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2434B1 - 충전시 발생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및 오진단 방지 방법 - Google Patents
충전시 발생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및 오진단 방지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2434B1 KR101602434B1 KR1020120126939A KR20120126939A KR101602434B1 KR 101602434 B1 KR101602434 B1 KR 101602434B1 KR 1020120126939 A KR1020120126939 A KR 1020120126939A KR 20120126939 A KR20120126939 A KR 20120126939A KR 101602434 B1 KR101602434 B1 KR 10160243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ell
- voltage
- switch
- measured
- curren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3745 diagnosi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8000007599 discharg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2405 diagnostic procedure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3
- 230000005669 fiel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72 regene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3/00—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 G01R13/02—Arrangements for displaying electric variables or waveforms for displaying measured electric variables in digital form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9/00—Arrangements for measuring currents or voltages or for indicating presence or sign thereof
- G01R19/10—Measuring sum, difference or ratio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01R31/382—Arrangements for monitoring battery or accumulator variables, e.g. SoC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1은 종래 기술에서 셀 밸런싱 스위치를 진단하는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의 개략적 회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상 상태와 충전 상태의 전압 레벨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락 고장난 상태의 전압 레벨의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선 고장난 상태의 전압 레벨의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방법의 개략적 순서도이다.
31 : 전류 센싱 회로 32 : 전압 센싱 회로
33 : 타이머 회로 40 : 제어부
Claims (17)
- 배터리가 충전 중인 각 셀에 대응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을 방지하는 장치에 있어서,
배터리의 밸런싱을 수행하도록 각 셀의 양 단자에 연결된 센싱 라인에 병렬 연결되고, 상기 셀의 전압을 방전시키는 방전 저항과 상기 셀과 방전 저항을 연결 또는 해제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를 포함하는 밸런싱 회로;
상기 셀의 전류가 임계 전류를 초과할 경우 시간을 측정하는 타이머 회로; 및
진단 대상의 셀 밸런싱 스위치에 대응하는 셀의 전류와 임계 전류를 비교하고, 상기 셀의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를 초과하는 동안에 상기 타이머 회로에 의해 측정된 측정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셀이 충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고, 충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를 온 또는 오프 제어하고,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프 상태 및 온 상태에서 각각 측정된 셀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라인을 통해 감지된 셀의 전류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류 센싱 회로; 및
상기 센싱 라인을 통해 감지된 셀의 전압을 측정하여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전압 센싱 회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의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를 초과하는 동안에 측정된 측정 시간이 임계 시간 미만이면, 상기 셀의 전류를 재측정하여 상기 임계 전류와 비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삭제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이 충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진단 처리를 종료한 이후로, 기 설정된 시간 이후로 진단 처리를 시작하거나, 다음번 진단 주기에 진단 처리를 시작하거나 또는 사용자의 요청으로 진단 처리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의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 이하이면 충전 중이 아닌 것으로 판단한 후,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셀의 전압으로부터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측정된 상기 셀의 전압을 차감한 차이값이 제 1임계 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를 정상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차이값이 제 2임계 전압 이하일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를 고장으로 진단한 상태에서,
고장난 상기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측정된 셀의 전압이 인접하는 셀의 셀 밸런싱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측정된 전압보다 낮으면 고장난 상기 스위치를 단락 고장(short-fault)으로 진단하고,
고장난 상기 스위치가 온 상태에서 측정된 셀의 전압이 인접하는 셀의 오프 상태에서 측정된 전압과 동일하면 고장난 상기 스위치를 단선 고장(open-fault)으로 진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임계 전압은 상기 제 1임계 전압보다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 배터리가 충전 중인 각 셀에 대응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을 방지하는 오진단 방지 장치가 하기의 단계들을 실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a)진단 대상의 셀 밸런싱 스위치에 대응하는 셀의 전류를 측정하는 전류 측정 단계;
(b)측정된 셀의 전류를 임계 전류를 비교하는 전류 비교 단계;
(c)상기 셀의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를 초과하는 상태가 최초 판단되면, 타이머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셀의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를 초과하는 동안을 측정 시간으로서 측정하고, 상기 측정 시간과 임계 시간을 비교하고, 상기 측정 시간이 상기 임계 시간 이하이면, 상기 측정 시간의 측정을 유지하면서 상기 단계(a)부터 재시작하고, 상기 측정 시간이 임계 시간을 초과할 경우, 상기 셀이 충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측정 시간을 초기화하고 셀 밸런싱 스위치의 진단 처리를 종료하는 충전 판단 단계; 및
(d)상기 셀의 전류가 상기 임계 전류보다 이하로서 충전 중이 아니면,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온 상태 및 오프 상태에서 상기 셀의 전압을 각각 측정하고, 측정된 상기 셀의 전압의 차이를 비교하여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고장 여부를 진단하는 스위치 진단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방법. - 삭제
- 삭제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c)는, 상기 셀이 충전 중인 것으로 판단하면 진단 처리를 종료한 이후로,
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진단 처리를 시작하는 단계;
다음번 진단 주기에 진단 처리를 시작하는 단계; 및
사용자의 요청으로 진단 처리를 시작하는 단계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단계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방법. -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프 상태에서 상기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온 상태에서 상기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오프 상태에서 측정된 전압으로부터 상기 온 상태에서 측정된 전압을 차감한 차이값을 제 1임계 전압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차이값이 제 1임계 전압을 초과할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를 정상으로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방법. - 제 11항 또는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d)는,
상기 오프 상태에서 측정된 전압으로부터 상기 온 상태에서 측정된 전압을 차감한 차이값을 제 2임계 전압과 비교하고, 상기 차이값이 제 2임계 전압 이하일 경우 상기 셀 밸런싱 스위치를 고장으로 진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방법. - 제 16항에 있어서,
고장난 상기 스위치의 셀에 인접하는 셀의 셀 밸런싱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인접 셀의 전압을 측정하는 단계;
측정된 상기 인접 셀의 전압보다 고장난 상기 스위치가 오프인 상태에서 측정된 셀의 전압이 임계치를 초과하여 낮으면, 고장난 상기 스위치를 단락 고장(short-fault)으로 진단하는 단계; 및
측정된 상기 인접 셀의 전압과 고장난 상기 스위치가 온인 상태에서 측정된 셀의 전압이 동일하다고 판단되면, 고장난 상기 스위치를 단선 고장(open-fault)인 것으로 진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939A KR101602434B1 (ko) | 2012-11-09 | 2012-11-09 | 충전시 발생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및 오진단 방지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126939A KR101602434B1 (ko) | 2012-11-09 | 2012-11-09 | 충전시 발생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및 오진단 방지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0170A KR20140060170A (ko) | 2014-05-19 |
KR101602434B1 true KR101602434B1 (ko) | 2016-03-21 |
Family
ID=50889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126939A Active KR101602434B1 (ko) | 2012-11-09 | 2012-11-09 | 충전시 발생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및 오진단 방지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2434B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53975B2 (en) | 2016-12-12 | 2020-08-25 | Lg Chem, Ltd. | Apparatus for diagnosing relay failure of battery using parallel circuit for constant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
US11946974B2 (en) | 2019-12-20 | 2024-04-02 | Lg Energy Solution, Ltd. | Parallel battery rela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
WO2025075285A1 (ko) * | 2023-10-05 | 2025-04-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진단 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230205B2 (en) * | 2018-01-30 | 2022-01-25 | Panasonic 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Co., Ltd. | Vehicular power supply system, and management device |
CN110286327A (zh) * | 2019-07-26 | 2019-09-27 | 北京东道科技发展有限公司 | 一种串联电池组内电池参数的集中监测装置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8928A (ja) | 2000-12-01 | 2002-06-14 | Nissan Motor Co Ltd | 組電池の診断装置 |
JP2002354700A (ja) * | 2001-05-30 | 2002-12-06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制御装置 |
JP2004266992A (ja) * | 2003-02-10 | 2004-09-24 | Denso Corp | 組電池の放電装置 |
-
2012
- 2012-11-09 KR KR1020120126939A patent/KR101602434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168928A (ja) | 2000-12-01 | 2002-06-14 | Nissan Motor Co Ltd | 組電池の診断装置 |
JP2002354700A (ja) * | 2001-05-30 | 2002-12-06 | Toyota Motor Corp | 二次電池制御装置 |
JP2004266992A (ja) * | 2003-02-10 | 2004-09-24 | Denso Corp | 組電池の放電装置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753975B2 (en) | 2016-12-12 | 2020-08-25 | Lg Chem, Ltd. | Apparatus for diagnosing relay failure of battery using parallel circuit for constant power supply and method thereof |
US11946974B2 (en) | 2019-12-20 | 2024-04-02 | Lg Energy Solution, Ltd. | Parallel battery relay diagnostic device and method |
WO2025075285A1 (ko) * | 2023-10-05 | 2025-04-10 |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 배터리 셀 전압 측정 진단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60170A (ko) | 2014-05-1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690724B2 (en) | Power supply protective device, power supply device and switch failure diagnosing method | |
KR101589198B1 (ko) | 셀 밸런싱 회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1256952B1 (ko) |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2215350B1 (ko) | 전원 시스템 | |
CN106885955B (zh) | 状态判定装置以及状态判定方法 | |
CN103444046B (zh) | 电压监视模块和使用其的电压监视系统 | |
JP5616254B2 (ja) | 組電池の状態検出方法および制御装置 | |
JP5382138B2 (ja) | 組電池の異常検出装置 | |
JP7334734B2 (ja) | 故障診断方法、蓄電素子の管理装置及びシステム | |
KR20110096202A (ko) | 셀 밸런싱부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CN103296715A (zh) | 开关故障诊断装置、电池组以及开关故障诊断程序、开关故障诊断方法 | |
EP3922503B1 (en) | Load access detection method, switch circuit and battery management system | |
KR101602434B1 (ko) | 충전시 발생하는 셀 밸런싱 스위치의 오진단 방지 장치 및 오진단 방지 방법 | |
CN103718449A (zh) | 电力转换装置 | |
KR101562016B1 (ko) | 셀 밸런싱 스위치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100968348B1 (ko) | 부동 캐패시터를 이용한 셀 밸런싱 회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CN108377655B (zh) | 车载用电源装置 | |
US11322963B2 (en) | Control method for power supply | |
KR101858321B1 (ko) | 셀 밸런싱 회로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KR20210041981A (ko) | 배터리 팩의 진단 방법, 배터리 관리 시스템 및 배터리 장치 | |
KR101065562B1 (ko) | 셀 밸런싱 스위치의 고장 진단 장치 및 방법 | |
JP2007020336A (ja) | 電池異常検出回路の故障検出装置 | |
KR102839450B1 (ko) | 배터리 장치 및 드리프트 오류 진단 방법 | |
WO2024116752A1 (ja) | 車載用電源装置 | |
JP2017118702A (ja) | 状態判定装置および状態判定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1109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7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110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2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11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116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116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30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220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226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1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