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801B1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Google Patents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801B1 KR101610801B1 KR1020150013910A KR20150013910A KR101610801B1 KR 101610801 B1 KR101610801 B1 KR 101610801B1 KR 1020150013910 A KR1020150013910 A KR 1020150013910A KR 20150013910 A KR20150013910 A KR 20150013910A KR 101610801 B1 KR101610801 B1 KR 10161080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unmanned aerial
- aerial vehicle
- gear
- processing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5/00—Alighting gear
- B64C25/32—Alighting gear characterised by elements which contact the ground or similar surfac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D—EQUIPMENT FOR FITTING IN OR TO AIRCRAFT; FLIGHT SUITS; PARACHUT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OWER PLANTS OR PROPULSION TRANSMISSIONS IN AIRCRAFT
- B64D45/00—Aircraft indicators or protec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D45/04—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 B64D45/06—Landing aids; Safety measures to prevent collision with earth's surface mechanic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인비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기상, 방재,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3D 공간 구축 DB를 수집하기 위하여, 본체, 상기 본체에 구축되는 모터/변속기처리부, 짐벌 탈착부, 배터리장착부으로 구성된 비행체와; 상기 비행체의 본체에 구축되는 통합항법부(FCC), 센서모듈(GPS/IMU/ETC), 파워처리부(메인, 모터, 주변기기), 통신처리부, I/O 처리부, 영상처리부로 구성된 통합항법장치; 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시스템의 이륙 시에 상기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한편, 무인비행시스템의 착륙 시에 무인비행시스템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기어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겸용 가능한 프롭가이드가 더 포함됨에 따라, 무선비행체의 비행 과정에서 외부 장애물과 충돌 시에도 프로펠러가 보호되어 프로펠러의 파손 및 고장을 방지하고, 프로펠러의 부품 교체나 무선비행체의 추락에 따른 비용 손실을 예방하게 되는 무인비행시스템을 제공한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ncluding a main body, a motor /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built in the main body, And a battery mounting portion; An integrated navigation device composed of an integrated navigation unit (FCC), a sensor module (GPS / IMU / ETC), a power processing unit (main, motor and peripheral),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 I / O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Wherein the unmanned flight system is used to protect a propeller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when the unmanned flight system is taken off, The propeller is protected even in the event of collision with an external obstacle during the flight of the wireless air vehicle to prevent the breakage and failure of the propeller, It provides an unmanned flight system that prevents cost loss due to flight crashes.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인비행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D 공간 구축의 DB 활용에 유용한 무인비행시스템이 관제실과 교신하며 창공을 비행하면서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교신의 오류 및 조종의 미숙 등으로 인하여 주변에 있는 장애물과 충돌 시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한편, 착륙 시에 무인비행시스템의 하중을 지지하는 다리 역할을 겸용할 수 있는 무인비행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and more particularly, an unmanned aeronautical flight system useful for DB utilization of a 3D space construction communicates with a control room and achieves a desired purpose while flying an airspace. In this process, And more particularly,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that can protect a propeller when colliding with obstacles in the vicinity due to immaturity of the aircraft, and can also serve as a bridge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landing.
예전의 무인비행체는 비행하는 목적으로만 활용되었으나, 최근에는 무인비행체에 전자적 장비들을 함께 구축하여 비행 이외의 다양한 목적을 수행할 수 있는 기술 수준에 이르고 있다.In the past, unmanned aerial vehicles we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flight, but in recent years, they have reached the level of technology capable of carrying out various purposes other than flight by constructing electronic devices together with unmanned aerial vehicles.
이러한 무인비행체는 단순히 창공을 활공하는 비행 기능의 범주를 벗어나 3D 공간 구축에 필요한 DB를 획득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활용될 수 있으며, 군사적으로는 공격용 무기를 탑재하여 적진을 파괴할 수 있는 살상용 무기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고, 이외에도 다양한 역할 수행이 가능하다.These unmanned aerial vehicles can be used for acquiring a DB necessary for constructing a 3D space out of the category of flight functions that merely glide through the sky, and can be used as a weapon capable of destroying enemy ships It can also be used as an application, and various roles can be performed.
이와 같은 다양한 역할 기능 수행이 가능함에 따라 무인비행체는 무인비행시스템의 용어로 사용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한데, 이는 예전처럼 단순히 창공을 활동하는 수준을 벗어나 실제 사람만 탑승하지 않을 뿐 다양한 목적이 가능한 전자적 장비들을 탑재 구축하고 있기 때문이다.As it is possible to carry out various role functions as described above, it is more preferable that the unmanned aerial vehicle is used as the term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t is not necessary to simply ride the actual person, Because they are building on-board.
최근의 무인비행체시스템에 대한 용어는 조종사가 비행체에 직접 탑승하지 않고 지상에서 원격조종(Remote piloted), 사전 프로그램된 경로에 따라 자동(Auto-piloted) 또는 반자동(Semi-auto-piloted) 형식으로 자율비행하거나 인공지능을 탑재하여 자체 환경 판단에 따라 임무를 수행하는 비행체와 지상통제장비(GCS : Ground Control Station/System) 및 통신장비, 지원장비 등의 전체 시스템을 내포하여 칭하는 의미로 받아들이고 있는 추세다.In recent years, the term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has been used to refer to the fact that pilots can be autonomously piloted in a semi-auto-piloted manner, (Ground Control Station / System), communication equipment, and supporting equipment, which carry out mission according to their own environment judgment by carrying out flight or artificial intelligence.
무인항공기는 영문으로 다양하게 표기될 수 있는바, 드론(Drone), RPV(Remote Piloted Vehicle), UAV(Unmanned/Uninhabited/Unhumanized Aerial Vehicle), UAS(Unmanned Aircraft System), RPAV(Remote Piloted Air/Aerial Vehicle), Robot Aircraft 등을 예로 들 수 있다.Drone, RPV, Unmanned / Uninhabited / Unhumanized Aerial Vehicle (UAV), Unmanned Aircraft System (UAS), Remote Piloted Air / Aerial (RPAV) Vehicle), and Robot Aircraft.
특히, 드론(Drone)은 사전 입력된 프로그램에 따라 비행하는 무인비행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RPV는 지상에서 무선통신을 통한 원격조종으로 비행하는 무인 비행체를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UAS는 무인항공기가 일정하게 정해진 공역뿐만 아니라 민간 공역에도 진입함에 따라 Vehicle(탈것)이 아닌 Aircraft(항공기)로서의 안전성을 확보한 항공기임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Robot Aircraft는 지상의 로봇 시스템과 같은 개념에서 비행하는 로봇을 강조하는 의미로 사용되고 있다.Particularly, Drone is used to emphasize unmanned flying according to the pre-programmed program. RPV is used to emphasize unmanned aerial vehicle flying on the ground by remote control through wireless communication, and UAS is used for unmanned As the aircraft enters the civil airspace as well as the constant airspace, it is used to emphasize that it is an aircraft that has secured safety as an Aircraft (aircraft), not as a vehicle. Robot Aircraft is used in the same concept as a ground- Is used to emphasize robots.
이러한 무인항공기인 무인비행시스템은 무게에 따라 무선조종모형항공기, 소형 UAV, 대형 UAV로 분류되고, 비행 형태에 따라 고정익(Fixed Wing) 무인항공기, 회전익(Rotary Wing) 무인항공기, 틸트 로터형(Tilt-Rotor) 무인항공기, 동축 반전형(Co-axual) 무인항공기 등으로 분류되며, 비행 반경에 따라 근거리 무인항공기, 단거리 무인항공기, 중거리 무인항공기, 장거리 체공형 등으로 분류되고, 운용 고도에 따라, 비행 체공 시간에 따라, 비행/임무수행 방식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This unmanned aerial vehicle is classified as a radio controlled model aircraft, a small UAV, and a large UAV depending on the weight. Fixed Wing unmanned aerial vehicles, Rotary Wing unmanned aerial vehicles, tilt rotor type -Rotor Unmanned aircraft and coaxial unmanned airplane. Depending on the flight radius, they are classified as near unmanned airplane, short-range unmanned airplane, medium-range unmanned airplane, long-distance unmanned airplane, Depending on flight time, flight / mission performance can be variously classified.
특히, 국내의 경우 사물 인터넷을 표방함에 따라 더욱 진화된 스마트 무인비행시스템들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며, 고정익/회전인 복합 비행과 함께 수직이착륙이 가능하며 산악지대가 많은 국내 환경에 적합하여 기상관측, 산불 및 교통 감시, 정찰, 국가 재난 재해 등의 다양한 분야로 그 활용 범위가 폭넓어지는 추세다.Especially, in Korea, smart unmanned flight systems are evolving more and more due to the Internet of things, and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is possible along with the fixed wing / turnin composite flight. It is suitable for many domestic environments with mountainous terrain, And traffic surveillance, reconnaissance, and national disaster disaster.
하지만, 이러한 무인비행시스템은 창공에서 소기의 목적을 담당하는 과정에서 관제소에 있는 조종사의 조종 미숙이나 실수 혹은 신호 교류 체계의 오류 등으로 인하여, 비행하는 과정에서 비행 장애물에 충돌될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may cause collision with flying obstacles during the flight due to inadequate control of the pilots in the control station, error in the control system, or errors in the signal exchange system in the course of performing the desired purpose in the window .
이러한 비행 장애물과 충돌 발생 시, 무인비행시스템에 장착된 프로펠러가 외부 장애물과 충돌하게 되면, 프로펠러의 파손에 이어 무인비행시스템이 추락하여 파괴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한 개발에 소요된 막대한 비용을 손실하는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한편, 무인비행과 관련된 기술들은, 하기 선행기술문헌들을 참조할 수 있다.In the event of a collision with such a flying obstacle, if the propeller mounted on the unmanned airplane collides with an external obstacle, the unmanned airplane crashes due to the breakage of the propeller, which causes the destruction of the unmanned airplane. There has been a problem of loss of data. On the other hand, techniques related to unmanned aerial flight can be referred to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전술된 문제를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상이나 방재 분야 공간정보 활용, 신속 재해에 대한 모니터링 DB 구축, 무인항공기 항공촬영 등의 용도로 활용될 수 있는 무인비행 기술로서, 무인비행체의 이륙 이후 비행 과정에서 외부 장애물과 충돌될 수 있는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한편, 무인비행체의 착륙 과정에서 무인비행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 기어 기능까지 겸용으로 활용 가능한 무인비행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 is an unmanned aerial flight technology that can be utilized for utilization of spatial information in the weather or disaster prevention field, construction of a monitoring DB for a quick disaster, aviation shooting of an unmanned airplan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unmanned flight system that can protect a propeller which may be collided with an external obstacle in the course of a landing process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nd a landing gear function that supports the loa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전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기상, 방재,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3D 공간 구축 DB를 수집하기 위하여, 본체, 상기 본체에 구축되는 모터/변속기처리부, 짐벌 탈착부, 배터리장착부으로 구성된 비행체와; 상기 비행체의 본체에 구축되는 통합항법부(FCC), 센서모듈(GPS/IMU/ETC), 파워처리부(메인, 모터, 주변기기), 통신처리부, I/O 처리부, 영상처리부로 구성된 통합항법장치; 를 포함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무인비행시스템의 이륙 시에 상기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한편, 무인비행시스템의 착륙 시에 무인비행시스템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기어 용도로도 활용되는 겸용 가능한 프롭가이드가 더 포함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3D space construction DB for collecting 3D space construction DB that can be utilized as useful data in various fields such as weather, disaster prevention, and military, including a main body, a motor / And a battery mounting portion; An integrated navigation device composed of an integrated navigation unit (FCC), a sensor module (GPS / IMU / ETC), a power processing unit (main, motor and peripheral),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 I / O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Wherein the unmanned flight system is used to protect a propeller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when the unmanned flight system is taken off, The invention also relates to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that further includes a combable prop guide that is also used for landing gear applications.
상기 프롭가이드는, 본체의 좌우편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본체의 좌우편 부위에 각각 살대 형태로 구축되는 직선부와, 상기 직선부에서 본체의 외측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타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되,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프로펠러 외측 반경으로 만곡을 이루며 형성되는 라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의 양측단에서 상기 라운드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들 상호 간 일체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The prop guide may include a rectilinear portion that is installed to be rotatable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at is formed in the form of a rib in each of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main body and a pair of elliptical shapes along the outer direction of the main body in the rectilinear portion, And a round portion formed to be curved at an outer radius of a pair of propellers provided respectively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and the round portion is extended from both side ends of the straight portion and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
상기 라운드부는,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프로펠러를 외부 장애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프로펠러의 외측 반경을 따라 만곡 형성되는 한 쌍의 타원형 볼록부와, 상기 한 쌍의 타원형 볼록부에 사이에서 본체 방향으로 만곡되어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프로펠러를 구획하는 타원형 오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볼록부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들 상호 간 일체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Wherein the round portion includes a pair of elliptical convex portions curved along an outer radius of the propeller so as to be protected from external obstacles by a pair of propellers provided respectively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And an elliptical concave portion for defining a pair of propeller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respectively,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of the body, and the concave portion is extended between the pair of convex portions, There is one feature.
본체의 좌우편에 각각 구비된 프롭가이드의 회전을 위해 본체 내부에 회전수단이 설치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And an unmanned flight system in which a rotat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for rotating a prop guide provided on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회전수단은, 동력원이 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기어와, 상기 기어에 중앙 지점이 물린 채 상기 프롭가이드의 직선부 길이에 걸쳐 직선부와 결합되어 기어 회전에 따라 프롭가이드를 회전시키는 장축봉을 포함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The rotation means includes a drive motor serving as a power source, a gear coupled to the rotation shaft of the drive motor, and a gear coupled to the linear portion over the length of the linear portion of the prop guide while being meshed with the center point, And a long rod that rotates the prop guide.
상기 회전수단은, 동력원이 되는 회전실린더와, 상기 회전실린더의 몸체 내부에 설치된 채, 피스톤과 결합되어 피스톤의 전후퇴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래크기어와, 상기 래크기어에 물려 래크기어의 전후퇴 작동에 따라 정 역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봉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의 정 역 회전시에 동시 정 역 회전되는 기어, 및 상기 기어에 중앙 지점이 물린 채 상기 프롭가이드의 직선부 길이에 걸쳐 직선부와 결합되어 기어 회전에 따라 프롭가이드를 회전시키는 장축봉을 포함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cylinder serving as a power source, a raising-and-lowering means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rotating cylinder and engaged with the piston and interlocked with the pist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ston, A pinion gear coupled to the pinion of the pinion gear and rotated at the same time in the forward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nd a gear And a long rod which is coupled with the straight portion over the minor length and rotates the prop gu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상기 프롭가이드는, 본체의 좌우편에서 수평과 수직 반경 내에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륙 시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인비행시스템의 착륙 시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무인비행시스템에 일 특징이 있다.The prop guid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ake-off of the unmanned flight system in the horizontal and vertical radii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ain body, and is rotated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n the unmanned flight system lands.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시스템은, 관제실과 교신하며 소기의 목적을 담당하기 위하여 창공을 비행하는 과정에서 조종사의 조종 미숙이나 실수 혹은 교신의 오류 등 요인에 의해 항로를 벗어나 다른 장애물과 충돌될 경우, 프로펠러를 보호하여 안정적 착륙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designed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room, and to take charge of the purpose of the flight, in the course of flying the window, In the event of collision with an obstacle, the propeller is protected and a stable landing can be achieved.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시스템은, 창공을 비행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상황으로 다른 비행체와 충돌되거나 어쩔 수 없이 항로를 벗어나 다른 장애물과 충돌 시에도 프로펠러가 보호되어 비행에 필요한 동력 추진을 유지할 수 있음에 따라 비행체의 추락을 방지하고, 이러한 추락 방지로 인한 비행체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a propeller from being collided with other aircraft or inevitably collide with other obstacles when an unexpected situation occurs during a flight in the sky, It is possible to prevent a flying object from falling and to prevent the flying object from being damaged due to the falling of the flying object.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시스템은, 비행 과정에서 다른 장애물과 충돌되어도 프로펠러가 보호되어 비행체의 추락으로 인한 비행체의 파손 방지뿐만 아니라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수단이 이착륙 시에 비행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기어 기능까지 겸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In addition,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tects the propeller even if it collides with other obstacles in the course of flight, so that the means for protecting the propeller as well as the destruction of the aircraft due to the fall of the aircraft, And the gear function can be used.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시스템은, 이와 같이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수단이 구축됨에 따라 비행 과정에서 외부 장애물과 충돌되어도 프로펠러의 파손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어 종국에 비행체 추락까지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한 막대한 손실 비용 발생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means for protecting the propeller is construc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breakage or failure of the propeller even if it collides with the external obstacle during the flight,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occurrence of a huge loss cost caused thereb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실시 예 타입으로 제작된 무인비행시스템을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저면 상태를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정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2 실시 예 타입으로 제작된 무인비행시스템을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저면 상태를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정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제3 실시 예 타입으로 제작된 무인비행시스템을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저면 상태를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정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제4 실시 예 타입으로 제작된 무인비행시스템을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저면 상태를 사시로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3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정면으로 도시한 도면,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착륙 상태를 평면으로 도시한 도면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1,
FIG. 3 is a front view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1,
FIG. 4 is a plan view of the landing and land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5,
FIG. 7 is a front view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5,
FIG. 8 is a plan view showing the takeoff and land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7,
FIG. 9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9,
FIG. 11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the takeoff and land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9;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landing / land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11,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surface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13,
FIG. 15 is a front view of the landing and land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13;
FIG. 16 is a plan view showing the takeoff and landing state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shown in FIG. 15. FIG.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어 도시됨을 밝히고, 후술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며, 다른 여러 형태로 변형 실시되는 점까지 감안한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at both the foregoing general description and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are exemplary and explanatory and are intended to provide further explanation of the invention as claimed. And it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aking into consideration that various modifications are made.
아울러, 하기 본 발명에서는 실시 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명세서 전반에 기재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해석한 확장 범위까지 포함하는 권리범위로 인정되어야만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but should be construed as a scope of scope including an extended scope interpreted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무인비행시스템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an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면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의한 무인비행시스템은, 기상, 방재, 군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가치가 높은 용도로서, 무인비행체와 전자적 장비들이 함께 접목 구축되어 관제실과 교신하며 특정 임무를 위하여 창공을 비행하게 되는 물체를 의미하게 된다.Prior to the description of the drawings,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high value application in a variety of fields such as weather, disaster prevention, and military. The unmanned aerial vehicle and the electronic equipments are grafted together to communicate with the control room, Which means the object to be made.
이러한 무인비행시스템은, 그 일례로서 통합항법장치 전자통신과 회전익 비행체로 구성되어, 착륙장에 구축된 자동착륙장치와, 무인비행시스템의 비행 관련 임무 수행에 대한 지시 및 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 지상관제장비, 및 운용소프트웨어로 운용될 수 있다. Such an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s composed, for example, of an integrated navigation device electronic communication and a flywheel vehicle, and includes an automatic landing device installed in a landing area and a ground control device capable of instructing and controlling the flight- Equipment, and operating software.
이러한 무인비행시스템은, 통합항법장치로서 통합항법부(FCC), 센서모듈(GPS/IMU/ETC), Power 처리부(메인, 모터, 주변기기), 통신처리부(Wi-Fi, VHF, UHF..), I/O 처리부, 영상처리부(DVR/ㄷ 랜드마크)로 구성될 수 있고, 회전익 비행체로서 비행기체 구조(기체, 인터페이스, Ant), 모터/변속기처리부, 짐벌/셔터제어부, 배터리장착(용량, 사이즈), 안전장치(회전익, 착륙), 방수/금형(전자부, 모터보호)으로 구성될 수 있다.This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s composed of integrated navigation unit (FCC), sensor module (GPS / IMU / ETC), power processing unit (main, motor and peripheral),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Wi-Fi, VHF, UHF ..) , An I / O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DVR / D landmark), and can be used as a flywheel, an airplane structure, a motor /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a gimbal / shutter control unit, Size), safety device (rotor blade, landing), waterproof / mold (electronic part, motor protection).
이와 같이 구성되는 무인비행시스템은, 지상관제장비(관제실)와 교신하며 소정의 임무 담당을 위해 창공을 비행하게 되는데, 특히 기상, 방재, 군사 등의 분야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3D 공간정보구축에 대한 DB 수집용 임무에 일임할 수 있게 된다. The unmanned airship system configured in this way communicates with the ground control equipment (control room) and travels to the window to take charge of a specific task. In particular, the 3D space information, which can be used as useful data in the field of weather, disaster prevention, It will be possible to set aside the DB collection mission for the construction.
한편, 3D 공간구축에 대한 운용 내용으로서, 기체를 조립하여 비행을 준비하는 비행준비단계와, 비행/미션 계획을 입력하여 비행을 이륙시키는 이륙자동비행단계와, 창공을 비행하는 과정에서 감시정찰을 수행하며 3D 공간정보에 대한 DB를 수집획득하게 되는 미션수행단계와, 수집된 DB를 저장한 상태로 착륙장에 착륙하는 자동착륙단계와, 상기 수집된 DB를 기반으로 비행모니터링 시스템 및 침입지상관제시스템 및 영상 프로세싱을 거쳐 3D 공간정보에 대한 유용한 자료를 얻게 되는 지상수행단계로 이행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contents of operation for constructing the 3D space, there are a preparatory stage for assembling a gas and preparing for flight, an take-off automatic flight stage for inputting a flight / mission plan and a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The system includes a mission performing step of acquiring and acquiring a DB of 3D space information, an automatic landing step of landing on a landing field in a state in which the collected DB is stored, a flight monitoring system and an invasion ground control system And image processing to obtain useful data on 3D spatial information.
물론, 방재 분야에서도 이와 같은 3D 공간정보 DB를 활용하여 재난이나 재해를 신속하게 예방할 수 있는 모니터링 DB를 구축할 수 있다.
Of course, in the field of disaster prevention, such a 3D spatial information DB can be utilized to construct a monitoring DB that can quickly prevent a disaster or a disaster.
무인비행시스템은 이와 같은 특징으로 운용되되, 기존 무인비행시스템의 비행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요인(조종 미숙이나 실수, 관제실과의 교신에 대한 오류 등)으로 인하여 장애물과 충돌 시에 프로펠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 수단이 본 발명의 무인비행시스템에 더 구축되는 특징이 있다.The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is operated with this feature, but it prevents the damage of the propeller in case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due to unexpected factors in flight process of the existing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such as inaccuracy of control, mistake, There is a further feature that the technical means is constructed in the unmanned fligh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즉, 본 발명의 무인비행시스템에 있어 비행 과정에서 장애물과 충돌 시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기술 수단을 더 구축하고 있는바, 이는 하기 도면들을 참고하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That is, in the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echnical means for protecting the propeller in the course of collision with the obstacle during the flight process is further constructed, which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follow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4는 프로펠러 보호용 기술 수단이 구축된 무인비행시스템에 대한 제1 실시 예로 제작된 도면에 해당되고, 도 5 내지 도 8은 프로펠러 보호용 기술 수단이 구축된 무인비행시스템에 대한 제2 실시 예로 제작된 도면에 해당되며, 도 9 내지 도 12는 프로펠러 보호용 기술 수단이 구축된 무인비행시스템에 대한 제3 실시 예로 제작된 도면에 해당되고, 도 13 내지 도 16은 프로펠러 보호용 기술 수단이 구축된 무인비행시스템에 대한 제4 실시 예로 제작된 도면에 해당된다.FIGS. 1 to 4 correspond to the drawings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in which the technical means for protecting the propeller is constructed, and FIGS. 5 to 8 show the second implementation of the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FIGS. 9 to 12 correspond to drawings produced by the third embodim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n which the technical means for protecting the propeller is built, and FIGS. 13 to 16 illustrate the construction of the propeller protection technology means This corresponds to the drawing produced by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무인비행시스템은, 하기 도면에서와 같이, 통합항법장치들이 집적된 본체(110)와, 상기 본체(110)의 좌우편에서 상하 방향으로 구축된 프로펠러(111)와, 상기 본체(110)의 좌우편에 상기 프로펠러(111)의 외측 반경을 향해 만곡져 프로펠러(111)를 외부 장애물로부터 보호하는 프롭가이드(120)와, 상기 본체(110)의 저면부에 장착된 영상촬영부(AIC)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he unmanned aerial flight system includes a
여기서, 본체(110)의 다양한 모양이나 형태에 따라 제1 실시 예에서부터 제4 실시 예에 이르는 제작 도면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펠러 보호용 기술 수단은 제1 실시 예에서부터 제4 실시 예에 이르기까지 중복되는 관계로 모든 도면들에 대하여 일일이 설명해야할 필요가 없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Here, according to various shapes and forms of the
단, 제1 실시 예가 되었던 제2 실시 예가 되었던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해당되는 도면들만을 참고로 본 발명에 대한 설명을 개진하기로 한다.However,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made with reference to only the drawings corresponding to any one of the embodiments which became the first embodiment.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좌우편에서 상하 부위에 각각 프로펠러(111)들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프로펠러(111)들은 본체(110)에서부터 외측으로 뻗어 있는 형상을 갖게 됨에 따라, 무인비행체(100)의 비행 과정에서 외부 장애물(나무, 건물벽, 전봇대, 전선, 및 기타 비행 중의 장애물들)과 충돌 시 제일 먼저 충돌되는 염려가 높다.As shown in FIGS. 1 and 2,
이러한 프로펠러(111)는 무인비행체(100)의 비행에 핵심적으로 요구되는 동력 추진 역할을 하기 때문에, 외부 장애물과 충돌되어 약간의 파손이 발생하더라도, 무인비행체(100) 추락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으며, 이로 인한 막대한 손실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Since the
따라서, 이러한 프로펠러(111)의 파손 방지를 위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의 좌우편에서부터 프로펠러(111)가 구축된 지점을 넘어서는 위치에 이르기까지 만곡 형상의 프롭가이드(120)가 각각 구축된다.1 and 2, in order to prevent breakage of the
상기 프롭가이드(120)는 본체(110)의 좌우편에서 외측으로 뻗어 있는 만곡 형태로서, 본체(110)의 좌우편에서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각 프로펠러(111)들의 경계를 넘어 프로펠러(111)를 에워싸는 형태로 구성된다.The
즉, 상기 프로펠러(111)들은 본체(110)의 좌우편에서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형태가 동일하기 때문에 본체(110)의 좌우편 중 어느 한 편을 기준으로 설명하자면, 예를 들어 본체(110)의 좌측편에서 외측 방향으로 경사지며 뻗어 있는 상하 지점의 위치에 한 쌍의 프로펠러(111)가 구축되어 있으며, 이러한 프로펠러(111)를 프롭가이드(120)가 에워싸는 구조로 구축된다.That is, since the
프롭가이드(120)는 일종의 대(臺)와 같은 살대 형태의 직선부(121)와, 상기 직선부(121)의 양측 단부에서 만곡지며 형성된 라운드부(122)를 포함하는 구성이다.The
상기 라운드부(122)는 직선부(121)의 양측 단부에서 연장되는 형태로 만곡된 타원형의 한 쌍인 볼록부(122a)와, 상기 볼록부(122a) 사이에서 상기 볼록부(122a)의 만곡과 반대로 만곡된 오목부(122b)를 포함하게 된다. 물론 상기 오목부(122b) 역시도 볼록부(122a) 사이에서 연장되는 형태의 만곡을 형성하게 된다.The
상기 직선부(121)와 상기 한 쌍의 볼록부(122a) 및 오목부(122b)는 상호 간에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물론, 이들 직선부(121)와 볼록부(122a) 및 오목부(122b)들이 일체로 작동되는데에 무리가 없는 범위 내에서 이들 상호 간에 분리형으로도 구성될 수도 있다.The
상기 직선부(121)는 본체(110)의 좌측편에서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10) 내부에횡으로 축설된 장축봉(133)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장축봉(133)의 회전 시 동시 회전이 가능하다.17, the
상기 한 쌍의 볼록부(122a)는 상기 직선부(121)의 양측 단부에서 각각 연장되는 형태로 본체(110)의 외측 방향으로 만곡되되, 본체(110)의 좌측편에서 상하 방면으로 뻗어 있는 프로펠러(111)를 넉넉히 에워쌀 수 있는 외측 반경에 이르기까지 만곡 형성된다.The pair of
한편, 상기 오목부(122b)는 상기 볼록부(122a)의 사이에서 볼록부(122a)의 만곡 형태와 반대로 만곡되되, 이러한 상기 오목부(122b) 역시 본체(110)의 좌우편에서 상하 방향으로 뻗어 있는 한 쌍의 프로펠러(111) 사이에서 상기 프로펠러(111)들을 넉넉히 에워쌀 수 있는 외측 반경에 이르기까지 만곡 형성되고, 이들 프로펠러(111)를 중앙에서 구획하게 된다.The
이러한 프롭가이드(120)의 구성은, 제1 실시 예에 해당되는 도면 1 내지 4를 기준으로 설명되었지만, 제2,3,4 실시 예에 해당되는 도면 5 내지 8, 도면 9 내지 12, 도면 13 내지 16에 이르기까지 동일할 수 있다.Although the configuration of the
물론, 본체(110)를 기준으로 프로펠러(111)의 구축 지점이 다양할 경우에도, 프롭가이드(120)는 다양한 형태로 구축된 프로펠러(111)들을 외측에서 넉넉히 에워쌀 수 있는 변경 가능한 구조적 형태까지 포함할 수도 있다.Of course, even when the
한편, 본 발명의 본체(110) 좌우편에 구축된 프롭가이드(120)에 대한 구성 및 작용 관계를 설명하기로 한다.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of the
프롭가이드(120)는 도면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인비행체(100)의 본체(110)가 이륙 시에는 본체(110) 내부에 구성된 회전수단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어 펼쳐지게 됨으로써, 비행 과정에서 장애물과 충돌될 경우에도 프로펠러(111)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3, the
반면, 무인비행체(100)의 본체(110)가 착륙 시에는 본체(110) 내부에 구성된 회전수단에 의해 본체(110)의 하부인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어 비행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 기어 역할까지 겸용할 수 있게 된다.When the
따라서, 프롭가이드(120)를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방향이 정 방향이라 가정하고,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회전 방향이 역 방향이라 가정할 경우, 회전 수단에 의해 정 역 회전되는데, 이러한 회전 수단은 도 17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구동모터(131)와, 상기 구동모터(131)의 회전축(부호미표기)에 결합된 기어(132)와, 상기 기어(132)에 물리는 장축봉(133)을 통하여 정 역 회전될 수 있다.Therefore, when the rotation direction of the
즉, 무인비행체(100)가 이륙 시에 구동모터(131)의 회전에 의해 기어(132)가 회전되고, 상기 기어(132)에 물린 장축봉(133)이 회전되면서 프롭가이드(120)를 수평 방향으로 펼쳐 프로펠러(111)들의 외측 반경에서 프로펠러(111)들을 보호하게 된다.That is, the
반면, 무인비행체(100)가 착륙 시에는 회전수단이 상기 비행체의 이륙 시와 반대로 회전됨에 따라, 프롭가이드(120)가 본체(110)의 하부 방향인 수직 방향으로 오므려져 비행체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 기어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when the
상기 회전 수단은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본체(110)의 내부에 설치된 회전실린더(140)와, 회전실린더(140)의 몸체(141)에서 전 후퇴되는 피스톤 작동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132)와, 상기 기어(132)에 물리는 장축봉(133)을 통하여서도 정 역 회전이 가능하다.18,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즉, 회전실린더(140)의 몸체(141) 내부에는 래크와 피니언 기어(미도시)가 설치되고, 상기 래크와 결합된 회전축에 상기 기어(132)가 결합된 구조를 갖게 됨에 따라, 피스톤의 전 후퇴 작동 시에 피스톤과 결합된 피니언 기어의 전 후퇴 작동에 따라 래크가 정 역 회전되고, 이러한 래크의 정 역 회전과 동시에 상기 기어(132)가 정 역 회전됨에 따라, 상기 기어(132)에 물린 장축봉(133)은 상기 기어(132) 회전과 반대로 회전되어 프롭가이드(120)를 회전시킬 수도 있다.That is, a rack and a pinion gear (not shown) are provided inside the
물론,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장축봉(133)은 본체(110) 내부에서 회전될 수 있도록 본체(110) 내부에서 횡으로 축설될 수 있고, 장축봉(133)의 유연한 회전을 돕기 위하여 장축봉(133)의 양측 끝단에 베어링도 함께 구비될 수도 있다.17 and 18, the
100 : 무인비행체 110 : 본체
111 : 프로펠러
120 : 프롭가이드 121 : 직선부
122 : 라운드부
122a : 볼록부 122b : 오목부
130 : 회전수단 131 : 구동모터
132 : 기어 133 : 장축봉
140 : 회전실린더
141 : 몸체
AIC : 영상촬영부100: unmanned aerial vehicle 110: main body
111: Propeller
120: Prop guide 121: Straight line
122:
122a:
130: rotating means 131: driving motor
132: gear 133: long rod
140: rotating cylinder
141: Body
AIC:
Claims (7)
상기 무인비행시스템의 이륙 시에 상기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구비된 프로펠러를 보호하는 용도로 활용되는 한편, 무인비행시스템의 착륙 시에 무인비행시스템의 하중을 지지하는 랜딩기어 용도로도 활용될 수 있는 겸용 가능한 프롭가이드가 더 포함되며,
상기 프롭가이드는, 본체의 좌우편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되, 본체의 좌우편 부위에 각각 살대 형태로 구축되는 직선부;
상기 직선부에서 본체의 외측 방향을 따라 한 쌍의 타원형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되,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프로펠러 외측 반경에서 만곡을 이루게 되는 라운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직선부의 양측단에서 상기 라운드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들 상호 간 일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시스템.A body including a main body, a motor / transmission processing unit built in the main body, a gimbal detachable unit, and a battery mounting unit for collecting a 3D space construction DB so that it can be utilized as useful data in various fields such as weather, disaster prevention, and military. An integrated navigation device composed of an integrated navigation unit (FCC), a sensor module (GPS / IMU / ETC), a power processing unit (main, motor and peripheral), a communication processing unit, an I / O processing unit and an image processing unit; Wherein the unmanned flight system comprises:
It can be used as a landing gear for supporting the load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the landing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while protecting the propeller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main body of the unmanned aerial vehicle during take- Further usable prop guides are included,
The prop guide includes a rectilinear section rotatably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the rectilinear section being formed on the right and left portions of the main body,
A pair of left and right propellers each having a pair of elliptical shapes curved along the outer side of the main body in the rectilinear part,
Lt; / RTI >
Wherein the round portions are extended from both ends of the rectilinear section and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상기 라운드부는,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프로펠러를 외부 장애물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도록 프로펠러의 외측 반경에서 만곡 형성되는 한 쌍의 타원형 볼록부;
상기 한 쌍의 타원형 볼록부에 사이에서 본체 방향으로 만곡되어 본체의 좌우편 상하에 각각 구비된 한 쌍의 프로펠러를 구획하는 타원형 오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볼록부 사이에서 상기 오목부가 연장 형성되어 이들 상호 간 일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ound portion includes a pair of elliptical convex portions curved at an outer radius of the propeller so that a pair of propellers provided respectively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may be protected from external obstacles;
An elliptical concave portion curved in the direction of the body between the pair of elliptical convex portions to define a pair of propellers respectively provided on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ody;
Lt; / RTI >
And the concave portion is extended between the pair of convex portions to be integrated with each other.
본체의 좌우편에 각각 구비된 프롭가이드의 회전을 위해 본체 내부에 회전수단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시스템.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rotating means is provided inside the main body for rotating the prop guide provided on the right and left sides of the main body.
상기 회전수단은, 동력원이 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회전되는 기어;
상기 기어에 중앙 지점이 물린 채 상기 프롭가이드의 직선부 길이에 걸쳐 직선부와 결합되어 기어 회전에 따라 프롭가이드를 회전시키는 장축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driving motor serving as a power source;
A gear coupled to the rotating shaft of the driving motor and rotated;
A long axis rod which is coupled to the linear portion over the length of the linear portion of the prop guide while the center point is bite in the gear and rotates the prop gu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상기 회전수단은, 동력원이 되는 회전실린더;
상기 회전실린더의 몸체 내부에 설치된 채, 피스톤과 결합되어 피스톤의 전후퇴 작동에 따라 연동하는 래크기어;
상기 래크기어에 물려 래크기어의 전후퇴 작동에 따라 정 역으로 회전되는 피니언기어;
상기 피니언기어의 축봉에 결합되어 피니언기어의 정 역 회전시에 동시 정 역 회전되는 기어;
상기 기어에 중앙 지점이 물린 채 상기 프롭가이드의 직선부 길이에 걸쳐 직선부와 결합되어 기어 회전에 따라 프롭가이드를 회전시키는 장축봉;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시스템.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tating means includes: a rotating cylinder serving as a power source;
A piston which is installed in the body of the rotary cylinder and is engaged with the piston and interlocked with the piston in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ston;
A pinion gear rotatable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pinion gear in the pinion gear;
A gear coupled to a shaft rod of the pinion gear and simultaneously rotated counterclockwise during a forward rotation of the pinion gear;
A long axis rod which is coupled to the linear portion over the length of the linear portion of the prop guide while the center point is bite in the gear and rotates the prop guid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gear;
And an unmanned aerial vehicle.
상기 프롭가이드는, 본체의 좌우편에서 수평과 수직 반경 내에서 무인비행시스템의 이륙 시에 수평 방향으로 회전되고, 무인비행시스템의 착륙 시에 수직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인비행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rop guide is rotated in a horizontal direction at the time of taking-off of the unmanned flight system in a horizontal and vertical radius from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main body, and is rotated in a vertical direction at the time of landing of the unmanned flight system.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3910A KR101610801B1 (en) | 2015-01-29 | 2015-01-29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3910A KR101610801B1 (en) | 2015-01-29 | 2015-01-29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0801B1 true KR101610801B1 (en) | 2016-04-11 |
Family
ID=55800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3910A Active KR101610801B1 (en) | 2015-01-29 | 2015-01-29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801B1 (en) |
Cited B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47565A (en) * | 2015-02-12 | 2016-08-18 | 株式会社amuse oneself | Flight body |
CN107554779A (en) * | 2017-09-20 | 2018-01-09 | 王月娟 | A kind of unmanned plane propeller protection device |
CN107783106A (en) * | 2016-08-25 | 2018-03-09 |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 Data Fusion Method Between UAV and Obstacle |
CN109383778A (en) * | 2017-08-10 | 2019-02-26 | 昊翔电能运动科技(昆山)有限公司 | The rack construction of aircraft |
WO2019067110A1 (en) * | 2017-09-26 | 2019-04-04 | Intel Corporation | Hybrid unmanned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
CN109956046A (en) * | 2019-04-02 | 2019-07-02 | 北京中科利丰科技有限公司 | Unmanned plane protective device |
JP2019172125A (en) * | 2018-03-29 | 2019-10-10 |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Ducted fan drone |
US20220001977A1 (en) * | 2018-11-05 | 2022-01-06 | Yoav Netzer | Aircraft rotor protectio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971397U (en) * | 2014-07-07 | 2014-12-03 | 沈灿斌 | Multi-functional deformation four-axle aircraft |
-
2015
- 2015-01-29 KR KR1020150013910A patent/KR10161080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203971397U (en) * | 2014-07-07 | 2014-12-03 | 沈灿斌 | Multi-functional deformation four-axle aircraft |
Cited By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16147565A (en) * | 2015-02-12 | 2016-08-18 | 株式会社amuse oneself | Flight body |
CN107783106A (en) * | 2016-08-25 | 2018-03-09 | 大连楼兰科技股份有限公司 | Data Fusion Method Between UAV and Obstacle |
CN109383778A (en) * | 2017-08-10 | 2019-02-26 | 昊翔电能运动科技(昆山)有限公司 | The rack construction of aircraft |
CN107554779A (en) * | 2017-09-20 | 2018-01-09 | 王月娟 | A kind of unmanned plane propeller protection device |
WO2019067110A1 (en) * | 2017-09-26 | 2019-04-04 | Intel Corporation | Hybrid unmanned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
US10647424B2 (en) | 2017-09-26 | 2020-05-12 | Intel Corporation | Hybrid unmanned vehicles and related methods |
JP2019172125A (en) * | 2018-03-29 | 2019-10-10 |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Ducted fan drone |
JP7032800B2 (en) | 2018-03-29 | 2022-03-09 | 国立研究開発法人農業・食品産業技術総合研究機構 | Ducted fund loan |
US20220001977A1 (en) * | 2018-11-05 | 2022-01-06 | Yoav Netzer | Aircraft rotor protection |
US11999474B2 (en) * | 2018-11-05 | 2024-06-04 | Yoav Netzer | Aircraft rotor protection |
CN109956046A (en) * | 2019-04-02 | 2019-07-02 | 北京中科利丰科技有限公司 | Unmanned plane protective device |
CN109956046B (en) * | 2019-04-02 | 2020-11-17 | 北京中科利丰科技有限公司 | Unmanned aerial vehicle protection devic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0801B1 (en) | 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 |
US11204611B2 (en) | Assisted takeoff | |
JP6982841B2 (en) | Aircraft with protective frame and automatic charging device that can travel on land (and on water if possible) | |
US11015956B2 (en) |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 sensor calibration | |
US10845805B2 (en) | Velocity control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 |
Chaurasia et al. |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 comprehensive survey | |
CN111132900B (en) | Asymmetric CAN-based communication for aircraft | |
EP3428766B1 (en) | Multi-sensor environmental mapping | |
CN105517666B (en) | Scenario-based flight mode selection | |
US20170073070A1 (en) | Amphibious vertical takeoff and landing unmanned device with artificial intelligence (AI) and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a crisis environment and controlling one or more targets | |
CN106005451B (en) | A kind of boat-carrying unmanned plane based on Internet of Things traveling waterborne protects system | |
US20170253325A1 (en) | Unmanned aerial vehicle (uav) and a method of improving the performance thereof | |
KR101564380B1 (en) | Unmanned vehicle | |
CN104769496A (en) | Flying camera with string assembly for localization and interaction | |
KR101808073B1 (en) | Unmanned aerial device | |
US10293934B2 (en) | Dual-aircraft system | |
US9975624B1 (en) | Multicopter propeller guard system | |
CN215813349U (en) | Unmanned aerial vehicle formation target real-time tracking and modeling system | |
Verma et al. | Unmanned Aerial Vehicle for disaster response and relief operations: helping hands from air | |
WO2021260730A1 (en) | Multipurpose and long endurance hybrid unmanned aerial vehicle | |
KR20180128105A (en) | report,news,representation | |
KR20160101247A (en) | report,news,representation | |
CN111045442A (en) | Flight control system applied to agriculture and industry | |
Kumar et al. | Modelling and analysis of a tricop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129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1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0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