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9265B1 - 산업용 차량 - Google Patents

산업용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9265B1
KR101609265B1 KR1020147013159A KR20147013159A KR101609265B1 KR 101609265 B1 KR101609265 B1 KR 101609265B1 KR 1020147013159 A KR1020147013159 A KR 1020147013159A KR 20147013159 A KR20147013159 A KR 20147013159A KR 101609265 B1 KR101609265 B1 KR 101609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room
installation space
engine
peripheral
industrial vehicl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131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92346A (ko
Inventor
야스오 모리
타카토모 오노
토루 소노베
히로유키 이시다
케이스케 코바야시
Original Assignee
카부시키 카이샤 케이씨엠
히타치 컨스트럭션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부시키 카이샤 케이씨엠, 히타치 컨스트럭션 머시너리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카부시키 카이샤 케이씨엠
Publication of KR201400923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923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9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9265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4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exhau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1/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oling of propulsion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3/00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 B60K13/02Arrangement in connection with combustion air intake or gas exhaust of propulsion units concerning inta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5/00Arrangement or mounting of internal-combustion or jet-propulsion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with bucket-arms, i.e. a pair of arms, e.g. manufacturing processes, form, geometry, material of bucket-arms directly pivoted on the frames of tractors or self-propelled machin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08Improving mounting or assembling, e.g. frame elements, disposition of all the components on the super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33Improving access, e.g. for maintenance, steps for improving driver's access, handrai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41Articulated frame, i.e. having at least one pivot point between two travelling gear un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66Engine compartment, e.g. heat exchangers, exhaust filters, cooling devices, silencers, mufflers, position of hydraulic pumps in the engine compart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08Superstructures; Supports for superstructures
    • E02F9/0858Arrangement of component parts installed on superstruc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electric components, fenders, air-conditioning units
    • E02F9/0891Lids or bonnets or doors or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13/00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xhaust or silencing apparatus, or parts thereof,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groups F01N1/00 - F01N5/00, F01N9/00, F01N11/00
    • F01N13/08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 F01N13/082Other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exhaust conduits of tailpipe, e.g. with means for mixing air with exhaust for exhaust cooling, dilution or evacu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 B60Y2200/415Wheel loa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N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GAS-FLOW SILENCERS OR EXHAUST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 F01N2270/00Mixing air with exhaust gases
    • F01N2270/02Mixing air with exhaust gases for cooling exhaust gases or the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ransportation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Abstract

운전실(4)과 엔진(5)과 측방에 타이어(2)를 배치한 샤시(3)와 샤시 상에 상기 엔진(5)을 탑재하는 엔진 룸(11)을 구비하며, 엔진 룸(11)이 운전실(4)의 후방에 설치된 휠 로더(1)에, 엔진 룸(11)의 운전실 측의 면에 있어서의 좌우 위치에 위치하는 전부 구조체(12)와, 엔진 룸(11)의 운전실 측과 반대 측인 면에 있어서의 좌우 위치에 위치하는 후부 구조체(13)와, 전부 구조체(12)와 후부 구조체(13)의 상부를 연결하여 엔진 상방부에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0)를 형성하는 연결 구조체(14)를 구비시켜 엔진 룸 내에 복수개의 주변기기를 배치할 수 있고, 그 주변기기에 대하여 작업성을 향상한 보수 점검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차량의 엔진 룸 구조를 구성한다.

Description

산업용 차량{INDUSTRIAL USE AUTOMOBILE}
본 발명은 엔진 룸(room) 내에 복수개의 주변기기가 배치된 산업용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 휠 로더(wheel loader), 셔블 로더(shovel loader) 등 산업용 차량에는 운전실의 후부에 엔진 룸을 설치하고, 이 엔진 룸 내에 엔진, 주변기기 등이 배치되어 있다. 주변기기로는 에어 클리너, 배기 머플러, 유압 어큐뮬레이터(accumulator), 냉각수 저장 탱크, 유압 필터 등이 있으며, 엔진의 배치 등에 따라 엔진 룸의 전부, 상부, 후부 등에 설치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산업용 차량의 일례인 휠 로더(201)의 경우, 샤시(203)의 전부와 후부에 타이어(202)가 설치되고, 이러한 타이어(202)의 전후 방향 중앙부에 운전실(204)이 설치되어 있다. 샤시(203)의 전부에는 붐(205)으로 구동하는 버킷(206)이 설치되고, 운전실(204)의 후방에는 엔진 룸(207)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엔진 룸(207) 내에는 엔진(208)이 설치되어 있다. 엔진(208)의 상방에는 에어 클리너(209)와 머플러(201)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엔진(208)의 후방에는 격벽(211)으로 칸막이 된 쿨링 룸(211)이 설치되고, 이 쿨링 룸(212)에 라디에이터(213)와 팬(214)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정기 점검/정비 때에는 작업자가 상기 엔진의 주변기기를 육안 확인, 분리 작업 등을 실시해야 한다. 예를 들면, 에어 클리너의 경우는 청소 때에 필터를 떼어낼 필요가 있고, 냉각수 저장 탱크의 경우는 냉각수 레벨을 육안 확인을 실시해야 한다. 이와 같은 주변기기의 점검은 엔진 룸의 커버를 열고 실시하지만, 좁은 엔진 룸 내의 배치 가능한 장소에 설치된 각 주변기기의 점검/정비는 작업성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는 일이 있다.
또한, 운전석의 측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되는 데크가 있는 경우에는 엔진 룸의 측부에 설치된 사이드 커버에 의한 개구를 데크보다 더 후방으로 멀어진 위치로 해야 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는 특히 운전실에 가까운 엔진 룸 내에 설치된 에어 클리너나 유압 어큐뮬레이터 등 주변기기는 사이드 커버를 개방했다고 하여도 타이어의 후방에서 운전실과 엔진 사이의 좁은 장소에 손을 넣고 실시하는 작업이 되기 때문에, 매우 작업성이 나쁘고, 많은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선행 기술로서, 휠 로더의 운전실 후방에 설치된 엔진 룸의 커버를 상하 방향으로 개폐하는 사이드 커버와, 상면을 막는 천장 커버로 구성하고, 각각의 커버가 각각의 지지 부재로 지지되도록 한 것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이 구성의 경우, 사이드 커버를 상방으로 개방하고 검사하게 되지만, 사이드 커버를 개폐하기 위해 가스 스프링 등의 구성이 필요해진다.
일본특허출원공개 2010-59749호
한편, 최근 배기가스 규제 등에 따라 엔진의 주변기기가 증가하고 있으며, 예를 들면, 배기가스 정화장치를 구비시키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상기한 바와 같은 복수개의 주변기기가 설치되어 있는 엔진 룸 내에 새로운 스페이스를 확보하는 것은 어렵고, 또한, 좁은 엔진 룸 내에 새로운 주변기기를 설치하였을 경우, 그 주변기기의 보수 점검 작업을 작업성 좋게 실시하는 것도 어려워진다.
또한, 상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선행기술에서는 상기한 가스 스프링으로 인한 비용 상승과, 천장 커버를 분리할 필요가 없는 보다 높은 빈도의 정기 점검/정비에 있어서, 엔진 상방에 배치된 주변기기(예를 들면, 에어 클리너)에 접근하여 작업을 할 필요가 있지만, 사이드 커버를 상측으로 개방 가능한 개방 각도는 한정되기 때문에 사이드 커버가 방해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엔진 룸 내에 복수개의 주변기기를 배치할 수 있고, 그 주변기기에 대하여 작업성 좋게 보수 점검을 하는 것이 가능한 산업용 차량의 엔진 룸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운전실과 엔진과 측방에 타이어를 배치한 샤시와 상기 샤시 상에 엔진을 탑재하는 엔진 룸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룸이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 설치된 산업용 차량이며, 상기 엔진 룸의 상기 운전실 측의 면에 있어서의 좌우 위치에 위치하는 전부 구조체와, 상기 엔진 룸의 상기 운전실 측과 반대 측인 면에 있어서의 좌우 위치에 위치하는 후부 구조체와, 상기 전부 구조체와 상기 후부 구조체의 상부를 연결하여 상기 엔진 상방부에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를 형성하는 연결 구조체를 구비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라, 엔진 룸의 상방부에 형성한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에 복수개의 주변기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에 설치한 주변기기는 엔진 룸의 측부에서 작업성 좋게 보수 점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엔진 룸 내의 상측부에 설치한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에 복수개의 주변기기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주변기기의 보수 점검을 엔진 룸의 상방부에서 집중적으로 작업성이 좋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엔진 룸 구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엔진 룸 구조를 비스듬히 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낸 엔진 룸 구조를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엔진 룸 구조의 머플러 부분을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머플러 부분을 하방에서 본 확대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산업용 차량의 엔진 룸 구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낸 엔진 룸 구조를 비스듬히 후방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8은 산업용 차량의 일례인 종래의 휠 로더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산업용 차량으로서 휠 로더를 예로 하고, 엔진 룸 구조에 관한 구성을 도면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휠 로더(1)는 엔진 룸 구조(10)가 상술한 도 8과는 다르지만, 그 외의 구성은 도 8에 나타낸 휠 로더(201)와 동일한 구성이다. 또한, 이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의 서류 중에 있어서의 전후좌우 방향의 개념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휠 로더(1)에 있어서의 전후좌우 방향의 개념과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 구조(10)를 구비한 휠 로더(1)는 좌우의 타이어(2) 사이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샤시(3)가 설치되고, 이 샤시(3)의 상부에, 운전실(4)과 엔진 룸(11)이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4)의 후방에 엔진 룸(11)이 설치되어 있고, 이 실시예에서는 운전실(4)의 직후에 엔진 룸(11)의 전단부가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엔진 룸(11)은 전부 구조체(12)와 연결 구조체(14)와 후부 구조체(13)로 형성된 골조 구조체(15)를 구비하며, 전부에 전부 구조체(12)가 설치되고, 이 전부 구조체(12)에서 소정 거리 후방에 후부 구조체(13)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전부 구조체(12)와 후부 구조체(13)의 상부가 연결 구조체(14)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엔진 룸(11)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16)가 설치되어 엔진 룸 상부가 막혀 있다.
상기 엔진 룸(11)은 폭 방향 치수는 샤시(3)의 폭 방향 치수와 동일하고, 전후 방향 치수는 운전실(4)의 직후에서 후 타이어(2)의 후부까지 연장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다. 엔진 룸(11)의 후방에는 라디에이터(21)와 냉각 팬(22)이 배치된 쿨링 룸(20)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쿨링 룸(20)에서 라디에이터(21)를 통하여 후방으로 공기(A)를 흐르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엔진 룸(11)의 하부에는 상기 샤시(3)에 엔진(5)이 탑재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엔진 룸(11)의 전단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전부 구조체(12)에는 엔진 룸(11)의 측부를 막는 사이드 커버(6)(도 2, 도 3)를 수평 방향으로 개폐하는 힌지부(7)(지지부)가 설치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는 이점쇄선으로 힌지부(7)만을 나타낸다. 이와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전부 구조체(12)의 힌지부(7)로 사이드 커버(6)를 지지함으로써 엔진 룸(11)의 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운전실(4)의 직후에 설치된 전부 구조체(12)를 사이드 커버(6)의 개폐 지점으로 함으로써 운전실(4)에 가까운 위치에서 후방 부분을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도 2,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크게 개방할 수 있도록 한 사이드 커버(6)에 후방 풀 펜더(fender, 8)를 일체로 설치하여 미리 리어 풀 펜더(8)를 분리하거나 움직이거나 하지 않고 사이드 커버(6)를 개방하고 엔진 룸(11) 안을 점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도 2, 도 3은 상기 휠 로더(1)의 운전실(4)과 엔진(5) 및 쿨링 룸(20)의 관계를 제거한 휠 로더 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엔진 룸(11)의 전부 구조체(12)는 전부 좌우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고, 후부 구조체(13)는 후부 좌우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부 구조체(12)와 후부 구조체(13)가 연결 구조체(14)로 연결되어 골조 구조체(15)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골조 구조체(15)는 판형으로 형성된 연결 구조체(14)의 네 모서리에 전부 구조체(12)와 후부 구조체(13)가 위치하는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전부 구조체(12), 후부 구조체(13) 및 연결 구조체(14)는 볼트/너트 등으로 결합되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 2, 도 3에서는 엔진 룸(11)의 바로 앞쪽 측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6)를 개방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러한 도면에서는 상부 커버(16)를 투시하여 골조 구조체(1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부 구조체(13) 부분의 연결 구조체(14)에서 상방으로 칸막이 판(32)이 설치되고, 이 칸막이 판(32)의 상부에서 후방으로 향하여 기기 설치 판(34)(도 1의 상부 커버(16)의 후방 위치. 도 2, 도 3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낸다)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골조 구조체(15)에 의해 엔진 룸(11) 내의 엔진 상방부에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0)가 형성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상기 후부 구조체(13)의 부분에서 전방이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가 되어 있고, 기기 설치 판(34)이 설치된 부분이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3)가 되어 있다. 이러한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와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3)는 폭 방향으로 설치된 상기 칸막이 판(32)에 의해 분할되어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 판(32)에는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 측에 단열재(35)가 설치되어 있다. 단열재(35)는 칸막이 판(32)의 전체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에는 엔진(도 1)의 배기관(9)이 연결된 배기가스 정화 장치(40)와, 이 배기가스 정화 장치(40)를 통해 배기가스를 대기로 방출하는 머플러(41)가 설치되어 있다. 배기가스 정화 장치(40)는 예를 들면, 약 600℃의 고온에서 배기가스를 처리하기 때문에, 상기 단열재(35)에 의해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의 열이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3)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또한, 머플러(41)는 상부 커버(16)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3)에는 에어 클리너(5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 클리너(50)는 상기 기기 설치 판(34)에 매달도록 설치되어 있다. 에어 클리너(50)의 흡기구(51)는 상부 커버(16)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며 설치되어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기기 설치 판(34)의 후단부에 탱크 고정 부재(55)가 설치되고, 이 탱크 고정 부재(55)에 냉각수 저장 탱크(5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엔진 룸(11)의 전단 위치에 설치된 상기 전부 구조체(12)의 사이는 판형의 전부 연결재(17)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이 전부 연결재(17)에는 높이 방향 중간 부분에 주변기기 설치 선반(18)이 설치되어 있다. 이 주변기기 설치 선반(18)에는 유압 어큐뮬레이터(5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유압 어큐뮬레이터(52)는 에어 클리너(50) 등에 비하면 보수 점검의 빈도가 낮기 때문에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0)가 아니라 전부 연결재(17)에 설치되어 있다.
한편, 도 4,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의 상부 커버(16)에 설치된 머플러(41)는 상부 커버(16)에 고정되어 있다. 이 머플러(41)에는 상기 배기가스 정화 장치(40)로부터의 배기관(43)이 삽입되어 있다.
그리고 머플러(41)를 고정하고 있는 상부 커버(16)의 부분에,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를 머플러(41)의 배기 통로에 연통시키는 개구부(45)가 마련되어 있다. 이 개구부(45)는 머플러(41)에 삽입된 배기관(43)의 주위에서 머플러 내에 연통되어 있으며, 배기가스 정화 장치(40)에서 대기 방출되는 배기가스(G)가 머플러(41)에서 배출될 때의 상승류로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의 공기(A)의 배기 통로에 빨아들여 외부로 방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배기가스(G)와 공기(A)의 압력차를 이용하여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의 공기를 적극적으로 배출하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은 엔진 룸 구조(10)를 구비한 휠 로더(1)(산업용 차량)에 따르면, 골조 구조체(15)의 상방부에 형성된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1)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40), 배기관(43) 등의 배기계를 함께 배치하고,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33)에는 에어 클리너(50) 등의 흡기계를 함께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점검/정비 때에는 사이드 커버(6)를 열면 엔진 룸(11)의 상방부에 배치된 복수의 주변기기를 작업성 좋게 점검/정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에, 도 6, 도 7에 기초하여, 제2 실시예에 따른 엔진 룸 구조(60)를 구비한 휠 로더(1)를 설명한다. 또한, 상기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제2 실시예에 따른 휠 로더(1)의 엔진 룸 구조(60)도 엔진 룸(61)의 전부 좌우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전부 구조체(62)와, 이 전부 구조체(62)에서 소정 거리 후방의 후부 좌우 위치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후부 구조체(63)가 설치되고, 이러한 전부 구조체(62)와 후부 구조체(63)의 상부가 연결 구조체(64)에 의해 연결되어 골조 구조체(6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엔진 룸(61)의 상부에는 상부 커버(66)가 설치되어 엔진 룸 상부가 막혀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는 후부 구조체(63)가 타이어(2)보다 후방 위치에 설치되고, 이 좌우 위치의 후부 구조체(63) 사이에 격벽(75)이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엔진 룸(61)의 후방에 설치된 쿨링 룸(70)의 라디에이터(71)에서 엔진 룸(61)의 방향으로 공기를 흐르게 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격벽(75)에 의해, 쿨링 룸(70)의 라디에이터(71)에서 열 교환된 고온 공기는 엔진 룸(61)의 측방으로 흐르게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2 실시예의 골조 구조체(65)에는 전부 구조체(62)와 후부 구조체(63)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체(64)의 상부에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0)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전부 구조체(62)와 후부 구조체(63) 사이에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1)와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1)와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3) 사이에는 칸막이 판(82)이 설치되고, 이 칸막이 판(82)에는 단열재(85)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1)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90)가 설치되어 있고, 머플러(91)가, 상부 커버(66)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3)에는 에어 클리너(10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에어 클리너(100)는 연결 구조체(64)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고, 흡입구(101)가 상부 커버(66)에서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에어 클리너(100)의 후부에 냉각수 저장 탱크(10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전부 구조체(62)의 사이는 전부 연결재(67)로 연결되고, 이 전부 연결재(67)에 설치된 주변기기 설치 선반(68)에 유압 어큐뮬레이터(10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제2 실시예에서도 상기 머플러(91)가 설치된 상부 커버(66)에는 개구부(95)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1) 내의 공기를 배기가스로 적극적으로 외부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상술한 도 4, 도 5에 나타낸 제1 실시예의 구성에, 제2 실시예에 있어서 구성의 부호를 부여하여 나타낸다).
이러한 엔진 룸 구조(60)를 구비한 휠 로더(1)(산업용 차량)에 의해서도 골조 구조체(65)의 상방부에 형성된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1)에는 배기가스 정화 장치(90) 등의 배기계를 함께 배치하고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83)에는 에어 클리너(100) 등의 흡기계를 함께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점검/정비 때에는 사이드 커버(6)를 열면 엔진 룸(61)의 상방부에 배치된 복수개의 주변기기를 작업성 좋게 점검/정비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2 실시예의 휠 로더(1)(산업용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 룸 구조(10,60)에서는 모두 전부 구조체(12,62), 후부 구조체(13,63) 및 연결 구조체(14,64)가 일체가 된 골조 구조체(15,65)를 형성하고 있으므로 이 골조 구조체(15,65)에 복수개의 주변기기를 미리 조립해두고 그 유닛화된 골조 구조체(15,65)를 샤시(3)에 고정함으로써 많은 공정수를 줄이는 것도 가능하며, 산업용 차량의 효율적인 조립작업이 가능해진다.
또한, 어느 쪽의 엔진 룸 구조(10,60)도 운전실(4)의 직후에 사이드 커버(6)의 개폐 지점이 되는 힌지부(7)를 전부 구조체(12,62)에 설치하고 있으므로 엔진 룸(11,61)의 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으며, 전부 구조체(12,62)의 사이에 설치된 어큐뮬레이터(102) 등의 주변기기를 정비하는 경우도 작업성 좋게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2 종류의 엔진 룸 구조(10,60)를 설명했지만, 격벽(75)의 유무 이외에 주변기기 구성이 다르더라도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산업용 차량으로서 휠 로더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산업용 차량은 다른 구성이어도 좋고,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는 일례를 나타내고 있으며, 본 발명의 요지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엔진 룸은 측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가지며, 전부 구조체는 상기 운전실의 직후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커버를 수평으로 개폐하는 지지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이드 커버를 운전석 직후의 전부 구조체를 회전 지점으로 하여 개방함으로써 운전실 직후에서 엔진 룸의 측부를 크게 개방할 수 있고, 엔진 룸 전방부의 주변기기의 보수 점검에 있어서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부 구조체와 후부 구조체 및 연결 구조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엔진 룸의 골조 구조체를 형성하여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엔진 룸의 골조 구조체를 형성하는 전부 구조체와 후부 구조체 및 연결 구조체를 일체로 샤시에 고정할 수 있고, 각 주변기기를 미리 연결 구조체로 형성하는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의 부분에 설치해둠으로써 작업 효율 좋게 주변기기를 엔진 룸에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부 구조체는 좌우 위치의 상기 전부 구조체를 연결하는 전부 연결재를 가지며, 상기 전부 연결재는 주변기기를 설치하는 주변기기 설치 선반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전부 구조체의 사이에 설치한 전부 연결재의 주변기기 설치 선반에도 주변기기를 설치할 수 있으며, 전부 구조체의 사이에도 주변기기의 설치 스페이스를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 구조체는 상기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를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와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로 분할하는 칸막이 판을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온도차가 있는 배기계와 흡기계를 칸막이 판으로 분할하여 흡기계에 배기계의 열이 영향 미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의 열이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단열재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고온이 되는 배기계의 열이 흡기계에 전해지는 것을 보다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부 구조체는 좌우 위치의 상기 후부 구조체를 연결하는 격벽을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엔진 룸의 후방에 설치된 쿨링 룸의 라디에이터에서 열 교환된 공기를 엔진 룸 방향으로 흐르게 하였을 경우에도 고온 공기가 엔진 룸 내에 들어가지 않도록 하는 격벽으로 후부 구조체를 견고하게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엔진 룸은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를 가지며, 상기 상부 커버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머플러를 갖고, 상기 머플러는 상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한 상승류로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개구부를 가지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에 있어서 온도 상승한 공기를 배기가스의 흐름을 따라 머플러에서 외부로 방출할 수 있으므로 고온이 되는 배기계 주변기기의 주변에 있어서의 온도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타이어의 펜더를 일체로 설치하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후 타이어의 풀 펜더를 미리 떼거나 움직이거나 하지 않고 사이드 커버를 개방하고 엔진 룸 안을 점검/정비할 수 있으므로 리어 풀 펜더를 설치하는 산업용 차량에 있어서 엔진 룸 내의 점검/정비 작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엔진 룸 구조는 휠 로더, 셔블 로더 등 산업용 차량에 있어서 이용할 수가 있다.
1: 휠 로더(산업용 차량) 2: 타이어
3: 샤시 4: 운전실
5: 엔진 6: 사이드 커버
7: 힌지부(지지부) 10: 엔진 룸 구조
11: 엔진 룸 12: 전부 구조체
13: 후부 구조체 14: 연결 구조체
15: 골조 구조체 16: 상부 커버
17: 전부 연결재 18: 주변기기 설치 선반
20: 쿨링 룸 30: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
31: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 32: 칸막이 판
33: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 34: 기기 설치 판
35: 단열재 40: 배기가스 정화 장치
41: 머플러 43: 배기관
45: 개구부 50: 에어 클리너
51: 흡기구 52: 유압 어큐뮬레이터
55: 탱크 고정 부재 56: 냉각수 저장 탱크
60: 엔진 룸 구조 61: 엔진 룸
62: 전부 구조체 63: 후부 구조체
64: 연결 구조체 65: 골조 구조체
66: 상부 커버 67: 전부 연결재
68: 주변기기 설치 선반 70: 쿨링 룸
75: 격벽 80: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
81: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 82: 칸막이 판
83: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 85: 단열재
90: 배기가스 정화 장치 91: 머플러
95: 개구부 100: 에어 클리너
101: 흡기구 102: 유압 어큐뮬레이터
106: 냉각수용 저장 탱크 G: 배기가스
A: 공기

Claims (9)

  1. 운전실과, 엔진과, 측방에 타이어를 배치한 샤시와, 상기 샤시 상에 상기 엔진을 탑재하는 엔진 룸을 구비하고, 상기 엔진 룸이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 설치된 산업용 차량으로서,
    상기 엔진 룸은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를 갖고,
    상기 엔진 룸의 상기 운전실측의 좌우 위치에 위치하는 전부 구조체와,
    상기 엔진 룸의 상기 운전실의 반대측의 좌우 위치에 위치하는 후부 구조체와,
    상기 엔진 룸 내에서 상기 엔진의 상방에 설치되며, 상기 전부 구조체와 상기 후부 구조체의 상부를 연결하는 연결 구조체를 갖고,
    상기 연결 구조체와 상기 상부 커버 사이에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를 형성하고, 상기 연결 구조체 상에 주변기기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 룸은 측부를 덮는 사이드 커버를 가지며,
    상기 전부 구조체는 상기 운전실의 후방에 설치되어 상기 사이드 커버를 수평으로 개폐하는 지지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구조체와 후부 구조체 및 연결 구조체를 일체로 구성하여 엔진 룸의 골조 구조체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부 구조체는 좌우 위치의 상기 전부 구조체를 연결하는 전부 연결재를 가지며, 상기 전부 연결재는 상기 주변기기와는 다른 주변기기를 설치하는 주변기기 설치 선반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구조체는 상기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를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와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로 분할하는 칸막이 판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칸막이 판은 상기 배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의 열이 흡기계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에 전해지는 것을 억제하는 단열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후부 구조체는 좌우 위치의 상기 후부 구조체를 연결하는 격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커버는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머플러를 가지며,
    상기 머플러는 상기 머플러에서 배출되는 배기가스에 의한 상승류로 상기 주변기기 설치 스페이스의 공기를 외부로 방출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커버는 상기 타이어의 펜더를 일체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업용 차량.
KR1020147013159A 2011-10-18 2012-10-10 산업용 차량 Active KR101609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228842A JP5864202B2 (ja) 2011-10-18 2011-10-18 産業用車両
JPJP-P-2011-228842 2011-10-18
PCT/JP2012/006492 WO2013057902A1 (ja) 2011-10-18 2012-10-10 産業用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92346A KR20140092346A (ko) 2014-07-23
KR101609265B1 true KR101609265B1 (ko) 2016-04-05

Family

ID=4814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13159A Active KR101609265B1 (ko) 2011-10-18 2012-10-10 산업용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40246262A1 (ko)
EP (1) EP2770115B1 (ko)
JP (1) JP5864202B2 (ko)
KR (1) KR101609265B1 (ko)
CN (1) CN103842593B (ko)
WO (1) WO20130579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64202B2 (ja) * 2011-10-18 2016-02-17 株式会社Kcm 産業用車両
JP5449517B1 (ja) * 2012-12-20 2014-03-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US9074343B2 (en) * 2013-09-25 2015-07-07 Komatsu Ltd. Work vehicle
WO2014185112A1 (ja) * 2014-02-21 2014-11-20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JP6489638B2 (ja) * 2015-03-04 2019-03-27 ヤンマー株式会社 コンバイン
JP2017082414A (ja) * 2015-10-23 2017-05-1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トラクタ
CN107923141B (zh) * 2016-03-10 2020-06-12 日立建机株式会社 工程机械
JP6385381B2 (ja) * 2016-03-18 2018-09-05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CN105836618B (zh) * 2016-05-30 2018-07-20 安徽昌永得机械有限公司 吊重行驶轮式起重机的后车架
JP7032168B2 (ja) 2018-02-14 2022-03-08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および作業車両を含むシステム
US10711741B2 (en) 2018-02-22 2020-07-14 Cnh Industrial America Llc Aspirat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US11124104B2 (en) 2018-03-12 2021-09-21 Komatsu Ltd. Dump truck
JP7142505B2 (ja) * 2018-07-13 2022-09-27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
CN109184890B (zh) * 2018-08-31 2020-07-21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装载机发动机后处理系统
CN109457752B (zh) * 2018-11-07 2021-04-23 广西柳工机械股份有限公司 装载机后罩及挡泥板的联动机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683A (ja) * 2004-12-03 2005-10-13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後上部支持フレーム構造
JP2010059749A (ja) * 2008-09-08 2010-03-18 Komatsu Ltd 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39016A (en) * 1978-01-13 1982-07-13 International Harvester Co. Tiltable fender for a tractor loader
JPS60160277U (ja) * 1984-04-02 1985-10-24 井関農機株式会社 トラクタのボンネツト
JPH0719961Y2 (ja) * 1989-08-28 1995-05-10 東洋運搬機株式会社 産業用車両のリヤフエンダ取付け構造
JPH0594065U (ja) * 1992-05-27 1993-12-21 日立建機株式会社 ホイール式作業機
JPH09112268A (ja) * 1995-10-19 1997-04-28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冷却装置及び建設機械
JPH10115222A (ja) * 1996-10-11 1998-05-06 Hitachi Constr Mach Co Ltd エンジン冷却装置
WO1999015794A1 (fr) * 1997-09-19 1999-04-01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ispositif de refroidissement pour machines de construction et machines de construction
JP2000034742A (ja) * 1998-07-16 2000-02-02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の排気装置
JP2001026944A (ja) * 1999-07-16 2001-01-30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建設機械の排気系構造
JP3994135B2 (ja) * 2000-05-01 2007-10-17 ヤンマー建機株式会社 旋回作業車のダクト構造
JP3586419B2 (ja) * 2000-09-04 2004-11-10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建設機械のカウンタウエイト内蔵の排気消音装置
US6401851B1 (en) * 2000-09-14 2002-06-11 Deere & Company Hood assembly
JP4211919B2 (ja) * 2003-03-24 2009-01-21 株式会社小松製作所 油圧ショベルのカウンタウエイト
JP3840528B2 (ja) * 2003-11-18 2006-11-01 ヤンマー建機株式会社 旋回作業車
JP4226546B2 (ja) * 2004-03-29 2009-02-18 株式会社クボタ 旋回作業機
US7124853B1 (en) * 2004-04-20 2006-10-24 Kole Jr James S Multiwheeled modular rigid frame vehicle
JP4238206B2 (ja) * 2004-12-16 2009-03-18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作業機械の冷却装置
JP4343900B2 (ja) * 2005-12-26 2009-10-1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JP4934401B2 (ja) * 2006-10-25 2012-05-16 ヤンマー株式会社 キャビン付作業車両
KR101474837B1 (ko) * 2006-11-28 2014-12-19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건설기계
US8215434B2 (en) * 2007-06-26 2012-07-10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onstruction machine
CN101795930B (zh) * 2007-07-31 2012-12-12 卡特彼勒公司 发动机罩盖
WO2010013537A1 (ja) * 2008-07-31 2010-02-04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191668B2 (en) * 2008-08-07 2012-06-05 Caterpillar Inc. Mounting assembly for emissions control system
DE102009050189A1 (de) * 2009-10-21 2011-04-28 Liebherr-Werk Bischofshofen Gmbh Baumaschine
US8613338B2 (en) * 2010-06-18 2013-12-24 Cnh America Llc Flat plate front frame for a tractor having ballast, bumper, and tow cable connections
JP5420605B2 (ja) * 2011-08-08 2014-02-19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ホイールローダ
JP5864202B2 (ja) * 2011-10-18 2016-02-17 株式会社Kcm 産業用車両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80683A (ja) * 2004-12-03 2005-10-13 Kubota Corp 旋回作業機の後上部支持フレーム構造
JP2010059749A (ja) * 2008-09-08 2010-03-18 Komatsu Ltd 作業車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842593B (zh) 2016-08-17
US20160082831A1 (en) 2016-03-24
JP5864202B2 (ja) 2016-02-17
EP2770115A1 (en) 2014-08-27
WO2013057902A1 (ja) 2013-04-25
EP2770115A4 (en) 2015-10-14
CN103842593A (zh) 2014-06-04
US20140246262A1 (en) 2014-09-04
US9434245B2 (en) 2016-09-06
EP2770115B1 (en) 2018-12-05
JP2013087493A (ja) 2013-05-13
KR20140092346A (ko) 2014-07-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265B1 (ko) 산업용 차량
US9453327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568042B2 (ja) 作業車
KR101496231B1 (ko) 배기 처리 유닛, 배기 처리 유닛의 장착 및 분리 방법
JP4705130B2 (ja) 建設機械
US9562344B2 (en) Construction machine
JP5150740B2 (ja) 作業車両
KR101495587B1 (ko) 배기 처리 유닛
JP2012136845A (ja) 作業車両
JP2012184602A (ja) 作業機械
JP2013011126A (ja) 作業機械
WO2014192403A1 (ja) 作業車両
CN103620123A (zh) 轮式装载机
US20170335544A1 (en) Arrangement structure for a reducing agent tank for a construction machine
KR101896579B1 (ko) 건설 기계
JP4982167B2 (ja) ホイールローダ
US20230066865A1 (en) Work Machine
JP5245651B2 (ja) トラクタ
JP2017226287A (ja) 作業機
JP5867496B2 (ja) 建設機械
JP6580525B2 (ja) 作業機
JP5609908B2 (ja) トラクタ
JP2024146076A (ja) 締固め機械
JP2024146077A (ja) 締固め機械
JP2024146078A (ja) 締固め機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1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2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2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2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21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