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4849B1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849B1
KR101604849B1 KR1020090084607A KR20090084607A KR101604849B1 KR 101604849 B1 KR101604849 B1 KR 101604849B1 KR 1020090084607 A KR1020090084607 A KR 1020090084607A KR 20090084607 A KR20090084607 A KR 20090084607A KR 101604849 B1 KR101604849 B1 KR 101604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traffic information
transportation means
route map
inform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846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10026810A (en
Inventor
송이강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84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849B1/en
Publication of KR201100268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2681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849B1/en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GPS signal receiv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Navig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이용하여 교통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교통정보에 운송수단에 대한 정보를 실시간 표현함으로써 교통정보 제공을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과 데이터를 요구하지 않으면서도, 직관성이 높은 교통정보를 제공한다.

Figure R1020090084607

교통정보, 확장현실 기술, 위치기반 서비스, 노선도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and apparatus for acquiring traffic information by using an image captured by a camera and real-time information on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acquired traffic information, thereby realizing intuitiveness without requiring separate applications and data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Provide high traffic information.

Figure R1020090084607

Traffic information, extended reality technology, location-based services, route map

Description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 정의된 이미지에 운송수단을 실시간 표현함으로써 교통정보를 표현하는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2]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ortable terminal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portable terminal for expressing traffic information by expressing a transportation means in real time on a user-defined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휴대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를 수행할 수 있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할 수 있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기기이다. 이러한 휴대단말기는 그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무선 인터넷 등과 같은 복잡한 기능들을 갖추게 되었으며, 종합적인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및 종합 무선통신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A portable terminal is a portable device having one or more functions capable of carrying out voice and video communication, capable of inputting and outputting information, and storing data, while being portable. As the functions of the portable terminal have diversified, they have complicated functions such as photographing and photographing, playing music files and video files, receiving games, receiving broadcasts, and wireless internet, and have developed a comprehensive multimedia player, , And integrated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이러한 무선통신 기기의 형태로 구현되느 휴대단말기는 확장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및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과 접목되어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기에 이르렀다. 휴대단말기를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를 이용하고자 할 때, 사용자는 교통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및 교통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맵 정보를 메모리에 내장하여야 하나, 내장된 맵 정보의 한계로 인 해 임의의 도시나 국가, 또는 도서지역에서는 제 기능을 기대하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또한, 메모리에 내장되는 맵 정보, 및 맵 정보에서 표시되는 운송수단을 추적, 및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는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개발자 측에서 제공하는 것에 의존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평소에 접하는 것과 상이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지 못하는 측면이 있다.The portable terminal, which is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is combined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LBS (Location Based Service) technology to provid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In order to us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by using the portable terminal, the user must incorporate a separate application for providing traffic information and map information for displaying traffic information in a memory, In any city, country, or book area, there are aspects that are difficult to expect. Further, the map information embedded in the memory and the interface for tracking and displaying the transportation means displayed in the map information are different from those normally encountered by the user since they depend on what is provided by the developer providing the traffic information, There is an aspect that does not provide an intuitive interface.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 설정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 가능한 휴대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ortable terminal capable of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in the background of a user-set imag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카메라를 통해 대중교통 노선도의 일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를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상기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단계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comprising: acquiring an image of a region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through a camera; transmitting the image by accessing a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cquiring traffic information of a traveling vehicle, displaying an image obtained through the camera on a touch screen, and expressing the vehicle on the basis of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대중교통 노선도를 촬상하여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의 일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획득하고, 터치스크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제어부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including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and acquiring an image of one area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 control unit for providing the image to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acquire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expressing the transportation means whose position is changed in accordance with the passage of time on the touch screen as the background of the sensed image Lt; / RTI >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가 촬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실시간 교통정보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직관적으로 교통정보를 인식할 수 있도록 하며, 확장 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이미지와 운송수단을 표현함으로써 최소한의 데이터만으로도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more intuitively recognize the traffic information by displaying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on the background of the image taken by the user. By expressing the image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using the extended reality function,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is available.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휴대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된다.The portable terminal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ncludes a mobile phone, a smart phone, a notebook computer, a digital broadcasting terminal, a 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a 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navigation and the like.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구성도(Block Diagram)로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포함되는 휴대단말기(100)를 기능에 따른 구성요소 관점에서 살펴보기로 한다.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1, the mobile terminal 100 included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erms of components according to functions.

도 1을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1,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s a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an A / V input unit 120, a user input unit 130, a sensing unit 140, an output unit 150, A memory 160, an interface unit 170, a control unit 180, and a power supply unit 190. When such components are implemented in practical applications, two or more components may be combined into one component, or one component may be divided into two or more components as necessary.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3), 무선 인터넷 모듈(115), 근거리 통신 모듈(117), 및 GPS 모듈(119)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may include a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a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module 117, and a GPS module 119.

방송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수신한다. 이때,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 상파 채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 방송 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나,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 방송관련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from an external broadcast management server through a broadcast channel. At this time, the broadcast channel may include a satellite channel, a terrestrial channel, and the like. The broadcast management server may refer to a server for generating and transmitting at least one of a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a server for receiving at least one of the generated broadcast signal and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and transmitting the broadcast signal to the terminal.

방송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는 이동통신 모듈(113)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may mean information related to a broadcast channel, a broadcast program, or a broadcast service provider. The broadcast signal may include a TV broadcast signal, a radio broadcast signal, a data broadcast signal, and a broadcast signal in which a data broadcast signal is combined with a TV broadcast signal or a radio broadcast signal. The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also be provided through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in which case it can be received by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Broadcast-related information can exist in various forms.

방송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방송수신 모듈(111)은, 이와 같은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방송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receives broadcast signals using various broadcasting systems. In particular,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T), a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DMB-S) ), 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DVB-H), 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ISDB-T),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configured to be suitable for all broadcasting systems that provide broadcasting signals, as well as the digital broadcasting system. The broadcast signal and / or broadcast related information received through the broadcast receiving module 11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이동통신 모듈(113)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 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transmits and receives a radio signal to at least one of a base station, an external terminal, and a server on a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Here, the wireless signal may include various types of data depending on a voice call signal, an image call signal, or a text / multimedia message transmission / reception.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5)은 휴대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7)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119)은 복수 개의 GPS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refers to a module for wireless Internet access, and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can be embedd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r externally. The short-range communication module 117 refers to a module for short-range communication. Bluetooth,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ltra wideband (UWB), ZigBee, and the like can be used as the short distance communication technology. A GPS (Global Position System) module 119 receives position information from a plurality of GPS satellites.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The A / V (Audio / Video) input unit 120 is for inputting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and may include a camera 121 and a microphone 123. The camera 121 processes an image frame such as a still image or moving image obtained by the image sensor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n, the processed image frame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The image frame processed by the camera 121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transmitt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 The camera 121 may be equipped with two or more camera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terminal.

마이크(123)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3)를 통 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 (123)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The microphone 123 receives an external sound signal by a microphone in a communication mode,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or the like, and processes it as electrical voice data. The processed voice data can be converted into a form that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communication base station via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output when the voice data is in the call mode. The microphone 123 may be a variety of noise reduction algorithms for eliminating noise generated in receiving an external sound signal.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The user input unit 130 generates key input data that the user input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terminal. The user input unit 130 may include a key pad, a dome switch, a touch pad (static / static), a jog wheel, a jog switch, a finger mouse, and the like. Particularly, when the touch pad has a mutual layer structure with the display unit 151 described later, it can be called a touch screen.

센싱부(140)는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The sensing unit 140 senses the current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such as the open / close stat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Thereby generating a sensing signal.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form of a slide phone, it is possible to sense whether the slide phone is opened or closed. In addition, a sensing function related to whether or not the power supply unit 190 is powered on, whether the interface unit 170 is coupled to an external device, and the like can be handled.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output unit 150 is for outputting an audio signal, a video signal, or an alarm signal. The output unit 150 may include a display unit 151, an audio output module 153, and an alarm unit 155.

디스플레이부(151)는 휴대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휴대 단말 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되거나 수신된 영상을 각각 혹은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UI, GUI를 표시한다.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processed by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in the call mode, a UI (User Interface) or a GUI (Graphic User Interface) associated with a call is displayed. When the portable terminal device 100 is in the video communication mode or the photographing mode, the photographed or received images can be displayed individually or simultaneously, and the UI and the GUI are displayed.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만일,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 패널은 외부에 부착되는 투명한 패널로서, 휴대 단말기 내부의 버스에 연결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 패널은 접촉 결과를 주시하고 있다가, 터치입력이 있는 경우 대응하는 신호들을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로 보낸다. 터치 스크린 패널 제어기는 그 신호들을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하여, 제어부(180)가 터치입력이 있었는지 여부와 터치스크린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를 알 수 있도록 한다. Meanwhil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display unit 151 and the touch pad have a mutual layer structure to constitute a touch screen, the display unit 151 can be used as an input device in addition to the output device. If the display unit 151 is configured as a touch screen, it may include a touch screen panel, a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and the like. In this case, the touch screen panel is a transparent panel attached to the outside, and can be connected to a bus inside the portable terminal. The touch screen panel keeps a watch on the contact result, and if there is a touch input, sends the corresponding signals to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The touch screen panel controller processes the signals, and then transmits corresponding data to the controller 180 so that the controller 180 can determine whether the touch input has been made and which area of the touch screen has been touched.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받아 동작할 때,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스크린으로 기재하며, 이때, 터치스크린은 디스플레이부(151)와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디스플레이부와 터치스크린은 동일한 참조부호 "151"을 사용할 수 있다.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user operates the touch input unit, the display unit 151 is described as a touch screen. At this time, the touch screen is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e display unit 151 . Therefor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splay portion and the touch screen can use the same reference numeral "151 ".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도 있다. 그리고, 휴대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가 2개 이상 존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100)에 외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내부 디스플레이부(미도시)가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51 may be a liquid crystal display, a 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a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 flexible display, And a display (3D display). There may be two or more display units 151 according to the implementation mode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 For example,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include an ex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nd an internal display unit (not shown) at the same time.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3)은 휴대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 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The audio output module 153 outputs audio data received from 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0 or stored in the memory 160 in a call signal reception mode, a call mode or a recording mode, a voice recognition mode, a broadcast reception mod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outputs sound signals related to functions perform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for example, a call signal reception tone, a message reception tone, and the like. The sound output module 153 may include a speaker, a buzzer, and the like.

알람부(155)는 휴대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 단말기(100)에서 발생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5)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5)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향 출력 모듈(153)를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events occurring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call signal reception, message reception, and key signal input. The alarm unit 155 outputs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in a form other than an audio signal or a video signal.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output a signal in a vibration mode. When a call signal is received or a message is received, the alarm unit 155 may output a vibration to notify it. Alternatively, when the key signal is input, the alarm unit 155 can output the vibration by the feedback to the key signal input. This vibration output allows the user to recognize the occurrence of an event. Of course, a signal for notifying the occurrence of an event may also be output through the display unit 151 or the sound output module 153.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The memory 160 may store a program for processing and controlling the control unit 180 and may store a function for temporarily storing input or output data (e.g., a phone book, a message, a still image, .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 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휴대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메모리(15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The memory 160 may be a flash memory type, a hard disk type, a multimedia card micro type, a card type memory (for example, SD or XD memory), a RAM , And a ROM. ≪ / RTI > In addition, the portable terminal 100 may operate a web storage for storing the memory 150 on the Internet.

인터페이스부(170)는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한다. 휴대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외부기기의 예로는,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과 같은 카드 소켓, 오디오 I/O(Input/Output) 단자, 비디오 I/O(Input/Output) 단자, 이어폰 등이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러한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할 수 있고, 휴대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The interface unit 170 serves as an interface with all external devices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Examples of the external device connect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clude a card socket such as a wired / wireless headset, an external charger, a wired / wireless data port, a memory card, a SIM / UIM card, / Output, Video I / O, and Earphone. The interface unit 170 receives data from the external device or receives power from the external device and transmits the data to each component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so that data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can be transmitted to the external device .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휴대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재생 모듈(181) 은 제어부(180) 내에 하드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소프트웨어로 구성될 수도 있다.The controller 180 typically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respective units to control the overall operation of the mobile terminal 100. For example, voice communication, data communication, video communication, and the like.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180 may include a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for multimedia playback. The multimedia playback module 181 may be configured in hardware in the controller 180 or separately from software in the controller 180. [

그리고,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190 receives external power and internal power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180 and supplies power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respective components.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휴대 단말기(10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00A-1)와 리어 케이스(100A-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2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2, the case of the present portable terminal 100 is formed by a front case 100A-1 and a rear case 100A-2.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are incorporated in the space formed by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At least one intermediate case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between the front case 100A-1 and the rear case 100A-2. Such cases may be formed by injection molding of a synthetic resin, or may be formed of a metal material, for example, a metal material such as stainless steel (STS) or titanium (Ti).

본체,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 제1 카메라(121a), 제1 사용자 입력부(130a)가 배치될 수 있다. The display unit 151, the first sound output module 153a, the first camera 121a, and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may be disposed in the main body, specifically, the front case 100A-1.

프론트 케이스(100A-1)에는 제2 음향 출력 모듈(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2 음향 출력 모듈은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과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A second sound output module (not shown) may be additionally disposed in the front case 100A-1. The second acoustic output module may implement the stereo function together with the first acoustic output module 153a, and may be used for the talk in the speakerphone mode.

또한, 프론트 케이스(100A-1)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안테나는 프론트 케이스(100A-1)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An antenna (not shown)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s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front case 100A-1 in addition to an antenna for communication. The antenna may be installed to be able to be drawn out from the front case 100A-1.

그리고, 리어 케이스(100A-2)의 측면에서는 제2 사용자 입력부(130b), 제3 사용자 입력부(130), 및 마이크(123)가 배치될 수 있다.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 and the microphone 123 may be disposed on the side of the rear case 100A-2.

디스플레이부(1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등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패드가 레이어 구조로 중첩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가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The display unit 151 include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and the like that visually express information. The display unit 151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touch pad is overlapped with the layer structure so that the display unit 151 operates as a touch screen so that information can be input by a user's touch.

제1 음향 출력 모듈(153a)은 리시버 또는 스피커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에 적절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그리고, 마이크(123)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에 적절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The first acoustic output module 153a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receiver or a speaker. The first camera 121a may be adapted to photograph an image or a moving image of a user or the like. The microphone 123 may be implemented in a form suitable for receiving voice, sound, etc. of the user.

제1 ∼ 제3 사용자 입력부(130a, 130b, 130c)는 사용자 입력부(manipulating portion)(130)라 통칭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The first to third user input units 130a, 130b, and 130c may b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a manipulating portion 130 and may be employed in any manner as long as the user operates the unit while giving a tactile impression.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사용자 입력부(130a)는 시작, 종료, 통화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고, 제2 사용자 입력부(130b)는 동작 모드의 선택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3 사용자 입력부(130c)는 휴대 단말기(100) 내의 특수한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user input unit 130 may be embodied as a dome switch or a touch pad capable of receiving a command or information by a push or touch operation of a user, or may be a wheel, a jog type, a joystick, Or the like. In terms of functions, the first user input unit 130a is for inputting a command such as start, end, and call, and the second user input unit 130b is for inputting an operation mode selection or the like. Also, the third user input unit 130c may operate as a hot-key for activating a special function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

도 3은 확장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를 나타낸다.3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a process of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sing an extended reality function.

휴대단말기(100)가 서비스 대상 지역 전체에 대한 2D, 또는 3D 지형을 표현하는 맵과, 맵에 운송수단을 표현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 및 맵 데이터를 이용할 경우, 휴대단말기(100)에는 대량의 맵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확장현실(augmented reality) 기술, 및 LBS(Location Based Service) 기술은 맵 데이터를 대신하여 사용자가 카메라(121)로 촬상한 이미지를 배경으로 이용한다. 따라서,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저 용량의 이미지를 배경으로 운송수단을 표현하므로 맵 정보와 어플리케이션을 필요로 하는 통상의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 방법과는 달리 매우 적은 용량의 데이터만을 요구한다. When the portable terminal 100 uses a map expressing a 2D or 3D terrain for the entire service target area, a separate application for expressing the transportation means on the map, and map data, the portable terminal 100 is provided with a large- Map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should be installed. The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nd the LBS (location based service) technology applied in the present invention use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as a background in place of the map data. Therefore, unlike a conventional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method that requires map information and applications, it requires only a very small amount of data because it expresses the means of transportation on the background of low-capacity images picked up by the camera 121.

먼저, 사용자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지하철 노선도, 버스 노선도, 기차 노선도, 항공기 노선도, 및 선박 노선도 중 하나를 촬상한다(1).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는 노선도 전체, 또는 노선도의 일부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제어하여,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이미지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 무선 전송한다(2). First, the user picks up one of a subway route map, a bus route map, a train route map, an airplane route map, and a ship route map using the camera 121 (1).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may be the entire route map or a part of the route map. The control unit 180 controls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to wirelessly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to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단말기(100)가 전송하는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한 이미지에서 특정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지역의 교통정보가 무었인지를 판단한다. 특정정보는 노선도를 구성하는 역, 또는 지역의 명칭에 해당하며, 역(또는 지역) 사이를 잇는 라인을 참조하여 사용자가 실시간 교통정보 서 비스를 받고자 하는 운송수단의 종류, 및 지역을 파악한다.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receives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acquires specific information from the received image to determine whether the user wants to see the traffic information. The specific information corresponds to the name of the station or area constituting the route map, and refers to the line connecting between stations (or areas) to determine the type and location of the vehicle for which the user wishes to receive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예컨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단말기(100)가 전송한 이미지가 압구정, 신사, 잠원, 및 고속버스 터미널과 같은 명칭을 구비하고 각 명칭이 단일 라인에 의해 연결될 경우, 서울 지하철 노선도로 판단할 수 있으며, 만일, 이미지에서 "서부운수기점-새절역.숭실고입구-명지전문대-홍은2동주민센터-문화촌현대아파트-상명대입구-신교동-종로1가"의 순서대로 나열되는 역 명칭이 존재한다면, 버스 노선도임을 판단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the image transmitt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has names such as Apgujeong, Shinsa, Jamwon, and Express Bus Terminal and each name is connected by a single line, If the name of the station is listed in the image, in the order of "Western Transportation Origin - New Vicinity. Sungsigo Entrance - Myongji College - Hong Eun 2 dong Community Center - Culture Village Hyundai Apartment - Sangmyung University Entrance - Shinhyo Dong - Jongno 1 Ga" If so, it can be judged to be a bus route map.

즉, 버스, 철도, 항공기, 및 선박의 역 명칭은 이름과 배열 순서가 서로 상이하므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이미지를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교통정보 서비스의 종류를 파악할 수 있다.That is, since the reverse names of the buses, the railways, the aircraft, and the vessels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name and arrangement order,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can grasp the type of traffic information service desired by the user through the images.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사용자에게 제공할 교통정보의 종류를 선택 후, 실시간 교통정보를 휴대단말기(100)로 직접 전송하거나, 실시간 교통정보를 제공하는 별도의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실시간 교통정보를 요청, 및 획득 후,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운송수단 각각에 대한 위치정보, 운송수단의 종류,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 및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을 휴대단말기(100)에 제공할 수 있다.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may transmit the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directly to the mobile terminal 100 after selecting the type of traffic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or may request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from a separate service system providing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 And after acquiring the data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At this time,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may provide the portable terminal 100 with location information for each transportation means, type of transportation means, additional information about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icons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여기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맵 정보와 교통정보 모두를 구비하는 형태이거나, 맵 정보, 또는 교통정보 중 하나를 외부 서비스 시스템(미도시)에 의존하는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서울 지역의 버스 교통정보를 서울 버스정보 안내시스템(SABIS : Seoul Advanced Bus Information System)과 같은 외부 서비스 시스템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Here,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may be configured to have both map information and traffic information, or may be configured to rely on an external service system (not shown) as either map information or traffic information. For example,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can acquire bus traffic information in the Seoul area from an external service system such as Seoul Bus Information System (SABIS).

휴대단말기(100)는 카메라(121)를 이용하여 촬상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이 전송하는 운송수단의 종류, 및 운송수단의 위치정보를 표시한다. 즉, 휴대단말기(100)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대용량의 맵 정보도 필요치 않고, 맵 정보를 해석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하기 위한 별도의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해야 할 필요도 없다.The portable terminal 100 displays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on the display unit 151 and displays the type of transportation means transmitt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on the background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51, Displays the location inform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That is, the portable terminal 100 does not need a large-capacity map information to provid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o the user, nor does it need to install a separate application for displaying the map information on the display unit 151.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를 나타낸다.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제어부(180)는 카메라(121)가 촬상한 노선도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S301), 무선 인터넷 모듈(115)을 제어하여 카메라(121)가 촬상한 이미지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한다(S302).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휴대단말기(100)로부터 제공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사용자가 실시간 교통정보 조회를 원하는 운송수단의 종류, 및 지역을 파악하고, 파악된 운송수단의 종류, 지역, 및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를 포함하는 실시간 교통정보를 휴대단말기(100)로 전송한다.First, the control unit 180 acquires an image of the route map captured by the camera 121 (S301), controls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to transmit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to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S302).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nalyzes the image provided from the portable terminal 100 to identify the type and area of the transportation means the user desires to view the real time traffic information, Time traffic information includ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mobile terminal 100 to the mobile terminal 100.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이 전송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획득하고(S303), 터치스크린(151)에는 카메라(121)가 촬상한 이미지를 배경 이미지로 표시한다(S304).Next, the controller 180 acquires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S303), and displays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121 on the touch screen 151 As a background image (S304).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한 실시간 교통정보를 배경 이미지상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S305). 이때, 배경 이미지에 표 시되는 운송수단은 차량, 지하철, 항공기, 및 선박 중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운송 수단은 아이콘으로 표현됨이 바람직하다. 아이콘은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서 휴대단말기(100)로 제공되거나, 휴대단말기(100)가 자체 구비하는 아이콘을 이용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Next, the controller 180 overlays and displays the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on the background image (S305). At this time, the transportation means displayed on the background image may be any one of a vehicle, a subway, an aircraft, and a vessel, and the transportation means is preferably represented by an icon. The icon may be provided to the portable terminal 100 in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or may be expressed using an icon provided in the portable terminal 100 itself.

다음으로, 제어부(180)는 터치스크린(151)에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한다(S306).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운송수단들 중 터치 입력에 의해 사용자 선택된 운송수단이 존재할 때, 제어부(180)는 사용자 선택된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S307). 부가정보는 운송수단의 고유 정보, 예컨대, 운송수단이 버스일 경우, 버스 번호,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운송수단이 현재 위치에 도달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이동방향, 날씨, 교통 혼잡도, 및 운송수단의 평균 속도 등이 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운송수단이 전철일 경우, 전철 차량 번호, 운행 방향,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이 될 수 있다. 여기서, 운송수단은 버스와 전철을 예시하고 있으나, 항공기나 선박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며, 이들 운송수단에 대한 도착예정 시간, 이동 방향, 날씨정보, 이동방향, 교통 혼잡도, 및 운송수단의 고유 정보가 부가정보로서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Next, the controller 180 determines whether a touch input is generated on the touch screen 151 (S306). When there is a user-selected transportation means among the transportation means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the controller 180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user-selected transportation means on the touch screen 151 (S307).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unique informati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for example, a bus number when the transportation means is a bus, a time required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to reach the current position based on the user's current position, a moving direction, weather, traffic congestion, The average speed of the means, and the like. Likewise, when the transportation means is a train, it may be a train number, a direction of travel, and a scheduled arrival time. Here, the transportation means exemplifies a bus and a train, but is equally applicable to an aircraft or a ship. The transportation time, the moving direction, the weather information, the moving direction, the traffic congestion degree, May be displayed as additional information.

여기서, 사용자의 현재 위치는 사용자의 휴대단말기(100)에 내장되는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하거나, 이동통신 모듈(113)이 기지국과 통신할 때, 기지국에 의해 파악되는 위치정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Here,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may be acquired through the GPS module 119 incorporated in the mobile terminal 100 of the user, or may be acquired by using any one of the position information recognized by the base st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communicates with the base station Lt; / RTI >

도 5는 화면에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나타내고, 도 6은 배경 이미지에 운송수단, 및 부가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FIG. 5 show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a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and FIG. 6 show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a transportation mea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a background image.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카메라(121)에 의해 촬상된 운송수단의 노선도가 표시된 화면(400)을 도시한다. 도 5에서 화면(400)에는 사용자가 지하철 노선도의 일부만을 촬상한 이미지가 표시되어 있으며, 촬상된 이미지는 남성역, 이수역, 및 낙성대역을 중심으로 표현된다. 이는, 사용자가 노선도 전체 영역 중 촬상한 영역에 해당하는 영역을 중심으로 교통정보를 조회한다는 것을 의미한다.First, referring to FIG. 5, there is shown a screen 400 on which a route map of the transportation means picked up by the camera 121 is displayed. In FIG. 5, an image obtained by capturing only a part of a subway route map by the user is displayed on the screen 400, and the captured image is expressed around the male area, the irrigation area, and the Nakseongdae area. This means that the user inquires traffic information around an area corresponding to an image taken in the entire route map area.

만일, 지하철 전체 노선도를 촬상한다면, 지하철 전체의 실시간 교통상황을 파악하기에는 용이할 수 있으나, 그 대신 화면(400)의 한정된 영역에서 운송수단(지하철)이 매우 작게 표시되는 것을 감수해야 한다. 반대로, 사용자가 자신이 필요로 하는 영역만을 촬상한다면 화면(400)에 표시되는 노선도, 및 운송수단의 아이콘은 식별이 용이한 크기로 확대되어 표시될 것이 자명하다. 더욱이, 사용자가 촬상한 노선도는 사용자가 평소에 자주 접하는 노선도에 해당하므로 실시간 교통정보를 직관적으로 이해하는데 매우 편리하다.If the entire subway map is photographed, it may be easy to grasp the real-time traffic situation of the entire subway. Instead, the subway should be displayed in a very small area in the limited area of the screen 400. Conversely, if the user picks up only the area he needs, the route map displayed on the screen 400 and the icon of the transportation means will be enlarged and displayed in a size that is easy to identify. Furthermore, since the route map captured by the user corresponds to the route map frequently accessed by the user, it is very convenient to intuitively understand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다음으로 도 6을 참조하면, 촬상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하여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451, 455)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변화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 중 어느 하나(451)에 터치 입력이 가해질 때, 제어부(180)는 터치 입력이 가해진 아이콘(451)에 대한 부가정보(52)를 터치스크린(151)에 오버랩하여 표시한다. 도면에는 열차번호(4984), 운행 방향(사당 -> 낙성대), 사용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산출되는 도착 예정시간, 및 순환열차임을 나타내는 부가정보(52)가 표시되는 일 예를 나타내고 있다. Next, referring to FIG. 6, it can be seen that icons 451 and 455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change over time with the captured image as the background. When the touch input is applied to any one of the icons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451, the control unit 180 overlaps the touch screen 151 with the additional information 52 for the icon 451 to which the touch input is applied. The figure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train number 4984, the direction of travel (shrine -> Nyukseongdae), estimated arrival time calculat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and additional information 52 indicating the circulation train are displayed.

여기서,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아이콘, 또는 사용자의 현재 위치로 근접하는 운송수단은 강조되어 처리됨이 바람직하다. 사용자의 현재위치는 제어부(180)가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하거나, 이동통신 모듈(113)과 기지국이 통신을 수행할 때, 기지국에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여 획득할 수 있다.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의해 선택된 운송수단의 색상, 밝기, 크기, 및 윤곽선의 굵기는 타 아이콘(예컨대 참조부호 455)과 차별되게 표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사용자 선택된 아이콘의 색상은 밝게 처리하거나, 굵은 윤곽선으로 표현하거나, 색상을 원색으로 표현하거나, 아이콘의 크기를 확대하여 타 아이콘(455)과 차별할 수 있다. Here, it is preferable that the icon selected by the user's touch input, or the transportation means approaching the user's current position is emphasized and processed. The current position of the user may be acquired through the GPS module 119 by the control unit 180 or may be obtained by requesting current position information from the base station when the mobile communication module 113 and the base station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e color, brightness, size, and thickness of the outline of the transportation means selected by the user's touch input are preferably differentiated from other icons (e.g., 455). For example, the colors of the user-selected icons may be brightened, bold outlined, colors may be expressed in primary colors, or icons may be enlarged to distinguish them from other icons 455.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휴대단말기(100)의 제어부(180)는 카메라(121)를 통해 사용자가 촬상한 대중교통 노선도의 이미지를 획득하고, 대중교통 노선도에 대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151)에 표시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이용하여 촬상된 이미지를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 전송하고,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이미지에 촬상된 노선도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획득한다. 7, the control unit 180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acquires an image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imaged by the user through the camera 121 and transmits an image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to the touch screen 151 ). At this time, the control unit 180 transmits the image captured using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to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nd transmits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route map captured in the image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은 무선 인터넷 모듈(115)이 전송하는 이미지를 분석하며, 이미지에 포함되는 대중교통 노선도에 표시된 텍스트, 및 텍스트 상호 간 연결관계를 참조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대중교통의 종류를 파악하고, 파악된 대 중교통의 종류와 무선 인터넷 모듈(115)로부터 획득한 이미지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는 교통정보를 무선 인터넷 모듈(115)로 전송한다.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analyzes the image transmitted by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nd refers to the text displayed on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included in the image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exts to determine the type of public transportation desired by the user And transmits to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traffic information based on the type of the identified mass storage box and the center of the image acquired from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제어부(180)는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으로부터 획득한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510)을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이미지에 표시한다. 제어부(180)는 무선 인터넷 모듈(115)를 통해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의 교통정보를 지속적으로 수신하고, 수신된 교통정보를 참조하여 아이콘(510)을 이미지에서 실시간 이동시킨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운송수단에 대한 교통정보를 실시간으로 획득하고 이용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180 displays the icon 510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on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by referring to the traffic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 The control unit 180 continuously receives the traffic information of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through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and moves the icon 510 from the image in real time by referring to the received traffic information. Accordingly, the user can acquire and use the traffic information for the desired transportation means in real time.

도 7에서, 사용자는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아이콘(510)에 터치 입력을 가할 수 있다. 사용자가 터치 입력을 가할 때, 터치스크린(151)은 아이콘(510)에 대응하는 운송수단에 대해 부가정보를 표시한다. 도 7에서 부가정보는 전철 차량번호, 운행방향, 및 도착 예정 시간 등이 되며, 도착 예정시간은 제어부(180)가 GPS 모듈(119)을 통해 획득된 휴대단말기(100)의 현재 위치(낙성대역)로 향하는 전철과 휴대단말기(100) 사이의 시간 거리를 나타낸다. In FIG. 7, the user may apply a touch input to the icon 51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When the user applies a touch input, the touch screen 151 displays additional information for the vehicle corresponding to the icon 510. [ 7, the additional information includes the train car number, the driving direction, the expected arrival time, and the like. The expected arrival time is determined based on the current position of the portable terminal 100 obtained through the GPS module 119 And the time distance between the portable terminal 100 and the train.

도 7에서 터치스크린(151)에 표시된 아이콘(510)은 전철의 형태를 가진다. 전철의 형태를 가진 아이콘은 플래시 플레이어에 의해 표시되거나, 정지된 이미지를 시간의 흐름에 따라 제어부(180)가 그 위치를 변경하여 표현할 수도 있다. 아이콘(510)은 메모리(160)에 수납되거나,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200)에서 무선 인터넷 모듈(115)로 제공할 수 있다. In FIG. 7, the icon 510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151 has the form of a train. The icon having the form of a train may be displayed by the flash player, or the control unit 180 may change the position of the stopped image according to the passage of time. The icon 510 may be stored in the memory 160 or may be provided to the wireless Internet module 115 in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200.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 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블럭구성도,1 is a block diagram of a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FIG.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확장현실 기능을 이용하여 실시간 교통정보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에 대한 개략도,3 is a schematic diagram of a process of providing a real-time traffic information service using an extended reality function,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대한 흐름도,4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는 화면에 배경 이미지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 5 i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a background image is displayed on a screen,

도 6은 배경 이미지에 운송수단, 및 부가정보가 표시되는 일 예에 대한 참조도면, 그리고6 is a reference drawing for an example in which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additional information are displayed in the background image, and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단말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참조도면을 나타낸다.7 is a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onal process of the portable termina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카메라를 통해 대중교통 노선도의 일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Obtaining an image for one area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through the camera;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접속하여 상기 이미지를 전송하고,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으로부터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를 운행하는 운송수단의 교통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Accessing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transmit the image, and acquiring traffic information of a transportation means that operates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from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한 이미지를 터치스크린에 표시하고,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상기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단계;를 포함하고,Displaying the image acquired through the camera on a touch screen and expressing the transportation means in the background of the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상기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단계는,Wherein said expressing said means for transport comprises: 이동통신사, 및 GPS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현재 위치정보로 향하는 운송수단을 강조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The method comprising the steps of: acquiring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a user through any one of a cellular phone, a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nd GPS; and emphasizing a vehicle traveling to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운송수단은,The transportation means includes: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기 이미지에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And moving in the image according to the flow of tim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운송수단은,The transportation means includes: 상기 이미지에 오버랩되어 표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Wherein the image is overlapped with the imag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운송수단에 대한 터치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운송수단에 대한 부가정보를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And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on the transportation means on the touch screen in response to a touch input to the transportation means.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는,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includes: 전철 노선도, 버스 노선도, 기차 노선도, 항공기 노선도, 및 선박 노선도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A route map, a train route map, a bus route map, a train route map, an air route map, and a ship route map. 제4항에 있어서,5. The method of claim 4, 상기 부가정보는,The additional information, 차량, 전철, 열차, 항공기, 및 선박 중 하나의 운송수단에 대한, 도착예정 시간, 이동 방향, 날씨정보, 이동방향, 교통 혼잡도, 및 운송수단의 고유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Wherein the predetermined information is at least one of expected arrival time, moving direction, weather information, moving direction, traffic congestion, and unique information of a transportation means for a transportation means of a vehicle, a train, a train, an aircraft and a vessel.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단계는,Wherein said expressing said means for transport comprises: 상기 터치스크린에 표시된 이미지에 상기 운송수단에 대한 아이콘을 표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And displaying an icon for the transportation means on an image displayed on the touch screen.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상기 강조처리 하는 단계는,Wherein the emphasizing step comprises: 상기 운송수단의 색상, 밝기, 크기, 및 윤곽선 중 어느 하나를 이웃하는 운송수단과 차별하는 단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 제어방법.Characterized in that any one of the color, brightness, size, and contour of the transportation means is distinguished from neighboring transportation means. 대중교통 노선도를 촬상하여 상기 대중교통 노선도의 일 영역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A camera for capturing an image of a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and acquiring an image of one area of the public transportation route map;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과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인터넷 모듈; 및A wireless Internet module for performing data communication with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을 통해 상기 교통정보 제공 시스템에 상기 이미지를 제공하여 상기 이미지에 대응하는 교통정보를 획득하고, 터치스크린에 상기 촬상된 이미지를 배경으로, 시간의 흐름에 따라 위치가 변경되는 운송수단을 표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The wireless Internet module providing the image to the traffic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to acquire traffic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image, and transmitting the traffic information to a transportation device And a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Wherein, 이동통신사, 및 GPS 중 어느 하나를 통해 사용자의 현재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위치정보로 향하는 운송수단을 강조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단말기.Wherein the mobile terminal acquires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of the user through one of the mobile communication company and the GPS, and emphasizes the transportation means toward the current location information.
KR1020090084607A 2009-09-08 2009-09-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Expired - Fee Related KR1016048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07A KR101604849B1 (en) 2009-09-08 2009-09-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84607A KR101604849B1 (en) 2009-09-08 2009-09-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10A KR20110026810A (en) 2011-03-16
KR101604849B1 true KR101604849B1 (en) 2016-03-21

Family

ID=439337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8460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4849B1 (en) 2009-09-08 2009-09-08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84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1747B1 (en) * 2015-06-09 2016-11-02 네이버 주식회사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route information of public transport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26810A (en) 2011-03-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2013B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 based service thereof
EP2395326B1 (en) Method for guiding route using augmented reality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KR101531193B1 (en) Map control method and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US8838180B2 (en) Relational rendering with a mobile terminal
KR101558211B1 (en) A user interface method for inputting characters and a mobile terminal using the method
KR101476439B1 (en) A mobile terminal and a method for providing network contents using the same
KR101732076B1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for electronic device
KR101478550B1 (en) Handheld terminal for Hangul input
CN110751854B (en) Parking guidance method and device for automobile and storage medium
CN103034432A (en) Content control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information on display screen of mobile device
CN10316414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tailed information display for selected area using dynamic touch interaction
CN110231049B (en) Navigation route display method, device, terminal and storage medium
KR20100050958A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using the same
KR20110083174A (en) Digital Signage Devices and Control Methods
KR101604849B1 (en)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11176338B (en) Navigatio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KR101896255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112699906B (en) Method, device and storage medium for acquiring training data
CN111707263B (en) Path planning method and device, electronic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KR101302365B1 (en) Navigation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KR101549552B1 (en) Mobile terminal and operation control method thereof
KR101590358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block device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101588208B1 (en) A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KR101561901B1 (en) A method for providing location-based services for mobile terminals and mobile terminals
KR101590368B1 (en) A portable terminal and its opera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90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905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90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2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