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304B1 - Mood lamp system - Google Patents
Mood lamp system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7304B1 KR101607304B1 KR1020150154140A KR20150154140A KR101607304B1 KR 101607304 B1 KR101607304 B1 KR 101607304B1 KR 1020150154140 A KR1020150154140 A KR 1020150154140A KR 20150154140 A KR20150154140 A KR 20150154140A KR 101607304 B1 KR101607304 B1 KR 10160730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supply
- circuit
- bus
- diode
- external pow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0000036651 mood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5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2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2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12
- 239000003990 capacitor Substances 0.000 claims 7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2
- 230000001131 transform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Images
Classifications
-
- B60Q3/0246—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 H05B33/0833—
-
- H05B37/0236—
-
- F21Y2101/0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Description
본 발명은 버스 안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음정, 박자 등에 어울리는 색상과 분위기로 버스 내부가 조명되도록 하는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최근에는 레저활동이 늘어나면서 많은 사람들이 단체로 같은 버스를 이용하여 이동을 한다. In recent years, as leisure activities have increased, many people move around on the same bus as a group.
그리고 이동하는 버스는 승객들의 취향에 맞는 음악이 출력되고, 출력되는 음악의 분위기에 어울리는 조명이 되도록 버스 무드등 시스템에 관한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A technology related to a system such as a bus mood is proposed so that the moving bus outputs music corresponding to the taste of the passengers and is suitable for the atmosphere of the music to be outputted.
버스 등의 차량에 사용되는 무드등 시스템에 관한 종래기술로 등록실용신안 제0388918호 "LED 무드등", 등록실용신안 제0472902호 "차량용 무드등"이 개시되었는데, 종래기술에 따른 무드등은 버스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 어울리도록 조명의 색상, 채도, 광도, 디밍, 점멸 등을 제대로 조절하지 못해서 버스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와 그에 따른 조명이 어색함을 연출하는 경우가 비번하게 발생한다. A mood and the like used in a vehicle such as a bus have been disclosed in the prior art related to a system such as a mood used in a vehicle such as a bus, 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388918 "LED mood" and 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0472902, The brightness, chroma, brightness, dimming, and blinking of the illumination can not be properly adjusted so as to match the acoustic signal outputted from the bus, so that the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bus and the resulting illumination produce an awkwardness.
본 발명은 버스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의 음정, 박자, 음향, 장르 등의 특성을 분석하고, 분석된 음향신호의 특성에 따라 LED모듈이 발산하는 빛의 색상, 광도, 채도, 디밍, 점멸 등을 조절하여, 버스의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악(음향)에 어우리는 분위기를 조성하여 버스 승객들의 만족감을 높이는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The present invention analyzes the characteristics of a sound signal output from a bus, such as pitch, beat, sound, and genre, and determines the color, brightness, saturation, dimming, blinking, etc.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module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the analyzed acoustic signal The purpose of this system is to provide a bus mood system that improves the satisfaction of bus passengers by creating an atmosphere in the music (sound) outputted to the speaker of the bus.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은 To achieve these and other advantages and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embodied and broadly described herein,
컬러LED를 포함하는 LED모듈 복수개로 구성되고, 버스의 내벽에 장착되는 무드등 어셈블리;An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modules including color LEDs and mounted on an inner wall of a bus;
버스 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기기;An audio device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through a speaker mounted in the bus;
상기 오디오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서 음정, 박자 및 음량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음향분석기;An acoustic analyzer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data regarding a pitch, a beat, and a volume in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상기 음향분석기에서 추출된 음향신호의 음정, 박자 및 음량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들 각각이 발산하는 빛의 색상, 채도 및 광도를 조절하는 드라이버;A driver for adjusting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light emitted by each of the LED modules using data on a pitch, a beat, and a volume of an acoustic signal extracted from the acoustic analyzer;
상기 오디오기기, 음향분석기 및 드라이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audio device, the sound analyzer and the driver;
버스의 제너레이터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nd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ntroller us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generator of the bus.
그리고 상기 음향분석기는 상기 오디오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서 음악의 장르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The sound analyzer analyzes and extracts data on a genre of music from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음향분석기에서 분석된 음악의 장르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들 각각이 발산하는 빛의 색상, 채도 및 광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driver controls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each of the LED modules using data on genres of music analyzed in the acoustic analyzer.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은 오디오기기가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향신호의 음정, 박자, 음향 및 장르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추출결과에 따라 LED모듈의 발산하는 빛의 색상, 채도, 광도, 디밍, 점멸 등을 즉시로 조절하여 버스 안의 분위기를 흥겹게 하거나 엄숙하게 하거나 경건하게 하는 등과 같은 각종 분위기 연출에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The bus mood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nalyzes and extracts the pitch, beat, sound, and genre of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an audio device through a speaker and extracts the color of the light emitted by the LED module , Saturation, brightness, dimming, blinking, etc. can be instantly adjusted, and the atmosphere in the bus can be used effectively to create various atmosphere such as making the atmosphere pleasant, solemn or reverent.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에서 무드등 어셈블리의 다양한 조명 연출을 보여주는 도면.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에 사용된 전원공급수단의 회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에 사용된 카메라 어셈블리의 사시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의 회전수단.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ure 1 is a diagram showing various lighting directions of a mood lighting assembly in a bus moo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bus moo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circuit diagram of a power supply means used in a system for bus mood lighting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assembly used in a bus moo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shows the rotating means of the camera assembly according to the invention.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a bus mood lighting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Before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n more detail,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certain exemplary embodiments,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t is to be understood, however, that the invention is not intended to be limited to the particular forms disclosed,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In the drawings,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re used for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in particular, the numerals of the tens and the digits of the digits, the digits of the tens, the digits of the digits and the alphabets are the same, Members referred to by reference numerals can be identified as members corresponding to these standards.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In the drawings, the components are expressed by exaggeratingly larger (or thicker) or smaller (or thinner) in size or thickness in consideration of the convenience of understanding, etc. However, It should not be.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inology used herein is for the purpose of describing particular embodiments only and is not intended to be limiting of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 " comprising " or " consisting of ", or the like, refers to the presence of a feature, a number, a step, an operation, an element, a component, But do not preclude the presence or addition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도1은 조명 빛의 색상, 채도, 광도, 디밍, 점멸 등을 다양하게 연출하는 무드등 어셈블리의 일례를 보여주는 도면 대용 사진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은 버스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음정, 박자, 음향, 장르 등에 어울리는 조명 연출이 가능함을 알 수 있다. FIG. 1 is a photograph for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mood assembly such as a mood assembly that variously expresses the color, saturation, brightness, dimming, blinking, etc. of illumination light. In the system for a bus mood and the lik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Beat, sound, and genre.
도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버스 무드등 시스템은 무드등 어셈블리(1), 드리이버(2), 오디오기기(3), 음향분석기(4), 컨트롤러(6), 전원공급수단(5)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2, the system includes a
상기 무드등 어셈블리(1)는 버스 내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모듈(11)로 구성된다. 그리고 LED모듈(11)은 PCB와 상기 PC에 실장된 다수의 컬러LED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컬러LED는 각각 빨간색(Red), 녹색(Green), 파란색(Blue)의 빛을 발하는 R,G,B소자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R,G,B소자가 각각 별개로 또는 상호 조합하여 점등됨으로써 다양한 색상의 빛이 발산된다.The mood lighting assembly (1) comprises a plurality of LED modules (11) installed inside a bus. The
상기 드리이버(2)는 각각의 컬러LED 또는 하나의 LED모듈(11)을 구성하는 전체 컬로LED로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와 전류의 온,오프 시기 등을 조절하여 컬러LED에서 발산되는 빛의 색상, 채도, 광도를 조절하여 조명의 색변환, 점멸, 디밍 등이 연출되도록 한다. The
상기 드리이버(2)는 상기 음향분석기(4)에서 분석되어 추출되는 음향의 특성에 관한 음정(주파수 크기), 박자(템포), 음량(소리 크기), 장르(발라드, 트로트, 대스 등) 데이터와, 컨트롤러(6)에 연결된 메모리(9)에 저장된 조명연출용 프로그램을 매칭하여 무드등 어셈블리(1)의 LED모듈(11)로 출력하는 전류의 세기 등을 제어한다. The
이러한 상기 드라이버(2)의 제어에 의해 점등되는 컬러LED의 수와 광도, 색상, 온,오프시기, 등이 조절되어서 무드등 어셈블리(1)가 색변환기능, 점멸기능, 디밍기능 등을 구현하면서 조명이 연출된다. The number of color LEDs illuminated by the control of the
상기 오디오기기(3)는 음향신호를 스피커(7)로 출력하여 버스에 음악이 플레이 되도록 한다. The
상기 음향분석기(4)는 상기 오디오기기(3)에서 스피커(7)로 출력되는 음향신호를 분석하여 음향신호의 특성에 관한 음정, 박자, 음량 및 장르 등의 추출한다. The
상기 음향분석기(4)에서 분석되어 추출된 음향신호의 특성에 관한 데이터는 상기 드라이버(2)와 컨트롤러(6)에 각각 전달된다. 상기 컨트롤러는 전달받은 음향의 특성에 맞는 조명연출용 프로그램을 상기 메모리(9)에서 독출하여 상기 드라이버(2)로 전송한다. 상기 드라이버(2)는 음향분석기(4)가 전달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무드등 어셈블리(1)의 조명을 연출하다가 상기 컨트롤러(6)에서 조명연출용 프로그램이 전송되면 음향분석기(4)가 전달한 데이터와 조명연출용 프로그램을 믹싱하여 무드등 어셈블리(1)의 조명을 연출한다. Data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acoustic signals analyzed and extracted by the
상기 전원공급수단(5)은 버스의 제너레이터(8)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6) 등에 구동전원을 공급한다. The power supply means 5 supplies driving power to the
버스는 시시때때로 주정차를 하기에 버스의 제너레이터에서 계속 발전이 이루어지기 어렵고, 버스의 주행 속도 등에 따라 제너레이터에서 발전되는 전기의 특성도 달라진다. 그래서 버스의 제너레이터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이용하는 때에는 제너레이터의 발전이 멈춘 경우를 대비하고, 노이즈 등의 유입이 많은 저품질의 전기를 고품질의 전기로 만들어 사용할 필요가 크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수단(5)이 이를 지원한다. Since the bus sometimes drives a pachinko system, it is difficult for the bus generator to continue to generate electricity, and the characteristics of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generator vary depending on the speed of the bus. Therefore, in the case of using electricity generated from the generator of the bus, it is necessary to use low-quality electricity having high influx of noise and the like as high quality electricity in preparation for the case where the generator stops generating electricity. The power supply means 5 of the present invention supports this.
이하 첨부된 도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인 전원공급수단(5)의 실시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power supply means 5, which is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수단(5)은 제너레이터(8)에서 발전되는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외부전원(s)의 인가 차단 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갖는 전원공급부(51),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52),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5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wer supply means 5 includes an external
특히 전원공급부(51)는 스위치부(52)의 온 동작 시 외부전원공급회로(511)를 작동시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고, 스위치부(52)의 오프 동작 시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작동시켜 외부전원(s)으로부터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한다.Particularly, the
여기에서 공급전원(Vcc)은 외부전원(s) 또는 내부전원을 통해 생성되어 각 구성의 동작을 위해 인가되는 전원이다.Here, the supply voltage Vcc is a power generated by the external power supply s or the internal power supply and applied for the operation of each configuration.
보다 구체적으로, 전원공급부(51)의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외부전원(s)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제1정류다이오드(BD1),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한다.More specifically, the external
또한 내부전원공급회로(513)는 외부전원(s)에 병렬로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T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한다.The internal
상기 설명에서 충전캐패시터(C5)는 동일 구성으로, 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 전류에 의해 충전되는 구성으로, 공급전원(Vcc)을 저장 및 출력하는 구성이다.In the above description, the charging capacitor C5 has the same configuration and is configured to be charged by the current rectified by the DC by the first and second rectifying diodes BD1 and BD2. The charging capacitor C5 stores and outputs the supply voltage Vcc .
또한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출력단은 상호 연결되는데, 즉 제1정류다이오드(BD1)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이 상호 연결된다.The output terminals of the external
다음으로 스위치부(52)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구성으로, 브릿지다이오드(BD3)와 직렬로 연결된 스위칭소자(Q1)(Triac)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스위치부(52)의 온/오프 결정 신호는 장치 외부 또는 내부 어디서든 전달받을 수 있는 것으로, 스위치부(52)의 신호 생성 회로에 대한 도시는 생략하나, 당업자(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충분히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에 불과하다. Next, the
아울러 통제부(53)는 일단은 상호 병렬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또는 트랜스(T1)에 연결되고,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된 저항(R1)(R2) 및 캐패시터(C2)(C3)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통제부(53)는 트랜스(T1), 브릿지다이오드(BD1) 모두에 연결될 수 있다.The
추가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일단은 제1정류다이오드(BD1)에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외부전원(s)으로부터 생성된 공급전원(Vcc)이 강하되는 강하저항(R3)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강하저항(R3)으로 인해 외부전원(s)의 높은 전압에 의해 제1정류다이오드(BD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the drawing, the external
또한 전원공급부(51)는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구비된 안정화회로를 더 포함하는데, 이러한 안정화회로는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 이 제너다이오드(ZD1)와 병렬 연결된 캐패시터(C4) 및, 양 단이 충전캐패시터(C5)와 제너다이오드(ZD1)에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도면을 참고하여 상기 전원공급수단(5)의 회로 동작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면, 먼저 스위치부(52)에 스위치온 신호가 입력되면(외부전원(s)을 공급 중단), 스위치부(52)가 온 되어‘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가 상호 단락되고, 스위치오프 신호가 입력되면(외부전원(s) 공급 개시), 스위치부(52)가 오프되어 '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가 상호 개방된다. 따라서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전원공급부(51)는 스위치부(52)가 온 되어 있을 때와 오프되어 있을 때 두 가지 경우로 나누어 공급전원(Vcc)을 제공한다.First, when a switch-on signal is input to the switch unit 52 (the supply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s is stopped), the
먼저, 스위치부(52)가 온 된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이 경우에는 스위칭소자(Q1)가 단락되어 브릿지다이오드(BD3)-스위칭소자(Q1)’라인에 전류가 흘러서 전압 강하가 얻어진다. 브릿지다이오드(BD3)에 걸리는 전압은 트랜스(T1)에 의해 변압되고 제2정류다이오드(BD2)를 거쳐 직류로 정류된 후 충전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First,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in which the
따라서 외부전원(s) 공급이 차단되는 경우, 내부전압의 생성은 브릿지다이오드(BD3)에서의 전압 강하를 이용하는데, 본래의 브릿지다이오드의 역할은 정류를 위한 것이나(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 브릿지다이오드의 비 인접 두 정류단자(브릿지다이오드는 순환 연결된 4개의 정류 단자로 이루어진다)를 단락시켜도 전압 강하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내부전원의 생성은 별도의 다이오드를 4개 이용하여 브릿지 회로를 구성하는 방식에 비해 동일 성능을 가지면서도 부품 수 감소, 실장크기 감소, 비용 절감, 고장 발생 확률 저감 등의 효과를 갖는다.Thus, when the supply of external power supply s is interrupted, the generation of the internal voltage utilizes the voltage drop in the bridge diode BD3, the role of the original bridge diode is for rectification (first and second rectifier diodes BD1) (BD2)), a voltage drop can be induced by shorting two non-adjacent rectifying terminals of the bridge diode (the bridge diode is composed of four rectifying terminals connected in circulation). The generation of such internal power supply has the same effects as those of the bridge circuit using four separate diodes, but also has the effects of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reducing the size of the mounting, reducing the cost, and reducing the probability of occurrence of failure.
다음으로, 스위치부(52)가 오프 된 경우의 회로의 동작을 설명하면, 스위칭소자(Q1)가 개방되고, 트랜스(T1)의 1차 측인 ‘트랜스(T1)-저항(R2)-캐패시터((C3))’라인과 ‘캐패시터(C1)-제1정류다이오드(BD1)-강하저항(R3)’라인과의 임피던스 차이로 인해 ‘캐패시터(C1)-제1정류다이오드(BD1)-강하저항(R3)’라인으로만 전류가 흐르게 된다. 따라서 외부전원(s)에 의한 AC전류는 캐패시터(C1)를 통해 제1정류다이오드(BD1)로 흐르게 되고, 제1정류다이오드(BD1)에서 직류로 정류되어 충전캐패시터(C5)에 충전된다.Next, the operation of the circuit when the
이때, 안정화회로인 제1정류다이오드(BD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1)는 과전압을 방지하고, 인덕터(L1) 및 캐패시터(C4)는 정류된 직류에 포함된 노이즈 성분을 제거한다.At this time, the zener diode ZD1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rectifying diode BD1 and the second rectifying diode BD2, which are stabilizing circuits, prevents the overvoltage, and the inductor L1 and the capacitor C4 rectify the rectified DC The noise component included in the signal is removed.
상기 전원공급수단(5)을 통해 생성된 공급전원(Vcc)은 각 구성에 인가되어 사용되어도 무방하나, 각 구성에 안정적인 전원의 공급을 위해 보다 정제된 전원의 공급의 필요성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공급전원을 정제하는 몇 가지 구성을 더 구비하고 있다.The supply voltage Vcc generated through the power supply means 5 may be applied to each configuration, but it is necessary to supply a more refined power supply for supplying stable power to each configura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several configurations for purifying the power supply.
공급전원을 정제하는 구성으로는 DC전원인 공급전원을 변압하는 변압부(54), 변압된 공급전원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 및 검출된 공급전원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가 있다.The configuration for refining the supply power includes a transforming
이하에서는 이러한 변압부(54), 검출부(55) 및 필터부(56)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transforming
먼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정하는 변압부(5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부(54)는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강하하는 분압회로(541), 이 분압회로(541)에 연결되어 과전압을 보호하는 보호회로(543), 이 보호회로(543)에 연결되어 고조파에 의한 영향을 제거하는 공진회로(545),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절하는 변압회로(54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transforming
도면을 참고하면, 분압회로(541)는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직렬로 연결된 가변저항(RV2)으로 이루어지는데, 이 가변저항(RV2)에서의 전압 강하를 통해 변압부(54)에 걸리는 전압이 과도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다.The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회로(543)는 분압회로(541)의 출력단에 병렬로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2) 및 캐패시터(C6)로 이루어지는데, 제너다이오드(ZD2)는 분압회로(541)를 통과한 공급전원(Vcc)에 포함될 수 있는 서지(Surge)를 제거하여 접지 측으로 유도하고, 캐패시터(C6)는 분압회로(541)를 통과한 공급전원(Vcc)이 바로 공진회로(545)로 인가되지 않도록 완충역할을 한다.The
아울러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진회로(545)는 보호회로(543)의 출력단에 병렬 연결된 인덕터(L1)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변압회로(547)의 유기 기전력의 방향에 따라 교번하여 스위칭되는 한 쌍의 스위칭파트 및, 이 스위칭파트의 출력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7)를 더 포함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여기에서 스위칭파트는 변압회로(547)의 1차 측에 연결된 npn 트랜지스터(Q2)(Q3), 이에 병렬 연결된 제너다이오드(ZD3)(ZD4) 및 저항(R4)(R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특히 스위칭파트는 변압회로(547)의 트랜스 양단에 대칭되게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switching part includes npn transistors Q2 and Q3 connected to the primary side of the
그리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압회로(547)는 트랜스(T2) 및 트랜스(T2)의 2차 측에 연결된 다이오드(D1)(D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다이오드(D1)(D2)는 변압회로(547)를 거친 공급전원(Vcc)의 출력을 지연시켜 안정성을 제공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에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power supply means 5 includes a
이러한 검출부(55)는 크게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회로(551), 이 검출회로(551)와 연결되어 검출회로(551)의 동작을 지연시키는 지연회로(553) 및 일단은 지연회로(553)와 타단은 필터부(56)와 연결된 릴레이회로(55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부(55)는 공급전원(Vcc)을 별도로 인가받아 출력전압에 영향을 주지 않고 공급전원(Vcc)을 노이즈 검출 여부를 판독하는데 사용한다.The detecting
도면을 참고하면, 검출회로(551)는 직렬 연결된 저항(R6) 및 캐패시터(C8)로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의 직류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링파트, 상호 병렬 연결된 두 저항(R7)(R9) 및 캐패시터(C9)로 이루어진 기준전압생성파트, OP앰프(OP1) 및 OP앰프(OP1)의 반전 단자에 연결된 검출저항(R10)을 포함하는 검출파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검출회로(551)는 기준전압생성파트에서 생성된 기준 전압과 검출파트의 검출저항의 양단에 걸리는 노이즈의 양을 비교하여 노이즈를 검출한다.The
또한 지연회로(553)는 검출회로(551)의 OP앰프(OP1)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역방향 다이오드(D3)와 저항(R11) 및 캐패시터(C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지연회로(553)의 구비에 대해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노이즈는 연속적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간헐적으로 발생되므로 지연회로(553)가 없으면 릴레이회로(555)가 빠르게 온/오프를 반복하며 결국 단기간에 부품의 수명이 다하게 되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지연회로(553)는 한 번 릴레이회로(555)가 동작하고 난 후에는 일정시간동안 릴레이회로(555)를 오프시키지 않으며 노이즈가 생길 때마다 다시 시간을 리셋 시킨다.The
또한 릴레이회로(555)는 역방향 다이오드(D4), 릴레이(RL1), 트랜지스터(Q4), OP앰프(OP2)(OP3), 저항(R)(R13)(R14)(R15)(R16) 및 캐패시터(C)(C12)로 구성되는데, 이러한 릴레이회로(555)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진 회로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여도 당업자라면 얼마든지 이해하고 추론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The
상기 검출부(55)를 통해 노이즈 제거를 위한 필터부(56)가 상시 동작하지 않고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에는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동작이 차단되기 때문에, 필터부(56)에 사용되는 캐패시터(C13)(C14)(C15)(C16)의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다.The operation is interrupted by the
다음으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공급수단(5)은 상기 검출부(55)에서 검출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Next, as shown in the figure, the power supply means 5 further comprises a
본 발명은 발생한 노이즈를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필터부(56)의 구성을 제1필터링회로(561), 제2필터링회로(562), 제3필터링회로(563)로 구비하여, 3중으로 노이즈를 제거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figuration of the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는 릴레이회로(555)에 연결되어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구동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또한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킨다.The
그리고 제2필터링회로(562)는 pnp 트랜지스터(Q6), 이 pnp 트랜지스터(Q6)의 컬렉터에 애노드가 연결되는 제2다이오드(D6)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8)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음(-)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킨다.The
한편,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각 트랜지스터(Q5)(Q6)의 이미터에는 상호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RV3)(RV4) 및 캐패시터(C13)(C14)로 이루어진 보정파트가 구비되는데, 이러한 보정파트는 미세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여 전원 품질 향상에 기여한다.The variable resistors RV3 and RV4 and the capacitors C13 and C14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re connected to the emitters of the transistors Q5 and Q6 of the
또한 제3필터링회로(563)는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순방향 다이오드(D8)는 전류의 일 방향 흐름을 차단하여, 한쪽으로(도면 상 위에서 아래로) 흐르게 하고, 상호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는 필터로 작용하여 제1 및 제2필터링회로(561)(562)를 거친 공급전원(Vcc)에 잔존하는 노이즈 성분을 완전히 제거한다.In operation, the forward diode D8 blocks the flow of the current in one direction to flow to one side (top to bottom in the figure), and the resistor R19 and the capacitor C15 connected in parallel act as a filter The noise components remaining in the supply voltage Vcc passing through the first and
이러한 삼중 노이즈 제거 기능, 추가로 부수적 노이즈 제거 기능을 갖는 필터부(56)를 통해 노이즈가 완벽하게 제거된 직류 전원을 얻을 수 있고, 이를 최종 공급전원(Vps)으로 활용하여 각 구성의 동작을 제공할 수 있다.DC power can be obtained by removing the noise completely through the
도4 내지 도6에는 무드등으로 조명되는 버스 내부를 촬영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카메라 어셈블리(A)가 도시되어 있다. 4 to 6 show a camera assembly A for photographing the interior of a bus illuminated by a mood or the like to prevent an accident.
무드등 어셈블리(1)를 통해 다양한 조명으로 연출되는 버스의 내부는 조명 어둡거나 화려할 수 있어서, 사건사고의 발생 소지가 있고, 사건사고의 발생시 책임 소재 등이 문제될 수 있다. The interior of the bus, which is produced by various lights through the
그래서 본 발명은 버스고 고선명의 카메라 어셈블리(A)를 장착하여 사건사고의 발생을 방지하고, 사건사고의 발생시 책임 소재의 문제가 없도록 한다. Thus,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occurrence of an accident by mounting a camera assembly (A) having a high bus definition and high resolution, and ensures that there is no problem of responsibility when an accident occurs.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A)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촬영수단(20)으로 이루어져 있다.4 and 5, the camera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하우징(10)은 카메라(23)가 내삽될 수 있는 안착부(111)가 구비된 본체(11)와, 상기 본체(11)에 전면과 하면에 면접하여 결합되는 커버(12)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커버(12)에는 상기 촬영수단(20)이 영상을 찍을 수 있는 개방부(121)가 구비된다. 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본체(11)와 커버(12)에는 상호 결합이 가능하도록 결합부재(14)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결합부재(14)는 상기 본체(11)에 구비되는 복수개의 제1 결합공(141)과, 상기 커버(12)에 구비되어 상기 제1 결합공(141)에 상응하는 위치에 구비되는 제2 결합공(143) 및 상기 제1 결합공(141)과 제2 결합공(143)을 상호 연결하는 결합볼트(145)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11)와 커버(12)를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결합볼트(145)는 십자, 일자 볼트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육각볼트로 이루어져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함으로서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한다.The
아울러 상기 본체(11)의 내부에는 촬영수단(20)이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촬영수단(20)은 상기 본체(11) 내부의 안착부(111)에 안착되게 된다.In addition, the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촬영수단(20)은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는 카메라(23) 및 발광부재(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21)은 상기 본체(11)내에 구비되며, 상기 브라켓(21)의 내부에는 상기 카메라(23)가 삽입되는 삽입부(211)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브라켓(21)의 단부에는 체결부(214)가 구비되어 있다.More specifically, the photographing
또한 상기 카메라(23)는 고정부(231)와 상기 고정부(231)에 구비되어 영상을 촬영하는 렌즈부(233)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상기 고정부(231)에는 상기 브라켓(21) 내에서 카메라(23)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위치고정홈(231A)이 구비되어 있다. 또한 상기 브라켓(21)의 상부와 하부에는 상기 위치고정홈(231A)에 대응하는 위치고정돌기(211A)가 구비되어 있어, 상기 브라켓(21) 내부에서 상기 카메라(23)가 견고하게 흔들림 없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The
나아가 상기 촬영수단(20)에는 발광부재(2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차량 운행시 주위가 어두운 경우, 카메라(23)에 영상이 선명하게 찍히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발광부재(25)는 복수개의 발광체(251)와 상기 발광체(251)가 구비되는 지지부재(253)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재(253)는 상기 렌즈부(233) 내삽될 수 있는 내삽홀(253A)이 구비되며, 내삽홀(253A) 주변에 구비되는 발광체(251)에 의해 렌즈부(233) 주변에서 빛을 발산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선명한 화면을 촬영 할 수 있도록 한다.The light emitting member 25 is furthe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light emitting members 25 for preventing images from being clearly captured on the
도한 상기 지지부재(253)에도 상기 고정부(231)와 동일하게 브라켓(21)내에서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흔들림 방지홈(253B)이 더 구비되어 있고, 상기 흔들림 방지홈(253B)은 상기 브라켓(21)의 위치고정돌기(211A)에 결합되어 충격 등에 의해 흔들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아울러 상기 발광부재(25)에는 발광부재(25)의 발광체(251)를 보호하고, 발광체(251)의 빛을 고르게 발산하는 반사체(255B)가 구비되는 보호부재(255)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보호부재(255)는 상기 지지부재(253)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체(251)가 각각 내삽되는 복수개의 관통공(255A)이 구비되고, 상기 관통공(255A)의 주위에는 반사체(255B)가 더 구비됨으로서, 발광체(251)의 광도 또는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여 어두운 곳에서도 영상을 더욱 선명하게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The light emitting member 25 is further provided with a
또한 상기 브라켓(21)의 체결부(214)에 결합되는 보호체(257)가 더 구비되어 있는데, 상기 보호체(257)는 상기 브라켓(21)의 체결부(214)와 결합되는 나사산(257A)이 구비되고, 원형의 링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촬영수단(20), 발광부재(25), 보호부재(255)를 모두 감싸 결합함으로서 상기 브라켓(21)의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보호체(257)에는 투광부재(259)가 더 구비되며, 상기 투광부재(259)에는 결합돌출부(259A)가 구비되어, 상기 보호체(257)의 내측면을 지지함으로서 상기 촬영수단(20), 발광부재(25), 보호부재(255)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발광부재(25)의 발광체(251)는 LED 등의 광도가 높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야간에도 촬영이 용이한 적외선 등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The
나아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어셈블리(A)의 실시예로 상기 하우징(10)과 촬영수단(20)에는 상기 카메라(23)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이 더 구비되어 있는데,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회전수단(30)은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회전홀(31)과, 상기 촬영수단(20)에 구비되어 상기 회전홀(31)에 삽입되는 베어링(3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6, the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하우징(10)의 본체(11)에는 회전홀(31)이 구비되고 상기 회전홀(31)에는 베어링(33)이 구비되어 있다. 이 때 상기 회전홀(31)의 하부에는 상기 베어링(33)과 결합되는 고정판(35)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판(35)에는 상기 베어링(33)의 양측과 결합되는 결속돌기(351)가 구비되어 상기 베어링(33)이 결속돌기(351)를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고정판(35)에는 상기 본체(11)의 회전홀(31) 양 측면을 내부에서 지지하는 탄성체(353)가 더 구비되어 상기 고정판(35)이 하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More specifically, the
또한 상기 촬영수단(20)의 브라켓(21)에는 상기 베어링(33)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355)이 상부와 하부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In addition, the
따라서 상기 브라켓(21)이 상기 본체(11)내에 구비되는 경우, 상기 베어링(33)의 일부가 상기 회전홀(31)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 있으며, 베어링(33)의 나머지는 상기 브라켓(21)의 수용홈(355)에 구비되어 촬영수단(20)이 정위치 할 수 있도록 하며, 차량의 좌 우측 설치에 따라 촬영수단(20)을 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베어링(33)을 회전시키면, 상기 베어링(33)과 상기 브라켓(21)의 외면과의 마찰력에 의해 상기 브라켓(21)이 본체(11) 내에서 회전하고, 하부의 수용홈(355)까지 회전되는 경우, 탄성체(353)에 의해 상기 베어링(33)이 수용홈(355)에 밀착결합됨으로서 촬영수단(20)의 회전을 용이하게 하는 한편 상, 하 회전시 수용홈(355)에 의해 회전된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 때 상기 브라켓(21)의 외면은 상기 베어링(33)과의 마찰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매끄럽지 않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베어링(33)은 회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볼 베어링(33)으로 구성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따라서 차량의 좌측 또는 우측에 본 발명에 따른 사이드카메라 어셈블리(A)를 장착하는 경우, 방향에 따라 상기 촬영수단(20)을 회전하여 촬영영상이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함으로서 좌,우측 카메라 어셈블리(A)를 별도로 제작할 필요가 없어 사용이 용이하며, 단순히 볼 베어링(33)을 사용자가 회전시킴으로서 촬영수단(20)을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서 사용의 용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Therefore, when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what is presently considered to be the cas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to be limited to the details there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1 : 무드등 어셈블리 2 : 드라이버
3 : 오디오기기 4 : 음향분석기
5 : 전원공급수단 6 : 컨트롤러
7 : 스피커 8 : 제너레이터1: mood light assembly 2: driver
3: Audio equipment 4: Sound analyzer
5: power supply means 6: controller
7: Speaker 8: Generator
Claims (2)
버스 내에 장착된 스피커를 통해 음향신호를 출력하는 오디오기기;
상기 오디오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서 음정, 박자 및 음량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하는 음향분석기;
상기 음향분석기에서 추출된 음향신호의 음정, 박자 및 음량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들 각각이 발산하는 빛의 색상, 채도 및 광도를 조절하는 드라이버;
상기 오디오기기, 음향분석기 및 드라이버의 구동을 제어하는 컨트롤러;
버스의 제너레이터에서 발전되는 전기를 이용해 상기 컨트롤러에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전원공급수단(5)은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및 외부전원(s)의 인가 차단 시 외부전원(s)을 이용하여 내부전원을 생성하고, 이 내부전원을 이용하여 공급전원(Vcc)을 생성하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를 갖는 전원공급부(51)와,
외부전원공급회로(511) 또는 내부전원공급회로(513)의 작동을 선택하는 스위치부(52)와,
내부전원을 통제하는 통제부(53)와,
상기 전원공급부(51)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의 전압을 조정하는 변압부(54)와,
상기 변압부(54)의 출력단에 연결되어 공급전원(Vcc)에 변압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 성분을 검출하는 검출부(55)와,
상기 검출부(55)에서 검출된 공급전원(Vcc)의 노이즈를 제거하는 필터부(56)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외부전원(s)에 직렬로 연결된 캐패시터(C1) 및 제1정류다이오드(BD1),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하고,
상기 내부전원공급회로(513)는 외부전원(s)에 병렬로 연결된 브릿지다이오드(BD3),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트랜스(T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2), 여기에 병렬로 연결된 충전캐패시터(C5)를 포함하고,
상기 제1정류다이오드(BD1)의 출력단과 제2정류다이오드(BD2)의 출력단이 상호 연결되고, 상기 충전캐패시터(C5)는 상기 제1 및 제2정류다이오드(BD1)(BD2)에 의해 직류로 정류된 전류에 의해 충전되어서 공급전원(Vcc)을 저장 및 출력하고,
상기 외부전원공급회로(511)는 일단은 제1정류다이오드(BD1)에 타단은 그라운드에 연결되고 외부전원(s)으로부터 생성된 공급전원(Vcc)이 강하되는 강하저항(R3)을 더 포함하여서 외부전원(s)의 전압에 의해 제1정류다이오드(BD1)가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필터부(56)는 제1필터링회로(561), 제2필터링회로(562), 제3필터링회로(563)로로 구성되어 3중으로 노이즈를 제거하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는 릴레이회로(555)에 연결되어 릴레이회로(555)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키고,
제1필터링회로(561)는 npn 트랜지스터(Q5), 이 npn 트랜지스터(Q5)의 컬렉터에 캐소드가 연결되는 제1다이오드(D5) 및 이에 병렬 연결된 저항(R17)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공급전원(Vcc)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 중 양(+)의 신호를 그라운드로 바이패스시키고,
상기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각 트랜지스터(Q5)(Q6)의 이미터에는 상호 병렬 연결된 가변저항(RV3)(RV4) 및 캐패시터(C13)(C14)로 이루어진 보정파트가 구비되어서 잔존 노이즈를 제거하고,
제3필터링회로(563)는 제1필터링회로(561) 및 제2필터링회로(562)의 출력단에 연결되고, 병렬 연결된 저항(R19) 및 캐패시터(C15), 이에 직렬 연결된 캐패시터(C16) 및 순방향 다이오드(D8)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 An assembly including a plurality of LED modules including color LEDs and mounted on an inner wall of a bus;
An audio device for outputting a sound signal through a speaker mounted in the bus;
An acoustic analyzer for analyzing and extracting data regarding a pitch, a beat, and a volume in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A driver for adjusting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light emitted by each of the LED modules using data on a pitch, a beat, and a volume of an acoustic signal extracted from the acoustic analyzer;
A controller for controlling driving of the audio device, the sound analyzer and the driver;
And power supply means for supplying driving power to the controller using electricity generated by the generator of the bus,
The power supply means (5)
An ex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1 for generating a power supply voltage Vcc by us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s and an internal power supply by using the external power supply s when the external power supply s is cut off, A power supply unit 51 having an in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3 for generating a power supply Vcc using the power supply unit 513,
A switch unit 52 for selecting the operation of the ex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1 or the in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3,
A control unit 53 for controlling internal power,
A transforming unit 54 connected to an output terminal of the power supply unit 51 to adjust the voltage of the supply voltage Vcc,
A detecting unit 55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 of the transforming unit 54 for detecting a noise component of the supplied power source Vcc transformed to the power source Vcc,
And a filter unit 56 for removing the noise of the supply voltage Vcc detected by the detection unit 55,
The ex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1 includes a capacitor C1 and a first rectifier diode BD1 connected in series to an external power source s and a charge capacitor C5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The in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3 includes a bridge diode BD3 connected in parallel to the external power supply s, a transformer T1 and a second rectifier diode BD2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a charge capacitor C5)
The output terminal of the first rectifying diode BD1 and the output terminal of the second rectifying diode BD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harging capacitor C5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ying diode BD1 and the second rectifying diode BD2, Is charged by the rectified current to store and output the supply voltage Vcc,
The external power supply circuit 511 further includes a dropping resistor R3 whose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rectifying diode BD1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ground and the supply voltage Vcc generated from the external power supply s is lowered The first rectifier diode BD1 is prevented from being destroyed by the voltage of the external power source s,
The filter unit 56 includes a first filtering circuit 561, a second filtering circuit 562, and a third filtering circuit 563 to remove noise in triplicate,
The first filtering circuit 561 and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562 are connected to a relay circuit 555 and are driven by a relay circuit 555,
The first filtering circuit 561 includes an npn transistor Q5 and a first diode D5 whose cathode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npn transistor Q5 and a resistor R17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 Signal of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input signal Vcc to the ground,
The first filtering circuit 561 comprises an npn transistor Q5 and a first diode D5 whose cathode is connected to the collector of the npn transistor Q5 and a resistor R17 connected in parallel thereto, ) Of the noise signal included in the input signal to the ground,
The emitters of the transistors Q5 and Q6 of the first filtering circuit 561 and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562 are respectively formed of variable resistors RV3 and RV4 and capacitors C13 and C14 connect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correction part is provided to remove residual noise,
The third filtering circuit 563 is connected to the output terminals of the first filtering circuit 561 and the second filtering circuit 562 and includes a resistor R19 and a capacitor C15 connected in parallel, a capacitor C16 connected thereto in series, And a diode (D8).
상기 음향분석기는 상기 오디오기기에서 출력되는 음향신호에서 음악의 장르에 관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하고,
상기 드라이버는 상기 음향분석기에서 분석된 음악의 장르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LED모듈들 각각이 발산하는 빛의 색상, 채도 및 광도를 조절하고,
무드등으로 조명되는 버스 내부를 촬영하여 사고를 예방하는 카메라 어셈블리(A)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메라 어셈블리(A)는
본체(11)와 커버(12)로 이루어지는 하우징(10);
상기 하우징(10)에 구비되는 카메라(23)로 이루어지는 촬영수단(20);
상기 하우징(10)과 촬영수단(20)에 구비되어 상기 카메라를 회전시키는 회전수단(3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촬영수단(20)에는 체결부(214)가 구비되는 브라켓(21)과,
상기 브라켓(21)에 구비되는 카메라(23) 및 복수개의 발광체(251)와 상기 발광체(251)가 구비되고 카메라의 렌즈부(233)가 내삽되는 내삽홀(253A)이 구비되는 지지부재(253)를 포함하는 발광부재(2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발광부재(25)에는 상기 지지부재(253) 전방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체(251)가 내삽되는 관통공(255A)과, 상기 관통공(255A) 주위에 구비되어 상기 발광체(251)의 빛을 고르게 발산하는 반사체(255B)를 포함하는 보호부재(255)가 더 구비되고,
상기 브라켓(21)의 체결부(214)에 결합되는 나사산(257A)이 형성되어, 상기 촬영수단(20), 발광부재(25), 보호부재(255)를 모두 감싸 결합하는 보호체(25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스용 무드등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ound analyzer analyzes and extracts data on a genre of music from an acoustic signal output from the audio device,
The driver adjusts color, saturation, and brightness of light emitted from each of the LED modules using data on genres of music analyzed in the acoustic analyzer,
Further comprising a camera assembly (A) for photographing the inside of a bus illuminated by a mood or the like to prevent an accident,
The camera assembly (A)
A housing 10 made up of a main body 11 and a cover 12;
A photographing means (20) comprising a camera (23)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rotation means (30) provided in the housing (10) and the photographing means (20) for rotating the camera,
The photographing means 20 includes a bracket 21 having a fastening portion 214,
A supporting member 253 having a camera 23 and a plurality of luminous bodies 251 provided in the bracket 21 and an illuminating body 251 and an insertion hole 253A through which a lens portion 233 of the camera is inserted, And a light emitting member (25)
The light emitting member 25 includes a through hole 255A provided in front of the support member 253 and through which the light emitting body 251 is inserted and a through hole 255A provided around the through hole 255A, And a reflector 255B that emits light evenly,
A shield 257A is formed to be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214 of the bracket 21 and a protective body 257 for covering and coupling the imaging means 20, the light emitting member 25, and the protection member 255, Wherein the bus system further comprises: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4140A KR101607304B1 (en) | 2015-11-03 | 2015-11-03 | Mood lamp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154140A KR101607304B1 (en) | 2015-11-03 | 2015-11-03 | Mood lamp system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7304B1 true KR101607304B1 (en) | 2016-03-31 |
Family
ID=55652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154140A Active KR101607304B1 (en) | 2015-11-03 | 2015-11-03 | Mood lamp system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7304B1 (en)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53432A (en) * | 2019-11-30 | 2020-02-04 | 济宁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 Multi-state new energy automobile atmosphere lam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40120986A (en) | 2023-02-01 | 2024-08-08 | 삼공전기공업 주식회사 | Half mirror mood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
2015
- 2015-11-03 KR KR1020150154140A patent/KR101607304B1/en active Active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753432A (en) * | 2019-11-30 | 2020-02-04 | 济宁中科先进技术研究院有限公司 | Multi-state new energy automobile atmosphere lamp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N110753432B (en) * | 2019-11-30 | 2024-04-05 | 济宁中科智能科技有限公司 | Atmosphere lamp system of multi-state new energy automobi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40120986A (en) | 2023-02-01 | 2024-08-08 | 삼공전기공업 주식회사 | Half mirror mood lighting device for vehic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659672B2 (en) | LED driver | |
CN102256066B (en) | Infrared high speed ball and method for intelligently adjusting brightness of infrared lamp by infrared high speed ball | |
US20160255692A1 (en) | Led driver circuit | |
CN202841602U (en) | Adjustable LED mood lighting system | |
US8531590B2 (en) | Camera with precise visual indicator to subject when within camera view | |
KR20160111095A (en) | Customized LED lighting system for touchless display using image recognition technology | |
KR101607304B1 (en) | Mood lamp system | |
CN111885779A (en) | Linear driving circuit of illumination LED and illumination LED | |
KR101037553B1 (en) | Bus mood light controller | |
KR20190021929A (en) | LED Street Apparatus of Dimming Control | |
JP4440351B2 (en) | Color video camera, TV door phone and monitoring device | |
KR101891294B1 (en) |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v light | |
CN203206511U (en) | Lighting device | |
CN105636319A (en) | Synchronous control system for traffic light-compensating lamp | |
CN201652247U (en) | Infrared lighting equipment | |
KR102279809B1 (en) | Camera Module | |
KR101201781B1 (en) | Light control apparatus of the camera for cctv | |
KR101067382B1 (en) | Lighting control device of CSI-enabled camera for easy identification of vehicle number | |
TWI378410B (en) | ||
US20150061525A1 (en) | Illumination apparatus automatically adjusted with time | |
CN111182686B (en) | Intelligent bedside lamp control device | |
JP6404051B2 (en) | Object information detection device | |
US20210195708A1 (en) | Linear Luminance Adjusting Circuit | |
JP2004063434A (en) | Lighting equipment | |
KR101028361B1 (en) | Surveillance camera power and video signal supply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1104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1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6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60309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2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40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5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12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