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571B1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for using uv-c lamp and ultrasonic wave generator - Google Patents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for using uv-c lamp and ultrasonic wave generato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571B1 KR101602571B1 KR1020140121876A KR20140121876A KR101602571B1 KR 101602571 B1 KR101602571 B1 KR 101602571B1 KR 1020140121876 A KR1020140121876 A KR 1020140121876A KR 20140121876 A KR20140121876 A KR 20140121876A KR 101602571 B1 KR101602571 B1 KR 10160257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cyanobacteria
- delete delete
- lamp
- s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0
- 241000192700 Cyanobacteri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4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248 power gene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1678 irradi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195628 Chlorophyta Specie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41000195493 Crypt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12851 eutroph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41000271566 Ave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46 fu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643 water by typ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2542 Anabaen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464430 Cyano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701 Microcy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710 Microcystis aeruginos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2497 Oscillato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422 algal bloo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44 environmental pollu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2 environmental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08 fe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070 germicid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842 industrial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553 photosynthe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672 photosynthesi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614 poiso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719 pollutan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403 purification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7 speci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44 surface lay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440 tox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1 waste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11 water pol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30—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 Y02W10/37—Wastewater or sewage treatment systems using renewable energies using solar energ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강, 호수 등에서 수질을 측정하여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발생 초기에 남조류를 제거함으로써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수면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본체와, 상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부와, 상기 기관부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해당 수역에서 채취된 시료로 남조류의 개체수를 포함하는 수질을 측정하는 검사부와, 초음파 및 자외선을 이용하여 남조류를 제거하는 처리부와,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남조류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로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V-C lamp and a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using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can monitor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by measuring water quality in a river or a lake and remove green algae by the early stage of development, A generator unit for generating electricity required for the operation of the engine unit, and a sample collected from the water body to contain the number of cyanobacteri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anobacteria measured by the inspection unit;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anobacteri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by the inspection unit to the management center.
Description
본 발명은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강, 호수 등에서 수질을 측정하여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하고, 발생 초기에 남조류를 제거함으로써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for removing green algae using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more specifically,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by measuring water quality in a river or a lake,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V-C lamp and a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using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일반적으로 수질오염이란 물이 지니고 있는 자연정화능력을 초과하여 오염물질이 자연수역에 배출됨으로써 더 이상 이용목적에 적합하지 않게 된 상태를 말하며, 이는 크게 부영양화와 독성물질에 의한 두 종류의 오염으로 구분할 수 있다. 최근에 각종 환경오염 중에서 가장 빈번하고도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문제가 바로 부영양화에 의한 상수원의 수질저하일 것이다.In general, water pollution refers to a state in which pollutants are discharged into natural waters because they exceed the natural purification capacity of water and are no longer suitable for the purpose of use. This is classified into two types of pollution by eutrophication and toxic substances . In recent years, the most frequent and significant problem among various environmental pollution is the deterioration of the quality of the water supply by eutrophication.
부영양화는 수계 내로 생활하수나 산업폐수 및 가축의 배설물 내 영양염류의 유입이 증가되면서 일어나는 현상으로, 조류 종(algal species)이 감소하게 되고, 특정 조류의 대량증식으로 수 표면에 조류의 덩어리(scum)를 형성한다. 부영양화에서 대량 증식한 남조류의 광합성 작용에 의해 표층에 녹아 있는 산소의 양은 대게의 경우 과포화 상태이며, 투명도는 1.5 m 이하로 매우 낮아지게 된다.Eutrophication is a phenomenon that occurs when nutrients in wastewater, industrial wastewater, and livestock feces flow into the aquatic system, resulting in a decrease in algal species and massive growth of certain algae, ). In the eutrophication, the amount of oxygen dissolved in the surface layer by the photosynthesis action of the cyanobacteria which are massively proliferated is usually supersaturated, and the transparency is very low as 1.5 m or less.
이렇게, 조류(algae)의 덩어리, 즉 식물 플랑크톤이 대량 증식하게 되면 물의 색도(color)가 변화하게 되는데, 이를 담수(淡水, freshwater)에서는 수화(水華, algal bloom, water bloom) 또는 녹조(綠潮, green tide) 등 다양한 용어로 지칭하고 있다.In this way, when the mass of algae, that is, phytoplankton, is proliferated, the color of the water changes. In the case of freshwater, it is called algal bloom, water bloom, Tide, and green tide).
대부분 녹조의 원인종은 미크로시스티스(Microcystis), 아나베나(Anabaena), 그리고, 오실라토리아(Oscillatoria), 등으로 분류학상 원핵생물인 남조류(blue green algae)에 속하는데, 수면에 덩어리를 형성하고, 식수에서 이취미(taste and odor)를 유발하며, 정수장의 침전사를 막는 등 여러 가지 환경문제를 일으킨다.Most of the green algae belong to the blue green algae, a taxonomic prokaryote, such as Microcystis, Anabaena, and Oscillatoria, which form lumps on the surface , Causing this taste and odor in drinking water, and preventing the saline transfer of the water purification plant.
이러한, 부영양화에 의한 조류(algae)의 발생은 당해 연도의 수질을 오염시킬 뿐만 아니라,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사멸된 조류가 가라앉게 되고, 가라앉은 조류는 호수 바닥에서 부패되어, 총인(T-P)을 호수 내로 방출시키며, 수온의 상승과 함께 부상하여 항구적인 부영양화를 유발하게 된다.The occurrence of algae by eutrophication not only pollutes the water quality of the year but also kills the dead birds over time and sinking birds are decayed at the bottom of the lake, It emits into the lake and floats with rising water temperature, causing permanent eutrophication.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장치 및 방법이 개발되고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91053호(2010.08.18.)에는 ‘정체수역의 수질개선장치’가 게재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3-0012321호(2013.02.04.)에는 ‘미세기포를 이용한 수중의 협잡물, 조류 및 부유물질의 연속적 동시 제거 장치’가 게재되어 있다.Various devices and methods have been developed to prevent this.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10-0091053 (Aug. 18, 2010) discloses a device for improving water quality in stagnant water, and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13-0012321 (March 31, 2013) A device for simultaneous simultaneous removal of contaminants, algae and suspended solids in water using bubbles'.
그런데, 전자의 수질개선장치에는 장치의 이동을 위한 동력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므로, 장치를 오염수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직접 운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유속이 발생할 수 있는 수역에 설치할 경우 유속의 영향에 의해 사용자의 의도와 관계없이 흘러갈 우려가 있으므로 저수지, 호수 등과 같은 폐쇄성 수역에서만 사용이 가능하다.However, since the electronic water quality improvement apparatus is not provided with the power means for moving the apparatus, there is an inconvenience that the user must carry the apparatus directly to the contaminated water body. In addition, when installed in a water area where a flow rate is likely to occur, it may be used irrespective of the user's intention due to the influence of the flow rate, so that it can be used only in a closed water body such as a reservoir or a lake.
반면, 후자의 제거 장치는 전자와 달리 이동이 가능하고 유속에 의해 흘러갈 우려가 없다. 그러나 해당 수역의 수질을 측정하기 위한 측정 장비가 별도로 필요할 뿐만 아니라, 제거 장치를 예인하는 선박의 운항을 위해 다량의 연료가 소비되는 단점이 있다.On the other hand, the latter eliminator is capable of movement unlike electrons, and there is no fear of flowing by the flow velocity. However,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a large amount of fuel is consumed for the operation of the ship towing the removal device as well as the measurement equipment for measuring the water quality of the water area separately.
따라서 종래의 시간적, 경제적, 환경적인 문제점을 보완하여 단계적이고 복합적인 기술을 이용한 수질 정화 장치가 요구되고 있다.
Accordingly, there is a demand for a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a stepwise and complex technique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time, economy, and environment.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강, 호수 등에서 여러 수역의 수질을 측정하여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으며, 발생 초기에 남조류를 제거함으로써 녹조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Disclosure of Invention Technical Problem [8]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monitoring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by measuring water quality in various waters in rivers, lakes, 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또한, 본 발명은 무인 자가 이동이 가능하여 인건비 등의 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자가 발전을 통해 연료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V-C lamp and a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using an ultrasonic generator that can reduce costs such as labor costs by allowing unmanned self-moving, and can minimize fuel consumption through self generation do.
또한, 본 발명은 통수관을 이용하여 통수관에 유입된 남조류만을 처리하며, 남조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UV-C lamp and an algae removing apparatus using an ultrasonic generator, which can treat only the cyanobacteria flowing into the water pipe using the water pipe and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cyanobacteria.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는, 수면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본체와, 상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부와, 상기 기관부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와, 해당 수역에서 채취된 시료로 남조류의 개체수를 포함하는 수질을 측정하는 검사부와, 초음파 및 자외선을 이용하여 남조류를 제거하는 처리부와,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남조류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와,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using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The apparatus includes a main body having buoyancy for floating on the surface of water, an engine for generating power to move the main body, An inspection unit for measuring water quality including the number of cyanobacteria by a sample collected from the water body, a processing unit for removing cyanobacteria by using ultrasound and ultraviolet rays,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treatment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the cyanobacteria,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by the inspection unit to the management center so as to monitor occurrence of cyanobacteria.
상기 처리부는, 상기 본체에 설치된 통수관과, 상기 통수관의 내부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기 및 자외선램프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상기 통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서로 교번하게 배치된다. 특히, 상기 초음파 발생기와 상기 자외선램프는 대향하는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상기 통수관의 양측 내벽에 함께 설치된다.The processing section is constituted by a water pipe provided in the main body,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provided in the water pipe, and an ultraviolet lamp. At this time, the ultrasonic generator and the ultraviolet lamp are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water pipe, but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ticular, the ultrasound generator and the ultraviolet lamp are installed together on the inner walls of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ipe so as to generate ultrasound waves in opposite directions and irradiate ultraviolet rays.
상기 발전부는,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축전지로 구성된다.The power generation unit includes a solar cell plate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the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and a storage battery for charging the electric energy converted from the solar cell plate.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본체의 위치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GPS와, 상기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거나 관리센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장비로 구성된다.
The communication unit includes a GP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a position signal of the main bod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data to a management center or receiving a signal of a management center.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남조류의 개체수를 포함하는 수질을 측정하는 검사부를 통해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발생 초기에 남조류를 제거하여 녹조현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occurrence of cyanobacteria can be monitored through an inspection unit that measures water quality including the number of cyanobacteria, and the damage caused by the algae phenomenon can be minimized by removing cyanobacteria at the beginning.
또한, 본 발명은 위치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GPS를 이용하여 녹조제거장치를 좌표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고, 발전부에서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이용하여 녹조제거장치를 운용하므로 연료 소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can move the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coordinates using the GPS which transmits and receives the position signal, and operates the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by using the electric energy produced by the power generating section, have.
또한, 본 발명은 통수관을 이용하여 통수관에 유입된 남조류만을 처리하며, 남조류의 제거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treat only the cyanobacteria flowing into the water pipe using the water pipe, and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the cyanobacteria.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의 정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의 배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중 일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 중 처리부의 사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a greenhouse removal apparatus using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FIG. 3 is an enlarged view of a part of a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using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wave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perspective view of a treatment unit of a green-tide removing apparatus using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그리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부가하였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ring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이하, ‘녹조제거장치’라고도 함)는, 본체(100)와,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부(200)와,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300)와, 수질을 측정하는 검사부(400)와, 수질을 정화하는 처리부(500)와, 관리센터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부(600)와, 본체(100)를 포함하는 각 구성(200~600)을 제어하는 제어부(700)로 구성된다.1 and 2, a UV-C lamp and a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using an ultrasound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inafter also referred to as a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A
본체(100)는 수면에 뜰 수 있도록 부력을 가진 선박이다. 본체(100, 이하 ‘선박’이라고 도 함)의 하부에는 선박(100)의 이동시 물을 흡입하여 남조류를 제거하는 처리부(500)가 설치된다. 선박(100)의 내부에는 처리부(500)에서 제거된 남조류를 압송하는 파이프라인(110) 및 펌프(120)가 설치되고, 선박(100)의 측면에는 파이프라인(110)을 통해 이송된 남조류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130)이 설치된다.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100)의 측면에 브라켓(140)이 설치되고, 브라켓(140)에 여과망(130)이 설치된다. 브라켓(140)은 여과망(130) 외에 발전부(300)의 태양전지판(310)이 설치될 수 있도록 3단의 구조를 갖는다. 본 실시예의 브라켓(140)은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접거나 펼 수 있도록 접첩 가능한 구조로 제작된다.3, a
기관부(200)는 선박(100)의 이동에 필요한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요소이다. 기관부(200)는 발전부(300)에서 생산된 전기를 동력원으로 사용한다. 일례로, 관리센터에서 이동 신호가 전달되면 제어부(700)는 전기에너지를 기관부(200)에 공급하여 기관부(200)를 가동시킨다. 이때, 선박(100)은 관리센터에서 전달된 좌표, 즉 수역의 지형 등을 고려한 좌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제어가 가능해지므로 선박(100)을 24시간 운행시킬 수 있으며, 원격 제어를 통한 수질 검사 및 정화 작업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The
발전부(300)는 기관부(200)를 포함한 녹조제거장치 전반에서 사용되는 전기를 생산하는 수단이다. 발전부(300)는,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310)과, 태양전지판(3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축전지(미도시)로 구성된다. 태양전지판(310)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는 사용처로 직접 공급되거나 축전지(미도시)에 충전되는데, 태양전지판(310)에서 직접 공급된 전기에너지만으로 부족할 경우에는 축전지(미도시)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도 함께 사용될 수 있도록 제어부(700)가 제어한다.The
검사부(400)는 관리센터의 신호에 따라 해당 수역의 수질을 검사하는 구성요소이다. 검사부(400)는 후술할 통수관(510)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각각 설치된다. 검사부(400)로 사용되는 수질측정수단은 수온, 용존산소(Dissolved Oxygen; DO), 조류농도(Chl-a), 남조류의 개체수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다항목수질측정수단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상술한 검사부(400)에서 측정된 데이터는 통신부(600)를 통해 관리센터로 전달된다. 관리센터에서는 수신한 데이터를 참조하여 남조류의 발생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며, 남조류의 개체수(발생량)가 기준 값을 초과할 경우 녹조제거장치로 신호를 보내 처리부(500)가 작동되도록 한다. 따라서 남조류를 발생 초기에 제거하여 녹조현상에 의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고, 남조류가 확산되기 전에 처리할 수 있으므로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The data measured by the
남조류를 제거하는 처리부(500)는, 선박(100)의 하부에 설치된 통수관(510)과, 통수관(510)의 내부에 설치된 초음파 발생기(520) 및 자외선램프(530)로 구성된다.The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수관(510)은 선박(10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파이프이다. 통수관(510)의 흡입 측 일단은 완전히 개방되고, 배출 측 타단은 부분적으로 개방된다. 즉, 통수관(510)의 타단은 폐쇄되되 폐쇄된 타단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540)이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As shown in FIG. 4, the
통수관(510)은 선박(100)의 이동 시 다량의 물을 흡입하여 처리할 수 있도록 직사각형 단면의 파이프로 제작된다. 또한, 선박(100)의 무게 중심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상하보다 좌우가 길게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파이프로 제작된다.The
한편, 통수관(510)은 타단이 부분적으로 개방된 구조이므로 흡입량에 비해 배출량이 적다. 따라서 통수관(510)으로 흡입된 물은 저속으로 이동하며 통수관(510) 내에 장시간 머물게 된다. 즉, 초음파 발생기(520)와 자외선램프(530)에 의한 처리시간이 늘어나므로 남조류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since the
초음파 발생기(520)는 초음파를 발산하여 남조류의 세포를 파괴하고, 자외선램프(530)는 자외선을 조사하여 살균한다. 이때, 자외선램프(53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살균효과가 우수한 100~280㎚의 단파장 자외선, 즉 UV-C이다.
다른 한편, 초음파 발생기(520)와 자외선램프(530)는 통수관(510)을 따라 이동하는 남조류를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도록 통수관(510)의 양측 내벽에 설치된다. 또한, 통수관(510)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설치되되 서로 교번하게 배치된다. 이처럼, 초음파 발생기(520)와 자외선램프(530)를 교번하게 배치한 이유는, 초음파 발생기(520)에서 발산된 초음파의 유효면적이 중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On the other hand, the
상술한 초음파와 자외선의 세기는 검사부(400)에서 측정된 남조류의 개체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The intensities of the ultrasound and ultraviolet rays may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anobacteria measured by the
통신부(600)는, 선박(100)의 위치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GPS(610)와,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거나 관리센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장비(미도시)로 구성된다. GPS(610)는 선박(100)의 원격 제어를 위해 사용된다.The communication unit 600 includes a
제어부(700)는 관리센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따라 녹조제거장치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선박(100)을 이동시켜야 할 경우 기관부(200)를 작동시키고, 수질 검사 및 정화작업을 진행해야할 경우 검사부(400)와 처리부(500)를 작동시킨다. 또한, 전기에너지를 필요에 따라 기관부(200), 검사부(400), 처리부(500), 통신부(600), 제어부(700)에 선택적으로 분배할 뿐만 아니라 선박(100)과 검사부(400)의 원격 제어가 가능하도록 한다.The control unit 700 controls the algal remover according to the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For example, when the
본 실시예에 따른 녹조제거장치는 통수관(510)을 통해 유입되는 남조류만을 제거하므로 남조류 외에 다른 생물에 피해를 주지 않는다.The greenhouse remo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removes only the cyanobacteria flowing through the
또한, 초음파 발생기(520)와 자외선램프(530)가 필요시에만 작동되므로 남조류가 발생되지 않은 상황에서는 호소나 저수지 등에 점등 용도로 활용할 수 있어 야간에 심미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또한, 초음파와 자외선의 복합적 기술 적용으로 남조류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상황에 따라 살균이나 플랑크톤 세포 파괴의 단일 기술에도 적용할 수 있고, 방재 장소나 피해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removal efficiency of cyanobacteria by applying a combination of ultrasound and ultraviolet rays, and it can be applied to a single technology of sterilization or planktonic cell destruction depending on the situation, Of course.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설명하였는데,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가 가능함은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특정 실시예가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적 사상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s, but, on the contrary, is intended to cover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arrangements included within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erefore,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not only in the specific embodiments but also in the scope of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the same shall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0: 본체 110: 파이프라인
120: 펌프 130: 여과망
140: 브라켓 200: 기관부
300: 발전부 310: 태양전지판
400: 검사부 500: 처리부
510: 통수관 520: 초음파 발생기
530: 자외선램프 540: 배출공
600: 통신부 610: GPS
700: 제어부100: main body 110: pipeline
120: pump 130:
140: Bracket 200:
300: power generation unit 310: solar panel
400: Inspection unit 500:
510: Water pipe 520: Ultrasonic generator
530: ultraviolet lamp 540: vent hole
600: communication unit 610: GPS
700:
Claims (10)
상기 본체가 이동할 수 있도록 동력을 발생시키는 기관부;
태양광선의 빛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하는 태양전지판과,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가 충전되는 축전지로 구성되고, 상기 기관부의 작동에 필요한 전기를 생산하는 발전부;
해당 수역에서 채취된 시료로 남조류의 개체수를 포함하는 수질을 측정하는 검사부;
흡입 측 일단이 개방되고 배출 측 타단이 폐쇄되되 적어도 하나 이상의 배출공이 타단에 형성된 직사각형 단면의 파이프 형상을 가지며 상기 본체의 하부에 설치된 통수관과, 상기 통수관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통수관의 길이방향으로 이격되되 서로 교번하게 배치된 초음파 발생기 및 자외선램프로 구성되고, 상기 초음파 발생기 및 상기 자외선램프가 상기 통수관의 양측 내벽에 함께 설치되어 대향하는 방향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킴과 동시에 100~280㎚의 단파장 자외선을 조사하여 남조류를 제거하는 처리부;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남조류의 개체수에 따라 상기 처리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본체의 위치신호를 송신 및 수신하는 GPS와,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거나 관리센터의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통신장비로 구성되고, 남조류의 발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상기 검사부에서 측정된 수질데이터를 관리센터에 전송하는 통신부; 및
상기 처리부에서 제거된 남조류의 이송을 위한 파이프라인, 상기 파이프라인에서 이송된 남조류를 걸러내기 위한 여과망, 상기 남조류를 압송하기 위한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태양전지판에서 변환된 전기에너지 또는/및 상기 축전지에 충전된 전기에너지를 필요에 따라 상기 기관부, 상기 검사부, 상기 처리부, 상기 제어부,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에 분배함과 동시에 상기 관리센터에서 수신된 신호에 따라 상기 기관부, 상기 발전부, 상기 검사부, 상기 처리부, 상기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며,
상기 본체의 측면에는 상기 태양전지판과 상기 여과망의 설치를 위한 3단 구조의 브라켓이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UV-C램프와 초음파발생장치를 이용한 녹조제거장치.A body in the form of a ship having buoyancy to float on the surface;
An engine unit for generating power to move the main body;
A power generating unit which is composed of a solar panel for converting light energy of the sunlight into electric energy, and a battery for charging electric energy converted from the solar panel, and generating electricity necessary for operation of the engine unit;
A test section for measuring the quality of water including the number of cyanobacteria from the sample collected in the corresponding area;
A water supply pipe provided at a lower portion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pipe shape of a rectangular cross section in which one end on the suction side is opened and the other end on the discharge side is closed and at least one discharge hole is formed at the other end, And the ultraviolet lamp and the ultraviolet lamp are installed together on the inner wall of both sides of the water supply pipe to generate ultrasonic waves in a direction opposite to each other, A treatment unit for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of a short wavelength to remove cyanobacteria;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processing unit according to the number of cyanobacteria measured by the inspection unit;
A GP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the position signal of the main body; and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for transmitting the water quality data to the management center or receiving the signal of the management center, wherein the water quality data measured by the inspection unit To a management center; And
A pipeline for transferring the cyanobacteria removed from the processing section, a filtering network for filtering the cyanobacteria transferred from the pipeline, and a pump for feeding the cyanobacteria,
Wherein the control unit distributes the electric energy converted from the solar panel or / and the electric energy charged in the battery to at least one of the engine unit, the inspection unit, the processing unit, the control unit, and the communication unit, The control section controls at least one of the engine section, the power generation section, the inspection section, the processing section, and the communication section according to a signal received from the management center,
And a UV-C lamp and an ultrasonic generator, wherein the UV-C lamp and the ultrasonic generator are provided on a side surface of the main body, the brackets having a three-stage structure for installing the solar panel and the filter net.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1876A KR101602571B1 (en) | 2014-09-15 | 2014-09-15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for using uv-c lamp and ultrasonic wave generato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21876A KR101602571B1 (en) | 2014-09-15 | 2014-09-15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for using uv-c lamp and ultrasonic wave generato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1766A KR20160031766A (en) | 2016-03-23 |
KR101602571B1 true KR101602571B1 (en) | 2016-04-26 |
Family
ID=556451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21876A Active KR101602571B1 (en) | 2014-09-15 | 2014-09-15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for using uv-c lamp and ultrasonic wave generato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571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192B1 (en) * | 2018-05-03 | 2019-09-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lgae eliminator to control fluid flow |
KR20200075696A (en) | 2018-12-18 | 2020-06-26 | 차태영 | Removal apparatus for green algae |
KR20240137918A (en) | 2023-03-09 | 2024-09-20 | 오종환 | Green tide removal system |
KR20240137917A (en) | 2023-03-09 | 2024-09-20 | 오종환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of circulation type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81213B1 (en) * | 2016-09-09 | 2018-08-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Wireless Surface Floating Bodies for Removing Alga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1881214B1 (en) * | 2016-09-09 | 2018-08-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Floating Bodies for Removing Algae |
KR101890994B1 (en) * | 2016-10-12 | 2018-08-23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Wireless Surface Floating Bodies for Removing Alga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
KR101861974B1 (en) * | 2017-12-26 | 2018-05-28 | 우상봉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using uv rays and high voltage pulse discharge |
CN110316373A (en) * | 2018-03-28 | 2019-10-11 | 中国科学技术大学 | One kind removing algae unmanned plane |
CN108820935A (en) * | 2018-07-03 | 2018-11-16 | 张家港市康源机械有限公司 | Two-way cleaning boat |
CN109809606A (en) * | 2019-03-15 | 2019-05-28 | 湖州思达机械制造有限公司 | A kind of purification of water quality processing equipment |
WO2021021969A1 (en) * | 2019-07-30 | 2021-02-04 | Dean Jason A | Cyanobacterium mitigation device and method of using the same |
KR102120166B1 (en) | 2019-08-23 | 2020-06-08 | 씨엠스코 주식회사 | Apparatus for removing green algae |
KR102293872B1 (en) | 2020-11-12 | 2021-08-24 | 씨엠스코 주식회사 | Recovery Apparatus of Green Algae |
KR102272151B1 (en) | 2020-11-12 | 2021-07-02 | 씨엠스코 주식회사 | Inductive Purification Apparatus of Green Algae |
KR102319878B1 (en) | 2020-11-12 | 2021-11-01 | 씨엠스코 주식회사 | Multifunctional treatment Apparatus for Green Algae |
AU2022223548A1 (en) * | 2021-02-16 | 2023-08-24 | Eget Liber, Inc. | Apparatus for the detection, assessment and mitigation of cyanobacteria |
KR102289069B1 (en) * | 2021-04-27 | 2021-08-12 | 농업회사법인 상상텃밭 주식회사 | Apparatus and method for inferring algae concentration in hydroponic nutrient solution through dissolved oxygen concentration and dissolved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analysis |
KR102418093B1 (en) | 2021-06-02 | 2022-07-07 | 씨엠스코 주식회사 | Recovery Apparatus of Green Algae and Floating |
CN113800698A (en) * | 2021-10-14 | 2021-12-17 | 长江水利委员会长江科学院 | Emergency treatment equipment and method for reservoir tributary bay water bloom |
KR102573240B1 (en) | 2022-12-29 | 2023-09-01 | 씨엠스코 주식회사 | Suction Device of Green Algae and Recovery Apparatus of Green Algae using the same |
KR102585623B1 (en) | 2023-03-03 | 2023-10-06 | 씨엠스코 주식회사 | Recovery Apparatus of Multi Green Algae |
KR102738890B1 (en) | 2024-02-02 | 2024-12-06 | 안동권 | Dewatering System of Green Algae Concentrated Water |
KR102716994B1 (en) | 2024-02-02 | 2024-10-11 | 안동권 | Dust Collecting Filter of Green Algae |
CN118065328B (en) * | 2024-04-17 | 2024-07-26 | 耐奇尔(厦门)技术有限公司 | Device is beaten in portable blue algae examination on water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5586B1 (en) * | 2012-09-19 | 2014-03-27 | 정일교 | Horizontality rotation type ultrasonic wave green tide removal floating system for using solar light |
-
2014
- 2014-09-15 KR KR1020140121876A patent/KR101602571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375586B1 (en) * | 2012-09-19 | 2014-03-27 | 정일교 | Horizontality rotation type ultrasonic wave green tide removal floating system for using solar light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22192B1 (en) * | 2018-05-03 | 2019-09-17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Algae eliminator to control fluid flow |
KR20200075696A (en) | 2018-12-18 | 2020-06-26 | 차태영 | Removal apparatus for green algae |
KR20240137918A (en) | 2023-03-09 | 2024-09-20 | 오종환 | Green tide removal system |
KR20240137917A (en) | 2023-03-09 | 2024-09-20 | 오종환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of circulation typ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31766A (en) | 2016-03-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02571B1 (en) | Green tide removal apparatus for using uv-c lamp and ultrasonic wave generator | |
JP2007319002A (en) | Algae-treating ship and algae-treating system | |
CN104828962B (en) | Self start type ultrasound aeration water body purifier | |
JP2010207792A (en) | Floating island cleaning apparatus | |
CN203530947U (en) | Movable river surface cleaning device | |
KR101775960B1 (en) | Green algae eliminate apparatus using supersonic waves | |
KR20090051685A (en) | Aquaculture system using ultra-mini century cannon | |
KR101702345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ing Algae | |
KR101064738B1 (en) | Microbial culture screen for water quality and air purification using oil-soluble microorganisms, purification method using same and water purification device for cage farm | |
CN107902808A (en) | A kind of processing method and equipment for aquiculture sewerage discharge | |
KR101487522B1 (en) | The surface layer algicidal device using ultraviolet | |
KR101753783B1 (en) | Boat for Removeing Algae and Pollutants With Recharging Station | |
CN108203166A (en) | A kind of suspending type water correction device | |
KR20150050043A (en) | Removal methods of total phosphorus and alge for prevention of green algae | |
JP5753997B1 (en) | Water purification device using photocatalyst | |
CN205710096U (en) | One views and admires lake water ecological management system | |
CN1587084A (en) | Method and system for inhibiting blue-green algae gowth in water using ultraviolet radiation | |
CN102092889B (en) | Method for lake purification and water ecological environmental renovation | |
CN109629537A (en) | A kind of floating is united and algae-removing method except phytem | |
CN111533378B (en) | Combined purification method suitable for pathogen control of discharge port | |
CN211311033U (en) | Ecological cycle type aquatic plant and microorganism symbiotic device for purifying water quality | |
CN206666206U (en) | A kind of self-driving type ultrasound flocculation water purifying device | |
CN102329056A (en) | Marine sewage treatment integrated device on basis of biological moving beds | |
KR20150144418A (en) | Water purification apparatus using the water pump | |
CN105381641B (en) | Intelligent water bloom removing system and method suitable for bend water bod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409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21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21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22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216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03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228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5030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