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10208B1 - 정역회전 청소기 - Google Patents

정역회전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10208B1
KR101610208B1 KR1020140099317A KR20140099317A KR101610208B1 KR 101610208 B1 KR101610208 B1 KR 101610208B1 KR 1020140099317 A KR1020140099317 A KR 1020140099317A KR 20140099317 A KR20140099317 A KR 20140099317A KR 101610208 B1 KR101610208 B1 KR 10161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base plate
coupled
driving gear
cent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9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6071A (ko
Inventor
여희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신이엔지
Priority to KR1020140099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10208B1/ko
Publication of KR201600160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60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0208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8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282Floor-scrubbing machines, motor-drive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3/00Implement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3/10Scrubbing; Scouring; Cleaning; Polishing
    • A47L13/20Mops

Landscapes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역회전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켓결합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결합된 커버에 의해 상부면 소정 위치에 진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공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외판구동기어를 통해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외부회전판과, 상기 외판구동기어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되는 내판구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회전판의 중심부에서 역회전되는 내부회전판과, 상기 내부회전판의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회전판 및 상기 내부회전판을 상기 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내판구동기어와, 상기 외판구동기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축의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내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고 타단이 상기 외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는 양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역회전 청소기{Rotation And Reverse Rotation Cleaner}
본 발명은 정역회전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을 닦는 회전청소부재가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정역회전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이나 거실 등의 바닥 청소 시에는 걸레를 손으로 파지한 후 일정한 힘을 가해 청소 부위를 닦거나 훔쳐 내는 동작을 반복하여 행한다.
이때, 바닥이 신체의 하부에 위치되어 있으므로 청소를 행하는 사용자는 바닥에 무릎을 꿇게되거나 특정 자세를 오랫동안 유지하게된다.
상기의 반복된 동작과 고정된 자세는 사용자에게 피로감을 경감시키고 심한경우, 신체에 무리를 가해 근육통 및 디스크 등의 질병을 유발함으로써 생활의 불편을 가중하게 된다.
종래에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막대형상의 도구에 걸레 등의 청소부재를 부착한 청소도구를 사용함으로써 허리를 구부리거나 무릎이 바닥에 닿지 않으면서 무리한 힘을 가하지않고 효율적인 바닥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여기서, 바닥 청소 시 사용되는 도구의 일예가 등록실용신안 제20-0455515호 "브러쉬 겸용 밀대 걸레"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문헌은 봉상으로 마련된 밀대의 일측에 브러쉬가 탈부착되는 본체를 결합하고, 본체가 밀대의 단부에서 회전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장소에서 효율적인 청소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하지만 전술한 문헌은 사용자가 파지한 밀대에 청소를 위한 지속적인 힘을 공급해야하고, 힘 공급을 위한 반복동작 시 본체가 가구나 책상 등에 부딪히게되어 기스나 파손 등이 발생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본체가 회전되지 않는 방향으로 밀대를 파지하여 청소를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따르고, 이로 인해 청소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적은 힘으로 용이한 청소가 이루어지는 정역회전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좁은 장소나 모서리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청소얼룩이 남지 않는 정역회전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회전부재의 상이한 회전을 통해 한쪽으로 회전되는 쏠림을 막아 신체에 무리가 없는 정역회전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사이즈의 흡입구를 가진 진공청소기에 용이하게 탈부착시켜 청소 형태에 따른 다양한 청소가 가능한 정역회전 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켓결합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결합된 커버에 의해 상부면 소정 위치에 진공부가 형성된 몸체와, 상기 공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외판구동기어를 통해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외부회전판과, 상기 외판구동기어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되는 내판구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회전판의 중심부에서 역회전되는 내부회전판과, 상기 내부회전판의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회전판 및 상기 내부회전판을 상기 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내판구동기어와, 상기 외판구동기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축의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내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고 타단이 상기 외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는 양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청소기를 제공한다.
상기 몸체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심부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절개공과, 상기 한 쌍의 절개공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에 상기 단턱부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 중심의 상부면과 상기 단턱부의 상부면 각각에 하부면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소켓결합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심에 돌출형성된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외부회전판은, 하부면 중심에 수용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링 형상의 상기 외판구동기어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내부회전판은, 하부면에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회전판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외판구동기어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맞닿은 결합면에 베어링을 통해 결합된 상기 내판구동기어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내판구동기어가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회전판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축의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내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고 타단이 상기 외판구동기에 기어맞물림되는 양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커버와 상기 체결구에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된 유체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는, 적은 힘으로 용이한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좁은 장소나 모서리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청소얼룩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부재의 상이한 회전을 통해 한쪽으로 회전되는 쏠림을 막아 신체에 무리가 없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사이즈의 흡입구를 가진 진공청소기에 용이하게 탈부착시켜 청소 형태에 따른 다양한 청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와 B-B의 각각의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의 개략적인 사용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A와 B-B의 각각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10)는, 몸체(100). 외부회전판(200), 내부회전판(300), 체결구(400), 구동모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몸체(100)는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켓결합구(150)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102)가 형성되며, 상부에 결합된 커버(600)에 의해 상부면 소정 위치에 진공부(104)가 형성된다.
몸체(100)는 베이스플레이트(110), 단턱부(120), 절개공(130), 격벽(140), 소켓결합구(150), 결합구(160)로 이루어진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원형의 판상으로 마련되고,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상부방향으로 세워설치된 격리판(112)이 마련되고, 하부면 가장자리는 후술되는 외부회전판(200)을 수용하도록 하향만곡지게 형성된다.
단턱부(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 중심부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공간부(102)를 형성시킨다.
단턱부(120)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심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상부 방향으로 'O'자의 링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이때 돌출된 부분의 단면은 'ㄷ'자 형상으로 마련되고, 'ㄷ'자 형상 중 'ㅡ'부분이 상부에 위치되도록 평행하게 연장된 'll'자 부분의 양단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ㄷ'자 형상의 내부에 공간부(102)가 형성된다.
절개공(130)은 단턱부(120)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다.
즉, 절개공(130)은 'ㄷ'자 형상의 단턱부(120) 상부면 즉, 'ㄷ'자 형상의 단턱부 중 상부에 위치된 'ㅡ'자 부분에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되도록 한 쌍으로 형성되며, 이때 상부에서 바라본 모습은 'ㅁ'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단턱부(120)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절개공(130)은 후술되는 구동모터(500)가 기어맞물림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 상에 기재 및 도시된 부분이며, 본 발명을 구성할 때 제외될 수 있다. 즉, 단턱부(120)의 상부면에 절개공을 형성시키지 않아도 무방하다.
격벽(140)은 한 쌍의 절개공(13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측 상부면에 단턱부(120)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된다.
격벽(140)은 반원형상으로 마련되고, 반원형상의 내주연이 단턱부(120)의 외주연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한 쌍의 절개공(13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일측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이러한 격벽(140)은 양단부가 한 쌍의 절개공(130)과 일직선을 이루도록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최외측 단부까지 각각 연장형성되며, 상부면이 몸체(100)에 결합되는 커버(600)의 하부면과 맞닿아 베이스플레이트(110) 일측 상부면에 진공부(104)를 형성시킨다.
진공부(104)는 격벽(140)이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 공간 및 단턱부(120)의 외주연과 격벽(140)의 사이에 형성된 틈이 모두 포함되는 부분이며, 진공부(104)가 형성되지 않은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타측 상부면에는 수납공간부(106)가 형성된다.
여기서, 수납공간부(106)의 내부 소정 위치에는 장치의 작동 시 필요한 동력을 제공하는 밧데리미도시)와 밧데리 충전 시 사용되는 전기코드(미도시)가 각각 구비된다.
이때, 수납공간부(106)가 형성된 격리판(112)은 일부 절개되어 커버(600)와 연통되게 마련되며, 절개된 격리판(112)과 연통되는 커버(600)는 전기코드(미도시)를 빼어 사용가능하도록 취출구(미도시)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소켓결합구(150)는 격벽(140) 중심의 상부면과 단턱부(120)의 상부면 각각에 하부면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구비된다.
소켓결합구(150)는 상부면에 손잡이(21)가 결합된 밀대부(20)의 일단이 착탈가능하게 삽입결합되는데, 이 밀대부(20)는 사용자의 신체 조건에 따라 길이 조절이 단계적으로 조립가능한 중공관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밀대부(20)의 손잡이(21) 영역에는 구동전원을 제어하는 스위치부(22)가 마련되고, 파지되는 손잡이(21) 영역의 일측에는 사용자의 파지 악력(握力)이 제거되면 전원이 차단되도록 하는 전원차단부(23)가 마련된다.
또한, 소켓결합구(150)는 소켓결합구(150)의 내부에 끼워맞춤한 밀대부(20)의 외주연을 압착가능케 한 이음부재(미도시)를 통해 각 제조사마다 다른 직경을 갖는 진공청소기의 밀대부(미도시)가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하여 사용의 편의를 도모한다.
여기서 이음부재(미도시)의 직경축소를 통해 파이프를 이음(연결)하는 방법의 일예가 등록특허 제10-1178391호 "파이프 연결소켓"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러한, 소켓결합구(150)의 일측에는 진공부(104) 내부의 진공을 측정하는 센서가 구비되어 후술되는 외부회전판(200) 및 내부회전판(300)이 작동되는 on/off 신호를 감지한다.
결합구(16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면 중심에 하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며, 후술되는 체결구(400)가 삽입결합된다.
커버(600)는 내부 중심부가 비어 있는 중공의 버섯갓 형상으로 마련되고, 중공의 중심부에는 단턱부(120)와 소켓결합구(150)가 관통삽입되어 결합되며, 가장자리 내측면에는 후술되는 외부회전판(200)이 수용되게 결합된다.
커버(600)는 몸체(100)와 결합되었 때, 중공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뉜 각각의 내부면에 한 쌍의 절개공(130)과 일직선을 이루는 절곡부(610)가 형성되고, 이 절곡부(610)는 격벽(140)의 측면에 밀착되어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에 진공부(104)를 형성한다.
즉, 커버(600)의 하부면이 격벽() 및 격리판(112)의 상부면에 각각 맞닿고, 절곡부(610)가 격벽(140)의 양단부에 일직선상으로 각각 마련된 일측면에 각각 밀착됨으로써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 진공부(104)가 형성된다.
외부회전판(200)은 공간부(102)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외판구동기어(230)를 통해 몸체(100)의 하부에서 회전된다.
외부회전판(200)은 제1 플레이트(210), 제2 플레이트(220), 외판구동기어(230), 관통공(240)으로 이루어진다.
제1 플레이트(210)는 하부면 중심에 원형의 수용홈(212)이 형성되어 후술되는 내부회전판(300)이 수용되어 회전되며, 수용홈(212)을 제외한 하부면에 천 재질의 청소부재(30)가 부착된다. 이때 청소부재(30)는 벨크로 결합을 통해 제1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에 탈부착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플레이트(220)는 제1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에 결합되며,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플레이트(210)의 하부면에 수용홈(212)을 형성시키기 위해 제1 플레이트(210)의 상부면에서 상부방향으로 원형 형상으로 돌출된 부분을 말한다.
외판구동기어(230)는 제2 플레이트(220)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O'자 형태의 링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부면에 기어부(232)가 형성된다.
관통공(240)은 제2 플레이트(220)의 중심에 원형으로 형성되고, 후술되는 내부회전판(300)의 결합부(330)가 관통삽입된다.
내부회전판(300)은 외판구동기어(230)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되는 내판구동기어(320)에 결합되어 외부회전판(200)의 중심부에서 역회전된다.
내부회전판(300)은 하부플레이트(310), 내판구동기어(320), 결합부(330)로 이루어진다.
하부플레이트(310)는 하부면에 체결구(4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홈(312)이 형성되고, 외부회전판(200)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어 외부회전판(200)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되며, 체결홈(312)을 제외한 하부면에는 제1 플레이트(210)와 동일하게 천 재질의 청소부재(30)가 부착된다.
청소부재(30)는 제1 플레이트(210)와 하부플레이트(310)에 결합될 때 각각의 모(毛)의 크기와 굵기를 다르게 할 수 있으며, 바닥면에는 나선 등의 특정형상을 형성시켜 물이나 쓰레기 등의 이물질이 외부로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내판구동기어(320)는 외판구동기어(230)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맞닿은 결합면에 베어링(322)을 통해 결합된다.
즉, 내판구동기어(320)는 외판구동기어(230)와 동일한 형상으로 마련되고, 내판구동기어(320)의 내주연에 맞닿는 외주연에 베어링(322) 결합을 통해 외판구동기어(230)의 내부에 회전가능하도록 수용되며, 상부면에는 외판구동기어(230)와 동일하게 기어부(324)가 형성된다.
결합부(330)는 하부플레이트(310)와 내판구동기어(320)가 결합되도록 외부회전판(200)의 중심축 상에 위치된다.
즉, 결합부(330)는 관통공(240)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부의 일단이 내판구동기어(32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하부의 타단이 하부플레이트(310)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내판구동기어(320)가 회전될 때 하부플레이트(310)도 동시에 회전되도록 한다.
이러한, 결합부(330)는 하부플레이트(310)의 회전방향을 고려해 내판구동기어(320)에 왼나사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체결구(400)는 내부회전판(300)의 중심에 수용되게 'ㅗ'자 형상으로 마련되어 외부회전판(200) 및 내부회전판(300)을 몸체(100)에 결합되도록하며, 이때 결합되는 위치는 몸체(100)의 하부면에 마련된 결합구(160)에 나사결합을 통해 결합된다.
구동모터(500)는 몸체(10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내판구동기어(320)와 외판구동기어(230)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한다.
구동모터(500)는 구동축(510)의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내판구동기어(320)에 기어맞물림되고 타단이 외판구동기어(230)에 기어맞물림되는 양축모터로 마련된다.
즉, 구동모터(500)는 몸체(100)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고, 회전되는 구동축(510)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된 각각의 구동축(510) 중 일단의 구동축(510)은 한 쌍의 절개공(130) 중 일측 절개공(130)에 위치된 내판구동기어(320)의 기어부(324)에 기어맞물림되고, 타단의 구동축(510)은 타측 절개공(130)에 위치된 외판구동기어(230)의 기어부(232)에 기어맞물림된다.
이러한, 구동모터(500)는 구동축(510)이 상호 역회전되는 양축모터로 마련되어 외판구동기어(230) 및 내판구동기어(320)가 상호 역방향 회전되게함으로써 각각에 결합된 외부회전판(200) 및 내부회전판(300)이 상호 역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한편, 구동모터(500)가 결합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부면에는 유체저장부(116)가 더 구비된다.
유체저장부(116)는 구동모터(500)가 결합된 몸체(100)의 상부면에 일단과 타단이 커버(600)와 체결구(400)에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되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단턱부(120)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중심부 전면에 걸쳐 마련되고 상부면 중심에 구동모터(500)가 결합된다.
이러한, 유체저장부(116)는 상부면 일측에 일단이 커버(600)의 상부면에 별도로 구비된 마개(620)와 연통되도록 마련되고, 하부면 중심에 타단이 내판구동기어(320) 및 체결구(400)의 각각에 연통되도록 마련되어, 마개(620)의 개방을 통해 주입되어 내부에 저장된 유체가 체결구(40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한다.
이때, 체결구(400)에는 별도의 개방부재(미도시)를 마련시켜 선택적인 개방을 통해 유체를 외부로 배출하여 청소부재(30)를 적시며, 이 유체는 외부회전판(200) 및 내부회전판(300)의 회전원심력으로 청소부재(30)로부터 분리되어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통해 별도 포집되게하여 청소부재(30)의 교체시간을 늘려주는 자체 세정 기능이 가능해진다.
또한, 유체저장부(116)는 스팀 기능을 별도로 구비해 바닥면의 청소 시 살균 기능이 가능케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스팀 기능이 구비된 청소기의 일예가 등록특허 제10-0303875호 "스팀청소기"에 개시되어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정역회전 청소기(10)의 사용방법을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외부회전판(200)과 내부회전판(300)의 바닥면에 청소부재(30)를 부착시키고 소켓결합구(150)에 밀대부(20)를 결합한 후, 스위치부(22)를 작동시켜 전원이 공급되면 구동모터(500)의 구동축(510)이 회전된다.
이후, 구동축(510)의 어느 하나는 기어맞물림된 외판구동기어(230)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외판구동기어(230)의 회전을 통해 외부회전판(200)이 외판구동기어(230)와 동일한 방향으로 동시에 회전된다.
이와 동시에, 구동축(510)의 다른 하나는 기어맞물림된 내판구동기어(320)를 외판구동기어(230)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내판구동기어(320)의 회전을 통해 내부회전판(300)이 동시에 회전되어 외부회전판(200)의 회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외부회전판(200)과 내부회전판(300)은 동심축상에서 역방향 회전되게되고, 상이하게 회전되는 각각의 외부회전판(200) 및 내부회전판(300)에 의해 일방향 회전에 의한 쏠림이 방지와 함께 효율적인 동력분배로 전력 손실도 방지된다.
이후, 바닥 청소를 하고자하는 위치에 밀대부(20)를 이용하여 정역회전 청소기(10)를 밀착이동시키면서 청소를 행하게되고, 경우에 따라 더러워진 청소부재(30)를 빨아 재부착하거나 다른 청소부재(30)로 교환하여 청소를 행하게 되며, 이러한 사용방법은 바닥을 닦거나 물걸레질과 같은 청소 시에 유리하다.
만약, 소켓결합구(150)에 진공청소기의 밀대부(미도시)를 결합하여 전원을 넣으면 구동모터(500)의 구동축(510)이 회전되어 전술한 작동순서를 따라 장치가 작동하게 된다.
이때, 감지센서(미도시)가 진공부(104)의 진공상태를 인지하여 장치(10)의 작동을 제어하게되고, 진공부(104)가 형성된 베이스플레이트(110) 하부면에는 별도로 마련된 개폐장치(114)가 개방되어 바닥 청소 시의 이물질이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흡입되게하는 진공청소가 가능해져 보다 효율적인 청소가 가능해 진다.
여기서, 개폐장치(114)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자동개폐되거나 전기제어를 통해 자동개폐되어 진공청소기의 내부로 이물질을 흡입할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 마련되어도 무방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정역회전 청소기는 적은 힘으로 용이한 청소가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또한, 좁은 장소나 모서리의 접근성이 우수하고 청소얼룩이 남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회전부재의 상이한 회전을 통해 한쪽으로 회전되는 쏠림을 막아 신체에 무리가 없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제조사마다 각기 다른 사이즈의 흡입구를 가진 진공청소기에 용이하게 탈부착시켜 청소 형태에 따른 다양한 청소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10: 정역회전 청소기 20: 밀대부 21: 손잡이
22: 스위치부 23: 전원차단부 30: 청소부재
100: 몸체 102: 공간부 104: 진공부
106: 수납공간부 110: 베이스플레이트 112: 격리판
114: 개폐장치 116: 유체저장부 120: 단턱부
130: 절개공 140: 격벽 150: 소켓결합구
160: 결합구 200: 외부회전판 210: 제1 플레이트
212: 수용홈 220: 제2 플레이트 230: 외판구동기어
232: 기어부 240: 관통공 300: 내부회전판
310: 하부플레이트 312: 체결홈 320: 내판구동기어
322: 베어링 324: 기어부 330: 결합부
400: 체결구 500: 구동모터 510: 구동축
600: 커버 610: 절곡부 620: 마개

Claims (6)

  1. 상부면 소정 위치에 소켓결합구가 구비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상부에 결합된 커버에 의해 상부면 소정 위치에 진공부가 형성된 몸체;
    상기 공간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외판구동기어를 통해 상기 몸체의 하부에서 회전되는 외부회전판;
    상기 외판구동기어의 내부에 수용되어 회전되는 내판구동기어에 결합되어 상기 외부회전판의 중심부에서 역회전되는 내부회전판;
    상기 내부회전판의 중심에 마련되어 상기 외부회전판 및 상기 내부회전판을 상기 몸체에 결합되도록 하는 체결구; 및,
    상기 몸체의 상부면 소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내판구동기어와 상기 외판구동기어에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로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모터는 구동축의 양단이 상호 반대방향으로 돌출되어 일단이 상기 내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고 타단이 상기 외판구동기어에 기어맞물림되는 양축모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청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베이스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 중심부에 상부 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상기 공간부를 형성시키는 단턱부와, 상기 단턱부의 상부면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호 대칭되게 한 쌍으로 형성된 절개공과, 상기 한 쌍의 절개공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나뉜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일측 상부면에 상기 단턱부의 외주연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면에 돌출형성된 격벽과, 상기 격벽 중심의 상부면과 상기 단턱부의 상부면 각각에 하부면 일단과 타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소켓결합구와,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의 하부면 중심에 돌출형성된 결합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청소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외부회전판은,
    하부면 중심에 수용홈이 형성된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결합된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형성된 링 형상의 상기 외판구동기어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심에 형성된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청소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부회전판은,
    하부면에 상기 체결구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체결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부회전판의 내부 중심에 위치되는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외판구동기어의 내주연에 외주연이 맞닿은 결합면에 베어링을 통해 결합된 상기 내판구동기어와, 상기 하부플레이트와 상기 내판구동기어가 결합되도록 상기 외부회전판의 중심축 상에 위치되는 결합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청소기.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모터가 결합된 상기 몸체의 상부면에는 일단과 타단이 상기 커버와 상기 체결구에 상호 연통되도록 마련된 유체저장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역회전 청소기.
KR1020140099317A 2014-08-01 2014-08-01 정역회전 청소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1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317A KR101610208B1 (ko) 2014-08-01 2014-08-01 정역회전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9317A KR101610208B1 (ko) 2014-08-01 2014-08-01 정역회전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071A KR20160016071A (ko) 2016-02-15
KR101610208B1 true KR101610208B1 (ko) 2016-04-08

Family

ID=55356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931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10208B1 (ko) 2014-08-01 2014-08-01 정역회전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10208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25B1 (ko) * 2013-09-25 2014-06-09 이상능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4625B1 (ko) * 2013-09-25 2014-06-09 이상능 동심 정역회전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6071A (ko) 2016-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70320B1 (ko) 진공 청소 기능을 갖는 스팀 청소기
EP3206545B1 (en) Improved battery removal for a vacuum cleaner
KR101143659B1 (ko) 컨버터블 진공청소기
EP2521474B1 (en) Steering assembly for surface cleaning device
CN204765412U (zh) 真空吸尘器
CN109890258A (zh) 具有抽吸的多模式清洁设备
US20200221914A1 (en) Cleaner
WO2007111481A1 (en) Body of vacuum cleaner and handy type cleaner
TWI667985B (zh) Self-propelled electric sweeper
US7669281B2 (en) Portable electric vacuum cleaner
TWI785340B (zh) 轉換構件及包含該轉換構件的電動清掃機
JP6701897B2 (ja) 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JP6121656B2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CN103209629B (zh) 表面清洁装置
KR101610208B1 (ko) 정역회전 청소기
KR200485335Y1 (ko) 물걸레 겸용 진공청소기
JP2002000516A (ja) 掃除機
JP2013252255A (ja) 電気掃除機およびその吸込口体
GB2409634A (en) Upright suction cleaner power switch
CN111214167A (zh) 清洁工具
KR20190089295A (ko) 청소기 겸용 다기능 헤어드라이어
CN210446893U (zh) 清洁工具
JP4358211B2 (ja) 吸込口体および電気掃除機
KR200160840Y1 (ko) 진공청소기
JP3239079U (ja) 床磨きヘッド及びコードレス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8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093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5123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40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4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01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