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2247B1 -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 Google Patents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247B1
KR101602247B1 KR1020150108187A KR20150108187A KR101602247B1 KR 101602247 B1 KR101602247 B1 KR 101602247B1 KR 1020150108187 A KR1020150108187 A KR 1020150108187A KR 20150108187 A KR20150108187 A KR 20150108187A KR 101602247 B1 KR101602247 B1 KR 1016022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frame
bolt hole
leg
guide groov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시년
양선진
Original Assignee
(주)우진쿼터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우진쿼터스 filed Critical (주)우진쿼터스
Priority to KR1020150108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24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2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247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의 내부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의 주위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의 가이홈과 가이드돌출부가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보강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승, 하강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연결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모니터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판이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고정부의 상판에 결합되어 작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보조볼트홀과, 상기 보조볼트홀의 주위로 내부가이드홈과 내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케이스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자리홈으로 구성된 다리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다리에 형성된 보강부재 및 내부보강부재에 의해 케이스와 다리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리의 승강시 케이스와 다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과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다리가 보강부재 및 내부보강부재에 의해 케이스에 견고히 지지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게 되어 흔들림없이 다리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고, 고정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에 각각 개별적으로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The lifting device of multi-monitor}
본 발명은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다수개의 모니터가 설치된 고정장치를 용이하게 승, 하강시키면서 고정장치의 승, 하강시 소음 및 진동을 최소화하여 고정장치의 파손 등을 예방할 수 있는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모니터의 승강장치는 대한민국특허공개번호 제10-1999-0073869호와 같이 모니터의 하측으로 실린더를 구축하여 실린더의 작동에 의해 모니터를 승, 하강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실린더를 이용하여 모니터를 승, 하강시키더라도 모니터의 승, 하강시 모니터의 흔들림 등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는 바닥에 지지되는 바닥판과,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의 내부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의 주위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의 가이홈과 가이드돌출부가 구성된 케이스와, 상기 바닥판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보강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승, 하강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판과, 상기 상판에 연결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모니터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판이 구성된 고정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고정부의 상판에 결합되어 작동수단에 의해 승강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보조볼트홀과, 상기 보조볼트홀의 주위로 내부가이드홈과 내부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의 외부로 케이스에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대응되는 자리홈으로 구성된 다리로 이루어져, 케이스와 다리에 형성된 보강부재 및 내부보강부재에 의해 케이스와 다리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리의 승강시 케이스와 다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과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다리가 보강부재 및 내부보강부재에 의해 케이스에 견고히 지지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게 되어 흔들림없이 다리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음은 물론,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출부와 다리에 형성된 자리홈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리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의 내부로 내부가이드홈 내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다리의 내부에 다른 다리를 추가로 형성하여 다리를 다단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케이스와 다리에 형성된 보강부재 및 내부보강부재에 의해 케이스와 다리가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리의 승강시 케이스와 다리의 접촉에 의한 소음과 파손을 예방할 수 있으며, 다리가 보강부재 및 내부보강부재에 의해 케이스에 견고히 지지된 상태로 승강할 수 있게 되어 흔들림없이 다리가 원활하게 승강할 수 있고, 고정부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에 각각 개별적으로 모니터를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어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케이스에 형성된 가이드홈 및 가이드돌출부와 다리에 형성된 자리홈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상기 다리가 견고하게 지지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면서 흔들림 없이 승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다리의 내부로 내부가이드홈 내부돌출부가 형성되어 있어, 다리의 내부에 다른 다리를 추가로 형성하여 다리를 다단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케이스 및 다리 등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쉽고 그에 따른 우수한 경제성을 제공하면서 유지보수가 간편한 장점이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과 4는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의 케이스 및 다리를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의 케이스, 작동수단, 다리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A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7은 도 5의 B부분을 도시한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의 제1, 2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의 보강부재, 내부보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인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의 제1, 2내부고정부재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10), 케이스(20), 보강대(30), 작동수단(40), 고정부(50), 다리(60)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바닥판(10)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100)가 지면에 지지되도록 바닥에 위치된다.
여기서, 상기 바닥판(10)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바닥판(10)의 하측으로 바닥판(10)의 지지력 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받침판(k)을 더 포함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2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20)의 상측으로 용접 등의 의한 방법으로 위치되되 수직방향을 길게 배열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은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f)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면서 모서리 부분이 각각 면취처리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며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볼트홀(21)의 주위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가이드홈(22) 및 상기 가이드홈(22)의 양측으로 가이드돌출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볼트홀(21) 및 가이드홈(22), 가이드돌출부(23)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각각의 측면에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20)에는 프레임(f)에 상측으로 위치되는 제1고정부재(24)와, 보강부재(25)와 제2고정부재(26)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재(24)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프레임(f)의 상측으로 위치되되 프레임(f)에 형성된 볼트홀(21)과 가이드홈(22) 및 가이드돌출부(23)와 동일한 형태인 제1볼트홀(24a)과 제1가이드홈(24b) 및 제1가이드돌출부(24c)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강부재(25)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의 상측으로 밀착되어 거치되는 거치턱(25a)과 상기 거치턱(25a)에 수직방향으로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수직바디(25b)로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보강부재(25)는 프레임(f)에 형성된 가이드홈(22)이 위치된 부분에 형성되되 상기 수직바디(25b)는 상기 가이드홈(22)에 결합되고 거치턱(25a)은 가이드홈(22)이 위치된 지점의 프레임(f)의 상측면에 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거치턱(25a)은 제1고정부재(24)에 형성된 제1가이드홈(24b)에 끼워지면서 프레임(f)의 상측에 위치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제1고정부재(24)의 상측으로 제2고정부재(26)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2고정부재(26)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는 제1고정부재(24)에 형성된 제1볼트홀(24a)에 대응되는 제1보조볼트홀(26a)이 형성되면서 상기 제1보조볼트홀(26a)의 주위로 제1가이드홈(24b)에 대응되는 돌출된 형태의 내부돌기(26b)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돌기(26b)는 프레임(f)의 가이드홈(22)의 상측으로 위치되어 상기 프레임(f)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보강부재(25)의 상측으로 위치되면서 프레임(f)에서 보강부재(25)가 이탈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프레임(f)의 상측면으로 제1고정부재(24)가 위치되면서 보강부재(25)가 동시에 프레임(f)의 상측면에 거치되되 프레임(f)의 가이드홈(22)에 끼워지는 형태로 위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재(24)의 상측으로 제2고정부재(26)가 위치되어 상기 제1고정부재(24)에 형성된 제1볼트홀(24a)과 제2고정부재(26)에 형성된 제1보조볼트홀(26a)과 프레임(f)의 볼트홀(21)의 순으로 볼트가 끼워지면서 프레임(f)에 제1, 2고정부재(24, 26)와 보강부재(25)가 결합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보강대(30)는 바닥판(10)의 상측으로 수직방향으로 길게 바닥판(10)에 용접 등의 의한 방법으로 연결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대(30)에는 내측으로 상기 케이스(20)에 밀착되는 돌기(p1)가 포함되는 지지판(p)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바닥판(10)의 상측으로 보강대(30)가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되 보강대(30)의 상측으로 돌기(p1)가 포함된 지지판(p)이 바닥판(10)과 보강대(30)의 거리만큼 이격되면서 보강대(30)에 연결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작동수단(4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위치되면서 하측은 바닥판(10)에 볼트 등에 의해 고정되고 상측은 후술할 고정부(50)의 상판(51)에 볼트 등을 통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수단(40)는 현재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린더(도면에 미도시)와 같은 형태로 구성되어 있으며, 실린더와 같이 상기 고정부(50)를 승강시킬 수 있는 어떠한 구조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상기 고정부(50)는 상기 작동수단(40)의 상측으로 볼트나 용접 등에 의해 결합되어 작동수단(40)에 의해 승강되며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판(51)과 상기 상판(51)에 연결되면서 모니터(도면에 미도시)가 결합되는 고정판(52)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판(52)은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5대의 모니터가 연결될 수 있도록 상기 고정판(52)이 5개소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다리(60)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위치되면서 상측은 상기 고정부(50)에 형성된 상판(51)에 용접 등의 의한 방법으로 고정되어 작동수단(40)의 동작에 의해 고정부(50)와 동시에 승강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은 단면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f)이 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면서 모서리 부분이 각각 면취처리된 형태로 형성된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의 내부에는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볼트가 삽입되는 보조볼트홀(61)이 형성되고, 상기 보조볼트홀(61)의 주위로 내부가이드홈(62)이 형성되며 상기 내부가이드홈(62)의 양측으로 내부돌출부(6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프레임(f)의 외부에는 상기 케이스(20)의 프레임(f)의 내부에 형성된 가이드홈(22)에 대응되는 자리홈(64)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f)의 내부 또는 외부에 형성된 내부가이드홈(62), 내부돌출부(63) 및 자리홈(64)은 각각의 측면마다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리(60)의 프레임(f)의 하측으로 제1내부고정부재(65)가 형성되면서 상기 프레임(f)의 하측면에 거치되면서 내부가이드홈(62)에 결합되는 내부보강부재(66)와 상기 제1내부고정부재(65)의 하측으로 위치되는 제2내부고정부재(67)를 더 포함시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제1내부고정부재(65)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f)에 형성된 보조볼트홀(61) 및 내부가이드홈(62)과 내부돌출부(63)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되 볼트가 삽입되도록 내부에 내부홀(65a), 보조가이드홈(65b), 보조돌출부(65c)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부에는 다리(60)에 형성된 자리홈(64)에 대응되는 보조자리홈(65d)이 더 포함되어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1내부고정부재(65)는 프레임(f)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면서 프레임(f)의 하측면으로 볼트에 의해 고정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보강부재(66)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리(60)의 프레임(f)의 하측면에 거치되는 보조거치턱(66a)과 상기 보조거치턱(66a)에 수직방향으로 위치되되 다리(60)에 형성된 내부가이드홈(62)에 결합되는 보조수직부재(66b)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2내부고정부재(67)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내부고정부재(67)에 형성된 내부홀(65a)에 대응되는 보조내부홀(67a)이 형성되면서 상기 보조내부홀(67a)의 주위의 외부에 제1내부고정부재(65)에 형성된 보조가이드홈(65b)에 대응되는 지점에 보조내부돌기(67b)가 형성된다.
이에 더해, 상기 제2내부고정부재(67)의 내부는 다리(60)의 단면과 같이 다리(60)의 프레임(f)에 형성된 내부가이드홈(62) 및 내부돌출부(63)와 동일한 형태의 홈(67c)과 돌출부(67d)가 형성되어 있다.
이는, 상기 제2내부고정부재(67)는 다리(60)의 프레임(f)의 단면과 동일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1내부고정부재(65)와 내부보강부재(66) 및 제2내부고정부재(67)는 케이스(20)에 형성되는 제1, 2고정부재(24, 26) 및 보강부재(25)와 동일하게 형성되면서 같은 작용을 하도록 형성된다.
한편, 상기 케이스(20)에 형성되는 보강부재(25)와 내부보강부재(66)는 각각 케이스(20)의 내측면과 다리(60)의 외부면에 밀착되도록 형성되면서, 다리(60)의 승강시 프레임(f) 간의 접촉을 방지하여 소음 및 프레임(f)의 파손을 예방하면서 다리(60)가 흔들리면서 승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더해, 상기 다리(60)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다단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다리(60)가 다단으로 형성될 경우 하나의 프레임(f)의 내부에 다른 프레임(f)이 위치되면 내부로 갈수록 그 크기가 점점 작게 형성된다.
또한, 각각의 프레임(f)에는 상술한 보조볼트홀(61), 내부가이드홈(62), 내부돌출부(63), 자리홈(64)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100)의 외부로 테이블(도면에 미도시) 및 상기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100)의 하부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커버(도면에 미도시) 등을 추가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다리(60)의 승강에 따라 고정부(50)에 하나 이상으로 형성되는 고정판(52)에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모니터를 동시에 승강시켜서 한번에 다수의 사용자가 모니터를 사용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작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고정부(50)에 형성된 고정판(52)에 결합되는 모니터를 사용하거나 보관하기 위해 케이스(20)의 내부에 위치된 작동수단(40)을 작동시키게 된다.
그러면, 상기 작동수단(40)의 승강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40)의 상측에 결합되는 고정부(50)의 상판(51)이 동시에 승강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상판(51)의 하측으로 결합되면서 케이스(20)의 내측에 형성된 다리(60)가 동시에 승강하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다리(60)가 다단으로 형성될 경우 순차적으로 하부단부터 펼쳐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다리(60)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게 될 경우 상기 다리(60)의 프레임(f)의 하측에 형성된 내부보강부재(66)가 케이스(20)의 프레임(f)의 상측에 결합된 보강부재(25)에 접촉되게 되면서 상기 다리(60)가 일정높이 이상으로 상승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수단(40)에 의해 고정부(50) 및 다리(60)가 승강하게 되면서 고정부(50)에 결합된 모니터를 노출시키거나 감출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케이스(20) 및 다리(60)는 낚싯대와 같이 다단으로 길이를 조절할 수 있게 작용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다리(60)의 승강시 케이스(20)와 다리(60)에 형성된 보강부재(25) 및 내부보강부재(66)가 케이스(20)의 프레임(f)의 내부와 다리(60)의 프레임(f)의 외부에 위치되어 각각의 프레임(f)에 밀착되어, 프레임(f)의 마찰을 줄여 프레임(f)의 마찰에 의한 소음을 줄일 수 있음은 물론, 파손을 예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에 더해, 상기 보강부재(25) 및 내부보강부재(66)가 케이스(20)의 내부 및 다리(60)의 외부에 밀착됨으로써, 다리(60)의 승강시 다리(60)가 흔들리지 않고 안전하게 승강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100)의 구조가 간단하여 제작이 쉬우며 그에 따라 경제성이 우수하면서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예에 대하여 설명한 것이지만, 상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다.
10 : 바닥판
20 : 케이스
21 : 볼트홀 22 : 가이드홈
23 : 가이드돌출부 24 : 제1고정부재
25 : 보강부재 26 : 제2고정부재
30 : 보강대
31 : 돌기 32 : 지지판
40 : 작동수단
50 : 고정부
51 : 상판 52 : 고정판
60 : 다리
61 : 보조볼트홀 62 : 내부가이드홈
63 : 내부돌출부 64 : 자리홈
65 : 제1내부고정부재 66 : 내부보강부재
67 : 제2내부고정부재
100 :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Claims (5)

  1. 바닥에 지지되면서 하측으로 받침판(k)이 구성된 바닥판(10);
    상기 바닥판(10)의 상측으로 위치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의 내부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면서 볼트가 삽입되는 볼트홀(21)이 형성되며, 상기 볼트홀(21)의 주위로 수직방향으로 관통되는 형태의 가이드홈(22)과 가이드돌출부(23)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f)의 상측으로 결합되는 제1고정부재(24), 보강부재(25), 제2고정부재(26)가 구성된 케이스(20);
    상기 바닥판(10)의 상측으로 형성되며 내측으로 상기 케이스(20)에 밀착되는 하나 이상의 돌기(p1)가 형성되는 지지판(p)으로 구성된 보강대(30);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으로 위치되어 승, 하강하는 작동수단(40);
    상기 작동수단(40)의 상측으로 형성되는 상판(51)과, 상기 상판(51)에 연결되며 각각 개별적으로 모니터가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판(52)이 구성된 고정부(50);
    상기 케이스(20)의 내측에 위치되면서 고정부(50)의 상판(51)에 결합되어 작동수단(40)에 의해 승강하는 중공관 형태의 프레임(f)으로 형성되되 상기 프레임(f)의 내부에 수직방향으로 관통된 보조볼트홀(61)과, 상기 보조볼트홀(61)의 주위로 내부가이드홈(62)과 내부돌출부(63)가 형성되고, 상기 프레임(f)의 외부로 케이스(2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에 대응되는 자리홈(64)과, 상기 프레임(f)의 하측으로 결합되는 제1내부고정부재(65), 내부보강부재(65), 제2내부고정부재(67)가 구성된 다리(60);로 이루어진 것에 특징이 있는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50108187A 2015-07-30 2015-07-30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022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87A KR101602247B1 (ko) 2015-07-30 2015-07-30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187A KR101602247B1 (ko) 2015-07-30 2015-07-30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02247B1 true KR101602247B1 (ko) 2016-03-10

Family

ID=55539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187A Expired - Fee Related KR101602247B1 (ko) 2015-07-30 2015-07-30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2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31Y1 (ko) * 2001-06-14 2001-10-31 장영철 모니터용 천장걸이
KR20040013886A (ko) * 2002-08-09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KR200413815Y1 (ko) * 2006-01-19 2006-04-11 (주)포스피아 모니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110123427A (ko) * 2010-05-07 2011-11-15 윤종석 디스플레이 상하 이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48231Y1 (ko) * 2001-06-14 2001-10-31 장영철 모니터용 천장걸이
KR20040013886A (ko) * 2002-08-09 2004-02-14 엘지전자 주식회사 Lcd 모니터의 받침대 구조
KR200413815Y1 (ko) * 2006-01-19 2006-04-11 (주)포스피아 모니터 높이 조절이 가능한 책상
KR20110123427A (ko) * 2010-05-07 2011-11-15 윤종석 디스플레이 상하 이동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50024883A (ko) 승강기 부품 장착 방법 및 장착 시스템
US8132788B2 (en) Partition lifter
JP4023615B2 (ja) トンネル内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支持装置組立方法、トンネル内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支持装置解体方法、トンネル内のコンクリート打設用型枠支持装置に対する昇降装置及び昇降機構
JP5595788B2 (ja) エレベータのリニューアル方法
KR101602247B1 (ko) 멀티모니터의 승강장치
JP4751915B2 (ja) エレベーターのつり合いおもり枠構造及びそれを用いたつり合いおもり装置
CN108792892B (zh) 双层电梯及双层电梯的维护方法
KR200485649Y1 (ko) 평상 겸용 테이블
KR102554166B1 (ko) 코너용 곤돌라
KR101960087B1 (ko) 승강식 의자 일체형 식탁
EP2116669A1 (en) Material support assembly
KR102427020B1 (ko) 갱폼 안전인양 장치
JPH02200213A (ja) 載置台
CN213416129U (zh) 一种立柱装置及举升机
KR101578793B1 (ko) 분할높이 조절이 가능한 테이블
KR101880748B1 (ko) 공동구 덮개 성형장치
JP2007204261A (ja) エレベータピットタラップ用嵩上げ台装置
JP4988957B1 (ja) 昇降式入浴装置
JP2002356996A (ja) 建築物の施工装置の上昇方法及び中間フレーム
JP2003276967A (ja) 相互間隔可変ダブルデッキエレベーターかご
JP5582938B2 (ja) チュービング装置
JP5199051B2 (ja) 車両点検整備用ピットの階段装置
JP2008280677A (ja) 吊構造建物の構築方法、吊構造建物
KR20230066836A (ko)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케이블 트레이 모듈 시공 방법
JP3892780B2 (ja) エレベータ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818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73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10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1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3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3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912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