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6281B1 -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281B1
KR101606281B1 KR1020140135724A KR20140135724A KR101606281B1 KR 101606281 B1 KR101606281 B1 KR 101606281B1 KR 1020140135724 A KR1020140135724 A KR 1020140135724A KR 20140135724 A KR20140135724 A KR 20140135724A KR 101606281 B1 KR101606281 B1 KR 101606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e
metal plate
bending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357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도
Original Assignee
김원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도 filed Critical 김원도
Priority to KR10201401357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28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02Punching blanks or articles with or without obtaining scrap; Notc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otors, Gen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로그레시브 공정으로 모터케이스를 제작하는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가공소재인 금속판재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하는 노칭부(110)와, 상기 노칭부(110)에 의해 절단된 금속판재(210)를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벤딩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노칭부(110)와 벤딩부(120)는 각각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으로,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를 제조하고, 모터케이스에 커버를 결합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해짐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A MANUFACTURING APPARATUS OF A MOTOR CASE)}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케이스를 제조하고, 모터케이스에 캡을 결합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도록 하는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동제어기술의 보편화에 따라 모터의 사용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음에 따라 모터케이스의 자동화를 위한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모터 케이스는 원통형의 구조를 갖는 것으로, 평판의 플레이트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을 갖도록 프레스{특히,블랭킹(blanking) 공정을 통해 이루어진다}한 후, 이를 벤딩(vending){또는 라운딩(rounding)이라 한다}하여 원통형으로 형성하고, 이를 사이징(sizing)하여 양단이 고정되고 진원으로 이루어지는 모터 케이스를 형성되게 된다.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099961호(2중 모터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에 의하면, 상기 2중 모터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및 장치는 고정자 및 회전자 등의 부품을 둘러싸면서 모터의 외형을 이루는 모터용 케이스를 클린칭 장치를 이용하여 2중으로 제작함으로써, 제작이 간편하면서 원가절감과 함께 제조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2 중 모터케이스로, 동일한 길이로 커팅되며 양 단에 서로 어긋나도록 형성되는 요철부와 중앙에 프레싱 가공시 중심을 맞추기 위한 중심 맞춤부가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2 플레이트를 가공하는 플레이트가공단계와, 상기 가공된 제 1 및 제 2 플레이트를 4 분할된 제 1 및 제2 인덱스에 전후 구분하여 수동으로 적재하는 단계와, 상기 적재된 제 1 플레이트를 흡착하여 제1 성형틀상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이송된 제1 플레이트의 중심을 맞춤과 동시에 양단을 1차 벤딩하는 제1 유압가공단계와, 상기 1차 벤딩된 플레이트의 양단을 수직으로 벤딩하기 위해 양측에서 동시에 2차 벤딩하기 위한 제2 유압가공단계와, 상기 2차 벤딩된 플레이트의 하부를 서로 모으도록 벤딩하기 위해 제3 또는 제 4 유압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는 3차 유압가공하여 제 1 케이스 완성단계와,상기 완성된 제1 케이스를 제2 성형틀로 이송하여 제2 성형틀에 고정하는 단계와, 상기 적재된 제 2 플레이트를 흡착하여 제2 성형틀상으로 이송하는 단계와, 상기 제2 성형틀에 제1 케이스가 끼워진 상태에서 이송된 제 2플레이트의 양단을 1차 벤딩하는 제1 유압가공단계와, 상기 1차 벤딩된 플레이트의 양단을 수직으로 벤딩하기 위해 양측에서 동시에 2차 벤딩하기 위한 제2 유압가공단계와, 상기 2차 벤딩된 플레이트의 하부를 서로 모으도록 벤딩하기 위해 제3 내지 제 6 유압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제 2 케이스 완성단계와, 상기 완성된 제1 및 제 2 케이스의 공차 조절 및 잔류응력을 제거하여 치수보정하여 2중 모터 케이스 완성단계로 구성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다른 종래기술로서,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0353609호(모터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상기 생산설비를 현저히 단축시키고, 자동 연속적으로 생산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제작원가를 절감토록 하고, 작업자의 안전이 보장되도록 하는 소형모터의 모터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본 발명은 모터케이스와 커버를 형성ㆍ결합하는 모터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방법에 있어서, 가공소재에 대하여 노칭 및 피어싱, 벤딩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모터케이스를 형성하는 모터케이스 제조금형인 제 1라인과, 가공소재에 대하여 1차 노칭, 드로잉, 2차 노칭, 직각벤딩가공 및 블랭킹가공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져 커버를 형성하는 커버 제조금형인 제 2라인과, 그 제 2라인에서 제조된 커버를 제 1 라인의 모터케이스에 삽입ㆍ압착시키기 위하여 자동이송되는 이송수단과, 상기 이송수단을 통해 이송된 커버를 상기 모터케이스에 삽입시켜 1차 압착금형을 통해 압착하고, 마무리성형을 위한 2차 압착금형을 통하여 2차 압착한 후, 블랭킹금형으로 가공소재에서 제품을 절단ㆍ분리하는 공정이 순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상기 제 1라인의 연장선 상에 위치되는 제 3라인이 한대의 프레스기 내에 자동공정라인으로 설치 운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는 모터케이스 및 캡을 일일이 작업자가 수작업하여 시간이 오래걸리고, 압착프레스기에 의한 안전사고도 빈번하게 발생하여 생산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모터 케이스를 제조하고, 모터케이스에 커버를 결합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해짐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로그레시브 공정으로 모터케이스를 제작하는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는 가공소재인 금속판재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하는 노칭부와, 상기 노칭부에 의해 절단된 금속판재를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벤딩부로 구성되되, 상기 노칭부와 벤딩부는 각각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를 제조하고, 모터케이스에 커버를 결합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해짐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 및 언코일링장치 사진
도2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공정도
도3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하부금형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상부금형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사시사진
도6은 도5의 확대사진
도7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진원부 사진
도8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노칭부 사진
도9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벤딩부 사진
도10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이송프레임 사진
도11은 도10의 이송프레임의 동작 사진
도12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회동플레이트의 사진
도13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캡결합부의 안착플레이트 사진
도14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캡결합부의 결합로드 사진
도15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캡결합부 사진
도16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회전프레임 및 정열플레이트 사진
도17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및 캡이 장착된 모터케이스 사진
본 발명은 모터케이스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가공소재인 금속판재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하는 노칭부(110)와, 상기 노칭부(110)에 의해 절단된 금속판재(210)를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벤딩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노칭부(110)와 벤딩부(120)는 각각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상기 벤딩부(120)에 의해 굽힘가공된 금속판재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150)와, 상기 회동부(150)에 의해 회동된 모터 케이스(230) 상부에 캡(220)을 결합시키는 캡결합부(160)가 추가적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회동부(150)는 원통형상의 금속판재(210) 내주연에 삽입되어 금속판재를 90도로 회동시키는 회동플레이트(15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151)가 90도로 회동되도록하는 실린더(1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 및 언코일링장치 사진, 도2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개략적인 공정도, 도3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하부금형 개략도, 도4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상부금형 개략도, 도5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사시사진, 도6은 도5의 확대사진, 도7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진원부 사진, 도8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노칭부 사진, 도9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벤딩부 사진, 도10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이송프레임 사진, 도11은 도10의 이송프레임의 동작 사진 , 도12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회동플레이트의 사진, 도13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캡결합부의 안착플레이트 사진, 도14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캡결합부의 결합로드 사진, 도15는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캡결합부 사진, 도16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의 회전프레임 및 정열플레이트 사진, 도17은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및 캡이 장착된 모터케이스 사진이다.
본 발명은 프로그레시브 공정으로 모터케이스를 제작하는 것으로, 프로그레시브 금형이란 연속 프레스 가공용 금형으로써, 상부금형과 하부금형 사이로 금속판재가 이동하면서, 금형 내에서 다단공정을 거쳐 제품의 형상을 성형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는 가공소재인 금속판재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하는 노칭부와, 상기 노칭부에 의해 절단된 금속판재를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벤딩부와, 상기 벤딩부에 의해 굽힘가공된 금속판재를 타형교정하는 진원부와, 상기 진원부에 의해 진원이 된 금속판재를 수직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와, 상기 회동부에 의해 회동된 모터 케이스 상부에 캡을 결합시키는 캡결합부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노칭부, 벤딩부, 진원부, 회동부, 캡결합부는 지지프레임의 상부면에 안착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되, 하부금형에는 노칭부,벤딩부,진원부,회동부,캡결합부의 용도에 맞게 다수개의 다이가 각각 결합되고, 이와 대응되는 상부금형에도 다수개의 펀치가 각각 결합된다.
가공소재인 금속판재는 노칭부에서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되며, 상기 노칭부는 하부금형의 상부에 결합되는 노칭다이와, 상부금형의 하부에 결합되는 노칭펀치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칭다이의 상면에는 금속판재가 안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금형이 실린더에 의해 하강하여, 노칭펀치가 노칭다이 상부면에 안착된 금속판재를 압박함으로써 모터케이스 전개형상으로 금속판재의 가장자리를 절단하게 된다.
즉, 상기 노칭펀치의 하부에는 수직단면이 모터케이스 전개형상인 절단날이 고정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칭다이의 상면에는 한 쌍 이상의 지지핀이 결합되고, 상기 지지핀은 금속판재의 양측면과 접촉되게 각각 결합되어, 금속판재의 양측면을 가이드함으로써, 금속판재가 일정한 방향으로 전진하도록 하는 것으로, 금속판재는 언코일링 장치에 감겨져 있으며 가공판재의 롤을 풀게 되면, 금속판재가 전방으로 이송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핀은 노칭다이의 상부면에 삽입되는 몸통부와, 상기 몸통부의 상부에 형성된 헤드부로 구성되며,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1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금속판재는 노칭다이의 상부면과 지지핀의 헤드부 저면에 끼여진 상태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노칭다이의 상면에는 모터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된 금속판재가 떨어지는 제품배출구와, 금속판재가 노칭되고 나서 남은 금속스크랩이 배출되는 스크랩배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제품배출구를 통해 노칭다이 외부로 배출된 금속판재는 핑거에 의해 양측이 압박되어 이후 공정인 벤딩부로 이송된다.
또한, 금속판재가 노칭되고 나서 남은 스크랩은 그 다음 노칭될 금속판재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지고, 배출구를 통해 금형하부로 배출되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노칭펀치의 측방에 스크랩펀치를 결합하여, 스크랩을 잘게 절단함으로써 스크랩이 배출구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하였다.
한편, 상기 노칭부에 의해 절단된 금속판재는 벤딩부로 이송되고, 상기 벤딩부에서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되며, 상기 벤딩부에 의해 굽힘가공된 금속판재는 진원부에서 타형교정된다.
상기 벤딩부 및 진원부는 상면에 다수개의 다이가 안착되는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하부금형과 대응되게 설치되며, 하면에 다수개의 펀치가 장착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금형이 실린더에 의해 승하강되어 다이와 펀치 사이에 안착된 금속판재를 압박함으로써, 금속판재를 성형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벤딩부는 금속판재의 양끝단부를 내측으로 벤딩하여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2
'형상이 되도록 하는 1차 벤딩다이 및 1차 펀치와,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3
'형상이 되도록 하는 2차 벤딩다이 및 2차 펀치와, 양끝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4
'형상이 되도록 하는 3차 벤딩다이 및 3차 펀치로 구성된다.
상기 1차 벤딩다이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5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1차 펀치 하부의 수직단면도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6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부금형이 실린더에 의해 하강되고, 이에 따라 상부금형 하부에 결합된 1차 펀치가 1차 벤딩다이 상면에 안착된 금속판재를 압박하여 금속판재를 벤딩시키는 것이다.
또한, 상기 1차 벤딩에 의해 양끝단부가 상부로 절곡된 금속판재는 2차 벤딩다이 및 2차 펀치에 의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7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2차 벤딩다이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8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2차 펀치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09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2차 벤딩에 의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0
'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재는 3차 벤딩다이로 이송되며, 상기 3차 벤딩다이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1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3차 펀치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2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3차 벤딩다이와 펀치 사이에는 심봉이 결합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는 가이드판이 설치되며, 상기 가이드판은 하부금형의 상부면에 실린더에 의해 결합되어 상부금형이 승하강 할 때 같이 승하강되도록 설치된다.
또한,상기 가이드판의 저면에는 심봉이 결합되며, 본 발명에서는 실시례로서 가이드판의 저면에 2차 펀치를 결합하고, 상기 2차 펀치 측면에 심봉을 결합하여, 금속판재가 3차 심봉의 외주연에 완전하게 접촉되어 수직단면이 원형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3차 벤딩다이에 안착된 금속판재의 상부에는 심봉이 위치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심봉은 상부금형이 하강할 때, 가이드판이 같이 하강되며, 이에 따라 금속판재가 심봉의 외주연에 압착되어 심봉이 금속판재의 상면을 압박하게 되고, 3차 펀치는 금속판재의 양끝단부를 가이드하게 된다.
곧, 금속판재는 3차 벤딩다이, 3차 펀치 및 심봉에 의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3
'형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벤딩부에서 수직단면이 원통형상으로 형성된 금속판재는 진원부로 이송되어 타형교정되는 것으로, 상기 진원부는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4
'형상인 진원다이와, 수직단면이 형상인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5
'진원펀치로 구성되되, 상기 진원다이의 상부측에 설치된 가이드판의 저면에는 심봉이 결합되어 있다.
한편, 상기 벤딩부 및 진원부의 양 측방에는 금속판재를 순차적으로 1차 벤딩다이, 2차 벤딩다이, 3차 벤딩다이, 진원다이로 이송시키는 이송프레임이 설치된다.
상기 이송프레임은 지지프레임 상부면에 설치되되, 한 쌍으로 구성되어 하부금형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송프레임은 실린더에 의해 전후진 하는 전후진플레이트와, 상기 전후진플레이트의 상부면에 설치되어 측방향으로 이동되는 사이드플레이트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는 금속판재를 압박하여 다음 공정으로 이송시키는 고정척이 결합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도10 및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금형의 길이방향으로 양측면에는 한 쌍의 전후진플레이트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전후진플레이트는 실린더 의해 길이방향으로 전후진한다.
또한, 상기 한 쌍의 전후진플레이트의 상부면에는 좌,우측으로 움직이는 사이드플레이트가 각각 결합되며, 상기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면에 결합된 고정척은 금속판재를 압박하여 그 다음공정으로 이송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즉, 먼저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가 내측방향으로 움직여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한 금속판재를 압착한 뒤, 전후진플레이트가 전진하여 금속판재를 전방으로 이송시케 되며, 그 후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가 외측방향으로 움직여 금속판재를 놓은 뒤, 전후진플레이트가 후진하는 것으로,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여 금속판재를 전방으로 이송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사이드플레이트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척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한 쌍의 사이드플레이트에 금속판재를 1차 벤딩다이에서 2차 벤딩다이로 이송시키는 고정척, 2차 벤딩다이에서 3차벤딩다이로 이송시키는 고정척, 3차 벤딩다이에서 진원부로 이송시키는 고정척, 진원부에서 회동부로 이송시키는 고정척을 구비하였다.
한편, 상기 진원부에서 진원성형된 원통형상의 금속판재는 회동부로 이송되며,이 때 금속판재는 누워있는 상태로, 회동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상기 회동부는 원통형상의 금속판재의 내주연에 일부가 삽입되어 금속판재를 지지한 상태로 금속판재를 90도 회동시키는 회동플레이트와, 상기 회동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가 90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즉,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금속판재를 지지한 뒤, 실리더에 의해 90도로 회동되고, 이에 따라 회동플레이트에 결합된 금속판재도 같이 회동되어지는 것이다.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6
'형상으로, 상기 회동플레이트는 수직부와, 상기 수직부의 상부에 수평방향으록 결합되는 상부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의 중앙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중앙수평부와, 상기 수직부의 하부에 수평방향으로 결합되는 하부수평부로 구성된다.
그리고 회동부로 이송된 원통형상의 금속판재는 진원부의 심봉 끝단부에 일단이 걸쳐진상태로, 상기 회동플레이트의 중앙수평부가 금속판재의 원통 내부로 삽입되고, 상기 상부수평부와 하부수평부 내측에 외주연이 걸려진 상태로, 상기 금속판재는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게 된다.
한편, 상기 회동부에 의해 수직으로 세워진 금속판재의 상부에는 캡결합부가 구성되되, 상기 캡결합부는 상면에 캡이 관통되는 안착홀이 형성된 안착플레이트와, 상기 안착플레이트에 안착된 캡을 하부방향으로 압박하여, 안착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는 모터케이스의 상부에 억지끼움시키는 결합로드와, 상기 결합로드의 상부에 결합되어 결합로드를 승하강시키는 실린더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캡결합부의 측방에는 내부에 다수개의 캡이 들어있는 회전프레임이 설치되고, 상기 회전프레임의 일측에는 회전프레임으로부터 이송되어진 캡이 같은방향으로 나란하게 정열되는 정열플레이트가 결합되며, 상기 정열플레이트는 안착플레이트에 연결되는 것으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측방에는 상기 정열플레이트에 정열된 캡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안착플레이트로 밀어주는 푸시실린더가 설치되며, 상기 푸시실린더의 끝단부에는 캡을 지지하는 푸시플레이트가 구성된다.
상기 회전프레임은 상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어 다수개의 캡이 저장되는 것으로, 상기 캡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7
'형상으로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하부에 결합된 몸체부로 형성되되, 상기 헤드부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의 내부 벽면에는 원주방향으로 단턱이 형성되되, 상기 단턱은 상기 회전프레임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질때, 회전프레임의 하부에 위치하는 캡이 상부로 올라가는 계단역할을 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회전프레임의 상부면 가장자리에는 걸림봉이 결합되고, 상기 걸림봉의 외측면에는 배출구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캡은 헤드부가 회전프레임의 상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야만 정열플레이트로 이송될 수 있다.
캡의 헤드부가 회전프레임의 상부를 향해 배열되지 않은 캡들은 걸림부에 걸려서 걸림부의 외측에 결합된 배출구를 통해 다시 회전프레임 내부로 들어가게 된다.
한편, 상기 회전프레임에서 정열플레이트로 이송된 캡은 정열플레이트의 끝단부에 대기 상태로 있다가, 푸시플레이트에 고정된 후, 푸시실린더의 신축에 의해 안착플레이트의 안착홀로 하나씩 이송된다.
상기 푸시플레이트의 수평단면은 일측이 개방된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8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는 캡의 헤드부가 끼워질 수 있도록 홈이 형성되되, 상기 홈은 얕게 형성되어, 캡에 외력에 작용했을 때, 상기 캡이 푸시플레이트에서 쉽게 분리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캡은 푸시플레이트에 의해 캡의 헤드부가 고정된 상태로 안착플레이트의 안착홀에 위치하게 되며, 안착플레이트의 상부측에 설치된 결합로드에 의해 하부방향으로 압박되고, 이에 따라 상기 캡은 안착홀을 관통하여 안착플레이트 하부에 위치하는 모터케이스의 상부에 억지끼움된다.
그리고 상기 캡의 하부 수평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19
'형상으로 외주연에 방사형으로 다수개의 홈이 형성되며, 이와 대응되는 모터케이스의 끝단 외주연에도 돌기가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캡의 홈과 모터케이스에 형성된 돌기가 끼워져야하기 때문에, 상기 캡은 일정한 방향으로 안착홀을 통과하여야 한다.
그러기위해 본 발명에서는 정열플레이트 상부에 내측방향으로 정열로드를 결합하여 캡의 홈이 정열로드에 걸려서 캡이 일정방향으로 배치되도록 하였다.
또한, 상기 안착플레이트의 안착홀도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20
'형상으로 형성되어, 정열로드에서 정열되지 못한 불량캡을 잡아낼뿐만 아니라, 캡이 안정적으로 모터 케이스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캡의 상부면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홀이 형성되어 있고, 본 발명에서는 결합로드의 일부가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어 캡을 압박하게되는 것으로, 상기 결합로드의 수직단면은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21
'형상으로 하부로 갈수록 직경이 작아지도록 단턱이 형성되어, 결합로드의 하부가 관통홀 내부로 삽입되고, 단턱이 캡의 상부면에 접촉되어 캡을 하부로 압박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모터케이스 제조장치에 의해 모터케이스가 제조되는 방법을 설명한다.
롤에 감겨져 있는 금속판재의 끝단부를 하부금형에 고정시키는 금속판재 고정단계; 상기 금속판재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하는 노칭단계; 상기 노칭단계를 거친 금속판재를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벤딩단계; 상기 벤딩단계에 의해 굽힘가공된 금속판재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단계; 상기 회동단계에 의해 회동된 모터 케이스 상부에 캡을 결합시키는 캡결합단계;로 구성된다.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먼저, 금속판재는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노칭되되, 일반적으로 금형에서 노칭이라 함은 판재의 가장자리를 따내는 가공을 일컫는다.
그리고 이때, 상기 노칭단계에서 발생된 스크랩은 그 다음 노칭될 금속판재에 의해 전방으로 밀려짐으로써 금형의 배출구를 통해 금형 하부로 배출된다.
또한, 도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금속판재의 끝단부는 오목부와 돌출부가 형성되어, 서로 맞물리도록 되어있는 것으로, 상기 오목부 및 돌출부는 굽힘 가공된 소재가 원상태로 되돌아 가려는 스프링백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그 후, 상기 노칭단계를 거친 금속판재는 1차,2차,3차 벤딩되어 원통형상으로 성형되는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 설명하면, 금속판재의 양끝단부는 내측으로 벤딩되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22
'형상이 되도록 1차 벤딩된다.
그 후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23
'형상이 되도록 2차 벤딩되고, 그 다음 양끝단부가 서로 접촉되어 수직단면이 '
Figure 112014096002387-pat00024
'형상이 되도록 3차 벤딩되는 것이다.
그리고 1,2,3차 벤딩작업된 원통형상의 금속판재는 진원부로 이송되어 타형 교정된다.
상기 진원부에 의해 타형교정된 금속판재는 회동부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세워지고, 캡결합부에 의해 금속판재의 상부에 캡이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모터 케이스를 제조하고, 모터케이스에 커버를 결합하는 전체적인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대량생산이 용이해짐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시키는 등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현저한 효과가 있다.
100: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101:지지프레임
102:상부금형 103:하부금형
110:노칭부 111:노칭다이
112:노칭펀치 113:지지핀
114:제품배출구 115:스트립배출구
120:벤딩부 121:1차 벤딩다이
122:1차 펀치 123:2차 벤딩다이
124:2차 펀치 125:3차 벤딩다이
126:3차 펀치
20:가이드판 21:심봉
130:진원부 131:진원다이
132:진원펀치 140:이송프레임
141:전후진플레이트 142:사이드플레이트
143:고정척 150:회동부
151:회동플레이트 152:실린더
160:캡결합부 161:안착플레이트
162:안착홀 163:결합로드
164:푸시실린더 165:푸시플레이트
60:회전프레임 61:걸림봉
62:배출구 63:정열플레이트
64:정열로드
200:언코일링 장치 210:금속판재
220:캡 230:모터케이스

Claims (3)

  1. 가공소재인 금속판재를 모터 케이스의 전개된 형상으로 절단하는 노칭부(110)와, 상기 노칭부(110)에 의해 절단된 금속판재(210)를 원통형상으로 굽힘가공하는 벤딩부(120)로 구성되되, 상기 노칭부(110)와 벤딩부(120)는 각각 하부금형과, 상기 하부금형의 상부에 대응되게 설치되는 상부금형으로 구성되어 모터 케이스를 제조하는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케이스 제조장치(100)는 상기 벤딩부(120)에 의해 굽힘가공된 금속판재를 수직방향으로 회동시키는 회동부(150)와, 상기 회동부(150)에 의해 회동된 모터 케이스(230) 상부에 캡(220)을 결합시키는 캡결합부(160)가 추가적으로 구성되며,
    상기 회동부(150)는 원통형상의 금속판재(210) 내주연에 삽입되어 금속판재를 90도로 회동시키는 회동플레이트(151)와, 상기 회동플레이트(151)에 결합되어 상기 회동플레이트(151)가 90도로 회동되도록 하는 실린더(15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40135724A 2014-10-08 2014-10-08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Active KR101606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24A KR101606281B1 (ko) 2014-10-08 2014-10-08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35724A KR101606281B1 (ko) 2014-10-08 2014-10-08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6281B1 true KR101606281B1 (ko) 2016-03-24

Family

ID=55651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35724A Active KR101606281B1 (ko) 2014-10-08 2014-10-08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6281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81B1 (ko) * 2019-08-14 2020-05-29 선우정밀(주) 기폭관 클립 연속제조방법 및 장치
KR20210022361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신한테크놀로지 부싱 제작 방법과 이에 의해 제작된 부싱, 및 이를 구비하는 부싱-사출물 어셈블리
KR102295915B1 (ko) 2020-09-01 2021-08-31 김홍덕 포탄 신관 내부 받침대 및 그의 연속제조장치 및 그의 방법
KR102295914B1 (ko) 2020-08-21 2021-08-31 김홍덕 화약장전부품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023536A (ko) 2020-08-21 2022-03-02 김홍덕 싸이드커팅단계를 구비한 정밀가공와셔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023537A (ko) 2020-08-21 2022-03-02 김홍덕 정밀가공와셔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CN116078942A (zh) * 2023-04-06 2023-05-09 江苏锐美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水冷机壳用便于出模的冲压模具及成型工艺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09B1 (ko) 1999-11-17 2002-09-26 주식회사 유엔티 모터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3609B1 (ko) 1999-11-17 2002-09-26 주식회사 유엔티 모터케이스 어셈블리 제조장치 및 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3681B1 (ko) * 2019-08-14 2020-05-29 선우정밀(주) 기폭관 클립 연속제조방법 및 장치
KR20210022361A (ko) * 2019-08-20 2021-03-03 주식회사 신한테크놀로지 부싱 제작 방법과 이에 의해 제작된 부싱, 및 이를 구비하는 부싱-사출물 어셈블리
KR102249377B1 (ko) 2019-08-20 2021-05-07 주식회사 신한테크놀로지 부싱 제작 방법과 이에 의해 제작된 부싱, 및 이를 구비하는 부싱-사출물 어셈블리
KR102295914B1 (ko) 2020-08-21 2021-08-31 김홍덕 화약장전부품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023536A (ko) 2020-08-21 2022-03-02 김홍덕 싸이드커팅단계를 구비한 정밀가공와셔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20220023537A (ko) 2020-08-21 2022-03-02 김홍덕 정밀가공와셔 및 그의 연속 제조방법 및 장치
KR102295915B1 (ko) 2020-09-01 2021-08-31 김홍덕 포탄 신관 내부 받침대 및 그의 연속제조장치 및 그의 방법
KR102347303B1 (ko) 2020-09-01 2022-01-04 김홍덕 띠형모재
CN116078942A (zh) * 2023-04-06 2023-05-09 江苏锐美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水冷机壳用便于出模的冲压模具及成型工艺
CN116078942B (zh) * 2023-04-06 2023-06-06 江苏锐美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水冷机壳用便于出模的冲压模具及成型工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281B1 (ko) 모터 케이스 제조 장치
CN104324987B (zh) 自动卷圆弯曲模系统及其使用方法
CN108160815A (zh) 一种全自动无废料高质量的冲裁卷圆模具
KR101431977B1 (ko) 금속 판재 성형용 프레스 성형장치
CN103801623A (zh) 弯曲冲压模具
RU2655511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формовки стальной трубы посредством трехточечной прессовой гибки
US11110508B2 (en) Automatic precision clinching system for manufacturing sheet metal tubes
CN108296354A (zh) 一种级进模具四轴冲铆一体化设备及其使用方法
GB24203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a terminal for a lead-acid type accumulator and a terminal manufactured therewith
CN214768293U (zh) 一种卷圆产品多工步连续冲压模具
KR20090026416A (ko) 파이프 행거의 지지부재 제조방법 및 제조금형
JP2015206317A (ja) 多翼ファンの製造装置
JP2014180695A (ja) 管状部材のプレス装置
CN212384384U (zh) 多层鼓状结构零件折弯卷圆冲压连续模
KR101737182B1 (ko) 모터 케이스 제조 방법
CN210547727U (zh) 一种不锈钢折弯弹簧的自动化成型设备
US2017008047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ging heterogeneous material
KR20120094621A (ko) 링크 밴딩 시스템
CN216937827U (zh) 一种电池钢壳用折弯卷圆工模
CN216575308U (zh) 冲压用的下模组件及具有该下模组件的双排钩冲压模具
CN112588950B (zh) 弹簧抱挎的加工方法
KR101715482B1 (ko) 사각 튜브 제조방법
CN108772742A (zh) 一种数控机床的自动化机械手的送料装置
JPS6137012B2 (ko)
CN218692792U (zh) 一种钣金件折弯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00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0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520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18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20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