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9975B1 - Electrokinetic apparatus with detachable lattice cell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Google Patents
Electrokinetic apparatus with detachable lattice cell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9975B1 KR101609975B1 KR1020150016264A KR20150016264A KR101609975B1 KR 101609975 B1 KR101609975 B1 KR 101609975B1 KR 1020150016264 A KR1020150016264 A KR 1020150016264A KR 20150016264 A KR20150016264 A KR 20150016264A KR 101609975 B1 KR101609975 B1 KR 10160997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action vessel
- cathode electrode
- sample
- decontamination
- dispos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5202 decontamination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0000003588 decontamina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8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244 precipitat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claims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7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4
- 230000002285 radioa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0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857 radio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29910001385 heavy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3 acid-resistan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929 acidic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 perfluoro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JOYRKODLDBILNP-UHFFFAOYSA-N Ethyl urethane Chemical compound CCOC(N)=O JOYRKODLDBIL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IAYPIBMASNFSPL-UHFFFAOYSA-N Ethylene oxide Chemical group C1CO1 IAYPIBMASNFSP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GRYLNZFGIOXLOG-UHFFFAOYSA-N N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N+]([O-])=O GRYLNZFGIOXLO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809 Tefl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362 Teflo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091 cationic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40 clea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70 electrodepos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70 electroosmo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62 electrophor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73 ground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55 me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604 nitric aci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1 radioactive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F—PROTECTION AGAINST X-RADIATION, GAMMA RADIATION, CORPUSCULAR RADIATION OR PARTICLE BOMBARDMENT; 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00—Treating radioactively contaminated material; Decontamination arrangements therefor
- G21F9/28—Treating solids
- G21F9/30—Processing
- G21F9/301—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 G21F9/302—Processing by fixation in stable solid media in an inorganic matrix
- G21F9/304—Cement or cement-like matrix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염을 위한 시료(320)가 포함된 여과포(310)를 장착한, 격자셀(300, 301)이 외부로부터 반응 용기(100) 내에 장입되는 단계(S2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 세척액이 주입되는 단계(S5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세척액에 의해 상기 시료(320)가 제염된 후,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세척액이 제거되는 단계(S70); 및 상기 격자셀(300, 301)이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odevice having a detachable grid cell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wherein the grid cells 300, 300, 300, 300, 300, 301) is charged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from the outside (S20); A step (S50) of injecting a washing solution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A step S70 of removing the washing solution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after the sample 320 is decontaminated by the washing solution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d a step (S90) of moving the grid cells (300, 301)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to the outside (S90).
Description
본 발명은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having a removable grid cell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국내 원자력 발전소는 대부분 단단한 사암을 기반토양으로 그 위에 건설되었고, 원자력시설 부지 내부를 통과하는 개울, 골짜기 등을 매립할 때 매립토양이 사용되었다. 또한, 원자력 발전소와 같은 방사성 물질 취급 시설물은 벽체 또는 바닥을 콘크리트로 타설하여 건축하고 있다. Most domestic nuclear power plants were built with solid sandstone as their base, and landfills were used when reclaiming streams and valleys through the nuclear facilities. In addition, radioactive material handling facilities such as nuclear power plants are constructed by pouring walls or floors into concrete.
이러한 기반토양, 매립토양, 콘크리트 벽체 또는 바닥은 방사성 관련 시설물이 가동되는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방사능 혹은 방사성 물질에 노출되어 오염될 수 있다. 또한, 원자력 시설을 해체할 경우에도 방사성 토양과 콘크리트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방사성 폐기물의 발생량을 감용하기 위해, 방사성 콘크리트와 토양을 자체처분할 수 있도록 방사성 농도를 낮추기 위한 제염 기술이 필요하다.These underlying soils, reclaimed soils, concrete walls or floors may be exposed to radioactive or radioactive material and contaminated during the lifetime of the radioactive facility. In addition, radioactive soils and concrete can also occur when nuclear facilities are dismantled. Therefore, in order to reduce the amount of radioactive waste generated, radioactive concrete and decontamination techniques for lowering the radioactive concentration so that the soil can be disposed of are necessary.
더욱이, 원자력시설의 해체 시 발생 가능한 방사성 물질로 오염된 해체폐기물의 관리비용이 전체 해체 사업비용의 30% 이상을 웃도는 점을 고려할 때, 해체폐기물의 효율적인 관리가 해체사업의 경제성에 중요한 인자로 작용하고 있다.Furthermore, considering that the cost of dismantling wastes contaminated with radioactive materials that can be generated by dismantling nuclear facilities exceeds 30% of total dismantling costs, efficient management of dismantled wastes is an important factor in the economics of dismantling operations. .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토양 혹은 분말 콘크리트 제염용 상용 동전기 장치는 반응용기 중앙에 격자셀이 고정되어 있고, 그 좌우에 전극을 설치한다. 그런 다음, 이 격자셀에 여과포를 넣고, 이 여과포에 시료를 넣는다. In conventional commercial copper electroconductors for soil or powder concrete decontamination, grid cells are fixed at the center of the reaction vessel, and electrodes are install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thereof. Then, the filter cloth is put in this grid cell, and the sample is put into this filter cloth.
그러나, 대량의 오염물질을 제염하기 위하여 수십 대의 동전기 장치를 사용할 경우, 각 동전기 장치까지 시료를 이송하는 장치가 필요하다. 또한, 제염 후 동전기 장치에서 시료를 빼내기 위하여 시료 일부를 제거한 후 여과포를 제거하는 경우, 여과포가 고온의 산용액(acidic solution)에 장기간 노출되어 있어서 작업 중 여과포가 손상되기 쉽다. 따라서, 기존의 동전기 장치 형태는 많은 인력이 소모되며, 폐기물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f dozens of electrical devices are used to decontaminate large amounts of contaminants, a device for transferring samples to each of the electrical devices is needed. In addition, when the filter bag is removed after removing a part of the sample to remove the sample from the electroconductive device after decontamination, the filter bag is likely to be damaged during the operation because the filter bag is exposed to a high temperature acidic solution for a long time. Therefore, the conventional type of the electroconductive device consumes a lot of manpower, and the waste increases.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대량의 오염물질을 제염하기 위해 반응 용기 내에 배치된 격자셀까지 시료를 이송해야 함으로 인한 인력 소요를 방지할 수 있는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pper electroplating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labor from being consumed due to the transfer of a sample to a grid cell disposed in a reaction vessel for decontaminating a large amount of contaminants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또한, 본 발명의 과제는, 제염 후 반응 용기에서 시료를 빼내는 과정에서 여과포의 손상으로 인한 폐기물 증대를 방지할 수 있는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which can prevent an increase in waste due to damage of a filter cloth in the process of extracting a sample from a reaction vessel after decontamination.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반응 용기(100) 내에 배치되는 음극 전극(21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상기 음극 전극(2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양극 전극(220); 및 제염을 위한 시료(320)를 포함하는 여과포(310)가 장착되고, 상기 음극 전극(210)과 상기 양극 전극(22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셀(300, 301)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셀(300, 301)은 상기 반응 용기(100)에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제공한다.In order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athode active material comprising: a cathode electrode (210) disposed in a reaction vessel (100); An
또한, 본 발명은, 제염을 위한 시료(320)가 포함된 여과포(310)를 장착한, 격자셀(300, 301)이 외부로부터 반응 용기(100) 내에 장입되는 단계(S2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 세척액이 주입되는 단계(S5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세척액에 의해 상기 시료(320)가 제염된 후,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세척액이 제거되는 단계(S70); 및 상기 격자셀(300, 301)이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step S20 of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반응 용기에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에 의해, 인력 및 폐기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attraction force and the waste by the grid cell which can be detachably attached to the reaction vessel.
구체적으로 시료를 담고 있는 격자셀을 전체로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고안된 본 발명에 의하면, 인력감축 및 실험실 환경 개선, 및 폐기물 감용의 효과가 있다. Specific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ich is designed to be able to attach and detach a lattice cell containing a sample as a whole, there is an effect of reducing manpower, improving laboratory environment, and reducing waste.
아울러, 상술한 구성에 의해 산성 용액 및 고온에서 사용가능한 격자셀의 제작은 타 실험용기의 제작에도 응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abrication of the lattice cell usable in an acidic solution and at a high temperature by the above-described construction can be applied to the production of other experimental vessel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의 제염 전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의 제염 후의 흐름도이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coaxial devic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FIG. 2 is a plan view of a variant of a coaxial devic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a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axial electrical device having a removable grid cell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5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decontamination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grid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low chart after decontamination of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a copper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detachable grid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동전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염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copper electroconductive device and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designate the same or similar components throughout the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평면도이다. 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plan view of a coaxial devic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FIG.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동전기 장치는 반응 용기(100) 내에 전극(210, 220), 격자셀(3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 1, the apparatus for electrodepos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반응 용기(100)는 격자셀(300)과 전극(210, 220)을 수용하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세척액 저장조로부터 세척제 공급밸브를 통하여 세척액이 유입된다. 유입된 세척액은 오염된 토양 또는 분말 콘크리트의 시료로부터 방사성 물질을 제거시킨 후,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폐액 배출밸브를 거쳐 폐액 저장조로 유출된다. 반응 용기(100)에는 내부에서 발생되는 오염가스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수직관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The
전극(210, 220)은 반응 용기(100) 내에서 격자셀(300)을 사이에 두고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이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전극(210, 220)은 반응 용기(100)의 내면에서 돌출된 전극 고정부(230)의 홈에 삽입되어 설치된다. The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은 전선을 매개로 전원부(미도시)에 각각 연결되어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전원부에서 인가되는 전압은 직류 10~100V일 수 있고, 전류밀도는 1~200㎃/㎠, 바람직하게는 4~200㎃/㎠일 수 있다. 전극(210, 220)에 전압을 걸어주면, 전기삼투(electroosmosis), 전기이동(electromigration), 전기영동(electrophoresis) 등의 전기동력학적 정화공정을 통해, 시료 내의 오염된 토양 또는 분말 콘크리트로부터 양이온성 방사성 오염물질이 음극 전극(210)으로 이동한다.The
전극(210, 220)의 재질은 인가되는 전압과 전류밀도에 따라 결정된다. 높은 전류밀도에서도 녹지 않는 특성을 고려할 때, 양극 전극(220)은 불용성 전극(DSA: Dimensional Stable Anode)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음극 전극(210)은 Ti(Titanium) 전극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양극 전극(220)으로 불용성 전극을 사용한 것은 전압을 50V이상 걸어주었을 때, 티타늄 전극이나 스테인레스스틸 전극은 녹기 때문이다. The materials of the
격자셀(300)은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 사이에 배치된다. 격자셀(300)의 내부에는 여과포(310)가 장착된다. 여과포(310)는 제염을 위한 시료(320)로 채워진다. 시료(320)는 중금속이나 방사성 금속 핵종 등으로 오염된 토양 또는 분말 콘크리트로 형성된다. The
특히, 방사성 관련 시설물의 바닥에 타설된 미장 콘크리트는 대부분 해당 콘크리트 표면에 에폭시나 우레탄과 같은 중합체로 덧씌우는데, 이러한 중합체가 부착된 시설 바닥면의 방사성 콘크리트는 중합체가 부착되지 않은 콘크리트 구조물 내부의 방사성 콘크리트보다 방사능이 높을 뿐만 아니라, 중합체를 분리/처리하지 않고는 콘크리트 폐기물 전체의 제염이 어렵다. 따라서, 중합체가 부착된 방사성 콘크리트 폐기물을 가열하고, 분쇄한 후 물과 질산용액으로 순차적으로 세척하여, 방사성 콘크리트 표면으로부터의 중합체를 제거한 상태로 분말 콘크리트를 준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articularly, the plastered concrete placed on the bottom of radioactive facilities is mostly covered with a polymer such as epoxy or urethane on the surface of the concrete. The radioactive concrete on the bottom of the facility with such polymer attached to the surface of the concrete, Not only is it more radioactive than concrete, but it is also difficult to decontaminate the entire concrete waste without separating / treating the polymer. Accordingly, it is preferable to heat and crush the radioactive concrete waste to which the polymer is adhered, and then sequentially wash it with water and a nitric acid solution to prepare the powdered concrete with the polymer from the radioactive concrete surface remov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격자셀(300)은 반응 용기(100)에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후술할 본 발명에 의한 제염 방법에서 상술하겠지만, 제염 전에는, 여과포(310)를 격자셀(300)에 외부에서 미리 장입한 후, 시료(300)를 여과포(310)에 넣고 이 격자셀(300)을 반응 용기(100)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염 후에는, 격자셀(300)을 통째로 호이스트를 이용하여 반응 용기(100)로부터 들어올려 외부로 이송시킬 수 있어, 여과포(310)를 격자셀(300)로부터 제거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과포(3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변형예의 평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동전기 장치는 도 1에 나타낸 동전기 장치와 격자셀(301)과 지지대(400)를 제외하고는 유사하므로, 동일한 부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FIG. 2 is a plan view of a variant of a coaxial devic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invention shown in FIG. 1; 2 is similar to the coaxial device shown in FIG. 1 except for the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변형예에 의한 동전기 장치는 반응 용기(100) 내에 전극(210, 220), 격자셀(301), 및 지지대(400)를 포함한다.As can be seen in FIG. 2, a mod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반응 용기(100)는 격자셀(301)과 전극(210, 220)을 수용하며, 세척액이 유입된다. 유입된 세척액은 오염된 토양 또는 분말 콘크리트의 시료로부터 방사성 물질을 제거시킨 후 폐액 배출밸브를 거쳐 폐액 저장조로 유출된다. The
전극(210, 220)은 반응 용기(100) 내에서 격자셀(301)을 사이에 두고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이 대면하도록 설치된다. The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은 전선을 매개로 전원부(미도시)에 각각 연결되어서 전원을 공급받는다. The
도 2에 도시된 격자셀(301)은 도 1에서의 격자셀(300)과는 달리 격자셀의 음극 전극(210) 방항 면이 쐐기 모양으로 벌어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어, 제염후 토양을 용이하게 격자셀(301)에서 빼낼 수 있게 고안된 장치이다. 즉, 도 2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격자셀(301)의 음극 전극(210) 방향 면의 하단 폭은 일정하나, 상단의 폭은 커질 수 있도록 제작된다. The
상기 격자셀(301) 역시, 도 1의 격자셀(300)과 같이,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 사이에 배치된다. 격자셀(301)의 내부에는 여과포(310)가 장착된다. 여과포(310)는 제염을 위한 시료(320)로 채워진다. 시료(320)는 중금속이나 방사성 금속 핵종 등으로 오염된 토양 또는 분말 콘크리트로 형성된다.The
지지대(400)는 제염 기간 동안 격자셀(301)의 음극 전극(210) 방향 일면을 지탱하는 보조 역할을 담당한다. 구체적으로,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지지대(400)는 반응 용기(100)로부터 돌출된 지지대 고정부(410)와 격자셀(301)의 일면 사이에 배치된다.
The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의 측단면도이다. FIG. 3 is a plan view of a coaxial electric machin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4 is a plan view of a coaxial electric machine having removable grid cell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Fig.
도 3 및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동전기 장치는 양측면부재(500), 및 하면부재(600)를 추가로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고, 양측면부재(500), 및 하면부재(600)를 중심으로 기술한다.3 and 4, the electro-mechanical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the
양측면부재(500)는 격자셀(300, 301)의 측면과 반응 용기(1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는, 격자셀(300, 301)의 양측면과 이를 마주보는 반응 용기(100)의 내면 사이에 설치된다. 양측면부재(500)는 격자셀(300, 301)과 반응 용기(100) 사이를 씰링(sealing)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양측면부재(500)는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 사이에서 용액의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Both
양측면부재(500)는 내산성(acid-resistance)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중금속이나 방사성 핵종으로 오염된 토양 또는 콘크리트 제염을 위해 사용되는 용액은 온도가 70℃, pH 0.5 부근이다. 그리고, 제염 기간은 약 1개월 정도 소요되므로, 양측면부재(500)는 이러한 환경에서 견딜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Both
또한, 양측면부재(500)는 신축성 있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양측면부재(500)의 형상은 튜브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격자셀(300, 301)과 반응 용기(100)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서는 그 사이에 밀어넣을 때 수축하고, 장착된 후에는 자체적으로 신장하는 재질 및 형상을 이용함으로써, 씰링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예를 들면, 양측면부재(500)는 테프론 튜브(DuPont社 제조) 등이 사용될 수 있다.In addition, both
하면부재(600)는 격자셀(300, 301)과 반응 용기(100) 사이에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하면부재(600)는 반응 용기(100)의 바닥에 설치되어, 격자셀(300, 301)이 하면부재(600) 위에 안착된 상태로 반응 용기(100) 내부에 설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받침부(800)가 반응 용기(100)의 바닥면에 직접 고정 설치되고 하면부재(600)는 그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하면부재(600)는 격자셀(300, 301)과 반응 용기(100) 사이로 용액이 흐르지 못하게 할 수 있다. 한편, 하면부재(600)의 높이는 약 1㎝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나, 재질 및 지지하중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The
하면부재(600)는 양측면부재(500)에 관해 상술한 바와 같이 내산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면부재(600)는 상부에 격자셀(300, 301)의 하중을 받기 때문에 신축성 있는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하면부재(600)는 EPDM 고무(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 (M-class) rubber), 퍼플로르(과불소고무), Kalrez 고무(DuPont社 제조) 등이 적합하다. The
전극 고정부(230)는, 도 4를 참조하면, 음극 전극(210)을 반응 용기(100)의 바닥과 이격시키는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토양 및 콘크리트로부터 용해되어 나온 금속들은 음극 전극(210)의 pH가 높아짐에 따라 침전되기 쉽다. 종래의 동전기 장치는 침전물을 수용할 공간이 없어서 음극 전극(210)의 표면 부분에 금속들이 침전되었다. 그 결과, 음극 전극(210)의 표면에 산화물이 흡착되어 전류의 흐름을 방해하고, 전기 저항을 증가시켜 용액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원인이 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전극 고정부(230)를 설치하여 음극 전극(210)을 반응 용기(100) 바닥에서 20cm 이상 높게 위치시킴으로써 침전물이 축적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이 생겨, 용액 온도 상승에 따른 동전기 부품의 마모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의 제염 전의 흐름도이다.5 is a flowchart showing the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decontamination apparatus having a detachable grid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염 방법은 하면부재 배치 단계(S10), 격자셀 장입 단계(S20), 양측면부재 배치 단계(S30), 전극 설치 단계(S40), 세척액 주입 단계(S50), 및 제염 단계(S60)를 포함한다. 한편, 도 5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축적부(700) 설치 단계는 제염 단계(S60) 이전이라면, 임의의 단계에서 추가로 실시될 수 있다. 5, the decont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wer member placement step S10, a grid cell charging step S20, a side member placement step S30, an electrode installation step S40, An injection step S50, and a decontamination step S60. Although not shown in FIG. 5, the step of installing the accumulator 700 may be further performed at any stage if it is before the decontamination step S60.
우선, 하면부재 배치 단계(S10)에서, 반응 용기(100)의 바닥에 하면 부재(600)가 설치된다. First, in the bottom member arranging step S10, the
다음, 격자셀 장입 단계(S20)에서, 제염을 위한 시료(320)가 포함된 여과포(310)를 장착한 격자셀(300, 301)이 외부로부터 반응 용기(100) 내에 장입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반응 용기(100) 외부에 위치하는 격자셀(300, 301)에 여과포(310)를 넣고, 이 여과포(310)에 오염된 토양 혹은 콘크리트 분말을 넣는다. 이후, 격자셀(300, 301) 전체를 이동시켜 반응 용기(100) 내에 장입시킨다.Next, in the lattice cell charging step S20, the
다음, 양측면부재 배치 단계(S30)에서, 격자셀(300, 301)의 측면과 반응 용기(100)가 대응하는 면과의 사이에 양측면부재(500)를 설치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격자셀(300, 301) 양쪽 옆면에 튜브 형상의 양측면부재(500)를 각각 넣는다. 이를 통해, 후술할 단계에서 배치되는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 사이에서 용액 흐름을 차단할 수 있다.Next, both
다음, 전극 설치 단계(S40)에서,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을 격자셀(300, 301)을 사이에 두고 각각 반응 용기(100) 내에 배치한다. Next, in the electrode mounting step S40, the
다음, 세척액 주입 단계(S50)에서, 시료(320)를 제염할 수 있는 세척액을 세척액 저장조로부터 세척액 공급밸브를 통하여 반응 용기(100) 내에 유입시킨다. Next, in the washing liquid injecting step (S50), the washing liquid capable of decontaminating the
마지막으로, 제염 단계(S60)에서, 양 전극(210, 220) 사이에 전원을 인가하여, 전류가 격자셀(300, 301) 내부의 시료(320)를 통과하여 흐르도록 한다. 이를 통해, 시료(320)에서 전기동력학적 정화 공정에 의해 제염이 실시된다.Finally, in the decontamination step S60, power is applied between the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의 제염 후의 흐름도이다.6 is a flow chart after decontamination of a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a copper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detachable grid cel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염 방법은 세척액 제거 단계(S70), 양측면부재 제거 단계(S80), 격자셀 이동 단계(S90), 및 시료 분리 단계(S100)를 포함한다.6, the decontamination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washing solution removing step S70, both side member removing steps S80, a grid cell moving step S90, and a sample separation step S100 do.
우선, 세척액 제거 단계(S70)에서, 제염 후 전원을 끄고, 세척액을 반응 용기(100)에서 폐액 배출밸브를 거쳐 폐액 저장조로 빼낸다.First, in the washing liquid removing step (S70), the power is turned off after the decontamination, and the washing liquid is taken out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to the waste liquid storage tank via the waste liquid discharge valve.
다음, 양측면부재 제거 단계(S80)에서, 반응 용기(100)와 격자셀(300, 301)의 측면에 설치된 양측면부재(500)를 제거한다. Next, in the both side member removing step S80, both
다음, 격자셀 이동 단계(S90)에서, 격자셀(300, 301)이 반응 용기(100)로부터 외부로 이동된다. 구체적으로, 격자셀(300, 301)을 호이스트 등의 수단을 이용하여 반응 용기(100)로부터 들어올린 후, 외부로 이동시킨다. 다만, 실시예에 따라 양측면부재 제거 단계(S80)와 격자셀 이동 단계(S90)의 순서가 서로 바뀔 수 있다. Next, in the lattice cell moving step S90, the
마지막으로, 시료 분리 단계(S100)에서, 반응 용기(100)로부터 이동된 격자셀(300, 301)을 거꾸로 들어 시료(320)를 토양중화조(미도시)에 쏟아낸다.
Finally, in the sample separation step (S100), the grid cells (300, 301) moved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are inverted and the sample (320) is poured out into a groundwater tank (not show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반응 용기 210: 음극 전극
220: 양극 전극 230: 전극 고정부
300, 301: 격자셀 310: 여과포
320: 시료 400: 지지대
410: 지지대 고정부 500: 양측면 부재
600: 하면 부재 800: 받침부100: Reaction vessel 210: Cathode electrode
220: anode electrode 230: electrode fixing portion
300, 301: grid cell 310: filter cloth
320: sample 400: support
410: Support stand fixing part 500: Both side members
600: lower member 800:
Claims (19)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상기 음극 전극(2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양극 전극(220); 및
제염을 위한 시료(320)를 포함하는 여과포(310)가 장착되고, 상기 음극 전극(210)과 상기 양극 전극(22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셀(300, 301)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셀(300, 301)은 상기 반응 용기(100)에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격자셀(300,301)의 측면과 상기 반응 용기(100)의 대응하는 면과의 사이를 씰링(sealing)하는 양측면부재(5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양측면부재(500)는 내산성(acid-resistance) 또는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A cathode electrode 210 disposed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 anode electrode 220 disposed in the reaction vessel 100 so as to face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And a grid cell (300, 301) mounted with a filter cloth (310) including a sample (320) for decontamina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the anode electrode (220)
The lattice cells 300 and 301 may be ver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Further comprising both side members (500) sealing between side surfaces of the grid cells (300, 301) and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reaction vessel (100)
Wherein the side members (50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cid-resistance or stretchability.
상기 음극 전극(210)을 대향하도록, 상기 격자셀(301)의 일면에 배치되는 지지대(4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upport (40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grid cell (301) so as to face the cathode electrode (21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상기 음극 전극(2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양극 전극(220); 및
제염을 위한 시료(320)를 포함하는 여과포(310)가 장착되고, 상기 음극 전극(210)과 상기 양극 전극(22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셀(300, 301)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셀(300, 301)은 상기 반응 용기(100)에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격자셀(300, 301)의 하면과 상기 반응 용기(100)의 바닥과의 사이를 씰링하는 하면부재(600)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면부재(600)는 내산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A cathode electrode 210 disposed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 anode electrode 220 disposed in the reaction vessel 100 so as to face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And a grid cell (300, 301) mounted with a filter cloth (310) including a sample (320) for decontamina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the anode electrode (220)
The lattice cells 300 and 301 may be ver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Further comprising a bottom member (600) for sealing between the bottom surface of the grid cells (300, 301) and the bottom of the reaction vessel (100)
Wherein the lower member (6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cid resistance or stretchability.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상기 음극 전극(210)과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양극 전극(220); 및
제염을 위한 시료(320)를 포함하는 여과포(310)가 장착되고, 상기 음극 전극(210)과 상기 양극 전극(220) 사이에 배치되는 격자셀(300, 301)을 포함하고,
상기 격자셀(300, 301)은 상기 반응 용기(100)에 상하 방향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료(320)로부터 용해되어 나온 금속들의 침전물이 음극 전극(210)의 표면에 부착되지 않도록 반응 용기(100)의 바닥과 음극 전극(210)을 이격시키는 전극 고정부(2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A cathode electrode 210 disposed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 anode electrode 220 disposed in the reaction vessel 100 so as to face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And a grid cell (300, 301) mounted with a filter cloth (310) including a sample (320) for decontamination and disposed between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the anode electrode (220)
The lattice cells 300 and 301 may be vertically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And an electrode fixing unit 230 for separating the bottom of the reaction vessel 100 from the cathode electrode 210 so that a precipitate of metals dissolved from the sample 320 is not adhered to the surface of the cathode electrode 210 Wherein the lattice cell has a removable lattice cell.
상기 격자셀(300, 301)의 측면과 상기 반응 용기(100)가 대응하는 면과의 사이를 씰링(sealing)하는 양측면부재(500)를 배치하는 단계(S30);
상기 격자셀(300, 301)을 사이에 두고 음극 전극(210)과 양극 전극(220)이 설치되는 단계(S4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 세척액이 주입되는 단계(S5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세척액에 의해 상기 시료(320)가 제염된 후,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세척액이 제거되는 단계(S70); 및
상기 격자셀(300, 301)이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양측면부재(500)는 내산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S20) in which the grid cells (300, 301) equipped with the filter cloth (310) containing the sample (320) for decontamination are charged from the outside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S30) of arranging both side members (500) sealing between side surfaces of the grid cells (300, 301) and corresponding surfaces of the reaction vessel (100);
The cathode electrode 210 and the anode electrode 220 are installed with the grid cells 300 and 301 interposed therebetween (S40);
A step (S50) of injecting a washing solution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A step S70 of removing the washing solution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after the sample 320 is decontaminated by the washing solution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d
And a step (S90) of moving the grid cells (300, 301)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to the outside,
Wherein the both side members (500) are made of a material having acid resistance or stretchability.
상기 세척액 제거 단계(S70) 이후 및 상기 격자셀 이동 단계(S90) 이전 또는 이후에, 상기 양측면부재(500)를 제거하는 단계(S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11. The method of claim 10,
Further comprising a step (S80) of removing both side members (500) after the washing solution removing step (S70) and before or after the lattice cell moving step (S90)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electrokinetic device.
제염을 위한 시료(320)가 포함된 여과포(310)를 장착한, 격자셀(300, 301)이 외부로부터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 장입되는 단계(S2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 세척액이 주입되는 단계(S5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세척액에 의해 상기 시료(320)가 제염된 후,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세척액이 제거되는 단계(S70); 및
상기 격자셀(300, 301)이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하면부재(600)는 내산성 또는 신축성을 갖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Disposing the lower member 600 on the bottom of the reaction vessel 100 (S10);
(S20) in which the grid cells (300, 301) equipped with the filter cloth (310) containing the sample (320) for decontamination are charged from the outside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A step (S50) of injecting a washing solution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A step S70 of removing the washing solution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after the sample 320 is decontaminated by the washing solution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d
And a step (S90) of moving the grid cells (300, 301)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to the outside,
Wherein the lower member (600) is made of a material having acid resistance or stretchability.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 세척액이 주입되는 단계(S50);
상기 반응 용기(100) 내에서 세척액에 의해 상기 시료(320)가 제염된 후,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세척액이 제거되는 단계(S70); 및
상기 격자셀(300, 301)이 상기 반응 용기(100)로부터 외부로 이동되는 단계(S9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시료(320)로부터 용해되어 나온 금속들이 침전을 형성할 경우, 상기 침전들이 음극 전극(210)에 부착되지 않도록 전극 고정부(230)가 배치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이 가능한 격자셀을 갖는 동전기 장치를 이용한 제염 방법.(S20) in which the grid cells (300, 301) equipped with the filter cloth (310) containing the sample (320) for decontamination are charged from the outside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A step (S50) of injecting a washing solution into the reaction vessel (100);
A step S70 of removing the washing solution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after the sample 320 is decontaminated by the washing solution in the reaction vessel 100; And
And a step (S90) of moving the grid cells (300, 301) from the reaction vessel (100) to the outside,
Further comprising the step of disposing the electrode fixing part (230) so that the precipitates do not adhere to the cathode electrode (210) when the metals dissolved from the sample (320) form a precipitate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a copper electrochemical device having a lattice cell.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6264A KR101609975B1 (en) | 2015-02-02 | 2015-02-02 | Electrokinetic apparatus with detachable lattice cell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6264A KR101609975B1 (en) | 2015-02-02 | 2015-02-02 | Electrokinetic apparatus with detachable lattice cell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9975B1 true KR101609975B1 (en) | 2016-04-07 |
Family
ID=557899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626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9975B1 (en) | 2015-02-02 | 2015-02-02 | Electrokinetic apparatus with detachable lattice cell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9975B1 (en)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06120A (en) | 1999-08-05 | 2003-02-18 | ステリ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Synthesis of peracetic acid by electrolysis. |
JP2014139530A (en) | 2013-01-21 | 2014-07-31 | Toshiba Corp | Regeneration method of eluent and regenerating apparatus therefor |
JP5579695B2 (en) * | 2011-06-21 | 2014-08-27 | コリア アトミック エナジー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 Combine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nuclide decontamination |
-
2015
- 2015-02-02 KR KR1020150016264A patent/KR10160997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3506120A (en) | 1999-08-05 | 2003-02-18 | ステリ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Synthesis of peracetic acid by electrolysis. |
JP5579695B2 (en) * | 2011-06-21 | 2014-08-27 | コリア アトミック エナジー リサーチ インスティチュート | Combined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nuclide decontamination |
JP2014139530A (en) | 2013-01-21 | 2014-07-31 | Toshiba Corp | Regeneration method of eluent and regenerating apparatus therefor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WO1996027033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pping ions from concrete and soil | |
CN109295493A (en) | The electrochemical in-situ decontamination method of metal surface radioactive pollutant | |
CN112176145A (en) | Method for recovering radioactive waste metal | |
KR100934929B1 (en) | Decontamination wastewater treatment using regeneration electrolytic polishing decontamination and electrosorption and deposition | |
KR101609975B1 (en) | Electrokinetic apparatus with detachable lattice cell and decontamination method using the same | |
JP7016826B2 (en) |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active metal waste and jigs used for it | |
JP2019074383A (en) | Decontamination device for radioactive metallic waste | |
CA3065397C (en) | Plant for electrochemical decontamination of metal radioactive waste | |
KR101005262B1 (en) | Vertical Galvanic Cleaner for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Soil | |
CN208328165U (en) | It is a kind of for pinpointing the portable electrochemical cathode assembly of decontamination in situ | |
KR101155179B1 (en) | Anode apparatus of electrolytic refining device for recycling of spent nuclear fuel | |
KR101613811B1 (en) | Electrokinetic decontamination equipment | |
KR20120140585A (en) | Complex electrokinetic decontaminating apparatus for decontaminating radionuclide | |
JP2019074381A (en) | Decontamination device and decontamination method of radioactive metallic waste | |
JP4053179B2 (en) | Decontamin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radioactive contamination materials | |
JP3494824B2 (en) | Equipment for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metal waste | |
RU2562829C1 (en) | Stainless steel scrap deactivation unit | |
KR100542393B1 (en) | Mobile Electrolytic Salting Device | |
JP6864598B2 (en) | Decontamination equipment for radioactive metal waste | |
JPH0868894A (en) | Decontamination device and method for radioactive metal waste | |
KR101292373B1 (en) | Electrochemical decontaminating system of radioactive metal waste and the system using the same | |
JPH10260297A (en) | Method and device for decontaminating radioactive metal waste | |
RU2009557C1 (en) | Method for electrolytic buffing of contaminated surfaces | |
US5865965A (en) | 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decontamination of radioactive metallic waste | |
CN212609939U (en) | Sewage filtering device for construction sit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202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3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