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7652B1 -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 Google Patents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7652B1
KR101607652B1 KR1020140070679A KR20140070679A KR101607652B1 KR 101607652 B1 KR101607652 B1 KR 101607652B1 KR 1020140070679 A KR1020140070679 A KR 1020140070679A KR 20140070679 A KR20140070679 A KR 20140070679A KR 101607652 B1 KR101607652 B1 KR 101607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fting
connection part
fence
upper wir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240A (ko
Inventor
배규홍
Original Assignee
(주)이레이앤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레이앤엘 filed Critical (주)이레이앤엘
Priority to KR1020140070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7652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7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7652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E01D19/16Suspension cables; Cable clamps for suspension cables ; Pre- or post-stressed cab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부 와이어에 하부 와이어를 연결 고정시킬 때 1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시공 여건 및 편리성을 개선한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부 와이어에 걸려서 거치될 수 있는 와이어 연결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승강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승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부 와이어를 잡아주는 승강식 펜스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식 펜스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조절부와,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하부 와이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하부 와이어용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Apparatus for binding wires of girder bridge}
본 발명은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와이어에 하부 와이어를 연결 고정시킬 때 1인 작업이 가능하도록 시공 여건 및 편리성을 개선한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출렁다리는 교각(橋脚) 없이 골짜기나 강을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리로서, 산악지역의 협곡 및 계곡과 같이 다리의 설치가 용이하지 않은 곳이나 양쪽 건물 사이에 다리를 설치하면서 교각을 설치할 수 없을 때 주로 사용된다.
이러한 출렁다리는 다리의 보행자 도로 역할을 하는 데크로드가 교각 없이 골짜기의 양측에 설치된 지지물에 고정된 와이어에 의해 지지되어 공중에 뜬 상태로 설치되며, 흔히 구름다리 또는 흔들다리라고도 일컬어진다.
도 1을 참조하면, 출렁다리는 높은 공중에 사람이 건널 수 있게 설치되는 데크로드(1)와, 데크로드(1)를 공중에 뜬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2)로 이루어진다.
상기 와이어로프(2)는 좌우 양측이 주탑(6)에 의해 일정높이로 지지되는 상부 와이어(3)와, 상부 와이어(3)에 대략 직각으로 결속되어 데크로드(1)를 공중에 뜬 상태로 들어주는 하부 와이어(4)로 구성된다.
상기 상부 와이어(3)는 좌우 양측에 턴버클(5)이 구비되어 있으며, 이 턴버클(5)에 의해 인장 또는 텐션(팽팽한 정도)이 조절된다.
이와 같이 출렁다리는 텐션이 조절된 상부 와이어(3)와 이 상부 와이어(3)에 결속된 하부 와이어(4)를 이용하여 데크로드(1)의 자중과 통과하중을 지지하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는 상부 와이어(3)의 일측에 체결되는 조인트 브라켓(7)과, 하부 와이어(4)의 일측에 결합되고 상기 조인트 브라켓(7)과 체결되는 하부 와이어용 소켓(8)으로 구성되어 상부 와이어(3)와 하부 와이어(4)를 결속해주게 된다.
상기 조인트 브라켓(7)은 상부 와이어(3)의 일측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판상의 제1 브라켓(7a)과 제2 브라켓(7b)으로 구성되며, 하부 와이어(4)가 고정되게 체결된 하부 와이어용 소켓(8)과 결합되어 상부 와이어(3)와 하부 와이어(4)를 결속되게 연결해준다. 상기 제1 및 제2 브라켓(7a,7b), 하부 와이어용 소켓(8) 등은 볼팅에 의해 탈착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종래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1. 제1 및 제2 브라켓, 하부 와이어용 소켓 등이 탈착 가능한 분리형으로 구성되므로 1인 작업이 불가능하다. 즉, 한 사람은 제1 및 제2 브라켓을 잡아주고 다른 한 사람은 볼팅 작업을 수행하며, 또 다른 한 사람은 하부 와이어용 소켓을 들고 대기하는 등 수명 이상으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져야 하는 단점이 있다.
2. 제1 및 제2 브라켓과 볼트 및 너트 등 여러 가지 부품들을 가지고 상부 와이어가 설치된 고공으로 올라가 작업을 수행해야 하므로, 작업 도중 볼트 등의 부품을 떨어뜨릴 우려가 다분하며, 그에 따른 부품의 소실이 초래되는 단점이 있다.
3. 노후 시 고정력이 저하됨에 따라 조인트 브라켓이 상부 와이어 상에서 이동되어 위치가 변경될 수 있고, 이에 각 조인트 브라켓에 연결된 하부 와이어들이 상부 와이어의 한쪽으로 몰려 보행자 도로인 데크로드가 안정적으로 지지되지 못하고 기울어지거나 흔들거림이 심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심각하게는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 간에 결속이 풀릴 우려가 있다.
특히, 상기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 간에 결속이 풀릴 경우 보행자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으므로, 종래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는 상기와 같은 시공 여건을 개선해야 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출렁다리의 상부 와이어에 걸어서 거치시킬 수 있는 일체형의 갈고리 타입으로 구성되어 1인 설치가 가능하고 높은 곳에서의 설치작업이 용이한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부 와이어에 걸려서 거치될 수 있는 와이어 연결부;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내부공간에 승강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승 이동되어 상기 내부공간에 인입된 상부 와이어를 잡아주는 승강식 펜스; 상기 와이어 연결부에 설치되고, 상기 승강식 펜스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조절부;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하부 와이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하부 와이어용 소켓;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는 상기 상부 와이어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방지용 스토퍼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방지용 스토퍼는 상부 와이어에 거치된 와이어 연결부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승강조절부는 와이어 연결부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조절부재와, 이 승강조절부재와 맞물려서 승강조절부재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승강식 펜스의 하단을 지지하게 설치되는 피승강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후면부에는 나선결합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임너트가 구성되며, 이 조임너트는 승강 이동된 승강식 펜스를 와이어 연결부의 내벽면으로 밀어 고정해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 연결부의 좌우 측면에는 상부 와이어에 고정되게 설치된 이동방지용 스토퍼의 일단부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는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다.
1. 상부 와이어에 걸어서 거치시킬 수 있는 갈고리 타입으로 구성됨에 따라 고공에서의 시공 여건 및 편리성이 개선되어 작업자가 혼자서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를 결속시킬 수 있다.
2. 노후 시 상부 와이어 상에서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에 종래 대비 보행자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출렁다리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나타낸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를 출렁다리의 상부 와이어에 설치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가 출렁다리의 상부 와이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출렁다리는 공중에 사람이 건널 수 있도록 설치되는 데크로드와 데크로드를 공중에 뜬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와이어로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로프는 상부 와이어와 이 상부 와이어에 결속되게 연결되는 하부 와이어로 구성된다.
본 발명은 상부 와이어와 하부 와이어를 결속되게 연결해주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에 관한 것으로, 종래 대비 시공 여건 및 편리성을 개선하도록 구성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10)는 와이어 연결부(11)와 승강식 펜스(14), 승강조절부(15), 이동방지용 스토퍼(18) 및 하부 와이어용 소켓(22)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11)는 출렁다리의 상부 와이어에 걸어서 거치시킬 수 있는 갈고리 타입으로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 연결부(11)는 상단부가 'C'자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하단부는 대략 일자형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와이어 연결부(11)는 상단부에 내부공간(S)이 마련되고 그 전면부에 개구부(12)가 구비되며, 출렁다리의 상부 와이어에 걸릴 때 상기 내부공간(S)의 상단부에 상부 와이어가 위치하게 된다.
즉, 상기 와이어 연결부(11)는 상부 와이어에 갈고리 식으로 걸려서 거치된 후 승강조절부(15)의 조작을 통해 상부 와이어에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에 높은 곳에 설치시 시공작업이 용이해지고, 또한 주물로 제작되므로 그 구조가 간단하고 다양한 형태로 디자인이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부공간(S)의 하단부에는 승강식 펜스(14)가 삽입 설치된다.
상기 승강식 펜스(14)는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부공간(S)에 삽입 가능하고 와이어 연결부(11)의 개구부(12)보다 큰 단면적을 갖는 블록 형상으로 마련되며, 그 상단부는 상부 와이어의 외관 형상에 따라 하방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상기 승강식 펜스(14)는 그 하단부에 위치되게 설치되는 승강조절부(15)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가능하게 구성된다.
상기 승강조절부(15)는 승강식 펜스(14)의 하단을 지지하도록 와이어 연결부(11)에 설치되는 피승강부재(17)와, 피승강부재(17)를 상하방향으로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조절부재(16)로 구성된다.
상기 피승강부재(17)는 일자형 막대기에 톱니를 절삭한 랙(rack) 형상으로 마련되며, 피니언 형상을 갖는 승강조절부재(16)와 맞물리게 설치되어 승강조절부재(1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바꾸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승강식 펜스(14)의 하단을 지지함으로써 승강식 펜스(14)를 승강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승강조절부재(16)는 일측에 피니언 형상을 갖도록 마련되며, 와이어 연결부(11)의 전면부를 관통하여 피승강부재(17)와 맞물리게 설치되고 그 일단부가 와이어 연결부(11)의 전면부에 노출되게 구성된다.
이러한 승강조절부재(16)는 와이어 연결부(11)의 전면부에 노출된 돌출부위를 잡고 돌려서 회전시키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키는 등 볼팅 공정에 비해 설치작업이 간편하고 신속하게 이루어지며, 외관상으로 미려한 이점도 있다.
이와 같은 승강조절부(15)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는 승강식 펜스(14)는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부공간(S)의 하단부에 위치하고 있다가 와이어 연결부(11)가 상부 와이어에 걸려서 상기 내부공간(S)의 상단부에 상부 와이어가 위치되면 승강조절부(15)에 의해 상승 이동되어 상부 와이어의 일측을 둘러싸서 잡아주게 되며, 이에 와이어 연결부(11)로부터 상부 와이어의 이탈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부 와이어(3)에 갈고리 식으로 걸려서 거치되는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부 와이어(3)의 일측에는 도 6과 같이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양측으로 배치되게 이동방지용 스토퍼(18)가 이격 설치된다.
상기 이동방지용 스토퍼(18)는 상부 와이어(3)를 단단하게 그립(grip)하여(혹은 꽉 잡아서) 상부 와이어(3) 상에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되게 설치되며, 그 사이에 위치하게 되는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여 와이어 연결부(11)가 한쪽으로 몰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방지용 스토퍼(18)는 상부 와이어(3) 상에서 와이어 연결부(11)를 좌우로 흔들리지 않도록 지지해주고, 승강조절부(15) 및 승강식 펜스(14)에 의해 상부 와이어(3)에 고정된 와이어 연결부(11)를 더욱 단단하게 고정시켜 준다.
예컨대, 상기 이동방지용 스토퍼(18)는 서로 마주하여 상부 와이어(3)를 압박하게 둘러싸는 한 쌍의 고리부재(19)와, 한 쌍의 고리부재(19)를 동시 관통하여 고리부재(19)에 압입 고정되는 고정핀(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이동방지용 스토퍼(18)는 상부 와이어(3)와 하부 와이어(4) 간에 연결위치를 표시해두기 위해 와이어 연결부(11)보다 먼저 상부 와이어(3)에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너비와 이동방지용 스토퍼(18) 간의 이격거리 간에 허용오차를 두기 위하여,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측면에는 상부 와이어(3)에 좌우 양편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는 이동방지용 스토퍼(18)의 일단부가 각각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후면부에는 승강 이동된 승강식 펜스(14)의 위치고정을 위해 조임너트(21)가 나선결합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조임너트(21)는 와이어 연결부(11)의 후면부를 관통한 형태로 구비되며, 작업자가 손으로 잡고 돌리거나 또는 공구를 이용하여 회전시킴에 의해 와이어 연결부(11)의 전면부 측으로 이동되어 승강식 펜스(14)를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고정해주는 역할을 한다.
출렁다리의 상부 와이어(3) 및 하부 와이어(4)는 바람이 불거나 보행자의 도보 등에 의해 움직이게 되는데, 상기 조임너트(21)는 시간 경과에 따른 와이어 결속장치(10)의 노후 시 이러한 움직임에 의한 승강식 펜스(14)의 하강 이동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하부 와이어용 소켓(22)은 일측이 와이어 연결부(11)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체결되며, 타측에 출렁다리의 하부 와이어(4)가 고정되게 삽설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의 설치과정을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고공으로 올라가 상부 와이어(3)의 소정위치에 도 6 및 도 7과 같이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너비에 상응하는 간격으로 이동방지용 스토퍼(18)들을 이격 설치한다.
좌우 양측으로 이격 설치된 이동방지용 스토퍼(18) 사이의 상부 와이어(3)에 와이어 연결부(11)를 갈고리 식으로 걸어서 거치해둔 후, 승강조절부재(16)를 회전시켜 승강식 펜스(14)를 상승 이동시켜 상부 와이어(3)를 잡아준다.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하단부에는 하부 와이어(4)가 일체로 결합된 하부 와이어용 소켓(22)이 고정되게 결합되어 있다.
다음,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후면부에 구비된 조임너트(21)를 회전시켜 승강식 펜스(14)를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벽면에 밀착시켜 고정해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10)는 상부 와이어(3)에 설치될 때 와이어 연결부(11)를 상부 와이어(3)에 걸어서 거치해둔 후 1인의 작업자가 혼자서 작업할 수 있으며, 번거로운 볼팅 작업 없이 간편하게 승강조절부재(16)를 회전시켜줌에 의해 상부 와이어(3)를 잡아서 와이어 연결부(11)의 내측에 고정해주는 등 전술한 간단한 작업으로 상부 와이어(3)와 하부 와이어(4)를 결속되게 연결해줄 수 있음으로써 고공 설치 작업이 편리해지는 이점이 있다.
3 : 상부 와이어
4 : 하부 와이어
10 : 와이어 결속장치
11 : 와이어 연결부
12 : 개구부
13 : 인입홈
14 : 승강식 펜스
15 : 승강조절부
16 : 승강조절부재
17 : 피승강부재
18 : 이동방지용 스토퍼
19 : 고리부재
20 : 고정핀
21 : 조임너트
22 : 하부 와이어용 소켓

Claims (5)

  1. 상부 와이어에 걸려서 거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상부 와이어가 위치되는 내부공간(S)이 마련되고 그 전면부에 개구부(12)가 구비되는 'C'자 모양의 상단부와, 상기 상단부와 일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하부 와이어용 소켓(22)이 고정되는 일자형의 하단부로 구성되는 갈고리 타입의 주물로 제작되며, 상부 와이어에 갈고리 식으로 걸려서 거치되면서 승강조절부(15)의 조작을 통해 상부 와이어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와이어 연결부(11);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부공간(S)에 승강 이동되게 설치되고, 상승 이동되어 내부공간(S)에 인입된 상부 와이어를 잡아주는 승강식 펜스(14);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에 설치되고, 승강식 펜스(14)를 승강 이동시키기 위한 승강조절부(15);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하단부에 고정되게 체결되고, 하부 와이어가 고정되게 결합되는 하부 와이어용 소켓(22);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후면부에 나선결합방식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승강 이동된 승강식 펜스(14)를 와이어 연결부(11)의 내벽면으로 밀어 고정해줄 수 있는 조임너트(21);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상부 와이어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이동방지용 스토퍼(18)를 포함하며, 상기 이동방지용 스토퍼(18)는 상부 와이어에 거치된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이동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승강조절부(15)는 와이어 연결부(11)를 관통하여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승강조절부재(16)와, 이 승강조절부재(16)와 맞물려서 승강조절부재(16)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고 승강식 펜스(14)의 하단을 지지하게 설치되는 피승강부재(17)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4. 삭제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연결부(11)의 좌우 측면에는 상부 와이어에 고정되게 설치된 이동방지용 스토퍼(18)의 일단부가 인입될 수 있는 인입홈(13)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KR1020140070679A 2014-06-11 2014-06-11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Active KR101607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79A KR101607652B1 (ko) 2014-06-11 2014-06-11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79A KR101607652B1 (ko) 2014-06-11 2014-06-11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40A KR20150142240A (ko) 2015-12-22
KR101607652B1 true KR101607652B1 (ko) 2016-03-30

Family

ID=55081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79A Active KR101607652B1 (ko) 2014-06-11 2014-06-11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765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38B1 (ko) 2018-11-07 2019-05-09 주식회사 누리플랜 진동제어장치를 구비한 보행로 구조체
KR102347885B1 (ko) 2021-06-11 2022-01-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2347886B1 (ko) 2021-06-11 2022-01-06 주식회사 누리플랜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2369877B1 (ko) 2021-07-29 2022-03-03 주식회사 누리플랜 스판테크로드를 이용한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행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38266A (zh) * 2016-12-21 2017-05-10 广州大学 一种钢管混凝土拱桥拱肋吊装挂扣及吊装方法
KR102344051B1 (ko) 2021-03-18 2021-12-27 안승환 처짐 곡률 제어구조를 갖는 케이블교
CN116791762B (zh) * 2023-08-23 2023-10-20 山西清露金华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气膜建筑施工用索网连接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69B1 (ko) * 2010-07-20 2011-01-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턴버클
KR101010910B1 (ko) * 2010-11-09 2011-01-25 (주)신흥이앤지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9969B1 (ko) * 2010-07-20 2011-01-20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턴버클
KR101010910B1 (ko) * 2010-11-09 2011-01-25 (주)신흥이앤지 정착부 조절형 케이블 연결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738B1 (ko) 2018-11-07 2019-05-09 주식회사 누리플랜 진동제어장치를 구비한 보행로 구조체
KR102347885B1 (ko) 2021-06-11 2022-01-06 주식회사 누리플랜 무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무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2347886B1 (ko) 2021-06-11 2022-01-06 주식회사 누리플랜 지주식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지주식 보행로 시공방법
KR102369877B1 (ko) 2021-07-29 2022-03-03 주식회사 누리플랜 스판테크로드를 이용한 보행로 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보행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240A (ko) 2015-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652B1 (ko) 출렁다리용 와이어 결속장치
US10030397B2 (en) Fall protection system
US10060146B2 (en) I-beam-attachable lifeline system
US9528285B2 (en) Safety barrier netting system with rigid panel net supports and stopper mechanisms
CN101243232A (zh) 用于安全栅栏支柱的锁定和提升机构
KR200446363Y1 (ko) 철근난간대용 고정구
US20180368392A1 (en) Safety rail
KR101449654B1 (ko) 각도와 높이 조절이 가능한 교량 안전점검시설
KR20120140340A (ko) 비계장치
KR101816698B1 (ko) 해양플랜트용 비계 장치
JP2002138659A (ja) 簡易組立型のゴンドラ吊下式作業装置
CN112374346B (zh) 装配式建筑预制构件吊装装置
WO2007066667A1 (ja) エレベータの重量物仮置装置および重量物の据付方法
JP7193374B2 (ja) 台棒の取付金具及び当該取付金具を使用した台棒の取り付け方法
JP5111546B2 (ja) 荷揚げ装置
KR101472980B1 (ko) 빌딩 외벽 관리용 자중 클램프식 곤도라 행거
KR102513266B1 (ko) 철도 교량의 도색을 위한 공중 비계 설치방법
KR20120107354A (ko) 안전난간 설치용 각도 조절형 스텐션
KR100808291B1 (ko) 거더타입 교량용 안전장치
GB2437291A (en) Clamp with releasable handle
KR101225743B1 (ko) 긴장이 가능한 낙석방지망용 와이어 고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낙석방지망 시공 공법
JP2000297510A (ja) 傾斜屋根の昇降・作業装置
JP3204411U (ja) 足場用幅木および幅木固定構造
GB2539375A (en) Scaffold safety apparatus
JP4001876B2 (ja) 屋根作業用命綱取り付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6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42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8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725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6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