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4432B1 -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4432B1
KR101604432B1 KR1020140173279A KR20140173279A KR101604432B1 KR 101604432 B1 KR101604432 B1 KR 101604432B1 KR 1020140173279 A KR1020140173279 A KR 1020140173279A KR 20140173279 A KR20140173279 A KR 20140173279A KR 101604432 B1 KR101604432 B1 KR 101604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vehicle
wireless charging
power
receiv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2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부재호
오성호
김태조
김형섭
박소정
Original Assignee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솔테크닉스(주) filed Critical 한솔테크닉스(주)
Priority to KR10201401732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443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4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443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5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concerning the insertion or the connection of the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내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무선 충전용 송신부를 고정하고, 무선 충전용 수신부를 가지는 부재를 상기 송신부에 근접시, 송신부에서 수신부로의 전력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차량내에서 차량 전용 케이블없이 부재에 대한 동작 전원 공급 또는 부재에 수납되는 휴대용 제품의 전원 무선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인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무선충전장치{Wireless charging device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내에서 별도의 차량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고 휴대용 제품에 대한 무선 충전 또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PDA, 노트북, PMP, MP3, DMB, 카메라 등과 같은 휴대용의 전자기기는 모두가 배터리를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휴대용 기기에 사용되는 축전지에 전력을 충전시키기 위해서는 별도의 충전장치를 필요로 하며 일반적인 충전시스템은 상용전압(AC 110~220V)을 다운시켜 전파 정류하고 직류전압의 출력단자와 배터리의 단자들을 접촉하여 충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단자공급방식은 충전기와 배터리가 서로 결합되거나 분리될 경우, 양측의 단자들이 서로 다른 전위차를 가지고 있어 순간 방전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단자에 이물질이 점점 쌓이게 되어 화재가 발생할 우려까지도 있으며 습기가 묻어 자연 방전되는 등 충전기 및 배터리의 수명이나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기에, 1차코일의 상부로 충전하고자 하는 배터리가 내장된 단말기를 위치시키면 자기장에 의해 배터리의 2차코일에 의하여 유도기 전력으로부터 유도되는 전기를 충전하는 무접점 충전기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무접점 충전기는 단지 휴대용 단말기에 전력을 공급할뿐 다른 용도로 이용할 수 없어 실용성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관련한 기술로는 특허 제0564256호 "무선주파수 식별기술이 적용된 무선충전용패드 및 배터리팩", 특허 제0603986호 "무선충전용 배터리팩", 특허 제0751635호 "무선충전기의 오목형패드", 특허 제0971748호 "근거리 무선 전력전송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8-0023483호 "무선전력전달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무선충전 시스템", 특허출원 제2005-0053584호 "무선충전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등이 있다.
한편, 차량에서는 배터리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게 되고, 이러한 차량에서 전자기기와 같은 제품의 충전 또는 냉온용기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차량용 전용 케이블인 시거잭을 차량내의 단자에 꽂아야만 한다.
즉, 전자기기와 같은 제품이나 냉온용기의 경우 제품에 5핀 또는 24핀의 잭이 마련되는 충전케이블을 연결하고, 충전케이블의 타단에 마련되는 USB단자 또는 전원코드를 컴퓨터 또는 콘센트에 꽂아 전원 충전이 이루어지는 것인데, 이러한 제품을 차량내에서 충전하기 위해서는 별도의 차량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여야 하므로, 차량내에서의 제품 사용이 불편하고, 충전이 없을 경우 차량 전용 케이블을 별도 보관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종래에는 차량 전용 케이블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 차량내에서 전자기기와 같은 제품이나 냉온용기에 대한 충전 또는 전원공급의 어려웠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차량내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무선 충전용 송신부를 고정하고, 무선 충전용 수신부를 가지는 부재를 상기 송신부에 근접시, 송신부에서 수신부로의 전력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으로써, 차량내에서 차량 전용 케이블없이 부재에 대한 동작 전원 공급 또는 부재에 수납되는 휴대용 제품의 전원 무선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차량용 무선충전장치는, 차량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무선 송신하도록 송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충전용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신하는 전원을 자기유도방식(WPC)에 의해 무선 수신하도록 수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충전용 수신부; 를 구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차량내에서 홈을 형성하는 제 1 부재의 상기 홈 바닥면에 구성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부에 의해 무선 수신된 전원에 의해 동작 또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제 2 부재에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는 홈을 형성하는 차량내의 컵홀더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 부재는 홈을 형성하는 차량내의 콘솔트레이인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수신부를 일체화시키면서 제 1 전원단자를 가지는 휴대제품의 수납을 위한 수납홈을 형성하고, 상기 제 1 부재의 홈에 삽입이 가능한 홀더부재이고, 상기 수납홈에는 상기 수신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면서 상기 제 1 전원단자와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 2 전원단자를 형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홀더부재는 휴대제품의 종류별로 다수 구비되는 것이고, 다수 구비되는 상기 홀더부재들의 수납홈들은 각각 휴대제품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제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 2 부재는 음용할 내용물이 채워지는 발열컵 또는 냉온용기인 것이다.
또한, 상기 발열컵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를 수용한 용기부; 및, 상기 용기부의 외주면에 권선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무선 수신된 전원에 따라 발열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용기부를 가열하는 발열코일; 을 포함하여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냉온용기는,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를 수용하고, 외부면 일단에 냉장 또는 온장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게 되는 냉/온 선택스위치를 형성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와 함께 수용되는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냉/온 선택스위치의 냉장 또는 온장 동작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전원의 극성 변환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냉온제어부; 및, 상기 용기부의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와 함께 수용되어 상기 용기부에 밀착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이 상기 냉온 제어부에 의해 극성 변환시, 방열 또는 흡열 동작하여 상기 용기부의 내용물에 대한 보온과 가열을 위한 온장용 열 또는 냉장용 냉기를 전달하는 냉온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냉온처리부는 P형 및 N형의 반도체 열전소자와, +(plus)와 -(minus)의 극성이 변환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내에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배선되는 무선 충전용 송신부를 고정하고, 무선 충전용 수신부를 가지는 부재를 상기 송신부에 근접시, 송신부에서 수신부로의 전력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한 것으로, 이를 통해 차량내에서 차량 전용 케이블없이 부재에 대한 동작 전원 공급 또는 부재에 수납되는 휴대용 제품의 전원 무선 충전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면서 그 사용상의 편의성을 높이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차량용 무선충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무선충전을 위해 휴대제품(스마트폰)와 제 2 부재(홀더부재) 및 제 1 부재(컵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휴대제품(스마트폰)와 제 2 부재(홀더부재) 및 제 1 부재(컵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제 2 부재(발열컵)와 제 1 부재(컵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무선의 전원공급을 위해 제 2 부재(발열컵)와 제 1 부재(컵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제 2 부재(냉온용기)와 제 1 부재(컵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무선의 전원공급을 위해 제 2 부재(냉온용기)와 제 1 부재(컵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차량용 무선충전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무선충전을 위해 휴대제품(스마트폰)와 제 2 부재(홀더부재) 및 제 1 부재(컵홀더)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로 휴대제품(스마트폰)와 제 2 부재(홀더부재) 및 제 1 부재(컵홀더)가 분리된 상태를 보인 단면 개략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무선충전장치는, 차량내에서 홈(31)을 형성하는 제 1 부재(30)로서, 차량내의 컵홀더 또는 콘솔트레이의 홈(31) 바닥면에 차량 배터리(10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무선 송신하도록 송신코일(11)을 가지는 무선 충전용 송신부(10)를 구성하고, 상기 제 1 부재(30)인 컵홀더 또는 콘솔트레이의 홈(31)에 삽입 또는 분리되는 제 2 부재(40)에 상기 송신부(10)에서 무선 송신하는 전원을 무선 수신하도록 수신코일(21)을 가지는 무선 충전용 수신부(20)를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송신부(10)와 상기 수신부(20)는 송신코일(11)과 수신코일(21)을 이용하여 자기유도방식(WPC; Wireless Power Consortium)으로 전원을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제 1 부재(30)의 홈(31)에 상기 제 2 부재(40)가 삽입시, 상기 제 2 부재(40)는 전원의 무선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2 부재(40)는 상기 수신부(20)가 일체화된 홀더부재(410)로서, 상기 홀더부재(410)에는 제 2 전원단자(412)를 형성한 수납홈(411)이 구성되도록 하였으며, 상기 수납홈(411)은 휴대제품(200)가 거치 또는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가지도록 구성하여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410)는 휴대제품(200)의 종류별(예; 스마트폰, 미니 선풍기, 미니 조명등, PMP, MP3, DMB, 미니 카메라 등)로 다수 구비되는 것이고, 다수 구비되는 상기 홀더부재(410)들의 수납홈(411)들은 각각 휴대제품(200)의 수납이 가능하도록 상기 휴대제품(20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이며, 이에따라 차량 이용자는 원하는 홀더부재를 선택한 후 이에 원하는 휴대제품을 거치 또는 삽입시킨 상태에서, 상기 휴대제품이 거치 또는 삽입된 홀더부재를 상기 제 1 부재(30)의 홈(31)에 삽입하여 전원을 무선충전시킬 수 있는 것이며, 이에따라 상기 휴대제품(200)에는 상기 수납홈(411)에 형성되는 제 2 전원단자(412)와 전기적 접속을 위한 제 1 전원단자(201)를 형성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이러한 제 1,2 전원단자(201)(412)는 공지의 암,수 접속 커넥터에 해당되는 것이다.
따라서,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서와 같이, 차량 이용자는 우선 원하는 홀더부재(410)를 선택한 후 그 홀더부재(410)의 수납홈(411)에 대응하는 휴대제품(200)을 거치 또는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휴대제품(200)의 제 1 전원단자(201)가 상기 수납홈(411)에 형성되는 제 2 전원단자(412)에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상기 홀더부재(410)를 차량의 제 1 부재(30)인 컵홀더 또는 콘솔트레이의 홈(31)에 삽입시키면, 상기 제 1 부재(30)의 홈(31) 바닥면에 형성되는 송신부(10)와, 상기 홀더부재(410)의 하단에 형성되는 수신부(20)가 서로 인접하게 되면서, 상기 송신부(10)에서 차량 배터리(100)의 전원을 무선 송신시, 그 무선 송신되는 전원은 상기 수신부(20)에서 무선 수신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송신부(10)에는 송신코일(11)이 형성되고, 상기 수신부(20)에는 수신코일(21)이 형성되어 있는 바, 상기 송신부(10)와 수신부(20)는 상기 송신코일(11)과 수신코일(21)을 통해 자기유도방식(WPC)으로 차량 배터리(100)의 전원을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고, 이에따라 상기 홀더부재(410)에 거치 또는 수납된 휴대제품(200)은 별도의 차량 전용 케이블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상기 수신부(20)에서 무선 수신한 차량 배터리(100)의 전원으로 무선 충전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재(410)는 휴대제품(200)의 종류에 따라 교체 가능한 것이고, 이는 다수 구비된 홀더부재(410)에 각각 종류별 휴대제품(200)를 거치 또는 수납할 수 있는 수납홈(411)을 형성함으로써 가능하도록 하였다.
한편, 첨부된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로, 이는 제 2 부재(40)를 발열컵(420)으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별도의 홀더부재(410)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발열컵(420)에 수신부(20)를 구성한 후, 상기 발열컵(420)을 직접 상기 제 1 부재(30)인 컵홀더 또는 콘솔트레이의 홈(31)이 삽입하여 무선으로 차량 배터리(10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발열컵(420)에 차량 이용자가 음용할 내용물이 채워질 때 그 내용물이 일정온도로 가열되어 데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발열컵(420)은 금속재로 이루어지고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20)를 수용한 용기부(421)로 구성하고, 상기 용기부(421)의 외주면에는 상기 수신부(20)에 의해 무선 수신된 전원에 따라 발열동작이 이루어져 상기 용기부(421)의 표면온도를 상승시키게 되는 발열코일(422)을 권선하여둔 것이다.
즉, 상기 발열컵(420)의 하단에 구성되는 수신부(20)에서 송신부(10)에서 무선 송신하는 차량배터리(100)의 전원을 무선 수신시 그 무선 수신되는 전원은 상기 용기부(421)의 외주면에 권선된 발열코일(422)로 전달되고, 이에따라 상기 발열코일(422)의 발열동작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용기부(421)의 표면온도를 상승시킨다.
그러면, 상기 용기부(421)의 표면 온도 상승으로부터, 상기 용기부(421)내의 음용할 내용물은 데워지면서, 외기온도가 낮은 동절기에 차량 이용자는 항상 일정온도를 유지하는 내용물(예; 녹차, 커피 등)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발열컵(420)에는 상기 수신부(20)와 전기적으로 접속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수신부(20)로부터 수신된 전원을 정류하여 출력하는 전원출력 제어부가 구성되고, 상기 전원출력 제어부에 의해 상기 발열코일(422)의 발열온도가 결정되도록 하였으며,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첨부된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로, 이는 제 2 부재(40)를 냉온용기(430)으로 구성하여둔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는 별도의 홀더부재(410)를 사용하여 전원을 공급받는 것이 아니라, 냉온용기(430)에 수신부(20)를 구성한 후, 상기 냉온용기(430)를 직접 직접 상기 제 1 부재(30)인 컵홀더 또는 콘솔트레이의 홈(31)이 삽입하여 무선으로 차량 배터리(100)의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도록 한 것이고, 이에따라 상기 냉온용기(430)에 차량 이용자가 음용할 내용물이 채워질 때 그 내용물이 일정온도로 냉각 또는 가열되어 데워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에, 상기 냉온용기(430)는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20)를 수용하고 외부면 일단에 냉장 또는 온장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게 되는 냉/온 선택스위치(431a)를 형성한 용기부(431)로 구성하고, 상기 용기부(431)의 하단 내부에는 상기 수신부(20)와 함께 수용되는 기판(미도시)에 실장되고 상기 냉/온 선택스위치(431a)의 냉장 또는 온장 동작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20)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전원의 극성 변환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냉온 제어부(432), 그리고 상기 용기부(431)에 밀착되면서 상기 수신부(20)에 의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이 상기 냉온 제어부(432)에 의해 극성 변환시, 방열 또는 흡열 동작하여 상기 용기부(431)의 내용물에 대한 보온과 가열을 위한 온장용 열 또는 냉장용 냉기를 상기 용기부(431)에 전달하게 되는 냉온처리부(433)를 구성하여둔 것이며, 상기 냉온처리부(433)는 P형 및 N형의 반도체 열전소자와, +(plus)와 -(minus)의 극성이 변환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도록 한 것이다.
즉, 상기 냉온용기(430)의 하단에 구성되는 수신부(20)에서 송신부(10)에서 무선 송신하는 차량배터리(100)의 전원을 무선 수신시 그 무선 수신되는 전원은 상기 용기부(431)의 하단 내부에 형성된 기판의 냉온제어부(432)에 전달된다.
이때, 차량 이용자가 용기부(431)의 냉온 선택스위치(431a)를 통해 냉장의 동작모드를 선택시, 상기 냉온 선택스위치(431a)의 냉장 동작모드에 따라 냉온제어부(432)는 전력변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냉온처리부(433)를 구성하게 되는 N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plus)가 되고, P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minus)가 되도록 극성이 변환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극성 변환으로부터 전류는 N형 반도체 열전소자로부터 P형 반도체 열전소자로 흐르고, 이때 펠티에(Peltier) 효과에 의해 열전소자의 상부에는 흡열작용이 일어나고, 하부에는 방열작용이 일어나면서, 상기 용기부(431)에는 냉장용 냉기가 전달되면서, 상기 용기부(431)에 담겨진 내용물은 차가워질 수 있는 것이다.
반면, 차량 이용자가 용기부(431)의 냉온 선택스위치(431a)를 통해 온장의 동작모드를 선택시, 상기 냉온 선택스위치(431a)의 온장 동작모드에 따라 냉온제어부(432)는 전력변환의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이에따라 상기 냉온처리부(433)를 구성하게 되는 N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minus)가 되고, P형 반도체 열전소자측이 +(plus)가 되도록 극성을 변환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극성 변환으로부터 전류는 P형 반도체 열전소자로부터 N형 반도체 열전소자로 흐르고, 이때 펠티에(Peltier) 효과에 의해 열전소자의 상부에는 방열작용이 일어나고, 하부에는 흡열작용이 일어나면서, 상기 용기부(431)에는 온장용 열이 전달되면서, 상기 용기부(431)에 담겨진 내용물은 가열 또는 보온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용기부(431)에 냉장용 냉기 또는 온장용 열의 전달로부터, 상기 용기부(431)내의 음용할 내용물은 차가워지거나 데워지면서, 외기온도가 높은 하절기 또는 외기 온도가 낮은 동절기에 차량 이용자는 일정온도의 냉기 또는 온기를 유지하는 내용물(예; 녹차, 커피 등)을 음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수신부(20)와 함께 상기 용기부(431)의 하단 내부에 수용되고 냉온제어부(432)가 실장된 기판에는 상기 냉온제어부(432)에서 출력하는 제어신호에 따라 전원의 극성을 변환시키는 전력변환부를 구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전력변환부에 의해 극성이 변환된 전원이 상기 냉온처리부(433)에 공급될 수 있는 것이고, 이하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서와 동일부분에 대하여는 동일부호로서 그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 송신부 11; 송신코일
20; 수신부 21; 수신코일
30; 제 1 부재 31; 홈
40; 제 2 부재 410; 홀더부재
411; 수납홈 412; 제 2 전원단자
420; 발열컵 421; 용기부
422; 발열코일 430; 냉온용기
431; 용기부 431a; 냉/온 선택스위치
432; 냉온제어부 433; 냉온처리부
100; 차량 배터리 200; 휴대제품
201; 제 1 전원단자

Claims (9)

  1. 차량 배터리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은 후 이를 무선 송신하도록 송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충전용 송신부; 상기 송신부로부터 무선 송신하는 전원을 자기유도방식(WPC)에 의해 무선 수신하도록 수신코일을 가지는 무선 충전용 수신부; 를 구성하고, 상기 송신부는 차량내에서 홈을 형성하는 제 1 부재의 상기 홈 바닥면에 구성하며, 상기 수신부는 상기 제 1 부재의 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신부에 의해 무선 수신된 전원에 의해 동작 또는 충전이 이루어지는 제 2 부재에 구성하되,
    상기 제 2 부재는 음용할 내용물이 채워지는 냉온용기이고, 상기 냉온용기는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를 수용하고, 외부면 일단에 냉장 또는 온장의 동작모드를 선택하게 되는 냉/온 선택스위치를 형성한 용기부; 상기 용기부의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와 함께 수용되는 기판에 실장되고, 상기 냉/온 선택스위치의 냉장 또는 온장 동작모드의 선택신호에 따라 상기 수신부로부터 무선 수신하는 전원의 극성 변환을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냉온제어부; 및, 상기 용기부의 하단 내부에 상기 수신부와 함께 수용되어 상기 용기부에 밀착되고, 상기 수신부에 의해 무선 수신되는 전원이 상기 냉온 제어부에 의해 극성 변환시, 방열 또는 흡열 동작하여 상기 용기부의 내용물에 대한 보온과 가열을 위한 온장용 열 또는 냉장용 냉기를 전달하는 냉온처리부; 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홈을 형성하는 차량내의 컵홀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는 홈을 형성하는 차량내의 콘솔트레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처리부는 P형 및 N형의 반도체 열전소자와, +(plus)와 -(minus)의 극성이 변환되는 전원을 공급받게 되는 전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KR1020140173279A 2014-12-04 2014-12-04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04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79A KR101604432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279A KR101604432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4432B1 true KR101604432B1 (ko) 2016-03-18

Family

ID=55651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279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4432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443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649667A (zh) * 2018-07-12 2018-10-12 安徽锐能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
CN108725333A (zh) * 2018-04-25 2018-11-02 江苏君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行车记录仪固定架
JP2021007276A (ja) * 2019-06-27 2021-01-21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DE102020124344A1 (de) 2020-09-18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korbauteil mit einer drahtlosen Ladeeinheit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725333A (zh) * 2018-04-25 2018-11-02 江苏君厚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无线充电功能的行车记录仪固定架
CN108649667A (zh) * 2018-07-12 2018-10-12 安徽锐能科技有限公司 无线充电装置
JP2021007276A (ja) * 2019-06-27 2021-01-21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JP7143563B2 (ja) 2019-06-27 2022-09-29 豊田合成株式会社 無線給電システム
DE102020124344A1 (de) 2020-09-18 2022-03-24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Dekorbauteil mit einer drahtlosen Ladeeinhei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3970B1 (ko) 발열 용기
KR20150067877A (ko) 발열 컵
US20160183730A1 (en) Wireless, temperature-control beverage warmer
KR101604432B1 (ko) 차량용 무선충전장치
US9502910B2 (en) Power charging apparatus and battery apparatus
KR101477429B1 (ko) 코일 장치, 이를 갖는 무선 전력 송신 장치 및 무선 전력 수신 장치
US9373974B2 (en) Apparatus for inductive charging of portable devices in vehicles
CN102005784A (zh) 一种无线充电系统
CN104659868A (zh) 一种无线充电功能包
CN104242388B (zh) 充电电路、电芯和移动终端
CN104242389B (zh) 充电电路、电芯和移动终端
KR101712647B1 (ko) 무선 충방전 보조 배터리
KR20150003214U (ko) 발열 컵
KR20140117185A (ko) 재충전 모듈을 구비한 무선 충전 장치 및 유무선 복합 충전 시스템
JP5019871B2 (ja) コードレスアンカ
KR101675495B1 (ko) 무선충전 기반의 전원 허브 장치
KR20120005886U (ko) 탈부착이 가능한 무선 충전 장치
CN204650452U (zh) 无线供电鼠标组
CN208241336U (zh) 一种充电设备及系统
US9941731B1 (en) Carry bag or purse with remote charging and illumination features
US20150374096A1 (en) Mobile power pack with cosmetics-heating function
KR200475576Y1 (ko) 자기유도를 이용한 발열 받침대
CN209202668U (zh) 带有加热功能的保温茶杯
US11056897B2 (en) Rechargeable battery system
CN209346764U (zh) 用于料理机的主机、料理机及料理机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120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1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1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012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