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2850B1 -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850B1
KR101602850B1 KR1020130142488A KR20130142488A KR101602850B1 KR 101602850 B1 KR101602850 B1 KR 101602850B1 KR 1020130142488 A KR1020130142488 A KR 1020130142488A KR 20130142488 A KR20130142488 A KR 20130142488A KR 101602850 B1 KR101602850 B1 KR 101602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nwater
height
height adjusting
supporting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424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9030A (ko
Inventor
이상섭
Original Assignee
이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섭 filed Critical 이상섭
Priority to KR10201301424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850B1/ko
Publication of KR201500590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90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850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4Devices for separating liquid or solid substances from sewage, e.g. sand or sludge traps, rakes or gr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10Collecting-tanks; Equalising-tanks for regulating the run-off; Laying-up ba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103/00Nature of the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to be treated
    • C02F2103/001Runoff or storm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SCONSTRUCTIONAL ELEMENTS IN GENERAL; STRUCTURES BUILT-UP FROM SUCH ELEMENTS, IN GENERAL
    • F16S3/00Elongated members, e.g. profiled members; Assemblies thereof; Gratings or grilles
    • F16S3/06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 F16S3/08Assemblies of elongated members forming frameworks, e.g.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그레이팅 안착 및 기능성 확보를 위한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설치 위치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빗물받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상단을 상단 지지구를 통해 일정 높이 지지시키는 상단 지지 단계; 상기 상단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빗물받이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을 하단 지지구를 통해 지지 고정시키는 하단 지지 고정 단계;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 지지 고정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상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상단지지구 제거 단계;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과 빗물받이 본체부 간에 발생하는 틈새에 고정구를 통해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상기 상단지지구가 제거된 매립형 높이조절통 측에 L형 측구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 후, 상기 하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하단지지구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PRE-MOUNTING DEVICE OF EMBEDDED TYPE-HEIGHT ADJUST BOX FOR STREET INLET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도로면에서 설치되는 빗물받이를 시공함에 있어 그레이팅 안착과 경계석과의 높이조절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인원도 감축하여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하수 관거에는 오수 관거와 우수 관거가 있으며, 오수 관거와 우수 관거의 분리 여부에 따라 합류식 및 분류식 하수관거로 구분된다.
이 분류식 하수 관거에서 우수 관거는 가정하수나 공장폐수를 배수하는 오수관거와는 달리, 우수, 지표수, 도로나 기타 세척수만을 배수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하여 노면의 양측에 빗물받이를 구비하고 있다.
이 우수 관거용 차도측 빗물받이는 통상적으로 유입되는 지표수에 포함된 오물을 걸러서 우수 관거를 통하여 하천으로 배수시키도록 구성된다. 또한 빗물받이는 퇴적물의 일정량을 축적 및 준설이 가능하며, 물만을 원활하게 배수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빗물받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수, 도로의 지표수나 기타 세척수 등은 빗물받이로 유입되고, 빗물받이로 유입된 우수는 연결관을 통해 연결된 하수 본관으로 흘러들어간다. 이러한 종래의 빗물받이는 유입구 상면에 낙엽 등을 걸러내는 그레이팅(grating)이 설치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빗물받이는 노면의 우수나 지표수 등을 제공받아 하수 관거나 우수 관거로 제공하는 단순한 역할을 제공할 뿐, 물순환 관점 및 지하수 확보 차원의 빗물받이는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빗물받이에는 빗물받이 본체부의 상단에 그레이팅을 설치하기 위한 L형 측구가 형성된다. 여기에, 빗물받이에 우수량 조절이나 높이 조절 등과 같은 기능성을 부가하기 위하여 그레이팅이 안착될 수 있으면서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부에 별도의 빗물받이통이 설치되고 있는 기술이 제안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별도의 빗물받이통을 설치함에 있어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부에 빗물받이통을 위치시킨 후, 빗물받이부의 상부에 일정한 높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L형 측구를 형성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빗물받이통이 설치되는 경우, L형 측구를 타설하기 전 그 위치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별도의 위치결정장치가 없어 임의의 도구를 사용하여 설치 위치를 결정하고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그 위치가 정확하지 않고 2인 이상의 인원이 투입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빗물받이통의 높이 오차 조정도 불가능하여 이후 타설에 의해 형성된 L형 측구와 빗물받이통 간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선행기술문헌 1의 경우에는 L형 측구 타설 후 그에 맞는 별도의 높이조절 프레임을 별도로 제작해야 하는 번거로움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현장 적용에 한계가 따르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10-2009-0088610(2009.08.20)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도로면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를 시공함에 있어 그레이팅 안착과 경계석과의 높이조절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인원도 감축하여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L형 측구 타설 전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에 설치되는 매립형 높이조절통을 임시 지지 고정하기 위한 가설치장치로서, 빗물받이 본체부 상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상단 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수단; 및 상기 빗물받이 본체부 내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 수단은 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T자형의 지지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 수단은 횡축 지지 부재와, 상기 횡축 지지 부재에서 직교하게 연장하는 종축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횡축 지지 부재는 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종축 지지 부재가 상기 횡축 지지 부재에 대하여 길이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높이 조절 수단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종축 지지 부재는 내면에 나사산부가 형성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축 지지 부재의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면에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볼트 형태의 높이 조절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하단 지지 수단은 대향 면에 각각 나사결합공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를 갖는 장방형의 사각 프레임 형태의 폭 조절구; 및 상기 폭 조절구의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는 면 접촉 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면 접촉 부재는 상기 폭 조절구의 나사결합공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나사산 형성 부재와, 상기 나사산 형성 부재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판형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과 빗물받이 본체부 간에 발생하는 틈새에 끼워져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을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간극 고정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간극 고정 부재는 띠형 발포체(백업재(backup materi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에 매립형 높이조절통을 위치시키되, 빗물받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상단을 상단 지지구를 통해 일정 높이로 지지시키는 상단 지지 단계; 상기 상단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빗물받이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을 하단 지지구를 통해 지지 고정시키는 하단 지지 고정 단계;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 지지 고정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상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상단지지구 제거 단계; 상기 상단 지지구가 제거된 매립형 높이조절통과 빗물받이 본체부 사이에 발생되는 틈새에 띠형 발포체(백업재)로 고정시키는 단계; 상기 발포체 고정 단계 이후에 상기 상단지지구가 제거된 매립형 높이조절통 측에 L형 측구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 후, 상기 하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하단지지구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 단계는 상기 상단 지지구를 통해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시공 방법에서 상기 상단 지지구는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에 포함되는 상단 지지 수단을 이용하여 시공되고, 상기 시공 방법에서 상기 하단 지지 상기 하단 지지구는 상기한 일 관점에 따른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에 포함되는 하단 지지 수단을 이용하여 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도로면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를 시공함에 있어 그레이팅 안착 및 경계석과의 높이조절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인원을 감축하여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빗물받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매립형 높이조절통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상단 지지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하단 지지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간극 고정 부재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매립형 높이조절통 제작 시 일체로 형성되는 L자형 앵글의 간극 고정 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통 설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 설명에서는 통상 빗물받이에 그레이팅 부재가 설치됨에 따라 이 그레이팅 부재가 안착되기 위한 L형 측구가 형성되므로, 아래에서 설명되는 빗물받이통은 측구에 안착 설치되기 위하여 상단부가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를 갖는 빗물받이통임을 전제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구성요소들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의 이해를 돕기 위해 매립형 높이조절통은 일점쇄선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는, L형 측구 타설 전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에 설치되는 매립형 높이조절통을 임시 지지 고정하기 위한 가설치장치로서, 상기 빗물받이 본체부(1) 상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10)의 상단 양측을 지지하는 상단 지지 수단(100); 및 상기 상단 지지 수단(100)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빗물받이 본체부(1) 내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10)의 하단을 지지하는 하단 지지 수단(200)을 포함한다.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상단부는 그레이팅을 수용 안착할 수 있도록 상단 가장자리에 플랜지부(11)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 상단 지지 수단(100)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상단 지지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상단 지지 수단(100)은 매립형 높이조절통(10)의 상단에서 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랜지부(11)와 우수받이 본체부(1) 상면에 사이에 위치되는 것으로, 전체적으로 T자형의 지지구로 이루어진다. 상기 T자형 지지구는 높이조절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단 지지 수단(100)은 매립형 높이조절통(10)의 플랜지부(11) 면에 접촉하는 횡축 지지 부재(110); 및 상기 횡축 지지 부재(110)의 중앙부에서 직교하게 연장하는 종축 지지 부재(120)를 포함한다. 상기 횡축 지지 부재(110)는 판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되며, 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안착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상기 횡축 지지 부재(110)와 종축 지지 부재(120)는 상단 지지 수단(100)이 높이 조절 가능하도록 상호 인장 및 수축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높이 조절 수단을 구비한다.
예를 들어, 상기 상단 지지 수단(100)의 높이 조절 수단은 상기 종축 지지 부재(120)의 내면에 나사산부(121)가 형성되는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종축 지지 부재(120)의 나사산부에 나사결합되도록 외면에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볼트 형태의 높이 조절구(122)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상단 지지 수단(100)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높이 조절구(122)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횡축 지지 부재(110)와 종축 지지 부재(120) 간의 상대적 거리를 조절하여 상단 지지 수단(100)의 높이 조절에 따라 빗물받이 본체부(1)의 상면으로부터 매립형 높이조절통(100)의 상부 측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하단 지지 수단(200)에 대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하단 지지 수단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하단 지지 수단(200)은 대향 면에 각각 나사결합공(211)이 형성되고 내부에 중공부(212)를 갖는 폭 조절구(210); 및 상기 폭 조절구(210)의 나사결합공(211)에 나사결합되는 면 접촉 부재(220)를 포함한다.
상기 폭 조절구(210)는 대략 장방형의 사각 프레임 형태로 형성되고, 대향하는 한 쌍의 프레임 벽(길이방향의 프레임 벽)에 각각 상기 나사결합공(211)이 형성된다.
상기 면 접촉 부재(220)는 상기 폭 조절구(210)의 나사결합공(211)에 나사결합되도록 나사산부가 형성되는 나사산 형성 부재(221)와, 상기 나사산 형성 부재(221)에 직교하게 형성되는 판형 부재(222)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가설치장치는 상기한 상단 지지 수단(100)과 하단 지지 수단(200)에 의해 매립형 높이조절통(10)이 빗물받이 본체부(1)의 상부에 위치결정된 다음, 매립형 높이조절통(10)과 빗물받이 본체부(1) 간에 발생할 수 있는 틈새에 끼워져 매립형 높이조절통(10)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시키기 위한 간극 고정 부재(300)를 더 포함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간극 고정 부재(300)의 일 예를 나타낸 것으로, 이러한 간극 고정 부재(300)는 띠형 발포체(백업재)(미도시)로 이루어져, 매립형 높이조절통(10)과 빗물받이 본체부(1) 간에 발생하는 틈새에 끼워져 고정시킬 수 있다.
삭제
다음으로, 상기에서 설명한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이용한 빗물받이통 설치 시공 방법에 대하여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통 설치 시공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차트이다.
본 발명에 따른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설치 시공 방법은,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에 매립형 높이조절통을 위치시키되, 빗물받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상단을 상단 지지구를 통해 일정 높이 지지시키는 상단 지지 단계(S100); 상기 상단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빗물받이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을 하단 지지구를 통해 지지 고정시키는 하단 지지 고정 단계(S200);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 지지 고정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상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상단지지구 제거 단계(S300);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과 본체부 간에 발생하는 틈새에 고정구(예를 들어, 띠형 발포체(백업재))를 삽입하여 고정하는 단계(S400); 상기 상단지지구가 제거된 매립형 높이조절통 측에 L형 측구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S500); 및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 후, 상기 하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하단지지구 제거 단계(S600)를 포함한다.
상기 상단 지지 단계(S100)는 상단 지지구를 통해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높이를 설계 높이로 조절하는 높이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빗물받이통 설치 시공 방법에서는 상단 지지구와 하단 지지구는 앞서 설명한 가설치장치를 구성하는 상단 지지 수단과 하단 지지 수단을 이용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은, 도로면에 설치되는 빗물받이를 시공함에 있어 그레이팅 안착 및 경계석과의 높이조절을 정확하고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성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작업 인원을 감축하여 공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빗물받이 본체부
10: 매립형 높이조절통
11: 플랜지부
100: 상단 지지 수단
110: 횡축 지지 부재
120: 종축 지지 부재
121: 나사산부
122: 높이 조절구
200: 하단 지지 수단
210: 폭 조절구
211: 나사결합공
212: 중공부
220: 면 접촉 부재
300: 간극 고정 부재

Claims (1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빗물받이 본체부의 개구에 매립형 높이조절통을 위치시키되, 빗물받이 본체부의 상면으로부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상단을 상단 지지구를 통해 일정 높이 지지시키는 상단 지지 단계;
    상기 상단 지지구에 의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빗물받이 본체부의 내측에서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을 하단 지지구를 통해 지지 고정시키는 하단 지지 고정 단계;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하단 지지 고정 단계가 완료된 후 상기 상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상단지지구 제거 단계;
    상기 매립형 높이조절통과 빗물받이 본체부 간에 발생하는 틈새에 고정구를 통해 고정시키는 고정 단계;
    상기 고정구 고정 단계 이후 상기 상단지지구가 제거된 매립형 높이조절통 측에 L형 측구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하는 단계; 및
    상기 콘크리트의 타설 양생 후, 상기 하단 지지구를 제거하는 하단지지구 제거 단계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단 지지 단계는
    상기 상단 지지구를 통해 매립형 높이조절통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 단계를 포함하는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를 이용한 시공 방법.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KR1020130142488A 2013-11-21 2013-11-21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ctive KR1016028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88A KR101602850B1 (ko) 2013-11-21 2013-11-21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42488A KR101602850B1 (ko) 2013-11-21 2013-11-21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30A KR20150059030A (ko) 2015-05-29
KR101602850B1 true KR101602850B1 (ko) 2016-03-11

Family

ID=53393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42488A Active KR101602850B1 (ko) 2013-11-21 2013-11-21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85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5025B1 (ko) * 2018-01-22 2019-05-03 지성산업개발(주) 그레이팅 장치 및 그것을 구비하는 친환경 집수정
KR102050841B1 (ko) * 2018-05-17 2019-12-0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액체 홈통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662B2 (ja) * 1991-11-08 2000-12-11 有限会社泰成電機工業 根太施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根太受金具
KR100578554B1 (ko) * 2005-04-12 2006-05-12 (주)유진기업 사각 및 횡단 맨홀 보수방법 및 그를 위한 지지구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4699B1 (ko) 2008-02-15 2011-01-04 한기용 높이조절용 환경 친화형 빗물받이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15662B2 (ja) * 1991-11-08 2000-12-11 有限会社泰成電機工業 根太施工法及びそれに用いる根太受金具
KR100578554B1 (ko) * 2005-04-12 2006-05-12 (주)유진기업 사각 및 횡단 맨홀 보수방법 및 그를 위한 지지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9030A (ko) 2015-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89711Y1 (ko) 조립식 트렌치
KR101776805B1 (ko) 조립식 교량 배수장치
JP4840870B2 (ja) L型側溝施工方法
KR101747899B1 (ko) 지반침투겸용 빗물받이 및 이를 구비한 보도연계형 빗물받이 구조물
US20140154006A1 (en) Retrofit Catch Basin for use in Storm Water Management Practice
US11987938B2 (en) Drainage device and methods for constructing and use
KR101602850B1 (ko) 빗물받이의 매립형 높이조절통 가설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 방법
US9127447B2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KR101369130B1 (ko) 일체형 점검구을 갖는 차집관거의 유량조절장치
KR101046180B1 (ko) 배수관 연결구
KR102640239B1 (ko) 집수구 3단 분리형 교량 선배수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200417292Y1 (ko) 수평형 다중식 루프드레인 장치
KR101562759B1 (ko) 우수토실용 벽체플레이트 조립체
KR102571397B1 (ko) 높이조절이 가능한 집수구 및 그 시공방법
KR102360446B1 (ko) 교량 집수관 및 상부 개방 트렌치 오픈 직결 선배수 시스템 및 그 시공공법
KR100759846B1 (ko) 현수형 상등수 집수 장치를 구비한 4각 침전지
JP2009062701A (ja) 樋配管システム
KR20210080947A (ko) 하수도 빗물받이의 악취 차단 장치
KR101771859B1 (ko) 계단식 투수 다공성 수로관
JP2007146457A (ja) 排水路構築方法
CA2840696C (en) Frame for an inlet of a catch basin or manhole
AU2018236812B2 (en) Adjustable pit
KR200406939Y1 (ko) 도로 측구 배수박스 보강구조
KR100451145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옹벽용 배수 슬리브
KR101535998B1 (ko) 보도측과 연계한 보도 연계형 침투형 빗물받이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1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40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MND Amendment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407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PX0901 Re-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9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06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X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1208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3S01D

Patent event date: 20151116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Patent event date: 201510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X07011S01I

Patent event date: 20150602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code: PX07012R01I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11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5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2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1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021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20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