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10240B1 -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Google Patents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10240B1 KR101610240B1 KR1020140157217A KR20140157217A KR101610240B1 KR 101610240 B1 KR101610240 B1 KR 101610240B1 KR 1020140157217 A KR1020140157217 A KR 1020140157217A KR 20140157217 A KR20140157217 A KR 20140157217A KR 101610240 B1 KR101610240 B1 KR 10161024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ust collecting
- dust
- washing water
- voltage electrostatic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the additional use of mechanical effects, e.g. gravity
- B03C3/155—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using electrostatic forces to remove particles, e.g. electret filt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1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separation of ionising and collecting st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74—Cleaning the electrodes
- B03C3/78—Cleaning the electrodes by wash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20—Air quality improvement or preservation, e.g. vehicle emission control or emission reduction by using catalytic converters
- Y02A50/2351—Atmospheric particulate matter [PM], e.g. carbon smoke microparticles, smog, aerosol particles, dus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접지된 집진전극과 유도된 전압에 의해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도전압 정전필터와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를 평면상으로 다수 결합하여 이루어진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복합 분사부의 에어관 및 세정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관에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관에는 고압의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및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집진전극에 포집된 포집물 및 세정수 등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구성들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집진 시스템의 집진 효율을 99%이상으로 향상시키고 양방향으로 집진이 가능한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 및 상대적으로 높은 세정효과를 발휘하고, 집진전극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집진 시스템의 운전시 포집된 먼지 등의 재비산을 방지하고, 집진 시스템의 집진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includes a grounded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an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including an induction voltage plate that induces an induced voltage by induced voltage and a cleaning device for removing dust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 inductive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including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s coupled in a planar manner; A first half-side composite cleaning device installed at a front end and a rear end of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A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of the complex injection part of the half-hybrid washing machine to supply high-pressure air to the air tube and supply high-pressur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pipe; A drainage unit positioned below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and the half-car composite wash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water and washing wa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o the outside;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structures.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on system is improved to 99% or more and the dust collection system is capable of collecting dust in both directions, And does not leave any residue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reby preventing re-scattering of the collected dust or the like dur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and maintain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at the best state.
Description
본 발명은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 분진 내지 수분입자와 같은 포집대상을 양방향으로 포집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접지된 집진전극과 유도된 전압에 의해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도전압 정전필터와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세정장치를 포함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전기집진장치(ESP)에 포함되는 유도전압 정전필터의 전기집진원리는 오염된 기체 내에 포함되어 포집 대상인 먼지, 분진 내지 수분입자 등을 하전(荷電)시킴으로써 하전된 포집대상이 쿨롱력(정전기력)에 의해 집진전극 방향으로 끌려가서 포집된다.The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principle of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included in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ESP) is contained in the contaminated gas to charge the dust, dust or moisture particles to be collected so that the charged object is attracted to the Coulomb force (electrostatic force) And is collect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포집 대상의 하전은 통상적으로 방전극에 인가된 고전압에 의해 전기장을 생성하고, 2개의 전극 사이에서 높은 전압에 의해 전기장이 강한 부분이 전도성을 갖는 현상인 코로나 방전을 통해 방전극 주변에서 전하의 생성 및 이동이 이루어지고 이를 통해 포집 대상인 먼지 등이 하전된다.Charge of the object to be trapped generally generates an electric field by the high voltage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and generates and moves the charge around the discharge electrode through the corona discharge which is a phenomenon where the electric field is strong by the high voltage between the two electrodes The dust and the like to be collected are charged.
이렇게 하전된 먼지 등은 전기장 내에서 집진전극 방향으로 발생한 쿨롱력에 의해 힘을 받게 되고, 결국 집진전극으로 끌려가 집진전극의 표면에 부착됨으로써 포집된다.
The charged dust or the like is subjected to a force by the Coulomb force generated in the direction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n the electric field, and is attract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이와 같은 전기집진원리를 이용하는 정전필터는 통상 1단형과 2단형이 있다.The electrostatic filter using such an electrostatic dust collecting principle usually has a one-stage type and a two-stage type.
1단형 정전필터는 방전부와 집진부를 일체로 한 것으로 코트렐(Cottrell) 집진기라 불리며, 대기오염 방지수단으로 현재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고 있다.The single-stage electrostatic filter is a collective of the discharge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called the Cottrell dust collector, and is most commonly used as a means of preventing air pollution.
통상 3만V ~ 10만V 사이에서 운전되며, 구조가 간단하고 집진성능이 우수하여 현재 각종 산업용 플랜트에서 발생하는 액상 및 고상 입자의 배출을 방지하는 산업용 먼지 배출 방지장치로써 널리 사용되고 있다.
It is widely used as an industrial dust emission preventing device which is operated between 30,000 V and 100,000 V and has a simple structure and excellent dust collecting performance and is currently preventing the discharge of liquid and solid particles generated in various industrial plants.
그러나, 이와 같은 1단형 정전필터는 반복하여 하전과 집진을 하기 때문에 재비산 방지에는 효과적이지만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고, 집진전극에 높은 전압을 인가해야만 하고, 집진전극에서 방전이 될 시에는 집진능력을 상실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such a single-stage electrostatic filter repeats charging and collecting dust, it is effective in preventing re-scattering, but there is a problem that reverse rotation phenomenon occurs, a high voltage must be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dust collecting ability is lost.
또한, 집진전극에 먼지가 포집되어 약 8㎜~12.7㎜ 두께까지 먼지층이 형성되면, 상기 포집된 먼지를 탈진(Rapping)해야만 지속적으로 집진능력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살수 장치 내지 기계적 충격 또는 진동을 가하는 추타 장치 등을 부가해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if a dust layer is formed to a thickness of about 8 mm to 12.7 mm by collecting dust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 dust collecting ability can be maintained only by repeating the collected dus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dd a chattering device or the like to be added.
만일, 탈진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역전리 현상이 발생하여 하전된 먼지가 중화되어 집진성능이 크게 저하됨은 물론 포집된 먼지가 중화되어 재비산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If exhaustion does not occur, the reverse rotation phenomenon occurs, neutralizing the charged dust to significantly reduce the dust collecting performance, as well as causing the collected dust to be neutralized and re-scattered.
상기 2단형 정전필터는 방전부와 집진부가 별도로 되어 있는 것으로 방전부의 방전전극과 집진부의 집진전극의 전압차에 의해 전기장을 형성하고, 상기 방전부를 거쳐 하전된 입자가 상기 전기장 내로 유입되면 이를 상기 집진부의 집진전극으로 끌어당겨 포집한다. The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has a discharging part and a dust collecting part separately, and forms an electric field by a voltage difference between a discharging electrode of the discharging part and a collecting electrode of the dust collecting part. When the charged particles are introduced into the electric field through the discharging part, It is attract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of the dust collecting section and collected.
이와 같은 2단형 집진기는 방전부와 집진부와 전계가 분리되어 있어 비교적 함진 농도가 적은 배기 처리에 주로 사용된다.
Such a two-stage dust collector is mainly used for the exhaust treatment with a relatively low concentration of dust because the discharge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are separated from the electric field.
이와 같은 2단형 정전필터는 역전리가 일어나지 않는 장점이 있으나, 재비산 먼지를 그대로 배출시키는 문제점이 있고, 상대적으로 구조가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Such a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has an advantage of not causing a reverse current, but it has a problem of discharging re-arid dust as it is, and the structure is relatively complicated.
상기와 같은 1단형 정전필터와 2단형 정전필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기술1로 출원번호 10-2005-0127542호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가 개시된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above-described one-stage electrostatic filter and the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Patent Application No. 10-2005-0127542 entitled "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Induced Voltage "
상기 종래기술1은 집진전극을 접지시키며, 돌기형 방전전극에 의해 유도되는 유도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유도접압판을 집진전극의 사이에 설치함으로써 정전계를 형성하여 접지된 집진전극으로 쿨롱력에 의해 끌려가는 하전된 먼지에 추진력을 부가함으로써 집진능력을 증가시키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The
상기 종래기술1은 종래 와이어 형태의 방전전극을 톱과 같은 형상의 돌기형 방전전극으로 대체함으로써 기계적 강도를 높이고 상대적으로 넓은 하전 영역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또한, 집진전극을 접지시킴으로써 하전된 먼지가 집진전극에 부착되는 순간 중화되어 중화된 먼지가 집진전극에서 중력에 의해 떨어지도록 하여 집진전극에 부착된 먼지를 제거하기 위한 별도의 먼지 제거수단을 요하지 않는다.In addition, by ground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neutralized dust neutralized at the moment when the charged dust adheres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by gravity, and no separate dust removing means is required for removing the dust adhering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
이로써 유지보수가 용이하고, 집진장치의 전기필터 구조의 단순화로 조립이 용이하며, 전기집진장치의 제조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This facilitates maintenance, facilitates assembly by simplifying the structure of the electric filter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reduces manufacturing cos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그러나, 이와 같은 유도전압을 이용한 전기집진장치는 상기 1단형 정전필터 및 2단형 정전필터에 비해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는 효과를 발휘하고, 집진성능에 있어서는 15,000볼트(V)에서 운전되는 경우 약 95~96%의 집진 효율을 발휘하나, 구조적으로 그 이상의 높은 집진 효율을 발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However, suc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an induction voltage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above-mentioned problems compared with the above-described one-stage electrostatic filter and two-stage electrostatic filter, and has a dust collecting performance of about 15,000 volts It exhibits a dust collection efficiency of 95 to 96%, but is structurally difficult to exhibit a higher dust collecting efficiency.
한편,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포집된 먼지 등이 부착되어 있는 집진전극을 주기적으로 세정해야만 집진 효율을 유지할 수 있고 전기집진장치 내에 이미 포집된 먼지 등이 다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maintai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it is necessary to periodically clea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o which the collected dust and the like are adhered to maintai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and to prevent dust or the like already collected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from being scattered again have.
이와 같이 집진효율의 유지와 재비산 방지를 목적으로 부가되는 집진전극 세정장치는 크게 습식과 건식으로 구분된다.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cleaning device added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and preventing re-scattering is roughly divided into a wet type and a dry type.
습식 세정장치는 고압의 세정수를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전극에 분사하여 집진전극의 표면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The wet scrubber is most commonly used as an apparatus for spraying high-pressure scrubbing water onto a dust collecting electrode of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to remove dust or the like collected on the surfac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이와 같은 습식 세정장치는 전기집진장치의 집진전극을 용이하게 세정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집진전극을 포함한 이오나이저와 같은 전기적으로 연결된 구성들이 모두 완전히 건조될 때까지 전기집진장치를 운전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Such a wet scrubbing apparatus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clea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while it is possible to operate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until all the electrically connected components such as the ionizer includ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re completely dried There is no problem.
상기 건식 세정장치는 고압으로 공기 내지 가스를 집진전극에 분사하여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장치로써 고압의 기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물과 같은 액체를 이용하는 습식 세정장치와 달리 전기집진장치의 건조 문제가 유발되지 않아 전기집진장치의 세정 후 바로 전기집진장치의 운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The dry cleaning apparatus is a device for removing dust or the like collected on a dust collecting electrode by jetting air or gas to a dust collecting electrode at a high pressure. Since a high pressure gas is used, unlike a wet type cleaning apparatus using liquid such as water,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electric dust collector can be operated immediately after the electric dust collector is cleaned.
그러나, 고압의 기체를 이용하는 건식 세정장치는 고압의 액체를 이용하는 습식 세정장치에 비해 상대적으로 세정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이로 인해 고압의 기체를 이용해 지속적으로 집진전극을 세정하더라도 제거가 되지 않는 이물질 등이 집진전극에 계속 잔류하게 되고, 전기집진장치의 사용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제거되지 않은 잔류물의 누적으로 점차 집진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the dry cleaning apparatus using a high-pressure gas has a problem in that the cleaning power is relatively inferior to that of a wet cleaning apparatus using a high-pressure liquid. Accordingly, foreign substances and the like that can not be removed even by continuously cleaning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using a high- As a result, the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apparatus gradually decreases due to accumulation of unremoved residues.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종래기술2로 출원번호 10-2010-0052610호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가 개시되었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 composite cleaning device for cleaning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disclosed in Patent Application No. 10-2010-0052610.
상기 종래기술2는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로 전기집진장치의 운전대기 시에 세정수와 공기를 이용하여 전기집진장치에서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을 제거하는 전기집진장치용 세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하우징, 상/하 구동부, 복합 분사부, 공급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above-described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2는 도 1 종래기술 출원번호 10-2010-0052610호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분사노즐과 세정수 분사노즐을 너무 좁게 설치하면 상호 간섭이 발생하여 수압이나 기압이 약하게 미치는 부분(W)이 생기고, 상기 도 2(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너무 넓게 설치하면 수압이나 기압이 전혀 미치지 못하는 부분(W)이 생긴다.However, the above-mentioned
설령, 최적의 간격으로 설치된다 하더라도 상기도 2(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분사되는 에어와 세정수는 방사형태로 분출됨에 따라 에어 분사노즐과 세정수 분사노즐에서 각이 벌어질 수록 압력이 낮아져 상대적으로 작지만 수압이나 기압이 약하게 미치는 부분(W)이 발생한다.2 (c), the air and the washing water are ejected in a radial pattern, and as the angle between the air injection nozzle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is increased, the pressure is lowered (W), which is relatively small but has a weak water pressure or air pressure, is generated.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유도전압을 이용한 정전필터를 이용하는 종래의 집진 시스템에 비해 동일한 조건에서 상대적으로 집진 효율이 향상된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특히 양방향으로 포집이 가능한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system which is relatively improved in dust collecting efficiency under the same condition as a conven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using an electrostatic filter using an induction voltage And in particular,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in both directions.
또한, 하나의 세정 장치에서 건식 세정 및 습식 세정이 모두 가능한 세정장치를 제공하되, 수압이나 기압이 약하게 미쳐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이 상대적으로 덜 제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세정장치를 갖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leaning device capable of both dry cleaning and wet cleaning in a single cleaning device and capable of performing both dry cleaning and wet cleaning with a dust collecting device having a cleaning device in which a water pressure or air pressure is weakly weakened, System.
또한, 이를 통해 상대적으로 높은 세정효과를 발휘하고, 집진전극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집진 시스템의 집진 효율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운전시 포집된 먼지 등의 재비산을 방지하는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dust collecting system that exhibits a relatively high cleaning effect through this and does not leave residues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hereby keeping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constant and preventing re-scattering of dust collected during operation .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aken in conjunction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technical features.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직육면체를 이루는 틀로 양쪽 측면이 폐쇄된 필터함체; 상기 필터함체의 유통 방향의 양쪽 입구에 각각 설치되고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켜 포집대상을 하전시키며,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판으로 양쪽 날에는 다수의 방전 돌기가 형성되고 양쪽면에 다수의 측면 돌기를 형성한 다수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로 이루어지고, 상기 다수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는 방전 돌기는 유통 방향을 향하고 측면 돌기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되는 1/2차측 방전부; 및 상기 1차측 방전부와 상기 2차측 방전부 사이에 위치하며, 접지된 평행한 금속판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과 상기 집진전극의 금속판 사이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으로 이루어진 집진부;를 포함하는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를 평면상으로 다수 결합하여 이루어진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세정 수단으로, 상측 및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의 내측면은 폐쇄되거나 복합 분사부의 이동을 위해 개방되도록 개폐도어를 갖는 하우징;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회전축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회전축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상/하방으로 체인이 회전하는 좌/우측 체인부; 상기 좌측 체인부와 우측 체인부의 상부회전축은 하나의 축으로 하며, 상기 상부회전축과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복합 분사부와 결합하며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의 상/하방 이동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복합 분사부 거치대;를 포함하여 복합 분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 상기 상/하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에어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 세정수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세정수관; 상기 상/하 구동부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복합 분사부 브라켓; 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여 상/하로 이동시에 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복합 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복합 분사부의 에어관 및 세정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관에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관에는 고압의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및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집진전극에 포집된 포집물 및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집진을 위한 구동 및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세정을 위한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와 상기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filter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and closed on both sides; A plurality of discharge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Wherein the plurality of multi-cross fin ionizers are arranged so that the discharge protrusions face the flow dir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s face each other;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primary discharging unit and the secondary discharging unit, the grounding parallel metal plate being continuously installed to collect the charged fine particles and the metal plat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 inductive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s including a plurality of inductors arranged on a plane, and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n induction voltage plate generating a voltage induced by the multi-cross fin ionizer; Wherein the bidirectional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cleaning uni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so that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frames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rames are closed or opened for movement of the complex jet unit, ; A left / right chain portion in which the chain rotates up / down by connecting the upper rotation shaf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l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formed on the lower portion formed by the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upper rotary shaft and rotating the upper rotary shaft, the upper rotary shaft of the left side chain part and the right side chain part being one axis; And a combined jet part rest unit coupled to the complex jet part and moving up / down along the rails by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chain connected to the chain, wherein the upper / ; An air tu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rts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jet nozzles; A washing water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s; A combined jet part bracket coupled to the combined jet part res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rts so as to be movable; And a composite spray part repeatedly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spray part when moving up / down, including a left and right movable part that repeated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spray part. A cleaning device; A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of the complex injection part of the half-hybrid washing machine to supply high-pressure air to the air tube and supply high-pressur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pipe; A drainage unit disposed below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and the half car side complex wash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water and washing wa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o the outside;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s of the driving unit for dust collection of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and the cleaning unit for cleaning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and the supply unit.
삭제delete
또한,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은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에 각각 설치되며, 유통 방향 기준으로 복합 세정 장치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1/2차측 셔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half-primary-side shutter unit which is installed in the half-primary-side composite washing apparatus unit and is located at the front end of the composite washing apparatus unit on the basis of the flow direction .
또한,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필터함체는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에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filter housing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guide which opens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filter housing and guides the contaminated air to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at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opened portion. .
또한,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좌우이동부는 일측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와 일측의 복합 분사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타측 복합 분사부 거치대와 타측 복합 분사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캠이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s include a spring installed between a composite jet part rest bed on one side and a composite jet part bracket on one side; And a motor coupled to the cam disposed between the other-side complex-delivery-portion rest and the other-side complex-delivery-portion bracket.
또한,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복합 분사부는 상기 에어관 및 세정수관을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에어관의 에어 분사노즐 및 상기 세정수관의 세정수 분사노즐은 유도전압 정전필터부를 향하도록 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Further, i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ir injection nozzle and the cleaning water injection nozzle of the air tube are arranged so as to face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Is a technical feature.
또한,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상기 복합 분사부는 상기 에어관 및 세정수관을 노즐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에어관 및 세정수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Further, i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posite jetting unit includes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form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nozzl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and rotation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And further includes a technical featur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종래 유도전압 정전필터를 이용하는 집진 시스템에 비해 함진 농도가 비교적 높은 오염공기의 처리가 가능하여 집진 시스템의 집진 효율을 15,000볼트(V)의 인가 전압하에서 99%이상으로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dust collecting system using a conventional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capable of treating contaminated air having a relatively high dust concentration, 99% or more.
또한, 양방향으로 집진이 가능한 집진 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Further, there is an effect of providing a dust collecting system capable of collecting dust in both directions.
또한,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구조가 단순하여 조립이 용이하고 제조비용이 저렴하며, 방전부와 집진부의 기계적 강도가 높은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structure of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portion is simple, easy to assemble, low in manufacturing cost, and high in mechanical strength of the discharge portion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또한, 하전된 먼지가 집진전극에 부착되는 순간 중화되어 중화된 먼지가 집진전극에서 중력에 의해 떨어짐으로 상대적으로 집진전극에 포집되어 부착된 먼지의 양이 상대적으로 적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Also, since the neutralized dust is neutralized at the moment when the charged dust adheres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he neutralized dust is separated from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due to gravity, the amount of the dust adhered to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is relatively small, .
또한, 하나의 장치에서 건식 세정 및 습식 세정이 모두 가능하고, 수압이나 기압이 약하게 미쳐 집진전극에 포집된 먼지 등이 상대적으로 덜 제거되는 부분이 발생하지 않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n effect that both the dry cleaning and the wet cleaning are possible in one apparatus, the water pressure or the air pressure is weakly weakened, and dust and the like collected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re relatively less removed.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세정효과를 발휘하고, 집진전극에 잔류물을 남기지 않음으로써 집진 시스템의 운전시 포집된 먼지 등의 재비산을 방지하고, 집진 시스템의 집진효율을 최상의 상태로 유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a relatively high cleaning effect can be obtained, and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e-scattering of the dust or the like collected during operation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by not leaving any residue o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d to maintain the dust collecting efficiency of the dust collecting system in the best condition .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Other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exemplary embodiments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도 1은 종래기술2 출원번호 10-2010-0052610호 '전기집진장치를 세정하기 위한 복합 세정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성을 분해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유도전압 정전필터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필터함체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1/2차측 방전부를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집진부를 보인 도면,
도 8은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1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1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상/하 구동부를 보인 도면,
도 10은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복합 분사부 예를 보인 도면,
도 11은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복합 분사부 결합 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셔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1 is a view for explaining a problem of the
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figuration of a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n exploded view of the configuration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a filter housing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 half-discharge unit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view showing a dust collecting part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ng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showing the primary side composite cleaning device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9 is a view showing an upper and a lower driving part of a primary side composite cleaning device of a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mplex jetting section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view showing an example of the combined injection part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for explaining a shutter unit of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of the present invention.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 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 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 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refers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by way of illustration, specific embodiments in which the invention may be practiced. Thes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one embodiment. It should als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such claims are entitl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도 2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시스템(1)은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와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30)와 공급부(40), 배수부(50) 및 구동 제어부(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Bidirectional
본 발명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유로(2) 상에 설치되는 것으로 지하철 환기구, 터널 환기구, 지하시설 환기구 등과 같은 시설에 설치되어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과 같은 오염 물질을 포집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으로 집진이 가능한 특징을 갖는다.As shown in FIG. 2,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a
즉, 본 발명은 양방향 집진 시스템으로 유로(2) 상에 본 발명이 설치된 지점을 기준으로 일측을 1차측으로 하고 타측을 2차측이라 하면, 1차측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고, 반대로 2차측에서 유입되는 오염된 공기도 정화시킬 수 있다.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can purify the contaminated air flowing from the primary side when one side is referred to as a primary side and the other side is referred to as a secondary side based on a point where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on the
또한, 본 발명은 1차측에 설치되는 1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와 2차측에 설치되는 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30)를 통해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을 세정함으로써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의 집진 성능을 유지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duced voltage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는 도 3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구성을 분해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110)를 평면상으로 다수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The induced voltage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110)는 도 4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유도전압 정전필터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유도전압 정전필터(110)는 필터함체(112), 1/2차측 방전부(114/116), 집진부(11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induced voltage
상기 필터함체(112)는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구성으로, 도 5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필터함체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직육면체를 이루는 틀로 양쪽 측면이 폐쇄된다.The
상기 필터함체(112)는 내부에 1차측 방전부(114), 2차측 방전부(116) 및 집진부(118)를 설치하기 위한 것으로 오염된 공기가 유통되는 방향으로 개방되고, 양쪽 측면은 폐쇄되어 내부에 설치공간을 형성한다.The
이와 같은 필터함체(112)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금속소재로 보강판(112-1)이 외측에 형성된 측면판(112-2)과 두개의 측면판(112-2)을 연결하는 'ㄱ'자 형상의 지지대(112-3)를 상기 측면판(112-2)의 끝단부위(4지점)에 결합시킨다. 이때 지지대(112-3)와 측면판(112-2)의 결합은 볼트 결합 또는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5, the
또한, 상기 필터함체(112)는 상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에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112-4)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FIG. 5, the
상기 가이드(112-4)는 1차측 방전부(114)의 상하측과 2차측 방전부(116)의 상하측에 설치되어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이 집진부(118)를 향할 수 있도록 한다.The guide 112-4 is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primary
이렇게 함으로써 하전된 먼지가 충분히 집진부(118) 내부를 관통할 수 있도록 하고, 부가적으로 1/2차측 방전부(114, 116)와 집진부(118)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는 먼지의 비산을 방지한다.
By doing so, the charged dust can sufficiently pass through the inside of the
상기 1차측 방전부(114) 및 2차측 방전부(116)는 상기 필터함체(112)의 유통 방향의 양쪽 입구에 각각 설치되고 고전압 인가수단에 연결되어 코로나 방전을 일으키는 수단으로 도 6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1/2차측 방전부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115)로 이루어진다.The primary discharging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115)는 상기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정의 길이를 갖는 금속판으로 양쪽 날에는 다수의 방전 돌기(115-1)가 형성되고 양쪽면에 다수의 측면 돌기(115-2)를 갖는다.6 (a), the
이와 같은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115)를 상기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 개를 고전압 공급수단과 연결하여 배열하되, 방전 돌기(115-1)는 유통 방향을 향하고 측면 돌기(115-2)는 서로 대향하도록 배열한다.
6 (b), a plurality of the
이와 같은 1차측 방전부(114)와 2차측 방전부(116)는 필터함체(112)의 일측(1차측)과 타측(2차측)에 각각 설치되어 1차측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1차측 방전부(114)를 통해 미세먼지를 하전시키고, 역방향인 2차측에서 유입되는 공기는 2차측 방전부(116)를 통해 미세먼지를 하전시킨다.
The primary
상기 집진부(118)는 상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방전부(114)와 상기 2차측 방전부(116) 사이에 위치하며, 도 7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집진부를 보인 도면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지된 평행한 금속판이 연속으로 설치되어 하전된 미세입자를 포집하는 집진전극(118-1)과 상기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집진전극(118-1)의 금속판 사이에 설치되며 전기적인 연결없이 상기 멀티크로스핀 이오나이저(115)에 의해 유도된 전압을 일으키는 유도전압판(118-2)으로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 4, the
즉, 집진부(118)를 이루는 집진전극(118-1)과 유도전압판(118-2)은 서로 번갈아 배치되어 상기 도 7의 (c)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하여 배치된다.
That is,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118-1 and the induction voltage plate 118-2 constituting the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유도전압 집진필터(110)를 상기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다수 개를 결합하여 유도전압 집진필터부(10)를 형성한다.
As described above, the induction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30)는 상기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의 전단(1차측) 및 후단(2차측)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의 각 유도전압 정전필터(110)의 집진부(118)를 세정하는 역할을 한다.
As shown in FIGS. 2 to 3, the primary and secondary
이와 같은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30)는 도 8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1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211) 및 좌/우측 프레임(212. 213))과 상기 각 프레임의 내측면은 폐쇄되거나 복합 분사부(230)의 이동을 위해 개방되도록 개폐도어(214)를 갖는 하우징(210), 상/하 구동부(220), 복합 분사부(2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rimary side
상기 하우징(21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측 프레임(211), 좌측 프레임(212), 우측 프레임(213)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프레임(211, 212, 213)의 내측면은 폐쇄되거나 복합 분사부(230)의 이동을 위해 개방되도록 개폐도어(214)를 갖는다.
8, the
이와 같은 하우징(210)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은 유로(2)를 형성하면서 상기 상/하 구동부(220) 및 복합 분사부(230)가 설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상기 각 프레임(211, 212, 213)에 설치되는 각 개폐도어(214)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에 의해 개폐가 이루어지거나, 직선운동을 하는 실린더를 프레임과 개폐도어(214) 사이에 설치하여 상기 실린더의 직선운동에 의해 개폐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Each opening /
이때, 상기 실린더는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 실린더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공압 실린더가 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cylinder may be a hydraulic cylinder driven by hydraulic pressure or a pneumatic cylinder driven by pneumatic pressure.
이와 같은 개폐도어(214)의 개폐를 위한 모터 또는 실린더의 구동은 상기 구동 제어부(6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The driving of the motor or the cylinder for opening and closing the opening and closing
이처럼 본 발명의 하우징(210)은 개폐도어(214)를 통해 세정이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는 상기 상/하 구동부(220)와 복합 분사부(230)를 오염된 공기가 흐르는 내부 공간에 노출시키지 않는다.
As described above, the
상기 상/하 구동부(220)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우측 체인부(221, 222), 구동 모터(223) 및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 8, the upper and
도 9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1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상/하 구동부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 구동부(220)의 상기 좌측 체인부(221)와 우측 체인부(222)는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221-1, 222-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회전축(221-2, 222-2)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회전축(221-3, 222-3)을 체인(221-4, 222-4)으로 연결하여 상/하방으로 체인이 회전한다.
As shown in the figure, the left and
이때, 상기 좌측 체인부(221)와 우측 체인부(222)의 상부회전축(221-2, 222-2)은 하나의 축(223-1)으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223)의 구동으로 동일하게 움직이고, 체인(221-4, 222-4)에 결합된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는 구동 모터(223)의 구동으로 상기 체인(221-4, 222-4)의 상/하방 이동에 의해 상기 레일(221-1, 222-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한다.At this time, the upper rotation shafts 221-2 and 222-2 of the
따라서, 상기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에 연결된 복합 분사부(230)는 상/하 구동부(2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다.
Accordingly, the
상기 복합 분사부(230)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상/하 구동부(220)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되는 수단으로, 도 10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복합 분사부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에어 분사노즐(231-1)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231)과 세정수 분사노즐(232-1)이 다수 형성된 세정수관(232)과 상기 상/하 구동부(220)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과 복합 분사부(230)를 좌우 방향(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좌우이동부(234)를 포함하여 상/하로 이동시에 좌우 방향(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인다.As shown in FIG. 8, the
또한, 에어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관(231)과 세정수 분사노즐을 갖는 세정수관(232)을 갖는 복합 분사부(230)는 상기 도 10의 (a)에 도시한 복합 분사부(230)와 같이 상기 에어관(231) 및 세정수관(232)을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에어관(231)의 에어 분사노즐 및 상기 세정수관(232)의 세정수 분사노즐은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를 향하도록 한다.
The
상기 복합 분사부(230)의 다른 예로 상기 도 10의 (b)에 도시한 복합 분사부(230)와 같이 상기 에어관(231) 및 세정수관(232)을 노즐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에어관(231) 및 세정수관(232)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수단(234)으로 이루어진다.As another example of the
상기 회전 구동수단(234)은 상/하 구동부(220)의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 에어관(231) 및 세정수관(232)을 회전시킨다.The rotation driving means 234 is fixed to the complex
이와 같은 회전 구동수단(234)은 전동 모터, 유압 또는 공압으로 구동되는 구동수단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rotation driving means 234 may be an electric motor, a hydraulic or pneumatic driving means.
즉, 상기 복합 분사부(230)는 회전 구동수단(234)을 통해 습식 세정시에는 세정수관(232)이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를 향하도록 회전하고, 건식 세정시 또는 건조 시에는 에어관(231)이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를 향하도록 회전한다.That is, when the wet cleaning is performed through the
상기 도 10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합 분사부(230)의 경우, 상기 공급부(40)와 연결되는 에어관(231)의 연결부위(231-2)와 세정수관(232)의 연결부위(232-2)는 상기 에어관(231) 및 세정수관(232)의 회전시 상호 간섭을 피하기 위해 연결부위(231-2, 232-2)의 연결지점의 위치를 다르게 하고, 이때, 연결부위(231-2, 232-2)는 회전이 가능한 연결관인 로터리조인트관을 이용하여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connection part 231-2 of the
또한, 이와 같은 회전 구동수단(234)에 의해 회전하는 복합 분사부(230)는 복합 분사부(230)의 회전시 그 위치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상기 구동 제어부(50)로 전달하는 위치감지수단을 더 포함하여 오작동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이와 같은 복합 분사부(230)는 상기 상/하 구동부(220)의 상기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에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복합 분사부(230)를 좌우 방향(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좌우이동부를 더 포함하여 상기 상/하 구동부(220)의 구동으로 상기 복합 분사부(230)가 상/하로 이동시에 좌우 방향(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인다.
The combined
예를 들어, 도 11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복합 분사부 결합 예를 보인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복합 분사부(230)의 양단에 위치하고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와 결합하는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에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장공(233-1)을 형성하고,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에 형성된 돌기(224-1)를 상기 장공(233-1)에 삽입하여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1, a
이때, 상기 좌우이동부는 상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측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와 일측의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35-1)과 타측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와 타측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 사이에 설치되는 캠이 결합된 모터(235)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11, the left and right moving part includes a spring 235-1 provided between the composite
상기 캠이 결합된 모터(235)는 캠을 회전시켜 타측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을 이동시키고, 이 과정에서 동시에 일측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224)와 일측의 복합 분사부 브라켓(233)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235-1)은 압착이 되거나, 복원력을 제공하거나 한다.The
즉, 상기 도 11 상에서 복합 분사부(230)의 좌측으로 이동은 캠에 의해 이루어지고, 이후 우측으로 이동은 캠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시 압착된 스프링(235-1)의 복원력에 의해 이루어진다.11, the movement of the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면서 복합 분사부(230)가 좌우로 반복 운동을 한다.While repeating this process, the
따라서, 복합 분사부(230)가 상/하 구동부(220)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면서 동시에 스프링(235-1)과 캠이 결합된 모터(235)로 이루어진 좌우이동부에 의해 좌우로 이동을 반복적으로 함에 따라 상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수압이나 기압이 약하게 미치는 부분(W)이 발생하지 않는다.
Accordingly, the
상기 공급부(40)는 상기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 30)의 복합 분사부(230)의 에어관(231) 및 세정수관(232)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관(231)에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관(232)에는 고압의 세정수를 공급한다.2 to 3, the
따라서, 상기 공급부(40)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 가스통 내지 압축펌프 등을 포함하고, 또한 고압의 세정수를 공급하기 위한 고압펌프와 같은 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이와 같은 고압의 에어 및 세정수의 공급 제어를 위한 다양한 밸브를 포함한다.Therefore, the
이와 같은 공급부(40)는 고압의 에어와 세정수를 공급하는 수단으로 어떤 특별한 구성으로 한정되지 않고 통상적으로 고압의 에어와 세정수를 공급할 수 있는 다양한 수단으로 구성이 가능하다.
Such a
상기 배수부(50)는 상기 도 2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 및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 30)의 하부에 위치하여 집진전극에 포집된 포집물 및 세정수 등을 외부로 배출한다.As shown in FIGS. 2 and 3, the
이와 같은 배수부(50)는 다양한 형태가 될 수 있으나, 자중에 의해 하방으로 흘러가면서 모일 수 있는 형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상기 구동 제어부(60)는 상기 도 2 내지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구성들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As shown in FIGS. 2 to 3, the
구체적으로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공급부(40)의 에어 및 세정수의 공급을 제어하며, 하우징(210) 개폐도어(214)의 개폐 동작을 제어하고, 상/하 이동부(220)의 구동을 제어하고, 좌우구동부의 캠이 결합된 모터(235) 내지 회전 구동수단(234)의 동작을 제어한다.
Specifically, i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induction voltage
또한,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1)은 도 12 본 발명 양방향 집진 시스템의 셔터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1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20)와 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30)에 각각 설치되는 구성으로, 유통 방향 기준으로 복합 세정 장치부(20, 30)의 전단에 위치하는 1차측 셔터부(70-1)와 2차측 셔터부(70-2)를 더 포함한다.The bidirectional
상기 1차측 셔터부(70-1)와 2차측 셔터부(70-2)는 유로(2)를 개폐하는 수단으로 상기 1/2차측 셔터부(70-1, 2)를 개방하면 유로(2)가 개방되어 공기가 유통되고, 상기 1/2차측 셔터부(70-1,2)를 닫으면 유료(2)가 폐쇄되어 공기가 흐르지 못하게 된다.When the primary side shutter unit 70-1 and the secondary side shutter unit 70-2 open the primary side shutter units 70-1 and 2 by means of opening and closing the
이와 같은 상기 1/2차측 셔터부(70-1,2)는 1차측 복합 세정 장치(20)와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와 2차측 복합 세정 장치(30)로 이루어지는 내부 공간을 유로(2)에서 단절시킨 상태에서 유도전압 정전필터부(10)의 세척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The first and second primary side shutter portions 70-1 and 70-2 are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이와 같은 1/2차측 셔터부(70-1, 2)는 상기 구동 제어부(60)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 수단 이나 유압 수단으로 개폐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다.
The first and second side shutter portions 70-1 and 70-2 may be opened and closed by motor means or hydraulic means controlled by the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 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practical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And such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 : 본 발명에 따른 양방향 집진 시스템
2 : 유로
10 :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20 : 1차측 복합 세정 장치
30 : 2차측 복합 세정 장치
40 : 공급부
50 : 배수부
60 : 구동 제어부
70-1 : 1차측 셔터부
70-2 : 2차측 셔터부
110 : 유도전압 정전필터
112 : 필터함체
114 : 1차측 방전부
116 : 2차측 방전부
118 : 집진부
210 : 하우징
211 : 상측 프레임
212 : 좌측 프레임
213 : 우측 프레임
214 : 개폐도어
220 : 상/하 구동부
230 : 복합 분사부
221 : 좌측 체인부
222 : 우측 체인부
223 : 구동 모터
224 : 복합 분사부 거치대
231 : 에어관
232 : 세정수관
233 : 복합 분사부 브라켓
234 : 회전 구동수단
235 : 캠이 결합된 모터
235-1 : 스프링1: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Euro
10: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20: primary side composite cleaning device
30: Secondary side composite cleaning device
40:
50:
60:
70-1: primary side shutter portion
70-2: secondary side shutter portion
110: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112: filter housing
114: primary side discharge part
116: secondary side discharge part
118:
210: Housing
211: upper frame
212: left frame
213: Right frame
214: opening / closing door
220: Up /
230:
221: Left side chain part
222: Right chain part
223: Driving motor
224: Multi-jet distributor holder
231: Air tube
232: cleaning water pipe
233: Composite injection part bracket
234:
235: Motor combined with cam
235-1: Spring
Claims (6)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전단 및 후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기 양방향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세정 수단으로, 상측 및 좌/우측 프레임과 상기 각 프레임의 내측면은 폐쇄되거나 복합 분사부의 이동을 위해 개방되도록 개폐도어를 갖는 하우징; 수직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된 레일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회전축과 하부에 형성되는 하부회전축을 체인으로 연결하여 상/하방으로 체인이 회전하는 좌/우측 체인부; 상기 좌측 체인부와 우측 체인부의 상부회전축은 하나의 축으로 하며, 상기 상부회전축과 연결되어 이를 회전시키는 구동 모터; 및 복합 분사부와 결합하며 상기 체인에 연결되어 상기 체인의 상/하방 이동에 의해 상기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는 복합 분사부 거치대;를 포함하여 복합 분사부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상/하 구동부; 상기 상/하 구동부에 결합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에어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에어관; 세정수 분사노즐이 다수 형성된 세정수관; 상기 상/하 구동부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와 이동이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복합 분사부 브라켓; 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도록 하는 좌우이동부;를 포함하여 상/하로 이동시에 복합 분사부의 길이 방향인 좌우 방향으로 반복하여 움직이는 복합 분사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복합 분사부의 에어관 및 세정수관과 연결되어 상기 에어관에는 고압의 에어를 공급하고, 상기 세정수관에는 고압의 세정수를 공급하는 공급부;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 및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의 하부에 위치하여 집진전극에 포집된 포집물 및 세정수를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부; 및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집진을 위한 구동 및 상기 유도전압 정전필터부의 세정을 위한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와 상기 공급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A filter housing having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frame with both sides closed; A plurality of discharge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and a plurality of discharge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metal plate, Wherein the plurality of multi-cross fin ionizers are arranged so that the discharge protrusions face the flow direction and the side projections face each other; And a dust collecting electrode disposed between the primary discharging unit and the secondary discharging unit, the grounding parallel metal plate being continuously installed to collect the charged fine particles and the metal plate of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An inductive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comprising a plurality of bidirectional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s including a plurality of inductors arranged on a plane, and a dust collecting unit including an induction voltage plate generating a voltage induced by the multi-cross fin ionizer;
Wherein the bidirectional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cleaning unit is install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of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so that the upper and left and right frames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rames are closed or opened for movement of the complex jet unit, ; A left / right chain portion in which the chain rotates up / down by connecting the upper rotation shaft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rail and the lower rotation shaft formed on the lower portion formed by the predetermined length in the vertical direction, A driving motor connected to the upper rotary shaft and rotating the upper rotary shaft, the upper rotary shaft of the left side chain part and the right side chain part being one axis; And a combined jet part rest unit coupled to the complex jet part and moving up / down along the rails by upward / downward movement of the chain connected to the chain, wherein the upper / ; An air tube coupled to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rts and moving upward and downward and having a plurality of air jet nozzles; A washing water pipe having a plurality of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s; A combined jet part bracket coupled to the combined jet part rest of the upper and lower driving parts so as to be movable; And a composite spray part repeatedly moving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spray part when moving up / down, including a left and right movable part that repeatedly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omposite spray part. A cleaning device;
A supply part connected to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of the complex injection part of the half-hybrid washing machine to supply high-pressure air to the air tube and supply high-pressure washing water to the washing water pipe;
A drainage unit disposed below the induction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and the half car side complex washing unit for discharging the collected water and washing water collected in the dust collecting electrode to the outside; And
And a drive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operation of the first and second hybrid cleaner units and the supply unit for cleaning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and for cleaning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
상기 1/2차측 복합 세정 장치부에 각각 설치되며, 유통 방향 기준으로 복합 세정 장치부의 전단에 위치하는 1/2차측 셔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half-side shutter unit installed in the first-half complex washing unit and positioned at a front end of the complex washing unit on a flow direction basis.
상면과 하면이 개방되고, 개방된 부위의 전단부위와 후단부위에는 오염된 공기가 상기 집진부 측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양방향 집진 시스템.The filter housing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lter housing
And a guide for guiding the contaminated air to be introduced into the dust collecting unit side at the front end portion and the rear end portion of the opened portion.
일측의 복합 분사부 거치대와 일측의 복합 분사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스프링; 및
타측 복합 분사부 거치대와 타측 복합 분사부 브라켓 사이에 설치되는 캠이 결합된 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2. The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ft-
A spring installed between the composite dispenser stand on one side and the composite dispenser bracket on one side; And
And a motor coupled between the other-side complex-delivery-portion rest and the other-side complex-delivery portion bracket.
상기 에어관 및 세정수관을 상/하로 배치하고, 상기 에어관의 에어 분사노즐 및 상기 세정수관의 세정수 분사노즐은 유도전압 정전필터부를 향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2. The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are arranged in an up / down direction, and the air injection nozzle of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injection nozzle of the washing water pipe are directed to the induced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unit.
상기 에어관 및 세정수관을 노즐의 방향이 서로 반대가 되도록 수평 방향으로 나란하게 형성하고, 상기 에어관 및 세정수관을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 구동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양방향 집진 시스템.2. The fuel injection control device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rotation driving means for rotating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pipe such that the air tube and the washing water tube are formed in parallel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directions of the nozzles are opposite to each other.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7217A KR101610240B1 (en) | 2014-11-12 | 2014-11-12 |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CN201410842800.8A CN105880017A (en) | 2014-11-12 | 2014-12-31 |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57217A KR101610240B1 (en) | 2014-11-12 | 2014-11-12 |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10240B1 true KR101610240B1 (en) | 2016-04-08 |
Family
ID=559080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57217A Active KR101610240B1 (en) | 2014-11-12 | 2014-11-12 |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610240B1 (en) |
CN (1) | CN105880017A (en) |
Cited By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68114A (en) * | 2016-08-29 | 2017-01-04 | 杭州华新电力线缆有限公司 | Electric conductivity adsorbing powder dust purifier |
KR101923462B1 (en) | 2017-02-02 | 2018-11-3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Removal devi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
KR101906232B1 (en) * | 2017-08-10 | 2018-12-05 | (주)케이엘 | Odor removing equipment having cleaning function of dust collection filter |
KR102028499B1 (en) * | 2018-05-23 | 2019-11-14 | 주식회사 리트코 | Tower type fine particles removal system using natural wind |
KR102125576B1 (en) * | 2019-05-27 | 2020-06-22 | 이앤엠 주식회사 | Open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characteristics of bidirectional air paths and installed structure thererof |
KR102162809B1 (en) * | 2019-07-03 | 2020-10-0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cooling tower |
KR20200138552A (en) * | 2019-05-31 | 2020-12-10 | 주식회사 리트코 | Variable bidirectional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system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s controlled |
KR20210072841A (en) * | 2019-12-09 | 2021-06-18 | 주식회사 리트코 |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ing wire discharge part |
KR102282045B1 (en) * | 2021-01-18 | 2021-07-27 | 주식회사 리트코 | Energy-saving two-way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adjusts the supply volta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ust |
KR20210135857A (en) * | 2020-05-06 | 2021-11-16 | 정상훈 | Slim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
KR20210145329A (en) * | 2020-05-25 | 2021-12-02 | 정상훈 |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mposite charging unit to improve fine dust removal function |
KR20210145327A (en) * | 2020-05-25 | 2021-12-02 | 정상훈 | Modular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integral cleaning part |
KR102368046B1 (en) * | 2021-07-26 | 2022-03-04 | 주식회사 에이에프코리아 | Bidirectional Purification System Hav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Air Ventilation of Underground Tunnel |
CN114535216A (en) * | 2021-12-25 | 2022-05-27 | 黄勇波 | Automatic cleaning machine |
US11524305B2 (en) | 2019-05-09 | 2022-12-13 | Doosan Enerbility Co., Ltd.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
US11654386B2 (en) | 2019-05-14 | 2023-05-23 | Doosan Enerbility Co., Ltd. |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am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583310B (en) * | 2016-12-19 | 2018-08-24 | 北京航天新风机械设备有限责任公司 | A kind of Self-cleaning system of air purifier electrostatic precipitation net |
KR102209792B1 (en) * | 2019-05-20 | 2021-01-29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Dust collecting tower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247Y1 (en) | 2001-06-19 | 2001-10-17 |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 Apparatus for purifying air filters of airconditioner |
KR100878683B1 (en) | 2008-01-14 | 2009-01-13 |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 3rd dust collector for air purification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507151A (en) * | 1997-06-30 | 2002-03-05 | トフテヨルグ エイ/エス | Method and rinsing device for cleaning electric filters, especially filter plates |
CN2445817Y (en) * | 2000-06-07 | 2001-09-05 | 李樱花 | Modular kitchen electrostatic range hood |
CN2614788Y (en) * | 2003-03-21 | 2004-05-12 | 北京科环建环科贸有限公司 | Electrostatic kitchen fumes purifier |
KR100724556B1 (en) * | 2005-12-22 | 2007-06-11 | 주식회사 리트코 |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ing induction voltage |
KR101170935B1 (en) * | 2010-06-04 | 2012-08-03 | 서울특별시도시철도공사 | Multi-cleaning device to wash electrical precipitator |
CN102274794A (en) * | 2010-06-11 | 2011-12-14 | 张荣群 | Automatic cleaning and maintenance system of high-voltage static air purifier |
CN203494656U (en) * | 2013-06-26 | 2014-03-26 |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 Air purificat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
-
2014
- 2014-11-12 KR KR1020140157217A patent/KR101610240B1/en active Active
- 2014-12-31 CN CN201410842800.8A patent/CN105880017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48247Y1 (en) | 2001-06-19 | 2001-10-17 |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 Apparatus for purifying air filters of airconditioner |
KR100878683B1 (en) | 2008-01-14 | 2009-01-13 | 주식회사 중외엔비텍 | 3rd dust collector for air purification |
Cited By (2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268114A (en) * | 2016-08-29 | 2017-01-04 | 杭州华新电力线缆有限公司 | Electric conductivity adsorbing powder dust purifier |
KR101923462B1 (en) | 2017-02-02 | 2018-11-30 | 한국철도기술연구원 | Removal device of fine particulate matter |
KR101906232B1 (en) * | 2017-08-10 | 2018-12-05 | (주)케이엘 | Odor removing equipment having cleaning function of dust collection filter |
KR102028499B1 (en) * | 2018-05-23 | 2019-11-14 | 주식회사 리트코 | Tower type fine particles removal system using natural wind |
US11524305B2 (en) | 2019-05-09 | 2022-12-13 | Doosan Enerbility Co., Ltd.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pparatus |
US11654386B2 (en) | 2019-05-14 | 2023-05-23 | Doosan Enerbility Co., Ltd. | Electrostatic precipitating apparatus and air conditioning system having same |
KR102125576B1 (en) * | 2019-05-27 | 2020-06-22 | 이앤엠 주식회사 | Open type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characteristics of bidirectional air paths and installed structure thererof |
KR20200138552A (en) * | 2019-05-31 | 2020-12-10 | 주식회사 리트코 | Variable bidirectional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system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s controlled |
KR102221735B1 (en) * | 2019-05-31 | 2021-03-03 | 주식회사 리트코 | Variable bidirectional voltage electrostatic filter system in which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ing part and the dust collecting part is controlled |
US11453013B2 (en) * | 2019-05-31 | 2022-09-27 | Royal Industrial Tech Corp | Variable bidirectional electrostatic filter system with adjustable distance between charging part and dust collecting part |
KR102162809B1 (en) * | 2019-07-03 | 2020-10-07 |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 Electric precipitator apparatus for cooling tower |
KR20210072841A (en) * | 2019-12-09 | 2021-06-18 | 주식회사 리트코 |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ing wire discharge part |
KR102340994B1 (en) | 2019-12-09 | 2021-12-21 | 주식회사 리트코 |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including wire discharge part |
KR102401439B1 (en) * | 2020-05-06 | 2022-05-26 | 주식회사 리트코 | Slim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
KR20210135857A (en) * | 2020-05-06 | 2021-11-16 | 정상훈 | Slim type bi-directional electric dust collecting module |
KR20210145327A (en) * | 2020-05-25 | 2021-12-02 | 정상훈 | Modular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integral cleaning part |
KR102405871B1 (en) * | 2020-05-25 | 2022-06-08 | 정상훈 | Modular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integral cleaning part |
KR102405895B1 (en) * | 2020-05-25 | 2022-06-08 | 정상훈 |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mposite charging unit to improve fine dust removal function |
KR20210145329A (en) * | 2020-05-25 | 2021-12-02 | 정상훈 | Electrostatic precipitator with composite charging unit to improve fine dust removal function |
WO2022154162A1 (en) * | 2021-01-18 | 2022-07-21 | 주식회사 리트코 | Energy-saving two-way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for adjusting supplied voltage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contained dust |
KR102282045B1 (en) * | 2021-01-18 | 2021-07-27 | 주식회사 리트코 | Energy-saving two-way electric dust collector that adjusts the supply voltage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of dust |
CN116710209A (en) * | 2021-01-18 | 2023-09-05 | 株式会社Ritco | Energy-saving bidirectional electrostatic dust collection device based on dust concentration adjustment supply voltage |
KR102368046B1 (en) * | 2021-07-26 | 2022-03-04 | 주식회사 에이에프코리아 | Bidirectional Purification System Having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Air Ventilation of Underground Tunnel |
CN114535216A (en) * | 2021-12-25 | 2022-05-27 | 黄勇波 | Automatic clean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5880017A (en) | 2016-08-2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10240B1 (en) | Bi-directional dust collection system | |
KR101170935B1 (en) | Multi-cleaning device to wash electrical precipitator | |
KR101173496B1 (en) | Electric precipitator uising precipitation plates | |
KR101835788B1 (en) | Air purification trains for ultra dust removal. | |
KR101928671B1 (en) | Air-purifying non-powered train to remove fine dust leaking backward | |
KR101549793B1 (en) | Multi-cleaning device to wash electrical precipitator | |
KR102331015B1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
CN202343325U (en) | Microplate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 |
KR101864480B1 (en) | Electrostatic precipitation device for particle removal in explosive gases | |
KR101436381B1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leaning | |
KR101951185B1 (en) | Liquid Spray Apparatus for Wet Type Dust Collector | |
CA2744038C (en) | Wet-cleaning electro-filter for exhaust gas cleaning, as well as a method suitable for this | |
KR20170088806A (en) | A System for Controlling a Cleaner of a Electric Dust Apparatus Automatically | |
KR20210022211A (en) | Wet electrostatic precipitator for cleaning water film nozzle using water hammer phenomenon | |
KR102127087B1 (en) | Dry Cleaning Electric dust collector | |
KR20170020682A (en) | filter washing apparatus for electric dust collector | |
KR101421043B1 (en) | Plastic electric dust collector | |
JPH10244183A (en) |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method of backwashing and scavenging same | |
CN113649170B (en) |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djacent electric field mutual redundancy power supply system and method thereof | |
KR20170005547A (en) | A System for Controlling a Cleaner of a Electric Dust Apparatus Automatically | |
JP2016059861A (en) | Electric dust collector | |
CN111921714B (en) | Return air-proof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 |
KR20180005563A (en) | A integral filtered dust collector device with the pre-charged function | |
KR102393635B1 (en) | Washing water spray device that changes the position of the spray nozzle when the direction of movement is changed for cleaning the electric dust collector | |
KR20200039646A (en) | A Rotating Nozzle Assembly Type of an Apparatus for Cleaning a Dust Collecting Cell Automatical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11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MND | Amendment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601 |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
Patent event date: 2016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
|
X091 | Application refused [patent] | ||
AMND | Amendment | ||
PX0901 | Re-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6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
|
PX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603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60218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60122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119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40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430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43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30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1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207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403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401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