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4556B1 -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 Google Patents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556B1
KR101604556B1 KR1020140192482A KR20140192482A KR101604556B1 KR 101604556 B1 KR101604556 B1 KR 101604556B1 KR 1020140192482 A KR1020140192482 A KR 1020140192482A KR 20140192482 A KR20140192482 A KR 20140192482A KR 101604556 B1 KR101604556 B1 KR 101604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m splitter
dot
reflector
observer
ligh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248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50020519A (en
Inventor
정보선
정인
이동희
Original Assignee
정보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보선 filed Critical 정보선
Publication of KR201500205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519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55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02Foresights
    • F41G1/027Foresights with le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30Reflecting-sights specially adapted for smallarms or ordna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GWEAPON SIGHTS; AIMING
    • F41G1/00Sighting devices
    • F41G1/46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F41G1/48Sighting devic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firing grenades from rif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는 경통의 내측 전방에 배치되는 반사경;과, 광선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반사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와, 경통의 내주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향해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은,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은 반사경을 향해 반사시키고 반사경으로부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되반사되는 도트시표 광선은 관찰자를 향해 투과시키는 것과 동시에, 반사경을 투과한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의 광선은 관찰자를 향해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층 이상의 박막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wherein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reflector dispos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a barrel; and an inclined surface for reflecting or transmitting the light beam, A beam splitter disposed at a rear side of the reflecting mirror at a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to provide a dot beam at a slope of the beam splitter, , The dot-dotted line provided from the dot-dot-mark generator is reflected toward the reflector, and the dot-dotted line reflected from the reflector toward the beam-splitter is transmitted toward the observer, and at the same time, The light rays from the light source can be transmitted through the thin film coating of one or more layers It characterized by that.

Description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0001]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0002]

본 발명은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과 대향하는 이웃한 두 면 방향에 도트시표 발생부와 반사경을 배치하여 반사경의 광축을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축과 나란하게 함으로써 시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ot spot apparatus having a beam spot generator and a reflector arranged in two neighboring surface directions opposite to an inclined surface of a beam splitter, To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capable of minimizing a parallax by making it parallel to an optical axis of transmission.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특성은 신속하게 조준 사격을 할 수 있는지와 정확하게 표적을 조준할 수 있는지에 의해 좌우된다. 일반적으로 소총 또는 중기관총의 조준은 가늠자와 가늠쇠의 조준선 정렬에 의해 이루어진다. 총열의 끝단에 위치하는 가늠쇠와 총기 몸체 상부에 위치하는 가늠자의 조준선 정렬에 의한 조준은, 그 총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숙련도에 따라서 정확한 사격을 가능하게 한다. The characteristics of rifles or heavy machine guns depend on whether they are capable of swiftly aiming and aiming at the target accurately. In general, the aiming of a rifle or heavy machine gun is achieved by the alignment of the scale and the line of sight of the clamp. The aim by the sight line alignment of the scale located at the upper end of the gun body and the catch located at the end of the shooting range enables the accurate shooting according to the skill of the user using the gun.

그러나 가늠자와 가늠쇠만으로 조준을 하기에는 작은 진동이나 떨림에도 조준선 정렬이 어려워지고, 근거리 사격이나 급박한 상황에서 신속하게 조준하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However, it is difficult to align the sight line even with a small vibration or trembling in order to aim with only the scale and the mark, and it is difficult to aim at a short distance or in an urgent situation.

즉, 이러한 조준 사격방법에서는, 목표 포착 및 확인, 조준선 정렬, 조준 등의 복잡한 과정과 시간이 요구되며,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가 매우 작아서 이를 정확하게 정렬함에 있어서 작은 떨림에도 민감하게 반응할 뿐만 아니라, 지나치게 조준선 정렬에 신경을 쓰다 보면, 표적이나 전방 상황보다는 가늠쇠와 가늠자 자체에 시선이 집중되어 사격 또는 긴급 상황 대처에 필요한 시야가 좁아지는 문제가 있다.That is, in such a boresight shooting method, a complicated process and time are required, such as target acquisition and confirmation, sight line alignment, and aiming, and the scale and the scale itself are so small that they are sensitive to small tremors, When I care about alignment, there is a problem that eyesight is concentrated on the scale and the scale itself rather than the target or the forward situation, and the field of view necessary for the shooting or emergency situation is narrowed.

따라서 이러한 조준선 정렬의 어려움에 대처하고 조준의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망원렌즈를 장착한 조준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망원렌즈를 장착한 광학식 조준기의 경우 망원렌즈의 배율이 올라가면 마찬가지로 작은 떨림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므로 신속한 조준에는 여전히 많은 어려움이 따른다. Therefore, in order to cope with the difficulty of aligning the sight line and to improve the accuracy of the sighting, a sighting device equipped with a telephoto lens has been proposed. However, in the case of an optical syringe equipped with a telephoto lens, when the magnification of the telephoto lens is increased, it is sensitive to the small vibration.

결국,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광학식 조준기에 무배율 또는 저배율 렌즈를 사용하면서 복잡한 조준선을 없애고 간단하게 조준점만을 이용하는 도트사이트 장치가 제안되었다.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a dot site apparatus has been proposed in which a zoom magnification or a low magnification lens is used for an optical sights and complex sight lines are eliminated and simple aim points are used.

광학식 무배율(또는 저배율) 도트사이트 조준 장치는 간단하고 신속하게 조준이 가능하며, 긴급한 상황이나 근거리에서 매우 유용하다. 구체적으로, 종래 조준선 정렬에 소요되는 시간을 줄일 수 있고, 조준 자체도 도트(dot)시표의 허상을 표적에 위치시키는 것만으로 충분하므로 시야를 확보할 여유를 가질 수 있다. 결국 신속하고 정확하게 조준할 수 있으며, 정황 판단에 필요한 주변 시야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An optical zoomless (or low magnification) dot-sight aiming system is simple and fast to aim at and is very useful in an emergency or near field.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aligning the conventional collimation line, and the collimation itself is sufficient for positioning the virtual image of the dot target on the target,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field of view. In the end, it is possible to aim quickly and accurately, and it is also possible to secure a peripheral view necessary for the circumstance judgment.

하지만, 종래 도트사이트 조준 장치의 경우 조준경의 반사경 광축이 경통의 광축과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조준경의 반사경 광축이 경통의 광축과 일치하는 광학계에 비해 시차가 크게 발생하고, 허용 시차 이내의 영역을 확보하기 위해 도트시표와 반사경의 거리를 더 멀게 하거나 유효 반사경의 직경을 더 작게하여 도트사이트를 구성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ot sighting device, since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ing mirror of the sight mirror is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optical axis of the mirror barrel, parallax is larger than that of the optical mirror whose reflecting mirror optical axis coincides with the optical axis of the mirror barrel, There is a drawback in that the dot site must be formed by further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dot on the dot and the reflector or decreasing the diameter of the effective reflector.

하지만, 종래의 도트 사이트 조준 장치의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시표 발생부(5)를 반사경에서 반사되는 대부분의 광선들의 진행을 방해하지 않는 곳에 위치시켜 외부에서 도트시표 발생부(5)에서 조사되는 광선을 볼 수 없도록 함으로써 도트 사이트 관측자가 외부의 상대방에게 발각되지 않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반사경의 광축이 도트(도트시표의 반사경에 의한 허상)를 형성하는 반사경의 반사 광선들의 대표광선인 주광선(principal ray: 일반적으로 상기 반사광선들의 중앙에 있는 광선이며 이는 도트 사이트 광축과 일치한다)에 대해 일정한 각도(도 2 (a)의 A1; 각 A1은 일반적으로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방출된 주광선이 반사경에 반사되어 도트 사이트 광축으로 진행하는 경로가 이루는 각 A2의 1/2의 각도이다.)로 기울어져 배치되어야 한다. 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dot sighting device, as shown in FIG. 1, the dot-mark generating unit 5 is positioned at a position that does not interfere with the progress of most of the light beams reflected by the reflector, So that the dot sighted by the dot sight can not be seen by the other party. However, in order to do so,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ing mirror is a principal ray (generally a ray at the center of the reflected rays, which is a representative ray of reflected rays of a reflecting mirror forming a dot (A1 in Fig. 2 (a), A1 is generally 1/2 of the angle A2 formed by the path that the principal ray emitted from the dot-sight table generating portion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and travels to the dot-site optical axis) The angle of inclination).

이렇게 되면, 도 2의 (a)와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트 사이트 광축에 대해 기울어진 반사경의 배치(도 2(a))로 인해 도트 사이트 광축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은 반사경의 배치(도 2(b))보다 큰 유한광선 수차(finite ray aberration)가 발생하여 관측자가 관측해야할 도트의 시차(parallax)에 영향을 주어, 반사경의 크기(직경)와 도트시표 발생부에서 반사경의 거리가 동일한 구조에서 비교하면, 도트 사이트 광축에 대해 기울어진 반사경의 배치(도 2(a))는 도트 사이트 광축에 대해 기울어지지 않은 반사경의 배치(도 2(b))보다 시차발생이 크게 된다. As a result,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arrangement of the reflecting mirrors not tilted with respect to the dot-site optical axis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reflecting mirrors tilted with respect to the dot-sight optical axis (Fig. 2 (a) The finite ray aberration greater than that of FIG. 2 (b) affects the parallax of the dot to be observed by the observer, and the size (diameter) of the reflector and the distance (Fig. 2 (a))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dot-sight optical axis is greater than that of the reflector (Fig. 2 (b)) which is not tilted with respect to the dot-sight optical axis.

이러한 시차의 과도한 발생은 도트 사이트 장치의 광축과 총열의 탄환 발사축과 사격 목표점의 초기 정렬상태에 대해, 반사경에서 사격 목표점에 대한 관측자의 시축(visual axis)이 도트 사이트 광축을 벗어나 주변부에 위치할수록 점점 더 큰 오차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시차의 과도한 발생은 당연히 도트 사이트 사용시 목표물에 대한 명중도를 떨어뜨린다. Excessive occurrence of this parallax is caused by the fact that the visual axis of the observer with respect to the shooting target in the reflector is positioned at the periphery beyond the dot site optical axis with respect to the initial alignment state of the shot axis and the shot target shot point There is a problem that causes an increasingly large error. Therefore, the excessive occurrence of time lag naturally reduces the accuracy of the target when using the dot site.

또한, 도트시표 발생부와 반사경 사이의 거리를 짧게 할수록 시차가 증가함에 비추어 볼 때, 도 2의 (b)가 (a)보다 시차 발생량이 훨씬 적기 때문에, 도 2의 (a)와 비슷한 수준의 시차 발생량을 유지하는 범위 내에서는 도 2의 (b)와 같은 경우에는 도트시표 발생부(5)와 반사경(7) 사이의 거리를 도 2의 (a)보다 더 짧게 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도트사이트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In addition, since the parallax is increased as the distance between the dot-mark generating unit and the reflector is shortened, the parallax is much smaller than that of FIG. 2 (a) The distance between the dotted-eye mark generating unit 5 and the reflector 7 can be made shorter than that shown in FIG. 2 (a) in the case of FIG. 2 (b) The size of the dot site device can be reduced.

그러나, 상기와 같은 장점에도 불구하고, 도 2의 (b)와 같은 배치구조는 도트시표 발생부(5)가 도트사이트 경통의 중앙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외부 목표점의 관측에 방해를 초래하게 되어 신속한 조준에 지장을 초래한다는 문제와, 외부 목표점 또는 그 주변의 상대방이 도트시표 발생부(5)에서 발생한 빛이 관찰되기 때문에 상대방에게 도트사이트 이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문제가 있다. However, in spite of the above advantages, the arrangement structure as shown in FIG. 2 (b) is disadvantageous in that it obstructs the observation of the external target point since the dot sign generator 5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do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sight of the dot site user is disturbed due to the problem that the sighting occurs and the light emitted from the dot sign generating unit 5 is observed by the other party at the external target point or its surrounding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트시표 발생부와 반사경의 사이에 빔 스플리터를 배치하여 반사경의 광축을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축과 평행하게 함으로써 시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a beam splitter between the dot visual mark generator and the reflector so that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or is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reflected or transmitted by the beam splitter, And a beam splitter that can minimize the size of the beam spot.

또한, 제1편광부를 통과한 도트시표 발생부의 광선이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된 제2편광부에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목표물측에서 도트시표의 광선이 관찰되어 관찰자가 발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The beam splitter can prevent the observer from being seen by observing the light rays of the dot grid on the target side by blocking the light beam of the dot slip generator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er section at the second polarization sec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And a dot sighting device.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경통의 내측 전방에 배치되는 반사경;과, 광선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반사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와, 경통의 내주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향해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은,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반사경을 향해 반사시키고 반사경으로부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되반사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관찰자를 향해 투과시키는 것과 동시에, 반사경을 투과한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의 광선을 관찰자를 향해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층 이상의 박막 코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의해 달성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ght source device comprising: a reflector disposed on an inner front side of a barrel; a beam splitter provided on an inner side of the barrel with an inclined surface reflecting or transmitting light, And a slit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the slit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being disposed on the slit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so as to face the slit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One or more thin film coatings are provided that allow the dots to be reflected back toward the beam splitter from the reflector to be transmitted to the observer while allowing the external target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or and the light from the periphery to be transmitted towards the observer And a beam splitter having a beam splitter.

여기서, 상기 반사경의 광축은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축과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ing mirror is preferably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reflected or transmitted by the beam splitter.

또한, 상기 빔 스플리터는 빔 분리 평판 또는 빔 분리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beam splitter comprises a beam separation flat plate or a beam separation prism.

상기 반사경은 단일 반사면을 갖는 오목 평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의 사이에는 상기 반사경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가 개재되어,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ing mirror is made of a concave lens having a single reflecting surface and a connecting memb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flecting mirror is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so that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are constituted by one module .

또한, 상기 반사경은 단일 반사면을 갖는 싱글렛 또는 더블렛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the reflector is composed of a single or double lens having a single reflection surface.

또한,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는 영상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상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dot sign generator preferably comprises an image element for providing a video image.

또한, 경통의 내주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향해 영상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lay unit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to provide a video image toward an inclined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빔 스플리터의 사이, 상기 빔 스플리터와 관찰자의 시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이미지가 관찰자에서 디스플레이부까지의 광경로에 따르는 축소거리(reduced distance)보다 먼 거리에 영상이미지의 허상으로 결상되도록 하는 영상확대 광학계;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t least one of the spa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beam splitter, or between the beam splitter and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is such that the image image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is longer than the reduced distance along the optical path from the observer to the display unit And an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for imaging a virtual image of the image at a distance.

또한, 상기 목표물에서 관찰자의 눈에 이르는 광 경로상의 광선이 투과하는 굴절면들의 곡률반경은,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를 투과하여 관찰자를 향하는 외부 목표물로부터의 광선에 의한 관찰자의 망막에서의 크기와 나안으로 봤을 때의 망막에서의 크기의 비율이 1±0.015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racting surfaces through which light rays on the optical path from the target to the observer's eye passes is measured by the size of the observer's retina due to the light rays from the external target passing through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It is preferable to set the ratio of the size in the retina to the range of 1 0.015.

또한,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의 코팅은,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로부터의 광선을 반사경을 향해 반사시키고 이어서 반사경으로부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되반사시켜서 관찰자를 향해 진행시켜 관찰자 눈의 망막에 도트시표의 상으로 결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외부 목표물에서의 광선이 상기 반사경과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관찰자 눈의 망막에 외부 목표물의 상으로 결상되도록 하여, 외부 목표물의 상과 상기 도트시표의 상을 관찰자가 겹쳐 볼 때, 가시광선영역의 파장에 대해 각 파장별 투과율이 각 파장별 투과율의 평균값에서 30% 이내의 편차를 가지도록 하는 한층 이상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ating of the slope of the beam splitter is performed by reflecting a light beam from a dot-shaped table provided from the dot-sight-table generating unit toward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n from the reflecting mirror toward the beam splitter to advance it toward the observer, So that a light beam from an external target passes through an inclined surface of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in order to form an image on an external target on the retina of an observer's ey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n film is formed of one or more thin films such that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region has a deviation of 30% or less from the average value of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when the observer overlaps the dotted table.

또한,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와 빔 스플리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편광부;와,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부;를 더 포함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further include: a first polarizing portion disposed between the dot visual mark generating portion and the beam splitter; and a second polarizing portion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또한, 상기 제1편광부와 제2편광부는 제1편광부를 통과한 도트시표 발생부의 광선이 제2편광부에 의해 차단되도록 편광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선편광자(linear polarizers)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rst polarizer and the second polarizer are preferably linear polarizers whose polarizing directio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uch that the light rays of the dot visual-table generating unit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er are blocked by the second polarizer .

또한, 상기 빔 스플리터는 제1편광부를 투과하여 경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선은 반사경을 향해 반사되고,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경사면으로 되입사되는 광선은(관찰자를 향하는 광선) 투과되도록 하는 편광 빔 분리 프리즘(PBS prism:Polarization beam splitting prism)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eam splitter has a polarizing beam splitting prism (PBS) that transmits the light beam that is incident on the oblique plane through the first polarizer, is reflected toward the reflecting mirror, and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to be incident on the oblique plane. prism: Polarization beam splitting prism).

또한, 상기 빔 스플리터와 반사경의 사이에는 제1 1/4파장판이 배치되고,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는 제2 1/4파장판이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t is preferable that a first quarter wave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beam splitter and the reflector, and a second quarter wave plat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or.

본 발명에 따르면, 도트시표 발생부와 반사경의 사이에 빔 스플리터를 배치하여 반사경의 광축을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축과 평행하게 함으로써 시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가 제공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capable of minimizing the parallax by disposing a beam splitter between the dot occasion table generating unit and the reflector and making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or parallel to the optical axis reflected or transmitted by the beam splitter / RTI >

또한, 제1편광부를 통과한 도트시표 발생부의 광선이 반사경의 전방에 설치된 제2편광부에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목표물측에서 도트시표의 광선이 관찰되어 관찰자가 발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가 제공된다.The beam splitter can prevent the observer from being seen by observing the light rays of the dot grid on the target side by blocking the light beam of the dot slip generator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er section at the second polarization section provided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Is provided.

도 1은 종래 단안시용 도트사이트 조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도트시표 발생부의 위치에 따른 시차의 정도를 나타내는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
도 7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들이다.
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monocular dot sight sighting device,
FIG. 2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degree of parallax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dotted-
3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8 are schematic block diagrams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Prior to the description, components having the same configuration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In other embodiments, configurations different from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do.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3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는, 총기류의 상측에서 총열과 나란하게 배치되는 경통(110)과, 경통(110) 내주면 일측에 배치되는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경통(110)의 내측에서 도트시표 발생부(120)의 전방에 배치되는 반사경(130)과, 경통(110) 내부에서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반사경(130) 사이의 교차부위에 배치되어 도트시표 발생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을 반사경(130) 방향으로 반사시키고 반사경(130)으로부터 빔 스플리터(140)를 향해 되반사되어 입사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을 투과시키는 경사면(141)이 형성된 빔 스플리터(140, Beam splitter)와,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빔 스플리터(140) 사이에 배치되는 제1편광부(151)와, 상기 반사경(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부(1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the drawings is provided with a lens barrel 110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a gun barrel and aligned with a row of gun barrels, A dot reflector 130 disposed on the inner side of the barrel 110 and disposed in front of the dot reflector 120 on the inner side of the barrel 110; And the reflector 130 and reflects the light of the dot pattern provided from the dot pattern generator 120 in the direction of the reflector 130 and directs the light from the reflector 130 toward the beam splitter 140 A beam splitter 140 having an inclined surface 141 through which a light beam of a reflected and incident dot pattern is transmitted, and a beam splitter 140 disposed between the beam spot generating unit 120 and the beam splitter 140. [ (151), a second polarizing portion (1)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130) 52).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20)는 LED와 같은 발광소자와, 상기 발광소자 전방에 위치하는 도트시표 형상의 투광부를 가지는 마스크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20)는 OLED, LCD, LCOS 등의 영상소자로 이루어져 원하는 도트시표의 형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The dotted-eye mark generating unit 120 includes a light emitting device such as an LED and a mask having a translucent portion in the shape of a dot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device. Meanwhile, the dot sign generator 120 may include an image element such as an OLED, an LCD, and an LCOS to display a desired dot shape.

상기 반사경(130)은 도트시표 발생부(120)의 도트시표를 반사시키는 단일 반사면을 갖는 마이너스 굴절력의 오목 평렌즈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반사경(130)은 연결부재(160)에 의해 빔 스플리터(140)에 연결되어 빔 스플리터(140)와 하나의 모듈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160)는 반사경(130)과 동일한 재질로 구성함으로써, 빔 스플리터(140)와 연결부재(160)와 반사경(130)을 통해서 보이는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의 상에 배율이나 왜곡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The reflector 130 is composed of a concave lens having a negative refracting power and having a single reflective surface reflecting the dot pattern of the dot creator 120. At this time, the reflector 130 may be connected to the beam splitter 140 by a connecting member 160 and may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module with the beam splitter 140. The connecting member 160 is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flecting mirror 130 so that magnification or distortion is generated on the external target and its surroundings visible through the beam splitter 140, the connecting member 160 and the reflecting mirror 130 .

상기 빔 스플리터(140)는 직각프리즘 2개를 합한 빔 분리 프리즘으로 구성할 수 있다. 즉, 두 직각프리즘의 경계면이 되는 두 경사면(141) 중 하나에 예를 들어 50%반사 코팅을 한 후 접합하면, 50%를 투과하고 50%를 반사하는 빔 스플리터(140)가 된다. 상기와 같이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과 마주하는 하측면과 전방에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반사경(130)을 배치하는 경우, 반사경(130)의 광축을 상기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을 통해 반사되어 반사경(130)을 향하는 도트시표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위치시킬 수 있다. 또한,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빔 스플리터(140)는 경사 배치되는 빔 분리 평판으로도 구성할 수 있다. 빔 분리 평판으로 구성하는 경우, 경사 배치되는 평판형태의 광학유리의 적어도 일면에 필요한 빔의 투과량에 따라 투과 및 반사 코팅을 할 수 있다. 즉, A% 반사 코팅을 하면 빔 스플리터(140)에 제공되는 입사광의 (100-A)%를 투과하고 A%를 반사하는 빔 스플리터(140)가 된다.The beam splitter 140 may be composed of a beam-separating prism including two right-angle prisms. That is, when one of the two inclined surfaces 141, which are the interfaces of the two right prisms, is coated with, for example, 50% reflection coating, the beam splitter 140 transmits 50% and reflects 50%. When the dot visual-mark generating unit 120 and the reflector 130 are disposed on the lower side facing the slop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as described above,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or 130 is aligned with the beam splitter 140 and may be positioned in the same line as the optical axis of the dot pattern toward the reflector 130. [ Also,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s, the beam splitter 140 may be formed as a beam-splitting flat plate that is disposed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case of a beam-splitting flat plate, transmission and reflection coating can be performed on at least one surface of a flat plate-like optical glass which is arranged obliquely according to the transmission amount of the necessary beam. That is, when the A% reflective coating is applied, the beam splitter 140 transmits (100-A)% of the incident light provided to the beam splitter 140 and reflects A%.

상기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의 코팅은, 도트시표 발생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을 반사경을 향해 반사시키고 이어서 반사경(130)으로부터 빔 스플리터(140)를 향해 되반사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을 투과시켜 관찰자를 향해 진행시킴으로써 관찰자 눈의 망막에 도트시표의 상으로 결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외부 목표물로부터 제공되는 광선은 상기 반사경과 상기 빔스플리터의 경사면를 순서대로 통과시켜 관찰자 눈의 망막에 외부 목표물의 상으로 결상되도록 한다. 즉, 상기 경사면(141)의 코팅은 외부 목표물의 상과 상기 도트시표의 상을 관찰자가 겹쳐 볼 때, 가시광선영역의 파장(대략 450~660nm)에 대해 각 파장별 투과율이 각 파장별 투과율의 평균값에서 30% 이내의 편차를 가지도록 하여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 확보되는 외부 시야의 색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하는 한층 이상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oating of the sloped surfac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is performed by reflecting the light of the dotted table provided from the dotted mark generating unit 120 toward the reflector and then from the reflector 130 toward the beam splitter 140 The light rays of the reflected dots are transmitted through to the observer so that they can be imaged onto the retina of the observer's eye on the dotted table. In addition, a light beam provided from an external target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in order to form an image on an external target on the retina of the observer's eye. That is, when the observer overlaps the image of the outer target and the image of the dot at the time of the overlapping of the oblique surface 141,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for each wavelength (about 450 to 660 nm)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thin film or more of a layer so as to have a deviation within 30% of the average value so that the color of the external target secured from the external target and the periphery thereof does not significantly change.

여기서, 상기 반사경과 상기 빔 스플리터를 투과하여 관찰자를 향하는 외부 목표물로부터의 광선에 의한 관찰자의 망막에서의 상의 크기(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1
)와 나안으로 봤을 때의 망막상의 크기(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2
:상기 반사경과 상기 빔 스플리터가 없는 상태에서 관찰자를 향하는 동일한 외부 목표물로 부터의 광선에 의한 관찰자의 망막에서의 상의 크기)의 비(ratio)인 배율(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3
) 즉Here, the size of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bserver by the light beam from the external target, which is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and directed to the observ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1
) And the size of the retina in the eye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2
: The ratio of the size of the image on the retina of the observer by the light beam from the same external target facing the observer in the absence of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3
) In other word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4
---(식 1)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4
--- (1)

이 거의 없도록(또는 배율이 거의 1배가 되도록) 목표물에서 관찰자의 눈에 이르는 광 경로상의 광선이 투과하는 굴절면들의 곡률반경이 정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관찰자의 눈 앞에 굴절력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5
(미터 단위의 초점거리의 역수)를 갖는 광학계(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반사경과 상기 빔 스플리터로 이루어진 광학계)가 존재하면 이 광학계를 통과한 외부 물체의 관찰자의 망막상의 크기(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6
)가 이 광학계를 통하지 않고 볼 때의 크기(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7
)와 다르게 되는데, 이의 비율(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8
)을 안경광학에서는 자기배율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9
이라 하는데 이를 나타내는 수식은 하기의 식 2와 같이 근사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racting surfaces through which light rays on the light path from the target to the observer's eye are transmitted is determined so that there is little (or almost) the magnification. Howev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5
(In this embodiment, the optical system including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having the focal length (the inverse of the focal length in meters) exists, the size of the external object passing through the optical syste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6
) Does not pass through this optical syste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7
), And the ratio thereof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8
) In the spectacle optic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09
And the equation representing this can be approximated as shown in Equation 2 below.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0
--- (식 2)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0
--- (Equation 2)

(여기서 광학계의 초점거리(m)를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1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2
), 관찰자의 눈에서 광학계의 물측 주평면까지의 거리(m)를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3
이라 한다.)(Here, the focal length (m) of the optical system i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1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2
), The distance (m) from the eye of the observer to the principal plane of the optical syste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3
)

따라서 식 2의 자기배율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4
은 식 1의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5
와 동일시 된다. Therefor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4
The equation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5
.

동일한 외부 조준 목표물에 대한 망막상의 크기가, 도트사이트를 통해서 시야를 확보할 때와 도트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시야를 확보하는 경우, 차이가 발생한다면 이는 도트사이트를 통하거나 통하지 않고 시야를 확보하는 상황을 번갈아 가면서 외부 조준 목표물의 움직임에 빠르게 대체해야할 긴급한 사항에서는 외부 물체를 관측하는데 있어서 안정피로를 유발하게 된다. If the size of the retinal image for the same external aiming target secures the field of view through the dot site and secures the field of view without going through the dot site, if there is a difference, the situation of securing the field of view without passing through the dot site Alternately, in an urgent matter that must be quickly replaced with the movement of an external aiming target, it causes stability fatigue in observing an external object.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식 2에 의한 도트사이트의 자기배율 값에 제한을 두어 도트사이트를 통하거나 통하지 않고 보는 상황을 번갈아 가면서 외부 조준 목표물의 움직임을 신속하게 관측하는데 있어서 상의 크기가 달라서 생기는 눈의 안정피로를 억제하고자 한다.Therefore, in this embodiment, the magnification value of the dot sit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quation 2 is limited, so that the movement of the target is rapidly observed while alternating the situation through the dot site or not, To prevent the stability fatigue.

즉 자기배율 값의 범위를 0.985 ~ 1.015까지로 제한하여 도트사이트 사용 전후의 외부 물체의 망막 상의 크기 변화를 1.5% 이내로 제한함으로써 안정피로 유발을 최소화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도트사이트의 사용에 있어서 사용자의 눈을 보호한다.That is, the range of the self magnification value is limited to 0.985 to 1.015, and the change in size of the retinal image of the external object before and after use of the dot site is limited to within 1.5%, thereby minimizing the occurrence of the stable fatigue, Protect your eyes.

이는 일반적으로 두 눈의 망막상의 크기의 차이가 약 1.5%까지는 양안시가 가능하고, 약 5% 이상이 되면 양안시가 어렵게 되어 복시를 유발한다는 안경광학에서 통용되는 이론에 근거한 것이다. 즉 도트 사이트를 사용할 때 외부 목표물의 환경 변화에 따라 한쪽 눈은 도트 사이트의 반사경을 통해서, 또 다른 한쪽 눈은 도트 사이트를 통하지 않고 외부 먼거리 목표물을 주시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경우 안정피로를 가져오는 광학적 원인인 부등상시(Aniseikonia)를 유발하지 않게 하는 두 눈의 망막상의 크기의 차이의 허용량이 약 1.5% 이내이어야 하는 것이다.This is based on the theory commonly used in optics that optic binocularity is possible up to 1.5% of the difference in the size of the retina of the two eyes and diplopia becomes difficult when the binocularity is more than 5%. In other words, when using a dot site, one eye may see through the reflector of the dot site, and the other eye may observe the object at the far distance without going through the dot site, depending on the change of the environment of the external target. The allowable difference in size of the retina of the two eyes, which does not cause anisiconia, is about 1.5%.

이를 본 실시예의 도트사이트에 적용하면 하기의 식 3과 같이 정리된다. When this is applied to the dot site of the present embodiment, it is summarized as the following Equation 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6
--- (식 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6
--- (Equation 3)

즉, 상기 배율에 영향을 주는 것은 식 4와 같은 각 굴절면의 면굴절력들을 합성한 광학계 전체의 합성굴절력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7
가 된다. That is, the factors affecting the magnification are the combined refractive power of the entire optical system in which the surface powers of the respective refracting surface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7
.

즉,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8
--- (식 4)In other word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8
--- (Equation 4)

이때, At this tim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9
---(식 5)
Figure 112014127362897-pat00019
--- (Equation 5)

(단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0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1
번째 굴절면의 곡률반경(단위 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2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3
번째 굴절면 굴절 후 공간의 굴절률,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4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5
번째 굴절면 굴절 전 공간의 굴절률) (only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0
Th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1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first refracting surface (unit: 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2
Th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3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pace after the refracting surface refraction,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4
Th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5
Lt; th > refractive surface)

굴절면이 평면인 경우에는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6
이기 때문에 상기 식 5의 면굴절력이 영(zero)이 되어 식 4의 광학계 전체 굴절력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7
는 영(zero)이 된다. 그러면 식 2에서 자기배율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8
이 되어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를 투과하여 관찰자를 향하는 외부 목표물로부터의 광선에 의한 관찰자의 망막에서의 크기와 나안으로 봤을 대의 망막에서의 크기가 실제적으로 동일하게 되는 것이다.If the refracting surface is plana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6
The surface power of Equation 5 becomes zero, and the total optical power of the optical system of Equation 4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7
Becomes zero. Then, in Equation 2,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8
So that the size of the retina of the observer is substantially equal to the size of the observer's retina due to the light beam from the external target passing through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and directed to the observer.

또한, 도 3에서와 같이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의 광선들이 반사경(130)과 빔 스플리터(140)를 지나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될 경우 지나는 모든 굴절면은 곡률반경이 무한대이거나 굴절면 전후 공간의 굴절률이 같아서 굴절력을 가질 수 없게 되어 배율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즉 식 5에서 면굴절력이 도 3의 모든 굴절면(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9
)에서 영(zero)이 되어 식 2의 배율이 발생되지 않는다. 3, all the refracting surfaces that pass when the rays from the external target and its surroundings pass through the reflecting mirror 130 and the beam splitter 140 and enter the observer's eye have infinite radius of curvature or a refractive index of the front and rear spaces of the refracting surface It is impossible to have a refracting power and the magnification does not occur. That is, in Equation (5), the surface power of all the refracting surface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29
The magnification of Equation 2 is not generated.

상기 제1편광부(151)는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빔 스플리터(140)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2편광부(152)는 상기 반사경(130)의 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제1편광부(151)와 제2편광부(152)는 편광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직선편광자(linear polarizers)로 이루어진다. 즉, 제1편광부(151)를 통과한 도트시표가 반사경(130) 전방의 제2편광부(152)에서 차단되도록 함으로써 목표물측에서 도트시표가 관찰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The first polarizing part 151 is disposed between the dot visual mark generating part 120 and the beam splitter 140 and the second polarizing part 152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130, The first polarizer 151 and the second polarizer 152 are linear polarizers whos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In other words, the dot-shaped mark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ed portion 151 is blocked by the second polarized portion 152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130 so that the dotted mark is not observed on the target side.

지금부터는 상술한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dot site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beam splitter will be described.

도 3과 같이, 도트시표 발생부(120)에서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은 도트시표 발생부(120)의 전방에 배치된 제1편광부(151)를 통과하면서 선편광으로 변환되고,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의 반사율에 따라 반사되어 반사경(130)을 향해 진행한다.As shown in FIG. 3, the dotted-line marking light provided by the dotted-eye mark generating unit 120 is converted into linearly polarized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unit 151 disposed in front of the dotted-mark generating unit 120, And is reflected by the inclined surface 141 of the splitter 140 and travels toward the reflecting mirror 130. [

이어서, 반사경(130)에서 되반사되어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도트시표 광선은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의 투과율에 따라 투과되어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되면서 도트시표의 허상을 관찰자에게 제공한다. The dot beam that is reflected back by the reflector 130 and travels in the reverse direction is transmitted according to the transmittance of the slop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and is incident on the eye of the observer to provide the observer with a virtual image of the dot beam .

여기서, 상기 반사경(130)에서 투과되어 목표물을 향하는 도트시표의 광선은 목표물 주변의 상대방에게 관찰될 우려가 있으나, 반사경(130)의 전방에 제1편광부(151)와 편광축이 직교하는 제2편광부(152)가 배치되어 제1편광부(151)를 통과한 도트시표의 광선이 제2편광부(152)에서 차단되므로, 도트사이트 사용자의 위치가 상대방에게 노출될 우려가 없다. In this case, the light beam of the dot sight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or 130 and directed to the target may be observed by the other party around the target. However, in the front of the reflector 130, the second polarizer 151, The light beam of the dotted-line table in which the polarized light portion 152 is disposed and passed through the first polarized light portion 151 is blocked by the second polarized light portion 152, so that the position of the dot site user is not exposed to the other party.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르면, 반사경(130)의 광축이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축과 동일선상에 배치, 즉 반사경(130)을 기울이지 않은 상태로 설치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빔 스플리터(140)를 지나는 광선들의 시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따라서, 단일 반사면을 갖는 반사경(130)을 적용하더라도 우수한 성능을 보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반사경(130) 사이의 거리를 짧게 설계할 수 있으므로, 장치의 소형화 및 경량화를 이룰 수 있는 이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or 130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optical axis that reflects or transmits the inclined surfac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that is, the reflector 130 is installed The parallax of the rays passing through the beam splitter 140 can be minimized. Therefore, not only excellent performance can be ensured even if the reflector 130 having a single reflective surface is applied, but also the distance between the dotted-eye mark generating unit 120 and the reflector 130 can be shortened, And weight reduction can be achieved.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빔 스플리터(140)와 제1편광부(151) 및 제2편광부(152)가 함께 적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도트사이트 사용자의 위치가 상대방에게 노출되는 상황이 허용되는 경우에는 제1편광부(151)와 제2편광부(152)를 배제한 상태, 즉 빔 스플리터(140)만을 적용하여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반사경(130) 사이의 거리를 짧게 설계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eam splitter 140, the first polarization unit 151 and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2 are applied together. However, the situation where the dot site user is exposed to the other party is allowed The distance between the dot visual mark generating unit 120 and the reflector 130 is shortened by applying only the beam splitter 140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olarizing unit 151 and the second polarizing unit 152 are excluded It is also possible to do.

여기서 만약 도트시표 발생부(120)의 광원으로는 650nm파장의 빛을 발하는 LED를 사용하고,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에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대략 450~660nm)에 대해 각 파장별 투과율이 50% 반사율이 50%를 가지는 1층 이상의 박막코팅을 형성하고, 반사경(130)의 반사면에는 650nm±10nm파장의 빛을 반사하도록 하고(650nm 파장에서는 거의 50%반사하도록) 그 이외의 가시광선영역의 파장에 대해서는 거의 반사하지 않는 1층 이상의 박막코팅을 한다면, 도트시표의 광선이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에서 반사되어 반사경(130)에 되반사되어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을 투과하여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하게 될 때는 투과율이 약 12.5% 정도 이르게 된다. 이렇게 함으로서 외부 목표물로부터의 광선이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을 투과하여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하게 될 때는 가시광선영역의 전체 파장에 대해서 약 50%에 접근하는 투과율을 가지게 되며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 확보되는 외부 시야의 색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즉, 반사경의 반사면의 반사코팅이 토트시표 발생부의 광원파장을 포함하는 가시영역 파장의 스펙트럼상의 일부 파장 대역(wavelength band)에 대해서만 반사가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서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을 투과하여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되는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 확보되는 외부 시야의 색감을 크게 변화하지 않도록 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색감의 변화는 가시광선영역의 파장(대략 450~660nm)에 대해 각 파장별 투과율이 각 파장별 투과율의 평균값의 30% 이내의 편차를 가질 경우 본 발명가의 실험에 의해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 확보되는 외부 시야의 색감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Here, if an LED that emits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is used as a light source of the dot-sign generator 120, and transmittance of a wavelength (about 450 to 660 nm) in a visible light region on the slope of the beam splitter 140 And a 50% reflectance of 50% is formed on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mirror 130. The reflecting surface of the reflecting mirror 130 is made to reflect light having a wavelength of 650 nm ± 10 nm (to reflect almost 50% at a wavelength of 650 nm) The light rays of the dotted table are reflected by the inclined surfac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and reflected back to the reflector 130 so that the light beam of the beam splitter 140 The transmittance is about 12.5% when the light is incident on the observer's eye through the sloped surface 141. Thus, when a light beam from an external target is incident on the observer's eye through the reflector and the slope of the beam splitter 140, the light has a transmittance approaching about 50% of the entir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reg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of the external field of view secured from the periphery from changing greatly. That is, the reflective coating of the reflective surface of the reflector reflects only a part of the wavelength band in the spectrum of the visible region wavelength including the light source wavelength of the to-be-measured table generating portion so that the inclined surface of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14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color of the external target, which is incident from the eye of the observer, and the external visual field secured from the periphery, from changing greatly. When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has a deviation of less than 30% of the average value of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region (about 450 to 660 nm)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of the secured external view does not change significantly.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Next,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4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4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는 반사경(130')이 싱글렛 또는 더블렛 렌즈로 이루어지고, 반사경(130')과 빔 스플리터(140)의 사이의 연결부재(160)가 생략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The dot site apparatus having the beam splitter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4 includes a reflector 130 'made of a single-walled or double-walled lens, a reflector 130' and a beam splitter 140 in that the connecting member 160 is omitted.

도면에서와 같이 굴절률이 같은(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0
) 2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더블렛 렌즈로 반사경(130')을 구성하는 경우, 반사경(130')의 두 번째 면(도 4의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1
)을 반사면으로 구성(이 면이 도트시표로부터의 광선에 대해서는 반사면이 되지만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부로부터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하는 광선에 대해서는 굴절면이 되는 것은 일반 광학분야에서는 잘 알려진 내용이다)하고, 도 4의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2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3
의 곡률반경을 조절하여 반사경(130')을 통해 관찰되는 외부 목표물의 상에 배율이 나타나지 않도록 한다. As shown in the drawing,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0
When the reflector 130 'is constituted by a double-lens lens composed of two lenses, the second surface of the reflector 130'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1
) (This surface is a reflection surface for a ray from a dot-in-grid table but a refraction surface for an external target and a light incident on an observer's eye from the periphery thereof is well known in the general optical field) 4,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2
and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3
So that the magnification does not appear on the external target observed through the reflector 130 '.

아울러, 싱글렛 렌즈로 반사경을 구성하는 경우에는, 싱글렛 렌즈의 첫 번째 면 또는 두 번째 면을 반사면으로 구성하고, 나머지 한 면의 곡률반경을 조절하여 반사경을 통해 관찰되는 외부 목표물의 상에 배율이 나타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Further, in the case of constructing a reflector with a single-lens lens, the first or second surface of the single-lens lens is configured as a reflective surface, and the curvature radius of the other surface is adjusted, It is also possible to prevent the magnification from appearing.

즉, 도 4에서 보면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의 광선들이 반사경(130')과 빔 스플리터(140)를 지나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될 경우 지나는 굴절면 중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4
은 곡률반경이 무한대이고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5
굴절면은 굴절 전후 공간의 굴절률이 같아서(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6
) 굴절력을 가질 수 없다. 따라서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면은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7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8
인데, 각각의 면굴절력은 식 5에 따라,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4, when the external target and the rays from the periphery thereof pass through the reflector 130 'and the beam splitter 140 and enter into the eye of the observ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4
The radius of curvature is infinit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5
The refractive surface has the same refractive index before and after the refraction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6
) Can not have refracting power. Therefore, the refracting surface having the refracting pow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7
and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8
, The respective surface refractive powers, according to Equation 5,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9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0
으로 표현되고,
Figure 112014127362897-pat00039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0
Lt; / RTI >

전체 합성굴절력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1
은 Total composite refractive pow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1
silv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2
---(식 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2
--- (Equation 3)

으로 표현된다.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4
에서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5
까지에 대한 렌즈 중심거리이다.)
.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3
Th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4
in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5
Is the lens center distance to.

*여기서 상기 식 1 또는 식 2의 배율이 거의 없도록(거의 배율이 1배가 되도록)하려면 식 6의 값이 거의 영(zero)에 가까워야 함은 기하광학 교과서의 일반적인 내용이다.Here, the value of Equation 6 should be close to zero so that there is almost no magnification of Equation 1 or Equation 2 (so that the magnification is almost one time) is the general content of the geometric optical textbook.

이와 같이 설계된 실시예 2의 설계 데이터의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 An example of the design data of the second embodiment design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6
(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6
(m) -0.115366-0.115366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7
(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7
(m)
-0.116556-0.116556

사용한 반사경 렌즈의 굴절률이 도트시표 광선의 파장 635nm에서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8
이고, 반사경 주변부의 공간이 공기라면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9
이고, 두 굴절면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0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1
사이의 중심두께가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2
이면 식 2에 의한 면 굴절력은 각각The refractive index of the used reflector lens wa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635 nm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8
And the space in the periphery of the reflector is ai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49
, And the two refracting surface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0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1
The center thickness between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2
The surface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Equation 2 i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4
이므로,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4
Because of,

식 3에 의한 전체 합성굴절력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5
는Total composite refractive power according to Equation 3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5
Th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6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7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6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7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8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8

이므로 상기 식 1 또는 식 2의 배율이 거의 없게(거의 배율이 1배가) 된다.So that the magnification of Equation 1 or Equation 2 is almost zero (almost magnification is one-fold).

또한, 도 4에서와 같은 구성에서 굴절률이 다른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9
) 2매의 렌즈로 구성되는 더블렛 렌즈로 반사경(130')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반사경의 두 번째 면(도 4의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0
)을 반사면으로 구성하고, 도 4의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1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2
의 곡률반경을 조절하여 반사경(130')을 통해 관찰되는 외부 목표물의 상에 배율이 나타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4에서 보면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의 광선들이 반사경(130')과 빔 스플리터(140)를 지나 관찰자의 눈으로 입사될 경우 지나는 굴절면 중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3
은 곡률반경이 무한대이고,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4
굴절면은 굴절 전후 공간의 굴절률이 다르다. 따라서 굴절력을 가지는 굴절면은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5
인데, 각각의 면굴절력은 식 5에 따라Further, in the configuration as shown in FIG. 4,
Figure 112014127362897-pat00059
) Even in the case of constructing the reflector 130 'with a double-lens lens composed of two lenses, the second surface of the reflecto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0
) Is composed of a reflective surface, and FIG. 4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1
and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2
The magnification can be prevented from appearing on the external target observed through the reflector 130 '. In other words, as shown in FIG. 4, when the external target and the rays from the periphery thereof pass through the reflector 130 'and the beam splitter 140 and enter into the eye of the observ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3
The radius of curvature is infinite,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4
The refracting surface has a different refractive index before and after the refraction. Therefore, the refracting surface having the refracting pow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5
, And each surface power is calculated according to Equation 5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6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7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8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6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7
,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8

으로 표현되고,Lt; / RTI >

전체 합성굴절력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9
은 식 6보다는 더 복잡한Total composite refractive power
Figure 112014127362897-pat00069
Is more complex than Eq. 6

Figure 112014127362897-pat00070
--- (식 7)
Figure 112014127362897-pat00070
--- (Equation 7)

와 같은

Figure 112014127362897-pat00071
의 함수로 표현된다.Such as
Figure 112014127362897-pat00071
.

여기서도 상기 식 1 또는 식 2의 배율이 거의 없도록(거의 배율이 1배가 되도록)하려면 식 7의 값이 거의 영(zero)에 가까워야 함은 당연하다.Here,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value of Equation 7 should be close to zero so that there is little or no magnification of the formula 1 or 2 (i.e., the magnification is almost one time).

그렇지만 식 3과 같은 범위의 배율이면 안정피로가 나타나지 않기 때문에 식 3의 범위의 배율을 갖는 면 굴절력의 구성도 허용될 수 있을 것이다. However, since the stable fatigue does not appear at a magnification in the range of Equation 3, the configuration of the surface power having a magnification in the range of Equation 3 may be acceptable.

한편, 도트시표 발생부(120)에서 제공되는 도트시표가 관찰자를 향해 반사되는 광경로, 그리고 제1편광부(151)와 제2편광부(152)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Since the first and second polarized light portions 151 and 152 are the same as those in the first embodiment, the dotted line provided by the dotted-eye table generating portion 120 is reflected toward the observer,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와 같이 반사경(130)을 싱글렛 또는 더블렛 렌즈로 구성하는 경우에는 제1실시예에 비해 시차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When the reflector 130 is composed of a single-let or double-lens as described above, the parallax can be reduced as compared with the first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Next,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첨부도면 중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5 is a schematic configuration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는 빔 스플리터(140')가 편광 빔 분리 프리즘(PBS prism:Polarization beam splitting prism)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빔 스플리터(140')와 반사경(130)의 사이에는 제1 1/4파장판(171, λ/4 plate:Quater wave plate)이 배치되고, 상기 반사경(130)의 전방에는 제2 1/4파장판(172)이 배치되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5, in the dot site apparatus having the beam splitter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splitter 140 'comprises a polarizing beam splitting prism (PBS prism) A quarter wave plate 171 is disposed between the beam splitter 140 and the reflector 130 and a quarter wave plate 171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or 130. Differs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the wave plate 172 is disposed.

여기서, 상기 편광 빔 분리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빔 스플리터(140')는 경사면(141)에 s편광 성분의 광선은 모두 반사하고 p편광 성분의 광선은 모두 투과하는 코팅이 되어 있고,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120)와 빔 스플리터(140') 사이에 배치된 제1편광부(151)는 투과광을 s편광으로 변환하도록 편광축이 설정되어 있다.
Here, the beam splitter 140 'formed of the polarizing beam splitter prism has a coating that reflects all of s-polarized light components on the slope 141 and transmits all of p-polarized light components, The first polarization section 151 disposed between the beam splitter 120 and the beam splitter 140 'has a polarization axis set to convert transmitted light into s-polarized light.

즉, 도트시표 발생부(120)의 도트시표 광선이 제1편광부(151)로 입사될 때 제1편광부(151)를 통과한 광선이 s편광 광선이 되도록 하면, 이 s편광 광선이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에서 제1 1/4파장판(171)을 향해 반사되고, 제1 1/4파장판(171)을 통과하면서 우회전 편광(또는 좌회전 편광) 광선이 된다. 계속해서 상기 s편광 광선이 반사경(130)에 반사되어 역방향으로 진행하는 과정에서 제1 1/4파장판(171)을 다시 통과하면 p편광 광선으로 변환된다. 따라서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로 입사되는 p편광 광선은 경사면(141)을 투과하여 관찰자에게 관측된다. That is, when a dotted line of the dotted mark generating unit 120 is incident on the first polarized light unit 151, when the light ray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ed light unit 151 is an s-polarized light ray, Is reflected from the slop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toward the first quarter-wave plate 171 and passes through the first quarter-wave plate 171 so that right-turn polarized light (or left-turn polarized light) do. When the s-polarized light beam is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0 and travels in the reverse direction, the light passes through the first quarter-wave plate 171 again and is converted into a p-polarized light beam. Therefore, the p-polarized light beam incident on the sloped surface 141 of the beam splitter 140 'passes through the sloped surface 141 and is observed by the observer.

지금부터는 상술한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제3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third embodiment of the dot site apparatus having the above-described beam splitter will be described.

도 5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도트시표 발생부(120)에서 제공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은 제1편광부(151)를 통과하면서 s편광 광선으로 변환되어 빔 스플리터(140')를 향해 제공되며, 빔 스플리터(140')의 반사면에서는 도트시표 광선이 대부분 s편광 광선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대부분 반사경(130)을 향해 반사된다. As shown in FIG. 5, the light rays of the dotted-eye table provided in the dotted-eye table generating unit 120 are converted into s-polarized light beams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ed light unit 151 and provided toward the beam splitter 140 ' , Most of the reflected light is reflected toward the reflector 130 because most of the dotted light is composed of s-polarized light rays on the reflection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140 '.

경사면(141)으로부터 반사경(130)을 향하는 s편광 성분의 도트시표의 광선은 제1 1/4파장판(171)을 지나면서 우원편광(또는 좌원편광)으로 변환되어, 일부 광선은 반사경(130)을 투과하여 목표물 방향으로 진행되고, 일부 광은 반사경(130)에서 반사되면서 좌원편광(또는 우원편광)으로 변환되어 빔 스플리터(140')를 향해 입사된다. The light beam of the s-polarized component dotted from the slope 141 toward the reflector 130 is converted into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through the first quarter wave plate 171, And a part of the light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130 and converted into a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a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and is incident on the beam splitter 140 '.

여기서, 반사경(130)에서 반사된 도트시표의 광선은 연결부재(160)와 빔 스플리터(140')의 사이에 위치한 제1 1/4파장판(171)을 다시 통과하면서 p편광으로 변환되어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에서 반사하지 못하고 투과된다. 따라서, 관찰자는 도트시표 발생부(120)로부터 제공되어 반사경(130)에 반사된 허상인 도트시표의 상을 빔 스플리터(140')를 통과하여 관측되는 외부 목표물에 일치시켜 조준할 수 있다. The beam of the dot pattern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130 passes through the first quarter wave plate 171 located between the connecting member 160 and the beam splitter 140 ' And is transmitted without being reflected by the inclined surface 141 of the splitter 140 '. Accordingly, the observer can aim the image of the dot-shaped table provided from the dot-sight-table generating unit 120, which is a virtual image reflected by the reflector 130, through the beam splitter 140 'in conformity with the external target observed.

한편, 반사경(130)을 투과하여 목표물 방향으로 제공되는 광선은 제1 1/4파장판(171)을 통과하면서 우원편광(또는 좌원편광)으로 변환된 상태이므로, 반사경(130)의 전방에 배치된 제1편광부(151)와 제1 1/4파장판(171)이 만들어 내는 회전편광과 반대방향인 좌원편광(또는 우원편광) 성분만을 투과하도록 구성된 제2 1/4파장판(172)과 제2편광부(152)를 통과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반사경(130)의 광축을 빔 스플리터(140')의 광축과 동일선상에 배치하더라도 도트시표 발생부(120)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의 광선이 제2편광부(152)를 투과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도트시표의 광선이 목표물 주변의 상대방에게 제공되어 도트사이트 사용자의 위치가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Since the light beams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or 130 and provided in the target direction are converted into right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left circularly polarized light) while passing through the first quarter wave plate 171, they are arranged in front of the reflecting mirror 130 Wave plate 172 configured to transmit only the lef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or right-handed circularly polarized light) component, which is opposite to the rotationally polarized light produced by the first polarized light unit 151 and the first 1/4 wave plate 171, And the second polarized light 152 can not pass through. Therefore, even if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or 130 is arranged on the same line as the optical axis of the beam splitter 140 ', the light rays of the dotted-line table provided from the dotted-eye mark generating unit 120 transmit through the second polarized light unit 152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ray of the dot at the time of the dot from being provided to the other party in the vicinity of the target, thereby exposing the position of the dot site user.

본 제3실시예에 따르면, 빔 스플리터(140')에서 손실되는 광량이 없기 때문에 관찰자에게 보다 선명한 도트시표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반사경(130)을 투과하는 도트시표의 광선은 반사경(130)의 전방에 배치된 제2 1/4파장판(172)과 제2편광부(152)를 통과할 수 없기 때문에 목표물측의 관찰자는 도트시표에서 방출되는 대부분의 광선을 볼 수 없게 되는 것이다.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since there is no amount of light to be lost in the beam splitter 140 ', it is possible to provide the observer with a clearer dot pattern. In addition, since the ray of the dot pattern transmitted through the reflector 130 can not pass through the second 1/4 wave plate 172 and the second polarization unit 152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or 130, Observer will not be able to see most of the rays emitted from the dots grid.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6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는 도트시표 발생부(120')가 실리콘 액정표시장치(LCOS), 액정표시장치(LCD), 유기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와 같이 영상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상소자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6, the dot sighting device 120 'having the beam splitter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LCO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at it is composed of an image element which provides an image image such as an organic electroluminescence display (OLED).

즉, 도트시표 발생부(120')를 영상소자로 구성하는 경우, 도트시표와 함께 관찰자가 필요로 하는 정보 영상 등을 동시에 표시하여 반사경(130)에 반사되도록 함으로써 도트시표, 정보, 영상의 허상을 동시에 투영하여 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이미지를 통해 전장에서의 정보 전달이나, 촬상소자(CCD:Charge Coupled Device), 열영상 장치 등에 의한 주변 상황을 도트시표와 함께 인식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That is, when the dot-eye-mark generating unit 120 'is constituted by an image device, the dot-eye table and the information image required by the observer are simultaneously displayed and reflected on the reflector 130, The virtual image of the image can be simultaneously projected and viewed. More specifically, it is possible to recognize the surrounding situation by information transfer on the whole field, a charge coupled device (CCD), a thermal imaging device and the like together with the dot sign by using a video image.

첨부도면 중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의 개략구성도이다. 7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는 경통(110)의 내주면 타측(도트시표 발생부의 반대편)에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140)의 경사면(141)을 향해 실리콘 액정표시장치(LCOS), 액정표시장치(LCD), 유기 전기 발광 디스플레이(OLED)와 같이 영상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180)와, 상기 디스플레이부(180)와 빔 스플리터(140)의 사이에서 디스플레이부(180)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이미지가 관찰자에서 디스플레이부(180)까지의 광경로에 따르는 축소거리(reduced distance)보다 먼 거리에 영상이미지의 허상으로 결상되도록 하여 눈의 안정피로를 감소시켜 영상을 확대시켜 볼 수 있는 영상확대 광학계(190)를 추가로 배치하는 점에서 제4실시예와 차이를 갖는다. 7,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beam splitter according to a fif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110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ot defocus generating unit) A display unit 180 for providing an image image such as a silicon liquid crystal display (LCOS), a liquid crystal display (LCD), and an organic electroluminescent display (OLED) toward the slope 141 of the display unit 180; The image image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180 between the beam splitter 140 is imaged to the virtual image of the image image at a distance longer than the reduced distance along the optical path from the observer to the display unit 180 And differs from the fourth embodiment in that an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190 for enlarging the image by reducing the stable fatigue of the eye is further disposed.

즉, 전방 시야가 어두운 환경과 같이 도트시표를 사용하기 곤란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80)를 통해 CCD, IRCCD, 열영상, IR영상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80)에서 제공하는 영상이미지는 영상확대 광학계(190)를 통해 관찰자에서 디스플레이부(180)까지의 광경로에 따르는 축소거리(reduced distance)보다 먼 거리에서 확대된 상태로 관찰할 수 있게 되므로 관찰자의 눈의 안정피로가 감소된다. That i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CCD, an IRCCD, a thermal image, an IR image, and the like through the display unit 180 in a state where it is difficult to use a dot sign table as in the case where the forward view is dark. The video image provided by the display unit 180 is observed through the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190 in an enlarged state at a distance longer than a reduced distance along the optical path from the observer to the display unit 180 The stability fatigue of the observer's eye is reduced.

또한, 이러한 영상확대 광학계(190)를 탈착 가능하게 구성하는 경우, 필요시 선택적으로 설치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즉, 도 8과 같이 경통의 내주면 타측에 디스플레이부(180)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영상확대 광학계(190)를 빔 스플리터(140)와 관찰자의 시점 사이, 즉 관찰자의 시점을 향하는 경통(110)의 단부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the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190 is detachably configured, it can be selectively installed or separated if necessary. 8, the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190 is disposed between the beam splitter 140 and the observer's viewpoint, that is, the observer's viewpoint, that is, the observer's viewpoint 110 In the present invention.

아울러,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복수매의 렌즈군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영상확대 광학계(190)를 사용환경에 따라 분할 구성하고, 분할된 영상확대 광학계(190)를 디스플레이부(180)와 빔 스플리터(140)의 사이, 그리고 관찰자를 향하는 경통(110)의 단부에 각각 배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190 including a plurality of lens groups may be divided according to the use environment, and the divided image magnifying optical system 190 may be divided into a display unit 180 and a beam splitter 140 , And at the end of the barrel 110 facing the observer, respectively.

한편, 앞서 설명한 제3실시예 내지 제5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의 연결부재와 반사경이 적용된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제2실시예와 같이 연결부재를 생략하거나, 반사경을 싱글렛 또는 더블렛 렌즈로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In the third to fifth embodiments described above, the connection member and the ref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are described. However, the connection member may be omitted or the reflector may be connected to the single- It is also possible to constitute a lens.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embodied in various forms of embodiment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10:경통, 120,120':도트시표 발생부, 130,130':반사경,
140,140':빔 스플리터, 141:경사면, 151:제1편광부,
152:제2편광부, 160:연결부재, 171:제1 1/4파장판,
172:제2 1/4파장판, 180:디스플레이부, 190:영상확대 광학계
110: barrel, 120,120 ': dot-dot pattern generator, 130,130': reflector,
140,140 ': beam splitter, 141: slope, 151: first polarizer,
152: second polarizing section, 160: connecting member, 171: first 1/4 wavelength plate,
172: second quarter wave plate, 180: display unit, 190: image magnification optical system

Claims (14)

경통의 내측 전방에 배치되는 반사경;
광선을 반사 또는 투과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경통의 내부에서 상기 반사경의 후방에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
경통의 내주면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향해 도트시표 광선을 제공하는 도트시표 발생부;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와 빔 스플리터 사이에 배치되는 제1편광부; 및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편광부;를 포함하며,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은,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반사경을 향해 반사시키고 반사경으로부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되반사되는 도트시표 광선을 관찰자를 향해 투과시키는 것과 동시에, 반사경을 투과한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의 광선을 관찰자를 향해 투과시킬 수 있도록 하는 한 층 이상의 박막 코팅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편광부의 편광방향은, 외부 목표물과 그 주변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선은 관찰자를 향해 통과시키고, 상기 제1편광부를 통과하여 목표물을 향해 출사되는 광선은 차단하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A reflector disposed on the inner front side of the barrel;
A beam splitter formed at an inner side of the barrel and behind the reflecting mirror, the beam splitter having an inclined surface for reflecting or transmitting a light beam;
A dot-sight-table generating unit disposed at one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to provide a dotted beam of light toward an inclined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A first polarizing unit disposed between the dotted-signal generating unit and the beam splitter; And
And a second polarization unit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or,
The inclined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reflects a dot-like marking light beam provided from the dot-sight mark generating unit toward the reflecting mirror, transmits a dot-shaped marking light beam that is reflected back from the reflecting mirror toward the beam splitter toward the observer, A thin film coating of one or more layers that allows one outer target and the light rays from its periphery to be transmitted towards the observer,
Wherein the polarizing direction of the second polarizing portion is set such that a light beam incident from an external target and its periphery passes through the observer and blocks light rays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ortion and emitted toward the target.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의 광축은 빔 스플리터에서 반사 또는 투과하는 광축과 평행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optical axis of the reflector is parallel to an optical axis that is reflected or transmitted by the beam splitter.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빔 분리 평판 또는 빔 분리 프리즘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eam splitter comprises a beam splitting plate or a beam splitting prism.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단일 반사면을 갖는 오목 평렌즈로 이루어지고, 상기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의 사이에는 상기 반사경과 동일 재질로 이루어지는 연결부재가 개재되어,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를 하나의 모듈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reflecting mirror is made of a concave lens having a single reflecting surface and a connecting member made of the same material as the reflecting mirror is interposed between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to constitute a reflecting mirror and a beam splitter as one module Wherein the beam splitter has a beam split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은 단일 반사면을 갖는 싱글렛 또는 더블렛 렌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eflector comprises a single-walled or double-walled lens having a single reflecting surfac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도트시표 발생부는 영상이미지를 제공하는 영상소자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dot-sight-table generating unit comprises a video element for providing a video image.
제 1항에 있어서,
경통의 내주면 타측에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향해 영상이미지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display unit disposed on the other side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arrel to provide a video image toward an inclined surface of the beam splitter.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부와 빔 스플리터의 사이, 상기 빔 스플리터와 관찰자의 시점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제공되는 영상이미지가 관찰자에서 디스플레이부까지의 광경로에 따르는 축소거리(reduced distance)보다 먼 거리에 영상이미지의 허상으로 결상되도록 하는 영상확대 광학계;를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t least one of the space between the display unit and the beam splitter and the viewpoint of the observer may be set such that the image image provided from the display unit is distant from the reduced distance along the optical path from the observer to the display unit And an image enlarging optical system for forming an image of a virtual image in a virtual imag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물에서 관찰자의 눈에 이르는 광 경로상의 광선이 투과하는 굴절면들의 곡률반경은, 반사경과 빔 스플리터를 투과하여 관찰자를 향하는 외부 목표물로부터의 광선에 의한 관찰자의 망막에서의 크기와 나안으로 봤을 때의 망막에서의 크기의 비율이 1±0.015의 범위에 속하도록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dius of curvature of the refracting surfaces through which light rays on the optical path from the target to the observer's eye are transmitted is determined by the size of the observer's retina due to the light rays from the external target passing through the reflecting mirror and the beam splitter and directed to the observer, And the ratio of size in the retina is in the range of 1 占 .0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의 코팅은,
도트시표 발생부로부터 제공되는 도트시표로부터의 광선을 반사경을 향해 반사시키고 이어서 반사경으로부터 빔 스플리터를 향해 되반사시켜서 관찰자를 향해 진행시켜 관찰자 눈의 망막에 도트시표의 상으로 결상시킬 수 있도록 하며,
외부 목표물에서의 광선이 상기 반사경과 상기 빔 스플리터의 경사면을 순서대로 통과하여 관찰자 눈의 망막에 외부 목표물의 상으로 결상되도록 하여,
외부 목표물의 상과 상기 도트시표의 상을 관찰자가 겹쳐 볼 때, 가시광선영역의 파장에 대해 각 파장별 투과율이 각 파장별 투과율의 평균값에서 30% 이내의 편차를 가지도록 하는 한층 이상의 박막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ating of the sloped surface of the beam-
The light beam from the dot timing table provided from the dot timing table generator is reflected toward the reflector and then reflected back toward the beam splitter from the reflector so as to be directed toward the observer so that the image can be formed on the retina of the observer's eye ,
A light beam from an external target sequentially passes through the inclined surfaces of the reflector and the beam splitter so as to form an image on an external target on the retina of the observer's eye,
Wherein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has a deviation within 30% of the average value of the transmittance of each wavelength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of the visible light region when the observer overlaps the image of the external target and the dotted table. And a beam splitter for splitting the beam splitter.
삭제delete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편광부와 제2편광부는 제1편광부를 통과한 도트시표 발생부의 광선이 제2편광부에 의해 차단되도록 편광방향이 서로 직교하는 선편광자(linear polarizers)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polarizing portion and the second polarizing portion are made of linear polarizers whose polarization directions are orthogonal to each other so that the light rays of the dot visual mark generating portion passing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ortion are blocked by the second polarizing portion. A dot site apparatus having a splitter.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는 제1편광부를 투과하여 경사면으로 입사되는 광선은 반사경을 향해 반사되고, 반사경에서 반사되어 경사면으로 되입사되는 광선은(관찰자를 향하는 광선) 투과되도록 하는 편광 빔 분리 프리즘(PBS prism:Polarization beam splitting prism)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beam splitter has a polarizing beam splitting prism (PBS prism) for transmitting a light beam that is transmitted through the first polarizing portion and is incident on the oblique face toward the reflecting mirror and is reflected by the reflecting mirror to be incident on the oblique face, Polarizing beam splitting prism). ≪ RTI ID = 0.0 > 11. < / RTI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와 반사경의 사이에는 제1 1/4파장판이 배치되고, 상기 반사경의 전방에는 제2 1/4파장판이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빔 스플리터를 갖는 도트사이트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first quarter wave plate is disposed between the beam splitter and the reflector, and a second quarter wave plat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reflector.
KR1020140192482A 2012-10-10 2014-12-29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Active KR101604556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112685 2012-10-10
KR1020120112685 2012-10-10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468A Division KR101511420B1 (en) 2012-10-10 2013-02-26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519A KR20150020519A (en) 2015-02-26
KR101604556B1 true KR101604556B1 (en) 2016-03-17

Family

ID=50653374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468A Active KR101511420B1 (en) 2012-10-10 2013-02-26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KR1020140192482A Active KR101604556B1 (en) 2012-10-10 2014-12-29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20468A Active KR101511420B1 (en) 2012-10-10 2013-02-26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511420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30A1 (en) * 2017-09-21 2019-03-28 이동희 Dot sight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147B1 (en) 2015-04-15 2021-11-05 정보선 A dot sighting device
JP7285579B2 (en) 2018-02-12 2023-06-02 マトリックスド、リアリティー、テクノロジー、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Augmented reality device and optical system therefor
WO2019203376A1 (en) * 2018-04-20 2019-10-24 주식회사 동인광학 External target observation apparatus also usable as dot sight
KR102635119B1 (en) 2018-10-04 2024-02-07 정보선 Complex optical sighting device
KR102152261B1 (en) * 2020-01-06 2020-09-04 강승원 A manufacturing method of reflector for dot-sight
DE112021000170A5 (en) * 2020-06-22 2022-09-22 Vhf Elektronik Gmbh Reflex sight for a handgu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2808A1 (en) * 2010-10-28 2012-05-03 Surefire, Llc Sight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90276A (en) * 1980-05-14 1983-06-28 Ring Sights Limited Collimator gunsight
KR19980085444A (en) * 1997-05-29 1998-12-05 구자홍 External light blocking / pass control device for head mounted video display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02808A1 (en) * 2010-10-28 2012-05-03 Surefire, Llc Sight system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59530A1 (en) * 2017-09-21 2019-03-28 이동희 Dot sight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1420B1 (en) 2015-04-10
KR20150020519A (en) 2015-02-26
KR20140046365A (en) 2014-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4556B1 (en) Dot-sighting device with beam splitter
US11327311B2 (en) Field curvature corrected display
US8570656B1 (en) See-through optical system
CN206479716U (en) A kind of equipment and head-mounted display for being used together with head-mounted display
US9274338B2 (en) Increasing field of view of reflective waveguide
KR101556839B1 (en) Eyepiece for near-to-eye display with multi-reflectors
CN102004317B (en) Spectacles-type image display device
US8786686B1 (en) Head mounted display eyepiece with integrated depth sensing
US9470478B2 (en) Dot-sighting device
US10609364B2 (en) Pupil swim corrected lens for head mounted display
US11579451B1 (en) Prism based light redirection system for eye tracking systems
CN115826102A (en) Transmission improvement for AR/VR glasses based on planar lenses
US10061129B2 (en) Birefringent ocular for augmented reality imaging
US10877277B1 (en) Liquid crystal Alvarez lens
KR20150069245A (en) Dot sighting device having a beam splitter
WO2022052000A1 (en) Composite prism based on isosceles prism, and laser ranging telescope comprising composite prism
JP6539886B2 (en) Image reversing prism
CN119731576A (en) Optical system and display device
US20180314050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roducing display image into afocal optics device
KR102055059B1 (en) External target observation device having dot site function
TWI546567B (en) Range finder using binoculars
JP7411083B2 (en) Compact prismatic optical field with internal zeroing method
JP2019117237A (en) Head-mounted display
US8228500B2 (en) Reflex sight
US20240184091A1 (en) Adjustable-magnification view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41229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20130226

Application number text: 102013002046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2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30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12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8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