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3560B1 -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3560B1
KR101603560B1 KR1020140042171A KR20140042171A KR101603560B1 KR 101603560 B1 KR101603560 B1 KR 101603560B1 KR 1020140042171 A KR1020140042171 A KR 1020140042171A KR 20140042171 A KR20140042171 A KR 20140042171A KR 101603560 B1 KR101603560 B1 KR 1016035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nthetic fiber
composition
fiber fabric
polyester
reconstru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21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17011A (ko
Inventor
채금옥
Original Assignee
채금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금옥 filed Critical 채금옥
Priority to KR102014004217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3560B1/ko
Publication of KR20150117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170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35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356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12Aldehydes;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1/00Hats; Caps; Hood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3/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 D06M13/1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s;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with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D06M13/224Esters of carboxylic acids; Esters of carbonic acid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3/00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 D06M23/10Processes in which the treating agent is dissolved or dispersed in organic solvents; Processes for the recovery of organic solven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2101/00Chemical constitution of the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to be treated
    • D06M2101/16Synthetic fibres, other than mineral fibres
    • D06M2101/30Synthetic polymers consisting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D06M2101/32Polyester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04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esters, e.g.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1/00Wearing apparel
    • D10B2501/04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 D10B2501/042Head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Treatments For Attaching Organic Compounds To Fibrous Good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서의 조성물은 고분자 물질 용해제와 평활제를 혼합함으로써 제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형상을 손쉽게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세탁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Composition for Synthetic Fiber Fabric Reconstruction, and Reconstruction Method for Synthetic Fiber Fabric Reconstruction Using the Composition}
본 발명은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형상을 손쉽게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세탁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대한민국의 모자 시장 규모가 연간 1조원에 달한다는 발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엄청난 양의 모자가 판매되고 사용됨에도 불구하고, 기타의 의류, 운동화 등의 제품군과는 달리 모자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적절한 유지 관리 방법이 없는 상황이다.
한편, 현재 생산되는 대부분의 모자들은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안감으로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사용한 원단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메이저 리그 야구 모자, 국내 프로야구 모자, 골프 모자 등의 스포츠 모자들이 그러하며, 이들 모자는 비교적 고가에 판매되고 있다.
풀리에스테르 원단은 체온이나 햇빛 등의 약한 열에도 조직이 연화되는 특성을 갖고 있는데, 폴리에스테르 원단이 갖고 있는 이와 같은 특성은 모자를 착용한 사용자에게 우수한 착용감을 제공하는 장점 뿐만 아니라, 모자에 쉽게 주름이 생기게 하는 단점의 원인이 된다.
즉, 폴리에스테르 원단을 안감으로 사용하는 모자들은 대부분 햇빛이나 비에 약하고, 특히 물 세탁을 하거나 비에 맞아 젖은 상태에서 햇빛에 노출하되게 되면 건조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균열에 따른 주름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모자 안감인 폴리에스테르 원단의 균열에 의해 발생된 주름을 제거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불가능하였기에, 이들 대부분은 고가의 모자임에도 이를 복원하지 못하고 버려야 하는 경우가 많았다.
아울러, 이와 같은 이유에서 세탁업체 또한 의류, 운동화 등의 제품군과는 달리 모자에 대해서는 세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형상을 손쉽게 강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세탁 품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은, 고분자 물질 용해제와 평활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 용해제는 아세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활제는 부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은, 합성 섬유 원단에, 고분자 물질 용해제와 평활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섬유 원단에 도포된 상기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 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 물질 용해제는 아세톤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평활제는 부틸아세테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형상을 손쉽게 강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에스테르 원단 등의 합성 섬유 원단으로 제작된 모자 등의 착용구의 세탁 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을 모자에 도포하는 장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을 설명하는 절차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을 이용한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을 설명하면, 먼저, 작업자는 휘발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 용해제와 평활제를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한다(S110).
혼합 조성물에 포함된 고분자 물질 용해제는 모자(10)의 안감으로 사용되는 폴리 에스테르 등의 고분자 물질을 용해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며, 평활제는 고분자 물질 용해제에 의해 용해된 물질이 폴리 에스테르 원단에서 용이하게 확산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고분자 물질 용해제로는 아세톤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평활제로는 부틸아세테이트가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0.5 내지 1.5 부피비의 아세톤과 1 내지 3 부피비의 부틸아세테이트를 혼합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는 에틸 알코올 2.5 내지 7.5 부피비를 추가로 혼합함으로써, 살균, 소독 등의 추가의 성질을 갖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을 이용한 폴리 에스테르 원단의 강화를 시험함에 있어서는, 아세톤과 부틸아세테이트를 1:2의 부피비로 혼합하였으며, 에틸 알코올 5 부피비를 추가로 혼합하였다.
참고로, 아세톤(aceton: CH3COCH3)은 56.5℃의 끓는점을 가지며, 부틸아세테이트(Butyl Acetate): C6H12O2)는 126℃의 끓는점을 가지고, 에틸알코올(ethyl alcohol: C2H5OH)은 78℃의 끓는점을 가지며, 실험을 위해 상술한 바와 같은 부피비로 제조된 혼합 조성물은 대략 56.5℃에서부터 126℃까지의 온도 구간에서 기화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이와 같이 제조된 혼합 조성물을 도 2에서와 같이 모자(10) 안감 등의 폴리 에스테르 원단에 분무기(50)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S130). 그에 따라, 혼합 조성물에 포함된 아세톤에 의해 폴리 에스테르의 부분적 용해가 시작되었으며, 혼합 조성물에 포함된 부틸아세테이트에 의해 용해된 폴리 에스테르의 평활 및 확산이 촉진되었다.
한편, 혼합 조성물을 폴리 에스테르 원단에 도포함에 따른 상술한 용해 및 확산 현상이 진행됨과 동시에, 휘발성 액체인 아세톤과 부틸아세테이트의 증발에 의한 폴리 에스테르 원단의 건조가 시작된다(S150).
이와 같이 폴리 에스테르 원단을 건조시킴에 있어서는 자연 건조가 바람직하지만, 폴리 에스테르 원단의 용해 및 확산의 정도를 제어하기 위해, 작업자는 열풍을 이용한 고속 건조 방법을 사용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혼합 조성물의 증발에 따른 폴리 에스테르 원단의 건조 과정이 완료되면, 부분적 용해 및 평활이 진행되었던 폴리 에스테르 원단의 경화가 이루어진다.
한편, 아세톤과 부틸아세테이트는 이와 같이 공기 중으로 증발됨으로써, 폴리 에스테르 원단을 제외한 나머지 원단(면, 모, 실크 등)에는 물리적, 화학적 영향을 전혀 주지 않게 된다.
즉, 폴리 에스테르의 부분적 용해, 평활, 경화의 과정을 통해 폴리 에스테르 원단은 제품 출시 당시의 강도를 회복할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폴리 에스테르의 부분적 용해, 평활, 경화의 과정을 통해 폴리 에스테르 원단과 함께 사용되는 인접 원단과의 밀착 정도 및 부착 강도를 높일 수 있게 되며, 그에 따라 인접 원단에서의 주름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향후 주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이용하면 폴리 에스테르 원단이 사용된 모자(10) 등의 다양한 착용구의 다림 작업, 및 세탁 작업에서뿐만 아니라, 모자(10) 등의 제작 과정에서도 해당 제품에 구조적 강성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의 혼합 조성물의 끓는점이 56.5℃ 미만인 경우에는, 폴리 에스테르의 부분적 용해 및 평활이 충분히 진행되기 전에 혼합 조성물이 조기에 증발되어 버리는 문제가 있고, 혼합 조성물의 끓는점이 126℃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혼합 조성물의 증발에 비교적 장시간이 소요되는 결과, 폴리 에스테르의 과도한 용해가 진행되어 폴리 에스테르의 기본 구조가 완전히 소멸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의 혼합 조성물의 끓는점은 56.5℃ 내지 126℃가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56.5℃의 끓는점을 가지는 아세톤은 저온에서 폴리 에스테르를 용해시키는 역할을 하며, 126℃의 끓는점을 가지는 부틸아세테이트는 조성물의 휘발을 지연시켜 혼합물에 의한 폴리 에스테르의 용해 및 평활이 충분히 진행되도록 한다.
아울러, 아세톤과 부틸아세테이트의 혼합비를 결정함에 있어서, 아세톤을 0.5 부피비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아세톤에 의한 폴리 에스테르의 용해 작용을 충분히 기대할 수 없으며, 1.5 부피비 이상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폴리 에스테르의 과도한 용해가 이루어지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아세톤의 혼합 부피비는 0.5 내지 1.5 부피비로 결정하였다.
또한, 부틸아세테이트를 1 부피비 미만으로 혼합하는 경우에는, 용해된 폴리 에스테르의 충분한 평활 작용을 기대할 수 없으며, 3 부피비를 초과하여 혼합하는 경우에는 용해된 폴리에스테르가 과도하게 확산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부틸아세테이트의 혼합 부피비는 1 내지 3 부피비로 결정하였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모자, 50: 분무기.

Claims (8)

  1. 고분자 물질 용해제와 평활제를 혼합하여 제조되되,
    상기 고분자 물질 용해제는 아세톤이고,
    상기 평활제는 부틸아세테이트인 것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 에스테르인 것인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3. 삭제
  4. 삭제
  5. 합성 섬유 원단에, 고분자 물질 용해제와 평활제를 혼합하여 제조된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및
    상기 합성 섬유 원단에 도포된 상기 조성물을 건조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며,
    상기 고분자 물질 용해제는 아세톤이고,
    상기 평활제는 부틸아세테이트인 것인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물질은 폴리 에스테르인 것인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7. 삭제
  8. 삭제
KR1020140042171A 2014-04-09 2014-04-09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Active KR1016035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71A KR101603560B1 (ko) 2014-04-09 2014-04-09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2171A KR101603560B1 (ko) 2014-04-09 2014-04-09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11A KR20150117011A (ko) 2015-10-19
KR101603560B1 true KR101603560B1 (ko) 2016-03-15

Family

ID=543993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2171A Active KR101603560B1 (ko) 2014-04-09 2014-04-09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3560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939160B1 (en) * 1996-04-19 2004-07-28 Idemitsu Petrochemical Co., Ltd. Composition and method for treating fibers
DE59812738D1 (de) * 1998-12-22 2005-05-19 Ciba Sc Pfersee Gmbh Wässrige Dispersionen für die Textilveredl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17011A (ko) 2015-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7755B1 (ko) 발열 기능을 갖는 직편물 원단의 제조방법
CN107354527B (zh) 一种速热保暖纤维素纤维的制备方法
CN105200802A (zh) 一种具有保健功能的香氛轻薄羊毛面料的制备方法
CN106835718B (zh) 一种纯棉织物吸湿排汗快干的整理方法及纯棉织物
KR101603560B1 (ko) 합성 섬유 원단 강화용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합성 섬유 원단 강화 방법
CN102677473A (zh) 利用γ-聚谷氨酸水凝胶提高腈纶织物吸水吸湿性的方法
CN103981721B (zh) 一种天然纤维柔顺剂及其制备方法
CN102978900A (zh) 涤纶针织物的防紫外线整理工艺
CN108552650A (zh) 一种吸湿排汗的聚乳酸纤维/涤纶混纺面料的制备方法
CN104988741A (zh) 一种棉质衬衫的香薰免烫处理方法
CN107012565B (zh) 一种防虫防螨型羽绒被面料的加工方法
CN106245338B (zh) 柔软耐刮的定岛超细纤维绒面革及其制备方法
CN102178363B (zh) 耐高温水洗性粘合衬布及其制造方法
CN107379667A (zh) 一种凉爽性好的面料
CN110714253A (zh) 一种透气速干运动面料及其制备方法
KR101656058B1 (ko) 모자 제조방법
CN104562696A (zh) 一种织物用护理剂及其制备方法
CN107034670A (zh) 一种衬衫除皱喷雾剂及其制备方法
CN107627698A (zh) 一种感温变色衣服面料及其制备方法
CN106592014A (zh) 一种绿色环保竹丝纤维、尼龙66共混改性纺丝面料及其制备方法
JP2004300598A (ja) 繊維構造物
CN104294581A (zh) 一种竹纤维的碱性处理方法
CN104420180A (zh) 纺织品防紫外线整理方法
CN104178875A (zh) 一种吸湿快干的羊毛面料的加工方法
CN107227616A (zh) 一种纤维素纤维改性无纺布复合面料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4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2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9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30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