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8627B1 - A floor structure - Google Patents
A floor structur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8627B1 KR101608627B1 KR1020150140474A KR20150140474A KR101608627B1 KR 101608627 B1 KR101608627 B1 KR 101608627B1 KR 1020150140474 A KR1020150140474 A KR 1020150140474A KR 20150140474 A KR20150140474 A KR 20150140474A KR 101608627 B1 KR101608627 B1 KR 10160862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astic member
- joist
- line
- bottom member
- shap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14—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wooden un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2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of plastics, e.g. concrete with plastics, linoleum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177—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 E04F15/02183—Floor elements for use at a specific location for outdoor use, e.g. in decks, patios, terraces, verandas or the lik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닥 구조물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배열하여 형성하는 바닥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장선(JOIST);과, 상기 장선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를 상기 장선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장선과 직교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장선과 바닥부재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bottom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floor structur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provided in a rod shape, the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JOIST) arrang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 And a joining member for fixing the bottom member to the joist line, wherein the bottom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joist line, and a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joist line and the bottom member.
Description
본 발명은 바닥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막대형상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배열하여 형성하는 바닥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가 배치되는 장선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통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바닥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loor structure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provided in a bar shape, wherein the floor structure includes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bottom member and the joist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loor structure that prevents noise generated during passage of a vehicle.
일반적으로 실내외 장소의 바닥을 이루는 구조물은, 바닥면에 구조용 프레임(장선, JOIST)을 소정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상기 구조용 프레임의 상부에 판판하고 넓은 형상의 바닥재를 나란히 복수배열한 후 고정하여 바닥면을 형성한다.In general, the structure constituting the floor of the indoor / outdoor place is constituted by providing a structural frame (joist line, JOIST) on the bottom surfac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rranging a plurality of floor boards on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al frame, Thereby forming a surface.
이때, 상기 바닥재는 장소 또는 용도에 따라 내구성과 활용도가 높은 합성수지를 사용하거나 친환경적이고 유연성이 높은 목재를 사용한다.At this time, the flooring material uses synthetic resin having high durability and utilization according to the place or use, or uses environmentally friendly and highly flexible wood.
이러한 바닥 구조물은 간편한 공정과 짧은 시공기간, 저렴한 설치비용을 장점으로 하고 있어 다양한 장소에서 활용되고 있다.These floor constructions are utilized in various places because of advantages such as easy process, short construction period and low installation cost.
이러한 바닥 구조물에 관한 그 대표적인 예가 하기 특허문헌 1(이하, '종래기술'이라 한다)에 개시되어 있으며, 도 1을 참조하여 종래기술에 따른 정형화된 목재블록에 대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한다.A representative example of such floor structure is disclosed in Patent Document 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and a conventional wooden block according to the prior art will be schematical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간격을 두고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H빔(10)과, 상기 H빔의 상부에 수평방향의 목재가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되어 상판(30)을 형성하는 다수 개의 데크 플레이트(32)와, 상기 상판(30)에 설치되는 난간기둥(50)과, 상기 H빔(10)과 데크 플레이트(32) 사이에 설치되는 장선(20)을 포함하며, 상기 장선(20)과 데크 플레이트(32), 상기 데크 플레이트(32)와 난간기둥(50)은 각각 도브테일 형상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하여 결합된다.As shown in Fig. 1, an
이와 같은 정형화된 조립식 목재블록에 의하여, 데크, 목교 등의 목재구조물을 손쉽게 조립이 가능하여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고 유지보수가 용이하며 볼트나 못 등 별도의 고정부재 없이 순수 목재로만 이루어져 친환경적인 효과를 제공한다.With this type of prefabricated prefabricated wooden block, it is possible to easily assemble wooden structures such as decks, wooden frames, etc., thus securing the safety of the structure and facilitating maintenance. It is made of pure wood without any fixing members such as bolts and nails, It provides an effect.
하지만, 종래기술에 개시된 정형화된 목재 블록은 시공이 간편하고 유지보수가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의 보행 시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으로 인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wooden block disclosed in the related art has a merit of easy construction and easy maintenance, but has a disadvantage that noise is generated due to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upper part when the user is walking.
더욱이, 노화된 데크 플레이트(32)나 실외에 설치되어 여러 날씨와 온도에 노출된 데크 플레이트(32)는 사용자의 보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한다.Further, the
따라서, 바닥을 이루는 바닥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는 바닥 구조물의 개발이 필요한 시점이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floor structure that prevents the noise generated when the user is walking by distribut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floor material.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 구조물의 바닥면을 형성하도록 배열된 바닥부재와 상기 바닥부재가 배치되는 장선 사이에 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사용자의 통행 시에 상부에서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하고, 사용자에게 편안한 보행감을 제공하는 바닥구조물을 제공하는데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loor structure, which has an elastic member between a floor member arranged to form a bottom surface of the floor structure, Which prevents noise generated due to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upper part during passage of the vehicle, and provides a comfortable walking feeling to the user.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닥 구조물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배열하여 형성하는 바닥 구조물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장선(JOIST);과, 상기 장선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 및 상기 바닥부재를 상기 장선에 고정하는 결합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는 상기 장선과 직교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장선과 바닥부재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arranged in a rod shape, the floor structure comprising: a JOIST dispos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And a joining member for fixing the bottom member to the joist line, wherein the bottom member is installed so as to be orthogonal to the joist line, and a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joist line and the bottom member.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의 상면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formed in a shape of "? &Quot; and is coupl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st.
또한, 상기 복수 개의 바닥부재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바닥부재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2탄성부재는 상기 제1탄성부재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a second elastic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wo adjacent bottom members of the plurality of bottom members,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is coupled with the first elastic member.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에는 상기 바닥부재가 인접하는 위치에 다수 개의 완충 홀(BUMPER HOLE)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Further, the first elastic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buffer holes are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bottom member.
또한, 상기 바닥부재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bottom member may be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와 제2탄성부재는 합성고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rst elastic member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may be formed of synthetic rubber.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에 의하면, 상기 장선과 상기 바닥부재 사이에 제1탄성부재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부재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함으로써 바닥부재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사용자의 보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으며, 더불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botto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elastic member is provided between the joist line and the bottom member to disperse the pressure applied to the bottom member, thereby increasing the durability of the bottom member,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omfortable walking feeling to the user.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를 사용함으로써 시공 시에 상기 바닥부재의 이격 작업이 용이해지고, 상기 바닥부재의 위치를 임시적으로 고정하여 상기 바닥부재의 배치 작업이 수월해짐에 따라 시공이 간편해지고 소요시간을 단축하게 된다.Further, by using the second elastic member, the operation of separating the bottom member can be facilitated at the time of construction, the position of the bottom member can be temporarily fixed and the operation of arranging the bottom member can be facilitated, .
도 1은 종래의 정형화된 목재블록의 일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도를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의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a)와 정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conventional shaped wood block.
2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bottom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partial view of the exploded view of Fig. 2; Fig.
Fig. 4 is a plan view (a) and a front view (b) showing a part of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도를 확대 도시한 부분확대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의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a)와 정면도(b)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탄성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n exploded view of FIG. 2, FIG. 4 is a plan view showing a part of a floor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showing the 'first elastic member'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still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1)은,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 복수 개의 바닥부재를 배열하여 형성하는 바닥 구조물(1)에 있어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장선(JOIST, 10)과, 상기 장선(10)의 상면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20) 및 상기 바닥부재(20)를 상기 장선(10)에 고정하는 결합부재(5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부재(20)는 상기 장선(10)과 직교되도록 설치하되, 상기 장선(10)과 바닥부재(20)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30)가 구비된다.2 to 6, a
여기서, 상기 장선(10)의 명칭은 업계에서 일반적으로 쓰이는 용어이며, 지붕 또는 바닥 등을 받기 위해 좁은 간격으로 배열되는 부재를 뜻한다.Here, the name of the
또한, 상기 장선(10)은 직접 바닥에 설치되지 않고 바닥보(또는 장선받이)를 설치하고 그 위에 등간격으로 배열하여 설치되나, 바닥보(또는 장선받이)의 구성은 업계의 일반적 상식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그리고, 상기 바닥부재(20)의 형상은 판판하고 넓은 형태로 구비되며,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보행감을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부재(20)의 상면에 다양한 형태의 돌기 또는 홈을 형성할 수 있다.The
더불어, 상기 바닥부재(20)는 목재 또는 강성을 지닌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장소 또는 용도에 따라 상기 바닥부재(20)의 일부를 금속재 형강으로 보강하여 내구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여기서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복수 개의 바닥부재(20)가 상기 장선(10)과 직교되도록 설치하는 것 또한 업계의 일반적 상식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As described above, it is also common practice in the industry to arrange the plurality of
또한, 상기 결합부재(50)는 못이나 나사 등 상기 장선(10)에 상기 바닥부재(20)를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종류라도 상관없다.The
한편, 상기 장선(10)과 상기 바닥부재(20) 사이에는 제1탄성부재(30)가 더 구비되되, 상기 제1탄성부재(30)는 '∩'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장선(10)의 상면에 결합된다.A first
구제적으로,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단면은 '∩'자형으로 구비되며 상기 장선(10)에 결합되는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장선(10)의 상면(10a)에 인접하는 수평방향의 제1탄성부재 수평부(30a)와, 상기 장선(10)의 좌우측면에 인접하는 제1탄성부재 수직부(30b)로 형성된다. 그리고 전술한 바를 기초로 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 수평부(30a)와 제1탄성부재 수직부(30b)의 내측에는 장선 수용부(31)가 형성되어 상기 제1탄성부재(30)가 상기 장선(10)의 상면(10a)을 감싸도록 결합된다.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이때, 상기 장선 수용부(31)의 너비는 상기 장선(10)의 너비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두께를 정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20)를 통해 전해지는 압력을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제조에 있어서 과도한 비용이 수반되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the width of the long
또한, 상기 제1탄성부재 수직부(30b) 길이는 상기 제1탄성부재(30)가 상기 장선(10)에서 이탈되지 않을 정도의 길이로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길이는 상기 장선(10)을 전부 덮거나 상기 바닥부재(20)가 배열되는 길이에 대응하여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ength of the first elastic member
이렇듯, 상기 장선(10)과 상기 바닥부재(20) 사이에 제1탄성부재(30)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부재(20)에 가해지는 압력을 분산함으로써, 상기 바닥부재(20)의 내구성을 증대시키고 더불어 사용자에게 편안한 보행감을 제공할 수 있다.The first
덧붙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써, 상기 장선(10)과 상기 바닥부재(20) 사이에 위치하는 상기 제1탄성부재 수평부(30a)의 내부에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길이방향으로 다수 개의 완충 홀(BUMPER HOLE, 32)을 형성하여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완충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도 6에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완충 홀(32)은 원형에 국한되지 않고 완충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In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ength of the first
한편, 상기 복수 개의 바닥부재(20) 중 인접하는 두 개의 바닥부재(20) 사이에는 제2탄성부재(40)가 구비되며, 상기 제2탄성부재(40)의 형상은 'ㄴ'자형으로 형성되어 상기 바닥부재(20)를 배치할 시에 상기 바닥부재(20)의 측면 모서리를 감싸도록 구비한다. 상기 제2탄성부재(40)의 배치는 도 4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다.A second
또한, 서로 다른 바닥부재(20)가 맞닿는 위치가 아닌 상기 장선(10)을 가로지르는 위치에는 일자형의 제2탄성부재(40a)를 구비하여 상기 바닥부재(20)를 배치한다.In addition, the
이때, 상기 제2탄성부재(40)의 형상은 'ㄴ'자형 또는 일자형에 국한되지 않고, 상기 바닥부재(20) 간의 간격을 일정하게 이격하여 배치할 수 있는 형상이라면 'H'자형 또는 'ㄷ'자형 등 어떠한 형상이라도 상관없다.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second
더불어 상기 제2탄성부재(40)의 두께를 정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20) 간의 간격이 과도하게 이격되어 사용자의 보행에 지장을 주지 않을 정도의 두께로 형성되어야 한다.In addition, in determining the thickness of the second
또한, 상기 제2탄성부재(40)의 높이는 상기 바닥부재(20)의 높이를 초과하지 않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height of the second
이러한, 상기 제2탄성부재(40)를 통하여 상기 바닥부재(20)를 이격하도록 설치하여 시공에 편의성을 제공함과 동시에 상기 바닥부재(20) 간의 마찰을 차단하여 사용자의 보행 시에 발생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The
한편, 상기 장선(10)과 상기 바닥부재(20)가 직교로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제2탄성부재(40)가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제2탄성부재(40)를 결합하는 방식은 핀 또는 접착테이프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이로써, 상기 고정부재(50)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핀 또는 접착테이프를 통해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제2탄성부재(40)를 결합하여 상기 바닥부재(20)의 위치를 일시적으로 고정함으로써 상기 바닥부재(20)의 배치가 용이해지고 시공이 수월해진다.Thus, even if the
더불어,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상기 제2탄성부재(40)는 우레탄고무 등과 같이 강성과 탄성을 겸비한 합성고무 또는 합성수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first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전술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이때,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the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바닥 구조물 10 : 장선
10a : 장선의 상면 20 : 바닥부재
30 : 제1탄성부재 30a : 제1탄성부재 수평부
30b : 제1탄성부재 수직부 31 : 바닥부재 수용부
32 : 완충 홀 40 : 제2탄성부재
50 : 결합부재1: floor structure 10: joist line
10a: upper surface of the joist line 20: bottom member
30: first
30b: first elastic member vertical portion 31: bottom member accommodating portion
32: buffer hole 40: second elastic member
50:
Claims (7)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장선(JOIST, 10);
상기 장선(10)의 상면에 직교되도록 설치되는 복수 개의 바닥부재(20);
상기 바닥부재(20)를 상기 장선(10)에 고정하는 결합부재(50); 및
상기 장선(10)과 바닥부재(20) 사이에 구비되는 제1탄성부재(30)와, 서로 다른 상기 바닥부재(20) 사이에 구비되는 제2탄성부재(40)를 포함하되, 상기 장선(10)과 바닥부재(20)가 직교로 교차하는 위치에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제2탄성부재(40)가 서로 결합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제1탄성부재(30)의 형상은 '∩'자로 형성하되, 상기 장선(10)의 상면에 인접하는 제1탄성부재 수평부(30a)와, 상기 장선(10)의 좌우측면에 인접하는 제1탄성부재 수직부(30b)와, 상기 제1탄성부재 수평부, 수직부(30a, 30b)의 내측에 형성되는 장선 수용부(31)를 포함하고, 상기 장선 수용부(31)의 너비는 상기 장선(10)의 너비와 대응하도록 형성하며,
상기 제2탄성부재(40)의 형상은 상기 바닥부재(20)를 배치할 시에 상기 바닥부재(20)의 측면 모서리를 감싸도록 'ㄴ'자형으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구조물.
1. A floor structure (1) formed by arranging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provided in a rod shape,
A joist line (JOIST) 10 arrang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 plurality of bottom members 20 installed perpendicular to an upper surface of the joist line 10;
An engaging member (50) for fixing the bottom member (20) to the joist line (10); And
A first elastic member 30 provided between the joist line 10 and the bottom member 2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40 provided between the different bottom members 20, 10 and the bottom member 20 so that the first elastic member 3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40 are coupled to each other at a position where they cross each other at right angles,
The first elastic member 30 is formed in a shape of an ∩ symbol and includes a first elastic member horizontal portion 30a adjacen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joist line 10 and a second elastic member horizontal portion 30b adjacent to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joining line 10 The first elastic member vertical portion 30b and the long line accommodating portion 31 formed inside the first elastic member horizontal portion and the vertical portions 30a and 30b and the width of the long line accommodating portion 31 Is form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joist line (10)
Wherein the shape of the second resilient member (40) is formed in an 'â' shape so as to surround side edges of the bottom member (20) when the bottom member (20) is disposed.
상기 제1탄성부재(30)에는 상기 바닥부재(20)가 인접하는 위치에 다수 개의 완충 홀(BUMPER HOLE, 32)이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plurality of buffer holes (32) are longitudinally formed in the first elastic member (30) at positions adjacent to the bottom member (20).
상기 바닥부재(20)는 목재 또는 합성수지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ottom member (20) is made of wood or synthetic resin.
상기 제1탄성부재(30)와 제2탄성부재(40)는 합성고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elastic member (30) and the second elastic member (40) are made of synthetic rubber.
상기 바닥부재(20)의 측면과 맞닿는 일자형 제2탄성부재(40a)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닥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second linear elastic member (40a) which abuts a side surface of the bottom member (2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474A KR101608627B1 (en) | 2015-10-06 | 2015-10-06 | A floor structur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40474A KR101608627B1 (en) | 2015-10-06 | 2015-10-06 | A floor structur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8627B1 true KR101608627B1 (en) | 2016-04-01 |
Family
ID=557994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40474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8627B1 (en) | 2015-10-06 | 2015-10-06 | A floor structur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8627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5284B1 (en) * | 2018-05-18 | 2018-12-05 | 손종훈 | Wood deck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KR102258186B1 (en) * | 2021-01-21 | 2021-05-27 | 박지훈 | Deck structure with absorb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KR102275721B1 (en) * | 2021-01-08 | 2021-07-09 | (주)제이엠멀티 | Deck assembly for deck road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4988A (en) * | 2001-03-30 | 2002-10-09 | Shuji Muku | Built-up type deck |
JP2013253449A (en) * | 2012-06-08 | 2013-12-19 | Daifuku Co Ltd | Underfloor structure |
-
2015
- 2015-10-06 KR KR1020150140474A patent/KR101608627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294988A (en) * | 2001-03-30 | 2002-10-09 | Shuji Muku | Built-up type deck |
JP2013253449A (en) * | 2012-06-08 | 2013-12-19 | Daifuku Co Ltd | Underfloor structure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5284B1 (en) * | 2018-05-18 | 2018-12-05 | 손종훈 | Wood deck constru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
KR102275721B1 (en) * | 2021-01-08 | 2021-07-09 | (주)제이엠멀티 | Deck assembly for deck road |
KR102258186B1 (en) * | 2021-01-21 | 2021-05-27 | 박지훈 | Deck structure with absorber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61719B2 (en) | Decking clip | |
US6237295B1 (en) | Flooring assembly and fastener therefor | |
KR102030900B1 (en) | A system of wood deck | |
KR102095981B1 (en) | Deck system having deck-clips capable of elastically fixing decks | |
US20180112387A1 (en) | Deck bracket | |
US10577807B2 (en) | Decking clip | |
US5647183A (en) | Resilient flooring | |
KR101683268B1 (en) |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elastic body | |
KR101608627B1 (en) | A floor structure | |
KR20130000374U (en) | Deck clip | |
KR101400873B1 (en) | Clip for fixing deck board | |
KR101702348B1 (en) | Structural system for floor deck | |
KR101450476B1 (en) | A fixing apparatus for synthetic wood | |
KR20160004617A (en) | Deck clip and deck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1537762B1 (en) | A panel and the manufacture method thereof and the construction method for structures using the panel | |
KR20150116505A (en) | Wooden deck structures | |
KR200466046Y1 (en) | Connective device of wooddeck | |
KR101338538B1 (en) | Flooring deck board structure | |
KR101476775B1 (en) | Deck clip and deck assembly using the same | |
KR101772069B1 (en) | Deck Frame Assembly Structure | |
KR101663825B1 (en) | Wood panel combination structure using magnet | |
KR101038704B1 (en) | Wood deck structure | |
KR20190030292A (en) | Clip assembing deck and combination structure of deck using thereof | |
KR20140012401A (en) | Composite wood panel assembly | |
KR20110007913U (en) | Deck assembly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029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06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2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3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330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1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