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4849B1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4849B1 KR101604849B1 KR1020090084607A KR20090084607A KR101604849B1 KR 101604849 B1 KR101604849 B1 KR 101604849B1 KR 1020090084607 A KR1020090084607 A KR 1020090084607A KR 20090084607 A KR20090084607 A KR 20090084607A KR 101604849 B1 KR101604849 B1 KR 1016048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mage
- traffic information
- transportation means
- route map
- informa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4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13 activ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73 irr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2 irrig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교통정보에 운송수단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표현함으로써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직관성이 높은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교통정보, 확장현실 기술, 위치기반 서비스, 노선도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traffic information by us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and real-time information on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acquired traffic information, thereby realizing intuitiveness without requiring separate applications and data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Provide high traffic information.
Traffic information, extended reality technology, location-based services, route map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정의된 이미지에 운송수단을 실시간 표현함으로써 교통정보를 표현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및 종합 무선통신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le being portable.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diversified, they have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playing music files and video files, receiv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and wireless internet, and have developed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 And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이러한 무선통신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느 휴대단말기는 확장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및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과 접목되어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및 교통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맵 정보를 메모리에 내장하여야 하나, 내장된 맵 정보의 한계로 인 해 임의의 도시나 국가, 또는 도서지역에서는 제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메모리에 내장되는 맵 정보, 및 맵 정보에서 표시되는 운송수단을 추적, 및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개발자 측에서 제공하는 것에 의존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평소에 접하는 것과 상이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LBS (Location Based Service) technology to provid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 order to us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must incorporate a separate application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for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in a memory, In any city, country, or book area, there are aspects that are difficult to expect. Further, the map information embedded in the memory and the interface for tracking and displaying the transportation means displayed in the map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normally encountered by the user since they depend on what is provided by the developer providing the traffic information, There is an aspect that does not provide an intuitive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설정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in the background of a user-set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대중교통 노선도의 일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를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상기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cquiring an image of a region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through a camera; transmitting the image by access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quiring traffic information of a traveling vehicle,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on a touch screen, and expressing the vehicle on the basi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대중교통 노선도를 촬상하여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의 일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획득하고, 터치스크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and acquiring an image of one area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image to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acquire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expressing the transportation means whose posi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on the touch screen as the background of the sensed image Lt;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촬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실시간 교통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교통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확장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와 운송수단을 표현함으로써 최소한의 데이터만으로도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recognize the traffic information by displaying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of the image taken by the user. By expressing the image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using the extended reality functi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is availa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구성도(Block Diagram)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휴대단말기(100)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1, the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 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 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 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받아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으로 기재하며, 이때,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스크린은 동일한 참조부호 "151"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uch input unit, the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The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 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ase of the present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The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제2 음향 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 출력 모듈은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또한, 프론트 케이스(100A-1)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프론트 케이스(100A-1)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제1 ∼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도 3은 확장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sing an extended reality function.
휴대단말기(100)가 서비스 대상 지역 전체에 대한 2D, 또는 3D 지형을 표현하는 맵과, 맵에 운송수단을 표현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및 맵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휴대단말기(100)에는 대량의 맵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확장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및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은 맵 데이터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카메라(121)로 촬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저 용량의 이미지를 배경으로 운송수단을 표현하므로 맵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통상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방법과는 달리 매우 적은 용량의 데이터만을 요구한다. When the
먼저,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지하철 노선도, 버스 노선도, 기차 노선도, 항공기 노선도, 및 선박 노선도 중 하나를 촬상한다(1).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는 노선도 전체, 또는 노선도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제어하여,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무선 전송한다(2). First, the user picks up one of a subway route map, a bus route map, a train route map, an airplane route map, and a ship route map using the camera 121 (1). The image captured by the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에서 특정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가 무었인지를 판단한다. 특정정보는 노선도를 구성하는 역, 또는 지역의 명칭에 해당하며, 역(또는 지역) 사이를 잇는 라인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실시간 교통정보 서 비스를 받고자 하는 운송수단의 종류, 및 지역을 파악한다. The traffic
예컨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단말기(100)가 전송한 이미지가 압구정, 신사, 잠원, 및 고속버스 터미널과 같은 명칭을 구비하고 각 명칭이 단일 라인에 의해 연결될 경우, 서울 지하철 노선도로 판단할 수 있으며, 만일, 이미지에서 "서부운수기점-새절역.숭실고입구-명지전문대-홍은2동주민센터-문화촌현대아파트-상명대입구-신교동-종로1가"의 순서대로 나열되는 역 명칭이 존재한다면, 버스 노선도임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즉, 버스, 철도, 항공기, 및 선박의 역 명칭은 이름과 배열 순서가 서로 상이하므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정보 서비스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everse names of the buses, the railways, the aircraft, and the vesse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name and arrangement order, the traffic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교통정보의 종류를 선택 후, 실시간 교통정보를 휴대단말기(100)로 직접 전송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교통정보를 요청, 및 획득 후,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운송수단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 운송수단의 종류,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 및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을 휴대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raffic
여기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맵 정보와 교통정보 모두를 구비하는 형태이거나, 맵 정보, 또는 교통정보 중 하나를 외부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에 의존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서울 지역의 버스 교통정보를 서울 버스정보 안내시스템(SABIS : Seoul Advanced Bus Information System)과 같은 외부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traffic
휴대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촬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 전송하는 운송수단의 종류, 및 운송수단의 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기(100)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대용량의 맵 정보도 필요치 않고, 맵 정보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할 필요도 없다.The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촬상한 노선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S301), 무선 인터넷 모듈(115)을 제어하여 카메라(121)가 촬상한 이미지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한다(S30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시간 교통정보 조회를 원하는 운송수단의 종류, 및 지역을 파악하고, 파악된 운송수단의 종류, 지역, 및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First, the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이 전송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획득하고(S303), 터치스크린(151)에는 카메라(121)가 촬상한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 표시한다(S304).Next, the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배경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S305). 이때, 배경 이미지에 표 시되는 운송수단은 차량, 지하철, 항공기, 및 선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운송 수단은 아이콘으로 표현됨이 바람직하다. 아이콘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서 휴대단말기(100)로 제공되거나, 휴대단말기(100)가 자체 구비하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Next, the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운송수단들 중 터치 입력에 의해 사용자 선택된 운송수단이 존재할 때,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된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307). 부가정보는 운송수단의 고유 정보, 예컨대, 운송수단이 버스일 경우, 버스 번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운송수단이 현재 위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동방향, 날씨, 교통 혼잡도, 및 운송수단의 평균 속도 등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송수단이 전철일 경우, 전철 차량 번호, 운행 방향,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수단은 버스와 전철을 예시하고 있으나, 항공기나 선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들 운송수단에 대한 도착예정 시간, 이동 방향, 날씨정보, 이동방향, 교통 혼잡도, 및 운송수단의 고유 정보가 부가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the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는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하거나, 이동통신 모듈(113)이 기지국과 통신할 때, 기지국에 의해 파악되는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e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may be acquired through the
도 5는 화면에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나타내고, 도 6은 배경 이미지에 운송수단, 및 부가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a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and FIG. 6 show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a transportation mea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a background image.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운송수단의 노선도가 표시된 화면(400)을 도시한다. 도 5에서 화면(400)에는 사용자가 지하철 노선도의 일부만을 촬상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촬상된 이미지는 남성역, 이수역, 및 낙성대역을 중심으로 표현된다. 이는, 사용자가 노선도 전체 영역 중 촬상한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교통정보를 조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re is shown a
만일, 지하철 전체 노선도를 촬상한다면, 지하철 전체의 실시간 교통상황을 파악하기에는 용이할 수 있으나, 그 대신 화면(400)의 한정된 영역에서 운송수단(지하철)이 매우 작게 표시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영역만을 촬상한다면 화면(400)에 표시되는 노선도, 및 운송수단의 아이콘은 식별이 용이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될 것이 자명하다. 더욱이, 사용자가 촬상한 노선도는 사용자가 평소에 자주 접하는 노선도에 해당하므로 실시간 교통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편리하다.If the entire subway map is photographed, it may be easy to grasp the real-time traffic situation of the entire subway. Instead, the subway should be displayed in a very small area in the limited area of the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촬상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하여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451, 455)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 중 어느 하나(451)에 터치 입력이 가해질 때,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가해진 아이콘(451)에 대한 부가정보(52)를 터치스크린(151)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 도면에는 열차번호(4984), 운행 방향(사당 -> 낙성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도착 예정시간, 및 순환열차임을 나타내는 부가정보(52)가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근접하는 운송수단은 강조되어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현재위치는 제어부(180)가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하거나, 이동통신 모듈(113)과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할 때, 기지국에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운송수단의 색상, 밝기, 크기, 및 윤곽선의 굵기는 타 아이콘(예컨대 참조부호 455)과 차별되게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 선택된 아이콘의 색상은 밝게 처리하거나, 굵은 윤곽선으로 표현하거나, 색상을 원색으로 표현하거나,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하여 타 아이콘(455)과 차별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con selected by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transportation means approaching the user's current position is emphasized and processe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may be acquired through the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사용자가 촬상한 대중교통 노선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대중교통 노선도에 대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이용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하고,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이미지에 촬상된 노선도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획득한다. 7, the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무선 인터넷 모듈(115)이 전송하는 이미지를 분석하며, 이미지에 포함되는 대중교통 노선도에 표시된 텍스트, 및 텍스트 상호 간 연결관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중교통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대 중교통의 종류와 무선 인터넷 모듈(115)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무선 인터넷 모듈(115)로 전송한다.The traffic
제어부(180)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한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510)을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이미지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교통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아이콘(510)을 이미지에서 실시간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운송수단에 대한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용할 수 있다.The
도 7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아이콘(510)에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가할 때, 터치스크린(151)은 아이콘(510)에 대응하는 운송수단에 대해 부가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서 부가정보는 전철 차량번호, 운행방향,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이 되며, 도착 예정시간은 제어부(180)가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된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낙성대역)로 향하는 전철과 휴대단말기(100) 사이의 시간 거리를 나타낸다. In FIG. 7, the user may apply a touch input to the
도 7에서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아이콘(510)은 전철의 형태를 가진다. 전철의 형태를 가진 아이콘은 플래시 플레이어에 의해 표시되거나, 정지된 이미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어부(180)가 그 위치를 변경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아이콘(510)은 메모리(160)에 수납되거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서 무선 인터넷 모듈(115)로 제공할 수 있다. In FIG. 7, the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확장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of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sing an extended reality fun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화면에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 5 i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a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도 6은 배경 이미지에 운송수단, 및 부가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 그리고6 i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the background image, an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607A KR101604849B1 (en) | 2009-09-08 | 2009-09-08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84607A KR101604849B1 (en) | 2009-09-08 | 2009-09-08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810A KR20110026810A (en) | 2011-03-16 |
KR101604849B1 true KR101604849B1 (en) | 2016-03-21 |
Family
ID=4393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846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4849B1 (en) | 2009-09-08 | 2009-09-08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4849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71747B1 (en) * | 2015-06-09 | 2016-11-02 | 네이버 주식회사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
-
2009
- 2009-09-08 KR KR1020090084607A patent/KR101604849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26810A (en) | 2011-03-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2013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thereof | |
EP2395326B1 (en) |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 |
KR101531193B1 (en) | Map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
US8838180B2 (en) | Relational rendering with a mobile terminal | |
KR101558211B1 (en) | A user interface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 |
KR101476439B1 (en) |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ntents using the same | |
KR101732076B1 (en) |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 |
KR101478550B1 (en) | Handheld terminal for Hangul input | |
CN110751854B (en) | Parking guidance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and storage medium | |
CN103034432A (en) | Cont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information on display screen of mobile device | |
CN103164149A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for selected area using dynamic touch interaction | |
CN110231049B (en) | Navigation rout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 |
KR20100050958A (en) |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 |
KR20110083174A (en) | Digital Signage Devices and Control Methods | |
KR101604849B1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11176338B (en) | Navig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1896255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
CN112699906B (en) |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cquiring training data | |
CN111707263B (en) |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 |
KR101302365B1 (en) |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1549552B1 (en) |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 |
KR101590358B1 (en) | Mobile terminal including block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 |
KR101588208B1 (en) | A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
KR101561901B1 (en) |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for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s | |
KR101590368B1 (en) | A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8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 ||
PC1903 |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