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6134B1 -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6134B1
KR101606134B1 KR1020090080400A KR20090080400A KR101606134B1 KR 101606134 B1 KR101606134 B1 KR 101606134B1 KR 1020090080400 A KR1020090080400 A KR 1020090080400A KR 20090080400 A KR20090080400 A KR 20090080400A KR 101606134 B1 KR101606134 B1 KR 101606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ripheral device
image
portable terminal
information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0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22901A (ko
Inventor
이윤우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0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6134B1/ko
Priority to US12/861,189 priority patent/US9363354B2/en
Publication of KR20110022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2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134B1/ko
Priority to US15/173,064 priority patent/US9872325B2/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3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8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video streams,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27Monitoring of local network, e.g. connection or bandwidth variations; Detecting new devices in the local network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6Discovering, processing 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1Allocation or use of connection identif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04W8/24Transfer of terminal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주변 기기와 통신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미지 판독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주변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90080400
근거리 통신, 이미지 인식, 블루투스, 주변 기기, 기기 연결

Description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USING THE IMAGE RECOGNITION IN PORTABLE TERMINAL}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의 근거리 통신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확인하고, 상기 확인한 주변 기기와 통신하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의 편리성 때문에 사용이 급격히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자(단말기 제조자)들은 많은 사용자를 확보하기 위해 더욱 편리한 기능을 갖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를 경쟁적으로 개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폰북(phone book), 게임(game), 스케쥴러(Scheduler), 단문 메시지 서비스(short message Service),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ultimedia message service), 방송메시지서비스(Cell broadcasting service), 인터넷 서비스(internet Servic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MP 3(MPEG Layer 3),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등의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근거리에 존재하는 단말기 간의 통신 기술중 하나인 블루투스 기능을 통해 헤드셋, 음악, 프린팅, 파일전송 들의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모듈을 구비하는 주변 장치들과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먼저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 가능한지 확인하는 페어링(pairing) 과정을 수행하여 두 블루투스 장치 간의 통신 허가 상태를 만들어서 통신을 시작하는 것으로,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의 블루투스 장치들과 연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장치들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변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블루투스 장치들에 대해 블루투스 장치 리스트를 생성한 후, 연결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의 연결 가능한 블루투스 장치들에 대한 리스트에서 사용하고자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한 후 상기 블루투스 장치와 통신하여 상기 블루투스 장치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수행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서비스를 이용할때마다 블루투스 장치들을 검색하고 연결하고자 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해야 하는데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모델명을 보고 해당 블루투스 장치를 선택하여 연결함에 따라 모델명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는 해당 장치와의 연결에 많은 불편함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에 존재하는 블루투스 장치를 검색하는 과정을 수행함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 통신시 주변 기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줄이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1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는 이미지 판독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파악하고, 상기 파악한 주변 기기와 통신하는 기기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 2 견지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은 이미지 판독을 통해 근거리 통신을 수행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파악하는 과정과, 상기 파악한 주변 기기와 통신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시 주변 기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줄이고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를 탐색하고 이에 따른 결과를 해당 모델에 대한 정보로 제공하는 종래의 휴대용 단말기보다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에 대한 탐색 과정을 생략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의 참조와 함께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설명에서는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 통신시 주변 기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줄이고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확인하여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대하여 설명할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블루투스 통신(Bluetooth),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픽트브리지(PictBridge)등과 같은 근거리 통신 방법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제어부(100), 기기 연결부(102), 메모리부(108), 입력부(110), 표시부(112) 및 통신부(114)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기기 연결부(102)는 이미지 획득부(104) 및 기기 정보 저장부(10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먼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통화 및 데이터 통신을 위한 처리 및, 제어를 수행하고, 통상적인 기능에 더하여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제어부(100)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 연결하고자 할 경우, 이미지를 판독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0)는 본 발명에 따라 주변 기기와 통신시 주변 기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생략하도록 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전력 소모를 줄이도록 처리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는 먼저 기기 연결부(102)로 하여금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의 이미지를 획득하도록 처리한 후, 상기 획득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기기와 통신시 필요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처리한다.
상기 기기 연결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이미지를 촬영하거나 또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뷰파인더에 출력중인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사 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의 종류를 판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기기 연결부(102)는 상기 제어부(100)의 제어를 받아 상기 판단한 주변 기기에 해당하는 정보를 획득하여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 기기 연결부(102)의 이미지 획득부(104)는 카메라를 포함하며 상기 기기 연결부(102)의 제어를 받아 상기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상기 기기 정보 저장부(106)는 다수의 주변 기기에 해당하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기기 정보 저장부(106)는 상기 메모리부(108)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메모리부(108)는 롬(ROM; Read Only Memory), 램(RAM; 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롬(flash ROM)으로 구성된다. 상기 롬은 상기 제어부(100), 상기 기기 연결부(102)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의 마이크로코드와 각종 참조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램은 상기 제어부(100)의 워킹 메모리(working memory)로, 각종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하는 일시적인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상기 플래쉬롬은 전화번호부(phone book), 발신메시지, 수신메시지 및 사용자의 터치 입력 지점의 정보와 같은 갱신 가능한 각종 보관용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기 입력부(110)는 0 ~ 9의 숫자키 버튼들과, 메뉴버튼(menu), 취소버튼(지움), 확인버튼, 통화버튼(TALK), 종료버튼(END), 인터넷접속 버튼, 네비게이션 키(또는 방향키) 버튼들 및 문자 입력 키 등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가 누르는 키에 대응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상기 제어부(100)로 제공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동작 중에 발생하는 상태 정보, 제한된 숫자의 문자들, 다량의 동영상 및 정지영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표시부(112)는 컬러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를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부(112)는 터치 입력 장치를 구비하여 터치 입력 방식의 휴대용 단말기에 적용할 경우 입력 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통신부(114)는 안테나(미도시)를 통해 입출력되는 데이터의 무선신호를 송수신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송신인 경우, 송신할 데이터를 채널 코딩(Channel coding) 및 확산(Spreading)한 후, RF처리하여 송신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수신인 경우, 수신된 RF신호를 기저대역신호로 변환하고 상기 기저대역신호를 역 확산(De-spreading) 및 채널 복호(Channel decoding)하여 데이터를 복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기기 연결부(102)의 역할은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제어부(100)에 의해 수행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를 별도로 구성하여 도시한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적인 구성이지 결코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자는 것이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구성이 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이들 모두를 상기 제어부(100)에서 처리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이상은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시 주변 기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줄이고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고, 이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장치를 이용하여 이미지를 판독하여 주변 기기에 대한 정보를 직관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방법에 대 하여 설명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201단계에서 주변 기기를 촬영한 후 상기 촬영한 기기를 파악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파악한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한적이 있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한 적이 있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주변 기기와 처음 통신시 해당 기기와의 통신시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였다고 가정하여 별도의 정보를 저장하지 않고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한편, 상기 203단계에서 상기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한 적이 없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205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촬영한 기기와 통신시 필요한 정보를 확인한 후, 2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확인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처리한다.
여기에서, 상기 촬영한 기기와 통신시 필요한 정보는 상기 기기의 모델 명, ID, 연결 주소 등이 될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연결하고자 하는 상기 기기의 정보를 직접 입력하거나 또는 최초 통신시 해당 정보를 저장하여 매번 해당 정보를 입력하는 과정을 생략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301단계에서 주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는지 확인한다. 여기에서, 상기 주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이벤트는 근거리 통신을 이용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와 통신하고자 하는 이벤트를 말한다.
만일, 상기 301단계에서 주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7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능(예; 대기모드)을 수행한다.
한편, 상기 301단계에서 주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3단계로 진행하여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카메라를 동작하도록 처리한 후, 305단계로 진행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를 촬영하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를 탐색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의 이미지로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고, 해당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하여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미지를 촬영하지 않고 상기 휴대용 단말기에 기 저장하고 있는 이미지를 불러와서 상기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07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5단계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촬영한 기기 즉,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의 종류를 파악한 후, 309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7단계에서 파악한 기기와 통신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여기에서, 상기 통신시 필요한 정보는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의 모델 명, ID, 연결 주소 등이 될 수 있으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해당 기기와 최초 통신시 해당 기기와 통신 연결에 사용한 정보를 저장하거나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 저장하고 있는 정보들 가운데 촬영한 이미지에 해당하는 기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9단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와의 통신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3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기기와의 통신이 완료되는지 확인한다.
만일, 상기 313단계에서 통신이 완료되지 않음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311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309단계에서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기기와의 통신 과정을 재수행한다.
한편, 상기 313단계에서 통신이 완료됨을 확인할 경우,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31단계로 진행하여 해당 기기와의 통신을 수행한 후, 본 알고리즘을 종료한다.
상기 도 3에서는 촬영한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판단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촬 영을 통해 이미지를 획득하지 않고 프리뷰 상에 출력된 화면을 통해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를 판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와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비교한 도면이다.
도 4(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를 확인하는 탐색 과정을 수행(401)한다.
상기와 같은 탐색 과정을 수행한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에 존재하는 주변 기기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이용하여 주변에 근거리 통신이 가능한 텔레비젼과 MP3 플레이어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게 될 것이다.
이후,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사용자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받는 과정을 수행하며, 일 예로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통신하고자 하는 주변 기기로 텔레비젼을 선택(403)받았다고 가정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텔레비젼과 통신하여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405)한 후, 상기 획득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텔레비젼과의 통신을 수행(407)하게 될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기존의 휴대용 단말기에서 수행하는 탐색 과정 즉,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를 확인하는 과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 획득이 가능한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로 사용자가 원하는 기기를 파악하여 기 저장하고 있는 정보 가운데 해당 기기와 통신시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여 통신을 수행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휴대용 단말기는 먼저 도시한 바와 같이 텔레비젼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텔레비젼의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 과정을 수행(410)한다. 이때, 상기 휴대용 단말기는 주변에 존재하는 기기에 대한 이미지를 미리 촬영하여 저장한 후, 사용자가 주변 기기와 연결하고자하는 시기에 별도의 이미지 촬영 과정을 수행하지 않고, 기 저장한 이미지를 불러와 사용자로 하여금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를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이미지를 획득한 휴대용 단말기는 상기 이미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연결하고자 하는 기기가 텔레비젼임을 판단하고, 기 저장하고 있는 정보 가운데 텔레비젼과 통신시 필요한 정보를 획득(412)하여 해당 정보로 텔레비젼과의 통신을 수행(414)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이미지를 이용하여 주변 기기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흐름도,
도 4(a)는 일반적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의 통신 연결 과정을 도시한 도면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에서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Claims (12)

  1.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주변 기기의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획득한 주변 기기의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획득한 주변 기기에 대한 이미지와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디바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상기 획득한 주변 기기 이미지와 디바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매핑하여 메모리부에 저장하고,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주변 기기의 이미지 중에서 통신 연결하기를 원하는 주변 기기에 대응하는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메모리부에 저장된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하는 상기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한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은 근거리 통신(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을 사용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 기기와 이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하였는지 판단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시 필요한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모델 명, ID, 연결 주소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시 필요한 정보는,
    해당 기기와 최초 통신시 사용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7.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변 기기에 대한 이미지와 상기 주변 기기에 대한 디바이스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
    상기 저장된 이미지 중에 통신 연결하기를 원하는 주변 기기에 대응하는 이미지를 선택하는 동작;
    상기 저장된 정보 중에 상기 선택된 이미지에 대응되는 상기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획득한 정보를 사용하여 상기 선택한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을 수행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한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은 근거리 통신(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을 사용하여 연결을 수행하는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와 이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하였는지 결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주변 기기와 이전에 통신 연결을 수행한 적이 없다고 결정되면, 상기 주변 기기와 통신 연결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정보를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방법.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시 필요한 정보는,
    상기 주변 기기의 모델 명, ID, 연결 주소 가운데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연결시 필요한 정보는,
    해당 기기와 최초 통신시 사용한 정보 또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받은 해당 기기에 대한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90080400A 2009-08-28 2009-08-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1606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400A KR101606134B1 (ko) 2009-08-28 2009-08-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12/861,189 US9363354B2 (en) 2009-08-28 2010-08-2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through image recognition in mobile terminal
US15/173,064 US9872325B2 (en) 2009-08-28 2016-06-03 Apparatus and method for connecting device through image recognition in mobile termina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0400A KR101606134B1 (ko) 2009-08-28 2009-08-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2901A KR20110022901A (ko) 2011-03-08
KR101606134B1 true KR101606134B1 (ko) 2016-03-25

Family

ID=43625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0400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6134B1 (ko) 2009-08-28 2009-08-28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2) US9363354B2 (ko)
KR (1) KR1016061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5067A1 (fr) * 2011-11-18 2013-05-22 Alcatel Lucent Procede pour commander une fonction telephonique par reconnaissance d'image, et terminal telephonique pour la mise en oeuvre de ce procede
TW201342072A (zh) * 2012-04-11 2013-10-16 Hon Hai Prec Ind Co Ltd 無線傳輸模組及無線傳輸方法
US10154521B2 (en) 2013-01-09 2018-12-11 Sony Corporation Mobile device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wireless link
KR102332524B1 (ko) * 2015-01-12 2021-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모바일 디바이스를 구부리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기설정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모바일 디바이스
KR102493721B1 (ko) * 2016-02-04 2023-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을 수립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JP6675943B2 (ja) * 2016-07-06 2020-04-08 アルプスアルパイン株式会社 通信装置
KR102009396B1 (ko) * 2016-08-04 2019-08-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간 친화적 정보 기반 대상 인식장치, 접속정보 제공장치 및 그 통신방법
KR102137194B1 (ko) * 2018-10-31 2020-07-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14630396A (zh) * 2021-12-31 2022-06-14 厦门阳光恩耐照明有限公司 一种基于图像识别的智能灯蓝牙配置方法和配置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533B1 (ko) * 2005-09-30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42903B1 (en) * 1999-02-25 2002-01-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User selectable input devices for speech applications
US7222359B2 (en) * 2001-07-27 2007-05-22 Check Point Software Technologies, Inc. System methodology for automatic local network discovery and firewall reconfiguration for mobile computing devices
US8190695B2 (en) * 2001-08-02 2012-05-29 Sony Corporation Remote control system and remote control method, device for performing remote control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device operable by remote control operation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US7174130B2 (en) * 2001-09-12 2007-02-06 Agere Systems Inc. Security apparatus and method during BLUETOOTH pairing
US7224903B2 (en) * 2001-12-28 2007-05-2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 V. Universal remote control unit with automatic appliance identification and programming
JP2004264769A (ja) * 2003-03-04 2004-09-24 Toshiba Corp 情報処理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US7130584B2 (en) * 2003-03-07 2006-10-31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device for identifying and pairing Bluetooth devices
SE528570C2 (sv) * 2004-04-08 2006-12-19 Abb Research Ltd Metod, anordning och system för att upprätta en trådlös förbindelse mellan en bärbar datoranordning med en första applikation till andra anordningar med hjälp av en andra applikation
KR100594127B1 (ko) 2004-11-16 2006-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기기에서 본딩 프로세스 방법 및 장치
JP2007025351A (ja) * 2005-07-19 2007-02-01 Yamaha Corp 演奏システム
US20070123166A1 (en) * 2005-11-29 2007-05-31 Arnold Sheynma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airing bluetooth enabled devices
JP4742394B2 (ja) * 2006-03-24 2011-08-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遠隔制御装置、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システム
US20070238491A1 (en) * 2006-03-31 2007-10-11 Motorola, Inc. System and method for establishing wireless connections between user devices and vehicles
US7813715B2 (en) * 2006-08-30 2010-10-12 Apple Inc. Automated pairing of wireless accessories with host devices
US8896426B1 (en) * 2007-02-09 2014-11-25 Uei Cayman Inc.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programming universal remote control devices
KR101373007B1 (ko) 2007-07-04 2014-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주변 기기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442544B1 (ko) * 2007-12-18 2014-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무선기기 표시 방법
US20100261465A1 (en) * 2009-04-14 2010-10-14 Rhoads Geoffrey B Methods and systems for cell phone interactions
US9014685B2 (en) * 2009-06-12 2015-04-2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bile device which automatically determines operating mode
EP2797349B1 (en) * 2009-11-30 2018-09-26 Sun Patent Trust Communication device with several antennas, communication method, and position determination method
US8116685B2 (en) * 2010-01-26 2012-02-14 Samsung Electronics Co., Inc. System and method for visual pairing of mobile devic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1533B1 (ko) * 2005-09-30 2006-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블루투스 디바이스를 검색 및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60286593A1 (en) 2016-09-29
US9872325B2 (en) 2018-01-16
KR20110022901A (ko) 2011-03-08
US9363354B2 (en) 2016-06-07
US20110052072A1 (en) 2011-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6134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이미지 인식을 통하여 디바이스 연결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570037B1 (ko) 휴대용 단말기의 기능 제어를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964077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블루투스 디바이스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732909B1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촬영 데이터를 공유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7062230B1 (en) Communication device, image-pickup device, storage medium and communication method
KR2011008891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카메라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692005B1 (ko) 사진별 메모 입력 기능을 갖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제어 방법
KR20110133699A (ko) 휴대용 단말기의 이미지 획득 장치 및 방법
US8760486B2 (en) Method for providing phone book using business card recognition i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and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using the method
KR101451562B1 (ko) 휴대용 단말기의 데이터 저장 방법 및 장치
KR2011005663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703315B1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에서 파일전송 장치 및 방법
US7415287B2 (en) Image apparatus
KR2011004515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10000746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지역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장치 및방법
KR20110070088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특정 지역의 사용자 정보를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1193154B1 (ko) 휴대용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문자 데이터로 변환하여저장하는 장치 및 방법
KR20050028930A (ko) 이동통신단말기에서 사진을 이용한 전화번호 검색 방법
JP3814504B2 (ja) 通信装置
KR100437204B1 (ko) 휴대전화기상에서 캡쳐된 이미지에 의한 단축기능설정방법및 장치
KR20070012569A (ko) 휴대단말기의 블루투스 통신에서 파일전송 장치 및 방법
KR101163228B1 (ko) 카메라 기능을 탑재한 휴대용 단말기 및 그의 촬영방법
KR100666046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이미지에 대한 답신 메시지를처리하기 위한 방법
US10216477B2 (en) Data processing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KR20090011153A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의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8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1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8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5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23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2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2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11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