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5253B1 - 뚝배기 - Google Patents

뚝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5253B1
KR101605253B1 KR1020140096671A KR20140096671A KR101605253B1 KR 101605253 B1 KR101605253 B1 KR 101605253B1 KR 1020140096671 A KR1020140096671 A KR 1020140096671A KR 20140096671 A KR20140096671 A KR 20140096671A KR 101605253 B1 KR101605253 B1 KR 1016052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king
compartments
food
pot
compart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66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14431A (ko
Inventor
유지민
Original Assignee
유지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민 filed Critical 유지민
Priority to KR10201400966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5253B1/ko
Publication of KR20160014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44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52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5253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1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 A47J27/122Multiple-unit cooking vessels with adaptation of shape to that of adjacent vessels for forming a unit, e.g. sector-shap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ook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여 한번에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음식은 물론 조리온도가 서로 다른 음식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는,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11)의 외주면 양쪽에 부설되는 손잡이(12)와 상기 상단보다 높이가 낮게 내주면의 상측에 빙 둘러 형성되는 받침턱(13)을 구비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의 내부를 바닥으로부터 받침턱까지 가로막아 복수의 격실(21)로 구획하게 몸체의 내부에 일체로 형성되는 격벽(20)과,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며 상면의 중앙에 부설되는 손잡이(31)와 상기 격실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기구(32)를 구비하는 뚜껑(30) 및 상기 격실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조리용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뚝배기 {Earthen pot}
본 발명은 뚝배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내부공간을 복수로 구획하여 한번에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음식은 물론 조리온도가 서로 다른 음식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뚝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뚝배기는, 불에 강하고 냄비처럼 빨리 끓지는 않으나 일단 뜨거워진 음식은 쉽게 식지 않기 때문에 여러 종류의 찌개나 설렁탕 등과 같은 음식을 조리하거나 담는데 매우 적합한 장점이 있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뚝배기는 내부가 하나의 공간으로 되어 있어 한번에 1종류의 음식만을 조리할 수밖에 없었기 때문에 2종류 이상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때에는 물론이고 음식의 종류에 따라 분량을 각기 다르게 조리하고자 할 때에도 그에 비례하는 개수나 크기가 다른 뚝배기들이 필요하게 되었으며, 이에 따라 뚝배기를 자주 사용하지 않는 일반가정에서는 구입비용의 부담은 물론 중량이 무겁고 보관공간을 많이 점유하게 되어 보관 및 사용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특히. 이러한 점들은 근래에 들어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는 2인 또는 1인 가구일수록 더욱 많은 부담이 되었기 때문에 이를 감안하여 뚝배기의 크기에 비해 음식을 소량으로 조리하는 경우도 허다하였기 때문에 막대한 연료의 낭비가 초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입비용의 부담이 없음은 물론 보관 및 사용이 매우 간편·용이함과 동시에 한번에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음식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뚝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온도가 다른 음식도 한번에 2종류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도록 하는 뚝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 주연에 부설되는 손잡이를 구비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를 2개 또는 그 이상의 격실로 구획하는 격벽과, 상기 몸체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며 상면 중앙에 부설되는 손잡이와 상기 격실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기구를 구비하는 뚜껑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각 격실에 서로 다른 조리할 음식을 담고 뚜껑을 덮으면 격벽의 상면에 뚜껑의 내면에 밀착되어 각 격실에 담겨서 조리되는 음식의 냄새와 국물 등이 서로 혼합되지 않도록 차단된 상태로 동시에 조리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격벽으로 구획되는 격실 중 하나에는 해당 격실에 삽입되는 크기와 형태로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외면의 상단에 빙 둘러 돌출되는 테두리편과 하면에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를 구비하는 조리용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격실 중 다른 격실에 담은 음식보다 조리온도가 낮은 음식을 담은 조리용기를 해당 격실에 삽입하면 상단의 테두리편과 하면의 돌기들에 의해 조리용기의 외면과 하면이 행당 격실의 내면과 바닥으로부터 격리되어 열이 직접 전달되지 않아 다른 격실보다 낮은 온도에서 동시에 조리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용기의 개방된 상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어 덮어주며 상면에 부설되는 손잡이와 상하를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공을 구비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기 조리용기와 다른 격실에 담긴 음식의 냄새 등이 더욱 효과적으로 혼합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뚝배기를 제공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는, 한번에 2종류 또는 그 이상의 음식은 물론 조리온도가 다른 음식도 한번에 2종류 또는 그 이상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구입비용의 부담과 연료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와 보관 및 사용이 매우 간편·용이하게 되는 등의 장점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를 뚜껑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뚝배기를 모두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뚝배기를 결합하여 보인 종 단면도
도 4는 도 1의 뚝배기에서 조리용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종 단면도
도 5는 도 1의 뚝배기에서 조리용기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a,b는 도 1의 뚝배기에서 격실의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인 평면도
이하, 본 발명에 다른 뚝배기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를 뚜껑을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뚝배기를 모두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뚝배기를 결합하여 보인 종 단면도이다.
도 1~3의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는, 몸체(10)와, 격벽(20) 및 뚜껑(3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몸체(10)는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11)의 외주면 양쪽에 부설되는 손잡이(12)와 상기 상단보다 높이가 낮게 내주면의 상측에 빙 둘러 형성되는 받침턱(13)을 구비하여 된다.
격벽(20)은 몸체(10)의 내부를 바닥으로부터 받침턱(13)까지 가로막아 복수의 격실(21)로 구획하게 상기 몸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면(2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뚜껑(30)이 반구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하면에 밀착되어 가로지르는 곡면으로 되게 상향연장된다.
이렇게 상단면(22)이 뚜껑(30)의 하면에 밀착되어 가로지르는 형성하는 것은, 각 격실(21)에 서로 다른 음식재료를 담고 조리를 할 때 상기 격실들의 상부가 서로 유통하지 않도록 차단하게 함으로써 음식들 고유의 맛과 향이 그대로 유지되지 되게 조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격벽(20)은, 격실(21)들의 크기를 동일하게 할 때에는 몸체(10)의 내부 중간으로 가로지르게 형성하면 되는 반면에 크기를 다르게 할 때에는 그 크기의 차이에 비례하여 중간으로부터 어느 한쪽으로 치우쳐서 가로지르게 형성하면 된다.
또한, 격벽(20)은 몸체(10)의 내부를 3개의 격실(21) 또는 그 이상으로 구획하게 형성하여도 되는데, 이때 격실의 개수는 상기 몸체의 크기는 물론 조리할 음식의 분량 등을 감안하여 적합하게 형성하면 된다.
뚜껑(30)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며, 상면의 중앙에 부설되는 손잡이(31)와 격실(21)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기구(32)를 구비하여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를 사용할 때에는, 각 격실(21)에 각기 다른 음식재료를 담은 다음 몸체(10)의 개방된 상면에 뚜껑(30)을 닫고 가열을 하면 한번에 2종류나 그 이상의 음식을 조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조리과정에서는 격벽(20)의 상단면(22)이 뚜껑(30)의 내면을 가로지르게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각 격실(21)에서 조리되고 있는 음식들의 냄새나 국물 등이 서로 혼합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차단되기 때문에 하나의 뚝배기로 2종류 이상의 음식으로 조리하여도 음식들의 고유한 맛과 향 등이 각각 별도의 뚝배기로 조리하였을 때와 동일하게 조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는 격실(2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조리용기(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조리용기(40)는 해당 격실(21)에 삽입되는 크기와 형태로 상면이 개방되게 스테인리스강 등의 금속으로 형성되며, 외면의 상단에 빙 둘러 돌출되는 테두리편(41)과 하면에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42)를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조리용기(40)는 다른 격실(21)에 담은 음식재료보다 조리온도가 낮은 음식을 담아 해당 격실(21)에 삽입하면 상단의 테두리편과 하면의 돌기들에 의해 조리용기의 외면과 하면이 해당 격실의 내면과 바닥으로부터 격리되어 열이 직접 전달되지 않아 다른 격실보다 낮은 온도에서 조리되게 하는 특징이 있다.
즉, 일 예로 계란찜을 조리할 경우에 재료는 조리용기(40)에 담고 해당 격실(21)에는 적정량의 물을 넣은 다음 상기 조리용기를 격실에 삽입하고 가열을 하면 격실에 수용된 물이 끓어서 발생하는 증기에 의해 찜이 조리됨과 동시에 다른 격실(21)에 서는 다른 음식이 조리된다.
도 4는 도 1의 뚝배기에서 조리용기를 분리하는 과정을 보인 종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1의 뚝배기에서 조리용기를 완전히 분리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도 5~6은 조리용기(40)의 상단에는 손잡이 겸용 고리(43)를 일체로 부설하여 조리가 완료된 다음에는 상기 고리를 걸어주는 걸이구(51)와 상기 조리용기의 내벽 상부에 받쳐지는 지지구(52)가 구비된 인출도구(50)를 사용하여 뜨거운 상태인 상기 조리용기를 간단·용이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한 예를 보인 것이다.
이러한 조리용기(40)는,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44)와 상기 덮개의 상면에 부설되는 손잡이(45)와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공(46)을 더 구비하여 된다.
이렇게 조리용기(40)의 개방된 상면을 별도의 덮개(44)로 덮어주면, 다른 격실(21)에서 발생하는 냄새가 더욱 효과적으로 유입되지 않도록 차단되어 고유의 맛과 향을 간직할 수 있게 조리된다.
이러한 조리과정에서, 통기공(32)과 통공(46)들을 통해서는 조리실(21)과 조리용기(40)의 내부에서 발생하는 증기압이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뚜껑(30)과 덮개(44)가 들썩거리거나 열리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도 6a,b는 도 1의 뚝배기에서 격실의 서로 다른 형태를 보인 평면도이다.
도 6a는 "Y"자 형태의 격벽(20)에 의해 몸체(10)의 내부가 3개의 격실(21)로 구획되는 예를 보인 것이며, 도 6b는 "S"자 형태의 격벽(20)에 의해 몸체의 내부가 2개의 격실(21)로 구획되는 예를 보인 것이다.
물론, 격벽(20)은 상기와 같은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격실(21)의 개수나 크기 등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경우에도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뚝배기는, 한번에 2종류나 그 이상의 음식은 물론 조리온도가 다른 음식도 한번에 2종류나 그 이상을 동시에 조리할 수 있게 되는 등의 특징이 있다.
또한, 이러한 점들에 의해 2인 또는 1인 가구에서는 물론이고 다인 가구에서도 여러 종류의 음식을 소량으로 조리할 경우에 구입비용의 부담없이 연료의 낭비가 초래되지 않으면서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되는 등의 장점이 있다.
10 : 몸체 11 : 상면
13 : 받침턱 20 : 격벽
21 : 격실 22 : 상단면
30 : 뚜껑 32 : 통기공
40 : 조리용기 41 : 테두리편
42 : 돌기 43 : 고리
44 : 덮개 46 : 통공

Claims (5)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상면이 개방되며 상단(11)의 외주면 양쪽에 부설되는 손잡이(12)와 내주면의 상측에 상단(11)보다 높이가 낮게 빙 둘러 형성되는 받침턱(13)을 구비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바닥으로부터 받침턱(13)까지 가로막아 복수의 격실(21)로 구획하게 일체로 형성되며 상단면(22)이 곡면으로 상향연장되는 격벽(20)과, 상기 몸체(10)의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면 상단면(22)이 하면에 밀착되게 반구형으로 형성되며 상면의 중앙에 부설되는 손잡이(31)와 격실(21)에 대응하는 부위에 각각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기구(32)를 구비하는 뚜껑(30)과, 상기 격실(21)들 중 어느 하나에 삽입하는 조리용기(4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뚝배기에 있어서,
    상기 조리용기(40)는, 상기 격실(21)에 삽입되는 크기와 형태로 상면이 개방되게 형성되며, 외면의 상단에 빙 둘러 돌출되는 테두리편(41)과, 하면에 하향 돌출되는 복수의 돌기(42)와, 상단에 부설되는 고리(43)와, 개방된 상면을 덮어주는 덮개(44)와, 상기 덮개(44)의 상면에 부설되는 손잡이(45) 및 상기 덮개(44)의 일측에 상하로 관통하게 형성되는 통공(46)을 구비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뚝배기.
  5. 삭제
KR1020140096671A 2014-07-29 2014-07-29 뚝배기 Expired - Fee Related KR1016052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71A KR101605253B1 (ko) 2014-07-29 2014-07-29 뚝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6671A KR101605253B1 (ko) 2014-07-29 2014-07-29 뚝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431A KR20160014431A (ko) 2016-02-11
KR101605253B1 true KR101605253B1 (ko) 2016-03-21

Family

ID=55351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6671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5253B1 (ko) 2014-07-29 2014-07-29 뚝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525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39668B (zh) * 2015-06-16 2017-05-10 张燃然 一种便携式一体火锅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864Y1 (ko) * 2004-06-04 2004-10-27 박용환 두맛 요리 조리용 냄비
JP2012223384A (ja) * 2011-04-20 2012-11-15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熱調理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65864Y1 (ko) * 2004-06-04 2004-10-27 박용환 두맛 요리 조리용 냄비
JP2012223384A (ja) * 2011-04-20 2012-11-15 Tiger Vacuum Bottle Co Ltd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4431A (ko) 2016-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62308A (en) Steam cooker
CN201929711U (zh) 烹饪用具物品
US5931333A (en) Container system including a colander
EP2683280B1 (en) Barbeque apparatus
US20110000380A1 (en) Food steamer
US20060243141A1 (en) Food Container, Strainer, Cooker, and Strained Liquid Collector
US10039406B2 (en) Steam cooker
KR101311121B1 (ko) 멀티 쿠커
KR101605253B1 (ko) 뚝배기
KR200445346Y1 (ko) 신선로
KR101530070B1 (ko) 구이 및 탕이 가능한 다용도 조리기구
KR101645410B1 (ko) 즉석 찜 포장용기
JP2002300966A (ja) 容器兼用蒸し器
CN203943489U (zh) 多功能锅具
US10765250B1 (en) Steam cooking apparatuses with invertible steaming insert baskets and controlled venting lids
US1976219A (en) Cooking utensil
KR100902135B1 (ko) 다용도 찜기
KR101728660B1 (ko) 전자렌지용 취사 용기
KR200487295Y1 (ko) 요리용 찜기
KR200473141Y1 (ko) 가스 오븐 찜기
JP3869427B2 (ja) 多目的調理容器
KR101945939B1 (ko) 찜기 겸용 전골냄비
KR200320853Y1 (ko) 조리용 용기
KR200482851Y1 (ko) 다기능 육류 구이판
CN209789505U (zh) 蒸桶及具有其的烹饪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7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