이 만족하면 바뀌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패턴에 따라 바뀔 수 있다.
서브프레임 설정은 서브프레임 단위 또는 무선 프레임 단위로 설정될 수 있다.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설정이 바뀌는 주기 및/또는 변경 조건을 무선기기에게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은 가용한 서브프레임 설정 집합을 무선기기에 할당하고, 가용한 서브프레임 설정 집합을 활성화/비활성화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무선기기에게 가용한 서브프레임 설정이 서브프레임 설정 7과 5 임을 알려준다. 그리고, 기지국은 서브프레임 단위 또는 무선 프레임 단위로 서브프레임 설정을 알려줄 수 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이 무선 프레임에 속하는 10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비트맵 {0001100000}을 무선기기에 전송하면, 무선기기는 인덱스 3와 4를 갖는 서브프레임에 대해 서브프레임 설정 5를 적용하고, 나머지 서브프레임에 대해 서브프레임 설정 7을 적용할 수 있다. 이후 서브프레임 설정을 변경하기 위해, 기지국은 변경된 비트맵만을 무선기기에게 전송할 수 있다.
대역폭에 따라 서브프레임 설정을 달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네트워크가 20MHz 대역폭과 1MHz 대역폭을 지원한다고 하자. 이때, 1MHz 대역폭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에서는 데이터 영역에 할당되는 RE의 수가 부족할 수 있다. 따라서, 20MHz 대역폭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7을 사용하고, 1MHz 대역폭에서는 서브프레임 설정 5를 사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을 나타낸다.
EPDCCH 영역은 복수의 서브 영역(810, 820)으로 나뉠 수 있다. EPDCCH 영역이 N개의 ECCE를 포함한다고 하자. 제1 서브 영역(810)은 인덱스 0인 ECCE부터 시작하고, 제2 서브 영역(820)은 인덱스 4인 ECCE부터 시작할 수 있다.
서브 영역의 개수나 시작점은 예시에 불과하다.
서브 영역(810, 820)은 각 서빙셀마다 정의될 수 있으며, 다른 용어로 EPDCCH 집합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 제1 서브 영역(810)은 EPDCCH 집합 1에 대응되고, 제2 서브 영역(820)은 EPDCCH 집합 2에 대응된다고 하자.
EPDCCH 집합 1의 복조에 사용되는 제1 DM RS와 EPDCCH 집합 2의 복조에 사용되는 제2 DM RS는 서로 다른 셀 ID에 기반하여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DM RS는 제1 서빙셀의 셀 ID를 기반으로 생성되고, 제2 DM RS는 제2 서빙의 셀 ID를 기반으로 생성될 수 있다.
EPDCCH 집합의 개수는 서브프레임마다 변경될 수 있다. 각 EPDCCH 집합마다 전술한 표 5의 서브프레임 설정이 적용될 수 있다.
각 EPDCCH 집합은 EPDCCH 영역내에서 서로 다른 시작점을 가질 수 있다. 또는, 각 EPDCCH 집합은 EPDCCH 영역내에서 동일한 시작점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EPDCCH 집합에 관한 설정은 기지국이 무선기기에게 RRC 메시지 등을 통해 알려줄 수 있다.
EPDCCH 영역을 복수의 EPDCCH 집합으로 나누는 것은 많은 잇점이 있다. 첫째로, 복수의 EPDCCH 집합에 서로 다른 전송 모드를 적용하여 좀더 신뢰성 높은 전송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EPDCCH 집합 1은 로컬 전송(localized transmission)을 적용하고, EPDCCH 집합 2는 분배 전송(distributed transmission)을 적용할 수 있다. 채널 상황이 좋지 않아 어느 EPDCCH 집합의 모니터링이 어렵더라도, 다른 EPDCCH 집합의 모니터링은 좀더 용이할 수 있다. 둘째, 전송 자원 할당에 유연성을 높일 수 있다. EPDCCH는 PRB 쌍(pair) 단위로 할당되는데, 페이로드가 크지 않다면 하나의 PRB 쌍에 서로 다른 EPDCCH 집합을 할당할 수 있다.
EPDCCH 영역이 복수의 EPDCCH 집합으로 나뉘더라도, 블라인드 디코딩의 최대 횟수는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EPDCCH 영역을 위한 블라인드 디코딩 역량은 복수의 EPDCCH 집합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 역량으로 나누어질 수 있다.
복수의 EPDCCH 집합 각각에 대한 블라인드 디코딩의 최대 횟수는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다를 수 있다.
이하의 표는 EPDCCH 집합 1과 2가 있고, 집합 레벨 L={1, 2, 4, 8, 16}이 정의될 때, 각 집합 레벨에 따른 EPDCCH 후보의 수를 나타낸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11
설정 0 및 1은 EPDCCH 집합 1과 집합 2를 균등하게 배분한 것이다. 설정 2는 EPDCCH 집합 1에 더 많은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주고, 낮은 집합 레벨에 우선순위를 준것이다. 설정 3는 EPDCCH 집합 1에 더 많은 블라인드 디코딩 횟수를 주고, 높은 집합 레벨에 우선순위를 준것이다. 설정 4는 EPDCCH 집합 1과 EPDCCH 집합 2에 서로 다른 집합 레벨을 할당한 것이다.
다음 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Figure 112014040366705-pct00012
Figure 112014040366705-pct00013
Figure 112014040366705-pct00014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가 구현되는 무선통신 시스템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기지국(50)은 프로세서(processor, 51), 메모리(memory, 52) 및 RF부(RF(radio frequency) unit, 53)을 포함한다. 메모리(52)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5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53)는 프로세서(5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5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기지국의 동작은 프로세서(5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EPDCCH 및/또는 PDCCH을 위한 검색 공간을 설정하고, EPDCCH 및 PDCCH를 전송할 수 있다.
무선기기(60)는 프로세서(61), 메모리(62) 및 RF부(63)을 포함한다. 메모리(62)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프로세서(61)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저장한다. RF부(63)는 프로세서(61)와 연결되어, 무선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한다. 프로세서(61)는 제안된 기능, 과정 및/또는 방법을 구현한다. 전술한 실시예에서 무선기기의 동작은 프로세서(61)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61)는 검색 공간에서 EPDCCH 및 PDCCH를 모니터링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다른 칩셋,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RF부는 무선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베이스밴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가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때, 상술한 기법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는 모듈(과정, 기능 등)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메모리에 저장되고,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메모리는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있을 수 있고, 잘 알려진 다양한 수단으로 프로세서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에서, 방법들은 일련의 단계 또는 블록으로써 순서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는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에 나타낸 단계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가 포함되거나 순서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가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11)

  1.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에 있어서,
    무선기기가 서브프레임의 제1 검색 공간에서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무선기기가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검색 공간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것을 포함하되,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1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DMRS(demodulation reference signal)를 기반으로 복조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2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2 DMRS를 기반으로 복조되며,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및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검색공간내에서 상기 무선기기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PRB 쌍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검색 공간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PRB 쌍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PRB 쌍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PRB 쌍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쌍 각각은 복수의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DMRS는 다음 식에 의해 생성되고,
    Figure 112015074737435-pct00024

    여기서, 의사 난수 시퀀스(pseudo-random sequence) c(i)는 cinit=(floor(ns/2)+1)(2NID+1)216+nSCID로 초기화되며, ns는 무선 프레임내 슬롯 번호, nSCID는 파라미터, NID는 제1 DMRS를 위한 제1 식별자 또는 제2 DMRS를 위한 제2 식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DMRS는 상기 제1 검색공간내에서 수신되고,
    상기 제2 DMRS는 상기 제2 검색공간내에서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7.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는 무선기기에 있어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RF(radio frequency)부와,
    상기 RF부와 연결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서브프레임의 제1 검색 공간에서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고,
    상기 서브프레임의 제2 검색 공간에서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을 모니터링하되,
    상기 제1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1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1 DMRS를 기반으로 복조되고,
    상기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제2 식별자를 기반으로 생성되는 제2 DMRS를 기반으로 복조되며,
    상기 제1 식별자와 상기 제2 식별자는 서로 다르고,
    상기 제1 및 제2 하향링크 제어채널은 상기 제1 및 제2 검색공간내에서 상기 무선기기의 식별자를 기반으로 디코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프레임은 복수의 PRB(physical resource block)-쌍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검색 공간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1 PRB 쌍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제2 검색 공간은 상기 서브프레임 내의 적어도 하나의 제2 PRB 쌍에 의해 정의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PRB 쌍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2 PRB 쌍은 중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PRB 쌍 각각은 복수의 ECCE(enhanced control channel element)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기기.
  10. 삭제
  11. 삭제
KR1020147011399A 2011-11-01 2012-11-01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122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554485P 2011-11-01 2011-11-01
US61/554,485 2011-11-01
US201261619927P 2012-04-03 2012-04-03
US61/619,927 2012-04-03
US201261679050P 2012-08-02 2012-08-02
US61/679,050 2012-08-02
PCT/KR2012/009139 WO2013066084A2 (ko) 2011-11-01 2012-11-01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963A Division KR101890045B1 (ko) 2011-11-01 2012-11-01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8064A KR20140098064A (ko) 2014-08-07
KR101612207B1 true KR101612207B1 (ko) 2016-04-12

Family

ID=48192957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139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2207B1 (ko) 2011-11-01 2012-11-01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KR1020167002963A Active KR101890045B1 (ko) 2011-11-01 2012-11-01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963A Active KR101890045B1 (ko) 2011-11-01 2012-11-01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510219B2 (ko)
EP (1) EP2779557B1 (ko)
JP (1) JP5980938B2 (ko)
KR (2) KR101612207B1 (ko)
CN (1) CN104025532B (ko)
WO (1) WO201306608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82527B2 (en) 2011-07-01 2013-11-12 Ofinno Technologies, Ll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in multicarrier systems
US8369280B2 (en) 2011-07-01 2013-02-05 Ofinno Techologies, LLC Control channels in multicarrier OFDM transmission
EP2564611B1 (en) 2011-07-01 2015-02-18 Ofinno Technologies, LLC Synchronization signal and control messages in multicarrier OFDM
US8842637B2 (en) 2011-12-04 2014-09-23 Ofinno Technologies, Llc Carrier information transmission to wireless devices
US9144065B2 (en) * 2011-12-16 2015-09-22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mmunication support for low capability devices
US9497756B2 (en) * 2012-03-25 2016-11-15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Base station radio resource management
US9949265B2 (en) 2012-05-04 2018-04-17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Control channel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448379B2 (en) * 2012-05-04 2019-10-1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Enhanced downlink control channel configuration for LTE
CN103812602B (zh) * 2012-11-09 2019-05-28 北京三星通信技术研究有限公司 盲检公共搜索空间和ue特定搜索空间的方法及设备
CN104956612B (zh) 2013-01-17 2018-10-09 Lg 电子株式会社 在无线通信系统中接收控制信息的方法及其设备
TWI701953B (zh) * 2013-04-03 2020-08-11 美商內數位專利控股公司 針對一個或多個載波類型的epdcch共用檢索空間設計
CN109327298B (zh) * 2013-07-16 2020-01-17 华为技术有限公司 控制信息的传输方法、用户设备和基站
JP6381217B2 (ja) * 2014-01-30 2018-08-2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基地局、及び制御情報検出方法
KR20160089844A (ko) 2015-01-19 2016-07-28 주식회사 케이티 Mtc 단말을 위한 하향 링크 공용 제어 채널 송수신 방법 및 장치
CN104683069B (zh) 2015-02-13 2018-04-27 大唐联仪科技有限公司 一种物理下行控制信道pdcch盲检测方法和系统
US9647864B2 (en) * 2015-04-10 2017-05-09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of control signaling
TWI763633B (zh) * 2015-08-25 2022-05-11 美商Idac控股公司 無線傳輸/接收單元及在其中執行的方法
US11496872B2 (en) 2015-11-06 2022-11-08 Qualcomm Incorporated Search spaces and grants in eMTC
CN106686741B (zh) 2015-11-11 2020-04-14 华为技术有限公司 传输调度信息的方法、装置、存储介质和通信系统
KR20180068677A (ko) * 2016-12-14 2018-06-22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10644914B2 (en) * 2016-12-19 2020-05-05 Mediatek Singapore Pte. Ltd. Reference signal detection for reducing control decoding complexity
RU2020132022A (ru) 2017-05-12 2020-11-17 Телефонактиеболагет Лм Эрикссон (Пабл) Мониторинг пространств поиска
US11240738B2 (en) 2017-06-16 2022-02-01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Corporation Of America Base st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method
CN111447688B (zh) * 2017-07-08 2023-04-07 上海琦予通信科技服务中心 一种被用于动态调度的用户设备、基站中的方法和装置
WO2019096994A1 (en) 2017-11-17 2019-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Efficient coreset configuration
CN109819475B (zh) * 2017-11-20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搜索空间资源的确定方法、和装置
CN111418239A (zh) * 2018-05-04 2020-07-14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无线通信方法、通信设备、芯片和系统
CN112189370A (zh) 2018-06-14 2021-01-05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信息传输方法及装置、终端设备、网络设备
EP3834351B1 (en) * 2018-08-09 2023-10-04 Lenovo (Singapore) Pte. Ltd. Downlink assignments for downlink control channels
EP3908067B1 (en) 2019-01-11 2024-11-20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same
WO2020145747A1 (ko) * 2019-01-11 2020-07-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신호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US11470596B2 (en) 2019-07-18 2022-10-11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termination of start time of PDCCH monitoring occasion
FR3107986B1 (fr) 2020-03-03 2022-06-03 Alstom Transp Tech Système d’interruption d’un courant électrique et véhicule ferroviaire comprenant un tel système d’interruptio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20708A (ko) 2009-08-24 2011-03-03 삼성전자주식회사 Ofdm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 조정을 위한 제어 채널 구성과 다중화 방법 및 장치
CN102055519B (zh) * 2009-11-05 2014-12-17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解调数据参考符号序列的方法及装置
CN102123013B (zh) 2010-01-08 2015-06-03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解调参考符号的映射方法和装置
US9306723B2 (en) * 2010-02-20 2016-04-05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Multi-carrier control signal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20120281555A1 (en) * 2011-05-02 2012-11-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s and Methods of Wireless Communication with Remote Radio Head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Samsung, "Discussion on ePDCCH Design Issues", 3GPP TSG-RAN1#66 meeting, R1-112517, 2011.08.22-26*
고영조, "Coordinated Multi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in LTE-Advanced",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011.06.28,*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54420A1 (en) 2014-09-11
US9510219B2 (en) 2016-11-29
EP2779557A4 (en) 2015-08-05
JP5980938B2 (ja) 2016-08-31
KR20140098064A (ko) 2014-08-07
CN104025532B (zh) 2017-11-24
WO2013066084A2 (ko) 2013-05-10
WO2013066084A3 (ko) 2013-06-27
CN104025532A (zh) 2014-09-03
EP2779557A2 (en) 2014-09-17
EP2779557B1 (en) 2019-03-13
KR101890045B1 (ko) 2018-08-20
KR20160018871A (ko) 2016-02-17
JP2015501595A (ja) 2015-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12207B1 (ko) 하향링크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JP6786665B2 (ja) アンライセンスバンドをサポートする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いて部分サブフレームを構成してスケジューリングする方法及びこれをサポートする装置
US10412720B2 (en) Method for monitoring control channel and wireless device
KR101584470B1 (ko) 셀간 간섭을 조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9408096B2 (en) Method and wireless device for monitoring control channel
US9510220B2 (en) Method for measuring channel using tracking reference signal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device using same
KR101480259B1 (ko) 가변 대역폭을 지원하는 통신 방법 및 무선기기
US935754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downlink data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540869B1 (ko) 스케줄링 정보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102034836B1 (ko) 데이터 패킷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WO2013055078A2 (ko)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채널의 시작 위치 설정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장치
US9730202B2 (en) Method and device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WO2012118270A1 (ko) 다중 노드 시스템에서 단말의 제어 정보 검색 방법 및 장치
KR101737189B1 (ko)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KR101511896B1 (ko) 제어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무선기기
KR101455563B1 (ko) 제어 채널 모니터링 방법 및 장치
KR20150013443A (ko) Harq ack/nack 전송 방법 및 무선기기
US95493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ownlink control channel
KR101547752B1 (ko) 다중 셀에서의 동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무선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28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18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60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60115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1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107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218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731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406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0104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for International Patent

Patent event code: PA01041R01D

Patent event date: 201602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6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