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8441B1 - 방음벽 프레임 - Google Patents

방음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8441B1
KR101608441B1 KR1020150108861A KR20150108861A KR101608441B1 KR 101608441 B1 KR101608441 B1 KR 101608441B1 KR 1020150108861 A KR1020150108861 A KR 1020150108861A KR 20150108861 A KR20150108861 A KR 20150108861A KR 101608441 B1 KR101608441 B1 KR 101608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main frame
plate
sound insulation
curv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봉용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태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태건
Priority to KR1020150108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84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8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84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음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방음벽은, 평판형의 방음판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방음판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이 형성된 하부프레임; 상기 방음판의 측부가 끼워지며, 곡선으로 휘어진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음벽 프레임{Frame for Soundproof Wall}
본 발명은 방음벽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 프레임에 관한 것이다.
방음벽은 주행하는 자동차 또는 기차 등의 소음을 저감하기 위해서 설치된다. 최근 방음벽의 상부는 도로 내측으로 휘어지도록 라운드지게 형성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개선하고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곡선형의 방음벽의 일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1 및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음벽 프레임에 방음판을 결합한 단위방음벽(100)이 휘어진 H빔(200)에 적층되어 외부에서 보았을 때 곡선형의 방음벽을 구현한다. 그러나, 이러한 방음벽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방음벽(100)의 상측에 또 다른 단위방음벽(100)을 적층할 때 단위방음벽(100) 사이에 상당한 틈이 발생하여 단위방음벽들을 서로 효과적으로 체결하기 어려우며, 단위방음벽 사이에는 별도의 고정구(300)로 위치를 잡아주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단위방음벽(100) 사이에 발생된 틈으로 누음의 우려가 있으며, 또한 상기 틈을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메우는 것은 시공의 불편을 야기하고 상당한 양의 실리콘을 투여해야만 하는 불편을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점에 기인하여, 곡선형 구간에서 효과적으로 방음벽을 설치할 수 있는 프레임에 대한 요구가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128622호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평판형의 방음판을 이용하면서도 곡선형의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한 방음벽 프레임을 제공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은, 평판형의 방음판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이 형성된 상부프레임; 상기 방음판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이 형성된 하부프레임; 상기 방음판의 측부가 끼워지며, 곡선으로 휘어진 측부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측부프레임은, 곡선으로 휘어지며, 중공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 상기 지지프레임의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방음판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의 타면을 지지하는 곡선형의 커버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부프레임은, 곡선으로 휘어지며, 중공의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결합되는 결합면과, 상기 방음판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이 형성된 직선형의 결합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지지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과 접촉하는 접촉부와 상기 방음판을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에는 완충부재가 끼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커버프레임은,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의 일부를 감싸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에 끼워지는 돌출리브; 상기 커버부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방음판을 향하여 연장되는 마감리브;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프레임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에는 상기 돌출부를 수용하는 오목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은, 평판형의 방음판을 사용하면서 곡선으로 휘어지는 프레임을 이용하여 곡선형의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곡선형 방음벽의 시공 현장의 여건에 맞게 측부프레임이 휘어지는 정도는 달리하여 적용하여, 다양한 곡률을 갖는 방음벽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평판형의 방음판을 사용함으로써, 곡선형의 방음판을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제조비용을 현저히 저감하면서 곡선형의 방음벽을 구현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1 및 도2는 종래 방음벽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정면도,
도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단면도,
도5는 도3의 상부프레임의 확대도,
도6은 도3의 하부프레임의 확대도,
도7은 측면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를 절단한 단면도,
도8은 측면프레임의 중단부를 절단한 단면도,
도9는 지지프레임의 평면도,
도10은 커버프레임의 사시도,
도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설치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측면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3은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정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의 단면도이다. 도5는 도3의 상부프레임의 확대도이고, 도6은 도3의 하부프레임의 확대도이다. 도7은 측면프레임의 상부 또는 하부를 절단한 단면도이고, 도8은 측면프레임의 중단부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9는 지지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10은 커버프레임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은,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및 측부프레임(30)을 포함한다.
도5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프레임(10)은 평판형의 방음판(50)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된다. 상기 돌출부(12)는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측에 결합되는 또 다른 하부프레임(20)의 오목홈(22)에 삽입된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방음판(50)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2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돌출부(12)를 수용하는 오목홈(22)이 형성된다. 상기 오목홈(22)은 상기 하부프레임(20)의 하면에 형성된다.
도3 및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프레임(30)은 상기 방음판(50)의 측부가 끼워지며, 곡선으로 휘어진다. 방음벽을 곡선형으로 설치하여야 하는 구간에 있어서, 방음벽을 수용하는 지지빔(60)(H빔)은 곡선으로 휘어져 설치되며, 상기 지지빔(60)에 곡선형의 상기 측부프레임(30)이 삽입된다.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및 측부프레임(30)은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 방음벽 프레임(400)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위 방음벽 프레임(40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측부프레임(30)은 메인프레임(31), 지지프레임(32), 커버프레임(33)을 포함한다. 상기 측부프레임(30)은 상기 방음판(50)의 좌우측 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2개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1)은 곡선으로 휘어지며, 중공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프레임(32)은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50)의 일면을 지지하는 프레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32)은 메인프레임과 달리 직선형의 프레임이다. 상기 지지프레임(32)은 접촉부(321)와 지지부(322)를 포함한다.
도3 및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촉부(321)는 상기 메인프레임(31)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상기 메인프레임(31)과 면 접촉하고, 볼트 등에 의해 상기 메인프레임(31)에 체결된다.
상기 지지부(322)는 상기 방음판(50)을 지지하기 위해 마련된 것으로, 상기 접촉부(321)의 단부에 마련된다. 상기 지지부(322)에는 완충부재(40)가 삽입되는 삽입부(323)가 형성된다. 상기 지지부(322)와 방음판(50)의 미세한 틈은 실리콘과 같은 실링부재(70)를 이용하여 마감된다.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33)은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방음판(5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프레임(32)은 상기 메인프레임(3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50)의 타면을 지지하는 곡선형의 프레임이다. 즉, 상기 커버프레임(33)은 상기 지지프레임(32)에 대향하여 배치되며, 상기 방음판(50)은 상기 커버프레임(33)과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사이에 배치된다.
도7, 도8, 및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프레임(33)은 커버부(331), 돌출리브(332), 및 마감리브(333)를 포함한다.
상기 커버부(331)는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부를 감싼다. 상기 측부프레임(30)은 방음판(50)의 측면을 커버하는데, 상기 커버부(331)는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되어 상기 지지프레임(32)과 함께 상기 방음판(50)을 견고하게 지지한다.
상기 돌출리브(332)는 상기 커버부(331)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1)에 끼워진다. 상기 돌출리브(332)는 상기 메인프레임(31)에 마련된 걸림홈(311)에 삽입된다.
상기 마감리브(333)는 상기 커버부(33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방음판(50)을 향하여 연장된다.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리브(333)의 폭은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작고,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상단부에서 중단부로 갈수록, 그리고 하단부에서 중단부로 갈수록 넓어진다. 상기 마감리브(333)와 방음판(50)의 미세한 틈은 실리콘과 같은 실링부재(70)를 이용하여 마감된다.
그리고,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2)의 지지부(322)의 위치는, 측부프레임(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는 측부프레임의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측부프레임(30)의 중단부에서는 측부프레임의 중심측에 배치된다. 이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방음판(50)은 평판형의 방음판(50)을 사용하는데, 상기 방음판(50)의 하단부 및 상단부는 하부프레임(20) 및 상부프레임(10)의 모서리 측에 삽입되므로, 마감리브(333)의 폭이 커버프레임(33)의 중단측에서 가장 넓고, 상단부와 하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기 때문이다.
도11에는 위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이 설치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곡선형의 방음벽을 시공하기 위해서 H빔(60)이 설치되며, 서로 이격된 H빔(60) 사이에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및 측부프레임(30)을 포함하는 방음벽 프레임을 끼워서 곡선형의 방음벽을 완성하다. 물론,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및 측부프레임(30) 내측에는 방음판(50)이 삽입되어 있다.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은 측부프레임(30)이 곡선형의 마련되어 방음벽을 지지하는 곡선형의 H빔(6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상부프레임(10)의 상측에 또 다른 단위 방음벽 프레임을 적층할 때,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측에 마련된 돌출부(12)는 다른 단위 방음벽 프레임의 하부프레임(20)에 마련된 오목홈(22)에 삽입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0)과 그 위에 적층된 하부프레임(20) 사이는 불필요한 이격 공간의 발생을 최소화하면서 서로 접촉하여 적층되므로, 누음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도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을 도시한다. 도12에 따른 실시예는 도4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측부프레임이 상이하며, 본 실시예 에 따른 정면도는 도3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도3의 실시예와 동일한 작용 및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은,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및 측부프레임(30')을 포함한다.
상기 상부프레임(10)은 평판형의 방음판(50)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11)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프레임(20)은 상기 방음판(50)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부프레임(30')은 상기 방음판(50)의 측부가 끼워지며, 곡선 형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프레임(10), 하부프레임(20), 및 측부프레임(30')은 조립되어 하나의 단위 방음벽 프레임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 상기 단위 방음벽 프레임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적층될 수 있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측부프레임(30')은, 메인프레임(31') 및 결합프레임(34)을 포함한다. 상기 측부프레임(30')은 상기 방음판(50)의 좌우측 측부에 결합되는 것으로 2개가 마련된다.
상기 메인프레임(31')은, 곡선으로 휘어진 중공형의 프레임이다.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메인프레임(31')은 대략 각 파이프의 형상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결합프레임(34)은, 상기 메인프레임(31')에 결합되는 결합면(341)을 구비한다. 상기 결합프레임(34)의 결합면(341)이 상기 메인프레임(31')에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결합면(341)에 볼트 등을 이용하여 상기 결합프레임(34)과 상기 메인프레임(31')이 상호 체결된다.
상기 결합프레임(34)은, 상기 방음판(50)의 측부가 삽입되는 삽입홈(342)이 형성되는 직선형의 프레임이다. 상기 결합면(341)의 타면은 상기 삽입홈(342)의 저면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프레임(34)은 평판 형태의 방음판(50)을 수용하여 지지한다.
도12의 실시예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 역시, 도10과 같이 H빔(60) 사이에 끼워서 적층될 수 있으며, 곡선형의 측부프레임(30')을 이용한 효과 역시 도10과 유사하다. 또한, 도12에 따른 방음벽 프레임은, 측부프레임(30')을 구성함에 있어서, 메인프레임(31')의 일면에 미리 가공된 결합프레임(34)을 체결하여 방음판(50)을 체결 또는 지지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제조가 간편하고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를 제공하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많은 변형이 제공될 수 있다.
10... 상부프레임 11... 제1 홈
12... 돌출부 20... 하부프레임
21... 제2 홈 22... 오목홈
30, 30'... 측부프레임 31, 31'... 메인프레임
311... 걸림홈 32... 지지프레임
321... 접촉부 322... 지지부
323... 삽입부 33... 커버프레임
331... 커버부 332... 돌출리브
333... 마감리브 34... 결합프레임
341... 결합면 342... 삽입홈
40... 완충부재 50... 방음판
60... 지지빔(H 빔) 400... 단위방음벽프레임

Claims (6)

  1. 평판형의 방음판(50)의 상측이 끼워지는 제1 홈(11)이 형성된 상부프레임(10);
    상기 방음판(50)의 하측이 끼워지는 제2 홈(21)이 형성된 하부프레임(20);
    상기 방음판(50)의 측부가 끼워지며, 곡선으로 휘어진 측부프레임(30,30');을 포함하며,
    상기 측부프레임(30)은,
    곡선으로 휘어지며, 중공의 메인프레임(31);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50)의 일면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32);
    상기 지지프레임(32)의 단부와 이격되어 상기 방음판(50)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메인프레임(31)의 타측에 결합되어 상기 방음판(50)의 타면을 지지하는 곡선형의 커버프레임(33);을 포함하며,
    상기 지지프레임(32)은, 상기 메인프레임(31)과 접촉하는 접촉부(321)와 상기 방음판(50)을 지지하는 지지부(322)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부(322)의 위치는, 상기 측부프레임(3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는 상기 측부프레임(30)의 가장자리 측으로 치우쳐 배치되고 상기 측부프레임(30)의 중단부에서는 상기 측부프레임(30)의 중심측에 배치되며,
    상기 지지부(322)에는 완충부재(40)가 끼워지고,
    상기 커버프레임(33)은,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부와 접촉하면서,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일부를 외부에서 감싸는 커버부(331);
    상기 커버부(331)로부터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외측에 마련된 걸림홈(311)에 삽입되어 끼워지는 돌출리브(332);
    상기 커버부(331)의 단부로부터 절곡되어 상기 방음판(50)을 향하여 연장되는 마감리브(333);를 포함하되,
    상기 마감리브(333)는 상기 메인프레임(31)의 상단부와 하단부에서 작고 상기 메인프레임(333)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서 중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며,
    상기 마감리브(333)와 방음판(50) 사이의 틈에 실링부재(70)가 설치되어 마감되고,
    상기 상부프레임(10)의 상면에는 서로 이격되어 돌출되는 돌출부(12)가 형성되고,
    상기 하부프레임(20)에는 상기 돌출부(12)를 수용하는 오목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음벽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50108861A 2015-07-31 2015-07-31 방음벽 프레임 Active KR101608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61A KR101608441B1 (ko) 2015-07-31 2015-07-31 방음벽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861A KR101608441B1 (ko) 2015-07-31 2015-07-31 방음벽 프레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8441B1 true KR101608441B1 (ko) 2016-04-04

Family

ID=557998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861A Active KR101608441B1 (ko) 2015-07-31 2015-07-31 방음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844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297B1 (ko) 2020-09-02 2021-03-23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KR20240133442A (ko) 2023-02-28 2024-09-04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곡선형 방음벽용 방음판넬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956A (ja) * 2005-12-20 2007-07-05 Nippon Sheet Glass Environment Amenity Co Ltd パネル取り付け構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169956A (ja) * 2005-12-20 2007-07-05 Nippon Sheet Glass Environment Amenity Co Ltd パネル取り付け構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1297B1 (ko) 2020-09-02 2021-03-23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KR20220030149A (ko) 2020-09-02 2022-03-10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판용 프레임
KR20220093069A (ko) 2020-09-02 2022-07-05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판용 프레임
KR102431529B1 (ko) * 2020-09-02 2022-08-11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판용 프레임
KR102558729B1 (ko) * 2020-09-02 2023-07-25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방음판용 프레임
KR20240133442A (ko) 2023-02-28 2024-09-04 주식회사 신성유니텍 곡선형 방음벽용 방음판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0976B1 (ko) 가설 방음벽용 스마트 방음·방진 패널
KR20140100820A (ko) 터널형 방음판넬 조립체
KR101608441B1 (ko) 방음벽 프레임
KR102023495B1 (ko) 방음벽
KR102271409B1 (ko) 경사형 투명 방음패널
KR100989890B1 (ko) 방음판
KR101044027B1 (ko) 방음패널
KR200482936Y1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104997B1 (ko) 중앙 지지대를 갖는 조립형 방음판
KR20190048037A (ko) 복합패널유닛 및, 복합패널구조체
KR20160001541U (ko) 고차음 방음판 및 이를 갖는 방음벽
KR101042326B1 (ko) 방음패널
KR101257315B1 (ko) 천장판 설치구조
KR101648099B1 (ko) 방진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진구조
KR101128390B1 (ko) 방음패널
KR20170003543U (ko) 보강재가 내장된 방음판용 프레임
JP7550943B1 (ja) 遮音構造体
JP5598007B2 (ja) 間仕切壁
KR102231297B1 (ko) 방음판용 프레임 구조체
KR200473052Y1 (ko) 흡음기능을 가진 일체형 방음패널
KR101387577B1 (ko) 방음벽
KR20130041546A (ko) 방음판 결합 구조물
KR20130046520A (ko) 조립식 터널용 방음벽
KR101387578B1 (ko) 방음벽
KR200401091Y1 (ko) 조립식 방음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8121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12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1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21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119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1223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