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02141B1 -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02141B1
KR101602141B1 KR1020130154061A KR20130154061A KR101602141B1 KR 101602141 B1 KR101602141 B1 KR 101602141B1 KR 1020130154061 A KR1020130154061 A KR 1020130154061A KR 20130154061 A KR20130154061 A KR 20130154061A KR 101602141 B1 KR101602141 B1 KR 1016021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touch sensor
vehicle
user
card ke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4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8166A (ko
Inventor
박기웅
이동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전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전자
Priority to KR1020130154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02141B1/ko
Priority to CN201480055308.4A priority patent/CN105637161B/zh
Priority to US15/027,676 priority patent/US10137861B2/en
Priority to PCT/KR2014/009442 priority patent/WO2015053537A1/ko
Priority to BR112016007684A priority patent/BR112016007684A2/pt
Priority to EP14852399.6A priority patent/EP3056639A4/en
Publication of KR20150068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81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21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2141B1/ko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01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operating on vehicle systems or fittings, e.g. on doors, seat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KPULSE TECHNIQUE
    • H03K17/00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 H03K17/94Electronic switching or gating, i.e. not by contact-making and –breaking characterised by the way in which the control signals are generated
    • H03K17/96Touch switches
    • H03K17/9618Touch switches using a plurality of detectors, e.g. key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944Details of construction or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슬림화되도록 제작된 카드키에 정전식 터치 센서 스위치를 적용하여 두께의 증가를 방지함과 아울러, 능동적으로 RK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Slim type smart card key and Control method as same i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단순히 이모빌라이져 기능만을 수행하고 수납이 용이하도록 슬림하게 형성된 스마트 카드키에 있어서, 능동적으로 차량의 도어를 잠금시키거나 해정시키는 기능(RKE:Remote Keyless Entry)을 부여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배터리의 전력 소모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실 내부에는 사용자에 의하여 차량 엔진을 작동시키는 키 어셈블 리가 배치되고, 키 어셈블리에 작동 키를 삽입 회전하는 동작으로 엔진을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한편, 최근에는 작동 키를 이용하지 아니하고도 간단하게 시동 버튼을 누르는 동작으로 엔진이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도 가능해졌다.
그러나, 최근에는, 통신방법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대시키고, 차량의 도난사고 등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가 스마트키를 휴대하고, 상기 스마트키를 휴대한 사용자가 차량에 탑재된 ECU와 무선으로 암호화 통신을 수행하여 정당한 사용자에게만 차량 엔진의 시동 온(ON)을 허여하는 소위 스마트키 시스템이 도입되고 있는 실정이고, 스마트키는 사용자가 휴대하여야 하므로 지갑이나 가방 등에 수납이 용이하도록 될 수 있는 한 얇게 제작되는 것이 동 기술 분야의 새로운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가능한 한 수납이 용이하도록 최대한 얇게 제작하기 위하여, 기존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된 인쇄회로기판(20)이 수납되는 수납공간을 형성하는 상부 본체와 하부 본체의 결합 방식인 분리형 방식에서,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된 인쇄회로기판을 몰딩 재료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본체(10)를 형성하는 동작으로 상기 각종 전장 부품 전체를 감싸도록 제작되는 방법이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는, 얇게 제작되어야 하는 기술적 부담을 여전히 가지고 있는 관계로, 차량에 설치된 제어부와 스마트 카드키(1)간 정상 사용자를 인증하는 기능을 부여하는 외에 별도의 스위칭 기능을 부여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최근에는, 스마트키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기능 동작부(특히, 차량의 사이드 도어 및 트렁크 도어)를 락킹 또는 언락킹시키는 원격무선출입 시스템(Remote Keyless Entry System)이 상용화되고 있는데, 스마트키 휴대자가 대략 차량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스마트키에 구비된 스위칭부(미도시)를 이용하여 원격으로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해정 상태가 잠금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음은 물론,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잠금 상태가 해정 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다.
그런데, 상술한 스위칭부가 물리적으로 차지하는 두께로 인하여 상기 스마트 카드키(1)의 슬림화 제작에 있어서 설계상의 난점이 있고, 상기 스위칭부의 부적용에 따른 상기 원격무선출입 시스템 적용의 적용이 어려워 소비자가 불편을 느끼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스마트 카드키(1)에 비교적 두께를 차지하지 않는 터치 센서형 스위칭부를 구비하여 상술한 문제를 해결할 여지는 있으나, 사용자의 휴대 도중 의도치 않은 오작동 문제가 발생될 우려가 있음은 물론, 지속적으로 터치 센서의 작동을 센싱하기 위한 불필요한 전력의 소모가 문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치 센서 스위치를 이용하여 RKE(Remote Keyless Entry) 기능을 효과적으로 슬림화된 스마트 카드키에 적용하여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재료의 경화로 외관이 성형되는 본체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전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상기 본체의 성형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고, 상기 본체의 성형 후 상기 본체의 외부면 중 특정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로고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패널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 시키는 작동 온(On) 스위칭부의 조작 노브이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락킹시키는 락(Lock) 스위치와,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언락(Unlock) 스위치와,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트렁크 도어 스위치와, 차량의 경보음을 원격으로 발생시키는 패닉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는,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스위치 접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데코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조사 로고가 인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소정 두께를 가진 금속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 사이에는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접점 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RKE 기능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로고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오작동 방지 터치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작동 온 스위칭부의 접점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와,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되면,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터치 센서가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는 RKE 동작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를 슬립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는 락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언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상기 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고, 상기 언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다른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 중 상기 다른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상기 어느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함과 아울러, 상기 로고 패널의 주위에 구비된 오작동 방지 터치부에 의한 사용자의 정전기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도록 제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슬림화하여 제작된 카드키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서도 정전식 터치 센서 스위치를 통하여 RKE 기능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제어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2 및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재료의 경화로 외관이 성형되는 본체(110)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전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상기 본체(110)의 성형시 상기 본체(110)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120)과, 상기 본체(110)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되고, 상기 본체(110)의 성형 후 상기 본체(110)의 외부면 중 특정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와,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로고 패널(160)을 포함한다.
상기 로고 패널(160)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Wake-Up)시키는 작동 온(ON) 스위칭부(200)의 조작 노브(160)일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내용은 뒤의 해당 부분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몰딩 재료의 경화에 의하여 형성되는 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면, 미도시의 하부 금형과 상부금형 사이에 형성된 성형 공간인 성형틀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을 배치시키고, 상기 몰딩 재료를 상기 성형틀 내부로 부어 경화시키는 인서트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하여 형성된다.
상기 몰딩 재료는, 경도 및 중량의 측면에서 에폭시 수지 재질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상기 몰딩 재료를 상기 하부 금형과 상기 상부 금형 사이의 상기 성형틀에 주입하면,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하는 전면에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어 상기 성형틀의 형상과 같은 본체(110)가 형성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카드키(100)는 슬림 타입의 카드키(100) 제작을 그 목적으로 하는 바, 상기 본체(110)의 두께는 3.4t를 넘지 않는 것이 좋다.
한편, 상기 본체(110)가 대략 장방형으로 형성된다고 할 때, 이하에서는 변(길이부)의 길이가 짧은 부분을 일측 단부측 및 타측 단부측이라 하고, 변(길이부)의 길이가 긴 부분을 일측 장부측 및 타측 장부측이라 정의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본체(110)의 일측 단부측에는 비상키가 상기 일측 단부측에서 타측 단부측으로 삽입되어 수용되도록 비상키 수용홈이 상기 일측 장부측에 인접되게 형성된다. 상기 비상키 수용홈은 상기 본체(110)를 상기 몰딩 재료를 이용하여 인서트 사출 성형하기 전에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되는 비상키 안착 플레이트(115)에 의하여 형성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비상키 수용홈에 몰딩 재료가 유입되지 않도록 인서팅 블록을 활용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그 기능면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잠금(락킹(Locking))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락(Lock) 스위치(130)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해정(언락킹(Unlocking))시키는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언락(Unlock) 스위치(140)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의 작동 순서에 따라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Unlocking)시키는 트렁크 도어 스위치(미도시) 및 비상 상황시에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패닉 스위치(미도시)가 더 추가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2개만 구비되고, 2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의 적정한 작동 모습 및 순서에 따라 상이한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일종의 정전식 터치 스위치로써, 사용자가 손가락을 이용하여 접촉하면 상기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의 경우, 카드키(100)를 슬림화 제작하는 것이 그 목적인 바, 푸쉬 타입 스위치는 두께의 증가가 우려되므로 채택할 바 못되고,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 스위치 타입을 적용함으로써 별도의 두께 증가 없이도 RKE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상술한 터치 스위치 타입의 작동이 가능하도록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터치 센서라 함은, 사용자의 손가락을 통하여 전달되는 정전기 또는 소정의 압력을 감지하여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는 센서를 말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기 본체(110)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 또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에 따른 RKE(Remote Keyless Entry : 원격무선출입) 기능의 작동 여부 또는 작동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가 작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되었는지 여부 및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작동되어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킹 또는 언락킹 및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언락킹, 그리고 패닉 기능이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역할을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가 작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되면 제1색상의 빛을 점등시키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 중 상기 락 스위치(130)가 작동되면 제2색상의 빛을 점등시키며,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 중 상기 언락 스위치(140)가 작동되면 제3색상의 빛을 점등시킴으로써 각각의 작동 여부 및 작동 상태를 구별되게 표시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색상이 상이한 빛을 조사하는 LED(유기발광다이오드)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상기 비상키 수용홈이 형성된 상기 본체(110)의 상기 일측 장부측에 대향되는 상기 타측 장부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상기 비상키 수용홈이 형성된 상기 일측 단부측에 대향되는 상기 타측 단부측에 인접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는, 상기 조작 노브(160)와, 상기 본체(110)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된 스위치 접점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작 노브(16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의 일면에 결합되는 로고 패널(160)과 동일한 부호로 지시될 수 있다.
상기 로고 패널(160)은 일반적으로 제조사의 마크(심볼)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의 경우, 본체(110)가 몰딩 재료에 의하여 성형되므로 본체(110)에 직접 구비되는 것이 아니라, 본체(110)의 일면에 부착되어 외관미를 향상시키는 별도의 데코 시트(170)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3에 참조된 바와 같이, 상기 로고 패널(160)은 상기 데코 시트(170)와 일체로 형성되되, 상기 본체(110)의 외측으로 완만하게 돌출된 돌출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로고 패널(16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한 푸쉬 작동이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로고 패널(160)과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 사이에는 상기 로고 패널(160)의 푸쉬 작동시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에 밀착되어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를 접점시키는 접점 패드(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본체(110)는 상기 로고 패널(160)과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 사이가 상기 접점 패드(220)의 움직임에 의하여 접점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몰딩 재료가 충진되지 않는 소정의 접점 공간(230)이 형성되도록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의 일면에 직접적으로 인쇄된 일반적인 전기 회로부 외에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에 의한 별도의 접점이 용이하도록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별도로 결합되는 소정의 두께를 가진 금속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결합된 은합금체 또는 금합금체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0)에 솔더링된 완성형 스위치 모듈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성형 스위치 모듈은, 전도체 재질의 돔타입 스위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로고 패널(160)의 테두리 부분에는 사용자가 상기 로고 패널(160)을 푸쉬 작동시킬 때, 사용자로부터 정전기를 감지하는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는, 사용자가 상기 카드키(100)를 주머니 또는 가방 등과 같은 곳에 휴대 또는 보관할 때, 의도치 않게 상기 로고 패널(160)이 조작 노브로서 작동되어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시키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즉,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는 사용자가 상기 로고 패널(160)을 푸쉬 조작하려는 의사에 기한 행동인지 여부를 사용자의 손가락으로부터 전달되는 정전기를 감지함으로써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한 오작동 방지는 카드키(100)의 불필요한 배터리 소모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이어진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슬림화되어 제작된 카드키(100)에 이모빌라이저 기능 뿐만 아니라 능동적으로 RKE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부를 추가함으로써 소비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는 이점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의 구체적인 구성이 모두 충족된 경우에 더욱 구체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는,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접점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10)와, 상기 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10)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되면,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 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 후, 터치 센서가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는 RKE 동작 단계(S30)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슬립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를 포함한다.
여기서,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는,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이 웨이크 업된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상기 터치 센서의 센싱 여부를 모니터링하기 위하여 배터리 소모 상태가 계속 유지됨으로써 상기 카드키(100)의 전력이 소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이 경과되었을 때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슬립시키기 위한 단계이다.
또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사용자가 주머니와 같은 부분에 넣어 보관하는데,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하여 오작동 될 우려가 있으므로, 사용자의 사용이 예견되지 않은 경우 오작동을 방지하도록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에 의하여 작동을 불활성화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로고 패널(160)의 테두리 부분에 구비된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하여 사용자의 사용이 예견되지 않는 오작동을 더 명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30)는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가 사용자의 정전기를 감지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20)에 의하여 작동 온(ON)이 된 경우라도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시키지 않도록 제어되는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하여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면, 1차적으로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이 활성화되도록 한다. 즉,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한 사용자의 터치가 감지되지 않을 경우에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처음부터 생성시키지 않는다.
이와 같이,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작동에 따른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처음부터 생성시키지 않을 경우, 후속하는 단계인 상기 RKE 작동 단계(S30) 또한 수행되지 않게 되므로, 배터리의 소모를 2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을 가지게 된다.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에서 상기 소정 시간은 5초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에 주의하여야 한다.
이로써, 1차적으로 상기 오작동 방지 터치부(165)에 의하여 오작동을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2차적으로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예견된 경우라도 적극적으로 사용자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터치하지 않음으로써 작동을 캔슬시킬 수 있는 기능을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는, 상술한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상기 락 스위치(130) 및 상기 언락 스위치(140)의 각 터치 센서를 통하여 발생된 전기적인 신호의 생성에 따른 해당 사이드 도어의 락킹 및 언락킹을 수행함은 물론,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의 각 터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사용자의 터치 순서에 따라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거나, 차량의 패닉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상기 락 스위치(130)만을 터치하면 기설정된대로 상기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정상적으로 상기 언락 스위치(140)만을 터치하면 기설정된대로 상기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130) 또는 상기 언락 스위치(140) 중 어느 하나(예를 들면 락 스위치(130))를 터치한 후 소정 시간 이후에 나머지 스위치(예를 들면 언락 스위치(140))를 터치하면, 상기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사용자가 상기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경우와는 반대로, 상기 언락 스위치(140)를 먼저 터치한 후 소정 시간 이후에 락 스위치(130)를 시간차를 두고 터치하면, 비상 상황임을 주변에 알리는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패닉 기능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서는,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의 개수를 2개로 한정하여 구비하고, 상기 2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의 작동 모습 또는 순서에 따른 개별 기능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부품수를 절감함은 물론, 설계의 자유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이용하여 3가지 기능이 수행되도록 함으로써 제품을 간소화할 수 있음은 물론 원가를 절감하는 이점을 창출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100)를 상술한 제어방법을 이용하여 제어되는 모습을 간략하게 첨부된 도면(특히, 도 4)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카드키(100)에 구비된 상기 로고 패널(160)에 해당하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200)의 조작 노브(160)를 푸쉬 작동시켜 상기 조작 노브(160)의 접점 패드(220)가 상기 스위치 접점부(210)에 접점 온(ON)된 경우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웨이크 업시킴과 아울러,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를 통하여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되었음을 알리는 소정 색상을 빛으로 점등시킨다(작동 온 스위치 접점 판단 단계(S10) -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S20)).
다음으로, 상기 터치 센서가 작동되면 그 작동에 따라 발생한 전기적인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 그리고 상기 차량의 트렁크 도어의 언락 및 패닉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RKE 동작 단계(S30)).
마지막으로,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가 웨이크 업 된 후 소정의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를 슬립시켜, 후의 터치 센서 스위치(130,140)의 작동을 불활성화시킴으로써 상기 카드키(100)의 전력 소모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S40)).
이상,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
100: 카드키 110: 본체
120: 인쇄회로기판 130,140: 터치 센서 스위치
150: 디스플레이부 160: 로고 패널
165: 오작동 방지 터치부 170: 데코 시트
200: 작동 온 스위칭부 210: 스위치 접점부
220: 접점 패드 230: 접점 공간

Claims (13)

  1.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재료의 경화로 외관이 성형되는 본체와;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몰딩 전 각종 전장 부품이 솔더링되고, 상기 인서트 사출 성형 공법에 의한 상기 본체의 성형시 상기 본체의 내부에 위치되는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솔더링되고, 상기 본체의 성형 후 상기 본체의 외부면 중 특정 부위를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터치할 때 소정의 전기적인 신호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되고, 사용자에게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는 로고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로고 패널은,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 시키는 작동 온(On) 스위칭부의 조작 노브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락킹시키는 락(Lock) 스위치와;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언락(Unlock) 스위치와;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원격으로 언락킹시키는 트렁크 도어 스위치와;
    차량의 경보음을 원격으로 발생시키는 패닉 스위치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상기 소정의 전기적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는,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형성된 스위치 접점부를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는,
    상기 본체의 일측면에 결합되는 데코 시트와 일체로 형성되고, 제조사 로고가 인쇄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접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된 소정 두께를 가진 금속체인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작 노브와 상기 스위치 접점부 사이에는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상기 스위치 접점부를 접점시키는 접점 패드가 구비된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성형 전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결합되고,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의 작동에 따른 RKE 기능의 작동 여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고 패널의 테두리 부분에는 사용자에 의한 상기 조작 노브의 푸쉬 작동시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정전기를 감지하는 오작동 방지 터치부가 구비된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10. 작동 온 스위칭부의 접점 여부를 판단하는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와;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되면,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터치 센서가 작동되는지 여부에 따라 차량의 사이드 도어의 락 또는 언락을 수행하는 RKE 동작 단계와;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 후, 소정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를 슬립시키는 터치 센서 스위치 슬립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센서 스위치 웨이크 업 단계는,
    상기 작동 온 스위칭부 접점 판단 단계에 의하여 접점 온(ON)이라고 판정함과 아울러, 소정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도록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가 구비된 본체의 일면에 사용자에 의하여 푸쉬 가능하게 결합된 로고 패널의 주위에 구비된 오작동 방지 터치부에 의한 사용자의 정전기가 감지된 경우에만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를 웨이크 업시키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터치 센서 스위치는,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는 락 스위치와, 상기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는 언락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상기 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락킹시키고, 상기 언락 스위치에 의하여 차량의 사이드 도어를 언락킹시키며,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킹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RKE 동작 단계는,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상기 언락 스위치 중 어느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다른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트렁크 도어를 언락시키도록 제어하고,
    사용자가 상기 락 스위치 및 언락 스위치 중 상기 다른 하나를 먼저 터치한 후 상기 어느 하나를 나중에 터치하면 차량의 경보음을 발생시키도록 제어하는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의 제어방법.
  13. 삭제
KR1020130154061A 2013-10-07 2013-12-11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Active KR1016021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1A KR101602141B1 (ko) 2013-12-11 2013-12-11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CN201480055308.4A CN105637161B (zh) 2013-10-07 2014-10-07 车辆的薄型智能卡片钥匙及其控制方法
US15/027,676 US10137861B2 (en) 2013-10-07 2014-10-07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PCT/KR2014/009442 WO2015053537A1 (ko) 2013-10-07 2014-10-07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BR112016007684A BR112016007684A2 (pt) 2013-10-07 2014-10-07 chave em cartão inteligente fina para um veículo e um método de controle da mesma
EP14852399.6A EP3056639A4 (en) 2013-10-07 2014-10-07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4061A KR101602141B1 (ko) 2013-12-11 2013-12-11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66A KR20150068166A (ko) 2015-06-19
KR101602141B1 true KR101602141B1 (ko) 2016-03-10

Family

ID=53515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4061A Active KR101602141B1 (ko) 2013-10-07 2013-12-11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021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52B1 (ko) * 2018-12-18 2019-08-1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83934B1 (ko) * 2016-10-14 2018-08-01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 방법
KR102410937B1 (ko) * 2017-04-18 2022-06-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카드형 스마트키 및 그 제어방법
FR3152065A1 (fr) * 2023-08-09 2025-02-14 Psa Automobiles Sa Boitier de clé électronique pour véhicule automobile dépourvu de boutons physiques de commande et à écran reconfigurable
FR3152033A1 (fr) * 2023-08-09 2025-02-14 Psa Automobiles Sa Boitier de clé électronique pour vé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 écran d’affichage reconfigurabl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29644A (ko) * 2011-09-15 2013-03-2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스마트 키 구조체
KR20130079901A (ko) * 2012-01-03 2013-07-1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 키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96054A (ko) * 2012-02-21 2013-08-29 홍민지 차량의 도어 록킹 및 언록킹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1339312B1 (ko) * 2012-03-23 2013-12-09 주식회사 대동 차량용 무선통신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09952B1 (ko) * 2018-12-18 2019-08-12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차량용 카드키
US10994699B2 (en) 2018-12-18 2021-05-04 Continental Automotive Gmbh Card key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8166A (ko) 2015-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37861B2 (en) Slim-type smart card key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02141B1 (ko) 차량의 슬림형 스마트 카드키 및 그 제어방법
US20190152433A1 (en) Touch and gesture pad for swipe/tap entry verification system
US20100102927A1 (en) Mobile identification device
WO2015168459A1 (en) Vehicular keyless entry system
JP2013533400A (ja) 車両アクセスにおけるまたは車両アクセスに関する改良
WO2018142807A1 (ja) 車両用携帯機
KR101270055B1 (ko) 터치식 포브 키 및 이를 이용한 차량의 제어 방법
US10510196B2 (en) Remote key fob for motor vehicles
KR20160026199A (ko) 카드형 스마트키 및 카드형 스마트키의 전원 제어 방법
CN109804126B (zh) 卡片式车辆智能钥匙及其控制方法
JP6501199B2 (ja) 車両用携帯機
WO2012139282A1 (en) Keyless electronic locking device and application thereof
KR101549677B1 (ko) 터치식 포브키
KR20160066878A (ko) 차량용 도어락 장치
KR20160030953A (ko) 록 디바이스를 위한 저 파워 무력화
KR101469786B1 (ko) 차량의 핸즈프리 킥 트렁크 오픈 시스템
US10325429B2 (en) Card-type smart key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172105B1 (ko) 원격 차량 출입시스템의 리모콘
CN207420229U (zh) 一种触屏汽车钥匙
KR101095972B1 (ko) 차량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
JP6776919B2 (ja) 車両用携帯機
JP4486016B2 (ja) 通信端末
KR20170135291A (ko) 차량용 스마트키 및 그 제어방법
KR20120116131A (ko) 자동차용 도어 잠금 해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3121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80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224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30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30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8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328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30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0304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30302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4030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