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806B1 -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 Google Patents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806B1 KR101602806B1 KR1020140063348A KR20140063348A KR101602806B1 KR 101602806 B1 KR101602806 B1 KR 101602806B1 KR 1020140063348 A KR1020140063348 A KR 1020140063348A KR 20140063348 A KR20140063348 A KR 20140063348A KR 101602806 B1 KR101602806 B1 KR 1016028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edge
- bolt
- nut
- groove
- threa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0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 F16B39/04—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after screwing down with a member penetrating the screw-threaded surface of at least one part, e.g. a pin, a wedge, cotter-pin, screw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7/00—Nuts or like thread-engag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39/00—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 F16B39/22—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 F16B39/28—Locking of screws, bolts or nuts in which the locking takes place during screwing down or tightening by special members on, or shape of, the nut or bol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산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된 후, 상기 볼트에 걸림결합되어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결합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풀림방지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볼트는 축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형성된 쐐기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하부가 상기 쐐기걸림홈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쐐기걸림홈에 걸림결합되는 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볼트와 너트의 결합시에 풀림방지나사부의 쐐기가 볼트의 쐐기걸림홈이 걸림결합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loose bolt assembly, comprising: a bolt having a first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 nut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nd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through the second screw threa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bolt threadedly engaging with the bolt to maintain a state of engagement between the bolt and the nut, wherein the bolt is formed with a wedge- And a wedge formed in the lower portion of the wedge-stopping groove so as to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wedge-stopping groove and inserted into the engaging groove and engaged with the wedge-receiving groove.
Thus, when the bolt and the nut are coupled, the wedge of the anti-loose screw portion is engaged with the wedge-engaging groove of the bolt to prevent the bolt and the nut from being loosened.
Description
본 발명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가공이 용이하며 장기간 안정적인 풀림방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nti-loose bolt assembly,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nti-loose bolt assembly that can be easily machined and can provide a stable anti-loosening effect for a long period of time.
볼트와 너트는 나사결합에 의해 체결력을 유지하는 체결요소로서 오래전부터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볼트와 너트는 암나사와 수나사 사이의 마찰력에 의해 체결력이 유지되므로, 충격과 진동에 의해 쉽게 풀어지는 단점이 있다. Bolts and nuts are fastening elements that retain the fastening force by screwing and have been widely used in various fields for a long time. However, since the fastening force is maintained by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female screw and the male screw, the bolt and the nut are easily disassembled by shock and vibration.
이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이후 풀림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가 연구되고 있다. 일례로,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1999-0019896호에 볼트와 홈붙이 너트의 풀림방지구조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구조는 다수개의 고정홈이 방사형으로 형성된 홈붙이 너트와, 그 홈붙이 너트의 고정홈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고정발이 돌출 형성된 볼트를 포함한다. 이 구조는 볼트 끝단에 연장형성된 고정발의 가공이 어려우며, 체결 후 고정발을 일일이 절곡시켜주어야 하므로 작업공수가 작업시간이 지연되는 문제가 있다. Therefore, various structures are being studied to prevent loosening after fastening of bolts and nuts. For example, Korean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10-1999-0019896 discloses a structure for preventing loosening of bolts and slotted nuts. The disclosed structure includes a grooved nut having a plurality of fixing grooves radially formed therein, and a plurality of bolts protruding from the fixing grooves that are seated in the fixing grooves of the grooved nut. In this structure,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fixed leg extending from the end of the bolt, and since the fixed foot must be bent after fastening, the working time is delayed.
또한,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359648호에 볼트 너트 풀림방지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개시된 볼트 너트 풀림방지 구조는 볼트와 너트가 "ㄷ"자 형상으로 절곡형성된 고정핀에 의해 동시에 결합된다. 이 경우, 볼트 내부에 고정핀이 삽입되는 홀이 가공되어야 하므로 가공이 번거롭고, 볼트 내부에 장공을 형성해야하므로 볼트 자체의 강도와 내구성이 떨어지는 문제도 있다.
Also, Korean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0359648 discloses a bolt-nut loosening prevention. The disclosed bolt-nut loosening structure is simultaneously engaged by a bolt and a nut fixedly bent in a "C" shape. In this case, since holes for inserting the fixing pins are formed inside the bolt, it is difficult to process the bolts, and the bolt itself needs to have a long hole, so that the strength and durability of the bolt itself are deteriorated.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공이 용이하며 안정적으로 풀림방지 기능이 구현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to provide a loosening prevention bolt assembly in which a loosening prevention function is easily and stably prevent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체결물의 두께와 형상에 따라 다양한 결합각도로 호환되어 체결되며 풀림방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which can be interlocked at various engagement angles according to the thickness and shape of the articles to be clamped and which can realize a loosening prevention function.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쐐기와 쐐기걸림홈의 걸림결합에 의한 구속력이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장기간 풀림방지 기능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capable of stably retaining a long-time anti-loosening function by being elastically supported by a resilient member by a binding force of a wedge and a wedge latch groove.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한 범위의 결합각도도 조절할 수 있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It is still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capable of adjusting a small range of engagement angle.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The above objects and various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come more apparent from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발명의 목적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는, 외주면에 제1나사산이 형성되고, 축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된 쐐기걸림홈이 형성된 볼트와;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산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쐐기걸림홈에 삽입되는 쐐기가 형성된 풀림방지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쐐기걸림홈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너트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선단벽은 상기 볼트의 중심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벽에 대향되는 후단벽은 선단벽과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결합홈의 상단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볼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된다.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chieved by an anti-loosening bolt assembly.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nti-loose bolt assembly comprising: a bolt having a first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ormed with a wedge engaging groove recessed along an axial direction;
A nut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nd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through the second screw threa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wedg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wedge receiving groove,
The end wall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nut is loosene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bolt and is stepped stepwise down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formed so as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distal end wall.
And a third screw thread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groov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edge latching grooves are provided at a plurality of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lt.
삭제delete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상기 쐐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력을 상기 쐐기로 전달하며, 상기 제3나사산에 대응되는 제4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쐐기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는 나사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unlocking screw portion is provided on the wedge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wedge, and a fourth screw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ird screw thread is provided to block the external detachment of the wedge .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나사와 상기 쐐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crew and the wedge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wedge receiving groove, thereby maintaining the wedge engaged with the wedge receiving groove .
삭제delete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쐐기의 평단면형상은 다각형이며,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쐐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평단면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edge is polygonal, and the wedge engaging groove is formed in a flat cross-sectional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edge.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는 볼트의 외주면에 쐐기걸림홈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너트를 관통하여 쐐기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The detachment prevention bol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dge retaining groove formed at a predetermined dep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and a wedge is inserted through the nut to prevent loosening of the bolt and nut.
이 때, 쐐기걸림홈의 형상이 수직벽과 경사벽의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쐐기가 걸림결합되므로, 쐐기의 유입이 용이하고, 쐐기가 수직벽에 걸려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shape of the wedge receiving groove is formed by the combination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inclined wall so that the wedge is engaged, so that the wedge is easily introduced and the wedge is caught by the vertical wall to completely prevent the bolt and nut from being loosened .
또한, 쐐기걸림홈이 볼트의 원주면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Further, a plurality of wedge-engaging grooves may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so that the wedge-engaging groov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engaged members of various thicknesses.
또한, 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쐐기가 쐐기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기간 신뢰성 있게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wedge is resiliently pressed and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wedge retaining groove, the bolt and nut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도 1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볼트와 너트로 풀림방지나사부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가 피체결부에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구성을 도시한 분해사시도와 사용예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ate of the release preventing bol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detachment prevention bol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process in which a bolt and a nut of a release preventing bol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engaged with a release preventing screw portion.
FIG.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release preventing bol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ngaged,
5 is an exemplary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release preventing bol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astened to a mating portion;
6 and 7 are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and a use example showing the structure of a release preventing bolt assembly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modified into various forms,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The present embodiments are provided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more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shapes and the like of the elements in the drawings can be exaggeratedly expressed to emphasize a clearer description. 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drawings, the same member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Detailed descriptions of well-known functions and constructions which may be unnecessarily obscured by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캡(120)이 구비된 앵커볼트를 예시하고 있으나, 이 외에도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피체결부재를 결합시키는 모든 종류의 볼트에 적용될 수 있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ate in which a release preventing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볼트(110)와, 볼트(110)에 나사결합되는 너트(130)와, 너트(130)를 관통하여 볼트(110)에 걸림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의 풀림을 방지하는 풀림방지나사부(140)를 포함한다. The release preventing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앵커볼트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므로, 볼트(110)에 결합되는 캡(120)을 더 포함한다. Here, since the release preventing
볼트(110)는 캡(120)이 결합되며 피체결부재의 내부로 삽입되는 볼트본체(111)와, 볼트본체(111)의 전단 외주면에 일정길이 형성되는 제1나사산(113)과, 제1나사산(113)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형성되는 쐐기걸림홈(115)을 포함한다. The
볼트본체(111)는 캡(120)이 씌워진 상태에서 해머(미도시)와 같은 가압부재에 의해 가압되어 피체결부재(A)의 내부로 삽입된다. 볼트본체(111)의 후단은 도시된 바와 같이 여타 영역에 비해 면적이 넓게 형성되어 가압부재의 가압시에 캡(120)이 확장되어 피체결부재(A)에 삽입 지지되도록 한다. The
제1나사산(113)은 너트(130)의 제2나사산(133)과 서로 나사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가 구속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133)은 암나사산과 수나사산 중 어느 하나로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제1나사산(113)이 수나사산으로 형성되고, 제2나사산(133)은 암나사산으로 형성된 것으로 예시하였다. The
쐐기걸림홈(115)은 제1나사산(113)의 외주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깊이 함몰되게 형성된다. 쐐기걸림홈(115)은 볼트(110)의 축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다. 쐐기걸림홈(115)은 풀림방지나사부(140)의 쐐기(141)가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도록 한다. The
도 3은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가 결합되는 과정을 도시한 단면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걸림홈(115)은 제1나사산(113)으로부터 일정 깊이 함몰된 형상을 갖는다. 이 때, 쐐기걸림홈(115)의 단면형상은 "V"자 형상으로 형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단면방향에 있어서,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133)이 풀려지는 방향에 대해 쐐기걸림홈(115)을 형성하는 선단벽(115a)은 볼트(110)의 중심에 대해 수직하게 형성되고, 제1나사산(113)과 제2나나산(133)이 결합되는 방향의 후단벽(115b)은 선단벽(115a)에 대해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다. 후단벽(115b)은 하부에서 상방향으로 갈수록 수직한 선단벽(115a)과의 폭이 점차 넓어지는 형태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3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process of assembling the release preventing
이러한 쐐기걸림홈(115)의 형상에 의해 쐐기(141)가 삽입될 때는 경사진 후단벽(115b)을 따라 안내되어 용이하게 하부로 삽입될 수 있고, 삽입이 완료된 후에는 선단벽(115a)에 걸림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가 풀어지는 방향으로 회전이 저지된다. When the
여기서, 쐐기걸림홈(115)의 깊이는 제1나사산(113) 보다 깊게 가공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볼트(110)의 내구성을 약화시키지 않는 범위내이어야 한다. Here, the depth of the
쐐기걸림홈(115)은 볼트(11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된다.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피체결부재(A)와 제2체결부재(B1) 및 제3체결부재(B2)를 결합시킬 때, 제2체결부재(B1) 및 제3체결부재(B2)의 개수와 두께에 따라 너트(130)가 볼트(110)에 결합되는 위치가 상이할 수 있다. 쐐기걸림홈(115)이 일정 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형성됨에 따라 너트(130)의 다양한 결합위치에 대응되게 쐐기(141)가 삽입되어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A plurality of
쐐기걸림홈(115)은 원주방향을 따라 90도 간격, 60도 간격, 30도 간격 등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쐐기걸림홈(115)이 형성되는 각도 간격이 좁을수록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 가공시간이 길어지고 제1나사산(113)과 제2나사산(133)의 나사결합시 마찰력을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어 적절한 각도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너트(130)는 볼트(110)에 나사결합되어 피체결부재의 위치를 고정시킨다. 너트(130)는 너트본체(131)와, 너트본체(131)의 내주면에 형성된 제2나사산(133)과, 너트본체(131)를 관통하여 형성되어 풀림방지나사부(140)가 삽입되는 결합홈(135)을 포함한다. The
결합홈(13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너트본체(131)의 외주면으로부터 관통형성되어 제2나사산(133)까지 이어진다. 결합홈(135)은 볼트(110)의 쐐기걸림홈(115)에 연장되게 형성된다. 즉, 결합홈(135)은 선단벽(115a)에 수직하게 일측벽이 형성되고, 후단벽(115b)에 연장되게 경사면(135a)이 형성된다. The
동축상에 배치되었을 때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은 하나의 연속된 홈의 형태로 형성되므로 쐐기(141)가 경사면(135a)과 후단벽(115b)을 따라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The
결합홈(135)의 상부에는 제3나사산(135b)이 형성된다. 제3나사산(135b)은 풀림방지나사부(140)의 나사머리(143a)에 형성된 제4나사산(143b)과 나사결합된다. 제3나사산(135b)과 제4나사산(143b)이 나사결합되며 나사(143)가 결합홈(135)의 상부에 위치가 고정된다.
A
풀림방지나사부(140)는 너트(130)를 통해 삽입되어 볼트(110)에 걸림결합되어 볼트(110)와 너트(130)의 풀림이 방지되도록 한다. 풀림방지나사부(140)는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되어 걸림결합되는 쐐기(141)와, 쐐기(141)가 쐐기걸림홈(115)에 걸림결합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는 탄성부재(145)와, 탄성부재(145)를 가압하는 나사(143)를 포함한다. The release preventing
쐐기(141)는 결합홈(135)을 통해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된다. 쐐기(141)는 하부의 일정길이(a)가 쐐기걸림홈(115)에 수용되고, 나머지 길이(b)가 결합홈(135)에 수용된다. 이 때, 쐐기걸림홈(115)에 수용되는 볼트삽입단(141a)은 결합홈(135)에 수용되는 너트삽입단(141b)에 비해 경사각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날카로운 볼트삽입단(141a)가 쐐기걸림홈(115)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특히, 너트(130)가 회전하며 볼트(110)와 결합되는 상태, 즉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이 동축상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에 쐐기(141)가 삽입될 때, 날카로운 볼트삽입단(141a)이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되며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의 축방향 위치를 정렬할 수 있다. The
쐐기(141)는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외력에 의해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에 억지끼워맞춤 되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에 의해 볼트(110)와 너트(130)에 쐐기(141)가 한번 삽입되면 결합된 상태가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The
쐐기(141)는 내구성을 갖는 금속소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나사(143)는 너트(130)의 제3나사산(135b)에 나사결합되어 탄성부재(145)를 가압한다. 나사(143)는 드라이버(미도시) 등에 의해 회전되는 나사머리(143a)와, 나사머리(143a)의 하부 외주면에 형성되는 제4나사산(143b)을 포함한다. 제4나사산(143b)은 제3나사산(135b)과 나사결합된다. The
탄성부재(145)는 나사(143)의 가압에 의해 압축되며 쐐기(141)가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E)을 작용한다. 탄성부재(145)가 인가하는 탄성력(E)에 의해 쐐기(141)는 쐐기걸림홈(115)에 삽입된 상태가 유지된다.
The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의 사용과정을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use process of the release preventing
캡(120)이 결합된 볼트본체(111)를 해머 등의 가압부재(미도시)를 이용해 제1피체결부재(A)와 제2피체결부재(B1) 및 제3피체결부재(B2)를 관통하여 삽입한다. 외부로 노출된 제1나사산(113)에 너트(130)를 결합시킨다. 너트(130)를 회전시켜 제2피체결부재(B2)와 접촉되게 배치시킨다. The bolt
이 때, 쇄기(141), 탄성부재(145) 및 나사(143)가 너트(130)의 결합홈(135)에 체결된 후에 너트(130)가 볼트(110)에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너트(130)가 볼트(110)에 체결된 후에 쐐기(141), 탄성부재(145) 및 나사(143)가 너트(130)에 체결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너트(130)의 결합홈(135)에 삽입 및 체결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At this time, the
즉, 너트(130)의 결합홈(135)으로 쐐기(141)를 삽입한다. 쐐기(141)는 결합홈(135)의 경사면(135a)을 따라 하부로 이동되고, 볼트(110)의 쐐기걸림홈(115)으로 볼트삽입단(141a)이 삽입된다. That is, the
탄성부재(145)를 쐐기(141)의 상부에 배치하고, 작업자가 나사(143)를 결합홈(135)에 나사결합시킨다. 나사(143)의 제3나사산(135b)과 결합홈(135)의 제4나사산(143b)이 나사결합됨에 따라 탄성부재(145)가 점차 압축되며 하부방향으로 탄성력을 인가한다. 이에 따라 쐐기(141)는 점차 하부로 더 가압되어 이동되고 결합홈(135)과 쐐기걸림홈(115)에 끼워맞춤된다. The
이 때, 쐐기걸림홈(115)은 볼트(110)와 너트(130)가 풀리는 방향으로 수직하게 선단벽(115a)이 형성되므로 외력에 의해 볼트(110)와 너트(130)가 풀리려고 할 때, 쐐기(141)가 쐐기걸림홈(115)에 걸림지지되어 회전이 차단된다. 따라서, 볼트(110)와 너트(130)의 풀림이 방지되고, 구속력이 안정적으로 장기간 유지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한편,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a)의 결합과정을 도시한 예시도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6 and 7 are views illustrating an example of a coupling process of the loosening
앞서 설명한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는 쐐기걸림홈(115)의 선단벽(115a)이 수직하게 형성되었다. 이 경우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이 동축상으로 배치되었을 때, 쐐기걸림홈(115)과 결합홈(135)의 형상이 서로 연장되게 일치해야만 쐐기(141)가 삽입될 수 있다.
이 경우, 쐐기가 쐐기걸림홈에 삽입된 상태에서 너트의 체결력을 증대시키게 되면 쐐기는 선단벽에 형성된 상부의 계단에서 하부로 계단으로 이동되면서 너트가 더욱 견고하게 볼트에 체결되게 된다. In the release preventing
In this case, when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wedge receiving groove, the wedge is moved to the step from the upper step formed at the end wall to the step, and the nut is fastened more firmly to the bolt.
이때, 선단벽(116)은 상부로부터 하부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At this time, the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141)가 삽입되는 위치가 다단구조에 맞게 좌우로 일정각도 쉬프트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쐐기(141)의 결합위치가 좌측에서 우측으로 이동될수록 쐐기(141)가 점차적으로 깊게 볼트에 삽입된다. 이 때, 탄성부재(145)가 나사(143)에 의해 가압되는 정도가 커지므로 탄성부재(145)의 압축한계 길이를 고려하여 선단벽(116)의 단차 개수와 폭(d)을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refore, as shown in FIG. 7, the position where the
이에 바람직한 실시예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에 비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100a)가 보다 더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결합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The loosening
한편, 상술한 예들에서 쐐기는 평단면형상이 원형의 형상으로 구비되었다. 쐐기의 평단면형상이 원형일 경우 가공이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삽입후 결합홈 내부에서 쐐기의 자전이 가능하다. 즉, 쐐기의 자전에 의해 너트가 볼트로부터 풀릴 수 있다. 이러한 가능성을 차단하기 위해, 쐐기의 평단면형상을 삼각형, 사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도 형성할 수도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above-mentioned examples, the wedge has a circular cross-sectional shape. If the wedge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it is easy to process, but it is possible to rotate the wedge inside the coupling groove after insertion. That is, the nut can be released from the bolt by the rotation of the wedge. In order to prevent such a possibility, the flat cross-sectional shape of the wedge may be formed into a polygonal shape such as a triangle or a quadrangle.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풀림방지 볼트조립체는 볼트의 외주면에 쐐기걸림홈이 일정깊이 형성되고, 너트를 관통하여 쐐기가 삽입되어 볼트와 너트의 풀림을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unlocking bolt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a wedge catching groove formed at a certain depth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and the wedge is inserted through the nut to prevent the bolt and the nut from loosening.
이 때, 쐐기걸림홈의 형상이 수직벽과 경사벽의 조합된 형태로 형성되어 쐐기가 걸림결합되므로,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완벽하게 방지될 수 있다. At this time, since the shape of the wedge receiving groove is formed in a combined form of the vertical wall and the inclined wall, the wedge is engaged, so that the loosening of the bolt and the nut can be completely prevented.
또한, 쐐기걸림홈이 볼트의 원주면에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배치되어 다양한 두께의 피체결부재에 호환되어 사용될 수 있다. Further, a plurality of wedge-engaging grooves may be dispos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olt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so that the wedge-engaging grooves can be used interchangeably with the engaged members of various thicknesses.
또한, 쐐기를 탄성적으로 가압하여 쐐기가 쐐기걸림홈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장기간 신뢰성있게 볼트와 너트의 풀림이 방지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wedge is resiliently pressed and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wedge retaining groove, the bolt and nut can be reliably prevented from loosening for a long period of time.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풀림방지 볼트조립체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The embodiments of the release preventing bolt assembly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merely illustrative and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You will know. Therefore,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ccordingly, the tru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determined by the technical idea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ncludes all modifications, equivalents, and alternatives falling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0 :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110 : 볼트
111 : 볼트본체 113 : 제1나사산
115 : 쐐기걸림홈 115a: 선단벽
115b : 후단벽 120 : 캡
130 : 너트 131 : 너트본체
133 : 제2나사산 135 : 결합홈
135a : 경사면 135b : 제3나사산
140 : 풀림방지나사부 141 : 쐐기
141a : 볼트삽입단 141b : 너트삽입단
143 : 나사 143a : 나사머리
143b : 제4나사산 145 : 탄성부재100: loosening prevention bolt assembly 110: bolt
111: bolt body 113: first thread
115:
115b: rear end wall 120: cap
130: Nut 131: Nut body
133: second thread 135: engaging groove
135a:
140: Release prevention screw part 141: Wedge
141a: bolt
143: screw 143a: screw head
143b: fourth thread 145: elastic member
Claims (7)
내주면에 상기 제1나사산과 나사결합되는 제2나사산이 형성되며, 외주면으로부터 상기 제2나사산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결합홈이 구비되는 너트와;
상기 결합홈을 통해 삽입되어 상기 쐐기걸림홈에 삽입되는 쐐기가 형성된 풀림방지나사부;를 포함하되,
상기 쐐기걸림홈을 형성하는 내벽면 중 너트가 풀려지는 방향으로 형성된 선단벽은 상기 볼트의 중심과 수직으로 형성되어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며, 상기 선단벽에 대향되는 후단벽은 선단벽과 일정각도 경사지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A bolt having a first screw thread formed on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formed with a wedge engaging groove recessed at a predetermined depth along an axial direction;
A nut having a second screw thread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so as to be screwed with the first screw thread and having an engaging groove formed through the second screw thread from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And a wedge inserted through the coupling groove to be inserted into the wedge receiving groove,
The end wall formed in a direction in which the nut is loosened is formed perpendicular to the center of the bolt and is stepped stepwise downward from the top to the bottom, And is formed to b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with the leading end wall.
상기 결합홈의 상단에는 제3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third thread is formed on an upper end of the coupling groove.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볼트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각도 간격으로 복수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a plurality of the wedge latching grooves are provided at predetermined angular intervals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bolt.
상기 풀림방지나사부는,
상기 쐐기의 상부에 구비되어 외력을 상기 쐐기로 전달하며, 상기 제3나사산에 대응되는 제4나사산이 구비되어 상기 쐐기의 외부 이탈을 차단하는 나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release-
And a screw provided at an upper portion of the wedge to transmit an external force to the wedge and having a fourth thread corresponding to the third thread to block the external detachment of the wedge.
상기 나사와 상기 쐐기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작용하여 상기 쐐기가 상기 쐐기걸림홈에 결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n elastic member provided between the screw and the wedge so as to exert an elastic force in a direction in which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wedge retaining groove to maintain the wedge engaged with the wedge retaining groove. Loosening bolt assembly.
상기 쐐기의 평면형상은 사각형이며, 상기 쐐기걸림홈은 상기 쐐기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풀림방지 볼트조립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nar shape of the wedge is a quadrangular shape, and the wedge receiving grooves ar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wedg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348A KR101602806B1 (en) | 2014-05-26 | 2014-05-26 |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63348A KR101602806B1 (en) | 2014-05-26 | 2014-05-26 |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5990A KR20150135990A (en) | 2015-12-04 |
KR101602806B1 true KR101602806B1 (en) | 2016-03-11 |
Family
ID=5486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63348A Active KR101602806B1 (en) | 2014-05-26 | 2014-05-26 |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806B1 (en)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5961B1 (en) | 2016-02-24 | 2017-04-12 | 유한책임회사 도요엔지니어링 | Fishing reel equipped with looseproof handle |
KR101973762B1 (en) * | 2018-11-06 | 2019-04-30 | (주)신영엔지니어링 | Connection structure for electric leakage prevention of underground distribution line |
CN109774883B (en) * | 2019-03-06 | 2023-09-08 | 浙江同博科技发展有限公司 | Anti-disassembly and anti-loosening structure for ship-borne communication terminal base |
CN110098586B (en) * | 2019-05-17 | 2020-09-25 |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 Connection structure of XGU-shaped wire clamp hanging plate and ship body of power transmission line and use method |
CN112032178A (en) * | 2020-08-25 | 2020-12-04 | 马文武 | Anti-loose bolt and nut |
KR102444220B1 (en) * | 2021-11-02 | 2022-09-19 | 주식회사 지스 | Anti-loosening fastener for fuel cell stacks |
CN115008709B (en) * | 2022-06-06 | 2023-11-24 | 祁阳碧锦塑胶有限公司 | A heating structure for plastic product production equip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553565U (en) * | 1991-12-26 | 1993-07-20 | 東京シート株式会社 | Edge structure of bead in seat |
KR20040078783A (en) * | 2003-03-05 | 2004-09-13 | 최종걸 | Locking apparatus having an anti-unlockng structure |
KR101067016B1 (en) * | 2009-02-18 | 2011-09-22 | 동양기전 주식회사 | Hydraulic cylinder unit with improved anti-loosening structure of the piston nut |
-
2014
- 2014-05-26 KR KR1020140063348A patent/KR101602806B1/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35990A (en) | 2015-1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2806B1 (en) |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 |
KR101625007B1 (en) | Loosing prevention bolt assembly | |
US10344786B2 (en) | Quick fastener, method for connecting two components by means of the quick fastener and production method therefor | |
EP3527835A1 (en) | Bolt assembly having non-loosening nut | |
US9022712B2 (en) | Fastener for attaching objects to channeled members | |
US20140356093A1 (en) | Spreading connector | |
CA2514289A1 (en) | An adjusting unit for adjusting a spacing between two members | |
CN112664523B (en) |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retaining clip,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and assembly connection with the quick release fastening device | |
KR100897721B1 (en) | Panel anchor bolts and installation method | |
KR101172868B1 (en) | Lock nut and coupling unit having the same | |
KR101271580B1 (en) | Furniture Panel fastening device | |
KR20200008865A (en) | A device for connecting two profiles in orthogonal direction | |
KR20120035976A (en) | A set anchor for fixing a stone | |
JP5101247B2 (en) | Bonding structure of structural materials | |
EP3193674B1 (en) | Mounting assembly | |
KR101174387B1 (en) | T-bolt using trussassembly for construction | |
KR20230009701A (en) | Frame jointer for modular furniture | |
JP2008088998A (en) | Attaching structure for embedded part | |
US20200392980A1 (en) | Captive fastener with triple clip | |
JP2012127075A (en) | Expansion anchor having corotation preventing function | |
KR20190000657U (en) | Bolt with spring | |
JP2022507884A (en) | Locking device for knockdown furniture | |
JP7406804B2 (en) | nut parts | |
JP2020165496A (en) | Wire connector | |
JP7444831B2 (en) | Leaf spring nut and fastening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526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412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3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9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7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3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